KR102323661B1 -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661B1
KR102323661B1 KR1020210007828A KR20210007828A KR102323661B1 KR 102323661 B1 KR102323661 B1 KR 102323661B1 KR 1020210007828 A KR1020210007828 A KR 1020210007828A KR 20210007828 A KR20210007828 A KR 20210007828A KR 102323661 B1 KR102323661 B1 KR 10232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video
viewing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희캠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희캠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희캠퍼스
Priority to KR102021000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661B1/ko
Priority to KR1020210029863A priority patent/KR102423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재생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관리부로 전송하고, 관리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복수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리부는, 제1 영상을 저장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송수신부에 제1 영상의 제공을 지시하고,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사용자에게 제1 영상의 시청 자격 획득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

Description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PLAYING VIDEO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시청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여부에 따라 영상을 제공하거나 영상의 시청 자격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련의 이미지를 조합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형태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영상은 과거 영화와 TV의 전유물이었고, 제작을 위해서는 카메라, 저장 시스템 등의 고가 장비가 필요했으며 편집 등을 위한 별도 장비와 전문 인력도 필요한 등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되었다. 또한, 그 서비스 과정에 있어서도 영상 신호를 보내는 송신 시스템은 물론 수신 중계기, 중계기 신호를 소비자에게 재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등 막대한 투자가 필요했다.
하지만 근래 기술의 발달로 영상 서비스는 더 이상 영화나 TV의 전유물에 한정되지 않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과 저렴한 녹화 장비 및 편집 소프트웨어의 보급 등으로 개인이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인터넷에 유포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이에 따라, 인터넷 강의, 개인 방송,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등 개인이 편리하게 영상을 제작하거나 소비자가 편리하게 영상을 소비할 수 있는 방법 및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다만, 영상 재생 시스템의 수익성 확보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영상 별로 시청 금액의 지불을 요청하는 경우 소비자의 영상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소비자는 영상 별로 시청 금액만큼의 가치가 있는 영상인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게 되어 피로감과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영상 재생 시스템의 수익성 확보를 위하여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소비자의 영상 시청에 적지 않은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제10-2014-0054936호 (2014.05.09) 제10-2012-0064612호 (2012.06.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시청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여부에 따라 영상을 제공하거나 영상의 시청 자격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관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복수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하는 상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제1 영상을 저장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에 상기 제1 영상의 제공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영상의 시청 자격 획득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멤버십은 상기 관리부가 관리하는 복수의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멤버십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멤버십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형 영상을 더 설정하고, 상기 맞춤형 영상의 시청을 더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의 영상 시청 내역; 상기 사용자의 영상 시청 패턴; 상기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한 평점;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맞춤형 영상의 시청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맞춤형 영상의 후보 영상과 관련하여, 상기 후보 영상의 조회수; 상기 후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한 비율; 최근의 일정 시간 동안의 상기 후보 영상의 조회수; 및 상기 후보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된 평점 중 적어도 일부를 고려하여 상기 맞춤형 영상의 시청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더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시청 자격이 있는 영상에 대한 시청을 더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더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청을 더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류 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1 영상의 시청 자격 획득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멤버십 가입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멤버십 가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동시에 멤버십 혜택을 광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추천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연관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1000)은 서버(100)와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은 IoT 기술 및/또는 ICT 기술에 기반하여 획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 및/또는 출력(output)할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나타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는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는 차세대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지능화되어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스마트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헬스 케어 서비스 등 모든 분야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어, 마치 인터넷이 공기와 같이 되는데 굳이 인터넷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만 있어서는 안 된다.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의 다양한 기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으로 빅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또한 ICT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나타낼 수 있다.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ICT 패러다임의 변화는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가치사슬 상의 각 부문간 상호의존 심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N-T(터미널) 가치사슬이 방송플랫폼을 설명하는데 많이 활용되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사실상 컴퓨터에 해당되는 기기를 감안하면 C-P-N-D라는 표현이 ICT를 설명하는데 좀 더 유용할 수 있다. 콘텐츠(C) 부문을 살펴보면, 인터넷상에서는 더 이상 사진, 서적, 음악, 동영상 등의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종류의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서 이용자에 제공되며 콘텐츠 보유자는 구글, 애플,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제공자와 제휴하거나 직접 플랫폼을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공한다. 플랫폼 부문은 C-P-N-D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축적, 처리, 저장,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ICT 기업이 주도권을 잡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력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보유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대표적인 플랫폼 제공자로 부상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네트워크 전송 서비스 제공자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원천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은 플랫폼 제공자와 대등한 관계의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는 IP망, 즉 인터넷이다. 서킷방식 전화망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보유자가 자체적으로 이용자 식별 등의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의 경우에는 아카마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업들이 서버 클러스터를 통하여 효율적 트래픽 전송, 보안 등 네트워크의 다양한 기능을 경쟁 시장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기업도 일종의 플랫폼 제공기업이라는 의미에서 사실상 플랫폼과 네트워크의 구분은 어렵다. 또한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들이 직접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디바이스 부문은 언제나 인터넷과 연결되고, iOS와 같은 범용 운영체제를 갖춘 디바이스 내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플랫폼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완결한다. 애플은 플랫폼 제공자가 동시에 디바이스 제공자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구글과 안드로이드폰의 제조사 간의 제휴관계를 감안하면 과거보다 플랫폼 부문과 디바이스 부문의 관계가 보다 밀접한, 상호의존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콘텐츠 부문과 플랫폼 부문의 제휴, 디바이스 부문의 플랫폼과의 연계, 플랫폼 부문과 네트워크 부문의 경계 모호 등은 모두 C-P-N-D 각 부문의 상호의존성 심화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더 참조하면, 서버(100)는 제어 모듈(110), 통신 모듈(120), 입력 모듈(130), 출력 모듈(140) 및 저장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입력 모듈(230), 출력 모듈(240) 및 내부배터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0, 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0, 2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0, 21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110, 210)은 서버(100)의 저장 모듈(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저장 모듈(150) 및 송수신부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110, 210)은 서버(100)의 저장 모듈(15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서버(100)의 동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0, 21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 12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 등 상호 간에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 2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 1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130, 13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110, 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서버(10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30, 13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 24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의 제어 모듈(110, 2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120, 1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140, 2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15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1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150)은 서버(100) 및/또는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예; 서버(100) 및/또는 외부서버의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상기 서버(10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0, 210)은 상기 저장 모듈(1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더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 모듈(120)을 통하여 사용자 및/또는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제어 모듈(110)에게 전달하고, 제어 모듈(1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통신 모듈(120)을 통하여 사용자 및/또는 단말(200)에게 전송 및/또는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10)은 복수의 사용자(및/또는 복수의 단말)와 관련된 정보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 모듈(120)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즉, 단말(200))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 및/또는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이나 멤버십 가입 요청 및 로그인 요청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 모듈(11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의 영상 시청을 승인하는 정보, 영상 시청을 거부하고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정보, 로그인 성공 정보 및 로그인 실패 정보 등의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단말(200)의 표시부에 의하여 표시되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20)가 수신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단말(200)의 표시부에 연결된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에 대응하는 입력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120)은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200)의 표시부에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00)의 표시부는 단말(200)의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복수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한다. 제어 모듈(110)은 통신 모듈(120)로부터 특정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의 특정 영상(이하,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10)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 모듈(110)은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의 시청을 위한 대금 지급을 완료하였거나 제1 영상과 관련된 멤버십에 가입하였는지 등을 고려하여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멤버십은 관리부가 관리하는 복수의 영상 중 제1 영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은 통신 모듈(120)에 제1 영상의 제공을 지시한다. 반면,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은 제1 사용자에게 제1 영상의 시청 자격 획득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제어 모듈(110)은 획득된 정보를 통신 모듈(120)를 통하여 단말(200)로 전송하며, 해당 정보가 단말(2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0)로부터 영상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120)은 이에 대응하여 영상을 단말(200)로 제공한다.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제어 모듈(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송수신부(130)는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200)의 표시부 등에 표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통신 모듈(120)은 서버(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은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200)의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멤버십 가입을 통하여 제1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 멤버십 가입을 유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멤버십에 대응하는 혜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는 멤버십 가입을 통하여 제1 영상을 시청할 수 있음을 알리는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문구(220), "멤버십 가입하기" 문구를 포함하는 멤버십 가입을 유도하는 버튼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230) 및 멤버십의 세부 혜택(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멤버십의 세부 혜택(240)은 멤버십의 가입 및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비용("매월 9,500원")이나, 멤버십과 관련된 각종 프로모션 정보(예를 들어, 첫 한 달 80% 할인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모듈(110)은 멤버십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고 제1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0)은 "개별 영상 구매: 500원" 문구를 포함하는 버튼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추천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이 포함하는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형 영상(310)을 설정하고, 맞춤형 영상(310)의 시청을 제안할 수 있다.
맞춤형 영상(310)의 일 예시로서, "안정적인 배당금 받는 주식 투자 방법", "2021 트렌드 분석 정리", "부동산에서 현금흐름 만들자", "숨겨진 개꿀 포인트에서 붕어낚시하는...", "갯바위에서 초대형 부시리를 낚아보자", "취미로 모은 낚시 장비 리스트" 등의 제목에 대응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영상(310)은 사용자의 특성 및 후보 영상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의 영상 시청 내역, 사용자의 영상 시청 패턴, 사용자가 시청한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한 평점, 및 사용자와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퇴" 분류의 영상을 주로 시청하였고(영상 시청 내역), 10분 내외의 영상을 밤 9시~밤12시 사이에 시청하였으며(영상 시청 패턴), "은퇴 후 취미생활"로 세부 분류된 영상에 좋은 평점을 주었고(작성한 평점), 사용자가 60대 기혼 남성(프로파일 정보)이라는 점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영상(310)이 결정될 수 있다.
관련하여,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의 영상 시청 내역을 수치화한 a 1 (일반적으로 시청한 영상의 분류 코드), 영상 시청 패턴을 수치화한 a 2-1 (시청 영상의 평균 길이) 및 a 2-2 (평균적인 시청 시각),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한 평점을 수치화한 a 3 (좋은 평점을 준 영상의 세부 분류 코드) 및 프로파일을 수치화한 a 4-1 (연령), a 4-2 (혼인 여부) 및 a 4-3 (성별) 파라미터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고, 후보 영상의 특성인 b 1 (영상의 분류코드), b 2-1 (영상의 길이), b 2-2 (영상을 시청한 다른 사용자들이 영상을 시청한 시각), b 3 (영상의 세부 분류코드), b 4-1 (영상을 시청한 다른 사용자들의 평균 연령), b 4-2 (기혼 및 미혼 중 영상을 더 많이 시청한 혼인 여부) 및 b 4-3 (남성 및 여성 중 영상을 더 많이 시청한 사용자 성별) 파라미터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여, 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는 a x b x 값의 차이를 비교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x는 1, 2-1, 2-2, 2-3, 3, 4-1, 4-2, 4-3 등일 수 있음).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후보 영상이 맞춤형 영상(310)으로 표시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1007391759-pat00001
A는 적합도에 대응하고, α 1 , α 2-1 , α 2-2 , α 3 , α 4-1 , α 4-2 α 4-3 a 1 , a 2-1 , a 2-2 , a 3 , a 4-1 , a 4-2 a 4-3 을 얼마나 고려할지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기 위한 0 이상의 실수값을 가지는 지표에 대응할 수 있다 (α가 더 큰 값을 가질수록 관련 지표를 고려하는 가중치가 낮아짐).
a 1 , a 2-1 , a 2-2 , a 3 , a 4-1 , a 4-2 a 4-3 중 고려하고 싶지 않은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b x 값을 결정함에 있어 후보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해당 파라미터 a x b x 값이 동일하도록 b x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떤 영상에 좋은 평점을 주었는지를 고려하고 싶지 않은 경우, a 3 b 3 값이 동일하도록 b 3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Figure 112021007391759-pat00002
이 되므로, 분모의
Figure 112021007391759-pat00003
과 분자의
Figure 112021007391759-pat00004
이 소거되어 사용자가 어떤 영상에 좋은 평점을 주었는지가 적합도 A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적합도 A는 0 이상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제어 모듈(110)은 A가 1에 가까운 값을 가질수록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맞춤형 영상(310)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110)은 후보 영상의 추가적인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후보 영상의 추가적인 특성은 제1 영상과의 비교와 무관하게 후보 영상이 사용자들에게 얼마나 좋은 호응을 이끌어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영상의 추가적인 특성은 후보 영상의 조회수, 후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한 비율, 최근의 일정 시간 동안의 후보 영상의 조회수, 및 후보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된 평점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110)은 후보 영상의 조회수를 0과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하여 변환한 c- 1 , 후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한 비율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하여 변환한 c 2 , 일정 시간 동안의 후보 영상의 조회수를 0과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하여 변환한 c 3 및 후보 영상과 관련하여 작성된 평점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하여 변환한 c 4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후보 영상이 맞춤형 영상(310)으로 표시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1007391759-pat00005
A는 수학식 1의 적합도에 대응하고, B는 후보 영상의 추가적인 특성을 더 고려한 적합도에 대응할 수 있다.
c 1 , c 2 , c 3 및 c 4 중 고려하고 싶지 않은 파라미터가 존재한다면, 해당 파라미터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서로 다른 후보 영상의 B 값을 비교함으로써 어느 후보 영상이 맞춤 영상이 될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려하는 파라미터와 고려하지 않는 파라미터가 일치하여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영상 1과 관련해서 후보 영상을 끝까지 시청한 비율을 고려하고 싶지 않다면, 후보 영상 1과 관련하여 c 3 를 1로 계산하여 B를 산출하되, 후보 영상 2와 후보 영상 1 중 어느 영상이 맞춤 영상에 더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후보 영상 2의 적합도 B를 산출함에 있어서도 c 3 를 1로 계산하여야 할 수 있다.
적합도 B는 0 이상 1 이하의 값을 가지며, 제어 모듈(110)은 B가 1에 가까울수록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맞춤형 영상(310)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영상은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에 한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도 A나 적합도 B가 높은 영상이더라도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지 않는 경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영상 시청이 제한되므로 제어 모듈(110)은 해당 영상을 맞춤형 영상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지 않는 영상을 맞춤형 영상에 포함시킴으로써 멤버십 가입을 장려하는 효과가 예상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개별 영상을 결제하여 시청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후보 영상이 반드시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에 제한된다고 볼 것은 아니다.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는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맞춤형 영상(310)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맞춤형 영상(310)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식이 반드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에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 4에서 후술할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추천할 영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준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적합도 A 또는 적합도 B 및 분류 코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맞춤형 영상(310)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시스템이 연관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이 포함하는 제어 모듈(110)은 관리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호간의 연관성을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0)은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청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21 은퇴 후 삶 계획하기 위하여 꼭 해야 할 6가지" 영상에 대한 시청을 요청하는 경우(410), 해당 영상의 시청 화면의 하단부에 연관된 영상인 "노후자금 고민, 이 영상으로??" 영상, "전원생활의 꿈을 이루기 위하여??" 영상, "바이러스가 바꾼 세상, 은퇴??" 등의 제목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420).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모듈(110)은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안하기 이전에, 제1 사용자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 중 제1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영상에 대한 시청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시청 자격이 없는 영상이 연관 영상에 출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영상은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에 한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지 않는 영상을 연관 영상에 포함시킴으로써 멤버십 가입을 장려하는 효과가 예상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개별 영상을 결제하여 시청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연관 영상이 반드시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에 제한된다고 볼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10)은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류 코드를 설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호간의 연관성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10)은 복수의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사전 설정된 분류 코드에 따라 영상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10)은 "은퇴", "건강", "재산", "취미" 등의 키워드를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키워드마다 분류 코드를 사전에 부여하고, 복수의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류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 부호 410의 "2021 은퇴 후 삶 계획하기 위하여 꼭 해야 할 6가지"의 제목에 대응하는 영상은 "은퇴"에 대응하는 분류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10)은 분류 코드에 기초하여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영상은 둘 이상의 분류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 부호 420의 "노후자금 고민, 이 영상으로..."의 제목에 대응하는 영상은 "은퇴"에 대응하는 분류 코드 및 "재산"에 대응하는 분류 코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분류 코드의 집합이 반드시 닫힌 집합을 구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분류 코드는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연관 영상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후보 영상이 사용자에게 추천할 연관 영상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식이 반드시 분류 코드에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연관 영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사용자의 특성 및 후보 영상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천할 영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준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사용자의 특성 및 후보 영상의 특성 및 분류 코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연관 영상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획득한다(510). 서버(100)는 시청 요청이 획득된 제1 영상에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한다(520).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520, YES), 서버(100)는 제1 영상을 제공한다(530). 반면, 제1 사용자가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520, NO), 서버(100)는 제1 사용자에게 제1 영상의 시청 자격 획득을 위한 멤버십 가입을 요청한다.
도 5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 재생 방법은 서버(100)의 통신 모듈(120) 및 제어 모듈(110)의 조합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영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및 복수의 영상을 관리하는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관리부에게 전송하고, 상기 관리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제1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요청을 제1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시청 요청에 상응하는 대금 지급을 완료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멤버십에 가입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의 제공을 상기 송수신부에게 지시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멤버십의 가입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멤버십은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서 상기 제1 영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의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에 대응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상응하는 키워드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한 분류 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분류 코드, 상기 제1 사용자의 시청 영상의 평균 길이, 상기 제1 사용자가 평균 시청 시각,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연령, 혼인 여부 및 성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대한 시청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시청 자격이 있는 영상에 대한 시청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더 제안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가 시청 자격을 가지는 영상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에 대한 시청을 제안하는 과정이 생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재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7828A 2021-01-20 2021-01-20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28A KR102323661B1 (ko) 2021-01-20 2021-01-20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0029863A KR102423150B1 (ko) 2021-01-20 2021-03-08 맞춤형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828A KR102323661B1 (ko) 2021-01-20 2021-01-20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63A Division KR102423150B1 (ko) 2021-01-20 2021-03-08 맞춤형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661B1 true KR102323661B1 (ko) 2021-11-09

Family

ID=78487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828A KR102323661B1 (ko) 2021-01-20 2021-01-20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10029863A KR102423150B1 (ko) 2021-01-20 2021-03-08 맞춤형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63A KR102423150B1 (ko) 2021-01-20 2021-03-08 맞춤형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3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273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채널가입 메시지 표시방법
KR100769961B1 (ko) * 2006-05-04 2007-10-25 정승훈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인터넷방송 서비스 방법
KR20120064612A (ko) 2010-12-09 2012-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20116310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유료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54936A (ko)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저작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및 모바일 개인 동영상 강의서비스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273A (ko) * 1998-10-30 2000-05-25 전주범 위성방송수신기에서 채널가입 메시지 표시방법
KR100769961B1 (ko) * 2006-05-04 2007-10-25 정승훈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인터넷방송 서비스 방법
KR20120064612A (ko) 2010-12-09 2012-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추천 방법
KR20120116310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유료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54936A (ko)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저작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및 모바일 개인 동영상 강의서비스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150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m et al. Web personalization as a persuasion strategy: A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perspective
Trappey et al. Consumer driven product technology function deployment using social media and patent mining
US8849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8533192B2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JP5601862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いて転送構造を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666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tagging and tagged content
CN104580348B (zh) 访问基于位置的内容
US10275798B1 (en) Tracking analytic information for deep links between mobile applications executing on a client device
US20120067954A1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20220044266A1 (en) Multi-user smart feedback system
KR20180114857A (ko) 뮤지션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5149321A1 (en) Personal digital engine for user empowerment and method to operate the same
US8886799B1 (en) Identifying a similar user identifier
Dibb Changing times for social marketing segmentation
KR101553743B1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판매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914500B1 (en) Creating a classifier model to determine whether a network user should be added to a list
US20160048870A1 (en) Export Permissions In A Claims-Based Social Networking System
KR1025064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홈페이지 및 쇼핑몰 생성 및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23661B1 (ko) 영상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Doukidis et al. OR and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services
Park et al. An empirical analysis on consumer adoption of mobile phone and mobile content in Korea
CA3222169A1 (en) Machine learning aided automatic taxonomy for marketing automation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s
US20220044265A1 (en) Smart feedback system
Hyman Towards an understanding of mobile website contextual usability and its impact on mobile commerce
US20140337129A1 (en)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Uniqueness of Individuals in Target Aud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