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916B1 - Rollable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Rollable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2916B1 KR102322916B1 KR1020200004284A KR20200004284A KR102322916B1 KR 102322916 B1 KR102322916 B1 KR 102322916B1 KR 1020200004284 A KR1020200004284 A KR 1020200004284A KR 20200004284 A KR20200004284 A KR 20200004284A KR 102322916 B1 KR102322916 B1 KR 102322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part
- rail
- main body
- mov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first moving part that is linearly moved in front of the main body; a flexible display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part; a rail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may inclu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able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최근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종류로서, 인 폴딩 방식과 아웃 폴딩 방식이 있을 수 있다. Recently, a foldable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for a large screen display has been developed. As a type of a foldable mobile device, there may be an in-folding method and an out-folding method.
인 폴딩 방식은 최근 삼성전자가 출시한 것으로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안쪽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접힘선을 기준으로 마치 종이가 접히듯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방식이다. 인 폴딩 방식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접었을 때 디스플레이 접힘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서 접힘 부분에 주름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in-folding method, which was recently launched by Samsung Electronics, is a method in which a flexible display is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flexible display is folded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based on the fold line as if folded paper. A common problem of the in-folding method is that when folde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oldable portion of the display is small,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ldable portion is severely wrinkled.
한편, 아웃 폴딩 방식은 삼성전자, 중국의 화웨이, 로욜이 선보인 것으로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고, 바깥쪽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큰 곡률 반경으로 휘어지는 방식이다. 아웃 폴딩 방식은 펼쳤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가 서로 평행하므로 길이가 동일하다. 그러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선이 제1 본체부의 회전 중심과 제2 본체부의 회전 중심의 바깥쪽에 있다. 따라서, 아웃 폴딩 방식은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접었을 때, 본체부보다 바깥쪽에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길이가 모자랄 수 있다. Meanwhile, the out-folding method, introduced by Samsung Electronics, Huawei of China, and Royole, is a method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folded, and the flexible display is bent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on the outside. The out-folding method has the same length when unfolded because the flexible display and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parallel to each other. However, the fold line of the flexible display is outsid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refore, in the out-folding method, wh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folded, the overall length of the flexible display outside the main body part may be insufficient.
본 발명은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동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롤러블 방식으로 길이 또는 폭이 변화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in-folding or out-folding method, and takes a structure in which the moving part slides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The flexible display coupled to the moving part may be changed in length or width in a rollable manner.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first moving part that is linearly moved in front of the main body; a flexible display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part; a rail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may include.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may be unfold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접힘부가 없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본체부에 대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가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folding part, wrinkles of the flexible display do not occu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losed state or the open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is naturally produced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로즈 상태의 힌지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픈 상태의 힌지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로즈 상태의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픈 상태의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레일 유니트의 측면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mobile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mobile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spring in a clos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spring in an ope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rai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를 설명한다.1 and 7 together,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50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 이동부(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00)는 모바일 장치의 메인 보드, 배터리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이 설치되며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500)의 길이 또는 폭 이하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노출되는 클로즈 상태가 도시된다. 모바일 장치는 도 1과 같은 클로즈 상태에서 노출 화면이 최소가 되며 전체 크기가 최소로 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휴대 간편성을 위하여 평소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가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된 클로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주요부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측면 커버(102)는 제거되었다. 측면 커버(102)는 레일 유니트(200)를 덮어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본체부(500)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며, 방수 또는 방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closed state in which the
도 2를 참조하면 오픈 상태가 도시된다. 클로즈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본체부(500)의 측면 방향으로 제1 이동부(110)를 잡아당기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본체부(500)의 측면 방향으로 밀면 제1 이동부(110)가 직선 이동하면서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open state is illustrated. When the user pulls the first moving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본체부(500)로부터 펼쳐질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길이 또는 폭보다 길게 펼쳐진 오픈 상태가 되며,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노출된 면적은 최대가 되며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최소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쉽게 휘어지므로 화면 형성을 위하여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제1 이동부(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에지 화면 구현을 위하여 제1 이동부(110)의 단부는 곡면일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에지 부분의 예와 같이 부분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곡면으로 지지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넓은 면적을 평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도 1의 클로즈 상태로부터 도 2의 오픈 상태로 펼쳐지면 본체부(500)의 적은 사이즈에 불구하고 대화면 구현이 가능하다. 종래의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방식 또는 롤러블 방식에 의하면, 대화면 구현시 화면의 주름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본체부(500)의 회전 중심이 사라지므로 폴딩 방식에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 길이가 모자란 문제점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제1 이동부(11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는 본체부(500)에 설치되며 제1 이동부(11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 제2 이동부(120), 제3 이동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부(110, 120, 130)의 이동 정밀도를 위하여 레일 유니트(200)는 본체부(5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다.The first moving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전체 면적은 오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전면(501)에 노출되는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남는 부분은 본체부(500) 내부에 롤러블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롤러블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접히는 종래의 폴딩 방식에 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접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total area of the
한편, 제1 이동부(110)는 가요성이 없는 평판이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휨 변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없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곡선 이동되는 제2 이동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moving
제2 이동부(12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으로부터 후면(502)을 향하여 곡선 이동되거나 본체부(500)의 후면(502)으로부터 전면(501)을 향하여 곡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의 단부는 제1 이동부(110)의 단부에 대면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 사이에 틈이 생기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상태가 단절되거나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는 단차없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oving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면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레일 유니트(200)를 공통의 안내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의 직선 이동은 물론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는 휨 변형 없이 평면 상태로 본체부(500)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나머지 일부는 휨 변형되므로, 본체부(500)의 측면에 곡면 상태로 감길 수 있다. 이 부분은 제2 이동부(120)가 휨 변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If a separate member is provided to guide the curved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한편, 휨 변형없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반대쪽 평면을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여유분이 많거나 제1 이동부(110)의 신축량이 큰 경우 반대쪽 평면의 지지 수단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지지하는 제3 이동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ans for supporting the opposite plane of the
제3 이동부(130)는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를 연결하며 곡선 이동될 수 있다. The third moving
본체부(500)의 슬림화 및 구조의 간편화를 위한 공통의 안내 수단인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편,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는 휨 변형 없는 상태이며, 본체부(500)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나머지 일부에는 휨 변형이 발생하며, 본체부(500)의 측면에 곡면 상태로 감길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이동부(110, 120, 130)는 모터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지만, 저전력화, 슬림화, 고장 요인 차단을 위하여 반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순수한 수동 방식에 의하면 클로즈 상태나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쉽게 흔들릴 수 있다. The moving
반자동 동작을 위하여 힌지 스프링(106)이 본체부(500) 및 제1 이동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본체부(500)에 대하여 이동부(110, 120, 13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의 설치 위치는 제1 이동부(110)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이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마련되면,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고 제1 이동부(110)에 간접적인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For semi-automatic operation, the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1 이동부(110) 및 본체부(500)가 포개진 상태를 클로즈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이동부(110)가 본체부(50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오픈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이 최대로 압축되는 위치를 전환점이라 정의할 때, 전환점이 클로즈 상태 및 오픈 상태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전환점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전환점 스프링 간격은 참조 부호 L0 이다.As shown in FIGS. 1 and 3 ,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도 3 및 도 4에서 힌지 스프링(106)으로서 토션 스프링이 도시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 스프링(106)은 압축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3 and 4 a torsion spring is shown as
힌지 스프링(106)은 전환점으로부터 클로즈 상태를 향하는 방향 또는 오픈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이동부(110, 120, 130)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클로즈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클로즈 스프링 간격은 참조 부호 L1 이다.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가 최소이므로 클로즈 스프링 간격 L1 은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보다 클 수 있다. The
힌지 스프링(106)은 전환점으로부터 오픈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이동부(110)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오픈 스프링 간격 L2 는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보다 클 수 있다. The
제2 이동부(1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이 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곡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복수의 체인 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인 블록(122)은 레일 유니트(20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동 궤적이 곡선이므로, 하나의 체인 블록(122)은 다른 체인 블록(12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제1 이동부(11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에서 직선 이동되고, 제3 이동부(130)는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와 제3 이동부(130)를 연결하며 본체부(500)의 측면에서 곡선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1 레일(210), 제2 이동부(120)를 안내하는 곡선 궤도의 제2 레일(220), 제3 이동부(130)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3 레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은 본체부(500)의 전면(501)에 인접하며, 제2 레일(220)은 본체부(500)의 측면에 인접하고, 제3 레일(230)은 본체부(500)의 후면(502)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에는 제1 이동부(110)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 레일(220)에는 제2 이동부(120)가 곡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3 레일(230)에는 제3 이동부(130)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The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는 평판 형상이므로 제1 레일(210) 및 제3 레일(230)은 공통이 되면 이동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 사이를 연결하므로, 제2 레일(220)은 제1 레일(210)의 연장된 부분이거나 제3 레일(230)의 연장된 부분이 되는 것이 슬림화 및 구조 간편화에 유리하다. Since the first moving
도 7에 의하면, 제1 이동부(110)의 긴 이동 거리 확보를 위하여 제2 레일(220) 및 제3 레일(2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일(220) 및 제3 레일(230)은 제1 레일(210)과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 레일(210)은 본체부(500)의 제1 측면부(510)로부터 제2 측면부(520)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일(220)을 제3 레일(230)과 연결시키는 것이 레일의 형성 개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다음은 조립성 향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ssembly improvement means will be described.
본체부(500)에 제1 이동부(110)를 조립할 때, 본체부(500)의 측면 일측에 해당하는 제1 측면부(510)로부터 본체부(500)의 측면 타측에 해당하는 제2 측면부(520)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이동부(110)가 레일 유니트(200)에 끼워질 수 있다. When assembling the first mov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동부(110)가 끼워지는 시작점인 제1 레일 개구(211)는 본체부(500)의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은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한 제1 레일 개구(211)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6 and 7 , the
곡선 궤도인 제2 레일(220)에 의하여 본체부(500)의 측면 타측인 제2 측면부(520)가 막힐 수 있다. 본체부(500)에 제3 이동부(130)를 조립할 때, 제3 이동부(130)도 제1 측면부(510)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레일 유니트(200)에 끼워질 수 있다. 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이동부(130)가 끼워지는 시작점인 제3 레일 개구(231)는 본체부(500)의 측면 일측에 해당하는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레일(230)은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한 제3 레일 개구(231)를 시작점으로 제1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6 and 7 , the
레일 개수 최소화를 위하여 제2 레일(220)은 제3 레일(2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부(120)는 제3 레일 개구(231)를 시작점으로 제1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3 레일 개구(231)에 끼워진 제2 이동부(120)는 직선 구간인 제3 레일(230)을 지나서 곡선 구간인 제2 레일(220)에 도달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rails, the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가 본체부(500)에 끼워지는 제1 레일 개구(211)가 레일 유니트(200)에 마련되고, 제3 이동부(130)가 본체부(500)에 끼워지는 제3 레일 개구(231)가 레일 유니트(20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 개구(211) 및 제3 레일 개구(231)는 레일 유니트(200)의 일측에 몰려서 개방 또는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moving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일측의 제1 면(301)과 타측의 제3 면(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01)은 제1 이동부(110)에 밀착 고정되고, 제3 면(303)은 제3 이동부(13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The
제1 면(301)과 제3 면(303) 사이의 제2 면(302)은 본체부(500)의 측면 또는 제2 측면부(520)를 감쌀 수 있다. 제2 면(302)은 휨 변형되므로 제2 이동부(120)와 접착 고정되면 잔류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가 복수의 체인 블록(122)으로 된 경우, 각각의 체인 블록(122)의 표면에 제2 면(302)을 접착시키면 체인 블록(122)의 연결부에서 제2 면(302)이 급격히 접히는 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면(302)의 국부적인 급격한 곡률 변화를 줄이고 연속적으로 부드러운 곡면 형성을 위하여 제2 면(302)은 제2 이동부(120)의 표면에 비접착 또는 비고정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e
한편, 레일 유니트(200)에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를 조립한 후 제1 이동부(11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체인 블록(122)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비고정 상태일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에 대한 힘 전달 수단이 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를 당길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인장력 전달에 의하여 각 부품은 문제없이 끌려올 수 있다. Meanwhile, after assembling each of the moving
102...측면 커버 106...힌지 스프링
110...제1 이동부 120...제2 이동부
122...체인 블록 123...밴드 구멍
130...제3 이동부 200...레일 유니트
210...제1 레일 211...제1 레일 개구
220...제2 레일 230...제3 레일
231...제3 레일 개구 300...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01...제1 면 302...제2 면
303...제3 면 500...본체부
501...본체부의 전면 502...본체부의 후면
510...제1 측면부 520...제2 측면부102...Side cover 106...Hinge spring
110...First moving
122...chain block 123...band hole
130...third moving
210...
220...
231...third rail opening 300...flexible display
301...
303...
501...Front of
510...
Claims (9)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이동부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며,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3 이동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곡선 이동되거나 상기 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곡선 이동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를 연결하며 곡선 이동되는 제2 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유니트는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의 직선 이동과 상기 제2 이동부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는 평면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직선 이동되고,
상기 제2 이동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곡면 상태로 감기며,
상기 제1 이동부의 일단은 상기 제2 이동부의 일단과 밀착 연결되고, 상기 제2 이동부의 타단은 상기 제3 이동부의 일단과 밀착 연결되는 모바일 장치.
body part;
a first moving part that is linearly moved in front of the main body;
a flexible display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part;
a rail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is unfold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a third moving part that is linearly mov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moving part curv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or curved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the front, connecting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third moving part and being curved; including,
The rail unit guides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curved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par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the first moving unit and the third moving unit is linearly mov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n a flat state,
The remaining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supported by the second moving part is woun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in a curved state,
One end of the first moving unit is closely connected with one end of the second mov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unit is closely connected with one end of the third moving unit.
상기 제1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포개지는 상태와 상기 제1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지는 상태 사이를 전환 동작시,
상기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및 제3 이동부의 상면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 이동이 없고,
상기 제1 이동부와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는 외부에서 관측 가능한 평면 화면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이동부와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서 관측 가능한 곡면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3 이동부와 상대적 위치가 고정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나머지 일부는 외부에서 관측 가능한 평면 화면을 구성하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switching betwee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part is overlapped with the main body part an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part is unfolded from the main body part,
The first moving part,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oving part are mov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and there is no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lexible display,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first moving unit is fixed constitutes a flat screen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to which the second moving unit and the relative position are fixed constitutes a curved screen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e remaining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to which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relative position are fixed constitutes a flat screen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힌지 스프링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본체부가 포개진 상태를 클로즈 상태, 상기 제1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오픈 상태라 정의할 때, 상기 힌지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는 전환점이 상기 클로즈 상태 및 상기 오픈 상태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힌지 스프링은 상기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클로즈 상태를 향하여 상기 제1 이동부를 탄력적으로 밀어주며, 상기 전환점으로부터 상기 오픈 상태를 향하여 상기 제1 이동부는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inge spring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first moving part,
When it is defined that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main body are overlapped is a closed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part is unfolded from the main body is defined as an open state, a switching point at which the hinge spring is maximally compressed is the closed state and the exists between the open states,
The hinge spring elastically pushes the first moving part from the switching point toward the closed state, and elastically pushing the first moving part from the switching point toward the open state.
상기 제2 이동부는 복수의 체인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체인 블록은 상기 레일 유니트를 따라 안내되고,
하나의 체인 블록은 다른 체인 블록에 대하여 회전되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v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hain blocks,
The plurality of chain blocks are guided along the rail unit,
A mobile device in which one chain block is rotated relative to another chain block.
상기 레일 유니트는 상기 제1 이동부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1 레일, 상기 제2 이동부를 안내하는 곡선 궤도의 제2 레일, 상기 제3 이동부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3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인접하며,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인접하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includes a first rail of a straight track guiding the first moving part, a second rail of a curved track guiding the second moving part, and a third rail of a straight track guiding the third moving part,
The first rail is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second rail is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third rail is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레일 유니트는 상기 제1 이동부가 끼워지는 제1 레일, 상기 제2 이동부가 끼워지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3 이동부가 끼워지는 제3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레일 및 상기 제3 레일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레일과 별개로 마련되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includes a first rail into which the first moving part is fitted, a second rail into which the second moving part is fitted, and a third rail into which the third moving part is fitted,
The second rail and the third rai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rail.
상기 제1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측면 타측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 유니트에 끼워지는 모바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ving part,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third moving part are fitted to the rail unit in a first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제1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워지는 제1 레일 개구가 상기 레일 유니트에 마련되며, 상기 제3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끼워지는 제3 레일 개구가 상기 레일 유니트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개구 및 제3 레일 개구는 상기 레일 유니트의 일측에 몰려서 노출되는 모바일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first rail opening into which the first moving part is fitted into the body part is provided in the rail unit, and a third rail opening into which the third moving part is fitted into the main body part is provided in the rail unit, and the first rail The opening and the third rail opening are pushed to one side of the rail unit and expos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4284A KR102322916B1 (en) | 2020-01-13 | 2020-01-13 | Rollable mobile device |
CN202120061208.XU CN213987327U (en) | 2020-01-13 | 2021-01-11 |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4284A KR102322916B1 (en) | 2020-01-13 | 2020-01-13 | Rollable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0928A KR20210090928A (en) | 2021-07-21 |
KR102322916B1 true KR102322916B1 (en) | 2021-11-05 |
Family
ID=7714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4284A KR102322916B1 (en) | 2020-01-13 | 2020-01-13 | Rollable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2916B1 (en) |
CN (1) | CN213987327U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3018B1 (en) * | 2008-06-12 | 2015-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2481292B1 (en) * | 2018-04-13 | 2022-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
-
2020
- 2020-01-13 KR KR1020200004284A patent/KR10232291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1-11 CN CN202120061208.XU patent/CN213987327U/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0928A (en) | 2021-07-21 |
CN213987327U (en) | 2021-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2915B1 (en) | Rollable mobile device with an interconnected moving portion | |
US8073510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4866205B2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e module | |
US20080158795A1 (en) |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 |
CN101543026A (en) | Hinge arrangement with leaf springs | |
US12111693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322916B1 (en) | Rollable mobile device | |
US20100085721A1 (en) |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0800808B1 (en) |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100897856B1 (en) |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 |
KR100796944B1 (en) | Elastic module using integrate-type spring wound on both directions by spiral form,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 |
KR100822694B1 (en) | Elastic module using spiral spring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 |
US7952867B2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long stroke hinge | |
KR102598622B1 (en) | Roll-Slide Type Mobile Device | |
JP2010279015A (en) | Slide module for cellular phone | |
KR101067346B1 (en) | Slide type terminal spring module | |
KR101024410B1 (en) |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TWI471076B (en) | Slide cover assemblies and slide-type electronic devices | |
CN101370040A (en) | Sliding part mechanism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 | |
JP4370236B2 (en) | Telescopic structure of wire harness | |
CN101715011A (en) | Spring module for sliding apparatus | |
KR20050118908A (en) |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using spiral spring | |
KR100598045B1 (en) |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asily being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 |
KR101138923B1 (en) | Wire spring acturator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wire spring acturator | |
KR100833167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