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909B1 -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909B1
KR102322909B1 KR1020200078330A KR20200078330A KR102322909B1 KR 102322909 B1 KR102322909 B1 KR 102322909B1 KR 1020200078330 A KR1020200078330 A KR 1020200078330A KR 20200078330 A KR20200078330 A KR 20200078330A KR 102322909 B1 KR102322909 B1 KR 10232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unit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성진
Original Assignee
구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성진 filed Critical 구성진
Priority to KR102020007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8Vehicle exterior or interior
    • G06T2207/30252Vehicle exterior; Vicinity of vehicle
    • G06T2207/30256Lane; Road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는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 내의 각 차량 객체가 실시간 추적되면서 특성정보(차종, 차량번호 등)가 병렬적으로 개별 인식되어 표시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차량이 고속이동하는 조건에서도 인식 누락없이 해당 도로영역에서의 다각적인 통행 차량정보를 높은 가시성으로 제공하여 분석-모니터링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이다.

Description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Road monitoring device based on simultaneous object parallel recognition}
본 발명은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 내의 각 차량 객체가 실시간 추적되면서 특성정보(차종, 차량번호 등)가 병렬적으로 개별 인식되어 표시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차량이 고속이동하는 조건에서도 인식 누락없이 해당 도로영역에서의 다각적인 통행 차량정보를 높은 가시성으로 제공하여 분석-모니터링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정된 공간영역에 구축되어 있는 도로망에서 교통정체를 최소화하고, 합리적인 교통흐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교통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되면서 도로망 내 교통신호를 실시간 제어하는데 활용되거나, 행정인력에 의한 교통 관리나 통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 동안의 교통정보에 대한 수집/분석을 통해 도로망의 재구축과 신호체계의 개편을 도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통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위한 각종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5813호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번호 제10-1297321호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교통정보 수집/분석 관련기술은 한정된 도로영역에 대한 영상촬영을 통해 해당 도로영역을 통과하는 차량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종래기술의 경우 도로영역 내 차량 객체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차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임에 따라, 다수 차량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인식 누락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5813호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97321호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에 의해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 내의 각 차량 객체가 실시간 추적되면서 차량객체 특성정보가 병렬적으로 개별 추출되어 모니터유닛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차량이 고속이동하는 조건에서도 인식 누락없이 해당 도로영역에서의 다각적인 통행 차량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통행 차량정보가 계속해서 분석되고, 통행 차량정보가 차량의 화면프레임 내 이동과 연동되어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맞추어 출력됨으로써 도로영역 내 통행 차량정보를 높은 가시성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분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로영역(2)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연속 생성되는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영상정보(4)를 입력받는 영상정보 입력유닛(100);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고,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을 구비하여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차량 객체(51)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상기 차량 객체(51)에 연동시키는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 상기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객체(51)의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이 각 차량 객체(51)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고,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면서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이 할당된 차량 객체(51)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객체 특성검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411)을 구비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300); 상기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상기 차량 객체(51)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상기 차량 객체(51)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를 병렬적으로 개별 추적하면서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검출하되, 설정된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영상정보(4)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니터유닛(700); 상기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차량 객체(51)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상기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하게 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는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고,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을 구비하여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보행자 객체(52)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상기 보행자 객체(52)에 연동시키는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 상기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추출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하는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이 각 보행자 객체(52)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고,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면서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이 할당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보행자 객체(52)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는 보행자추적용 영상분석알고리즘(611)을 구비하는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500);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상기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상기 보행자 객체(52)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상기 보행자 객체(52)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되는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상기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의 각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로부터 보행자 추적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보행자 객체(52)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상기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서 상기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과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객체(5) 중 설정크기 이상의 객체(5)를 분석대상 객체(5a)로 선정하는 분석대상 객체 선정 서브알고리즘(211); 추출대상 객체 형상특성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추출대상 객체특성정보에 대응하는 형상특성을 갖는 분석대상 객체(5a)를 추출대상 객체(5b)로 선택하되, 상기 추출대상 객체(5b)는 차량 객체(51)와 보행자 객체(5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추출대상 객체 선택 서브알고리즘(2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서 상기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종 정보, 차량번호 정보, 차량 색상정보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차량객체 특성정보로 검출하되, 동영상 촬영지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차량 객체(51)의 차종 정보를 우선 검출한 다음 차량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번호 검출과정에서 미인식 문자 발생시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를 동시 생성하여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서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의해 개별 추적되는 차량 객체(51)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를 생성하고,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에서의 차량객체 위치변동과 차량객체 크기변동에 따라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의 위치와 크기를 변동시켜 출력하는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생성관리모듈(810);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전달되는 차종 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특성표기정보인 문자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와 연동되는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번호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 전달될 시 차량번호의 해당 문자 자리에 미인식기호를 표시하는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8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 의하면, 다수 차량이 고속이동하는 조건에서도 인식 누락없이 해당 도로영역에서의 다각적인 통행 차량정보가 정확하게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에 의하면, 도로영역 내 통행 차량정보가 높은 가시성으로 제공되는 한편, 분석오류가 최소화되면서 분석-모니터링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로영역에 대한 영상정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의 도로영역 동영상 촬영과 객체 추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과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과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과 보행자객체 추적유닛의 세부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유닛과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의 운용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1)는 도 1에서와 같이 영상정보 입력유닛(100),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300),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500),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 모니터유닛(700),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은 도로영역(2)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연속 생성되는 도 2와 같은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영상정보(4)를 입력받는 유닛이다. 영상정보(4)는 영상촬영장치(6), 영상정보 저장DB(7), 도로 관제서버(8)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차량통행로 영역(2a)과 보행로 영역(2b)으로 구분되어 있는 도로영역(2)에 대한 영상정보(4)를 입력받아 차량 객체(51)와 보행자 객체(52)를 각각 추출하게 된다.
차량통행로 영역(2a)에서 추출되는 차량 객체(51)는 통행 차량정보 분석에 이용될 수 있고, 보행로 영역(2b)에서 추출되는 차량 객체(51)는 주차 차량정보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로 영역(2b)에서 추출되는 보행자 객체(52)는 해당 도로영역(2)의 보행패턴 분석에 이용될 수 있고, 차량통행로 영역(2a)에서 추출되는 보행자 객체(52)는 보행자의 도로 횡단(무단 횡단, 정상 횡단) 패턴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은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는 유닛으로,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을 구비하여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차량 객체(51)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차량 객체(51)에 연동시키게 된다. 추적용 식별정보는 형상 특성정보, 중심 위치정보, 차량번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은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는 유닛으로,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을 구비하여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보행자 객체(52)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상기 보행자 객체(52)에 연동시키게 된다. 추적용 식별정보는 형상 특성정보, 중심 위치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과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은 도 4에서와 같이 분석대상 객체 선정 서브알고리즘(211)과 추출대상 객체 선택 서브알고리즘(2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분석대상 객체 선정 서브알고리즘(211)은 도 3에서와 같이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객체(5) 중 설정크기 이상의 객체(5)를 분석대상 객체(5a)로 선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추출대상 객체 선택 서브알고리즘(212)은 추출대상 객체 형상특성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고, 추출대상 객체특성정보에 대응하는 형상특성을 갖는 분석대상 객체(5a)를 도 3에서와 같이 추출대상 객체(5b)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추출대상 객체(5b)는 차량 객체(51)나 보행자 객체(52)가 된다.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300)은 도 5에서와 같이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객체(51)의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이 각 차량 객체(51)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는 한편,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유닛이다. 이를 통해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자신에게 할당된 차량 객체(51)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객체 특성검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411)을 구비한다.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은 도 5에서와 같이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차량 객체(51)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차량 객체(51)가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된다.
각각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를 병렬적으로 개별 추적하면서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검출하게 되는데, 설정된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 형태로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종 정보, 차량번호 정보, 차량 색상정보 등을 차량객체 특성정보로 검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동영상 촬영지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차량 객체(51)의 차종 정보를 우선 검출한 다음 차량번호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도 7에서와 같이 차량번호 검출과정에서 미인식 문자 발생시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를 동시 생성하여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로 전달한다.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500)은 도 6에서와 같이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추출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하는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이 각 보행자 객체(52)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는 한편,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유닛이다. 이를 통해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자신에게 할당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보행자 객체(52)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는 보행자추적용 영상분석알고리즘(611)을 구비한다.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은 도 6에서와 같이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보행자 객체(52)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보행자 객체(52)가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된다.
각각의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보행자 객체(52)를 병렬적으로 개별 추적하면서 보행자객체 추적정보를 검출하게 되는데, 설정된 추적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보행자객체 추적정보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 형태로 검출하게 된다.
모니터유닛(700)은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영상정보(4)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유닛이다.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고,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차량 객체(51)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하는 유닛이다. 또한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의 각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로부터 보행자 추적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고,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보행자 객체(52)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도 7에서와 같이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생성관리모듈(810)과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8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생성관리모듈(810)은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의해 개별 추적되는 차량 객체(51)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를 생성하고,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에서의 차량객체 위치변동과 차량객체 크기변동에 따라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의 위치와 크기를 변동시켜 도 7에서와 같이 출력하는 모듈이다.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820)은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전달되는 차종 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특성표기정보인 문자정보로 변환하고,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와 연동되는 위치에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표시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820)은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번호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 전달될 시 차량번호의 해당 문자 자리에 미인식기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미인식기호로 "?"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1)는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300),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에 의해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의 각 차량 객체(51)가 실시간 추적되면서 차량객체 특성정보가 병렬적으로 개별 추출되어 모니터유닛(70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므로, 다수 차량이 고속이동하는 조건에서도 인식 누락없이 해당 도로영역에서의 다각적인 통행 차량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1)는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통행 차량정보가 계속해서 분석되고, 통행 차량정보가 차량의 화면프레임 내 이동과 연동되어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맞추어 출력되므로, 도로영역 내 통행 차량정보를 높은 가시성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분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2 : 도로영역
2a : 차량통행로 영역
2b : 보행로 영역
3 :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
4 : 영상정보
5 : 객체
5a : 분석대상 객체
5b : 추출대상 객체
51 : 차량 객체
52 : 보행자 객체
6 : 영상촬영장치
7 : 영상정보 저장DB
8 : 도로 관제서버
100 : 영상정보 입력유닛
200a :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
200b :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
210a :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
210b : 보행자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
211 : 분석대상 객체 선정 서브알고리즘
212 : 추출대상 객체 선택 서브알고리즘
300 :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
400 :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
410 :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411 : 차량객체 특성검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
500 :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
600 : 보행자객체 추적유닛
610 :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611 : 보행자추적용 영상분석알고리즘
700 : 모니터유닛
800 :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
810 :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생성관리모듈
820 :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
830 :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Claims (5)

  1. 도로영역(2)에 대한 동영상 촬영으로 연속 생성되는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영상정보(4)를 입력받는 영상정보 입력유닛(100);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고,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을 구비하여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차량 객체(51)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상기 차량 객체(51)에 연동시키는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
    상기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객체(51)의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이 각 차량 객체(51)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고,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면서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이 할당된 차량 객체(51)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에 대한 특성분석을 수행하는 차량객체 특성검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411)을 구비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300);
    상기 도로 차량객체 추출유닛(200a)으로부터 상기 차량 객체(51)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상기 차량 객체(51)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되는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량 객체(51)를 병렬적으로 개별 추적하면서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검출하되, 설정된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따라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검출하는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영상정보(4)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니터유닛(700);
    상기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객체 특성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차량 객체(51)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상기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하게 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입력유닛(100)으로부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을 전달받게 되고,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을 구비하여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보행자 객체(52)를 실시간 추출한 후, 추적용 식별정보를 상기 보행자 객체(52)에 연동시키는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
    상기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추출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하는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이 각 보행자 객체(52)에 병렬적으로 개별 할당되고,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에 추적용 식별정보가 입력되면서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이 할당된 보행자 객체(52)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보행자 객체(52)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는 보행자추적용 영상분석알고리즘(611)을 구비하는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 할당유닛(500);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은 상기 도로 보행자객체 추출유닛(200b)으로부터 상기 보행자 객체(52)가 추출되는 시점에 생성되고, 상기 보행자 객체(52)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으로부터 사라지는 시점에 소멸되는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상기 보행자객체 추적유닛(600)의 각 보행자추적 단위분석모듈(610)로부터 보행자 추적정보를 전달받아 특성표기정보로 변환하게 되고, 상기 모니터유닛(7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보행자 객체(52)에 연동되는 특성표기정보를 상기 특성정보 검출주기에 대응하는 특성표기정보 출력주기에 따라 출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a)과 보행자객체 추출용 영상분석알고리즘(210b)은,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의 객체(5) 중 설정크기 이상의 객체(5)를 분석대상 객체(5a)로 선정하는 분석대상 객체 선정 서브알고리즘(211);
    추출대상 객체 형상특성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고, 상기 추출대상 객체 형상특성정보에 대응하는 형상특성을 갖는 분석대상 객체(5a)를 추출대상 객체(5b)로 선택하되, 상기 추출대상 객체(5b)는 차량 객체(51)와 보행자 객체(5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추출대상 객체 선택 서브알고리즘(21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객체 특성검출유닛(400)의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은,
    차종 정보, 차량번호 정보, 차량 색상정보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차량객체 특성정보로 검출하되,
    동영상 촬영지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차량 객체(51)의 차종 정보를 우선 검출한 다음 차량번호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번호 검출과정에서 미인식 문자 발생시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를 동시 생성하여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표기정보 출력유닛(800)은,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에 의해 개별 추적되는 차량 객체(51)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를 생성하고,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 내부에서의 차량객체 위치변동과 차량객체 크기변동에 따라 상기 도로영역 동영상 화면프레임(3)의 위치와 크기를 변동시켜 출력하는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 생성관리모듈(810);
    각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전달되는 차종 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특성표기정보인 문자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객체식별용 박스 표시체(830)와 연동되는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차량특성 단위분석모듈(410)로부터 차량번호 미인식 신호와 해당 문자자리정보가 전달될 시 차량번호의 해당 문자 자리에 미인식기호를 표시하는 특성표기정보 생성관리모듈(8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KR1020200078330A 2020-06-26 2020-06-26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KR10232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30A KR102322909B1 (ko) 2020-06-26 2020-06-26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30A KR102322909B1 (ko) 2020-06-26 2020-06-26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909B1 true KR102322909B1 (ko) 2021-11-04

Family

ID=7852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30A KR102322909B1 (ko) 2020-06-26 2020-06-26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9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748A (ko) * 2007-12-28 2009-07-02 백상호 카메라(Camera)를 이용한 다 차선 / 다 차량의 번호판 인식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9914A (ko) * 2010-12-21 2012-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나이트 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78878B1 (ko) * 2012-04-06 2012-08-31 주식회사 사라다 객체인식 및 정황 동영상 검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7321B1 (ko)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101995813B1 (ko) 2018-12-31 2019-07-03 렉스젠(주)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1829B1 (ko) * 2019-05-31 2020-01-08 임철규 차량번호 인식을 통한 빅데이터 예측뷰포트 다중해상도 영상전송 기반의 스마트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748A (ko) * 2007-12-28 2009-07-02 백상호 카메라(Camera)를 이용한 다 차선 / 다 차량의 번호판 인식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9914A (ko) * 2010-12-21 2012-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나이트 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78878B1 (ko) * 2012-04-06 2012-08-31 주식회사 사라다 객체인식 및 정황 동영상 검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7321B1 (ko)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101995813B1 (ko) 2018-12-31 2019-07-03 렉스젠(주)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1829B1 (ko) * 2019-05-31 2020-01-08 임철규 차량번호 인식을 통한 빅데이터 예측뷰포트 다중해상도 영상전송 기반의 스마트 교통정보 수집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교통관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Tournemire et al. A large scale event-based detection dataset for automotive
EP2659456B1 (en) Scene activity analysis using statistical and semantic feature learnt from object trajectory data
CN106875424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城市环境行驶车辆行为识别方法
EP2297701B1 (de) Videoanalyse
Gavrila et al. Vision-based pedestrian detection: The protector system
CN101107637B (zh) 行列监视系统和方法
CN101587622B (zh) 基于视频图像智能分析的森林烟火检测与识别方法及设备
US200900603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events during motion actions
KR20200071799A (ko)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객체인식 및 카운팅 방법
CN107845264A (zh) 一种基于视频监控的交通量采集系统及方法
Battiato et al. On-board monitoring system for road traffic safety analysis
CN104378582A (zh) 一种基于ptz摄像机巡航的智能视频分析系统及方法
Piciarelli et al. Surveillance-oriented event detection in video streams
CN112613361B (zh) 一种安防监控用的智能化行为分析系统
Gao et al. Goal-oriented object importance estimation in on-road driving videos
CN115861383B (zh) 一种拥挤空间下多信息融合的行人轨迹预测装置及方法
CN107241572A (zh) 学员实训视频追踪评价系统
WO2019043406A1 (en) DETECTION OF ANOMALY FROM VIDEO DATA FROM SURVEILLANCE CAMERAS
Tomar et al. Crowd analysis in video surveillance: A review
CN111860457A (zh) 一种斗殴行为识别预警方法及其识别预警系统
KR102322909B1 (ko) 객체 동시 병렬인식 기반 도로 모니터링장치
CN108182807A (zh) 一种车辆识别器的生成方法
CN109086717B (zh) 基于人体骨架和运动信号特征的暴力行为检测系统及方法
Azevedo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ple YOLO-based target detectors and trackers for ADAS in edge devices
Tran et al. UIT-ADrone: A Novel Drone Dataset for Traffic Anomaly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