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868B1 -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 Google Patents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868B1
KR102322868B1 KR1020210058483A KR20210058483A KR102322868B1 KR 102322868 B1 KR102322868 B1 KR 102322868B1 KR 1020210058483 A KR1020210058483 A KR 1020210058483A KR 20210058483 A KR20210058483 A KR 20210058483A KR 102322868 B1 KR102322868 B1 KR 10232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ueling
unit
tank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규
Original Assignee
김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규 filed Critical 김명규
Priority to KR102021005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탱크를 구비한 트레일러와 주유기를 구비한 트레일러를 2개 1조로 구성하고, 각각의 트레일러를 견인용 차량과 연결하여 공사현장으로 이동한 후 주유가 필요한 공사용 차량에 정품, 정량의 유류를 공급되게함으로써, 공사용 차량이 주유소로 이동하는 불필요한 운행이 방지되어 공사기간을 적극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공사용 차량에 잔류한 공사현장 오염물로 인해 도로가 훼손되지 않으면서 공차 운행에 의한 매연이 적극 감소되는 등 기능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주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급유 시스템은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차량에 유류를 공급되게 하는 복수의 급유기(11) 및 급유기 제어를 위한 사무용 부스(12)로 이루어지는 주유부(10);와, 또 다른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어 대량의 유류를 저장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와 연결되어 유류를 공급하는 탱크부(20);로 구성되고, 상기 주유부(10)와 탱크부(20)는 각각의 이동수단에 의해 공사현장으로 견인되어 설정기간 거치되는 구성이며, 상기 급유 시스템을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으로는 상기 탱크부(20)에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단계(S10);와, 상기 탱크부와 주유부(10)에 각각 이동수단을 연결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는 급유기이송단계(S20);와, 목적지에 도착한 탱크부와 주유부에 아우트리거(30)를 작동시켜 불규칙한 지면 상에서 수평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는 급유기설치단계(S30);와, 탱크부의 관체(22)를 주유부의 급유기와 연결하고, 사무용 부스(12)를 통해 급유기의 급유 조건 설정과 탱크부의 유류 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급유기세팅단계(S40);와, 급유로 인해 저장된 유류 부족 시 급유기로부터 관체를 해제하고 이동수단에 의해 주유소로 복귀하여 유류 보충 후 다시 급유기이송단계(S20) 내지 급유기세팅단계(S40)를 반복하는 유류보충단계(S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Mobile oil system and oil supply method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주유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급유 서비스를 제공되게 하는 이동식 급유 시스템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탱크를 구비한 트레일러와 주유기를 구비한 트레일러를 2개 1조로 구성하고, 각각의 트레일러를 견인용 차량과 연결하여 공사현장으로 이동한 후 주유가 필요한 공사용 차량에 정품, 정량의 유류를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사용 차량이 주유소로 이동하는 불필요한 운행이 방지되어 공사기간을 적극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공사용 차량에 잔류한 공사현장 오염물로 인해 도로가 훼손되지 않으면서 공차 운행에 의한 매연이 적극 감소되는 등 기능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주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석유, 프로판가스, 화학 약품 따위의 액체나 기체를 대량으로 실어 나를 수 있는 탱크를 갖춘 차량을 탱크로리(Tank lorry)라고 하며, 이러한 탱크로리는 유류를 저장하는 공간의 크기와 유류를 주입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 제공되고 있다.
상기 탱크로리와 관련된 기술사례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0323073호 "홈로리 차량의 원격 제어 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원격제어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주제어기를 주유기에 부착하고, 원격제어기에서 무선 송출된 급유량 설정명령 또는 급유명령이 주제어기에 의해 수신되면 주제어기의 마이컴 주유기의 키입력부를 통해 해당 명령을 입력한 경우와 동일한 키값으로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여 주유기의 제어부로 인가하고, 주유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급유량에 관련된 신호가 인가되면 주제어기의 마이컴이 이를 원격제어기로 무선 송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포트를 구비하지 못한 주유기가 장착된 홈로리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연료를 소비자 댁내에 설치된 연료탱크로 급유하고, 연료탱크로 공급된 급유량을 원격제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한명의 작업자로도 급유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상기 탱크로리와 관련된 기술사례 중 다른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특0141812호 "홈로리용 주유기의 유량 측정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유류의 토출되는 호스의 단부와 노즐 사이에 유량측정기가 설치되며, 상기 유량측정기는 주유기의 연산·제어부와 연결하여 주유기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펄스신호로 바꾸어 주유기의 연산·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측정된 유류의 양과 실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유류의 양 사이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홈로리를 포함한 탱크로리는 쉽게 이동하여 신속하게 주유하고 복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매자가 유류의 품질과 급유량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일부 주유소 관계자들이 저품질의 석유를 실어 팔거나 또는 주유 계기판을 조작하여 주유량을 속이는 등 불법적인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편, 홈로리는 가정에 연료를 공급하는 용도 내지 도로 주행 중 연료를 모두 소진하여 주유소로 이동이 불가한 차량에 대해 연료를 공급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그 외에 공사현장에 방문하여 공사용 차량에 급유를 하는 행위는 정품, 정량의 문제와 안전상의 문제를 포함하여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주유기를 이동하는 방식이 아닌, 주유소 자체가 이동되는 구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급유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사 현장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유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23073호 "홈로리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 등록특허공보 특0141812호 "홈로리용 주유기의 유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정품, 정량의 문제와 안전상의 이유로 공사현장에 급유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던 기존의 탱크로리의 구조를 적극 개선함으로써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공사현장 내 공사용 차량에 급유가 가능한 이동식 급유장치와 이를 이용한 급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현장과 같이 지면이 불규칙한 장소에서도 신속 간편하며 안정적으로 이동 및 설치되어 안전이 적극 확보된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급유 시스템은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차량에 유류를 공급되게 하는 복수의 급유기(11) 및 급유기 제어를 위한 사무용 부스(12)로 이루어지는 주유부(10);와, 또 다른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어 대량의 유류를 저장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와 연결되어 유류를 공급하는 탱크부(20);로 구성되고, 상기 주유부(10)와 탱크부(20)는 각각의 이동수단에 의해 공사현장으로 견인되어 설정기간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트랙터 또는 견인차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유부(10)는 발전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전기는 케이블을 통해 급유기 또는 사무용 부스(12)와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유부(10)는 복수의 작업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등은 발전기에 의해 빛이 발산되어 야간 급유가 도모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유부(10)와 탱크부(20)는 각각 아우트리거(30)가 구비되어 불규칙한 지형에서도 수평 설치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탱크부(20)는 급유기(11)와 연결되어 유류의 공급경로를 안내하는 관체(22)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철제와이어가 피복되어 유류가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저감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유 시스템을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으로는 상기 탱크부(20)에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단계(S10);와, 상기 탱크부와 주유부(10)에 각각 이동수단을 연결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는 급유기이송단계(S20);와, 목적지에 도착한 탱크부와 주유부에 아우트리거(30)를 작동시켜 불규칙한 지면 상에서 수평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는 급유기설치단계(S30);와, 탱크부의 관체(22)를 주유부의 급유기와 연결하고, 사무용 부스(12)를 통해 급유기의 급유 조건 설정과 탱크부의 유류 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급유기세팅단계(S40);와, 급유로 인해 저장된 유류 부족 시 급유기로부터 관체를 해제하고 이동수단에 의해 주유소로 복귀하여 유류 보충 후 다시 급유기이송단계(S20) 내지 급유기세팅단계(S40)를 반복하는 유류보충단계(S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유류를 싣고 공사현장으로 이동하여 공사용 차량에 급유하는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던 기존의 홈로리 급유시스템과는 달리, 공공기관으로부터 정품, 정량의 검침이 완료된 오일탱크와 급유기 및 급유기 제어부를 트레일러에 일체화 구비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공사용 차량에 급유가 가능하여짐에 따라 공사용 차량이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공사현장 외부로 운행하는 과정이 배제되어 공사기간을 적극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용 차량이 공사현장 외부로 운행하면서 흙먼지를 일으키거나 매연을 유발하는 등 도로 환경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급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주유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탱크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주유부와 탱크부의 결합 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공사현장 급유방법을 단계별로 순차 나열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주유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급유 서비스를 제공되게 하는 이동식 급유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유류탱크를 구비한 트레일러와 주유기를 구비한 트레일러를 2개 1조로 구성하고, 각각의 트레일러를 견인용 차량과 연결하여 공사현장으로 이동한 후 주유가 필요한 공사용 차량에 정품, 정량의 유류를 공급되게함으로써, 공사용 차량이 주유소로 이동하는 불필요한 운행이 방지되어 공사기간을 적극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공사용 차량에 잔류한 공사현장 오염물로 인해 도로가 훼손되지 않으면서 공차 운행에 의한 매연이 적극 감소되는 등 기능성과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광범위한 주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급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급유장치는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차량에 유류를 공급되게 하는 복수의 급유기(11) 및 급유기 제어를 위한 사무용 부스(12)로 이루어지는 주유부(10);와, 또 다른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어 대량의 유류를 저장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와 연결되어 유류를 공급하는 탱크부(20);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트레일러는 이동수단의 후미에 결합되어 견인이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 이동수단에 이끌려 소정의 목적지인 공사현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이동수단은 트랙터와 견인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제안하는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수준의 모든 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주유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주유부(10)는 급유기(11)를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써, 이동수단과 결합하여 견인되어지는 트레일러(A)와, 트레일러 상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유기(11)와, 급유기의 주유 조건을 제어하고 작업자의 사무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사무용 부스(12)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일러(A)는 선단에 이동수단과 결합 가능한 구조를 보유하면서, 상단에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의 급유기(11)와 사무용 부스(12)를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양측으로는 급유기와 사무용 부스를 충분히 지지하면서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유연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복수의 차륜이 장착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일러(A)는 프레임 양측에 각 2개소씩 총 4개소의 아우트리거(30)가 구비되어 공사현장에서도 트레일러의 안정감있는 주차 내지 거치가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급유기(11)는 흔히 주유소에서 사용되는 형태로써 트레일러(A)의 상단에서 수직 입설 설치되며, 아래 후술할 탱크부(20)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유류를 공급받는 바디(11a)와, 바디의 측부에 마련되어 차량에 유류를 급유되게 하는 주유건(11b)과, 바디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며 급유량이 실시간 수치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급유 상태를 파악 유도되게 하는 계기판(11c)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트레일러(A) 상에 급유기(11)를 2개소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단순 실시 예일 뿐, 트레일러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상기 사무용 부스(12)는 급유기(11)와 마찬가지로 트레일러(A)의 상단에서 수직 입설 설치되며, 사용자가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과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구분되게 하는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사방은 유리창이 마련되어 내부에서도 외부 상황을 인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급유기(1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가 마련될 경우 제어부는 전기 케이블에 의해 급유기(11)와 연결되고, 제어부의 작동에 기인하여 급유기의 전원을 관리하거나, 급유기의 주유 공급량을 관리하거나, 아래 후술할 탱크부(20)의 유류 잔류량을 관리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유부(10)는 급유기(11)와 사무용 부스(12)에 설치된 제어부 및 트레일러에 구비된 아우트리거(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발전기(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제어부와 전기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급유기와 아우트리거를 일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탱크부의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탱크부(20)는 오일탱크(21)를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써, 이동수단과 결합하여 견인되어지는 트레일러(A)와, 트레일러 상단에 설치되는 유류 보관용 오일탱크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일러(A)는 주유부(10)의 트레일러와 마찬가지로 선단에 이동수단과 결합 가능한 구조를 보유하면서, 상단에는 오일탱크(21)를 설치할 수 있는 면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양측으로는 오일탱크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면서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유연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복수의 차륜이 장착된 구성이다. 또한, 주유부(10)의 트레일러(A)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양측에 각 2개소씩 총 4개소의 아우트리거(30)가 구비되어 공사현장에서도 트레일러의 안정감있는 주차 내지 거치가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탱크부(20)는 소방서에서 허가받은 오일탱크(21)를 설치하며, 용량은 대체로 32,000리터를 기준으로 하고, 재고를 4,000리터 이하로 하여 입고를 28,000리터로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탱크(21)는 관체(22)에 의해 주유부(10)의 급유기(11)와 연결되며, 오일탱크에 담수된 유류는 관체의 안내를 받아 급유기로 공급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관체(22)는 잠금밸브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유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체(22)는 양단에 철제와이어가 피복되어 탄성력을 발휘하고, 이러한 탄성 기능 발휘는 유류가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적극 저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급유장치는 야간에도 수월하게 주유할 수 있도록 작업등(도면 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작업등은 사무용 부스(12) 내부와, 각 급유기(11) 상단 및 오일탱크(21)에 각 설치되고, 선택에 따라 트레일러(A)의 프레임에 기설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등은 발전기 또는 제어부와 전기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으면서 제어부를 통해 전원이 일괄 제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공사현장 급유방법을 단계별로 순차 나열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공사현장 급유방법은 탱크부(20)에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단계(S10);와, 주유부(10)와 탱크부에 각각 이동수단을 연결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급유기이송단계(S20);와, 목적지에 도착한 탱크부와 주유부에 아우트리거(30)를 작동시켜 불규칙한 지면 상에서 수평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는 급유기설치단계(S30);와, 탱크부의 관체(22)를 주유부의 급유기와 연결하고, 사무용 부스(12)를 통해 급유기의 급유 조건 설정과 탱크부의 유류 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급유기세팅단계(S40);와, 급유로 인해 저장된 유류 부족 시 급유기로부터 관체를 해제하고 이동수단에 의해 주유소로 복귀하여 유류 보충 후 다시 급유기이송단계(S20) 내지 급유기세팅단계(S40)를 반복하는 유류보충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유류저장단계(S10)는 탱크부(20)의 오일탱크(21)에 유류를 충전하는 단계로써 32,000리터 기준의 오일탱크에 재고를 4,000리터 이하로 하여 입고를 28,000리터로 충전한다.
상기 급유기이송단계(S20)는 주유부(10)와 탱크부(20)에 각각 이동수단을 결합하는 이동수단 결합단계(S21)와, 이동수단을 각 운전하여 주유부와 탱크부를 요청된 목적지로 운반하는 목적지 이동단계(S22)로 구분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동수단은 트랙터와 견인차로 구성되며, 유류가 저장되어 어느정도 무게가 있는 탱크부(20)는 고마력의 트랙터로 견인하고, 탱크부에 비해 다소 무게가 가벼운 주유부(10)는 견인차로 견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수준의 모든 차량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상기 급유기설치단계(S30)는 공사현장에서 공사용 차량에 급유하기 용이한 장소를 선택하는 설치장소 선정단계(S31)와, 선정된 장소의 불규칙한 지면을 평탄화하는 지면 평탄화단계(S32)와, 평탄화된 지면에 주유부(10)와 탱크부(20)를 각 주차하고 아우트리거를 작동시켜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균형 유지단계(S3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급유기세팅단계(S40)는 사무용 부스(12)로 진입하여 제어부를 조작하는 단계로써 전기케이블을 이용하여 발전기와 제어부를 연결하고, 제어부와 급유기(11), 아우트리거(30), 작업등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단계(S41)와, 급유기의 전원을 오픈하고 급유기의 주유 조건을 설정하는 급유기 설정단계(S42)와, 낮과 밤의 시간에 따라 작업등이 자동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작업등 설정단계(S43)와, 오일탱크(21)의 유류 잔량을 파악하는 유류잔량 파악단계(S44)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유류보충단계(S50)는 오일탱크(21)의 유류 잔량이 고갈될 경우 탱크부(20)의 트레일러를 이동수단과 결합한 후 아우트리거(30)를 해제하고, 주유소로 이동하여 부족한 유류를 보충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류보충단계(S50)는 급유기이송단계(S20) 내지 급유기세팅단계(S40)를 재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유류를 싣고 공사현장으로 이동하여 공사용 차량에 급유하는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던 기존의 홈로리 급유시스템과는 달리, 공공기관으로부터 정품, 정량의 검침이 완료된 오일탱크와 급유기 및 급유기 제어부를 트레일러에 일체화 구비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공사용 차량에 급유가 가능하여짐에 따라 공사용 차량이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공사현장 외부로 운행하는 과정이 배제되어 공사기간을 적극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용 차량이 공사현장 외부로 운행하면서 흙먼지를 일으키거나 매연을 유발하는 등 도로 환경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주유부 11. 급유기
12. 사무용 부스 20. 탱크부
21. 오일탱크 22. 관체
30. 아우트리거 A. 트레일러
S10. 유류저장단계 S20. 급유기이송단계
S30. 급유기설치단계 S40. 급유기세팅단계
S50. 유류보충단계

Claims (7)

  1.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차량에 유류를 공급되게 하는 복수의 급유기(11) 및 급유기 제어를 위한 사무용 부스(12)로 이루어지는 주유부(10);와, 또 다른 트레일러에 일체로 구비되어 대량의 유류를 저장하며 선택적으로 주유기와 연결되어 유류를 공급하는 탱크부(20);로 구성되는 급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부(10)와 탱크부(20)는 각각의 이동수단에 의해 공사현장으로 견인되어 설정기간 거치되고,
    상기 주유부(10)는 발전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발전기는 케이블을 통해 급유기 또는 사무용 부스(12)와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부(10)는 복수의 작업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등은 발전기에 의해 빛이 발산되어 야간 급유가 도모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부(10)와 탱크부(20)는 각각 아우트리거(30)가 구비되어 불규칙한 지형에서도 수평 설치가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20)는 급유기(11)와 연결되어 유류의 공급경로를 안내하는 관체(22)를 포함하고,
    상기 관체는 철제와이어가 피복되어 유류가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 저감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7. 제1항의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을 이용하는 급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20)에 유류를 저장하는 유류저장단계(S10);
    상기 탱크부와 상기 주유부(10)에 각각 이동수단을 연결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는 급유기이송단계(S20);
    목적지에 도착한 탱크부와 주유부에 아우트리거(30)를 작동시켜 불규칙한 지면 상에서 수평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하는 급유기설치단계(S30);
    탱크부의 관체(22)를 주유부의 급유기와 연결하고, 사무용 부스(12)를 통해 급유기의 급유 조건 설정과 탱크부의 유류 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급유기세팅단계(S40);
    급유로 인해 저장된 유류 부족 시 급유기로부터 관체를 해제하고 이동수단에 의해 주유소로 복귀하여 유류 보충 후 다시 급유기이송단계(S20) 내지 급유기세팅단계(S40)를 반복하는 유류보충단계(S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방법.
KR1020210058483A 2021-05-06 2021-05-06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KR10232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83A KR102322868B1 (ko) 2021-05-06 2021-05-06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83A KR102322868B1 (ko) 2021-05-06 2021-05-06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868B1 true KR102322868B1 (ko) 2021-11-05

Family

ID=7850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83A KR102322868B1 (ko) 2021-05-06 2021-05-06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448A (ja) * 1996-02-22 1997-09-02 Showa Kiki Kogyo Kk ガソリン運搬・荷卸し車
KR0141812B1 (ko) 1994-05-12 1998-07-15 이종수 홈로리용 주유기의 유량 측정장치
KR100323073B1 (ko) 1999-12-15 2002-02-09 조용화 홈로리 차량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70007707A (ko) * 2006-03-28 2007-01-16 정달호 휴대용 주유 장치
JP2009236270A (ja) * 2008-03-28 2009-10-15 Sinanen Co Ltd 水素供給ステーションおよび水素供給方法
KR101869659B1 (ko) * 2017-09-19 2018-06-20 티피시스템(주) 이동형 유압 주유기, 그리고 이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812B1 (ko) 1994-05-12 1998-07-15 이종수 홈로리용 주유기의 유량 측정장치
JPH09226448A (ja) * 1996-02-22 1997-09-02 Showa Kiki Kogyo Kk ガソリン運搬・荷卸し車
KR100323073B1 (ko) 1999-12-15 2002-02-09 조용화 홈로리 차량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70007707A (ko) * 2006-03-28 2007-01-16 정달호 휴대용 주유 장치
JP2009236270A (ja) * 2008-03-28 2009-10-15 Sinanen Co Ltd 水素供給ステーションおよび水素供給方法
KR101869659B1 (ko) * 2017-09-19 2018-06-20 티피시스템(주) 이동형 유압 주유기, 그리고 이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4955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for fluid dispensing
US10661651B2 (en) CNG fuel system for a vehicle
US5983962A (en) Motor fuel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812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ueling multiple vehicles
US6279612B1 (en) Auxiliary propane fuel tank system for vehicles
TR201815857T4 (tr) Mobil yakıt dağıtım istasyonu.
US20150291133A1 (en) Mobile system for replacing removable fuel tanks
KR102322868B1 (ko) 유류 지원용 이동식 급유장치를 이용한 공사현장 급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사용 차량 급유방법
CN208069508U (zh) 燃料加注车
CA3052170C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having onboard fluid storage tank
US10442676B1 (en) Mobile auxiliary distribution station
US20140261856A1 (en) Mobile Self-Service Credit Card-Based Fueling Metering Platform and Method
CN207684873U (zh) 车辆、自动加油装置
CN110857131A (zh) 具有卫星天线的移动分配站
CN108100981A (zh) 车辆、自动加油方法和装置
CN212609528U (zh) 可跨越车道加油的加油机及加油站
RU101677U1 (ru) Мобильный топливозаправочный пункт
CN209977696U (zh) 一种用于汽车的天然气加注装置
CA3021326C (en) Mobile auxiliary distribution station
CN220642589U (zh) 一种移动式发油设备
US20230116006A1 (en) Hydrogen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US11305979B2 (en) Automatic fueling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 fracturing equipment
CN220546749U (zh) 一种土石方车载环保防扬尘装置
JP3195111U (ja) フルトレーラ
JP4016872B2 (ja) 懸垂式セルフ給油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