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493B1 -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493B1
KR102322493B1 KR1020190179623A KR20190179623A KR102322493B1 KR 102322493 B1 KR102322493 B1 KR 102322493B1 KR 1020190179623 A KR1020190179623 A KR 1020190179623A KR 20190179623 A KR20190179623 A KR 20190179623A KR 102322493 B1 KR102322493 B1 KR 10232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p cover
gasket
seating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991A (ko
Inventor
사광욱
정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991A/ko
Priority to KR1020210139427A priority patent/KR102450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ket Se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탑커버;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방수성을 제공하는 가스켓;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에 동시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 시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방수성을 강화하고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션블록{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자동차 등에 구비되어 다수의 전기 장치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정션블록은 자동차의 엔진 룸과 탑승 공간인 차 실내에 설치되는 각 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분배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차에는 차종에 따라 선택되는 옵션 등에 의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략 수십 개의 릴레이와 십여 개의 퓨즈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릴레이 및 퓨즈를 분산시켜 배치하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한 곳에 집적시키기 위해 정션블록 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최근 탄소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보존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록하여 전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에 보급이 활발해지는 추세이며,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하여 고저압 정션블록이 설치된다.
다만, 정션블록으로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다양한 전장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적은 양의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 및 화재 등의 2차 사고로 확대되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수성을 강화하여 보다 향상된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는 정션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은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탑커버;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방수성을 제공하는 가스켓; 및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에 동시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 시 상기 가스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가 접하는 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가 접하는 면을 따라 형성된 메인루프부와, 상기 메인루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조루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탑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따라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설치홈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탑커버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면에는 수분의 유입 경로를 연장시키는 방수립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립은 상기 밀착면을 따라 이격되어 연속 형성되는 제1 방수립과, 상기 관통홀을 감싸는 고리 형상의 제2 방수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방수립은 상기 보조루프부에서 양 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2 방수립의 외측 반원과 상기 제2 방수립의 내측 반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은 가스켓을 안착면의 가운데에 설치하고, 체결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탑커버의 가압력을 균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가압력의 편등 분배에 의한 탑커버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 방수력이 향상된다.
또한 탑커버가 밀착되는 가스켓의 밀착면에는 돌출되어 방수립이 형성되어 탑커버와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수분의 이동 경로를 차단 및 연장시켜 방수력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가스켓은 체결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조루프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형성된 부분에서 수분을 2중 방수하여 방수력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탑커버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스켓의 보조루프부의 확대 사시도 및 3-3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하우징에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일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확대도에 탑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 투시도.
도 7은 도 1의 Ⅶ-Ⅶ 방향 단면도에 수분 유입 경로를 표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정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탑커버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스켓의 보조루프부의 확대 사시도 및 3-3 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우징에 가스켓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일부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확대도에 탑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 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Ⅶ-Ⅶ 방향 단면도에 수분 유입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션블록(10)은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메인바디(100), 상기 메인바디(100)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탑커버(200),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방수성을 제공하는 가스켓(300) 및 상기 메인바디(100)와 상기 탑커버(200)에 동시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체결 시 상기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바디(100)는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110)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되어 다양한 부품으로 전원을 분배 및 공급한다.
안착부(120)는 수용공간(110)의 개방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탑커버(200)가 안착 고정된다. 이때 일실시 예의 안착부(120)는 유입되는 수분의 유입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일 측에서 돌출되어 양 측으로 형성되는 다단부(121)와, 가스켓(300)이 설치되는 설치홈(122)과,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체결홈(123)이 형성된다.
다단부(121)는 안착부(120)의 중앙부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며 돌출된 제1 안착면(1211)과, 제1 안착면(1211)의 양측에서 왕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왕곡면(1212)에 의해 양 측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단을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따라서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의 이동 경로를 현저히 연장시켜 유입되는 수분을 최소화한다.
설치홈(122)은 가스켓(3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고, 안착부(120)의 상측면에 요입 형성되어 가스켓(300)이 끼움 결합된다. 이때 설치홈(122)의 깊이는 가스켓(30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가스켓(300)의 상측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스켓(300)과 탑커버(200)의 안정적인 밀착을 위해 제1 안착면(12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홈(123)은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홈으로 하부에서 체결부재(400)가 설치된 부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측이 폐쇄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재(400)는 보조루프부(320)에 가압력을 균일하게 분사시키기 위하여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체결홈(123)은 제1 안착면(12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커버(200)는 수용공간(110)의 개방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전장부품을 일차적으로 보호한고, 외주면을 따라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메인바디(100)에 고정된다.
결합부(210)는 탑커버(200)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 넓이를 가지며, 안착부(120)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실시 예의 결합부(210)는 안착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말단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211)와, 커버부(211)에서 연장되어 다단부(121)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왕곡부(212)로 형성된다.
커버부(211)는 메인바디(100)의 외주면의 말단 즉, 외측으로 형성된 안착부(120)의 말단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정션블록(10)의 상부 또는 측면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왕곡부(212)는 커버부(211)와 연결되고, 제1 안착면(1211)과 접하는 제2 안착면(2121)과 제2 안착면(2121)의 양측에서 왕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제1 왕곡면(121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왕곡면(212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왕곡면(1212)과 제2 왕곡면(2122)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보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 안착면(2121)에는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체결홀(2123)이 형성되고, 체결부재(40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안착면(2121)은 가스켓(300)의 밀착면(330)과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에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안착부(120)와 결합부(21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이동하는 경로를 연장시키고, 제1,2 왕곡면이 요철구조의 양 측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으로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가스켓(300)은 수용공간(110)의 둘레를 따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메인루프부(310)와 메인루프부(310)에서 연장되고 관통홀(321)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조루프부(320)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수용공간(110)의 방수성이 강화된다.
이때 가스켓(300)은 안착부(120)에 형성된 설치홈(122)에 끼움 결합되되, 상측으로 형성된 밀착면(330)이 설치홈(12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탑커버(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부(210)와 밀착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켓(300)은 탑커버(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끼움 결합될수 있으며, 가스켓(300)이 결합부(21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밀착면(330)은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20)에 밀착된다.
여기서 밀착면(330)은 가스켓(300)이 설치홈(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메인바디(100)에 탑커버(200)가 고정되는 경우 결합부(210)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으로 방지한다. 이때 수분 유입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밀착면(330)에는 방수립(331)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루프부(310)는 안착부(120)를 따라 연장되는 띠로 형성되되, 양 말단이 연결되어 수용공간(110)을 감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 사이 간극을 감소시킨다. 이때 메인루프부(310)에는 체결부재(4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의 관통홀(321)이 형성되며, 관통홀(321)을 감싸도록 메인루프부(310)에서 연장되는 보조루프부(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루프부(320)는 복수의 관통홀(321)을 각각 감쌀 수 있도록 메인루프부(310)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며, 체결홈(123)을 관통한 체결부재(400)가 체결홈(1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23) 및 체결홀(2123)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 예의 보조루프부(320)는 메인루프부(310)와 동일한 중심축으로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가 체결부재(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00)의 양 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2중 방수한다.
다시 말해 보조루프부(32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보조루프부(320)에 의해 1차 방수를 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보조루프부(320)에 의해 2차 방수를 하여 2중 방수의 기능을 갖는다.
다만, 보조루프부(320)의 형상은 원형 외에도 사각형 등 메인루프부(310)와 동일 중심축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면(330)에는 돌출되어 방수립(331)이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의 수분의 이동 경로를 차단한다. 구제적으로 방수립(331)은 밀착면(330)을 따라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면 연속 형성되는 제1 방수립(3311)과, 관통홀(321)을 감싸는 고리를 항상을 갖는 제2 방수립(3312)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방수립(3311)은 보조루프부(320)에서 양 측으로 분리되어, 하나의 제1 방수립(3311)은 외측 반원을 따라 연장되고, 나머지 제1 방수립(3311)은 내측 반원을 따라 연장되어 제2 방수립(3312)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체결부재(400)가 관통하는 관통홀(321) 및 관통홀(321)을 감싸는 보조루프부(320)가 형성된 가스켓(300)을 구비하여 밀착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2중 방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용공간(11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켓(300)의 밀착면(330)에는 방수립(331)이 이중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의 밀착력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수분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정션블록(10)의 방수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체결부재(400)는 체결홀(2123) 및 관통홀(321)을 순차로 관통하여 체결홈(123)에 체결되는 체결부(410)와, 탑커버(200)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체결부(410)보다 그 단면적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는 가압부(420)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를 고정하는 동시에 가스켓(300)을 가압하여 최적의 최적의 밀착력을 제공한다.
이때 체결부(410)는 체결홀(2123), 관통홀(321) 및 체결홈(123)에 걸쳐 고정되고, 가압부(420)는 체결홀(2123)의 외측에 형성되어 체결부재(400)의 체결 정도에 비례하여 보조루프부(320)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400)의 체결 정도가 미리 설계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조루프부(320)를 가압하는 가압력 또한 미리 설계된 하중을 초과하는 값을 가져, 보조루프부(320)를 과하게 가압함에 따라 보조루프부(320)사이에 형성된 메인루프부(310)의 밀착력이 저하되고, 체결 정도가 미리 설계된 정도에 못 미치는 경우에는 보조루프부(320)를 가압하는 가압력 또한 미리 설계된 하중의 이하 값을 가져 가스켓(300)의 전체적인 밀착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10)은 체결부재(400)가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가스켓(300) 전체에서 균일한 밀착력을 제공하고, 체결부재(400)의 체결 정도만으로 가스켓(300)의 밀착력을 조절하여 최적의 방수성을 제공한다.
도 8은 도 1의 정션블록에 다른 실시 예의 안착부와 결합부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탑커버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방향 단면도에 수분 유입 경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정션블록(510)은 상기 안착부(5120)는 일측에서 요입되어 양 측으로 돌출부(51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5210)는 상기 안착부(5120)의 말 단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5211)와, 상기 커버부(5211)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5121)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왕곡부(521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부(5120)는 수용공간(110)의 개방부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탑커버(200)가 안착 고정된다. 이때 다른 실시 예의 안착부(5120)는 유입되는 수분의 경로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일 측에서 요입되어 양 측으로 돌출부(5121)와, 가스켓이 설치되는 설치홈(5122)과,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체결홈(5123)이 형성된다.
돌출부(5121)는 안착부(5120)에서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면(51211)과, 제1 안착면(51211)의 양측에서 왕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왕곡면(51212)에 의해 양 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의미한다. 따라서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의 간극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의 이동 경로를 현저히 연장시켜 유입되는 수분을 최소화한다.
설치홈(5122)은 가스켓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고, 안착부(5120)의 상측면에 요입 형성되어 가스켓(300)이 끼움 결합된다. 이때 설치홈(5122)의 깊이는 가스켓(30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가스켓(300)의 상측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스켓(300)과 탑커버(200)의 안정적인 밀착을 위해 제1 안착면(512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홈(5123)은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홈으로 하부에서 체결부재(400)가 설치된 부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 측이 폐쇄된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재(400)는 보조루프부(320)에 가압력을 균일하게 분사시키기 위하여 가스켓(3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체결홈(5123)은 제1 안착면(512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5210)는 탑커버(200)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 넓이를 가지며, 안착부(5120)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의 결합부(5210)는 안착부(51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말단을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5211)와, 커버부(5211)에서 연장되어 돌출부(5121)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왕곡부(5212)로 형성된다.
커버부(5211)는 메인바디의 외주면의 말단 즉, 외측으로 형성된 안착부(5120)의 말단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정션블록(510)의 상부 또는 측면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왕곡부(5212)는 커버부(5211)와 연결되고, 제1 안착면(51211)과 접하는 제2 안착면(52121)과 제2 안착면(52121)의 양측에서 왕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제1 왕곡면(5121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왕곡면(5212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왕곡면(51212)과 제2 왕곡면(52122)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기준으로 상보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 안착면(52121)에는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는 체결홀(52123)이 형성되고, 체결부재(400)의 가압력에 의해 제2 안착면(52121)은 가스켓(300)의 밀착면(330)과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션블록(510)은 메인바디(100)와 탑커버(200)에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안착부(5120)와 결합부(521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이동하는 경로를 연장시키고, 제1,2 왕곡면(51212,52122)이 요철구조의 양 측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으로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정션블록(510)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요철구조가 정션블록(510)의 외측에서 요입 형성되어, 양 측으로 왕곡부(5212)를 가져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의 이동 경로를 현저히 연장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제품 내구성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체결부재(400)의 가압부(420)가 요입된 제2 안착면(52121)에 형성되어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외력 등에 의한 체결부재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제품 내구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510 정션블록
100 메인바디 110 수용공간 120,5120 안착부
121 다단부
1211,51211 제1 안착면 1212,51212 제1 왕곡면
122,5122 설치홈 123,5123 체결홈
200 탑커버
210,5210 결합부 211,5211 커버부 212,5212 왕곡부
2121,52121 제2 안착면 2122,52122 제2 왕곡면
2123,52123 체결홀
300 가스켓 310 메인루프부 320 보조루프부
321 관통홀 330 밀착면 331 방수립
3311 제1 방수립 3312 제2 방수립
400 체결부재 410 체결부 410 가압부
5121 돌출부

Claims (7)

  1.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탑커버;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가 접하는 면을 따라 형성된 메인루프부와, 상기 메인루프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루프부와 동일한 중심축으로 가지며 관통홀이 형성된 환형의 보조루프부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어 방수성을 제공하는 가스켓;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탑커버에 동시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탑커버가 밀착되는 상기 밀착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방수립과, 상기 제1 방수립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홀을 감싸는 고리 형상의 제2 방수립으로 형성되어 수분의 유입 경로를 연장시키는 방수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수립은
    상기 보조루프부에서 양 측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2 방수립의 외측 반원과 상기 제2 방수립의 내측 반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탑커버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따라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설치홈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방수립은 상기 설치홈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9623A 2019-12-31 2019-12-31 정션블록 KR10232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623A KR102322493B1 (ko) 2019-12-31 2019-12-31 정션블록
KR1020210139427A KR102450321B1 (ko) 2019-12-31 2021-10-19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623A KR102322493B1 (ko) 2019-12-31 2019-12-31 정션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27A Division KR102450321B1 (ko) 2019-12-31 2021-10-19 정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91A KR20210085991A (ko) 2021-07-08
KR102322493B1 true KR102322493B1 (ko) 2021-11-08

Family

ID=768939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623A KR102322493B1 (ko) 2019-12-31 2019-12-31 정션블록
KR1020210139427A KR102450321B1 (ko) 2019-12-31 2021-10-19 정션블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27A KR102450321B1 (ko) 2019-12-31 2021-10-19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2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806A (ja) 2006-02-15 2007-08-30 Yazaki Corp 防水式ボックスの締結部構造
JP2015095258A (ja) 2013-11-13 2015-05-18 群▲マイ▼通訊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センサー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CN208656357U (zh) * 2018-07-24 2019-03-26 小耳朵(广东)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水防爆的电接线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445A (ja) * 1992-11-10 1994-05-31 Sony Corp 高周波電子機器の機密構造
US9504172B2 (en) * 2014-12-22 2016-11-22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onic assembly having a circuit board with a shock absorber device
KR101804461B1 (ko) * 2015-11-23 2018-01-1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의 씰링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806A (ja) 2006-02-15 2007-08-30 Yazaki Corp 防水式ボックスの締結部構造
JP2015095258A (ja) 2013-11-13 2015-05-18 群▲マイ▼通訊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センサー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CN208656357U (zh) * 2018-07-24 2019-03-26 小耳朵(广东)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防水防爆的电接线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91A (ko) 2021-07-08
KR102450321B1 (ko) 2022-10-04
KR20210128999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227B2 (en) Winch
US6166327A (en) Wiring box with shielded water outlet
CN109716608B (zh) 带有排水室的耐候地插盒
KR101405623B1 (ko) 자동차용 전장박스
CA2129595A1 (en) Plastic Electrical Box for Installation in Poured Concrete
US20180019556A1 (en) Device connector
KR102322493B1 (ko) 정션블록
KR102320779B1 (ko) 정션블록
US5725396A (en) Connection device for the poles of electric accumulators
CN205376612U (zh) 一种电池箱
KR20190009976A (ko) 배터리용 커넥터
KR102338036B1 (ko)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튜브 방수 구조체
KR101214831B1 (ko)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룸 정션박스
KR102029373B1 (ko) 고전압 정션블록
KR200495835Y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시스템
KR102088328B1 (ko) 고전압 정션블록
KR200481011Y1 (ko) 부가 보호 구조를 갖는 스위칭 장치
KR102550192B1 (ko) 정션블록
WO2004088771A3 (en) Battery cover
KR20230096717A (ko) 정션블록의 마운팅부 수밀 구조
CN211719523U (zh) 一种车用防水继电器盒
KR100716115B1 (ko) 보호커버의 방수구조
JP2001258442A (ja) 電動リール用バッテリー
FR2590398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capot d'isolateur electrique de suspension contre la corrosion
KR19980035490A (ko) 차량용 배터리의 방열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