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350B1 -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 Google Patents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350B1
KR102322350B1 KR1020190162782A KR20190162782A KR102322350B1 KR 102322350 B1 KR102322350 B1 KR 102322350B1 KR 1020190162782 A KR1020190162782 A KR 1020190162782A KR 20190162782 A KR20190162782 A KR 20190162782A KR 102322350 B1 KR102322350 B1 KR 10232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pair
patient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2454A (en
Inventor
노경석
조현용
송지혜
임재혁
Original Assignee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앤드트러스트(주) filed Critical 밸류앤드트러스트(주)
Priority to KR102019016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35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4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61F5/0109Sleeve-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체 외관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와 와이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압박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신체의 외관을 따라 상기 압박부 및 압력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는,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에 배설함으로써, 교정 환자의 교정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nd in particular, a compression unit for pressing a part of the external body of the body, a wire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and adjusting the compression pressure on the body by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 pressure control unit and a pair of guide rail units dispos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unit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alo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ody, wherein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are worn on the body By excreting to the wearing par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orthodontic performance of the orthodontic patient as well as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product.

Description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본 발명은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하고자 하는 신체의 압박 부위를 용이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교정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rrection efficiency by easily moving a compression part of the body to be corrected, and to apply it to a variety of uses, thereby improving versatility of a wearable body. It relates to the correction device.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게서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뼈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척추는 7개의 목표(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분된다.Spine (脊椎, spine) refers to the bones that maintain the main skeleton in humans from the neck, back, waist, hips, and tailbone. Specifically, the spine is divided into 7 targets (cervical vertebrae), 12 sternum (thoracic vertebrae), 5 lumbar vertebrae (lumbar vertebrae), 5 sacrum (sacral vertebrae), and 4 coccyx vertebrae.

한편, 척추 안에는 뇌에서 나온 신경다발로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존재하며, 이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 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척추는 신체의 매우 중요한 부위로써 척추 질환을 앓는 경우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Meanwhile, in the spine, there is a spinal cord as a bundle of nerves from the brain, which serves to connect the brain, which is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peripheral organs, which are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s. As mentioned above, the spin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body, and it gives a lot of difficulties to people with spinal diseases.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는 경추척추사이원반탈출증, 척추측만증, 요통증후군 및 척추사이원반탈출증 등이 있다.Representative spinal diseases include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scoliosis, low back pain syndrome, and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특히, 척추측만증(scoliosis)은 대표적인 척추 변형의 하나로 사람의 척추에는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하는 '만곡'(curve)이 있는데, 척추의 만곡은 정상인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만곡과 정상인에게서 볼 수 없는 비정상적인 만곡이 있다.In particular, scoliosi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pinal deformities, and the human spine has a 'curve' meaning 'curved state' or 'curved state'. There is an abnormal curvature not seen in .

이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전체 척추측만증 환자의 절반가량이 10대 청소년일 정도로 성장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Such scoliosis occurs a lot during the growing season, with about half of all scoliosis patients being teenagers.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 병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관찰조치만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Different measures should be taken depending on the degree of scoliosis,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condition is not recognized or only simple observational measures are taken, so it is often aggravated.

따라서, 척추측만증의 치료의 목적은 경증의 만곡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증도 이상의 만곡은 기형을 교정하고 그 교정을 유지시켜 신체의 균형을 얻어 기능 및 미용을 호전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treatment of scoliosis is to prevent the mild curve from progressing any further, and for the more severe curve to correct the deformity and maintain the correction, the body's balance is obtained, and the function and beauty are improved.

척추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적절한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심한 만곡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If scoliosis is detected at an early stage, the progression to severe curvature can be prevented even with conservative methods such as wearing an appropriate brace.

종래 보조기구는 척추측만증 부위를 압박하여 능동적으로 교정하는 것이나, 정해진 교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변동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척추측만증 환자의 변형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보조기구는, 척추측만증만을 교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예를 들면 경추나 팔(손) 또는 다리(발) 등에의 적용을 위한 범용적인 보조기구로서는 그 기능이 매우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assistive devices actively correct the scoliosis by pressing i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change from a predetermined corrective position to another position, and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coliosis patient.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ssistive device is provided to correct only scoliosis, and has a problem in that its function is very weak as a general-purpose assistive device for application to, for example, the cervical spine, arms (hands) or legs (foo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973호(2011.09.29.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0973 (2011.09.29.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측만증 뿐만 아니라 환자의 교정 부위에서 압박 부위를 용이하게 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provides 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by being configured to easily change a compression region in a correction region of a patient as well as scoliosis to do that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환자 뿐만 아니라 교정이 필요한 환자의 어느 부위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body corrector capable of improving versatility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y part of a patient requiring correction as well as a scoliosis pati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신체 외관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와 와이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압박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신체의 외관을 따라 상기 압박부 및 압력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는,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에 배설된다.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mpression unit for pressing a part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ody, a wire connection with the compression uni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 pres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ressure on the body, and a pair of guide rails arrang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unit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alo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ody, wherein the pair of The guide rail part is disposed on a wearing part worn on the body.

여기서, 상기 압박부 및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연결을 매개하는 바디, 상기 바디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sing part and the pressure adjusting part are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for mediat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 and to mediate the sliding coupling of the body to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and at least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that are detachably fixed to the sliding support plate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and are slidably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또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 조절기 및 상기 다이얼 조절기를 덮는 다이얼 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adjusting unit, a dial adjust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nd a dial cover covering the dial adjust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에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1결합 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대적으로 상기 제1결합 홀보다 폭의 길이가 작은 제2결합 홀이 가공 형성되고, 상기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은, 상기 제1결합 홀에 끼움되어 상기 제2결합 홀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ing support plate, a first coupling hole having a relatively small length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length of the width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upling hole. A second coupling hole may be processed, and the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may be fitted in the first coupling hole and mov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hole to be fixed.

또한, 상기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은, 상기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2결합 홀의 상부로 관통하여 걸림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 상기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2결합 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coupling part fitted to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또한, 상기 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는, 홀더 고정핀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홀더 고정핀이 관통하여 걸림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고정핀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lder fixing pin,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fixing pin passes and is caught is formed in the body,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is formed in the holder fixing pin. It may include a boss portion having a locking groove for locking the locking protrusion.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는 부착 레일 및 상기 부착 레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착용부로부터 자유 회동되는 삽입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guide rails may include an attachment rail coupled to the wearing part and an insertion rail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rail in a width direction to freely rotate from the wearing part.

또한, 상기 삽입 레일은, 상기 레일 무빙블록에 끼움되어 걸림되는 크기의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rail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 size to be caught by being fitted to the rail moving block.

또한, 상기 착용부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반신 의복부, 환자의 경추 측에 착용되는 경추 의복부, 환자의 요추 측에 착용되는 요추 의복부, 환자의 팔 또는 손에 착용되는 아암 의복부, 및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착용되는 레그 의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ing part, upper body clothing worn on the patient's upper body, cervical vertebrae worn on the patient's cervical vertebrae, lumbar vertebrae worn on the patient's lumbar vertebrae, arm clothing worn on the arm or hand of the patient, and a leg garment worn on the patient's leg or foot.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교정 환자의 교정 부위에 대한 압박부 또는 압력 조절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교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mpression unit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with respect to the correction site of the correction patient, corre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둘째,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교정 환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교정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since it can be applied not only to orthodontic patients suffering from scoliosis but also to orthodontic patients for the purpose of various medical treatments,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versatilit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상반신 의복부에 대한 전방 착용도 및 후방 착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바디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바디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교정 환자에의 착용 모습이다.
1A and 1B are front and rear wear views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Figures 5a and 5b is a coupling flow chart of the body and sliding support plate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2,
6A to 9 are views worn by orthodontic patient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상반신 의복부에 대한 전방 착용도 및 후방 착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front and rear wear views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able body stra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wearable body straigh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도 1a 내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신체 외관 일부를 압박하도록 구비된 압박부(100a)와, 압박부(100a)와 와이어 연결되고,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신체에 대한 압박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100)와, 압박부(100a) 및 압력 조절부(100)를 신체의 임의 위치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를 포함한다.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to 2 , a pressing unit 100a provided to press a part of the external body of the body, and the pressing unit 100a are wire-connected and ,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for adjusting the compression pressure on the body by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nd the pressing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can be moved from any position on the body to a specific position. It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provided so as to be there.

압박부(100a)와, 압력 조절부(100) 및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는,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반신 의복부(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100a,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and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are,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upper body garment 10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orthodontic patient. can be combined.

여기서, 상반신 의복부(10)는, 직물 재질로 구비된 것으로서, 예컨대, 교정 환자가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환자인 경우, 척추측만증을 교정하기 위한 부위, 즉,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옆구리 부위에 압박부(100a) 및 압력 조절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upper body garment 10 is provided with a fabric material, and for example, when the correction patient is a patient suffering from scoliosis, a region for correcting the scoliosis, that is, as referenced in FIGS. 1A and 1B . Similarly, the compression unit 100a and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or right side flank of the orthodontic patient.

또한, 상반신 의복부(10)에는, 압박부(100a) 및 압력 조절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신체의 외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가 배설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반신 의복부(10)에는, 교정 환자의 우측 옆구리 측에 위치된 압박부(100a)와 압력 조절부(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두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가 배설되고, 교정 환자의 좌측 옆구리 측에 위치된 압박부(100a)와 압력 조절부(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두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가 배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반신 의복부(10)에는 두 쌍의 압박부(100a) 및 압력 조절부(1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총 8개(즉, 4쌍)의 가이드 레일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body clothing portion 1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can slide alo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ody. . More specifically, in the upper body garment portion 10, two pairs of guide rail portions 150 for sliding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portion 10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tient's right flank are excreted. and two pairs of guide rails 150 for sliding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tient's left flank may be disposed. Accordingly, a total of eight (ie, four pairs) of guide rail units 15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body clothing portion 10 for sliding movement of the two pairs of the pressing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교정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반신 의복부(10)에 적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도 6a 내지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환자의 경추 측에 착용되는 경추 의복부(11), 환자의 요추 측에 착용되는 요추 의복부(13), 환자의 팔 또는 손에 착용되는 아암 의복부(15) 및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착용되는 레그 의복부(17)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is applied to the upper body garment 10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orthodontic pati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FIGS. 6A to 6A to be described later 9, cervical vertebrae clothing 11 worn on the patient's cervical vertebrae side, lumbar vertebrae clothing 13 worn on the lumbar side of the patient, arm clothing 15 worn on the patient's arm or hand An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 applied to the leg garment 17 worn on the patient's leg or foo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한편,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착용부는, 교정 환자가 상반신에 착용할 수 있는 조끼 형태로 구비된 이너 웨어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aring part referred to in FIGS. 1A and 1B may be provided as inner wear provided in the form of a vest that the orthodontic patient can wear on the upper body.

여기서, 착용부의 외측에는,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좌측 어깨 측으로 연장되는 제1단부(Y1)와,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우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단부(Y2) 및 제1단부(Y1)와 제2단부(Y2)의 중간 부분에서 분지되어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좌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3단부(Y3)를 가지도록 형성된 Y자형 압박 밴드(Y)를 포함할 수 있다.Here, on the outside of the wearing part, a first end (Y1)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orthodontic patient toward the left shoulder, and a second end (Y2) and the first end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orthodontic patient to surround the right waist (Y1) and a Y-shaped compression band (Y) formed to have a third end (Y3) branching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end (Y2) and extending to surround the left waist in the back of the orthodontic patient. can

또한, 착용부의 외측에는, 교정 환자의 등 부위에서 우측 어깨 측으로 연장되는 제1단부(L1)와, 제1단부(L1)로부터 교정 환자의 좌측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단부(L2) 및 제2단부(L2)로부터 교정 환자의 등 부위 및 우측 허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3단부(L3)를 가지도록 형성된 L자형 압박 밴드(L)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outside of the wearing part, a first end (L1)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orthodontic patient to the right shoulder side, and a second end (L2)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L1) to surround the left waist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it may include an L-shaped compression band (L) formed to have a third end (L3)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L2) to cover the back and right waist of the orthodontic patient.

한편, 압박부(100a)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교정 환자의 교정이 필요한 부위에 해당하는 신체 외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소정의 교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교정 환자의 교정 부위를 교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박부(100a)는, 압력 조절부(100)의 와이어 감김 및 풀림량이 조절될 때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에 압박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압력 조절부(100)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감김시키면 압박부(100a)는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에 높은 압력으로 압박되고, 반대로 압력 조절부(100)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풀림시키면 압박부(100a)는 교정 환자의 신체 외부에 가한 압박을 해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unit 100a,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is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region requiring correction of the correction patient to correct the correction region of the correction patien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correction pressure. It can be arranged so that More specifically, in the compression unit 100a, when the amount of wire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is adjuste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orthodontist may be adjusted. That is, when the wire is wound using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the pressing unit 100a is pressed with a high pressure outside the body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conversely, when the wire is unwinded using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the pressing unit ( 100a) may rel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patient's body.

압력 조절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박부(100a)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와이어 연결된 압박부(100a)의 신체 외부에 대한 압박력(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unit 10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rves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pressure) of the wire-connected pressing unit 100a to the outside of the body. can do.

압박부(100a)와 압력 조절부(100)는, 상술한 상이한 기능 외에 상반신 의복부(10)에 대한 결합 구성 및 슬라이딩 이동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대부분 공통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 이하에서는 압력 조절부(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설명되지 않은 압박부(100a)의 구성은 공통된 범위 내에서 압력 조절부(100)의 구성의 설명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o the different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ion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are mostly composed of a common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configuration and sliding configuration for the upper body garment 10, below,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unit 100a that is not described may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within a common range.

압력 조절부(1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연결을 매개하는 바디(110)와, 바디(11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바디(110)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145)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body 110 and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for mediat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s to the body 110 . A sliding support plate 140 that mediates the sliding coupling of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150 of 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145 that are.

바디(110)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의 이격거리보다 더 큰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바디(110)는, 교정 환자의 신체 굴곡에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 In addition, the body 110 may be formed to be curved outward as a w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s body.

여기서, 압력 조절부(100)는,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 조절기(120) 및 다이얼 조절기(120)를 덮는 다이얼 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ial adjuster 12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nd a dial cover 130 covering the dial adjuster 120 .

다이얼 조절기(1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디(1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한 회전체로 구비될 수 있고, 회전체의 외주면으로 와이어가 감김되거나 풀림될 수 있다. 다이얼 커버(130)는, 다이얼 조절기(120)를 외부에서 커버링하도록 구비되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다이얼 조절기(120)를 연동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al adjust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able body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110, and a wire may be wound or unwoun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he dial cover 130 is provided to cover the dial adjuster 120 from the outside, and the dial adjuster 120 may be interlocked by rotat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다만, 압력 조절부(100)와는 달리 압력부에는, 다이얼 조절기(120) 및 다이얼 커버(13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압력 조절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는 압력부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압박부(100a)는, 압력 조절부(100)의 다이얼 조절기(120)를 통한 와이어의 감김 시 교정 부위인 신체 외관 부위를 압박하고, 압력 조절부(100)의 다이얼 조절기(120)를 통한 와이어의 풀림 시 압박이 해제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 the pressure unit may not include the dial adjuster 120 and the dial cover 130 . A wire extending from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unit. The pressing part 100a connected via a wire presses the body exterior part, which is a correction part, when the wire is wound through the dial regulator 120 of the pressure regulator 100, and the dial regulator of the pressure regulator 100 ( When the wire is released through 120), the pressure may be released.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바디(11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구성 중 바디(11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결합 순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and FIGS. 5A and 5B are It is a coupling flow chart of the body 110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in the configuration.

바디(110)는, 도 3 내지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를 매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slidably fixed to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via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as shown in FIGS. 3 to 5B .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는, 도 3 내지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은 바디(110)의 내측면에 면접되고, 내측 중 일부에는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145)이 결합되어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에의 슬라이딩 이동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110 and a pair of guide rail parts 150, as shown in FIGS. ,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145 are coupled to some of the inner side to mediate sliding movement coupling to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11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홀더 고정핀(117)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디(110)에는, 홀더 고정핀(117)이 관통하여 걸림되는 관통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3)은, 홀더 고정핀(117)이 바디(110) 측의 외측에서부터 머리부(도면부호 미표기)를 제외하고 관통하여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 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ody 110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lder fixing pin 117 as shown in FIGS. 2 and 3 . That is, a through hole 113 through which the holder fixing pin 117 passes and is caught may be formed in the body 110 . The through hole 11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older fixing pin 117 passes through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10 except for the head (not shown) and is exposed towar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홀더 고정핀(117)과 체결되는 걸림홈(143a)이 형성된 보스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스부(143)는,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외면 중 바디(110) 측에 대향하는 외면에서 바디(110) 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스부(143)의 내측에는 홀더 고정핀(117)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17a)가 걸림되는 걸림홈(143a)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may include a boss portion 143 having a locking groove 143a fastened to the holder fixing pin 117 . In more detail, the boss part 143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dy 110 side from the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body 110 side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and the inner side of the boss part 143 . A locking groove 143a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17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fixing pin 117 is hooked may be formed.

바디(11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를 바디(110)의 관통홀(113)과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보스부(143)가 상호 대응되도록 맞댄 상태에서, 홀더 고정핀(117)을 관통홀(113)을 관통시켜 보스부(143)의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홀더 고정핀(117)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홀더 고정핀(117)의 걸림 돌기(117a)가 보스부(143)의 걸림홈(143a)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바디(110)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body 110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are abutted so that the through hole 113 of the body 110 and the boss portion 143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holder fixing pin 117 is After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13 and inserting it into the inside of the boss part 143 , the holder fixing pin 117 is rotated to one sid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17a of the holder fixing pin 117 is inserted into the boss part 143 . By being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43a, the body 110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레일 무빙블록(145)이 각각의 가이드 레일부(150)의 일측 및 타측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2개의 레일 무빙블록(145)이 배치되어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폭방향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2개의 레일 무빙블록(145)이 배치되어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폭방향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rail moving block 145 may be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each guide rail unit 150 . . Accordingly, two rail moving blocks 145 are disposed on one guide rail unit 150 and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and two rail moving blocks 145 are disposed on the other guide rail unit 150 . The block 145 may be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한편,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착홀(147)이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장착홀(147)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1결합 홀(147a) 및 제1결합 홀(147a)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대적으로 제1결합 홀(147a)보다 폭의 길이가 작은 제2결합 홀(147b)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47 may be provided in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as shown in FIG. 3 . The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47 extend in the sliding direction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having relatively small lengths of widths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but relatively first coupling holes (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having a width and length smaller than that of 147a may be processed.

아울러, 레일 무빙블록(145)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 구비된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의 상부로 관통하여 걸림되는 걸림부(145a)와, 걸림부(145a)의 하부에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부(145b)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145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moving block 145 includes a locking part 145a tha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provided in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and the locking part. The support portion 145b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in the lower portion of the 145a, and the pair of guide rail portions 150, respectively, are fitted and coupled 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145c) that is.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용부에 결합되는 부착 레일(151)과, 부착 레일(151)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부로부터 자유 회동되는 삽입 레일(15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include an attachment rail 151 coupled to the wearing part, and an attachment rail 15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wearing part. It may include an insertion rail 152 that rotates freely.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는, 부착 레일(151)이 착용부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되, 부착 레일(15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삽입 레일(152)이 부착 레일(151)의 부착점을 기준으로 자유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 the attachment rail 151 is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ing part, and the insertion rail 152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ttachment rail 151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rail 151 . It can be fixed to be freely rotatable based on the attachment point of

삽입 레일(152)은, 부착 레일(151)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그 수직단면 형상이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레일(152)의 원형의 수직단면 크기는 그 내경이 후술하는 레일 무빙블록(145)의 결합부(145c)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rail 15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rail 151 , and may have a circular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The size of the circular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insertion rail 152 may b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45c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레일 무빙블록(145)의 결합부(145c)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걸림부(145a)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일측이 소정길이 트임된 개구부가 형성되되 원형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5c)의 내경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의 구성 중 삽입 레일(152)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의 슬라이딩 이동 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의 구성 중 삽입 레일(152)이 걸림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레일(1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 145c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as shown in FIG. 4 , approximately extending outward of the locking portion 145a, and an opening having one side of which is cut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nd a circular vertical cross-section is formed. It can be formed to have.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145c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rail 152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ir of guide rails 150, so that when the pressing portion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portion 100 slides, one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ir of guide rails 150 , the insertion rail 152 may be easily slid along the insertion rail 152 without being caught.

또한, 레일 무빙블록(145)의 결합부(145c)에 형성된 개구부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의 구성 중 부착 레일(151)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되, 그 내부에 삽입된 삽입 레일(152)이 개구부 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45c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ttachment rail 151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air of guide rail portions 150, as shown in FIG. 4 .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rail 152 inserted therein is formed in a size that does not deviate toward the opening side.

한편,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이 다수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 홀(147a)과 제2결합 홀(147b)은, 상호 연결된 구멍으로써, 제1결합 홀(147a)의 길이 및 폭의 크기는 레일 무빙블록(145)의 구성 중 걸림부(145a)의 길이 및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제2결합 홀(147b)의 길이 및 폭의 크기는 레일 무빙블록(145)의 구성 중 걸림부(145a)의 길이 및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무빙블록(145)의 구성 중 걸림부(145a)는 제1결합 홀(147a) 측으로는 관통할 수 있으나, 제2결합 홀(147b) 측으로는 관통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are interconnected holes,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re the locking portions 145a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145a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 Accordingly, the engaging portion 145a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may penetrate toward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but may not penetrate towar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아울러, 레일 무빙블록(145)의 지지부(145b)의 길이 및 폭의 크기는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구성 중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무빙블록(145)의 지지부(145b)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인 제1결합 홀(147a)은 물론 제2결합 홀(147b)을 관통할 수 없고,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대향면에 지지된다.In additio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145b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have.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145b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cannot pass through the relatively large first coupling hole 147a as well as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is supported on

물론, 레일 무빙블록(145)의 걸림부(145a)와 지지부(145b) 사이는 상호 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연결되되, 연결부는 적어도 레일 무빙블록(145)이 제2결합 홀(147b) 측으로 슬라이딩 무빙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및 폭의 크기는 제2결합 홀(147b)의 길이 및 폭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145a and the supporting portion 145b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connected by an interconnection (reference numeral not shown), at leas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be small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so that it can slide and move to the side.

따라서,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레일 무빙블록(145)의 걸림부(145a)를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1결합 홀(147a) 측으로 이동시켜 관통시켜 레일 무빙블록(145)의 지지부(145b)가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대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레일 무빙블록(145)을 제2결합 홀(147b) 측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 핀(144)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고정홀(149)을 관통시켜 고정시키면,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에 대한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145)의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140)의 4개소에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1결합 홀(147a) 및 제2결합 홀(147b)에 레일 무빙블록(145)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A , the engaging portion 145a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moved toward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ortion of the rail moving block 145 . In a state in which the 145b is suppor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 as shown in FIG. 5b , the rail moving block 145 is mov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side and then the fixing pin 144 . When the fixing hole 149 formed in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is penetrated and fixed using the , the coupling of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145 to the sliding support plate 140 is comple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a second coupling hole 147b are provided in four places of one sliding support plate 140, and each of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first coupling hole 147a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are provided. The rail moving block 14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147b.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1a 내지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가 상반신에 착용하는 착용부에 배치되어 척추측만증 증상을 앓고 있는 교정 환자의 신체 일부를 압박하도록 구비되되, 신체 외부의 어느 일 지점에서 특정 지점으로 압박 부위가 변경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를 따라 압박부(100a) 및 압력 조절부(100)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shown in FIGS. 1A to 5B , a correction patient suffering from scoliosis symptoms by being disposed in a wearing part worn by a correction patient on the upper body any one of the pressing unit 100a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along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so as to change the pressing portion from any one point outside the body to a specific point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됨으로써 그 범용성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and its versatility by being applied to various parts of the human body. .

도 6a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교정 환자에의 착용 모습이다.6A to 9 are views worn by orthodontic patient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6a 및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교정 환자의 경추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되는 경추 의복부(11)에 배치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 the cervical vertebrae are worn so that the pressing unit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surrounds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correction patient. It may be disposed on the garment 11 .

경추 의복부(11)는, 교정 환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한편, 목 아래 어깨 부위 일부를 감싸도록 착용된 착용부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는, 경추 의복부의 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도면부호 미표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경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Cervical vertebrae clothing 11 may be defined as a generic term for a wearing part worn to wrap a part of a shoulder region below the neck while wrapping the neck region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the compression unit 100a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is , The part to be compressed (or the cervical vertebrae to be corrected) can be changed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150 (not show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of the cervical vertebrae garment.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교정 환자의 요추 측에 착용되는 요추 의복부(13)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b , the compression unit 100a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is worn on the lumbar side of the correction patient ( 13) can be placed.

요추 의복부(13)는, 교정 환자의 허리 전부를 감싸도록 착용된 착용부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고,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는, 요추 의복부(13)의 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도면부호 미표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경추 부위)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도 6b의 (a) 참조), 요추 의복부(13)의 측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도면부호 미표기)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압박하고자 하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도 6b의 (b) 참조).The lumbar vertebrae garment 13 may be defined as a generic term for a wearable portion worn to cover the entire waist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the pressing unit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s the rear of the lumbar vertebrae garment 13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rt to be pressed (or the cervical vertebrae to be corrected)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150 (not show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de (Fig. 6b). of (a)),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art to be pressed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 pair of guide rail parts 150 (not show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ide part of the lumbar vertebrae clothing part 13. There is (see Fig. 6b (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교정 환자의 팔 또는 손에 착용되는 아암 의복부(15)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A to 7D , the compression unit 100a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is worn on the arm or hand of the correction patient. It may be disposed on the arm garment 15 .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팔 전부에 걸쳐 착용된 아암 의복부(15)의 다수 개소에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를 구비함으로써, 교정 환자의 팔을 고정하여 팔 골절 환자 등의 골절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A , by providing a compression unit 100a or a pressure control unit 100 in multiple locations of the arm clothing 15 worn over the entire arm of the correction patient, the correction patient By fixing the arm of the patient, it can help in the treatment of fractures such as patients with arm fractures.

이때,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는,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팔 또는 손의 특정 부위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교정 환자의 교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s provided to slide along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150 in a specific region of the orthodontic patient's arm or hand, as shown in FIG. 7B . ,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that requires correction of the patient.

특히, 아암 의복부(15)는, 도 7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갑형으로 구비되어 교정 환자의 손등 부위를 압박하여 교정 치료할 수 있음은 물론, 도 7d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골무형의 초소형으로 구비되어 교정 환자의 손가락 부위를 압박하여 교정 치료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7C , the arm garment 15 is provided in a glove type to press the back of the hand of the orthodontic pati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s well as,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be designed so that it can be orthodontic treatment by pressing the finger part of the orthodontic patient by being provided with a microminiature of intangible thimble to be fitt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8a 내지 도 8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교정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착용되는 레그 의복부(17)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A to 8C , the compression unit 100a or the pressure control unit 100 is worn on the leg or foot of the orthodontic patient. It may be disposed on the leg garment 17 .

보다 상세하게는, 레그 의복부(17)는, 도 8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리의 무릎 관절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무릎 관절의 일부 또는 무릎 관절 밑의 종아리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 8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발의 발가락 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각각의 레그 의복부(17)에 적어도 1개소 이상 구비됨으로써, 골절상을 입은 교정 환자의 교정 치료 또는 기타 의료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leg garment 17 is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knee joint of the leg, as shown in FIG. 8A , or part of the knee joint or the calf below the knee joint, as shown in FIG. 8B . I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area, and as shown in FIG. 8C , i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toe area of the foot, and the pressing unit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s provided on each leg garment 17 . By providing at least one or m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or other medical treatment for orthodontic patients who have suffered fractur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교정 환자가 착용하는 착용화(20)에 압박부(100a) 또는 압력 조절부(100)가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1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교정 환자의 발에 대한 압박 부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in the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 the compression unit 100a or the pressure adjusting unit 100 includes a pair of guide levers in the wearing shoes 20 worn by the orthodontic patient. By being provided to slide along the portion 15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compression site for the orthodontic patient's foot.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rable body corr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in equivalent range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 상반신 의복부 11: 경추 의복부
13: 요추 의복부 15: 아암 의복부
17: 레그 의복부 20: 착용화
100a: 압박부 100: 압력 조절부
110: 바디 113: 관통홀
117: 홀더 고정핀 117a: 걸림 돌기
120: 다이얼 조절기 130: 다이얼 커버
140: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 143: 보스부
144: 고정핀 145: 레일 무빙블록
145a: 걸림부 145b: 지지부
145c: 결합부 147a: 제1결합 홀
147b: 제2결합 홀 149: 고정홀
150: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 151: 부착 레일
152: 삽입 레일
10: upper body clothing part 11: cervical vertebrae clothing part
13: lumbar vertebrae 15: arm garment
17: leg garment 20: wearing shoes
100a: compression unit 100: pressure control unit
110: body 113: through hole
117: holder fixing pin 117a: locking projection
120: dial adjuster 130: dial cover
140: sliding support plate 143: boss portion
144: fixing pin 145: rail moving block
145a: locking part 145b: support part
145c: coupling portion 147a: first coupling hole
147b: second coupling hole 149: fixing hole
150: a pair of guide rail parts 151: an attachment rail
152: insert rail

Claims (9)

신체 외관 일부를 압박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와 와이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여 상기 신체에 대한 압박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및
상기 신체의 외관을 따라 상기 압박부 및 압력 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도록 배설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는,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에 배설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ompression portion for pressing part of the body appearance;
a press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with a wire, and adjusting a compression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by adjusting an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nd
a pair of guide rails arranged to allow sliding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unit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alo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ody; including,
The pair of guide rail units are disposed on a wearing unit worn on the body, a wearable body corr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 및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연결을 매개하는 바디;
상기 바디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을 매개하는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 을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unit and the pressure adjusting unit,
a body that mediates the connection of the wire;
a sliding support plate dis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to mediate sliding coupling of the body to the pair of guide rail parts; and
at least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that are detachably fixed to the sliding support plate and slidably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A wearable body corrector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 조절기; 및
상기 다이얼 조절기를 덮는 다이얼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essure control unit,
a dial adjust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and
a dial cover covering the dial adjuster; Further comprising, a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에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폭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1결합 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대적으로 상기 제1결합 홀보다 폭의 길이가 작은 제2결합 홀; 이 가공 형성되고,
상기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은, 상기 제1결합 홀에 끼움되어 상기 제2결합 홀 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liding support plate, a first coupling hole having a relatively small length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and a first coupling hole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coupling hole 2 mating holes; This processing is formed,
The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are fitted in the first coupling hole and mov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hole to be fixed, a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레일 무빙블록은, 상기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2결합 홀의 상부로 관통하여 걸림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부에 상기 제1결합 홀 및 상기 제2결합 홀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wo or more rail moving blocks may include: a locking part that penetrates through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is hooked;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and
a coupling part fitt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A wearable body corrector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는, 홀더 고정핀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홀더 고정핀이 관통하여 걸림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고정핀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보스부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and the sliding suppor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older fixing p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dy through which the holder fixing pin is caught,
The sliding support plate, a wearable body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 boss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holder fixing pin is cau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착용부에 결합되는 부착 레일; 및
상기 부착 레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착용부로부터 자유 회동되는 삽입 레일; 을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air of guide rails,
an attachment rail coupled to the wearing part; and
an insertion rai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attachment rail and rotating freely from the wearing part; A wearable body corrector comprising a.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 레일은, 상기 레일 무빙블록에 끼움되어 걸림되는 크기의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sertion rail, a wearable body correction devic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size to be caught by being fitted to the rail moving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환자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반신 의복부, 환자의 경추 측에 착용되는 경추 의복부, 환자의 요추 측에 착용되는 요추 의복부, 환자의 팔 또는 손에 착용되는 아암 의복부, 및 환자의 다리 또는 발에 착용되는 레그 의복부, 를 포함하는,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part includes an upper body garment worn on the patient's upper body, cervical vertebrae worn on the patient's cervical spine, lumbar vertebrae worn on the lumbar side of the patient, arm clothing worn on the arm or hand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A wearable body corrector comprising a leg garment worn on the leg or foot of the body.
KR1020190162782A 2019-12-09 2019-12-09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KR102322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82A KR102322350B1 (en) 2019-12-09 2019-12-09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82A KR102322350B1 (en) 2019-12-09 2019-12-09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54A KR20210072454A (en) 2021-06-17
KR102322350B1 true KR102322350B1 (en) 2021-11-09

Family

ID=7660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82A KR102322350B1 (en) 2019-12-09 2019-12-09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3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33A1 (en) * 2022-06-20 2023-12-28 밸류앤드트러스트(주) Wearing-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and correction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653A (en) * 2022-02-25 2023-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able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13B1 (en) 2016-05-02 2018-05-14 홍승영 Pressing device for medical use
JP2019520094A (en) 2017-04-06 2019-07-18 バリューアンドトラス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Asymmetric spinal assist device for patients with scoliosi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73B1 (en) 2010-04-14 2011-10-06 하병욱 Spine brace
KR101832924B1 (en) *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Supporter of waist
KR20190093057A (en) * 2018-01-31 2019-08-08 밸류앤드트러스트(주) Asymmetry spinal assist device for scoliosis pati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13B1 (en) 2016-05-02 2018-05-14 홍승영 Pressing device for medical use
JP2019520094A (en) 2017-04-06 2019-07-18 バリューアンドトラス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Asymmetric spinal assist device for patients with scolio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33A1 (en) * 2022-06-20 2023-12-28 밸류앤드트러스트(주) Wearing-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and correction monitor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54A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350B1 (en)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CN103370036B (en) The separative main body of tool and belt have scale compressor
JP6717969B2 (en) Asymmetric spine assist device for scoliosis patients
EP1743607A1 (en) Hip orthosis for preventing the dislocation of a hip joint
KR20190068020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KR20210009259A (en)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chest mobility
JP2020081829A (en) Button type dial device
US11707386B2 (en) Compression garment having enhanced strap configuration
KR20210016209A (en) Spinal Assist Device Implementing Optimized 3 Points Pressure Fuction and Scoliosi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074235B1 (en) Spine fixing device with an angle and a length control means
KR20190093057A (en) Asymmetry spinal assist device for scoliosis patient
KR102141810B1 (en) Brace for solipsism type of 3 pointing press
KR102236018B1 (en)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US9370206B1 (en) Medical device protection and comfort brassiere
KR20120116264A (en) A band for balanced posture
CN108284431A (en) A kind of standing support device
KR200383241Y1 (en) Assistant 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ture
JP7185354B1 (en) wearable body orthotics
KR20040103300A (en) Open type of scoliosis brace
KR20230009123A (en) A wearing type correc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KR20210114687A (en) shin compression protector
KR200323715Y1 (en) Scoliosis brace of open type
KR200318281Y1 (en) Belt for posture rectify
CN215778960U (en) Wearable human body correction device
US20180280182A1 (en) Orthopedic support brace for the back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