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962B1 -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962B1
KR102321962B1 KR1020210020538A KR20210020538A KR102321962B1 KR 102321962 B1 KR102321962 B1 KR 102321962B1 KR 1020210020538 A KR1020210020538 A KR 1020210020538A KR 20210020538 A KR20210020538 A KR 20210020538A KR 102321962 B1 KR102321962 B1 KR 10232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unit
snow removal
moving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례
Original Assignee
조정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례 filed Critical 조정례
Priority to KR102021002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8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 E01H5/09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driv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tary or moving along a closed circular path, e.g. rotary cutter, digging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2Apparatus or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integrating, or loosening layers of ice or hard snow with or without clearing or removing ; Roughening ice or hard snow by means of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제설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 등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설구역의 면적 및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크기의 제설보드부를 무빙본체부에 손쉽게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메인바퀴유닛(110)이 회전되는 무빙본체부(100)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방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시 노면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제설보드부(300)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에 심플마운팅유닛(500)을 매개로 장착되어 회전구동시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수집된 눈을 파쇄하면서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스노우브레이킹부(400)와,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연결되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손쉬운 탈착을 위한 업다운이지탈착부(200)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ECO-FRIENDLY ELECTRIC SNOW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수제설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 등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설구역의 면적 및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크기의 제설보드부를 무빙본체부에 손쉽게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폭설이 수시로 내리는 동절기에 산간 농어촌지역 및 도외지는 물론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등에 많은 적설로 인하여 보행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골목길이나 인도등의 노면에 쌓인 눈으로 인해 보행자가 도로측을 통행하거나 보행중 낙상으로 신체적 손상을 야기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행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 내린 눈을 제설하기 위해서 제설장치가 장착된 특수제설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의 눈을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노면에 염화칼슘을 살포하여 도로의 제설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제설차량의 경우 넓은 도로만을 주행하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도로여건이 좋지 않는 곳이나 골목길, 인도, 광장등에 쌓인 눈은 인력에 의해 제설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많은 양의 눈이 내렸을 때에는 인력에 의한 제설작업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어촌에서는 동절기 제설작업을 위해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동절기에 사용되지 않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에 제설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농기계에 제설장비를 장착하는데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하게 됨은 물론 그 무게가 상당하여 제설장비를 현장상황에 따라 탈부착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392호의 트랙터용 제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수제설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 등과 같은 곳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설구역의 면적 및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제설보드부를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설보드부에 장착되는 스노우브레이킹부의 손쉬운 탈착을 통해 제설되는 눈의 이동방향을 손쉽게 변경하여 차도의 양측에 형성된 인도의 제설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제설보드부에 의해 눈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뭉쳐지거나 단단해진 눈덩이를 제1, 2파쇄블레이드에 의해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제설보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눈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제설작업시 발생되는 눈의 적체로 인한 무빙본체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메인바퀴유닛(110)이 회전되는 무빙본체부(100)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방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시 노면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제설보드부(300)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에 심플마운팅유닛(500)을 매개로 장착되어 회전구동시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수집된 눈을 파쇄하면서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스노우브레이킹부(400)와,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연결되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손쉬운 탈착을 위한 업다운이지탈착부(200)가 장착되며,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메인스핀폴(410)과, 판상으로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장착구(42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측절곡면부(42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 파쇄블레이드(420)와, 상기 제1 파쇄블레이드(420)와 대향되는 방향의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마운팅구(43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의 절곡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타측절곡면부(43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 파쇄블레이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쇄블레이드(42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와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 벤딩파쇄편(425)과, 상기 제2 파쇄블레이드(4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1 벤딩파쇄편(425)의 절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측절곡면부(431)와 소정각도를 형성하는 제2 벤딩파쇄편(435)이 형성되고,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대응장착부재(510)와, 상기 대응장착부재(5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메인베어링(521)이 설치되는 베어링브라켓(520)과, 상기 메인베어링(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연결되는 조인트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응장착부재(51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제설판(3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볼트구(511)와,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제설판(310) 사이의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너트구(5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은, 상기 돌출볼트구(51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5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22)을 통해 노출된 상기 돌출볼트구(511)와 결속너트구(523)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이지탈착부(200)는, 신축가능한 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210)와, 상기 구동실린더(210)의 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신축에 따라 전후이동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무빙본체부(10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20)에 힌지축(221)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전후이동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승하강프레임(230)과, 상기 승하강프레임(230)의 일측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장착홀(241)이 형성된 장착바디편(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빙본체부(100)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물(15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후방에는 상기 중량물(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실(140)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무빙본체부로 인해 제설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특수제설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 등과 같은 곳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설구역의 면적 및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제설보드부를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고, 제설보드부에 장착되는 스노우브레이킹부의 손쉬운 탈착에 의해 제설되는 눈의 이동방향을 손쉽게 변경하여 차도의 양측에 형성된 인도의 제설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2파쇄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뭉쳐지거나 단단해진 눈을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제설보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제설의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설작업 시 발생되는 눈의 적체로 인한 무빙본체부와 구동유닛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업다운이지탈착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가 업다운이지탈착부에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브레이킹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심플마운팅유닛에 스노우브레이킹부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심플마운팅유닛에 구동유닛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유닛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에 구동기어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베어링부의 설치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빙본체부에 중량물이 설치되는 단면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에 열선이 내장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업다운이지탈착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가 업다운이지탈착부에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브레이킹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심플마운팅유닛에 스노우브레이킹부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심플마운팅유닛에 구동유닛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유닛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에 구동기어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베어링부의 설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빙본체부에 중량물이 설치되는 단면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보드부에 열선이 내장된 구성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이동되는 무빙본체부(100)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방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되는 제설보드부(300)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노우브레이킹부(400)와,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는 특수제설차량의 통행이 어려운 골목길이나 인도, 광장 등과 같은 곳에 쌓인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제설구역의 면적 및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길이의 제설보드부를 상기 무빙본체에 손쉽게 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무빙본체부(10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메인바퀴유닛(110)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메인바퀴유닛(110)은 상기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터리는 상용전력에 의해 충전되거나 상기 무빙본체부(100)에 별도의 태양광모듈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통한 충전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손잡이(120)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기적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제어버튼부(130)가 설치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버튼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컨트롤유닛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무빙본체부(100)는 작업자가 상기 파지손잡이(120)를 파지하면서 상기 제어버튼부(130)를 조작하여 상기 메인바퀴유닛(110)이 회전구동되도록 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골목길이나 인도와 같이 특수제설차량에 의한 제설작업이 여의치 않는 협소구역에서의 제설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빙본체부(100)에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손쉬운 탈착을 위한 업다운이지탈착부(2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이지탈착부(200)는 신축가능한 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210)와, 상기 구동실린더(210)의 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신축에 따라 전후이동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무빙본체부(10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220)에 힌지축(221)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전후이동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승하강프레임(230)과, 상기 승하강프레임(230)의 일측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장착홀(241)이 형성된 장착바디편(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편(240)에는 후술되는 상기 제설보드부(300)가 장착되어 상기 제어버튼부(1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하강프레임(230)이 상하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설보드부(300)는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방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시 노면에 쌓인 눈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설보드부(300)는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눈의 제설을 위한 솔부(320)가 장착된 제설판(310)과, 상기 제설판(310)의 후면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장착바디편(240)의 장착홀(241)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볼트스틱(331)이 형성된 하방보강폴(330)과, 상기 제설판(310)의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뒤틀림방지폴(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설판(310)은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설과정에서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후방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설판(310)은 상기 솔부(320)가 장착되는 솔부장착부(311)와, 상기 솔부장착부(31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면부(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제설보드부(300)를 상기 업다운이지탈착부(200)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현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제설보드부를 선택한 후,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끼움볼트스틱(331)을 상기 장착바디편(240)의 장착홀(241)에 끼움장착하고, 상기 장착홀(241)을 관통하여 노출된 부분에 별도의 잠금너트(332)를 체결하여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선택장착을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제설판(310)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체적인 제설보드부(300)의 중량이 가벼워 작업자가 현장 상황에 대응하는 길이와 크기의 제설보드부를 적절히 선택하여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에 심플마운팅유닛(500)을 매개로 장착되어 회전구동시,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수집된 눈을 파쇄하면서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에 의해 노면의 눈이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수집되는 과정에서 뭉쳐지거나 단단해진 눈덩이를 파쇄하여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설작업시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많은 양의 눈이 적체되어 상기 무빙본체부(100)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인 제설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메인스핀폴(410)과,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장착구(42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측절곡면부(42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 파쇄블레이드(420)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파쇄블레이드(420)와 대향되는 방향의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마운팅구(43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의 절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타측절곡면부(43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 파쇄블레이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스핀폴(410)은 상기 제설판(310)의 전방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단면상 원형의 형상을 갖거나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중공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2파쇄블레이드(420, 430)는 일정한 넓이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단면상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으로, 폭방향 단부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회전시 뭉쳐지거나 단단해진 눈덩이가 상기 제1, 2파쇄블레이드(420, 430)의 폭방향 단부에 의해 파쇄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2파쇄블레이드는 상기 장착구(422)와 마운팅구(432)에 의해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장착됨에 따라 제설작업과정에서 다수개의 파쇄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파쇄블레이드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되는 경우, 현장에서 신속히 새로운 파쇄블레이드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의 신속성을 통한 제설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파쇄블레이드(420, 430)에는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장착구(422)와 마운팅구(43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4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파쇄블레이드(420, 430)에 형성된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와 타측절곡면부(431)로 인해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회전시, 상기 제설판(310)으로 수집된 눈이나 파쇄된 눈이 상기 제설판(31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설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파쇄블레이드(42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 벤딩파쇄편(4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쇄블레이드(4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1 벤딩파쇄편(425)의 절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측절곡면부(431)와 소정 각도로 형성되는 제2 벤딩파쇄편(43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회전시, 뭉쳐지거나 단단해진 눈덩이의 파쇄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은 상기 제설판(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현장에서 손쉽게 탈착하여 인도에 쌓인 눈의 제설작업시, 인도 방향에 따라 눈이 제설판의 길이방향 일측이나 길이방향 타측으로 선택적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대응장착부재(510)와, 상기 대응장착부재(5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메인베어링(521)이 장착되는 베어링브라켓(520)과,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의 메인베어링(5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연결되는 조인트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응장착부재(510)는 상기 제설판(3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갱의 돌출볼트구(511)와,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제설판(310) 사이의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너트구(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위치조절너트구(513)의 위치조절을 통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1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가 상기 제설판(31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를 현장상황에 따라 조절하여 노면에 쌓인 제설량에 따른 제설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에는 상기 돌출볼트구(511)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522)이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12)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522)을 통해 노출된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결속너트구(523)를 체결하여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의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구(53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의 메인베어링(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구(530)는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내주면 형상이 단면상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조인트구(530)는 단면상 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구(530)의 타측이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면 상기 메인스핀폴(410)을 관통하는 관통고정볼트(531)를 체결하여 상기 조인트구(5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600)은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구동유닛(600)은 상기 제설판(310)의 후방측에 장착플레이트(611)를 매개로 장착되는 구동기어부(610)와, 상기 제설판(310)의 길이방향 일측 배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베어링부(62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부(6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가이드베어링부(6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회전력전달봉(630)과, 상기 조인트구(530)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상기 메인베어링(521)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스핀구(640)와, 상기 회전력전달봉(63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돌출스핀구(640)에 장착되는 한 쌍의 기어구(650)와, 상기 기어구(650)에 치합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조인트체인(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부(6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봉(63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구(650)와 조인트체인(660), 상기 돌출스핀구(640)의 연동구동에 의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의 분리를 살펴보면, 상기 제설판(310)의 길이방향 일측의 베어링브라켓에 채결된 상기 결속너트구(523)를 회전시켜 상기 돌출볼트구(511)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구동유닛(600)이 연결되지 않은 베어링브라켓(520)이 분리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핀폴(410)이 상기 조인트구(530)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손쉽게 분리하고,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조인트구(530)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을 상기 대응장착부재(510)에 장착함으로써 제설되는 눈의 이동방향의 변경시, 현장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빙본체부(100)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물(15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물(150)을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후방에 설치하여 상기 메인바퀴유닛(110)의 노면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많은 적설량으로 인해 상기 제설판(310)에 수집되는 눈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메인바퀴유닛(110)가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후방에는 상기 중량물(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실(140)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기간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와 상기 제설판(310) 전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눈이 축적되는 경우, 축적된 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설판(310)에는 열선(350)이 내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빙본체부 110: 메인바퀴유닛
150: 중량물 200: 업다운이지탈착부
210: 구동실린더 220: 연결프레임
230: 승하강프레임 240: 장착바디편
300: 제설보드부 310: 제설판
320: 솔부 330: 하방보강폴
340: 뒤틀림방지폴 400: 스노우브레이킹부
410: 메인스핀폴 420: 제1 파쇄블레이드
425: 제1 벤딩파쇄편 430: 제2 파쇄블레이드
435: 제2 벤딩파쇄편 440: 고정편
500: 심플마운팅유닛 510: 대응장착부재
520: 베어링브라켓 530: 조인트구
600: 구동유닛 610: 구동기어부
620: 가이드베어링부 630: 회전력전달봉
640: 돌출스핀구 650: 기어구
660: 조인트체인

Claims (4)

  1.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메인바퀴유닛(110)이 회전되는 무빙본체부(100)와,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전방에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이동시 노면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제설보드부(300)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에 심플마운팅유닛(500)을 매개로 장착되어 회전구동시 상기 제설보드부(300)에 수집된 눈을 파쇄하면서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스노우브레이킹부(400)와,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연결되어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손쉬운 탈착을 위한 업다운이지탈착부(200)가 장착되며,
    상기 스노우브레이킹부(40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메인스핀폴(410)과, 판상으로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장착구(42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일측절곡면부(42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 파쇄블레이드(420)와, 상기 제1 파쇄블레이드(420)와 대향되는 방향의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마운팅구(432)를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메인스핀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판면의 일부가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의 절곡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어 타측절곡면부(43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 파쇄블레이드(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파쇄블레이드(42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일측절곡면부(421)와 소정각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제1 벤딩파쇄편(425)과, 상기 제2 파쇄블레이드(43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1 벤딩파쇄편(425)의 절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타측절곡면부(431)와 소정각도를 형성하는 제2 벤딩파쇄편(435)이 형성되고,
    상기 심플마운팅유닛(500)은,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대응장착부재(510)와, 상기 대응장착부재(5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메인베어링(521)이 설치되는 베어링브라켓(520)과, 상기 메인베어링(5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스핀폴(410)에 연결되는 조인트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응장착부재(510)는, 상기 제설보드부(300)의 제설판(3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볼트구(511)와,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장착되는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12)와 제설판(310) 사이의 상기 돌출볼트구(511)에 체결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너트구(5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브라켓(520)은, 상기 돌출볼트구(51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5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22)을 통해 노출된 상기 돌출볼트구(511)와 결속너트구(523)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이지탈착부(200)는, 신축가능한 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210)와, 상기 구동실린더(210)의 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신축에 따라 전후이동되는 연결프레임(220)과, 상기 무빙본체부(10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220)에 힌지축(221)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20)의 전후이동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승하강프레임(230)과, 상기 승하강프레임(230)의 일측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장착홀(241)이 형성된 장착바디편(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빙본체부(100)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물(15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무빙본체부(100)의 후방에는 상기 중량물(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실(1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4. 삭제
KR1020210020538A 2021-02-16 2021-02-16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KR102321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38A KR102321962B1 (ko) 2021-02-16 2021-02-16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38A KR102321962B1 (ko) 2021-02-16 2021-02-16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962B1 true KR102321962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38A KR102321962B1 (ko) 2021-02-16 2021-02-16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637B2 (ja) * 2003-01-21 2007-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除雪機
KR101249392B1 (ko) * 2011-12-19 2013-04-03 이리중 트랙터용 제설장치
KR101495605B1 (ko) * 2014-07-28 2015-03-02 주식회사 한국설제 무인 제설기
KR20150102584A (ko) * 2014-02-28 2015-09-07 김계윤 분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637B2 (ja) * 2003-01-21 2007-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除雪機
KR101249392B1 (ko) * 2011-12-19 2013-04-03 이리중 트랙터용 제설장치
KR20150102584A (ko) * 2014-02-28 2015-09-07 김계윤 분쇄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설장치
KR101495605B1 (ko) * 2014-07-28 2015-03-02 주식회사 한국설제 무인 제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0594A1 (en) Plow assembly with adjustable trip mechanism
CN106894378B (zh) 一种小型铲式除冰雪装置
US6748678B2 (en) Snow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EP2126222A1 (en) Ski slope snow tiller
US20220010512A1 (en) Snowplow with positive rake angle cutting blade and ice scraper
US20130145658A1 (en) Plow blade guard
KR102321962B1 (ko) 친환경 전동 제설장치
US20150135559A1 (en) Plow blade guard
CN113882311A (zh) 一种道路桥梁用高效除冰装置
KR100993628B1 (ko) 경량 전동 삽날 제설기
CN107881978B (zh) 一种多功能破冰铲雪车
KR102068758B1 (ko) 염전용 전동 소금수집장치
WO2019097723A1 (ja) 太陽光パネルの除雪方法、太陽光パネル除雪装置、および太陽光パネル除雪機
CN205134262U (zh) 新型破冰除雪机
KR20150072193A (ko) 관리기 부착형 제설장치
US20050066553A1 (en) Snow blower with glide wheels
KR20160149466A (ko) 트랙터 탑재식 송풍휀 제설기
CN212562213U (zh) 一种屋顶清除积雪机器
CN100467721C (zh) 具有离心式打击器的破冰整地辊
RU2715151C2 (ru) Фрикционный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
CA2866845A1 (en) Removable plow attachment for snow blower
CN206646446U (zh) 一种扫雪机
CN202913391U (zh) 螺旋离合式凿冰机
CN2546497Y (zh) 道路冰雪清除机
CN212896108U (zh) 一种保洁用除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