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827B1 -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827B1
KR102321827B1 KR1020210048283A KR20210048283A KR102321827B1 KR 102321827 B1 KR102321827 B1 KR 102321827B1 KR 1020210048283 A KR1020210048283 A KR 1020210048283A KR 20210048283 A KR20210048283 A KR 20210048283A KR 102321827 B1 KR102321827 B1 KR 10232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microphone
voic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형
Original Assignee
김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형 filed Critical 김남형
Priority to KR102021004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하나 이상의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 상기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소음 종류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류하는 소음 분류 모듈, 상기 소음 분류 모듈에서 분리된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유닛 및 상기 노이즈 제거 유닛에서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EQUIPMENT FOR REDUCING NOISE FROM AN OUTSIDE}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EQUIPMENT FOR REDUCING NOISE FROM AN OUTSIDE}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전함에 따라 이어폰 혹은 헤드폰의 사용도가 높아지고 다양한 환경에서 음악을 청취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사용자가 비행기, 버스, 거리와 같은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 높은 배경 잡음으로 인해 안정적인 음악 청취가 힘들다. 따라서, 배경 잡음을 제거하여 청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ancelling, ANC)를 이용한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 헤드폰이 개발/보급되고 있다.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은 소리의 특성인 중첩의 원리를 이용한다. 잡음과 반대 위상을 갖는 소음 제어 신호(또는 노이즈 캔슬링 신호)가 생성되고, 헤드폰의 이어패드 안쪽으로 유입되는 외부 잡음은 소음 제어 신호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능동 소음 제어는 구조에 따라 크게 피드 포워드 시스템(feed forward system)과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피드 포워드 시스템은 헤드폰 외부에 위치한 참조 마이크로부터 측정된 소음 신호를 기반으로 헤드폰 내부의 에러 마이크 위치에서의 소음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음악 신호의 왜곡 없이 넓은 대역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 피드백 시스템은 헤드폰 내부의 오차 마이크로부터 합성된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소음을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며 저주파 대역에서 높은 잡음 제거율을 보인다.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은 헤드폰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제품은 소비자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음에 따라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한 캔슬링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 제 10200701147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소음 또는 고출력 장비의 전원단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는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하나 이상의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
상기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소음 종류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류하는 소음 분류 모듈;
상기 소음 분류 모듈에서 분리된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유닛; 및
상기 노이즈 제거 유닛에서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음성 수신 마이크; 및
상기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음 분류 모듈 및 노이즈 제거 유닛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분류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소음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신호를 분류하여 해당 종류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이즈 제거 유닛으로 기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결정하도록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신호를 분석 및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상기 연산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소음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으로 노이즈 캔슬링된 신호의 저감율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 1 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기설정된 값에 따라 제어부와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는 압력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 센서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신호를 송출하거나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는, 외부의 소음 또는 고출력 장비의 전원단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노이즈 캔슬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노이즈 캔슬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10), 복수의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 상기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한 쌍의 마이크(120, 130), 마이크(12, 130)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소음 종류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류하는 소음 분류 모듈(150), 소음 분류 모듈(150)에서 분리된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유닛(160) 및 노이즈 제거 유닛(160)에서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귀로 들어오는 소리 정보 중 필요에 따라서 일상생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선택적으로 차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값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 신호에 대해서는 노이즈 캔슬링 방식을 사용하여 제고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상대적 고주파 대역)의 소음 신호에 대해서는 차음제/흡음제 등으로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100)에서는 소리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소리가 사용자가 설정한 소음과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노이즈 캔슬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코고는 소리가 소음으로 설정된 경우, 소음으로 설정된 코고는 소리와 유사한 특성(주파수, 진폭, 발생 패턴 등)을 가지는 소리는 소음으로 판단되어 노이즈 캔슬링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주 노이즈 저감장치(100)의 본체(11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 다양한 전장기기들이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체(110)에는 예를 들어, 한 쌍의 마이크(120, 130), 감지센서(S), 소음 분류 모듈(150), 노이즈 제거 유닛(160) 및 스피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0, 13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 및 상기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와는 구분되도록 상기 전원단 등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130)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음성과 전기신호는 소음 분류 모듈(150)을 통하여 별도의 제어부(200)와 송수신될 수 있다.
소음 분류 모듈(150)은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 및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13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신호인지 제거 또는 감소시켜야 하는 신호인지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를 통하여 수음되는 상기 음성은 노이즈 제거 유닛(160)을 통하여 분류되고,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130)를 통하여 수음되는 상기 전자음은 노이즈 제거 유닛(160)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노이즈 제거유닛(160)은 제어부(200)와 송수신하며 소음 분류 모듈(150)을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테이터를 기설정된 정보에 따라서 처리한 후 스피커(170)를 통하여 출력 가능하도록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100)는, 소음 분류 모듈(150)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측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 1 퓨즈(fuse)와, 제 1 퓨즈를 통과한 교류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 1 ACCT(A.C Current Transformer; 교류변류기)와, 제 1 ACCT를 통과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Converter)와, 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직류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DCCT(D.C Current Transformer; 직류 변류기)와, DCCT를 통과한 직류 신호를 변압시키는 DCPT(DC Potential Transformer; 직류계기용 변압기)와, DCPT에 의해 변압된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와,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교류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 2 ACCT와, 제 2 ACCT의 출력측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 2 퓨즈와, 소음 분류 모듈(150)에 의해 감지되는 노이즈로부터 협대역 노이즈를 선택하여, 해당 주파수에 한하여 노이즈를 상쇄시키기 위한 역위상 노이즈의 발생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노이즈 제거유닛(160)에 전달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트롤러는 소음 분류 모듈(150)의 신호로부터 협대역 노이즈를 판단하고, 이러한 협대역 노이즈를 감쇄를 위한 역위상 노이즈가 노이즈 제거유닛(160)을 통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신호 처리에 대해서는 정해진 계산이나 시뮬레이션 또는 실험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노이즈 제거유닛(160)는 소음 분류 모듈(150)의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단에 역위상 노이즈를 인가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100)의 본체(110)의 내측에는 감지센서(S)가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예에서, 감지센서(S)는 압력감지 센서일 수 있다. 즉, 감지센서(S)는 본체(110)에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를 통하여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스피커(170)를 통하여 외부 신호(알람 등)로 경고하거나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저감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취침 등을 하는 경우에 감지센서(S)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부(200)로 송수신하여 외부 음성 또는 소음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100)를 이용한 노이즈 저감 또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소음 저감장치의 노이즈 캔슬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음성신호 또는 소음, 전자음 등이 1차적으로 구분되어 사람의 음성 신호는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를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소음 또는 전자음은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130)를 통하여 수신된다(S100).
이와 같이 구분되어 수신되는 신호는 소음 분류 모듈(150)을 통하여 분류될 수 있다(S200). 이어서, 상기 신호는 수음되는 소리의 종류에 따라서 노이즈 저감 또는 제거를 위한 신호값이 결정될 수 있다(S300).
이 때,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음성에서 측정되는 노이즈가 노이즈 제거 유닛(160)을 통하여 제거되거나 기설정된 값에 따라 저감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70)로 출력된다(S400). 만약, 상기 신호가 소음 또는 전자음 등일 경우에는 상기 소음 분류 모듈(150)에서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노이즈 제거 유닛(160)을 통하여 저감되거나,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100)의 본체(110)에 배치된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제1 음성 수신 마이크(120)를 통하여 수음되는 신호를 차단하거나, 외부로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부(200)가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100)의 외부로 스피터(170)로 소리 등의 알람을 송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부 노이즈 저감장치
110: 본체
120: 제1 소음 수신 마이크
130: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
150: 소음 분류 모듈
160: 노이즈 제거 유닛
170: 스피커

Claims (9)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
    하나 이상의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
    상기 음성 또는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소음 종류에 따라 상기 신호를 분류하는 소음 분류 모듈;
    상기 소음 분류 모듈에서 분리된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유닛; 및
    상기 노이즈 제거 유닛에서 제거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음성 수신 마이크와 상기 전원단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전자음 수신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분류 모듈 및 노이즈 제거 유닛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음 분류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소음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신호를 분류하여 해당 종류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음성에서 측정되는 노이즈가 노이즈 제거 유닛(160)을 통하여 제거되거나 기설정된 값에 따라 저감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70)로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소음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으로 노이즈 캔슬링된 신호의 저감율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기설정된 값에 따라 제어부와 송수신하는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이즈 제거 유닛으로 기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결정하도록 송수신하는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신호를 분석 및 연산하는 연산모듈; 및
    상기 연산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압력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 센서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신호를 송출하거나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KR1020210048283A 2021-04-14 2021-04-14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KR10232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83A KR102321827B1 (ko) 2021-04-14 2021-04-14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283A KR102321827B1 (ko) 2021-04-14 2021-04-14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827B1 true KR102321827B1 (ko) 2021-11-04

Family

ID=7852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283A KR102321827B1 (ko) 2021-04-14 2021-04-14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720A (ko) 2005-02-23 2007-12-04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유기 중간 컨넥터를 갖는 직렬식 oled
KR20140084902A (ko) * 2012-12-27 2014-07-07 전자부품연구원 청력 보호 장치 및 청력 보호 장치에서 수행되는 청력 보호 방법
KR2016011174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비에스엘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101860523B1 (ko) * 2017-03-16 2018-06-29 주식회사 비에스엘 알고리즘 처리 모듈 분리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720A (ko) 2005-02-23 2007-12-04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유기 중간 컨넥터를 갖는 직렬식 oled
KR20140084902A (ko) * 2012-12-27 2014-07-07 전자부품연구원 청력 보호 장치 및 청력 보호 장치에서 수행되는 청력 보호 방법
KR20160111744A (ko) * 2015-03-17 2016-09-27 주식회사 비에스엘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101860523B1 (ko) * 2017-03-16 2018-06-29 주식회사 비에스엘 알고리즘 처리 모듈 분리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9129B (zh) 使用听筒麦克风的个人声音设备的头上/头外检测
CN104246870B (zh) 在耳用扬声器通道中的适应性噪音消除(anc)的协调控制
JP5880340B2 (ja) ヘッドホン装置、装着状態検出装置、装着状態検出方法
EP2680608B1 (en) Communication headset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device, and noise reduction communication headset
JP2019533953A (ja) ヘッドフォンオフイヤー検知
EP3472830B1 (en) Mitigation of unstable conditions in a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US20150294662A1 (en) Selective Noise-Cancelling Earphone
CN111149369A (zh) 头戴式受话器耳上状态检测
US11468875B2 (en) Ambient detector for dual mode ANC
WO2019226739A1 (en) Real-time detection of feedback instability
US11386881B2 (en) Active noise cancelling based on leakage profile
US20210227313A1 (en) Headphone operation during headphone insertion detection
JPH10294989A (ja) 騒音制御ヘッドセット
KR102321827B1 (ko) 외부 노이즈 저감 장치
KR20140006394A (ko) 이어폰 및 헤드폰의 주변 환경 소음저감 처리 장치
RU2756385C1 (ru) Активируемое голосом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звука для головных гарнитур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едставления сигналов микрофона в частотной области
CN114450745A (zh) 用于耳戴式播放设备的音频系统和信号处理方法
US20200204916A1 (en) Extended bandwidth adaptive noise cancelling system and methods
US1188926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system having a hearing instrument, hearing aid system and hearing instrument
KR20150027622A (ko) 자세 검출에 기반한 피드백 방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KR101739441B1 (ko) 능동 소음 제어형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
US11763791B2 (en) Noise amplification control in adaptive noise cancelling systems
EP4329335A1 (en) A method of reducing wind noise in a hearing device
CN110383854B (zh) 一种侦测电路和方法
KR20180002063A (ko) 착용형 소음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