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702B1 - 엘이디 조명등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702B1
KR102321702B1 KR1020190130342A KR20190130342A KR102321702B1 KR 102321702 B1 KR102321702 B1 KR 102321702B1 KR 1020190130342 A KR1020190130342 A KR 1020190130342A KR 20190130342 A KR20190130342 A KR 20190130342A KR 102321702 B1 KR102321702 B1 KR 10232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housing
cover
st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930A (ko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윤 filed Critical 한상윤
Priority to KR102019013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7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21V25/04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breaking the electric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커버홀더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림부재를 매개로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커버홀더에 끼워지는 투명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누름편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여 설치작업시 작업자 1인만으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커버홀더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에 덮여지는 상부덮개의 상부면상에는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의 표시램프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리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조명등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등장치{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엘이디 조명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커버홀더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림부재를 매개로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커버홀더에 끼워지는 투명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누름편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여 설치작업시 작업자 1인만으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커버홀더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에 덮여지는 상부덮개의 상부면상에는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의 표시램프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리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이디 조명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의 광원으로는 백열 전구 또는 형광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백열 전구 또는 형광등은 소비 전력이 높아 자원을 낭비하고, 환경보호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백열 전구의 경우 필라멘트의 전기 저항 발열이 높아 환경 온도를 상승시키고 전등의 사용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가 가능해 경제적이며, 다양한 조명광과 높은 시인성으로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엘이디'라 함)를 이용한 조명등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엘이디는 다수의 캐리어(Carrier)가 전자인 N형 반도체 결정과 다수의 캐리어가 정공인 P형 반도체 결정이 서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는 광전변환 반도체 소자를 의미하며, 엘이디는 PN접합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자연방출 광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엘이디 광전변환 효율(Efficiency, lumen/watt)이 높기 때문에 백열 전구와 형광등과 비교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예열시간이 불필요하여 점등, 소등속도가 빠르다.
또한, 엘이디는 가스나 필라멘트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인 직류 점등방식의 채택으로 전력소모가 적은 것은 물론, 펄스 동작이 가능하고, 시신경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효과도 낼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 같은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대부분의 조명등에는 전원공급모듈인 컨버터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버터는 그 자체가 열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하며, 열에 취약할 뿐 아니라, 수명이 짧다.
예로서,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는 엘이디칩의 수명이 대략 60,000시간인데 비하여 컨버터의 수명은 15,000 시간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엘이디 조명등장치는 통상적으로 상하부면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엘이디가 소정의 간격으로 실장된 엘이디램프와 안정기 같은 부품이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상부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커버홀더와; 상기 커버홀더의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투과시키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엘이디를 보호하는 투명커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적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본체부와 커버홀더의 조립이 단순히 다수개의 나사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게 되면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한 것은 물론, 조립상태가 불안정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97842호(명칭: 엘이디 조명등, 이하'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원이 연결된 조명등본체(1)와, 상기 조명등본체(1)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엘이디소자들이 식재된 엘이디발광판(2)들과, 상기 엘이디발광판(2)들을 감싸는 조명등투과갓(3)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A)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본체(1)내에는 전원과 상기 엘이디발광판(2)사이에 컨버터(10)가 설치되고 상기 컨버터(10)내에는 방열구성회로(11)가 설치되고, 상기 방열구성회로(11)는 발광다이오드(D2,D3)와 트랜지스터(Q1)가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D4,D5)와 트랜지스터(Q2)가 접속되고, 발광다이오드(D6)와 트랜지스터(Q3)가 접속된 구성으로 일단부에는 터미널블록(J2)이 설치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트랜지스터(Q1,Q2,Q3)에서 주기적으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공급하고, 상기 엘이디발광판(2)은 조명등본체(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에서 양측의 가장자리로 경사지게 배치된 주엘이디발광판체(21)와, 상기 조명등본체(1)의 상기 중심선(c)에서 단부의 가장자리로 경사지게 배치된 단부엘이디발광판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주엘이디발광판체(21)는 경사각(α)은 10도 내지 35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단부엘이디발광판체(22)는 경사각(β)은 5도 내지 20도의 경사각을 가지게 배치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LED소자의 스팟현상이 최소화되며 반사판이 적합한 각도로 배치되어 조명효율이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LED의 발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면서 LED의 수명이 연장되어 내구수명이 장기적으로 연장된다는 효과는 있으나, 구조가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천장패널에 대한 장착구조가 불량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전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97842호, "엘이디 조명등".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커버홀더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림부재를 매개로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커버홀더에 끼워지는 투명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누름편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여 설치작업시 작업자 1인만으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조명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홀더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조명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덮여지는 상부덮개의 상부면상에는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의 표시램프가 노출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리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조명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면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엘이디가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안정기 같은 부품이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상부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커버홀더와; 상기 커버홀더의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투과시키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엘이디를 보호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면상에 다수개의 체결공과 걸림공이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커버홀더에 끼워지는 투명커버와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홀더의 내벽 상부면에 고정되게 체결되는 누름편과; 상기 하우징상의 단턱부에 형성된 걸림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누름편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단턱부상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누름편에 체결되도록 상부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가장자리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종(從)방향 윗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중심쪽으로 오무려지거나 바깥쪽으로 벌려지도록 자체탄성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지지편의 윗부분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상의 단턱부에 형성된 걸림공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면 일측에는 본체부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되어 윗부분으로 조사되는 조명빛이 상부덮개의 상부면 윗쪽으로 비춰지도록 하는 볼록렌즈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면 일측에는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야광테이프나 형광테이프 또는 조명빛에 의하여 시인(視認)되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누름편의 하부면에는 투광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입구쪽 윗부분은 투광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를 원활하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누름편의 바깥쪽 하부면에는 커버홀더상의 내벽 윗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면에는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 표시램프가 노출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R,G,B 표시램프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거나 단일한 형태로 모듈화되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파지부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대하여 본체부를 수납 또는 분리하거나 본체부를 운반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상의 어느 한쪽의 마주하는 단턱부의 면상에는 걸림부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마주하는 단턱부 면상에는 포장 운반시 걸림부재가 유실되지 않도록 단순히 끼워져 수납되기만 하는 수납장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엘이디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상에는 해당 본체부에 적용된 엘이디의 제조원과 밝기를 나타내는 엘이디규격표시판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에는 다수의 엘이디 제조사를 나타내는 제조원표시부와 엘이디의 밝기를 나타내는 밝기표시부가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조원표시부의 끝부분과 밝기표시부의 끝부분에는 엘이디모형이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편; 본체부에 대한 엘이디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상의 제조원표시부와 밝기표시부에 부착된 엘이디모형중에서 해당 본체부에 적용된 엘이디의 제조원과 밝기에 해당되는 엘이디모형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본체부에 적용된 엘이디의 제조원과 밝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엘이디 조명등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커버홀더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체결되고, 커버홀더에 끼워지는 투명커버 및 반투명필름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누름편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시 작업자 1인만으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홀더의 장착상태가 체결볼트 및 걸림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덮여지는 상부덮개의 상부면상에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의 표시램프가 노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가 형성되어 있어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작업하는 도중에도 출구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본체부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이 볼록렌즈를 통하여 천장의 내부로 비춰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의 상부면에 파지부가 형성되어 본체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대하여 수납 또는 분리하거나 운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우징의 일측 마주하는 단턱부에는 걸림부재가 단순히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장공이 형성되어 포장 운반시 걸림부재의 유실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상의 회로기판상에 실장된 엘이디의 제조사 및 밝기를 나타내는 엘이디규격표시부가 설치되되, 상기 엘이디규격표시부에는 제조원표시부와 엘이디의 밝기를 나타내는 밝기표시부가 구분되어 표시되고, 제조원표시부와 밝기표시부의 끝부분에는 엘이디모형이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본체부에 대한 엘이디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상의 제조원표시부와 밝기표시부에 부착된 엘이디모형중에서 해당 본체부에 적용된 엘이디의 제조원과 밝기에 해당되는 엘이디모형을 떼어내면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본체부에 적용된 엘이디의 제조원과 밝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가 천장패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가 천장패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하우징과 커버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걸림부재를 매개로 하우징과 커버홀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가 천장패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및 투명커버와 반투명필름이 누름편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R,G,B 표시램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R,G,B 표시램프의 설치상태 및 볼록렌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엘이디가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엘이디규격표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체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엘이디가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엘이디규격표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에서 엘이디가 실장된 회로기판상에 엘이디규격표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10)에서는 상하부면이 개구된 하우징(20)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본체부(30)가 수용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부(30)에는 다수개의 엘이디(31)와 안정기(32) 같은 각종 부품이 회로기판(33)상에 실장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는 상부덮개(40)가 탈착가능하게 덮여지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된 하부의 가장자리에는 커버홀더(50)가 배치되는데, 상기 커버홀더(50)의 바깥쪽에는 높이가 높은 외벽(51)과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내벽(52)이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커버홀더(5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투과시키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엘이디(31)를 보호하는 투명커버(53)가 설치되며, 상기 투명커버(53)의 상부면에는 반투명필름(54)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주면상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60)의 면상에는 체결볼트(B)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공(61)과 걸림공(62)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60)상의 체결공(61)은 커버홀더(50)의 외벽(51)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홀더(50)의 내벽(52) 상부면에는 투명커버(53)와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 상부면이 끼워지도록 하는 별도의 누름편(70)이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름편(70)의 하부면에는 투광커버(53) 및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안착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71)의 입구쪽 윗부분은 투광커버 (53) 및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를 원활하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누름편(70)의 바깥쪽 하부면에는 커버홀더(50)상의 내벽(52) 윗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7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상의 단턱부(60)에 형성된 걸림공(6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누름편(70)의 상부면에는 단턱부(60)상의 걸림공(6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재(80)가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80)는 누름편(70)에 체결되는 수평의 베이스부(81)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부(81)의 면상에는 체결볼트(B)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81a)이 형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부(81)의 일측 가장자리 양쪽 끝부분에는 한 쌍의 지지편(82)이 종(從)방향 윗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지지편(82)은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중심쪽으로 오무려지거나 바깥쪽으로 벌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82)의 상단에는 손잡이부(83)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83)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지지편(82)의 윗부분에는 상기 하우징(20)상의 단턱부(60)에 형성된 걸림공(62)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84)이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0)상의 어느 한쪽의 마주하는 단턱부(60)의 면상에는 걸림부재(80)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공(62)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마주하는 단턱부(60) 면상에는 포장 운반시 걸림부재(80)가 유실되지 않도록 단순히 끼워져 수납되기만 하는 수납장공(6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덮개(40)의 상부면 일측에는 본체부(30)상의 엘이디로부터 발생되어 윗부분으로 조사되는 조명빛이 상부덮개(40)의 상부면 윗쪽으로 비춰지도록 하는 볼록렌즈(9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상부덮개(40)의 상부면 일측에는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91)가 야광테이프나 형광테이프 또는 조명빛에 의하여 시인(視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덮개(40)의 상부면에는 전원과 안정기(32) 및 본체부(30)상의 엘이디(3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붉은색(R) 표시램프(92)와 녹색(G) 표시램프(93), 파랑색(B) 표시램프(94)가 노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R,G,B 표시램프(92)(93)(9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거나 단일한 형태로 모듈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대하여 본체부(30)를 수납 또는 분리하거나 본체부(30)를 운반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30)의 상부면에는 파지부(34)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3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33)상에는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를 나타내는 엘이디규격표시판(10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100)에는 다수의 엘이디 제조사를 나타내는 제조원표시부(101)와 엘이디(31)의 밝기를 나타내는 밝기표시부(102)가 구획되어 형성되되는데, 상기 제조원표시부(101)의 끝부분과 밝기표시부(102)의 끝부분에는 엘이디모형(103)이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30)에 대한 엘이디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100)상의 제조원표시부(101)와 밝기표시부(102)에 부착된 엘이디모형(103)중에서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에 해당되는 엘이디모형(103)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10)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20)의 일측 마주하는 단턱부(60)상의 수납장공(63)에 단순히 수납되어 있던 걸림부재(80)를 빼낸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20)상의 반대쪽 마주하는 단턱부(60)에 형성된 걸림공(6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누름편(70)의 상부면에 걸림부재(80)상의 베이스부(81)를 배치한 후 베이스부상에 형성된 체결공(81a)를 통하여 체결볼트(B)를 체결한 상태에서 누름편(70)의 바깥쪽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72)에 커버홀더(50)상의 내벽(52)의 윗부분을 끼우고 체결볼트(B)로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편(7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안착홈(71)에 투명커버(53)와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를 밀어 끼워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커버홀더(50)에 투명커버(53)와 반투명필름(54)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천장패널(P)에 형성된 설치공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하우징(20)을 끼워 장착하고, 상기 커버홀더(50)를 하우징(20)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밀어 누름편(70)상의 걸림부재(80)가 하우징(20)의 단턱부(60)상에 형성된 걸림공(62)에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걸림부재(8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82)이 걸림공(62)을 통과하면서 중심쪽으로 오무려졌다가 걸림공(62)의 윗쪽으로 통과된 후 바깥쪽으로 벌려짐과 동시에 걸림공(62)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편(82)의 윗부분에 형성된 걸림홈(84)에 끼워져 걸리면서 하우징(20)의 단턱부(60)에 대한 커버홀더(5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60)에 형성된 체결공(61)을 통하여 끼워지는 체결볼트(B)를 커버홀더(50)의 외벽(51) 상부면에 체결하면 커버홀더(5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본체부(30)를 수납하고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윗부분에 상부덮개(40)를 덮으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0)과 커버홀더(5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카바홀더(50)의 외벽(51)에 체결된 체결볼트(B)를 분리시킨 다음 걸림부재(80)를 구성하는 지지편(82)의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83)을 잡고 중심쪽으로 오무리면 걸림공(62)의 가장자리가 걸림홈(84)로부터 빠지면서 아랫쪽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30)상의 엘이디(31)가 점등되면 조명빛의 대부분은 반투명필름(54)과 투명커버(53)를 통하여 실내로 조사되고, 윗쪽으로 조사되는 조명빛의 일부분은 상부덮개(40)의 상부면에 설치된 볼록렌즈(90)를 통하여 천정내부로 조사되면서 어두운 천장내부를 밝히거나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91)를 비춰 시인성(視認性))을 높여준다.
한편, 사용중 안정기(32)가 고장나는 경우에 상부덮개(40)에 설치된 녹색표시램프(93)가 'OFF'되고, 엘이디(31)가 고장나는 경우에 파랑색 표시램프(94)가 'OFF'되기 때문에 어두운 천장에 진입한 작업자가 고장원인을 쉽게 파악하고 조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부덮개(40)의 일측에 출구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91)가 야광테이프나 형광테이프 또는 조명빛에 의하여 밝게 빛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비상시 출구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작업현장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20)의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커버홀더(50)가 하우징(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60)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체결되고, 커버홀더(50)에 끼워지는 투명커버(53) 및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누름편(70)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시 작업자 1인만으로도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커버홀더(50)의 장착상태가 체결볼트(B) 및 걸림부재(80)에 의하여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하우징(20)에 덮여지는 상부덮개(40)의 상부면상에 전원과 안정기 및 본체부상의 엘이디(LED)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장발생시 'OFF'되는 R(Red), G(green), B(Blue)의 표시램프(92)(93)994)가 노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고장발생 원인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91)가 형성되어 있어 어두운 천장내부에서 작업하는 도중에도 출구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본체부(30)상의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이 볼록렌즈(90)를 통하여 천장의 내부로 비춰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 상기 본체부(30)의 상부면에는 파지부(34)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부(30)를 하우징(20)의 내부에 대하여 수납 또는 분리하거나 운반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마주하는 단턱부(60)에는 걸림부재(80)가 단순히 끼워져 수납되는 수납장공(63)이 형성되어 포장 운반시 걸림부재(8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의 회로기판(33)상에 실장된 엘이디(31)의 제조사 및 밝기를 나타내는 엘이디규격표시부(1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엘이디규격표시부(100)에는 엘이디(31)의 제조사를 나타내는 제조원표시부(101)와 엘이디(31)의 밝기를 나타내는 밝기표시부(102)가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조원표시부(101)와 밝기표시부(102)의 끝부분에는 엘이디모형(103)이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30)에 대한 엘이디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100)상의 제조원표시부(101)와 밝기표시부(102)에 부착된 엘이디모형(103)중에서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에 해당되는 엘이디모형(103)을 떼어내면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 엘이디 조명등장치
20 : 하우징 30 : 본체부
31 : 엘이디 33 : 회로기판
34 : 파지부 40 : 상부덮개
50 : 커버홀더 60 : 단턱부
61 : 체결공 62 : 걸림공
63 : 수납장공 70 : 누름편
71 : 안착홈 72 : 결합홈
80 : 걸림부재 81 : 베이스부
82 : 지지편 83 : 손잡이부
84 : 걸림홈 90 : 볼록렌즈
91 : 화살표 92 : 붉은색 표시램프
92 : 녹색 표시램프 94 : 파랑색 표시램프
100 : 엘이디규격표시판 101 : 제조원표시부
102 : 밝기표시부 103 : 엘이디모형.

Claims (11)

  1. 상하부면이 개구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엘이디(31)와 안정기(32)가 회로기판(33)에 실장되는 본체부(3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상부덮개(40)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된 하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커버홀더(50)와; 상기 커버홀더(50)의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부(30)상의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조명빛을 투과시키고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엘이디를 보호하는 투명커버(53)와; 상기 하우징(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면상에 다수개의 체결공(61)과 걸림공(62)이 형성된 단턱부(60)와; 상기 엘이디(3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33)상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을 나타내는 제조원표시부(101)와 엘이디(31)의 밝기를 나타내는 밝기표시부(102)가 구획되어 형성된 엘이디규격표시판(100)을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50)에 끼워지는 투명커버(53)와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 상부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홀더(50)의 내벽 상부면에 고정되게 체결되는 누름편(70)과;
    상기 하우징(20)상의 단턱부(60)에 형성된 걸림공(62)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누름편(7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부가 단턱부(60)상의 걸림공(6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80)는 누름편(70)에 체결되도록 상부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부(81)와;
    상기 베이스부(81)의 일측 가장자리 양쪽 끝부분으로부터 종(從)방향 윗쪽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중심쪽으로 오무려지거나 바깥쪽으로 벌려지도록 자체탄성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82)과;
    상기 지지편(82)의 상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83)와;
    상기 손잡이부(83)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지지편(82)의 윗부분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상의 단턱부(60)에 형성된 걸림공(62)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8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40)의 상부면 일측에는 출구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91)가 야광테이프나 형광테이프 또는 조명빛에 의하여 시인(視認)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70)의 하부면에는 투광커버(53) 및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안착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71)의 입구쪽 윗부분은 투광커버(53) 및 반투명필름(54)의 가장자리를 원활하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누름편(70)의 바깥쪽 하부면에는 커버홀더(50)상의 내벽 윗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100)을 구성하는 제조원표시부(101)와 밝기표시부(102)의 끝부분에는 엘이디모형(103)이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편;
    상기 본체부(30)에 대한 엘이디(31)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엘이디규격표시판(100)상의 제조원표시부(101)와 밝기표시부(102)에 부착된 엘이디모형(103)중에서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에 해당되는 엘이디모형(103)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수리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본체부(30)에 적용된 엘이디(31)의 제조원과 밝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20190130342A 2019-10-21 2019-10-21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232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42A KR102321702B1 (ko) 2019-10-21 2019-10-21 엘이디 조명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42A KR102321702B1 (ko) 2019-10-21 2019-10-21 엘이디 조명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30A KR20210046930A (ko) 2021-04-29
KR102321702B1 true KR102321702B1 (ko) 2021-11-04

Family

ID=7572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342A KR102321702B1 (ko) 2019-10-21 2019-10-21 엘이디 조명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12B1 (ko) * 2011-07-07 2011-09-30 (주)동화조명 투광판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커버틀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03B1 (ko) * 2008-08-07 2011-01-06 한문수 크린룸 전용 형광등기구
KR100997842B1 (ko) 2008-12-12 2010-12-01 문복룡 엘이디 조명등
KR101085094B1 (ko) * 2009-11-11 2011-11-18 주식회사 크린세븐 크린룸용 등기구
KR20180067474A (ko) * 2018-05-31 2018-06-20 한상윤 점검 표시램프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12B1 (ko) * 2011-07-07 2011-09-30 (주)동화조명 투광판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커버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30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794B1 (ko) 직관형 엘이디 조명램프
KR101931013B1 (ko) 엘이디 조명기구
JP2012204162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0445125Y1 (ko) 엘이디 조명기구의 커버
JP2013062108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2321702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KR200470889Y1 (ko) Led 조명기구 케이스
KR20130101697A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KR20170064433A (ko) 벌브형 led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6948022B2 (ja) 照明器具
KR200444476Y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972981B1 (ko) Led를 이용한 헤드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한 헤드 램프장치
KR102282948B1 (ko) 표시램프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102209046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1325080B1 (ko) 엘이디 촛대전구
KR102073866B1 (ko) 탈부착형 천장등
TW201323770A (zh) 照明裝置
JP6777896B2 (ja) 照明器具
KR101391340B1 (ko) 전면 및 후면 조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제품
KR100994136B1 (ko) 배면 착탈 구조의 엘이디 조명 장치
KR200315752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448152Y1 (ko) 발광다이오드용 매입등의 조명장치
KR20110085525A (ko) 매입등의 설치구조
KR200436677Y1 (ko) 플러그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KR200448501Y1 (ko) 누광 차단구조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