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672B1 -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672B1
KR102321672B1 KR1020210129110A KR20210129110A KR102321672B1 KR 102321672 B1 KR102321672 B1 KR 102321672B1 KR 1020210129110 A KR1020210129110 A KR 1020210129110A KR 20210129110 A KR20210129110 A KR 20210129110A KR 102321672 B1 KR102321672 B1 KR 10232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rtu
automatic
measurement modu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124A (ko
Inventor
김광재
이정환
이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2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measuring, e.g. calibration and initialisation, measuring workpiece for machining purpo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215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정주기 도래시, 자동으로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입력하고 제작사별 규격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으로 계측하며, 해당 교정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자동 교정장치와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연동시켜서 피교육자들이 가상의 교정 훈련을 수행하고 자동 교정장치의 결과와 비교하여 실수를 수정해나가도록 한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AUTOMATIC CALIBRATING APPARATUS FOR RTU OF A SCADA SYSTEM AND METHOD CALIBRATION SIMULATING METHOD}
본 발명은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교정주기 도래시, 자동으로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입력하고 제작사별 규격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으로 계측하며, 해당 교정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SCADA 시스템은 전력계통 운용 자동화 및 변전소 무인운전을 위해 구축되며, 변전소에 있는 각종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감시*?*계측하여 급전분소에 있는 운전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운전원의 조작에 의하여 변전소설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SCADA 시스템은 운전원이 전력설비를 감시·제어할 수 있는 급전분소 시스템과 변전소에 설치된 단말장치인 원격소장치(RTU: Remote terminal unit)로 구성된다.
원격소장치는 무인변전소에 설치되어 전력설비를 감시·제어·계측하는 장치로서 급전분소로부터 송출된 명령을 수신하여, 전력설비를 제어하고, 전력설비로부터 취득한 상태감시 및 계측정보를 급전분소로 송출하는 설비이다.
전력설비의 계측값은 원격소장치의 계측모듈을 통해 급전분소로 전달되는데, 계측모듈은 전력설비로부터 입력된 고전압 및 고전류의 AC 신호를 원격소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소전류인 DC ± 1mA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전력설비의 계측 정밀도에 따라 전력설비 신뢰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계측모듈의 계측값 오차를 줄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주기적으로 교정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상적인 계측모듈의 교정 작업은 ① 교정자가 계측모듈에 전압, 전류값을 인가하여 계측되는 출력 값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② 계측된 출력 값이 오차범위 내 있는지 확인하고, ③ 오차범위를 벗어난 채널에 대해 교정을 수행하고, ④ 교정 후 계측모듈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여 출력된 계측 값의 정확도를 다시 육안으로 확인하며, ⑤ 교정 작업 후 시험성적서 작성을 위해 데이터 편집을 수기로 하고 있어 교정작업의 결과가 교정자의 업무숙련도에 따라 크게 다르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원격소장치의 교정은 오차 범위를 벗어난 채널에 대해 교정을 수행하는데, 해당 채널의 가변저항을 조절하거나, 교정 명령어를 입력하여 교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각 제작사별로 교정방법과 교정명령어가 상이하여 교정의 신뢰도가 교정자의 업무숙련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하나의 원격소장치에는 여러개의 계측모듈이 있어 장시간의 교정 작업으로 인해 휴먼에러가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계측모듈 교정시 교정 프로그램 이외에 계측모듈에 인가될 입력 전압 및 전류값 생성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구동해야 하며, Case별로 교정자가 전압 및 전류값 생성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여 사용하고 있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6754 등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도 모두 교정작업은 교정자가 수동으로 처리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교정주기 도래시, 자동으로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입력하고 제작사별 규격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으로 계측하며, 해당 교정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자동 교정장치와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연동시켜서 피교육자들이 가상의 교정 훈련을 수행하고 자동 교정장치의 결과와 비교하여 실수를 수정해나가도록 한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카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원격소장치(RTU)의 내부에 구비된 계측모듈에 대해 자동 교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내부에 상기 계측모듈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와; 상기 계측모듈의 계측값과, 정상 계측값을 비교하는 계측값 비교부와; 계측값 비교를 통해, 기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에 따라 교정 대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대상 채널 판독부와; 해당 계측모듈에 대한 교정값을 연산하는 교정값 연산부와; 해당 교정값에 대한 교정 처리를 수행하는 교정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을 상기 계측모듈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계측모듈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제작사별로 저장하는 제작사별 규격데이터 저장부와; 계측모듈의 제작사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은 5종류이고, 30V, 1A/ 60V, 2A/ 90V, 3A/ 120V, 4A/ 150V, 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제작사 정보, 자동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정보, 각 계측모듈별 계측값 정보, 교정 대상채널 정보, 교정값 정보, 교정이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각 계측모듈(제작사별)별 및 교정시간별 교정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교정이력 저장부와; 현재의 자동 교정값과, 과거의 교정이력을 비교하여 해당 교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교정검증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정처리부는 자동 연산된 교정값을 입력하고, 교정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a) 피교육자가 원격소장치의 제조사 정보와 전압 및 전류값을 인가받는 과정과; b) 피교육자가 선택한 오류 상황 정보가 선택되는 과정과; c) 해당 오류상황에 맞게,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계측모듈의 오차를 생성시키는 과정과; d) 해당 피교육자가 육안으로 계측모듈의 아날로그 신호값을 확인하여 채널 교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e) 상기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RTU 자동 교정장치로부터 동일 오차에 대한 자동교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f) 피교육자의 교정정보와, RTU 자동 교정장치의 자동 교정정보를 각 교정 진행항목별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과정은, 상기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피교육자로부터 교정값과 교정명령어를 입력받아서 교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 다음으로, 피교육자의 교정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은 SCADA 원격소장치 교정업무 자동프로세스화로 교정 속도를 개선할 수 있고, 휴먼 에러를 방지할 수 있고, 교정신뢰도 향상으로 인해 전력설비의 계측 정밀도가 향상되며, 또한, 단순 반복하는 비효율적인 업무 개선으로 업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신입직원, 순환보직자 등 비숙련자도 교정작업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어 스마트한 근무환경 조성이 가능하고, 사업소 또는 변전소 별 원격소장치 제작사 정보, 계측모듈 현황을 관리할 수 있고, 계측모듈 교정작업 이력을 관리할 수 있어서 SCADA 원격소장치 유지보수 업무의 효율적 수행이 가능하고, 교정 교육을 위해 변전소 방문이 불필요해 교육자의 시간과 비용적 부담이 완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스카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통한 조회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통한 교정 상황과 내역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플로우챠트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스카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통한 조회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통한 교정 상황과 내역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가 구비된 스카다 시스템은 교정주기 도래시, 자동으로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입력하고 제작사별 규격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으로 계측하며, 해당 교정이력을 저장함으로써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자동 교정장치와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연동시켜서 피교육자들이 가상의 교정 훈련을 수행하고 자동 교정장치의 결과와 비교하여 실수를 수정해나가도록 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스카다 시스템에 포함된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원격소장치(RTU)의 내부에 구비된 계측모듈(10)에 대한 자동 교정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그 내부에, 상기 계측모듈(10)에 대해 자동 교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내부에 상기 계측모듈(10)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106)와; 상기 계측모듈(10)의 계측값과, 정상 계측값을 비교하는 계측값 비교부(112)와; 계측값 비교를 통해, 기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에 따라 교정 대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대상 채널 판독부(114)와; 해당 계측모듈(10)에 대한 교정값을 연산하는 교정값 연산부(116)와; 해당 교정값에 대한 교정 처리를 수행하는 교정처리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정처리부(118)는 자동 연산된 교정값을 입력하고, 교정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SCADA 시스템은 일정주기마다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를 이용하여 RTU 계측모듈(10)에 대한 자동 교정을 수행하는 바, 자동 교정을 위한 주기는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에 설정되어져 있으며, 자동교정주기 도래시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106)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은 5종류이고, 30V, 1A/ 60V, 2A/ 90V, 3A/ 120V, 4A/ 150V, 5A이다.
즉,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106)은 상기 5 종류의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RTU 계측모듈(10)에 순차에 따라 자동 인가시키고, 그에 따른 계측결과값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그 계측 결과값이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자동으로 해당 채널에 대한 교정을 수행한다.
마땅히,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106)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을 상기 계측모듈(10)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10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상기 계측모듈(10)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제작사별로 저장하는 제작사별 규격데이터 저장부(104)와; 계측모듈(10)의 제작사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10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에서 교정자가 하는 선택은 상기 RTU 계측모듈(10)의 제작사 정보 선택이고, 나머지 교정 대상 채널의 추출과 교정 처리 등의 모든 교정 관련 처리는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에서 자동으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제작사 정보, 자동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정보, 각 계측모듈별 계측값 정보, 교정 대상채널 정보, 교정값 정보, 교정이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110)가 더 포함되고, 각 계측모듈(제작사별)별 및 교정시간별 교정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교정이력 저장부(122)가 포함된다.
따라서, 만약, 차후 교정시 유사한 오차값 등이 검출되는 경우라면, 상기 교정이력 저장부(122)에 저장된 교정이력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상기 RTU 계측모듈(10)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현재의 자동 교정값과, 과거의 교정이력을 비교하여 해당 교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교정검증부(120)가 더 포함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압 및 전류값을 생성시키고 상기 RTU 계측모듈(10)에 대한 전압 및 전류값의 입력과, 그 계측값을 통해 산출된 교정값을 적용하기 이전에, 과거의 교정데이터 예컨대, 동일 제작사 및 동일 전압 및 전류값 및 오차에 대한 교정값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산출된 교정값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자동으로 상기 RTU 계측모듈(10)에 대한 교정처리를 수행하면서도 상기한 검증과정을 거쳐서, 교정자보다 더 정밀하고 악화된 작업 환경적 실수를 완전히 배제한 매우 정밀한 교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메인화면을 통해 사업소별, 변전소별 원격소장치 정보 등록, 조회 및 관리하는 기능이 있으며, 변전소 내 원격소장치(RTU) 정보 조회 및 원격소장치(RTU) 내 계측모듈 구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소장치(RTU) 내의 모든 계측모듈이 모두 순차적으로 교정될 수 있도록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전압, 전류 입력별 허용 기준을 관리하여 교정채널 검출 및 교정값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입력모듈의 ① Analog값을 계측하고, ② 오차 교정채널을 검출하며, ③ 채널 별 오차 교정 값을 제시하며, ④ 자동 오차 교정 및 교정 후 오차 교정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원격소장치(RTU)에 탑재된 정합모듈을 3개씩 순차적으로 모두 오차 검증하고, 그 결과를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한 5종류의 전압, 전류 인가값에 대하여 교정 전 Analog값을 계측하고 화면에 표시하고, 교정이 필요한 채널을 검출하고 교정값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RTU 자동 교정장치(100)는 제시된 교정값에 따라 자동 교정을 수행하고, 교정 후 Analog값을 계측(교정여부체크위한 2차 계측)하여 교정여부를 확인화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의 플로우챠트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원격소장치(RTU) 제작사 별로 교정방법 및 교정명령어가 상이하여 교정 작업이 작업자의 업무숙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업무 비숙련자를 위한 역량강화 교육용 장치이다.
특히,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를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100)와 함께 연동하여 이용할 경우, 피교육자의 교정결과에 대한 평가와, 오류 검출이 용이하고 정확한 교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오차를 생성하여 교정자가 교정한 오차와, 자동 교정장치가 교정한 오차를 비교하여 교육하는 시뮬레이터로서, 피교육자가 원격소장치의 제조사 정보와 전압 및 전류값을 인가받는 전류/전압 입력부(206)와; 제조사 선택부(204)와; 피교육자가 선택한 오류 상황 정보가 선택되는 오류상황 선택부(202)와; 해당 오류상황에 맞게, 교육용 시뮬레이터(200)가 계측모듈의 오차를 생성시키는 오차생성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해당 피교육자가 육안으로 계측모듈의 아날로그 신호값을 확인하여 채널 교정을 수행하는 교정값/교정 명령어 입력부(212)와;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100)로부터 동일 오차에 대한 자동교정 정보를 수신하는 자동교정 결과값 수신부(214)와; 피교육자의 교정정보와, RTU 자동 교정장치(100)의 자동 교정정보를 각 교정 진행항목별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210)와; 피교육자의 교정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교정 교육이력 저장부(216)와;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1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교정장치와 연동되지 않고, 교육용 시뮬레이터(200) 자체만으로도 교정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용 교정 시뮬레이터는 ① 교정자가 원격소장치의 제작사 및 입력전압 및 전류 값을 선택하면, ② 선택한 CASE에 따라 교정 시뮬레이터는 오차를 자동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③ 이때 교정자는 Analog 오차를 육안으로 확인 후 오차범위를 벗어난 채널의 교정을 수행하면, 교정 시뮬레이터는 교정명령어를 수신하여, Tuning Factor에 따라 교정을 수행한 해당 채널값이 수정되도록 처리하여 교정된 값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U 자동 교정장치(100)와 연동되어 교육용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자동 교정장치를 통하여 교정 교육시 원거리의 변전소 등을 방문하지 않아도 교정 결과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므로, 일종의 검증용 교육 시뮬레이터라고 할 수 있다.
먼저, ① 피교육자가 원격소장치의 제작사를 선택하면, ② 시뮬레이터는 자동 교정장치의 입력전압 및 전류값을 수신하여, ③ 선택한 CASE에 따라 오차를 자동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④ 자동 교정장치는 채널별 오차 여부를 확인하여, 오차 범위를 벗어난 채널에 대해 자동으로 교정하며, ⑤ 시뮬레이터는 자동 교정장치로부터 채널 별 오차명령어를 수신하여, 해당 채널이 수정되도록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교정 시뮬레이터는 위와 같이 5종류의 인가전압, 전류값(30V, 1A → 60V, 2A → 90V, 3A → 120V, 4A → 150V, 5A)에 해당하는 오차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자동교정 장치(100)는 5종류의 인가전압, 전류값에 대한 오차를 자동으로 교정하며, 시뮬레이터(200)는 교정 명령어를 수신 받아 해당 채널 값이 수정되도록 처리한 후, 교정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피교육자가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를 통해 교정 처리를 수행하고, 이원화되게 구성된 상기 자동 교정장치(100)는 동일한 오류나 오차에 대한 자동 교정을 수행하고, 그 교정값을 상호 비교하면, 피교육자의 교정이 올바른 교정인지 검증할 수 있게 되고, 잘못된 교정인 경우 어떤 내용이 잘못된 것인지를 직접 피교육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터(200)는 제작사별, 5종류의 전압 및 전류인가 값에 대한 채널별 오류를 생성할 수 있고, 자동 교정장치(100)는 인가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선택한 CASE에 따라 인가전압 및 전류별 채널 오류를 생성하고, 교정이 필요한 값을 표시하고, 채널 교정 명령이 수신되면 Tuning Factor에 따라 채널 값이 수정되도록 처리하고, 원격소장치 계측모듈 자동교정장치와 송수신 되는 데이터 확인하며, 제조사별 명령어 및 메시지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RTU 계측모듈 100:RTU 자동교정장치
106: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 112:계측값 비교부
114:교정대상 채널 판독부 116:교정값 연산부
118:교정처리부 120:교정검증부
200:교정 교육용 시뮬레이터

Claims (5)

  1. 스카다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카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원격소장치(RTU)의 내부에 구비된 계측모듈에 대해 자동 교정작업을 수행하는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상기 계측모듈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
    상기 계측모듈의 계측값과, 정상 계측값을 비교하는 계측값 비교부;
    계측값 비교를 통해, 기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지에 따라 교정 대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정대상 채널 판독부;
    해당 계측모듈에 대한 교정값을 연산하는 교정값 연산부;
    해당 교정값에 대한 교정 처리를 수행하는 교정처리부; 및
    상기 교정처리부에서 교정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교정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교정값과 과거의 교정이력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연산된 교정값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교정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제작사 정보, 자동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정보, 각 계측모듈별 계측값 정보, 교정 대상채널 정보, 교정값 정보, 및 교정이력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계측모듈(제작사별)별 및 교정시간별 교정 이력을 저장하기 위한 교정이력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상기 교육용 시뮬레이터와 연동하여 이용될 경우, 피교육자의 상기 계측모듈의 교정결과에 대한 검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상기 계측모듈의 채널별 오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준 오차범위를 벗어난 채널에 대해 자동으로 오차를 교정하고, 자동 교정정보를 상기 교육용 시뮬레이터로 전송하며,
    상기 교육용 시뮬레이터는,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의 자동 교정정보를 상기 피교육자에 의해 교정된 교정결과와 비교하여 교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을 상기 계측모듈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TU 자동 교정장치는,
    상기 계측모듈에 입력할 전압 및 전류를 제작사별로 저장하는 제작사별 규격데이터 저장부; 및
    계측모듈의 제작사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및 전류 자동생성부에서 생성된 전압 및 전류값은 5종류이고, 30V, 1A/ 60V, 2A/ 90V, 3A/ 120V, 4A/ 150V, 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처리부는 자동 연산된 교정값을 입력하고, 교정명령어를 자동으로 입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다 시스템.
KR1020210129110A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32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10A KR102321672B1 (ko)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816A KR102317662B1 (ko) 2019-10-11 2019-10-11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210129110A KR102321672B1 (ko)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16A Division KR102317662B1 (ko) 2019-10-11 2019-10-11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24A KR20210124124A (ko) 2021-10-14
KR102321672B1 true KR102321672B1 (ko) 2021-11-05

Family

ID=757439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16A KR102317662B1 (ko) 2019-10-11 2019-10-11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210129110A KR102321672B1 (ko)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210129109A KR102321671B1 (ko)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816A KR102317662B1 (ko) 2019-10-11 2019-10-11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109A KR102321671B1 (ko) 2019-10-11 2021-09-29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17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73B1 (ko) * 2021-06-22 2023-11-16 한국전력공사 원격소장치 점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98B1 (ko) 2017-03-20 2017-07-26 동영테크원주식회사 계측기기의 추이 분석 및 자동 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264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전력공사 계측용 기기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98B1 (ko) 2017-03-20 2017-07-26 동영테크원주식회사 계측기기의 추이 분석 및 자동 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24A (ko) 2021-10-14
KR102317662B1 (ko) 2021-10-26
KR20210043087A (ko) 2021-04-21
KR102321671B1 (ko) 2021-11-05
KR20210122759A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671B1 (ko) 스카다 시스템의 rtu 자동 교정장치 및 그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육용 시뮬레이션 방법
CN106990384B (zh) 一种三相电能表错误接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4075744B (zh) 一种遥测设备自动化标定系统
CN109870649B (zh) 一种交流充电桩检定装置的校准系统及方法
CN115932530B (zh) 一种半导体检测设备标定的方法
CN104076807B (zh) 智能变电站的自动化系统的调试方法
CN107807345A (zh) 一种三相交流电能表检定系统及方法
CN104834264B (zh) 铁路客车控制室plc检测系统及方法
CN115453445A (zh) 一种过载保护电表自动检测装置、方法及介质
CN106225992A (zh) 基于压力变送器性能测试系统及方法
CN103971554A (zh) 电能计量装置故障带电检查模拟练习与考核系统
CN104698428A (zh) 一种多电能表自动化测试方法
KR101691639B1 (ko) 피코 암페어 미터 신뢰성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AU20162025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an electricity transmission grid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CN115598445B (zh) 一种基于硬件在环的电气故障检测方法及装置
KR101129467B1 (ko) 디지털 지시계의 교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103904B1 (ko) 지능형 압력전송기의 시험 및 교정 장치
CN102200778A (zh) 调节器参数自动校验装置
KR101358344B1 (ko) 발전소 여자기 자동전압조정기의 카드 시험장치
CN113156922A (zh) 一种ap1000核级电磁阀动作参数诊断装置和方法
CN106324549A (zh) 互感器接入式三相智能电表自动化误差检定装置监测方法
JP2004021583A (ja) プラント計装系の保守方法
CN116773083A (zh) 核电厂变送器离线校验方法及系统
CN109978340A (zh) 一种基于可视化的弹药错配校正系统及方法
KR101542211B1 (ko) 밸브개도 전송기의 성능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