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598B1 -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 Google Patents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598B1
KR102321598B1 KR1020210074116A KR20210074116A KR102321598B1 KR 102321598 B1 KR102321598 B1 KR 102321598B1 KR 1020210074116 A KR1020210074116 A KR 1020210074116A KR 20210074116 A KR20210074116 A KR 20210074116A KR 102321598 B1 KR102321598 B1 KR 10232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plate
striker
traction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우 filed Critical 박민우
Priority to KR102021007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6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adapted to the use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A trunk striker combined t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ble plate which has a mounting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for mounting an article; a support assembly which supports the table plate by contacting one end thereof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table plate and contacting the other end thereof with a circumference adjacent area of a striker mounted on a trunk for the vehicle; and a traction assembly which generates traction force toward the center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striker, to fix the table plate on the support assembly. The trunk striker combined table has excellent portability due to minimized volume and has an excellent bearing capacity due to stable installation on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본 발명은 차량용으로 사용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usab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that is formed to be coupled to a trunk striker for a vehicle and can provide a stable support force.

최근에는 자가 소유한 차량을 레저의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차량 내의 공간 및 구조를 이용하여 캠핑 등의 야외 활동을 보다 쾌적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다.Recently, self-owned vehicles have been actively used as leisure tools, and accordingly, various products are on the market that allow users to enjoy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more comfortably by using the space and structure in the vehicle.

또한 그 중에서도 소정의 물품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안착면을 제공하는 차량용 테이블은 그 형태가 가장 다양하고 활발하게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구이다.Also, among them, a vehicle table that provides a seating surface on an upper portion to support predetermined articles is the most diverse and actively developed tool.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테이블은 휴대하여 보관 시에는 다리를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고, 사용 시에 다리를 펴 사용하는 형태의 접이식 테이블이 주를 이루며, 일부는 이를 차량에 직접 시공하여 고정식으로 개조한 형태를 가진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table for vehicles is mainly a folding table that minimizes the volume by folding the legs when carrying it and using the legs when using it, and some of them are directly constructed on the vehicle and converted into a fixed type. have

다만,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테이블은 지지력이 크게 떨어지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 부딪혀 상부에 안착된 물품이 쉽게 넘어지거나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rtable table has a problem in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greatly reduced, and in some cases, the article seated on the upper part collides with the user's body and easily falls or falls.

또한 차량에 시공하는 형태의 테이블은 휴대형 접이식 테이블에 비해 지지력은 우수하나, 부피가 커 사용이 번거로우며 시공 시 차량의 외장이 직접적으로 변형되거나 손상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table installed on a vehicle has excellent support power compared to a portable folding table, but it is bulky and cumbersome to us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s directly deformed or damaged during construction.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2183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2183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휴대성이 우수하고, 손쉽게 조립하여 차량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우수한 지지력을 가지는 차량용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to have a minimum volume, so it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it is easily assembled for a vehicle to be stably installed in a vehicle and has excellent sup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ab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은, 물품을 안착하기 위한 기 설정된 면적의 안착면을 가지는 테이블 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차량용 트렁크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의 둘레 인접 영역에 접촉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및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스트라이커 사이에서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지 어셈블리 상에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견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A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able plate having a seating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for seating an articl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and the other end is a vehicle trunk a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the table plate by being in contact with a peripheral region of the striker mounted on the striker; and a traction assembly for fixing the table plate on the support assembly by generating a traction force in a central direction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striker. do.

이때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측에 연결되어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견인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assembly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pair of connect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o form both side surfaces, and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traction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member of.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의 사이사이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plurality of firs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meshed between the connecting protrusions.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장착된 둘레 인접 영역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area adjacent to which the striker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traction assembly is connected.

이때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견인 어셈블리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locking ring on which one side of the traction assembly is caught, and a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locking ring and fixed to the table plate.

그리고 상기 견인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트라이커 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후크형 부재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한 쌍의 후크형 부재의 일부와 각각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후크형 부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거리가변부재를 포함하는 견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traction assembly, a pair of hook-type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table plate or the strik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meshed with a part of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by a screw thread, respectively, to rotate the one It may include a traction unit including a distance variable member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또한 상기 견인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견인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견인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는 보조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ction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nnection unit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traction unit to compensate for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traction unit.

한편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에는 음료 용기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용기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ntainer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table plate so tha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in an inserted state.

그리고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분리된 상태의 상기 지지 어셈블리 또는 상기 견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assembly or the traction assembly separated from the table plate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은, 차량용 트렁크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 인접 영역에 설치되는 지지 어셈블리가 테이블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견인 어셈블리가 테이블 플레이트와 스트라이커 사이에서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테이블 플레이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차량에 구비된 구조물을 그대로 이용하여 우수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abl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support assembly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a striker provided in a vehicle trunk supports the table plate, and the towing assembly is centered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striker As the tr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the table plate can be stably fixed, so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excellent support by using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vehicle as it is.

또한 본 발명은 미사용 시 지지 어셈블리 및 테이블 플레이트를 테이블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여 수납이 가능하므로, 최소한의 부피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portability with a minimum volume since the support assembly and the table plate can be separated from the table plate and stored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의 조립 전 각 구성요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을 차량용 트렁크의 스트라이커 인접 영역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 플레이트 하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each component before assembling the trunk striker coupling type t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able in an area adjacent to the striker of the vehicle tru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in the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ype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의 조립 전 각 구성요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each component before assembly of the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ype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은 테이블 플레이트(100), 지지 어셈블리(120, 130) 및 견인 어셈블리(140, 150)를 포함한다.1 and 2, the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plate 100,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and towing assemblies 140 and 150. do.

테이블 플레이트(100)는 물품을 안착하기 위한 기 설정된 면적의 안착면을 가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전체적으로 횡단면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The table plate 100 has a seating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seating an article, and in this embodiment, the overall cross-sec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다만,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부정형 등 다양한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shape of the table plate 100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circular, polygonal, and irregular shapes, and of cours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또한 테이블 플레이트(100)에는 음료 용기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용기삽입홀(101)이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용기삽입홀(101)은 테이블 플레이트의 양측 전방에 한 쌍이 각각 구비되나, 용기삽입홀(101)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able plate 100 may have a container insertion hole 101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container insertion holes 101 are provided in front of both sides of the table plate, respectively, but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container insertion holes 101 are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본 실시예는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구비되며, 후술할 견인 어셈블리(140, 150)가 연결되는 연결유닛(110)을 더 포함한다.And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unit 11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to which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구체적으로 연결유닛(110)은 견인 어셈블리(140, 150)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고리(111) 및 걸림고리(111)로부터 돌출되어 테이블 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unit 110 includes a locking ring 111 on which one side of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is caught and a fixing member 112 protruding from the locking ring 111 and fixed to the table plate 100 . have

또한 테이블 플레이트(100)에는 이와 같은 연결유닛(110)의 고정부재(11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12)의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삽입고정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ble plate 100 has an insertion fixing hole 107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the fixing member 112 of the connecting unit 110 can be inserted and fixed. can be formed.

지지 어셈블리(120, 130)는 일단부가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차량용 트렁크(10, 도 5 참조)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2, 도 5 참조)의 둘레 인접 영역에 접촉되어 테이블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hav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triker 12 (see FIG. 5 ) mounted on the vehicle trunk 10 (see FIG. 5 ). and serves to support the table plate 100 .

본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120, 130)는 지지 어셈블리(120, 130) 자체의 지지 구조 중 전면을 형성하는 제1지지부재(120)와, 제1지지부재(1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지지 어셈블리(120, 130) 자체의 지지 구조 중 양측면을 형성하며, 제1지지부재(120)와 함께 견인 어셈블리(140, 1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are connected to and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s of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itself,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 A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130 that form both sides of the support structures of the assemblies 120 and 130 and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ar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 includes

이때 제1지지부재(120)는, 제1지지부재(12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121)를 포함하며, 제2지지부재(130)는, 제2지지부재(13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121)의 사이사이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돌기(131)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rotrusions 121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includes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 )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131 engag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121 .

즉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는 제1연결돌기(121) 및 제2연결돌기(131)가 서로 치합되어 직각으로 연결됨에 따라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이루며, 내부에 견인 어셈블리(140, 1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form a 'C'-shaped cross section as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131 are meshed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at a right angle, ,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are accommodated therein.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2지지부재(130)의 하단부(132)는 차량용 트렁크(10)의 스트라이커(12)가 장착된 둘레 인접 영역(11, 도 5 참조)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트렁크(10)의 스트라이커(12)가 장착된 둘레 인접 영역(11)은 주변 영역보다 함몰 경사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132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may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area 11 (refer to FIG. 5 ) in which the striker 12 of the vehicle trunk 10 is mounted. have. This is because, in general, the peripheral region 11 in which the striker 12 of the trunk 10 is mounted has a recessed and inclined shape than the peripheral region.

견인 어셈블리(140, 150)는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스트라이커(12) 사이에서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시켜, 지지 어셈블리(120, 130) 상에 테이블 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generate a traction force in the center direction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to fix the table plate 100 on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

즉 본 발명은 견인 어셈블리(140, 150)에 의해 테이블 플레이트(100)가 스트라이커(12)가 위치한 방향으로 당겨져 지지 어셈블리(120, 13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며, 상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힘을 인가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plate 100 is pu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ker 12 is located by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to press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and a force is applied to an eccentric position from the upper portion. Even when applied,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suppor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견인 어셈블리(140, 150)는 견인유닛(140) 및 보조연결유닛(150)을 포함한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include a traction unit 140 and an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

여기서 견인유닛(140)은, 테이블 플레이트(100) 또는 스트라이커(12) 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와, 일측 및 타측이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의 일부와 각각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어,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거리가변부재(142)를 포함한다.Here, the traction unit 140 includes a pair of hook-type members 141 each connected to the table plate 100 or the striker 12 side, and a part of a pair of hook-type members 141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ach of which is engaged by a screw thread, and includes a distance variable member 142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141 according to the rotation.

이를 위해 거리가변부재(142)는 일측이 제1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어느 하나의 후크형 부재(141)와 치합되고, 타측이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다른 하나의 후크형 부재(141)와 치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variable distance member 142 is engaged with any one of the hook-type members 141 by a thread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a thread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It may be engaged with one hook-shaped member 141 .

이에 따라 거리가변부재(14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테이블 플레이트(100) 및 스트라이커(12) 사이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며, 거리가변부재(1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견인력이 해소됨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variable member 14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141 becomes close, so that a 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and the distance variable member When the 14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shaped members 141 is increased, so that the sepa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s the traction force is resolved.

또한 보조연결유닛(150)은 선택적으로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견인유닛(14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견인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nnect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traction unit 140, and serves to compensate f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traction unit.

즉 보조연결유닛(150)은 견인유닛(140)의 전체 길이가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스트라이커(12) 사이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to compensate for this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traction unit 140 is shorter than the length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

본 실시예에서 보조연결유닛(150)은 소정 길이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1림부(151) 및 제1림부(151)와 함께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1림부(151)에 힌지 연결되어 내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2림부(152)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is formed to form a closed curve together with the first rim portion 151 and the first rim portion 151 formed in a curve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rim portion 151 and a second rim portion 152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reg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분리된 상태의 지지 어셈블리(120, 130) 또는 견인 어셈블리(140, 150)를 수납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홈(102~106)이 형성되어, 각 구성요소를 테이블 플레이트(100)에 수납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in this embodiment, one or more receiving grooves 102 to 106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or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separated from the table plate 100 . ) is formed, and as each component is accommodated in the table plate 100, it can be easily carried.

구체적으로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제1지지부재(120)가 수납되는 제1수납홈(102), 한 쌍의 제2지지부재(130)가 수납되는 제2수납홈(103), 견인유닛(140)이 수납되는 제3수납홈(104), 보조연결유닛(150)이 수납되는 제4수납홈(105) 및 연결유닛(110)이 수용되는 제5수납홈(106)을 포함한다.Specif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 a first receiving groove 102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is accommodated, a second receiving groove 103 in which a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130 are accommodated, and a traction It includes a third receiving groove 104 in which the unit 140 is accommodated, a fourth receiving groove 105 in which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is accommodated, and a fifth receiving groove 106 in which the connecting unit 110 is accommodated. .

이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m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을 차량용 트렁크(10)의 스트라이커(12) 인접 영역(11)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ea 11 adjacent to the striker 12 of the vehicle trunk 10 .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120)의 양측에 한 쌍의 제2지지부재(130)를 직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지지부재(120)의 제1연결돌기(121) 및 제2지지부재(130)의 제2연결돌기(131)를 서로 끼워 결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130 are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 the first The connect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13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are fit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지지 어셈블리(120, 130)를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고정된 연결유닛(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고, 내부 수용공간에 견인유닛(140) 및 보조연결유닛(150)을 위치시킨 상태로 연결유닛(110) - 보조연결유닛(150) - 견인유닛(140)을 서로 체결한다.And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coupled in this way are position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unit 11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and the traction unit 14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 150), the connection unit 110 - the auxiliary connection unit 150 - the traction unit 140 is fastened to each other.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트렁크(10)의 후단부에 구비된 스트라이커(12) 주변의 함몰된 인접 영역에 지지 어셈블리(120, 130)의 하단을 접촉시키고, 견인유닛(140)의 타측을 스트라이커(12)에 걸어 연결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ssed adjacent area around the striker 1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trunk 10, and the traction unit 140 of The other side is hooked to the striker (12) and connected.

그리고 견인유닛(140)의 거리가변부재(14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한 쌍의 후크형 부재(14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하고, 테이블 플레이트(100) 및 스트라이커(12) 사이에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And the distance variable member 142 of the traction unit 14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141 is close, and the traction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10)에 구비되는 스트라이커(12) 인접 영역(11)에 설치되는 지지 어셈블리(120, 130)가 테이블 플레이트(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견인 어셈블리(140, 150)가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스트라이커(12) 사이에서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테이블 플레이트(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차량에 구비된 구조물을 그대로 이용하여 우수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assemblies 120 and 130 installed in the area 11 adjacent to the striker 12 provided in the trunk 10 for a vehicle are formed to support the table plate 100 , and the traction assembly 140 , 150) generates a traction force in the center direction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so the table plate 100 can be stably fixed. can prov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추가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 플레이트(100) 하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in the vehicle trunk striker coupling type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since all components are formed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mponents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탄성변형부재(108)가 더 구비된다는 특징을 가진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member 108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

이와 같은 탄성변형부재(108)는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하면 중에서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Such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08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am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 I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30 .

이때 탄성변형부재(108)는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외력이 제거될 경우 본래의 형태로 복원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08 may be form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may be formed to be abl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따라서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가 탄성변형부재(108)에 접촉된 상태에서 견인 어셈블리(140, 150)에 의해 테이블 플레이트(100)와 스트라이커(12) 사이에 견인력이 발생할 경우,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가 탄성변형부재(108)를 가압하게 되어 탄성변형부재(107)가 변형되고, 테이블 플레이트(100)에 대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ction force between the table plate 100 and the striker 12 by the traction assemblies 140 and 15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ar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deformable member 108 . When this occurs,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press the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08 , so that the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07 is deformed, and the fixing force to the table plate 100 is increased. can be improved

또한 이와 더불어 탄성변형부재(108)는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가 테이블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08 may prevent the first support member 12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30 from damaging the surface of the table plate 10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차량용 트렁크
11: 스트라이커 인접 영역
12; 스트라이커
100: 테이블 플레이트
101: 용기삽입홀
102~106: 수납홈
107: 삽입고정홀
108: 탄성변형부재
110: 연결유닛
111: 고정부재
112: 걸림고리
120: 제1지지부재
121: 제1연결돌기
130: 제2지지부재
131: 제2연결돌기
140: 견인유닛
141: 후크형 부재
142: 거리가변부재
150: 보조연결유닛
151: 제1림부
152: 제2림부
10: car trunk
11: Area adjacent to the striker
12; striker
100: table plate
101: container insertion hole
102-106: storage groove
107: insertion fixing hole
108: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110: connection unit
111: fixing member
112: catch hook
120: first support member
121: first connecting projection
130: second support member
131: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140: towing unit
141: hook-type member
142: distance variable member
150: auxiliary connection unit
151: first limb
152: second limb

Claims (10)

물품을 안착하기 위한 기 설정된 면적의 안착면을 가지는 테이블 플레이트;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차량용 트렁크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의 둘레 인접 영역에 접촉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 및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스트라이커 사이에서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지지 어셈블리 상에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견인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 table plate having a seating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seating an article;
a support assembly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an area adjacent to a periphery of a striker mounted on a trunk for a vehicle to support the table plate; and
a traction assembly for fixing the table plate on the support assembly by generating a traction force in a central direction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striker;
containing,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측에 연결되어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견인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ssembly,
a first support member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o form both side surfaces, the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traction assembly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containing,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연결돌기의 사이사이에 치합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engag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rotrusions,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장착된 둘레 인접 영역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area adjacent to which the striker is mounted,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견인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traction assembly is connected,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견인 어셈블리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on unit is
a hook on which one side of the traction assembly is caught; and
a fix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locking ring and fixed to the table plate;
containing,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트라이커 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후크형 부재; 및
일측 및 타측이 상기 한 쌍의 후크형 부재의 일부와 각각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후크형 부재 간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거리가변부재;
를 포함하는 견인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traction assembly,
a pair of hook-shaped memb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table plate or the striker; and
a distance variable member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by a screw thread, respectively, to change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type members according to rotation;
Containing a traction unit comprising a,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견인유닛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상기 견인유닛 간의 이격거리를 보상하는 보조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raction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nnection unit provided to connect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traction unit to compensate f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able plate and the traction unit,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에는 음료 용기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용기삽입홀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A contain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table plate so tha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in an inserted state,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테이블 플레이트와 분리된 상태의 상기 지지 어셈블리 또는 상기 견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형성된,
차량용 트렁크 스트라이커 결합식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accommodating grooves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assembly or the traction assembly separated from the table plate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plate;
Car trunk striker combination table.
KR1020210074116A 2021-06-08 2021-06-08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KR1023215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16A KR102321598B1 (en) 2021-06-08 2021-06-08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16A KR102321598B1 (en) 2021-06-08 2021-06-08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98B1 true KR102321598B1 (en) 2021-11-03

Family

ID=7850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116A KR102321598B1 (en) 2021-06-08 2021-06-08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051U (en) * 1994-10-20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mple table for car storage
KR960021836A (en) 1994-12-26 1996-07-18 한승준 Car table
KR20120030737A (en) * 2010-09-20 2012-03-2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Jig apparatus for assembling trunk stri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051U (en) * 1994-10-20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mple table for car storage
KR960021836A (en) 1994-12-26 1996-07-18 한승준 Car table
KR20120030737A (en) * 2010-09-20 2012-03-2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Jig apparatus for assembling trunk stri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141B1 (en) Securing structure for the battery cartridge of a notebook-type computer
US6193089B1 (en) Case locking arrangement
US8851564B2 (en) Chair with foldable desk
US20120080898A1 (en) Assist grip
US6694574B1 (en) Snap hook assembly for a luggage
US20060289716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detachable base
US6332242B1 (en) Rotational handgrip
US20090183727A1 (en) Holding Construction of Barbecue Stove
KR102321598B1 (en) Tabl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Vehicle Trunk Striker
US6193307B1 (en) Folding chair
KR20090047218A (en) Collapsible table
US6234582B1 (en) Support of a golf cartwheel
KR100808521B1 (en) Door hinge with a damper on it
US7073409B2 (en) Pedal device
WO2012026484A1 (en) Container retention device
KR101694923B1 (en) Connect bracket equipped with furniture frames
KR100447568B1 (en) Glove box damper system
GB2321388A (en) Cup/can holder
KR101933838B1 (en) Table frame assembly having an extended support structure
US5438685A (en) Vehicular adapter pocket and handle assembly
KR200447210Y1 (en) Cradle for portable equipment
CN215933967U (en) Anti-drop assembly and server interface assembly
US20060126880A1 (en) Microphone
JP3126495U (en) Iron bush removal tool unit
JP2002274263A (en) Mirror surface angle adjus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