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599B1 -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599B1
KR102320599B1 KR1020210066229A KR20210066229A KR102320599B1 KR 102320599 B1 KR102320599 B1 KR 102320599B1 KR 1020210066229 A KR1020210066229 A KR 1020210066229A KR 20210066229 A KR20210066229 A KR 20210066229A KR 102320599 B1 KR102320599 B1 KR 102320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girder
displacement measur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기술
Priority to KR102021006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5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01B7/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comprising: a wire connecting barriers on both sides to each other in a box-shaped girder put on an upper side of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a first clamp fixed on a first barrier of the two barriers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one end unit of the wire; a second clamp fixed on a second barrier, which is the other of the two barriers on both sides, and fixed on the other end unit of the wire;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center between the barriers on both sides on a bottom surface in the box-shaped girder and measuring the reflection of the box-shaped girder from the wire; and a tension control unit placed between a third barrier, which is placed between the first barrier and the second barrier, and the first clamp, and engaged with one end unit of the wire, and applying tension to the wire within a preset rang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flection of a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remarkably reducing measurement errors.

Description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이 하중에 의해 처지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a structure, and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a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deflection of a structure by a load.

산업 발달과 더불어 기간 시설물의 건설이 증가되어 왔는데, 근래에 들어서 초기에 건설된 시설물이 노후화기에 접어들면서 그 안전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but in recent years, as the facilities built in the early stages enter the aging stage, their safety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기간 시설물의 붕괴는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에 의한 손실과 사회적인 충격이 매우 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용중인 교량은 다양한 구조설계 기준에 의하여 설계, 시공되어 있어 활하중 부담 능력에 있어서 폭 넓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구조물의 상태, 통과 차량의 변동성 등 여러 인자들에 의해서 교량의 구조적 조건이 변화된다. 또한 환경적인 혹은 물리적인 영향에 의한 내구성의 감소는 교량의 내하 능력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고 교량의 사용성과 안전성 평가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교량운영과 유지관리를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중인 교량에 대한 활하중 부담능력 즉, 내하력 평가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The collapse of infrastructure is not only an economic problem, but also has a huge social impact and loss of human life. For this reason, interest in the field of safety evaluation of structures has recently been very high. In particular, bridges in public use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various structural design standards, so they have wide variability in live load capacity, and structural conditions of the bridge change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ondi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variability of passing vehicles. In addition, the decrease in durability due to environmental or physical influences continuously reduces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In order to analyze these causes and rationally perform more efficient bridge operation and maintenanc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usability and safety of the bridge, the need to evaluate the live load capacity of the bridge in use, that is, the load carrying capacity, is increasing day by day.

즉, 지속적인 반복하중, 통행량의 변화, 차량의 형상 변화(축중하중), 구조물의 성능저하 등 교량 구조물의 내하 능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대상 교량에 대한 공용 내하력을 평가하는 방법이 교량 내하력 평가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한편, 교량의 내하력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기본 내하력을 공용 내하력으로 채택하는 방법과, 교량의 상태, 교통량, 재하시험 결과 등을 사용하여 보정한 수정 내하력을 공용 내하력으로 채택하는 방법이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에는 전자를 채택 하고 있으며, 한국이나 일본은 후자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내하력 평가방법은 적용 설계법에 따라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한 내하력 평가방법과 강도 설계법에 의한 내하력 평가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도로교와 철도교에 적용할 때 강교인 경우에는 허용응력설계 법에 의한 내하력 평가방법이 적용되고, 콘크리트교인 경우에는 강도설계법에 의한 내하력 평가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That is, by considering factors that directly/indirectly affect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structure, such as continuous repetitive load, change in traffic volume, change in vehicle shape (axial load), and deterioration of structure, the common load-bearing capacity of the target bridge The evaluation method is the ultimate goal of the bridge load-bearing capacity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methods for calculat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a bridge: the method of adopting the basic load-bearing capacity as the common load-bearing capacity, and the method of adopting the corrected load-bearing capacity corrected using the bridge condition, traffic volume, and load test results as the common load-bearing capacity.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former is adopted, while Korea and Japan are using the latter. The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generally applied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by the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 and the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by the strength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applied design method. Currently, when applied to road bridges and railroad bridges, the load-bear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 is applied in the case of steel bridges, and the load-bearing capaci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rength desig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in the case of concrete bridges.

재하시험은 실험적인 방법으로 교량의 거동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서, 정해진 규정에 따라 교량의 탄성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크기로 결정된 하중을 교량의 특정부위에 직접 재하하여 교량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들의 실제거동을 관찰 및 계측하는 시험이다. 재하시험의 목적은 교량의 실제 내하력을 정량화시키기 위함이며, 재하시험의 결과는 이론적인 방법으로 평가된 교량의 내하력을 보완하는데 적용된다.The load test is an experimental method to analyze the behavior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cribed regulations, a load determined in a size that does not affect the elastic behavior of the bridge is directly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ridge, and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main members of the bridge is applied. It is a test to observe and measure the behavior. The purpose of the load test is to quantify the actual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and the results of the load test are applied to supplement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evaluated by a theoretical method.

재하시험시 교량의 처짐을 계측할 때 계곡과 같이 교고가 높은 장소에서는 비계 상부에 부동점을 설치하기가 어려워 처짐계 설치를 위하여 부동점과 측정점을 피아노선 등으로 연결해야 하나, 바람에 의해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형하 공간이 하천이나 바다인 경우에는 부동점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유사 부동점 설치를 하더라도 하천의 유속이나 바다 조류의 영향과 부력의 영향으로 측정 오차가 매우 크게 발생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도로 또는 철도를 횡단하는 고가교량의 경우에는 처짐 측정을 위해 하부 교통통제가 필요하거나 교통통제가 불가한 경우 야간에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When measuring the deflection of a bridge during the load tes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floating point on the upper part of the scaffold in a place with a high bridge height such as a valley.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error occurs, and when the shape space is a river or the sea,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floating point, or even if a similar floating point is installed, the measurement error occurs very larg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the influence of sea currents, and the buoyancy. The reliability of the data can be a big probl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levated bridge that crosses a road or railroad at the bottom, a load test is conducted at night when lower traffic control is required to measure deflection or when traffic control is not possible, economical and time loss occur.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41076호(2019.01.16 등록)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41076 (registered on January 16, 2019)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형 거더 내부 교대 및 교각 위치 지점부 격벽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에 대해 거더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more specifically, a wire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is connected to the bulkhead of the inner abutment and pier position of the box-type girder,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girder for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틸 박스형 거더 내부에서 양 지점간의 격벽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양 측의 격벽 중 하나인 제1격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클램프; 상기 양 측의 격벽 중 다른 하나인 제2격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제2클램프;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저면에서 상기 양 측 격벽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박스형 거더가 상대적으로 처지는 양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유닛; 및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배치된 제3격벽과 상기 제1클램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수 있는 장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the above object is a wire connecting the bulkhead between the two points inside the steel box-type girder; a first clamp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while being fixed to the first bulkhead, which is one of the partitions on both sides; a second clamp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bulkhead, which is the other one of the two partitions;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ulkheads on both sides of the inner bottom of the box-shaped gi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relative sagging of the box-shaped girder from the wire; and a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clamp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to apply the tension of the wire within a set range. It provides a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이격되어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격벽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와, 설정범위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upled, a second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elas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elastic restoring force within a set range. The branch may include a housing for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through the elastic body.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변위 측정부와, 상기 거더 내부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위 측정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cludes a plate connected to the wire, a displacement measur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and extending in the wir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is coupled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변위 측정부의 일 단부를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부착시키는 제1자성체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거더의 내부 저면에 부착시키는 제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body for attaching one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econd magnetic body for attaching the fixing par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변위 측정부의 타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동하는 거리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may detect a displacement according to a distance that the other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moves from the plate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상기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는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상에서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 저면에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lamp and the second clamp may be fixed adjacently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girder on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 내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심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lamp may include a wire thimble provided to surrou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또한, 본 발명은 PSC 박스형 거더 내부에서 양 측의 내벽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양 측의 내벽 중 하나인 제1내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앵커; 상기 양 측의 내벽 중 다른 하나인 제2내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제2앵커;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저면에서 상기 양 측 내벽 사이의 공간에 제3앵커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박스형 거더가 상대적으로 처지는 양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유닛; 및 상기 제1내벽과 인접한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의 저면에 고정된 제3앵커와 상기 제1앵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수 있는 장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connecting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inside the PSC box-type girder; a first anchor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while being fixed to a first inner wall that is one of the inner walls of the both sides; a second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while being fixed to a second inner wall that is the other one of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stalled through a third anchor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both sides at the inner bottom of the box-shaped gi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relative sagging of the box-shaped girder from the wire; and a third ancho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girder adjacent to the first inner wall and the first anchor, and one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adjust the tension that can apply the tension of the wire to a set range wealth; It provides a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거더 내부에 변위 측정유닛을 설치하기 때문에 부동점 설치가 어려운 교고가 높은 교량과 하천 및 해상을 통과하는 교량에 적용이 가능하고,First, since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girder, it can be applied to bridges with high heights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floating point, and bridges that pass through rivers and seas.

둘째, 변위 측정유닛이 교대 및 교각 등의 지점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거더 내부 양 단부의 격벽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 거더 외부에서 피아노 줄을 지면까지 길게 설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바람 등의 영향이 없어 거더의 처짐에 따른 측정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Second, since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ulkheads at both ends of the inside of the girder supported by point parts such as abutments and piers, there is no influence of wind, etc. Measurement error due to defle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셋째, 피아노 줄을 지면까지 길게 설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교량하부 공간(하천, 차량통행)의 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Third,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piano strings are installed long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limitations of the space under the bridge (streams, vehicle traffic),

넷째, 거더가 처지는 상황에서 장력 조절부가 와이어의 일 단부의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 수 있어 와이어 사용하중 범위에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파단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Fourth, in a situation where the girder sags, the tension control unit can apply the tension of one end of the wire to the set range, so it can be installed within the range of the wire used, so wire breakage can be prevented,

다섯째, 와이어 심블을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 조절 과정에서 와이어 연결 부분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Fifth, by providing the wire thim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connection part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여섯째, 변위 측정유닛의 플레이트와 와이어를 자성체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연결부의 이격을 없애 일체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by connecting the plate and the wire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through a magnetic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tegrated by eliminating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틸 박스형 거더 내부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A 영역에서 제1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B 영역에서 제2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에 나타낸 C 영역에서 변위 측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변위 측정유닛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D 영역에서 장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C 박스형 거더 내부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A 영역에서 제1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B 영역에서 제2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C 영역에서 변위 측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D 영역에서 장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와 종래 측정장치(피아노줄, 비계)를 이용하여 거더의 처짐량을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
The summary set forth above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there are shown in the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from the front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ridg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box-type gir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lamp is coupled in the region A shown in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lamp is installed in the area B shown in FIG. 2 .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 area C shown in FIG. 2 .
Fig. 5B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shown in Fig. 5A;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region D shown in FIG. 2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PSC box-type gir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lamp is coupled in the area A shown in FIG. 7 .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lamp is installed in the region B shown in FIG. 7 .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 the region C shown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nsion adjusting unit is installed in a region D shown in FIG. 7 .
12 is a graph comparing and measur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girder using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ructure def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apparatus (piano string, scaffoldin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는 제1칼럼과 제2칼럼 상단에 거치되는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칼럼과 거더를 이용한 구조는 통상적인 건축 구조물에 흔히 적용되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교량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box-type girder mounted on the top of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A structure using such a column and a girder is commonly applied to a typical building structur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ed to a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from the front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ridge.

도 1을 살펴보면, 제1지점과 제2지점은 교대 또는 교각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may correspond to an abutment or a pier.

제1지점(C1)과 제2지점(C2)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지점(C1)과 제2지점(C2)의 각 상단에 박스형 거더(1)(이하, 거더라 칭함)가 설치된다.The first point (C1) and the second point (C2) are installed at a set interval, and a box-type girde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irder) at each upper end of the first point (C1) and the second point (C2) is installed

거더(1)는 재하 상태에 따라서 처짐이 발생하는데, 이때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100)를 통해서 거더의 처짐량을 측정할 수 있다.Deflection occurs in the girder 1 depending on the load state, and at this time,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girder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ement apparatus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틸 박스형 거더(10) 내부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10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box-type gird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100)는 스틸 박스형 거더(Steel Box Girder, 10) 내부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스틸 박스형 거더(10)는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11, 12, 13) (또는 내벽)이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 격벽은 내부 일부가 개구된 중공 형상의 구조를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격벽은 거더(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보강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steel box girder (Steel Box Girder, 10). The steel box-type girder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1, 12, 13 (or inner walls) therein, and at least some of the partition walls provide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n inner part is opened. Of course, these bulkheads may be dispos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 and may be accompanied by a reinforcing function.

거더(10)는 일 단부에 제1격벽(11)이 마련되고, 타 단부에 제2격벽(12)이 마련되며, 제1격벽(11)과 제2격벽(12) 사이에 제3격벽(13)이 마련된 구조를 일 예로써 설명한다. 물론, 제1격벽(11) 내지 제3격벽(13) 외에도 더 많은 격벽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격벽(11)은 제1지점(C1) 상에서 또는 이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격벽(12)은 제2지점(C2) 상에서 또는 이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girder 10 is provided with a first bulkhead 11 at one end, a second bulkhead 12 at the other end, and a third bulkhead between the first bulkhead 11 and the second bulkhead 12 ( 1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ovided structur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1 to the third partition wall 13, more partition walls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first partition wall 11 may be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first point C1 ,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may be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second point C2 .

제1격벽(11) 내지 제3격벽(13)은 거더(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제3격벽(13)은 제2격벽(12)에 비하여 제1격벽(1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artition walls 11 to 13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 and openings are formed therein, respectively. The third partition wall 13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1 than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100)는 와이어(110)와, 제1클램프(120)와, 제2클램프(130)와, 변위 측정유닛(140) 및 장력 조절부(150)를 포함한다.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110, a first clamp 120, a second clamp 130,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0, and a tension adjusting unit ( 150).

도 3은 도 2에 나타낸 A 영역에서 제1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lamp is coupled in the region A shown in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제1클램프(120)는 제1격벽(11) 상에 고정된다. 또한, 제1클램프(120)는 제1격벽(11)의 플랜지 영역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클램프(120)는 제1격벽(11) 또는 제1격벽(11)의 플랜지 영역에서 거더(10)의 저면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clamp 120 is fixed on the first partition wall 11 . In addition, the first clamp 120 may be fixed to the flange region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1 . In addition, the first clamp 120 is preferably fix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10 in the first bulkhead 11 or the flange region of the first bulkhead 11 .

제1클램프(120)는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몸체(121)와, 몸체(121)의 양 단부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가압축(122)을 포함하는 스크류 클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clamp 120 includes a body 121 with both ends facing each other, and a pressing shaft 122 that reciprocates by rotation from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121 to the other. A screw clamp may be applied.

따라서, 제1격벽(11)을 중심으로 몸체 상에서 가압축(122)을 회전시키면 가압축(122)의 단부가 제1격벽(11)을 가압하면서 제1클램프(12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축(122) 상에는 와이어(110)의 일 측이 연결되는 비너(123)가 결합된다.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shaft 122 is rotated on the body around the first partition wall 11 , the end of the pressure shaft 122 presses the first partition wall 11 and the first clamp 120 is fixed. At this time, a binner 123 to which one side of the wire 110 is connected is coupled to the pressing shaft 122 .

비너(123)에 결합된 와이어(110)의 일 측은 후기할 장력 조절부(150)의 작동에 의해 비너(123) 상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비너(123) 상에 롤러 또는 고정도르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와이어(110)와 비너(123) 사이에 마찰을 줄이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wire 110 coupled to the biner 123 may slip on the biner 123 by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1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structure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wire 110 and the binner 123 by further providing a roller or a fixed pulley (not shown) on the binner 123 .

도 4는 도 2에 나타낸 B 영역에서 제2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lamp is installed in the area B shown in FIG. 2 .

도 4를 참조하면, 제2클램프(130)는 제2격벽(12) 상에 고정된다. 또한, 제2클램프(130)는 제2격벽(12)의 플랜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클램프(130)는 제2격벽(12) 또는 제2격벽(12)의 플랜지 영역에서 거더(도 2 참조, 10)의 저면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clamp 130 is fixed on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 In addition, the second clamp 130 may be fixed to the flange reg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 In addition, the second clamp 130 is preferably fix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see FIG. 2, 10) in the flange region of the second bulkhead 12 or the second bulkhead 12.

제2클램프(130)는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몸체(131)와, 몸체(131)의 양 단부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가압축(132)을 포함하는 스크류 클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전기한 제1클램프(120)와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clamp 130 includes a body 131 with both ends facing each other, and a pressing shaft 132 that reciprocates by rotation from one of both ends of the body 131 to the other direction. A screw clamp may be applied. This may be appli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lamp 120 described above.

따라서, 제2격벽(12)을 중심으로 몸체(131) 상에서 가압축(132)을 회전시키면 가압축(132)의 단부가 제2격벽(12)을 가압하면서 제2클램프(1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축(132) 상에는 와이어(110)의 타 단부가 고정된다. 와이어(110)의 타 단부에서 제2클램프(130)의 가압축(132)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와이어 심블(Wire Thimble, 13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1클램프(120)에 와이어(110)가 결합되는 구조와 마찬가지로 비너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와이어 심블(133)은 가압축(132)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또한 와이어(110)의 타 단부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110)의 타 단부가 가압축(132) 상에서 와이어 심블(133)에 의해 결합되면, 와이어(110)의 타 단부가 가압축(132)과 접촉하면서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와이어(110)가 가압축(132)의 지름에 대응하여 최소한의 곡률반경으로 휘어지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shaft 132 is rotated on the body 131 arou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the end of the pressure shaft 132 presses the second partition wall 12 while fixing the second clamp 130. is done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is fixed on the pressing shaft 132 . A wire thimble 133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haft 132 of the second clamp 130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 Of course, like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re 110 is coupled to the first clamp 120, it may be fixed by a binner. The wire thimble 13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pressing shaft 132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to partially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 When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is coupled by the wire thimble 133 on the pressing shaft 132 in this way, while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shaft 132, at least one of the two is damag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while bending the wire 110 to a minimum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shaft 132 .

와이어(110)의 타 단부는 와이어 심블(133)에 연결되면서 서로 일부 중첩되는 영역(OA)이 형성되는데, 이 중첩영역(OA)이 와이어 클립(134)에 의해 고정되면서 와이어 타 단부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중첩영역(OA)에는 복수개의 와이어 클립이 결합될 수 있다.While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is connected to the wire thimble 133 , an area OA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is formed. is done A plurality of wire clips may be coupled to the overlapping area OA.

도 5a는 도 2에 나타낸 C 영역에서 변위 측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변위 측정유닛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 the region C shown in FIG. 2 , and FIG. 5B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shown in FIG. 5A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변위 측정유닛(140)은 플레이트(141)와, 변위 측정부(142) 및 고정부(143)를 포함한다.5A and 5B ,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0 includes a plate 141 ,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2 , and a fixing unit 143 .

플레이트(141)는 와이어(110) 상에 결합되되, 와이어(110)로부터 클립(145)에 의해 플레이트(141)가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141)는 와이어(110) 상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The plate 141 is coupled on the wire 110 , and the plate 141 is fixed by a clip 145 from the wire 110 . In other words, the plate 141 maintains a fixed position on the wire 110 .

또한, 플레이트(141)는 자성에 반응하는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14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responds to magnetism.

변위 측정부(142)는 선형 변위 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위 측정부(142)는 일 단부가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고정부(143)를 통하여 거더 내부의 저면(10a) 상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변위 측정부(142)는 플레이트(141)의 배면에 마련된 제1자성체(144)를 통하여 일 단부가 부착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2 may be formed of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One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2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141 ,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10a of the inside of the girder through the fixing unit 143 . For example, one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2 may be attached through the first magnetic body 144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141 .

변위 측정부(142)는 일 측에 배치되어 제1자성체(144)를 통하여 플레이트(141) 배면에 고정된 로드(rod; 142a) 상에 자성을 띄는 코어(142b)와, 타 측에 배치되어 고정부(143) 상에 설치되어 코어(142b)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1차 코일(coil1)과 2차 코일(coil2)이 마련된 계측부(142c)를 포함한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2 is disposed on one side and has a magnetic core 142b on a rod 142a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141 through the first magnetic body 144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It is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143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core 142b and includes a measurement part 142c provided with a primary coil (coil1) and a secondary coil (coil2).

계측부(142c)는 내부에서 1차 코일(coil1)이 중심에 위치하여 교류전원이 인가되면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때, 1차 코일(coil1) 위치(또는 높이)에 대응하도록 코어(142b)가 계측부(142c)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계측부(142c) 내부에서 1차 코일(coil1)의 상하 방향에 2차 코일(coil2-1)이 배치된다. 여기서, 코어(142b)가 1차 코일(coil1)의 위치에서 상부 방향의 2차 코일(coil2-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방향의 2차 코일(coil2-1)에서 발생한 전류가 하부 방향의 2차 코일(coil2-2)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코어(142b) 움직임에 따라 1차 코일(coil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변하게 되는데, 이를 2차 코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42c generates a magnetic field while the primary coil coil1 is locat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C power is applied therein. At this time, the core 142b is disposed inside the measurement unit 142c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r height) of the primary coil coil1 . 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coil2-1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coil1 in the measurement unit 142c. Here, when the core 142b moves from the position of the primary coil (coil1) to the secondary coil (coil2-1) in the upper direction,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coil2-1) in the upper direction is 2 in the lower direction. I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coil2-2). Accordingl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coil1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re 142b, which can be measured from the secondary coil.

따라서, 로드(142a) 또는 코어(142b)는 자성체(144)와 플레이트(141)를 통해서 연결된 와이어(110)로부터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거더(도 2 참조, 10)가 처지면서 고정부(143)와 계측부(142c)가 하강하여 발생하는 변위(높이차)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코어(142b)와 계측부(142c) 사이에는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며, 이에 따라 마찰이 없기 때문에 오롯이 코어(142b)와 계측부(142c) 사이의 변위가 거더의 처짐량으로 인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rod 142a or the core 142b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from the wire 110 connected through the magnetic body 144 and the plate 141, and the girder (refer to FIG. 2, 10) is relatively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the displacement (height difference) generated by the falling of the fixing part 143 and the measuring part 142c while sagging. Since there is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core 142b and the measurement portion 142c, and thus there is no friction, the displacement between the core 142b and the measurement portion 142c alone can be recognized as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girder.

고정부(143)는 거더의 내부 저면(10a)에 설치되는 메탈 소재의 설치판(143a)과, 설치판(143a) 상에서 계측부(142c)를 지지하도록 연장되는 마운트 프레임(143b)을 포함한다. 예컨대, 플레이트(141)에 고정된 로드(142a)와 코어(142b) 위치에 대응하도록 마운트 프레임(143b) 상에서 제1 코일(coil1)의 위치를 정렬하여 계측부(142c)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43 includes a metal mounting plate 143a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0a of the girder, and a mount frame 143b extending on the mounting plate 143a to support the measurement unit 142c.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easurement unit 142c may be set by align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oil coil1 on the mount frame 143b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rod 142a and the core 142b fixed to the plate 141 .

그리고 설치판(143a)과 거더의 내부 저면(10a) 사이에는 제2자성체(143c)를 통해서 부착 고정할 수 있다.And between the mounting plate (143a)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10a) of the girder can be attached and fixed through the second magnetic body (143c).

변위 측정유닛(140)은 코어(142b)를 중심으로 계측부(142c)가 이동하는 거리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여 외부(예컨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PC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0 may detect a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measuring unit 142c moves around the core 142b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eg, an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or a PC or server capable of data storage).

도 6은 도 2에 나타낸 D 영역에서 장력 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region D shown in FIG. 2 .

도 6을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150)는 제1클램프(도 2 참조, 120)와 제3격벽(13) 사이에 배치되어 와이어(110) 일 단부에 설정 범위로 장력을 가할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lamp (see FIG. 2 , 120 )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13 to apply tension to one end of the wire 110 within a set range. provides

장력 조절부(150)는 제1체결부(151)와 제2체결부(152) 및 하우징(153)을 포함한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151 , a second fastening part 152 , and a housing 153 .

와이어(110)의 일 단부는 비너(도 3 참조, 123)에 연결된 후 절곡되어 제1체결부(151)에 결합된다. 와이어(110)의 일 단부와 제1체결부(151) 사이는 비너(154)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너(154)에 결합된 와이어(110)의 일 단부는 서로 중첩 영역(OA)이 형성되고, 중첩된 와이어(110)의 일 단부는 와이어 클립(1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110 is connected to a biner (see FIG. 3 , 123 ) and then bent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51 . A coupling may be made between one end of the wire 110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51 by a biner 154 . One end of the wire 110 coupled to the binner 154 may form an overlapping area OA with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overlapping wire 110 may be fixed by a wire clip 134 .

제2체결부(152)는 제3격벽(13)과 연결 와이어(111)를 통해 연결된다. 제2체결부(152)는 제3격벽(13)에 연결 와이어(111)로 체결되되 제3격벽(13)으로부터 제2체결부(152)까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3격벽(13)과 제2체결부(152) 사이에는 핸드 파워풀러(155) 또는 핸드 윈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is connected to the third partition wall 13 through a connection wire 111 .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is fastened to the third partition wall 13 with a connecting wire 111 , and is disposed to allow adjustment of a distance from the third partition wall 13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 In this case, a hand power puller 155 or a hand winch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bulkhead 13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

하우징(153)은 제1체결부(151)와 제2체결부(152)를 일부 감싸면서,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미도시)를 통하여 제1체결부(151)와 제2체결부(152)를 탄력적으로 연결한다. 즉, 제1체결부(151)와 제2체결부(152)는 서로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장력 조절부(150)는 와이어(110)의 전체적인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수 있다.The housing 153 partially surrounds the first fastening part 15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and includes the first fastening part 15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through an elastic body (not shown) provided therein. ) is elastically connected.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art 15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are connected so that elastic restoring force is continuously provid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may apply the overall tension of the wire 110 to a set range.

그리고, 핸드 파워풀러(155) 또는 핸드 윈치는 제2체결부(152)와 제3격벽(13)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다양한 거리 조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거더의 사이즈나 종류에 따라서 장력 조절부(150)와 제3격벽(13)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는데, 핸드 파워풀러(155) 또는 핸드 윈치는 연결 와이어(111)를 풀거나 감아서 이러한 거리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 power puller 155 or the hand winch may provide various distance adjustm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art 152 and the third bulkhead 13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and the third bulkhead 13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r type of the girder. This distance difference can be adjusted.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C 박스형 거더 내부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7 to 11 show that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PSC box-type gir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forementioned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기한 스틸 박스형 거더(10)와 PSC 박스형 거더(20)에서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설치되는 결합구조에 있어 차이점이 있고, 그 외 주요 구성요소들의 기능이나 효과적인 측면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aforementioned steel box-type girder 10 and the PSC box-type girder 20, and the functions and effective aspects of other major components are Since they are the sam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200)는 PSC 박스형 거더(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20)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스틸 박스형 거더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클램프나 자성체를 이용하여 설치나 부착구조가 가능했다면, 본 제2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거더(20)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200)를 설치하기 때문에 주로 앵커볼트(anchor bolt)를 콘크리트면에 설치하여 여기에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200)가 연결, 설치,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7 to 11 ,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PSC box-type girder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20).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steel box-type girder, if the installation or attachment structure was possible using a clamp or a magnetic material,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structure is placed on the concrete girder 20 Since th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200 is installed, an anchor bolt is mainly installed on the concrete surface, and the structure deflecting measuring device 200 is connected, installed, and fixed here.

도 7의 A 영역에서 와이어(110)의 일 단부는 거더의 일 측 단부의 내벽(21)에 마련된 제1앵커(도 8 참조, AB1)에 연결된다. 또한, B 영역에서 와이어(110)의 타 단부는 거더의 타 측 단부의 내벽(22)에 마련된 제2앵커(도 9 참조, AB2)에 고정된다. 제1앵커(AB1)와 제2앵커(AB2)는 각각 내벽 상에서 거더의 내부 저면(20a)에 인접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gion A of FIG. 7 , one end of the wire 110 is connected to a first anchor (see FIG. 8 , AB1 ) provided on the inner wall 21 of one end of the girder.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110 in the region B is fixed to the second anchor (see FIG. 9, AB2) provided on the inner wall 22 of the other end of the girder. The first anchor (AB1) and the second anchor (AB2) are preferably installed at a height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20a) of the girder on the inner wall, respectively.

변위 측정유닛(140)은 도 7의 C 영역에서 거더 내부의 저면(20a)에 설치된 제3앵커(도 10 참조, AB3)에 고정된다. 변위 측정유닛(140)의 기능적인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0 is fixed to the third anchor (see FIG. 10, AB3)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20a inside the girder in the region C of FIG. 7 . Since the functional parts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도 7의 D 영역에서 장력 조절부(150)의 연결 와이어(111) 또는 핸드 파워풀러(155)나 핸드 윈치는 제4앵커(도 11 참조, AB4)에 의해 거더 내부의 저면(20a)에 고정된다. 장력 조절부(150) 및 장력 조절부(150)와 제4앵커(AB4) 사이의 연결구조는 전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제공한다.And, in the region D of FIG. 7, the connection wire 111 or the hand power puller 155 or the hand winch of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is the bottom surface 20a inside the girder by the fourth anchor (see FIG. 11, AB4). is fixed on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ension control unit 150 and the fourth anchor AB4 provid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와 종래 측정장치(예컨대 피아노줄, 비계)를 이용하여 거더의 처짐량을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comparing and measur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girder using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lection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measurement apparatus (eg, piano string, scaffolding).

도 12a는 정적 상태(또는 정재하)에서 종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DT1, DT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박스내부)를 나타낸다.Figure 12a shows graphs (DT1, DT2) measured using a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in a static state (or under static conditions) and a graph (inside a box) measured using a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DT1의 경우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종래 DT2는 DT1에 비하여 오차 범위가 크지만 교고가 높은 교량이나 교하 영역이 바다나 강과 같은 곳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T1, the structural stability is excellent and relatively precise measurement is possible, and the conventional DT2 has a larger error range compared to the DT1, but it is possible to measure a bridge with a high bridge or a bridge area such as the sea or a river.

도 12에서 종래 및 본 발명의 그래프 중 방향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측정방향에 따른 차이로 인해 상반된 파형으로 도시된 것이며, 최대처짐량(mm) 역시 (-) 값과 (+) 값으로 상반되게 나타난다. 따라서, 최대 처짐량은 음수와 양수의 비교가 아닌 절대값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12 , in the graph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art, the opposite directions are shown as opposite waveforms due to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directions, and the maximum deflection (mm) also appears oppositely as a (-) value and a (+) valu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maximum amount of deflection as an absolute value rather than a comparison of a negative number and a positive number.

최대 처짐량은 종래 측정장치의 DT1이 2.59mm를 나타내고, DT2가 3.17mm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의 처짐량은 2.32mm를 기록하고 있다.The maximum amount of deflection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DT1 represents 2.59mm and DT2 represents 3.17mm, whereas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32mm.

이는 종래 측정장치에 비하여 본 발명의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가 외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어 DT1의 측정값에 근접한 최대 처짐량이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예컨대, 교고가 높은 영역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교하 영역이 강이나 바다인 경우 물의 흐름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It is determined that the maximum amount of deflection close to the measurement value of DT1 is measured because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reduced because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it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apparatus. Here, an error that may be caused by an external force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by wind in an area with a high bridge height, or may be generated by vibration due to a flow of water when the bridge area is a river or the sea.

도 12b는 동적 상태(또는 동재하)에서 종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DT1, DT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박스내부)를 나타낸다.Figure 12b shows graphs (DT1, DT2) measured using a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in a dynamic state (or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a graph (inside the box) measured using a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에서도 마찬가지로 그래프의 방향 및 최대 처짐은 절대값으로 판단한다.Similarly in FIG. 12B , the direction and maximum deflection of the graph are determined as absolute values.

도 12b에서, 최대 처짐량은 종래 측정장치의 DT1이 2.61mm를 나타내고, DT2가 3.30mm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의 처짐량은 2.39mm을 기록하고 있다.In Figure 12b, the maximum amount of deflection of the conventional measuring device DT1 represents 2.61mm, DT2 represents 3.30mm, while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39mm is recorded.

따라서, 동적 상태에서의 처짐량도 본 발명의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DT1의 측정값에 더 근접하게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Therefore, the amount of deflection in the dynamic state is also determined to be able to be derived more closely to the measured value of DT1 by the result measured using the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ructure def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에 의하면, 거더 내부에 변위 측정유닛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피아노 줄을 지면까지 길게 설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변위 측정유닛이 지점에 의해서 지지되는 거더 양 단부의 격벽에 연결되기 때문에 거더의 처짐에 따른 측정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거더가 처지는 상황에서 장력 조절부가 와이어의 일 단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변위 측정유닛의 정밀 측정이 가능하고, 와이어 심블을 구비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 조절 과정에서 와이어 연결 부분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위 측정유닛의 플레이트가 와이어 상에서 절대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변위 측정유닛의 설치 구조에 따른 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girder, the installation is simple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ventional piano string is installed long to the ground, and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supported by the girder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bulkheads at both ends, the measurement error due to the sag of the gird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tension control unit can keep the tension of one end of the wire constant in a situation where the girder is sagging, so precise measurement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possible. And, by providing the wire thim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connection part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plate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can fix the absolute position on the wire, s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It has the effect of overcoming the error caused by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with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110: 와이어
120: 제1클램프
130: 제2클램프
140: 변위 측정유닛
150: 장력 조절부
100: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110: wire
120: first clamp
130: second clamp
140: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50: tension control unit

Claims (8)

박스형 거더 내부에서 양 측의 격벽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양 측의 격벽 중 하나인 제1격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클램프;
상기 양 측의 격벽 중 다른 하나인 제2격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제2클램프;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저면에서 상기 양 측 격벽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박스형 거더가 상대적으로 처지는 양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유닛; 및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사이에 배치된 제3격벽과 상기 제1클램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수 있는 장력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변위 측정부와, 상기 거더 내부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위 측정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자성의 의해 부착되는 제1자성체를 통해 플레이트 배면에 고정되고 일 단부에 코어가 마련되는 로드와, 상기 코어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이 마련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계측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a wire connecting the bulkheads on both sides inside the box-type girder;
a first clamp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while being fixed to the first bulkhead, which is one of the partitions on both sides;
a second clamp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bulkhead, which is the other one of the two partitions;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bulkheads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gi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relative sagging of the box-shaped girder from the wire; and
a tension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clamp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to apply the tension of the wire within a set range; including,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cludes a plate connected to the wire, a displacement measur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and extending in the wir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is coupled includes a fixing part;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cludes a rod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through a first magnetic material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and provided with a core at one end, and a measurement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ils disposed to surround the core do,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and the measuring unit is dispos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이격되어 탄력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격벽과 연결되는 제2체결부와,
설정범위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control unit,
a first fastening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upled;
a second fasten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resiliently arranged and connected to the third partition wall;
and a housing for connecting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through an elastic body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within a set ran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고정부를 상기 거더의 내부 저면에 부착시키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magnetic material for attach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변위 측정부의 타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이동하는 거리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senses a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moved from the plate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는,
상기 제1격벽과 제2격벽 상에서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 저면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amp and the second clamp,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adjacent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girder on the first bulkhead and the second bulkhe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 내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심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lamp is
and a wire thimble provided to surround a parti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박스형 거더 내부에서 양 측의 내벽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양 측의 내벽 중 하나인 제1내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1앵커;
상기 양 측의 내벽 중 다른 하나인 제2내벽에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가 고정되는 제2앵커;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저면에서 상기 양 측 내벽 사이의 중심에 제3앵커를 통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박스형 거더가 처지는 양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유닛; 및
상기 제1내벽과 인접한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의 저면에 고정된 제4앵커와 상기 제1앵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설정범위로 가할수 있는 장력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 측정유닛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일 단부가 결합되는 변위 측정부와, 상기 거더 내부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위 측정부의 타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플레이트 배면에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제1자성체를 통해 플레이트 배면에 고정되고 일 단부에 코어가 마련되는 로드와, 상기 코어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이 마련되는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와 계측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처짐량 측정장치.
a wire connecting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inside the box girder;
a first anchor to which one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while being fixed to a first inner wall that is one of the inner walls of the both sides;
a second ancho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while being fixed to a second inner wall that is the other one of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a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stalled through a third anchor in the center betwee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at the inner bottom of the box-shaped gi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drooping of the box-shaped girder from the wire; and
A tension adjusting unit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chor and a fourth anchor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shaped girder adjacent to the first inner wall, and one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apply the tension of the wire to a set range ; including,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cludes a plate connected to the wire, a displacement measuring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irder and extending in the wir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is coupled includes a fixing part;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ncludes a ro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through a first magnetic material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and provided with a core at one end, and a measurement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ils arranged to surround the core do,
The structure deflec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and the measuring unit is disposed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KR1020210066229A 2021-05-24 2021-05-24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KR102320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29A KR102320599B1 (en) 2021-05-24 2021-05-24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29A KR102320599B1 (en) 2021-05-24 2021-05-24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599B1 true KR102320599B1 (en) 2021-11-02

Family

ID=7847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229A KR102320599B1 (en) 2021-05-24 2021-05-24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59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316U (en) * 1989-11-30 1991-08-08
KR100855206B1 (en)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Cable tension adjusting device
KR20090099284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Deflection measurement device of a box girder bridge for the safety check
KR20090099283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Deflection measurement device on the bridge for the safety check
KR20180064381A (en) * 2015-09-30 2018-06-14 서브씨 7 노르웨이 에이에스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tension rope using a wedge thimble
KR101941076B1 (en) 2016-09-05 2019-01-30 (주) 철도안전연구소 Apparatu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girders
KR101947022B1 (en) *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경유지 Apparatu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using string tension control mea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316U (en) * 1989-11-30 1991-08-08
KR100855206B1 (en)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Cable tension adjusting device
KR20090099284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Deflection measurement device of a box girder bridge for the safety check
KR20090099283A (en)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Deflection measurement device on the bridge for the safety check
KR20180064381A (en) * 2015-09-30 2018-06-14 서브씨 7 노르웨이 에이에스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tension rope using a wedge thimble
KR101941076B1 (en) 2016-09-05 2019-01-30 (주) 철도안전연구소 Apparatu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girders
KR101947022B1 (en) * 2018-05-16 2019-05-02 주식회사 대경유지 Apparatus for measuring deflection of bridge using string tension control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Bridge bearings and expansion joints
Vurpillot et al. Vertical deflection of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obtained using deformation sensors and inclinometer
Marécos et al. Field observation of Tagus river suspension bridge
CN114741767B (en) Stay cable force calculation method considering sag inclination angle bending rigidity at the same time
Liu et al. Measurement and comparative study on movements of suspenders in long-span suspension bridges
KR102320599B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a structure
Fang et al. Field static load test on Kao-Ping-Hsi cable-stayed bridge
Vurpillot et al. Bridge monitoring by fiber optic deformation sensors: design, emplacement, and results
Oehler Vibration susceptibilities of various highway bridge types
KR20080016116A (en) Method for evaluating load carrying capacity of bridge
Tabatabai et al. Bridge stay cable condition assessment using vibration measurement techniques
Razzaq et al.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LRFD) approach for reinforced-plastic channel beam buckling
KR20110136998A (en) Real time lateral deformation measuring method of building structural members using inclinometer and straight line of fine steel wires
Brownjohn et al. Dynamic investigation of a suspension footbridge
Shama et al. Ambient vibration and seismic evaluation of a cantilever truss bridge
JP3748525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ridges
Magne et al. Health monitoring of the Saint-Jean bridge of Bordeaux, France using fiber Bragg grating extensometers
KR102187875B1 (en) Deflection Measuring Instruments
RU2250444C2 (en) Method of monitoring bridge during use
JP4835948B2 (en) Interdigit connection device
KR102652367B1 (en) Method for structure deflection identification using strain sens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gression algorithm
KR102280432B1 (en) Variable steel girder structure for deflection prevention
Kim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 Canadian perspective
CN214224069U (en) Deform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device for field splicing construction of heavy arched beams
Hao et al. Sensitivity analysis of stress influence line-based damage indices application to long-span bridges: Preliminary study: LY Mo & ZW Chen SY Zh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