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319B1 -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319B1
KR102320319B1 KR1020200083804A KR20200083804A KR102320319B1 KR 102320319 B1 KR102320319 B1 KR 102320319B1 KR 1020200083804 A KR1020200083804 A KR 1020200083804A KR 20200083804 A KR20200083804 A KR 20200083804A KR 102320319 B1 KR102320319 B1 KR 10232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resource
user termin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홍석
권희훈
장상률
이혁준
김동현
박효상
정종일
박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20008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3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6
    • H04L67/280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services of a home network based on a group and relates to a personalization service which provides a combined service under authentication integration about object derivation of a user (N), a resource (N), a group (N), correlation analyzing and modeling, and call, IoT and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Description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 및 동작 방법{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그룹기반으로 홈네트워크의 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한 기술로서, 사용자(N), 리소스(N), 그룹(N)에 대한 객체 도출, 상호 관계 분석 및 모델링과,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에 대한 인증 통합 기반 하에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services of a home network based on a group, object deriv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ling for users (N), resources (N), and group (N), and call, IoT,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It relates to a personalized service that provides a convergence servic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tegration for

기존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각기 다른 프로토콜로 연동되어 인증 정보가 통합 관리되기 보다는 별개의 서비스로 운영되었다. 또한 서비스에 대한 권한 제어가 힘들었으며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The existing home network service was operated as a separate service rather than integrated manage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different protocols in providing call, IoT, and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control permissions for the service, and the same service was provided to all users rather than providing a personalized service.

스마트 홈을 위해 많은 기술들이 개발 및 고도화되어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가 응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파편화되지 않고 통합 연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상호 관계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해야 한다. Many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advanced for the smart home, and services in various areas are being applied, and users are trying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by analyzing user behavior patterns. In order for these technologies to be integrated and linked to create new value without fragmentation, the mutual relationship must be flexible and scalable.

근래에는, 음성, 이미지 인식과 같은 개인 식별 기술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있고 스마트 폰의 보급화로 인해 간접적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있어 이러한 기술들과 접목하여 개인화 서비스 제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정보들을 빅데이터 수집 및 AI 기술과 접목하여 미리 설정된 서비스가 아닌 사용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the reliability of personal identification technologies, such as voice and image recognition, is increasing, and due to the spread of smart phones, individuals can be identified indirectly, so research on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s by combining these technologies with these technolog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urthermore, there is a trend to provide active services based on user behavior patterns rather than preset services by combining this information with big data collection and AI technology.

한국등록특허 제10-1994146호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키 관리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4146 "Key Management Method for Security of Internet of Things Data in Cloud Computing" 한국등록특허 제10-2050887호 "사물인터넷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Korea Patent No. 10-2050887 "Data sharing method and system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managing the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는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그룹을 기반으로 사용자, 리소스의 관계를 재 정의하여 차등적 권한 부여 및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ution for providing differential authorization and personalization services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resources based on groups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calls, IoT, and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n a home network. aim to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권한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알림을 회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저장 후 네트워크에 퍼블리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on a user or resource in a database; receiving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In response, the step of inquiring information of the gateway with reference to the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the database, checking the authority of the gateway based on the query result, the check result, if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the sending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device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the device through the gateway for control, and receiving event notification from the device through the gateway It may include replying, and based on the event notification, saving the state of the device and then publishing it to the network.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리소스 기기로부터 리소스 등록 요청을 수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about the user or resource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collecting and registering a resource registration request from a resource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원가입 요청을 수집하여 회원가입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collecting a membership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cessing the membership registr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리소스 기기에 상응하는 그룹 등록의 요청을 수집하고, 상기 특정 리소스 기기와 매칭하여 상기 그룹 등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a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llecting a group regist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source device from a user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group by matching with the specific resource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룹 사용자 추가 요청을 수집하여, 기등록 그룹에 신규 사용자를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on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ollecting a group user addi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new user, and adding the new user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group. can do.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차등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executing differential control on a device in response to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n authorized user terminal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It may include further steps.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호출 및 통화 호를 설정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ng method of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to establish a group-based call and a call call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화 된 복수 리소스 기기에 대한 관리 및 제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management and control of a plurality of grouped resource devices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리소스 기기의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권한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and responds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but with reference to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a database, inquires resource devic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inquiry result, inspects the authority of the resource device, and returns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authority are authenticated, and corresponds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and a cloud server for controlling the device state change by transferring the device state change to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소스 기기는, 사용자 또는 리소스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 resour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trolled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by a user or a resource reques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권한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and responds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but with reference to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the database, in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resource device, , based on the inquiry result, inspects the authority of the resource device, and if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authority are authenticated,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i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rresponding A device state change may be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알림을 회신하고, 상기 이벤트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저장 후 네트워크에 퍼블리시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turn an event notification from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store the state of the device based on the event notification, and then publish it to the network.

일실시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는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그룹을 기반으로 사용자, 리소스의 관계를 재 정의하여 차등적 권한 부여 및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olution for providing differential authorization and personalization services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resources based on groups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calls, IoT, and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n a home network can provide

도 1은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리소스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회원가입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룹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그룹 리소스를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디바이스에 제어 요청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resource devic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user terminal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 registration process.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ding a group user.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ding a group resourc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king a control request to a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named as a second elem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for example, “between” and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100 .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100)를 위한 통합 시스템은 차등 제어, 개인, 그룹 단위의 조회 권한 부여가 가능하고, 그룹화를 통한 복수 리소스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The integrated system for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nables differential control, individual and group inquiry authorization, and multiple resource management and control through grouping.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디바이스(110)는 커튼, 조명, 플러그, 온도, 알람, 동작센서, 공기질센서, 문열림센서, 가스제어기, 에어컨제어기 등의 사용자 개인용도의 사물인터넷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oT-based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user's personal IoT device such as a curtain, lighting, plug, temperature, alarm, motion sensor, air quality sensor, door open sensor, gas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r. can

스마트폰(130)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1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smartphone 130 may control the device 110 by using a cloud server.

한편, 스마트폰(130)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용 기기(140)에 대해서도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용 기기(140)는 스마트 주차관제기, 택배함, 엘리베이터, 자동 현관문, 경비실기, 로비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phone 130 may perform IoT-based control on the commonly used public device 140 as well. The public device 140 may include a smart parking controller, a delivery box, an elevator, an automatic front door, a security office device, a lobby phone, and the like.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은 디바이스(110)나 공용 기기(140)에 대한 차등 제어, 조회 권한 부여가 가능하다.In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ial control and inquiry authority to the device 110 or the public device 140 .

이를 위해, 개인, 그룹 단위의 제어가 가능하고, 세대별 월패드(120)를 활용하여 그룹화를 통한 복수 리소스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To this end, individual and group control is possible, and multiple resource management and control through grouping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wall pad 120 for each generation.

보다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된 각종 디바이스(110)나 공용기기(140)에 대한 그룹기반의 개인화 서비스가 가능하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group-based personalization services for various devices 110 or public devices 140 connected to a cloud server.

일례로, 사용자는 단지 정보와 함께 리소스(예를들어, 세대별 월패드)를 등록하고, 회원가입 후 등록한 리소스에 대한 그룹 등록을 클라우드 서버측에 요청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may simply register a resource (eg, a wall pad for each household) with information, and request group registration for the registered resource after membership registration to the cloud server side.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룹기반으로 홈네트워크의 서비스를 통합이 가능하며, 사용자(N), 리소스(N), 그룹(N)에 대한 객체 도출, 상호 관계 분석 및 모델링과,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에 대한 인증 통합 기반 하에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home network services on a group basis, object derivation for users (N), resources (N), and group (N),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ling, and call, IoT, access authent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ized service that provides a converged servic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tegration base for the service.

도 2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system 200 for implemen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일실시예에 따른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200)은 클라우드 서버(210),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리소스 기기(220), 및 사용자 기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tire system 200 for implemen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loud server 210, a resource device 220 that records and maintains group information about a user or resource in a database, and a user device ( 230) may be included.

클라우드 서버(210)는 리소스 등록, 회원 가입, 그룹 등록 과정에서 인증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되는 경우 해당 리소스에 대한 그룹 등록 절차를 마무리 짓게 된다.The cloud server 210 determines wheth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e resource registration, member registration, and group registration process, and if authenticated, completes the group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resource.

등록 처리된 리소스의 그룹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유지될 수 있다.Group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resource may be recorded and maintained in a database on the cloud server side.

일례로, 클라우드 서버(210)는 홈 관리를 위한 처리 모듈(211)과, 오피스 관리를 위한 처리 모듈(212)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홈 관리를 위한 처리 모듈(211)과, 오피스 관리를 위한 처리 모듈(212)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시퀀스로 동작하는 프로세스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cloud server 210 may manage the processing module 211 for home management and the processing module 212 for office management separately.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ing module 211 for home management and the processing module 212 for office management are not differentiated and the processes operate in the same sequence.

클라우드 서버(210)는 사용자 단말기(220)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의 권한을 검사하고,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기(220)로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210 may receive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20 .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gateway may be inquired by referring to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the database. Also, based on the inquiry result, the authority of the gateway is checked, and when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may be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220 .

또한,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게이트웨이를 통해 리소스 기기(230) 중에서 디바이스(232, 233, 234)로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device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s 232 , 233 , and 234 from among the resource devices 230 through the gateway for control.

다음으로, 리소스 기기(220)는 사용자 또는 리소스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되는, 커맨드 실행의 대상이 되는 기기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대별 월패드(231)나 세대별 월패드(231)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CCTV, 로비폰, 도어벨, 이웃 월패드 등의 UC 기기(232), 조명스위치, 조명, 보일러, 플러그, 커튼, 습도제어기 등의 IoT 기기(233), 현관문 잠금장치, 로비폰 등의 액세스 기기(2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resource device 220 may be interpreted as a device subject to command execution, which is processed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by a user or resource request. For example, UC devices 232 such as CCTV, lobby phone, doorbell, neighbor wall pad, which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all pad 231 by household or the wall pad 231 by household, lighting switch, lighting, boiler, It may include an IoT device 233 such as a plug, a curtain, and a humidity controller, a door lock, and an access device 234 such as a lobby phone.

도 3은 리소스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resource device.

먼저, 리소스 기기는 리소스 등록을 위해, 인증 서버로 리소스 등록을 요청한다(301). First, the resource device requests resource registration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for resource registration ( 301 ).

다음으로, 인증 서버는 리소스 기기로 토큰을 발급한다(302). 또한, UC 서버는 리소스의 등록을 요청하면서 리소스 기기로 발급한 토큰을 전달하고(303), UC 서버로부터 ACK를 회신한다(304).Next, the authentication server issues a token to the resource device (302). In addition, the UC server transmits the token issued to the resource device while requesting resource registration (303), and returns an ACK from the UC server (304).

UC 서버는 CCTV, 로비폰, 도어벨, 이웃 월패드 등의 UC 기기를 제어하거나,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 해석될 수 있다.The UC server may be interpreted as a server that controls or directly manages UC devices such as CCTV, lobby phone, doorbell, and neighbor wall pad.

이후, 리소스 기기는 리소스 수정을 통해 단지정보 등을 인증 서버에 등록 요청하고(305), ACK를 회신할 수 있다(306).Thereafter, the resource device may request registration of complex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resource modification ( 305 ), and may return an ACK ( 306 ).

이에, 인증 서버는 리소스 기기로부터 수신한 리소스 수정 정보를 UC 서버로 전달하고(307), ACK를 회신함으로써(308), 리소스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hentication server may register the resource device by transferring the resource mod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source device to the UC server (307) and returning an ACK (308).

도 4는 회원가입을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user terminal through membership registration.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서버에 사용을 희망하는 ID를 제출하여 ID 중복 체크를 요청하고(401), 인증 서버로부터 ID 중복 여부에 대한 응답을 회신할 수 있다(402).The user terminal may request an ID duplication check by submitting an ID desired to be us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 401 ), and may return a response as to whether or not the ID is duplicated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 402 ).

만약, 사용을 희망하는 ID가 다른 사용자와 중복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ID로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403). 이에, 인증 서버는 사전에 설정한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들이 모두 정상적인 형태로 수집되었는지를 확인 후 사용자 기기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404).If the ID desired to be used is not duplicated with other users, the user terminal requests membership registr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D (403). Accordingly, the authentication server may issue a token to the user device after confirming that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membership registration set in advance has been collected in a normal form ( 404 ).

마찬가지로, 인증서버는 UC 서버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고, 사용자 기기로 발행했던 토큰을 전달할 수 있다(405). 또한, 인증 서버가 UC 서버로부터 사용자 등록에 대한 ACK를 회신 함으로써(406), 사용자 기기의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Similarly, the authentication server may request user registration to the UC server and transmit the issued token to the user device ( 405 ). Also, when the authentication server returns an ACK for user registration from the UC server ( 406 ), the registration of the user device may be completed.

도 5는 그룹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oup registration process.

사용자 단말기는 리소스 기기로 리소스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501).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QR 코드 등을 활용하여 리소스 정보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소스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로 리소스 정보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 리소스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502).The user terminal may request a resource information inquiry from the resource device ( 501 ). In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may request resource information inquiry by using a QR code or the like. Next, the resource device may return the resour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source information inquiry ( 502 ).

리소스 정보를 응답받은 사용자 단말기는 그룹 서버로 그룹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503).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리소스를 그룹 서버로 제공하여 그룹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특히, 그룹 생성 또는 사용자 그룹 등록 등의 리소스를 제공하여 그룹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504).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resource information may request group registration to the group server (503). In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may request group registration by providing the resource to the group server. In particular, group registration may be requested by providing resources such as group creation or user group registration ( 504 ).

한편, 그룹 서버는 MQTT 서버로 그룹 등록 알림을 퍼블리시하고(505), MQTT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그룹 등록 알림을 퍼블리시 할 수 있다(506).Meanwhile, the group server may publish a group registration notification to the MQTT server ( 505 ), and the MQTT server may publish a group registra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terminal ( 506 ).

그룹 등록 알림이 퍼블리시 되면, 그룹 서버는 UC 서버로 그룹 등록 정보를 전달하고(507), 그룹 등록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UC 서버로부터 ACK를 회신할 수 있다(508).When the group registration notification is published, the group server may transmit group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UC server (507), and if the group registration information is normally transmitted, an ACK may be returned from the UC server (508).

도 6a 및 6b는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ding a group user.

도 6a는 기등록 사용자에 대한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에 해당하고, 도 6b는 미등록 사용자에 대한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에 해당한다.6A corresponds to a process of adding a group user to an already registered user, and FIG. 6B corresponds to a process of adding a group user to an unregistered user.

도 6a를 살펴보면, 그룹 관리자 기기는 사용자 그룹 초대 요청을 그룹 서버로 전송하고(601), 그룹 서버로부터 ACK를 회신할 수 있다(602).Referring to FIG. 6A , the group manager device may transmit a user group invitation request to the group server ( 601 ), and may return an ACK from the group server ( 602 ).

한편, 그룹 서버는 그룹 초대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푸시 서버로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 요청할 수 있다(611).Meanwhile, the group server may request to transmit a group invitation message to the push server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group invitation user is registered ( S611 ).

푸시 서버는 그룹 초대 메시지에 대한 회신으로 신규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612).The push server may transmit a user group invitation message to the new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group invitation message (S612).

또한, 신규 사용자 기기는 그룹 서버로 사용자 그룹을 추가 요청하고(613), 사용자 그룹 추가에 대한 응답을 회신할 수 있다(614). 또한, 그룹 서버는 UC 서버로 그룹 변경 정보를 전달하고(615), 이에 대한 ACK를 회신하여 그룹 사용자 추가 프로세스가 처리될 수 있다(616).Also, the new user device may request to add a user group to the group server ( 613 ), and return a response to the addition of the user group ( 614 ). Also, the group server transmits group change information to the UC server ( 615 ), and returns an ACK thereto, so that the group user addition process can be processed ( 616 ).

도 6b를 살펴보면, 그룹 관리자 기기는 사용자 그룹 초대 요청을 그룹 서버로 전송하고(601), 그룹 서버로부터 ACK를 회신할 수 있다(602).Referring to FIG. 6B , the group manager device may transmit a user group invitation request to the group server ( 601 ) and return an ACK from the group server ( 602 ).

한편, 그룹 서버는 그룹 초대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이메일 등의 형태로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그룹 초대를 요청하고(621), 신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 회원가입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group server may request a user group invitation to the new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n e-mail or the like after checking whether the group invitation user is registered ( S621 ), and the new user device may perform a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sequence.

신규 사용자 기기는 그룹 서버로 사용자 그룹 초대를 요청하고(622), 사용자 그룹 추가에 대한 응답을 회신할 수 있다(623). 한편, 그룹 서버는 그룹 변경 정보를 UC 서버로 전송하고(624), ACK를 회신하여 그룹 변경을 요청함으로써(625), 그룹 사용자의 추가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The new user device may request a user group invitation to the group server ( S622 ), and return a response to adding the user group ( S623 ). On the other hand, the group server transmits the group change information to the UC server (624), and returns an ACK to request the group change (625), thereby processing the addition process of the group user.

도 7은 그룹 리소스를 추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dding a group resource.

그룹 관리자 기기는 인증 서버로 리소스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701), 그에 대한 리소스 정보를 응답받을 수 있다(702). 또한, 그룹 관리자 기기는 그룹 서버로 리소스 그룹에 대한 추가를 요청하고(703), ACK를 회신할 수 있다(704). 그룹 서버는 MQTT 서버로 그룹 추가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 요청하고(705), 그에 대한 회신으로 MQTT 서버는 신규 리소스 기기로 그룹 추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706).The group manager device may request a resource information inquiry from the authentication server (701), and receive a response of the resource information thereto (702). Also, the group manager device may request the group server to add to the resource group ( 703 ) and return an ACK ( 704 ). The group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group addition message to the MQTT server (705), and in response thereto, the MQTT server may transmit the group addition message to the new resource device (706).

또한, 그룹 서버는 UC 서버로 그룹 변경 정보를 전달하고(707), 그에 대한 ACK를 회신하여 그룹 리소스 추가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708).In addition, the group server may transmit group change information to the UC server ( 707 ), and return an ACK thereto to process the group resource addition process ( 708 ).

도 8은 디바이스에 제어 요청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king a control request to a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과 같은 사용자 기기와 세대별 월패드와 같은 리소스 기기를 그룹 개념으로 소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중에 마스터가 있으며 마스터가 개인 사용자에 대한 권한, 그룹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할 수 있고, 그룹 기반 하에 IoT, UC, Access 등의 응용 서비스들이 연계하여 확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and a resource device such as a wall pad for each generation can be owned as a group concept. In addition, there is a master among users, and the master can grant and manage rights for individual users and groups, and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IoT, UC, and Access can be linked and expanded under a group basis.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서비스들이 동일한 그룹 체계에서 동작할 경우 서로 연계가 되는 확장 서비스(시나리오, 자동화 등)를 제공하기가 용이하다.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provide extended services (scenarios, automation, etc.) that are linked to each other when different services operate in the same group system.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WAS 서버로 커맨드 실행 요청을 위한 API를 제공할 수 있다(801).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접근토큰, 리소스 번호, CGP 등을 WAS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802).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n API for a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the WAS server ( 801 ).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n access token, resource number, CGP, etc. to the WAS server (802).

한편 데이터베이스는 WAS 서버로 게이트웨이 정보 조회를 위한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WAS 서버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권한을 검사하고(803), 커맨드를 저장할 수 있다(804).Meanwhile, the database provides the WAS server with related information for inquiring gateway information, and the WAS server checks the authority for the gateway (803), and stores the command (804).

한편, WAS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커맨드 실행 요청 API에 대한 응답으로 커맨드 ID를 회신할 수 있다(805). 이와 함께, WAS 서버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위한 퍼블리시를 MQTT 서버를 통해 리소스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806). 이 때, TCP 방식은 소켓 알림을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AS server may return a command ID to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API ( 805 ). At the same time, the WAS server may transmit a publish for device state change to the resource server through the MQTT server ( 806 ). In this case, the TCP method may utilize socket notification.

리소스 기기는 수신된 디바이스 상태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제어를 수행하고(807),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제어에 따른 이벤트 알림을 회신할 수 있다(808).In response to the received device state change request, the resource device may perform device control ( 807 ) and return an event notification according to device control from the device ( 808 ).

한편, 리소스 기기는 이벤트 알림 API를 WAS 서버로 전송하고(809), WAS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 디바이스 상태를 저장하고, 리소스 기기로 이벤트 알림 API를 응답할 수 있다(810).Meanwhile, the resource device may transmit the event notification API to the WAS server ( 809 ), the WAS server may store the device state in a database, and respond to the event notification API to the resource device ( 810 ).

또한, WAS 서버는 상태 이벤트 알림을 MQTT 서버를 통해 퍼블리시 하고, MQTT 서버는 연결된 리소스 기기(811),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태 이벤트 알림을 수행함으로써(812, 813), 상태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 server publishes the status event notification through the MQTT server, and the MQTT server may notify the status event by performing status event notification to the connected resource device 811 and user terminals (812, 813).

앞서 설명한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프로세스들을 통해,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될 수 있는 통화, IoT, 출입 인증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그룹을 기반으로 사용자, 리소스의 관계를 재 정의하여 차등적 권한 부여 및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es of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described above, differential authorization is granted by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resources based on groups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calls, IoT, and access authentication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home network. and a solution for providing a personalization service.

본 발명을 개인 권한과 그룹 권한으로 구분되는, 권한의 부여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individual authority and group authority, and it is possible to grant authority.

개인 권한의 경우, 관리자에 의한 권한 부여가 가능하고, Web 관리 툴 또는 모바일 앱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그룹 권한의 경우, 최초 등록자에게 관리자 권한 부여 또는 Web 관리 툴이나 모바일 앱 사용이 가능하고, 관리자에 의한 관리자 권한 부여 및 권한 이관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personal authority, it is possible to grant authority by an administrator, and it is possible to use a web management tool or a mobile app. In addition, in the case of group rights, it is possible to grant administrator rights to the first registrant or use a web management tool or mobile app, and to grant administrator rights and transfer rights by the administrator.

한편, 권한 관리를 위해, 개인 권한 중 IoT는 개인 등급에 따른 디바이스 종류별 조회, 제어 권한 차등 부여가 가능하고, Key는 개인 등급에 따른 출입 권한 차등 부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출입 구역, 출입 기간, 횟수 제한 설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or authority management, among the personal authority, IoT can grant different inquiry and control authority by device type according to personal level, and it is possible to grant different access authority according to personal level for ke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t the access area, the access period, and the number of times limit.

또한, 그룹 권한을 위해, IoT와 Key의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초대, 추방, 등급부여, 권한부여 등을 통해 그룹 멤버 관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for group authority, IoT and key management are possible. In particular, group members can be managed through invitation, expulsion, rating, and authoriz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Claims (12)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상기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게이트웨이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권한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알림을 회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저장 후 네트워크에 퍼블리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룹 사용자 추가 요청을 수집하여, 기등록 사용자 및 미등록 사용자를 구분하여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되,
상기 기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룹 서버에서 그룹 초대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푸시 서버로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 요청하고, 상기 그룹 초대 메시지에 대한 회신으로 상기 푸시 서버에서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그룹 서버에서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이메일의 형태로 사용자 그룹 초대를 요청하고, 상기 신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사용자 회원가입 시퀀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about users or resources in a database;
receiving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retrieving information of a gateway in response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referring to the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the database;
checking the authority of the gateway based on the inquiry result;
sending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the check;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a device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to a device through the gateway;
replying an event notification from the device through the gateway; and
Publishing to a network after saving the state of the device based on the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Collect group user addition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s of new users, classify existing registered users and unregistered users, and add group users,
For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the group server checks whether the group invite user is registered, and then requests to send a group invitation message to the push server. In response to the group invitation message, the push server sends a user group invitation message to the new user terminal. sending, for unregistered users, requesting a user group invitation in the form of e-mail from the group server to the new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a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sequence in the new user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리소스 기기로부터 리소스 등록 요청을 수집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Steps to collect and register resource registration requests from resource devices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원가입 요청을 수집하여 회원가입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processing membership registration by collecting membership registration requests from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리소스 기기에 상응하는 그룹 등록의 요청을 수집하고, 상기 특정 리소스 기기와 매칭하여 상기 그룹 등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collecting a group regist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resource device from a user terminal, and processing the group registration by matching the specific resource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또는 리소스에 대한 그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하는 단계는,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룹 사용자 추가 요청을 수집하여, 기등록 그룹에 신규 사용자를 추가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group information for the user or resource in the database,
Collecting group user addition requests from the new user's user terminal, and adding new users to the registered group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차등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executing differential control on a device in response to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n authorized user terminal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 기반 호출 및 통화 호를 설정하도록 처리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a group-based call and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for processing to establish a call c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화 된 복수 리소스 기기에 대한 관리 및 제어를 처리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operating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grouped resource devices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리소스 기기의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권한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제어하는 클라우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룹 사용자 추가 요청을 수집하여, 기등록 사용자 및 미등록 사용자를 구분하여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되,
상기 기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룹 초대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이메일의 형태로 사용자 그룹 초대를 요청하고, 상기 신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회원가입 시퀀스를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
Receive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respond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refer to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a database, inquire information of the resource device, and based on the query result, The authority is checked, and when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as a result of the check,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i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device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cloud server controlled by
including,
The cloud server collects the group user addi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new user, classifies the registered user and the non-registered user, and adds the group user,
For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group invite user is registered, a user group invitation message is sent to the new user terminal, and for the unregistered user, a user group invitation is requested to the new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n e-mail, and the new user group is invited.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that requests to perform a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sequence through a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기기는,
사용자 또는 리소스의 요청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source device,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by a user or resource request.
사용자 또는 리소스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어되는 리소스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커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응답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그룹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정보를 조회하며, 상기 조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리소스 기기의 권한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권한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커맨드 실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맨드 실행 요청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상태 변경을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신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그룹 사용자 추가 요청을 수집하여, 기등록 사용자 및 미등록 사용자를 구분하여 그룹 사용자를 추가하되,
상기 기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그룹 초대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고, 미등록 사용자에 대해서는, 신규 사용자 단말기로 이메일의 형태로 사용자 그룹 초대를 요청하고, 상기 신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회원가입 시퀀스를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
A resource device controlled from a cloud server based on group information recorded in a database by a user or resource request
including,
The cloud server,
Receive a command execution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respond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refer to group information maintained in the database, and query information on the resource device, based on the query result, The authority of the device is checked,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authority is authenticated, a response to the command execution request is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device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mmand execu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control to pass to
The cloud server collects the group user addi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new user, classifies the registered user and the non-registered user, and adds the group user,
For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group invite user is registered, a user group invitation message is sent to the new user terminal, and for the unregistered user, a user group invitation is requested to the new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n e-mail, and the new user group is invited.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request is made to perform a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sequence through a user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리소스 기기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알림을 회신하고, 상기 이벤트 알림을 기반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저장 후 네트워크에 퍼블리시하는 그룹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 통합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loud server,
A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that returns an event notification from the device through the resource device, stores the device state based on the event notification, and publishes the device to the network.
KR1020200083804A 2020-07-08 2020-07-08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2320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04A KR102320319B1 (en) 2020-07-08 2020-07-08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04A KR102320319B1 (en) 2020-07-08 2020-07-08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319B1 true KR102320319B1 (en) 2021-11-02

Family

ID=7847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04A KR102320319B1 (en) 2020-07-08 2020-07-08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31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319A (en) * 2004-12-03 2006-06-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Home network gateway for assigning authority and administering connection classfied by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7254A (en) * 2015-05-22 201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70126641A (en) * 2016-05-10 2017-11-20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to support private networks
KR20180031520A (en) * 2016-09-20 2018-03-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Gateway and group communications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4146B1 (en) 2017-09-08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ey Management Method for IoT Data Security in Cloud Computing
KR102050887B1 (en) 2017-11-29 2019-1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FOR INTERNET OF THINGS(IoT) MANAGEMENT IN CLOUD COMPUTING
KR20200024813A (en) * 2020-02-27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319A (en) * 2004-12-03 2006-06-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Home network gateway for assigning authority and administering connection classfied by u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7254A (en) * 2015-05-22 201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70126641A (en) * 2016-05-10 2017-11-20 국방과학연구소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to support private networks
KR20180031520A (en) * 2016-09-20 2018-03-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Gateway and group communications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4146B1 (en) 2017-09-08 2019-06-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Key Management Method for IoT Data Security in Cloud Computing
KR102050887B1 (en) 2017-11-29 2019-1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FOR INTERNET OF THINGS(IoT) MANAGEMENT IN CLOUD COMPUTING
KR20200024813A (en) * 2020-02-27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7954C (en) Device enabled identity authentication
CN110463164B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redentials for a device
US11196551B2 (en) Automated task management on a blockchain based on predictive and analytical analysis
AU2016273888B2 (en) Controlling physical access to secure areas via client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AU20172427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biometric identity and authenticating biometric identity
US201902225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elationships among digital identities
US20060294103A1 (en) Security and authorization in management agents
WO2015052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tegrity of data feed for internet of things
CN108230083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9117668A (en) A kind of identification authorization safety access method based on block chain building
JP6400990B2 (en) Application data management in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CN110430180A (en) A kind of platform of internet of things and implementation method based on hot plug
KR101626723B1 (en) Service gateway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320319B1 (en) Group-based home network servic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2252863B1 (en) Things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hen et al. An online cognitive authentication and trust evalu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cognitive security gateway based on distributed massive Internet of Things network
JP2003242119A (en) User certification server,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Petrakis et al. iPACS: a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as a service and mobile application
KR102430359B1 (en) Parking reservation system for visiting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21188A (en) Smart home system able to manage residents and visitors of multi-family houses
KR1019130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s1 based thing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CN111542001A (en) Network system with distributed server clust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500585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erver
Carratù et al. IoT Data Validation Using Blockchain and Dedicated Cloud Platforms
KR20030014946A (en) Method For Integrated Authentication To Many Living Body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