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75B1 -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9475B1 KR102319475B1 KR1020190172311A KR20190172311A KR102319475B1 KR 102319475 B1 KR102319475 B1 KR 102319475B1 KR 1020190172311 A KR1020190172311 A KR 1020190172311A KR 20190172311 A KR20190172311 A KR 20190172311A KR 102319475 B1 KR102319475 B1 KR 102319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home appliance
- user
- hom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9 pet ca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가전제품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가전제품의 동작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의 수면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하는 빅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빅데이터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제공받아 가전제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사용자의 신체상태 등을 수집한 후 이를 통합적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최적화된 가전제품 구동 제어정보를 도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가전제품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I와 IoT 기술을 접목한 실질적인 가전제품 자동 구동을 위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is start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AI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r's use pattern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sensor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operation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user's sleep pattern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ata; a big data calculation unit that analyzes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through machine learning to calculat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result calculated from 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llecting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the sensor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etc., it is integrated and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optimize the home appliance By deriving product dr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recommending it to users or enabling home appliances to be automatically driven, a home automation system can be built for the actual automatic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incorporating AI and IoT technology.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와 AI 기술을 융합하여 사용자가 가전제품 등을 사용함에 있어 라이프 트래킹 서비스, 스마트 컨시어지 서비스, KIA(Keep eye on, Interface, Act)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층 풍요롭고 편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e-tracking service, a smart concierge service, a KIA (Keep eye on, Interface, Act) service, etc. when the user uses home appliances by convergence of IoT and AI technology, so that the user can enjoy a richer and more comfortable daily life It is about a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o that people can spend time together.
일반적으로, 생활가전의 경우에는 실내의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의 스마트 생활가전은 사용자가 실외에 있더라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동작 상태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In general, in the case of home appliances, a method of direct manipulation by an indoor user has been used, but recent smart home appliances have developed to a level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the operating state can be monitored even when the user is outdoors.
이러한 스마트 생활가전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는 방범 및 방재를 위한 홈 시큐러티, 가전제품, 냉난방 및 조명 등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실내에 있지 않더라도 실내 온도를 조절하거나 가스누출을 방지하거나 문단속 등을 할 수 있다.The home automation service using these smart home appliances remotely controls home security, home appliances, air conditioning, and lighting for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o that even if the user is not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om temperature, prevent gas leakage, or lock the door. can do.
그러나,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원격 제어에 의해 스마트 생활가전이 동작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 또는 퍼스널 컴퓨터를 조작하여 다양한 생활가전을 일일히 제어하거나 예약 설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는 사용자의 상태, 사용패턴 및 실내외의 환경 변화에 따라 자율적으로 각각의 스마트 생활가전을 동작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자동화를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such home automation service, since the smart home appliance operates by the user's remote control, the user has to manually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by operating a smartphone or personal computer or make reservation settings.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That is, the conventional home automation service fails to implement practical automation that can autonomously operate each smart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usage pattern, and changes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사용자의 신체상태 등을 수집한 후, 이를 통합적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최적화된 가전제품 구동 제어정보를 도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가전제품을 구동할 수 있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fter collecting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the sensor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etc.,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that can be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derive optimized home appliance dr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recommend it to users or automatically drive home appliances.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가전제품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가전제품의 동작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집한 후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가전제품 서비스를 추천하거나 자동 컨트롤하는 AI 가전을 통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전제품 사용자의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가전제품의 동작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의 수면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하는 빅데이터 산출부; 및 상기 빅데이터 산출부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제공받아 가전제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llecting the usage pattern data of the home appliance user, the sensor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operation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user, the data is analyzed through machine learning.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AI home appliance that recommends or automatically controls home appliance services to a user, the user's usage pattern data, home appliance sensor data, home appliance operation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sleep pattern data; a big data calculation unit that analyzes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through machine learning to calculat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result calculated from 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home appliance.
상기 빅데이터 산출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항목 범위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상기 데이터 분류부를 통해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딥러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추출한 후 최적화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하는 제어신호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may include: a data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based on a preset item range; and a control signal calculation unit for deriving optimized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after extracting characteristics by integrally analyzing the data classified by item through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through deep learning.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신호 산출부는 분류된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하되,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를 누적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data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data of the data collection unit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signal calculation unit analyzes the classified real-time data to deriv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but by accumulating real-time input data and analyzing the accumulated data. Th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may be updated.
상기 제어부는 가전제품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home appliance to the outside, and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사용자의 신체상태 등을 수집한 후 이를 통합적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최적화된 가전제품 구동 제어정보를 도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가전제품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I와 IoT 기술을 접목한 실질적인 가전제품 자동 구동을 위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AI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the sensor data of the home appliance,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etc.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it through machine learning, it is possible to derive optimized home appliance operation control information and recommend it to users or automatically drive home appliances, thereby automatically driving practical home appliances incorporating AI and IoT technology. You can build a home automation system for
또한, 빅데이터 산출부에서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실시간 수집된 데이터를 누적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변화, 위치정보 데이터의 가변적인 변동시에 사용자 기준에 맞춰 가변적으로 변동하여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전제품 사용상 편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accumulates th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analyzes the accumulated data to calculate the optimal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By variably changing and calculating according to user standard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일 예로 사용자 위치정보와 주변 온습도/사용자 생활패턴 변동에 따른 가전제품 제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특정 가전제품을 적용한 경우의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과정과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quence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AI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AI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FIG. 1;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appliance control relationship according to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ambient temperature/humidity/user life pattern change as an example in an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AI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process and results when a specific home appliance is applied in the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n AI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라이프 트래킹(Life Tracking) 서비스, 스마트 컨시어지(Smart Concierge) 서비스, KIA(Keep eye on, Interface, Act)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층 풍요롭고 편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IoT 가전과 AI 가전을 간략하게 정의하면, IoT 가전은 Io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전으로서 원격제어, 데이터 전송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AI 가전은 IoT를 통해 저장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전으로 정의할 수 있다.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e tracking service, a smart concierge service, a KIA (Keep eye on, Interface, Act) service, etc. It is a system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o that users can spend a richer and more comfortable daily life. Hereinafter,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f IoT appliances and AI appliances are briefly defined, IoT appliances are appliances connected using an IoT network and can perform remote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and AI appliances are big appliances stored through IoT. It can be defined as a home appliance that can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o users based on data.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존 IoT 기술 기반의 기기제어 방식(즉, IoT 융합가전,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전제품 구동 제어)을 넘어서 사용자의 생활패턴 등을 AI를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최적의 가전제품 구동 제어를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oes beyond the existing IoT technology-based device control method (i.e., IoT convergence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driving control using a smartphone), and the user's life pattern, etc. It is a system that can comprehensively analyze and control the driving of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rough AI.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집한 후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가전제품 서비스를 추천하거나 가전제품을 자동 컨트롤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home appliance senso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analyzes the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to recommend or recommend home appliance services to the user. It adopts the method of automatic control of home appliance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부(100), 빅데이터 산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1 to 4,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AI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데이터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등을 수집한다. 이외에도 데이터 수집부(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First, the
여기서,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는 가전제품 사용 주기, 빈번하게 사용하는 시간/요일 등, 즉 가전제품의 구동 주기, 가전제품이 어느 요일, 시간대에 주로 구동하는지, 구동 지속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may include the home appliance use cycle, frequently used time/day, etc., that is, the driving cycle of the home appliance, in which day and time of the week the home appliance is mainly driven, and the driving duration. can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전제품은 제어부(300)의 송신부(310)를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이 제어되면서 전체적으로 홈 오토메이션 구동 시스템을 이루게 되는데,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는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구동 시스템의 동작 데이터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ome appliance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는 가전제품에 장착되어 있는 온/습도 센서, 실내 미세먼지농도 감지센서, 사용자의 체온/호흡수/심박수 검출센서 등으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이다. 가전제품에는 이러한 센싱값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되며 데이터 수집부(100)는 무선 통신(일 예로 와이파이, LTE, 5G 통신망 등)망을 통해 이러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온/호흡수/심박수는 웨어러블 착용기기를 통해 센싱될 수 있으며 센싱된 값은 마찬가지로 외부로 전송된다.The sensor data of home appliances is the sensing value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and the user's body temperature/respiration rate/heart rate sensor installed in the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se sensed values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home appliance, and the
외부 환경 데이터는 기상정보(온/습도, 강수량 등), 외부 공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나 웹 사이트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may includ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emperature/humidity, precipitation, etc.), external air quality, etc., and may be collected, for example, from a server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a website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는 무선통신기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GPS를 통해 기지국에 수집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i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ow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base st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GPS.
다음, 빅데이터 산출부(200)는 데이터 수집부(100)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한다.Next, the big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산출부(200)는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210)와 분류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구동정보를 도출하는 제어신호 산출부(2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데이터 분류부(210)는 데이터 수집부(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항목 범위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구체적으로 전술한 1)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2)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3) 외부 환경 데이터, 4)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같은 설정 항목별로 분류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수면 패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류부(210)는 수면 패턴에 대해서도 별도 항목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한다.The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데이터 분류부(210)를 통해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딥러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추출한 후 최적화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한다.The contro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데이터 분류부(210)에서 각각의 항목별로 분류된 수집 데이터를 항목별로 개별 분석하여 가전제품 구동 제어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반복적으로 분석 학습하여 최적화된 제어정보를 산출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예를 들어, 데이터 분류부(2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사용자가 스마트 세탁기를 주로 토요일 오전에만 운전시킴", "금일은 금요일", "토요일 오전에 강수 예상 확률이 70% 이상" 등인 경우,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분류된 데이터를 기계학습(딥러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토요일 오전에 스마트 세탁기를 구동하지 않고 그 이후시간으로 구동 시간을 연장시킬 것"이라는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ata classified by the
또 다른 예로, 데이터 분류부(210)에서 분류된 데이터가 "사용자가 집으로 귀가하기까지 20분정도 남음", "사용자의 평균 체온은 36.9도", "사용자의 현재 감지 체온은 35.8도", "사용자가 보통 귀가 후 30분후에 보일러를 가동시킴", "현재 집 주변 기온은 5도로 쌀쌀한 편" 등인 경우,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현재 시각 기준으로 대략 50분후에 보일러를 가동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체온 저하를 고려하여 귀가 전 집안 온도를 높이도록 미리 보일러를 구동시킬 것"이라는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사용자 도착 예정시간, 주변 온/습도 및 사용자 생활패턴 등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맞춤 제어정보를 도출한다.As another example, the data classified by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류부(210)는 데이터 수집부(1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며,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분류된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하되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를 누적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맞는 가전제품 구동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현재까지 수집되어 분류된 데이터가 "사용자가 주로 평일 저녁시간에 가습기를 구동", "가습기 구동지속 시간은 1시간 정도", "가습기 구동할때 외부 습도는 60~65% 정도"이고 추후 사용자 상태 변동에 의해 가습기 구동 시간대, 구동 지속시간, 외부 습도에 따른 구동 여부 등이 현재 수집/분류된 데이터와 일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For example, the data collected and classified so far are "Users operate the humidifier mainly on weekday evenings", "The duration of operation of the humidifier is about 1 hour", "The external humidity is about 60~65% when the humidifier is running" In the futur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collected/classified data in the humidifier operation time period, driving duration, and whether the humidifier is driven according to external humidity due to a change in the user's state, it is continuously updated to reflect these differences.
다음, 제어부(300)는 빅데이터 산출부(200)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가전제품 서비스를 추천하거나 가전제품의 구동을 제어한다.Next,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단말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구동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전제품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빅데이터 산출부(200)의 산출 결과를 기반으로 가전제품을 자동으로 구동 온/오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가전제품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310)를 포함하고, 가전제품은 송신부(31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이하, 다양한 가전제품 중 선택된 가전제품을 기준으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vision of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home appliance among various home applian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이 애완동물 케어 제품인 경우, 데이터 수집부(100)는 애완동물의 급식 정보, 이동 정보, 짖음 정보, 건강정보(호흡, 심박, 칼로리 소모, 수면량 등), 주인 외출시 애완경 행동 정보 등을 수집한다. 이를 위해 애완동물 케어 제품에는 카메라, 움직임 감지센서, 소리감지센서, 호흡/심박수 측정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pet care product, the
빅데이터 산출부(200)는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방법을 통해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맞춤 정보는 애완동물의 상태(이동정보, 짖음 등) 기반 급식 제공, 애완동물의 선호 이동패턴 기반 장난감 제공, 애완동물의 건강상태 관리 및 솔루션 제공(수면량, 칼로리 소모량, 호흡, 심박), 주인 부재시 애완동물 케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g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이 사용자 맞춤형 양념머신 제품인 경우, 데이터 수집부(100)는 사용자의 호흡/혈압/심박수, 식자재의 영양분석정보, 양념배합정보, 보유 식자재 및 위생정보, 추천 레시피, 기기 동작 정보(시간, 횟수, 동작 레시피 등) 등을 수집한다.Next, as shown in FIG. 6 ,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user-customized seasoning machine product, the
빅데이터 산출부(200)는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딥러닝 학습방법을 통해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맞춤 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사용패턴 분석 맞춤형 레시피 제공, 보유재료/위생정보 고려 레시피 제공, 기기동작/상태정보 등을 고려한 A/S 지원 서비스 제공, 사용자간 정보 공유 및 전문가 풀 자문을 통한 맞춤형 레시피 및 양념 자동 추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g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데이터 수집부 200: 빅데이터 산출부
210: 데이터 분류부 220: 제어신호 산출부
300: 제어부 310: 송신부
410: 수신부100: data collection unit 200: big data calculation unit
210: data classification unit 220: control signal calculation unit
300: control unit 310: transmitter
410: receiver
Claims (4)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의 수면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00);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학습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산출하는 빅데이터 산출부(200); 및
상기 빅데이터 산출부(200)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가전제품 서비스를 추천하거나 가전제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가 수집하는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는 가전제품으로부터 수집하는 가전제품 사용 주기, 가전제품의 구동 주기, 구동 지속시간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빅데이터 산출부(2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항목 범위 즉, 상기 사용자의 가전제품 이용패턴 데이터, 가전제품의 센서 데이터, 외부 환경 데이터,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의 수면 패턴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210); 및
상기 데이터 분류부(210)를 통해 항목별로 분류된 데이터를 딥러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추출한 후 최적화된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하는 제어신호 산출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AI home appliance that recommends or automatically controls home appliance service to users by analyzing the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after collecting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home appliance senso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and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s a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data collection unit 100 for collecting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the home appliance sensor data, the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user's sleep pattern data;
a big data calculation unit 200 that analyzes the data collected in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through machine learning to calculat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unit 300 for receiving the result calculated from 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200 and recommending a home appliance service to the user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includes data of a home appliance use cycle, a driving cycle of the home appliance, and a driving duration collected from the home appliance,
The big data calculation unit 200,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is based on a preset item range, that is, the user's home appliance usage pattern data, the home appliance sensor data, external environment data,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the user's sleep pattern data. a data classification unit 210 for classifying into ; and
and a control signal calculation unit 220 for deriving optimized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after extracting characteristics by integrally analyzing the data classified by item through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210 through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상기 데이터 분류부(21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어신호 산출부(220)는 분류된 실시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도출하되,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를 누적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맞춤형 가전제품 제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classification unit 210 classifies the data of the data collection unit 100 in real time,
The control signal calculator 220 derives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lassified real-time data, but updates th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information by accumulating real-time input data and analyzing the accumulated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상기 제어부(300)는 가전제품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제품은 상기 송신부(31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가전을 통한 인공지능 휴먼라이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transmitter 310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driving a home appliance to the outside, and the home appliance includes a receiver 410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310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 life service provision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311A KR102319475B1 (en) | 2019-12-20 | 2019-12-20 |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311A KR102319475B1 (en) | 2019-12-20 | 2019-12-20 |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9993A KR20210079993A (en) | 2021-06-30 |
KR102319475B1 true KR102319475B1 (en) | 2021-11-01 |
Family
ID=7660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2311A KR102319475B1 (en) | 2019-12-20 | 2019-12-20 |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94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32910A (en) * | 2022-07-14 | 2022-09-09 | 厦门南讯股份有限公司 | AI prediction-based multi-dimensional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2408B1 (en) | 2016-03-31 | 2017-09-12 |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s using wirelee lan |
KR101972227B1 (en) * | 2016-11-18 | 2019-04-24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home controlling apparatus based intellect learning and method thereof |
KR102658692B1 (en) * | 2019-08-26 | 2024-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ferring contaminated air exposure levels based on wearable device or portable air purifier operattion infromation |
-
2019
- 2019-12-20 KR KR1020190172311A patent/KR102319475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9993A (en) | 202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50577B2 (en) | Automatically learn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 |
CN108983625B (en) |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and service generation method | |
US10819808B2 (en) | User presence determination | |
WO2017008321A1 (en) |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method based on smart wearable device behavior detection | |
CN107817688A (en) |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 |
US2015005780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mart Environment Automation | |
US20130024029A1 (en) | System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a building | |
CN106325250A (en) | Electrical appliance link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formation detection | |
CN112288599B (en) | Scene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for smart home,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10605470B1 (en) |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timization function | |
US10921763B1 (en) | Baby monitoring using a home monitoring system | |
US20210373919A1 (en) | Dynamic user interface | |
KR20220094839A (en) | Smart hom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CN105912632B (en) | Equipment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 |
CN105182772B (en) | Home intelligent method of servicing based on wireless senser | |
KR102319475B1 (en) | AI human lif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I home appliances | |
CN107306383A (en) | Estimate method, device and the recording medium of operator | |
US11734932B2 (en) | State and event monitoring | |
AU2019294498B2 (en) | Network activity validation | |
JP6772648B2 (en) | Watching device, watching method, and watching program | |
CN113419438A (en) | Intelligent household service robot and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system | |
JP6635857B2 (en) | Device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device control program | |
US11792308B2 (en) | Smart light switch with display | |
KR101862141B1 (en) |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home profile and gateway apparatus for providing home automation service | |
KR20210026260A (en) | System for recommending medi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