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987B1 -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987B1
KR102318987B1 KR1020200149270A KR20200149270A KR102318987B1 KR 102318987 B1 KR102318987 B1 KR 102318987B1 KR 1020200149270 A KR1020200149270 A KR 1020200149270A KR 20200149270 A KR20200149270 A KR 20200149270A KR 102318987 B1 KR102318987 B1 KR 10231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vacuum interrupter
vacuum
insulating ro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987B9 (ko
Inventor
구치욱
서지원
전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Priority to KR102020014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987B1/ko
Publication of KR1023189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9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8Means for obtaining or monitoring the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1/00Vacuum gauges
    • G01L21/30Vacuum gauges by making use of ionisation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30Sealing
    • H01B17/301Sealing of insulators to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진공도 변화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의 진공도 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진공도 측정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애자; 상기 애자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애자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터미널; 상기 애자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하부 실링부; 및 상기 애자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그 밀폐된 공간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진공인터럽터 내부의 진공도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Vacuum interrupter assembly with vacuum degree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진공도 변화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는 진공을 절연매질로 사용하여 고장전류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차단시켜 전력계통 및 계통 내의 주요 기기들을 보호할 책무를 가진다. 진공 차단기에서 전류의 투입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VI)라고 한다.
진공 인터럽터 내부에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구비된다. 진공 인터럽터의 투입 동작시,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에 밀착된다. 진공인터럽터의 차단 동작시, 가동전극은 고정전극으로부터 이격된다.
진공 인터럽터 내부는 제작 초기에의 압력이 매우 낮아 고진공으로 유지되지만,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누기, 공기투과 등으로 인하여 진공 인터럽터 내부 압력이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진공 인터럽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한계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절연내력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전류 차단에 실패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1. 한국출원특허 제10-2015-0177302호 (출원일 : 2015.12.11) 2. 한국출원특허 제10-2003-7000376호 (출원일 : 2001.02.07)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진공 인터럽터가 수용된 밀폐된 공간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진공인터럽터 내부의 진공도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애자; 상기 애자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애자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터미널; 상기 애자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하부 실링부; 및 상기 애자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애자는 센서 설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 설치공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그 밀폐된 공간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진공인터럽터 내부의 진공도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는 애자(10) 및 애자 내부에 수납되는 진공 인터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애자(10)는 절연성 재질(예를 들어,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다. 애자(10)는 단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애자(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일 수 있다. 애자(10)의 내측 공간에서, 상부영역은 VI 수용공간(11)일 수 있고, 중간 영역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일 수 있고, 하부 영역은 실링부 수용공간(13)일 수 있다. 애자(10)의 내측 공간은 원통형일 수 있다. 애자(10)의 상부는 상부 터미널(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부 터미널(20)은 하부가 개방된 컵 모양일 수 있다. 견고한 기밀 유지를 위해, 상부 터미널(20)과 애자(10)가 접하는 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터미널(2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VI 수용공간(11),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및 실링부 수용공간(13)은 중심이 일치할 수 있다.
VI 수용공간(11)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VI 수용공간(11)은 내측에 진공 인터럽터를 수용할 수 있다. 이하, VI 수용 공간(11) 내측에 수용되는 진공인터럽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진공인터럽터는 본체(111), 상부플랜지(112), 하부 플랜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1)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의 원통일 수 있다. 본체(111)는 절연성 재질(예를 들어, 세라믹)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1)의 상부는 상부플랜지(11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고, 본체(111)의 하부는 하부 플랜지(113)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11)의 중심 내측에 상부와 하부로 연장되는 메인 실드(111a)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실드(111a)는 차단 동작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본체(111)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12)의 하부에 상부 서브 실드(112a)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서브 실드(112a)는 아크가 상부 플랜지(112)와 본체(111)가 접하는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고정터미널(121)은 상부 플랜지(112)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터미널(121)은 도전체로 형성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터미널(121)의 하단에 고정 전극(122)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터미널(121)의 상단은 상부 터미널(2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터미널(131)이 하부 플랜지(113)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가동터미널(131)은 조작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차단과 투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 터미널(131)의 상단에 가동 전극(132)이 설치될 수 있다.
가동터미널(131)의 측부에 벨로우즈(141)가 설치될 수 있다. 벨로우즈(141)의 상부는 가동터미널(131)의 측부에 고정되고, 벨로우즈(141)의 하부는 하부 플랜지(11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벨로우즈(141)는 주름형 관으로 형성되어 투입 동작시 늘어나고 차단 동작시 수축될 수 있다. 벨로우즈(141)는 본체(111) 내부와 외부 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가동 터미널(131)의 상하 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벨로우즈(141) 측부에 벨로우즈 실드(141a)가 구비될 수 있다. 벨로우즈 실드(141a)의 상부는 벨로우즈(141) 상부에서 가동터미널(131)에 고정될 수 있다. 벨로우즈 실드(141a)는 하부로 연장되면서, 벨로우즈(141)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은 VI 수용공간(11)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측에, 하부터미널(150) 및 절연로드(160)가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터미널(150)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터미널(150)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터미널(150)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이 VI 수용공간(11) 보다 반경이 큰 것에 의해 형성되는 턱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가동 터미널(131)은 하부 터미널(150)을 관통할 수 있다. 가동 터미널(131)의 하부는 하부 터미널(15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동 터미널(131)은 도전체로 형성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터미널(150)은 가동 터미널(13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동 터미널(131)의 상하 운동시 가동 터미널(131)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터미널(150)은 VI 수용공간(11)과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경계 영역에 설치되나, 하부 터미널(150)에 의해, VI 수용공간(11)과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이 서로 밀폐되지는 않는다. 하부 터미널(150)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공기가 VI 수용공간(11)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부 터미널(150)의 하부에 절연로드(160)가 설치될 수 잇다. 절연로드(160)는 절연로드 본체(161) 및 절연로드 윙(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는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의 상부에 가동 터미널(131)의 하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는 가동 터미널(131)과 대지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해줄 수 있다.
윙(162)은 원판형일 수 있다. 윙(162)은 절연로드 본체(161)의 측부에서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윙(162)의 측부는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주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절연로드 본체(161)의 상하 운동시, 절연로드 본체(161)의 좌우 흔들림을 제거할 수 있다. 윙(162)은 절연로드 본체(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 수용공간(13)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 수용공간(13)은 하부 실링부(170)을 수용할 수 있다. 하부 실링부(170)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실링부(170)는 실링부 수용공간(13)과 동일 반경으로 형성되어 실링부 수용공간(13)에 끼워질 수 있다. 견고한 기밀을 위해, 하부 실링부(170)와 애자(10)가 접하는 면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실링부(170)는 애자(1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는 하부 실링부(170)를 관통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와 하부 실링부(170) 사이에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일 설치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의 하부는 하부 실링부(170)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절연로드 본체(161)의 하부는 외부 구동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절연로드(160)는 하부 실링부(170)의 지지를 받으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위 같은 구조에 의해, 진동 인터럽터는 밀폐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애자(10)에는 센서 설치공(14)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은 절연로드 수용공간(12)과 애자(10) 외측 간을 연결시키는 통로일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은 애자(10)를 애자(10) 외측에서 수용공간(12)까지 천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에서 절연로드 수용공간(12) 측에 압력 센서(21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210) 후단에서 애자(10) 외측의 센서 설치공(14) 입구까지는 밀봉될 수 있다. 압력센서(210)는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을 계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230)는 신호 수집부(231) 및 진공도 감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집부(231)는 신호선(211)을 통해 압력 센서(210)로부터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실시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도 감시부(232)는 신호 수집부(231)가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여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이 변동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도 감시부(232)는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 변동한 경우, 진공 인터럽터의 진공도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외부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 변동한 것이지 여부는 압력 센서(210)로부터 수집한 절연로드 수용공간(12)의 압력에 대응하는 신호의 변동량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진공 인터럽터가 내장된 애자(10) 내부는 상부터미널(20)과 하부 실링부(17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므로,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이 해제되면 애관(10) 내부의 기체가 진공인터럽터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애관(10) 내부의 공기 압력은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공기 압력의 하강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진공 인터럽터 내부의 진공도 이상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 대비,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a)이 하부 실링부(170a)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a)은 하부 실링부(170a) 하부에서 절연로드 수용공간(12)까지 하부 실링부(170a)를 천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설치공(14a)에는 압력센서(210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센서(210a) 후단에서 센서 설치공(14a) 입구까지는 밀봉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 대비, 센서 설치공을 마련하기 위해 애자(10)를 천공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천공된 하부 실링부(170a) 만을 적용하면 된다. 따라서, 도 2의 실시예가 도 1의 실시예 대비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 대비, 하부 터미널의 구조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에서 하부 터미털(150a)에는 하부 터미널(150a)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공기통로(CH)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센서(21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의 공기가 VI 수용공간(11)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해, 진공인터럽터의 진공 구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의 공기가 진공인터럽터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절연로드 수용공간(12) 측에서 진공인터럽터의 진공 구조에 이상이 좀 더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 대비, 하부 터미널의 구조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서 하부 터미털(150b)에는 하부 터미널(150b)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공기통로(CH1)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센서(210a)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의 공기가 VI 수용공간(11)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에 의해, 진공인터럽터의 진공 구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절연로드 수용공간(12) 내의 공기가 진공인터럽터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절연로드 수용공간(12) 측에서 진공인터럽터의 진공 구조에 이상이 좀 더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10 : 애자
11 : VI 수용공간
12 : 절연로드 수용공간
13 : 실링부 수용공간
14, 14a : 센서 설치공
111 : 본체
111a : 메인 실드
112 : 상부 플랜지
112a : 상부 서브 실드
113 : 하부 플랜지
121 : 고정 터미널
122 : 고정 전극
131 : 가동 터미널
132 : 가동 전극
141 : 벨로우즈
141a: 벨로우즈 실드
150, 150a : 하부 터미널
160 : 절연로드
161 : 절연로드 본체
162 : 절연로드 윙
170, 170a : 하부 실링부
210, 210a : 압력센서
211 : 신호선
230 : 모니터링 장치
231 : 신호 수집부
232 : 진공도 감시부
CH, CH1 : 공기통로

Claims (2)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애자;
    상기 애자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애자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터미널;
    상기 애자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하부 실링부; 및
    상기 애자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애자 내부 공간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수용하는 VI 수용공간; 및
    상기 VI 수용공간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절연로드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로드 수용공간이 상기 VI 수용공간보다 반경이 큰 것에 의해 형성되는 턱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 터미널;
    상기 상부 터미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터미널;
    상기 하부 터미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동 터미널;
    상기 절연로드 수용공간 내측에 수용되는 절연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로드는,
    상기 가동 터미널의 하단에 고정되는 절연로드 본체; 및
    상기 절연로드 본체의 측부에서 상기 절연로드 수용공간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윙을 더 포함하는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는 센서 설치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센서 설치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KR1020200149270A 2020-11-10 2020-11-10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KR10231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70A KR102318987B1 (ko) 2020-11-10 2020-11-10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70A KR102318987B1 (ko) 2020-11-10 2020-11-10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987B1 true KR102318987B1 (ko) 2021-10-29
KR102318987B9 KR102318987B9 (ko) 2022-01-17

Family

ID=7823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270A KR102318987B1 (ko) 2020-11-10 2020-11-10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9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363A (ja) * 2010-07-30 2012-02-16 Toshiba Corp 碍子型開閉装置
JP2015177302A (ja) 2014-03-14 201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58637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기연구원 고장 전류 차단기용 벨로우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363A (ja) * 2010-07-30 2012-02-16 Toshiba Corp 碍子型開閉装置
JP2015177302A (ja) 2014-03-14 201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58637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기연구원 고장 전류 차단기용 벨로우즈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987B9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83B (zh) 探测气体绝缘母线内部故障位置的装置
US8806917B2 (en) Density monitor
US9893515B2 (en) Power switchgear having surge suppression apparatus
US4402224A (en) Pressure responsive monitor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interrupters
JP5819012B2 (ja) 真空劣化監視装置
JP2007080594A (ja) 真空開閉装置
US20170200572A1 (en) Vacuum-insulated switch enabling testing of the vacuum, switch assembly, and testing method
KR102318987B1 (ko) 진공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진공 인터럽터 조립체
KR101192204B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도 열화 감시 장치
KR101496588B1 (ko)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KR101333583B1 (ko) 진공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진공밸브
KR20190006818A (ko) 진공 차단기
CN113488351B (zh) 一种高压断路器真空度在线监测实验装置及方法
JP2012150970A (ja) 真空バルブ及びタンク形真空遮断器
KR20090086533A (ko) 개량 커플러
KR10057690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결함 진단장치
KR102603638B1 (ko) 진공차단기의 진공도 감시를 위한 부분 방전 측정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진공차단기
JPH08306279A (ja) 真空遮断器の真空度監視装置
KR101325996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개폐장치
CN112578244A (zh) 一种利用紫外光评估gis设备内部缺陷放电的方法
JP2007174726A (ja) ガス絶縁電力機器
KR20240069149A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도 센서장치
TWI485736B (zh) Vacuum switch and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101172750B1 (ko) 진공차단기용 전류차단기구의 부분방전 측정장치 및 방법
JPH07318447A (ja) 真空度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