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32B1 -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732B1
KR102318732B1 KR1020200034669A KR20200034669A KR102318732B1 KR 102318732 B1 KR102318732 B1 KR 102318732B1 KR 1020200034669 A KR1020200034669 A KR 1020200034669A KR 20200034669 A KR20200034669 A KR 20200034669A KR 102318732 B1 KR102318732 B1 KR 10231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rder
user
top box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747A (ko
Inventor
명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TV에 설정된 채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제공 제어부, 상기 TV에 채널 메인 영상과 구별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TV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및 상기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TV based image display control system, method for TV based image display control and control method of commerce contents servi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톱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톱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고객이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부가 서비스 기능, IPTV 서비스의 다양한 플랫폼에 적합한 기술적 지원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TV에 설정된 채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제공 제어부, 상기 TV에 채널 메인 영상과 구별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TV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및 상기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 제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또는 상기 주문 제어부는 상기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단계의 일부는 셋톱 박스와 구별된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대하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TV에 설정된 채널 메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영상 제공 제어 단계, 상기 TV에 채널 메인 영상과 구별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TV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 및 상기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 제어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 또는 상기 주문 제어 단계는 상기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단계의 일부는 셋톱 박스와 구별된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는 상기 설정된 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대하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주문 요청을 이용하여,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셋톱박스와 관련된 고객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 주문을 위한 자동 주문 서비스와 상기 고객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고객 단말을 연결하는 자동주문서비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채널 변경 입력 시, 상기 채널 변경 입력에 따른 방송채널 대신 상기 재생 중인 커머스 컨텐츠를 기준으로 상기 채널 변경 입력에 따른 타 커머스 컨텐츠로 재생 전환시키는 전환서비스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사 또는 외부 사업자에 의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 등록 시, 상기 특정 커머스 컨텐츠의 배포 대상인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상기 특정 커머스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변환 처리된 상기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플랫폼으로 배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특정 UI항목 선택 시, 상기 재생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고 전달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고객이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이며, IPTV 서비스의 다양한 플랫폼에 적합한 서비스 지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머스 컨텐츠 재생 전환을 위해 추가된 UI항목 및 평점 정보 표시를 위한 UI항목이 표시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등록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변환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CMS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에서 최초 고객 전화번호 등록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에서 고객 단말에서 보여지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변환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다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CMS 및 BO 시스템 간 배치 API 호출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영상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주문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동영상 제공 제어부의 동작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클라우드 연결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영상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주문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를 예로 들 수 있다.
헌데, 이러한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하게 된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톱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톱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편성된 커머스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형태로 서비스되는 쇼핑방송서비스 즉 커머스 방송의 경우, 이를 시청하고 있던 고객이 상품 주문을 위해 ARS에 전화를 걸게 되면, 현재 커머스채널의 편성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을 원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이 자동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실시간 방송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방송이 아닌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의 경우, 고객이 원하는 커머스 컨텐츠를 시간 제약 없이 자유롭게 시청할 것이므로, 기존처럼 시청하고 있던 고객이 상품 주문을 위해 ARS에 전화를 거는 방식으로는 자동 주문이 불가능하다.
이 외에도, 현재는, 실시간 방송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방송이 아닌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부가 서비스 기능이 부족한 실정이고, 고객이 가입한 IPTV 서비스의 플랫폼이 다양할 수 있는 점에 대한 기술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고객이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는 방식(이하, 자동 주문 시나리오)을 제안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부가 서비스 기능, IPTV 서비스의 다양한 플랫폼에 적합한 기술적 지원 등을 실현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위 실현하고자 하는 방식/기능/지원을 구현하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안하는 자동 주문 시나리오는, 크게 3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셋톱박스를 통해 커머스 컨텐츠를 재생하여 셋톱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고객이, 리모컨을 통해 주문하기를 선택/요청하여, 자동 주문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BO 시스템을 거쳐 주문 ACS까지 전달되는 1. TV 주문 요청 단계이다.
이후, 자동 주문을 위한 정보를 전달받은 주문 ACS가,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등록된 고객 단말(예: 집전화, 핸드폰 등)에 전화를 발신하여 자동 주문을 위한 고객의 응답을 수신/확인하면, 주문 ARS로 호를 전환하는 2. 전화 자동 발신 및 인증 단계이다.
이렇게 되면, 주문 ACS의 호 전환에 의해서,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 주문을 위한 자동 주문 서비스 즉 주문 ARS의 상담원과 고객 단말이 연결되어, 고객이 고객 단말을 통해 상품 자동 주문을 진행하는 3. 자동 주문 서비스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 주문 시나리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셋톱박스를 통해 커머스 컨텐츠를 재생하여 셋톱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커머스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고객은,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주문하고 싶은 경우, 리모컨을 통해 주문하기를 선택/요청할 수 있다(①).
이렇게 되면, 셋톱박스는 주문하기 요청에 따른 데이터(예: 커머스 컨텐츠 식별정보, 셋톱박스 정보)를 BO 시스템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②).
BO 시스템은,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되면, 주문 요청을 기반으로 Ondemand IVR 장비에 구현된 웹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다음의 데이터를 전달한다(③).
가. 고객 전화번호
나. 상품코드
다. ARS 상품명
라. 무형상품여부
마. 주문매체
바. 광고매체
사. SMS URL
한편, Ondemand IVR 장비는, Ondemand IVR 장비 내 구현된 발신 체크 모듈(CM)로 3초 단위로 Ondemand ARS Outbound 점유채널 조회를 시도할 수 있다(최대 30채널 가용, ④).
Ondemand IVR 장비는, BO시스템에서 전달받아 획득한 데이터(특히, 고객식별 정보_가. 고객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로 발신 시나리오 서비스를 진행한다(⑤).
Ondemand IVR 장비는 음성보드(30CH)를 통하여 운영 중인 G450 Gateway와 연동되어 운영될 수 있다.
Ondemand IVR 장비는, 고객 단말로의 발신 성공 이후, 상품 정보(다. ARS 상품명)에 따른 상품 주문을 위한 자동 주문 서비스 즉 주문 ARS로 호 전환이 진행되면, 자신 및 고객 단말과의 호를 종료한다.
Ondemand IVR 장비는, BO시스템에서 전달받아 획득한 데이터(특히, 상품 정보_다. ARS 상품명)를 이용하여, 상품 주문을 위한 자동 주문 서비스 즉 주문 ARS로 발신 시나리오 서비스를 진행한다(⑥).
Ondemand IVR 장비는, 주문 ARS(상담원)로의 발신 성공 이후, 호 전환 진행을 위한 다음데이터를 전달하여, 주문 ARS에서 상품 주문 서비스가 진행되도록 한다(⑦).
가. 고객번호
나. 상품코드
다. 무형상품여부
라. 주문매체
마. 광고매체
위와 같이, Ondemand IVR 장비에 의한 고객 단말로의 발신 성공 및 주문 ARS(상담원)로의 발신 성공 이후, 호 전환 진행에 따라 주문 ARS의 상담원과 고객 단말이 연결될 수 있고, 이에 고객은 주문 ARS를 통해 상품 주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Ondemand IVR 장비는, 주문 ARS의 상담원과의 연결(발신 성공) 시 주문/광고 매체 구분값 등을 전달해줄 수 있다(⑧).
그리고, 전술과 같이 Ondemand IVR 장비의 동직 및 운영 시 필요한 데이터는, BO 시스템과 연동되어 운영/관리될 수 있고, 주문 저장 시 주문/광고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⑨).
또한, Ondemand IVR 장비를 위한 국선 전용 Outbound 회선(30ch) 연동이 가능하다(⑩).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안하는 자동 주문 시나리오를 위해서는, 고객 전화번호가 실 사용자의 번호인지를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핸드폰 점유 인증).
한 번 인증된 고객 전화번호는 일정 기간 저장될 수 있다.
셋톱박스로부터의 주문 요청은 네트워크/방화벽 문제 때문에 BO시스템을 거치게 된다.
고객 전화번호를 기 등록하여 저장하는데, 셋톱박스 정보(STB_ID)가 이용된다.
주문 ARS로 발신 시나리오 서비스를 진행할 때, ARS 채널이 포화상태인 경우 셋톱박스를 통해 "대기중"이라는 메시지를 커머스 컨텐츠 재생 화면에 띄워줄 수 있다.
커머스 컨텐츠 재생 화면의 UI에서는 주문 요청 즉시 팝업을 띄우고, 여기에는 안내를 표시하고 대기중 여부는 콜백을 받아 표시할 수 있다.
주문하기를 반복적으로 누를 수 없도록 UI에서 주문하기를 누르면 다른 화면(팝업)으로 이동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고객 단말로의 발신 시나리오 서비스를 진행할 때, 고객 단말이 통화중인 경우 또는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미연결 Noti SMS를 발송할 수 있고, 이러한 미연결 Noti SMS는 고객 단말에서 미연결 Noti SMS를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하면 즉시 주문 ARS의 상담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ARS 단계 대신에 TV 화면 내에서 간편 주문 등 리모콘 조작을 통하여 후속 주문 단계를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V 화면에 안내 정보창 또는 후속 처리 단계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의 전화로 발송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Ondemand IVR 장비는, 본 발명의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와 대응되거나 또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에 포함되거나 또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가 포함되는 장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채널 변경 입력 시, 채널 변경 입력에 따른 방송채널 대신 재생 중인 커머스 컨텐츠를 기준으로 채널 변경 입력에 따른 타 커머스 컨텐츠로 재생 전환시키는 부가 서비스 기능을 더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머스 컨텐츠 재생 화면에, 각 커머스 컨텐츠를 마치 채널처럼 보여주는 UI항목(4a)을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커머스 컨텐츠(예: CH 계절특집)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리모콘 조작에 따른 채널 변경 입력 예컨대 채널 업 버튼 입력 시, 채널 업 버튼 입력에 따른 방송채널 대신 커머스 컨텐츠(예: CH 계절특집)를 기준으로 채널 업 버튼 입력에 따른 UI항목(4a) 상의 오른쪽 커머스 컨텐츠(예: CH 아내의식탁)로 재생 전환시킬 수 있다.
물론, UI항목(4a)을 커머스 컨텐츠 재생 화면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고객이 리모콘 조작을 통해 열람 가능한 커머스 컨텐츠 나열정보가 기 관리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커머스 컨텐츠(예: CH 계절특집)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리모콘 조작에 따른 채널 변경 입력 예컨대 채널 다운 버튼 입력 시, 커머스 컨텐츠 나열정보에서 커머스 컨텐츠(예: CH 계절특집)를 기준으로 채널 다운 버튼 입력에 따른 이전/왼쪽 커머스 컨텐츠(예: CH xxxx)로 재생 전환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방송사 또는 외부 사업자에 의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 등록 시, 특정 커머스 컨텐츠의 배포 대상인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특정 커머스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변환 처리하고,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변환 처리된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플랫폼으로 배포하는 플랫폼 지원 기능을 더 실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방송사(방송 CMS)에 의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가 등록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실현하는 플랫폼 지원 기능에 따른 등록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방송CMS가 방송 심의가 완료된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특정 스토리지에 등록 시, VOD CMS에서 이를 확인 및 입수(저장)한다(①).
VOD CMS는, 특정 커머스 컨텐츠 입수 시 BO시스템에서 해당 특정 커머스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획득한다(②).
그리고, VOD CMS는, 특정 커머스 컨텐츠+메타정보가 입수되면,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맞게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변환 처리(트랜스코딩)를 진행하고, 각 배포처 플랫폼으로 일괄 배포할 수 있다(③).
도 5를 참조하면, (b)는 외부 사업자(USER)에 의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가 등록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실현하는 플랫폼 지원 기능에 따른 등록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외부 USE는 Uploader를 통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와 이에 대한 메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①).
VOD CMS는, 특정 커머스 컨텐츠+메타정보가 입수되면,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맞게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변환 처리(트랜스코딩)를 진행한다.
관리자에 의해 특정 커머스 컨텐츠+메타정보에 대한 검수가 완료되면(③) VOD CMS는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맞게 변환 처리한 특정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플랫폼으로 일괄 배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VOD CMS는, 본 발명의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와 대응되거나 또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에 포함되거나 또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가 포함되는 장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특정 UI항목 선택 시, 재생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수집된 평점 정보를 표시하는 부가 서비스 기능을 더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머스 컨텐츠 재생 화면에, 평점 정보 표시를 위한 UI항목(4b) "소셜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에서 리모콘 조작에 따른 UI항목(4b)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수집된 평점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 또는 장치와 연동하는 별도의 서버에서, 각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다양한 수집 형태를 통해 평점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고객이 시청 중인 커머스 컨텐츠의 상품을 자동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주문 시나리오, 더 나아가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커머스 컨텐츠 재생 전환 기능, 실시간 평점 정보 서비스 기능, 그리고 IPTV 서비스의 다양한 플랫폼에 적합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플랫폼 지원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VoD 형태로 서비스되는 커머스 컨텐츠에 대하여, 상품 구매를 증진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고객의 사용 편의 및 신뢰도를 높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도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CMS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암 방송망과 같은 예시적인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SKB 동작-VOD CMS와 같은 동영상 제공 제어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호 간에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들면 VOD 동영상과 같은 복수의 동영상들이 상호간에 이동될 수 있다.
SKB 동작-VOD CMS와 같은 동영상 제공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NAS storage를 포함할 수 있고, Transcoder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변환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SKB CDN/BTV와 같은 분산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각 플랫폼, 예를들면 각 IPTV 회사와 같은 방송 사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단계에서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채널 메인 영상 방송 중<방송 시청>, 채널 메인 영상 방송 또는 각 동영상의 상품 상세 페이지 디스플레이 중<상품 상세> 또는 채널 메인 영상 방송 외의 동영상 시청 중<VOD Play>의 각각의 과정에서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셋톱 박스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리모콘 조작 또는 기타 단말기 제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이 있어 주문을 선택한 경우 커머스 제어 서버(TC server)는 이를 취급 및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대한 상품 정보, 영상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 server)를 통하여 이러한 다양한 정보가 전달받거나 처리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ARS 서버(ARS server)를 이용하여 이러한 주문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다양한 단계를 이용하여 ARS 처리가 진행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에서 최초 고객 전화번호 등록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원 가입이 안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전화번호가 아직 등록이 안된 사용자의 경우에 먼저 사용자의 화면에 전화 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전화 번호를 입력창에 입력시 이를 인식하여 입력된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인증번호 입력창을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인증번호와 매칭하여 매칭될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를 주문 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ARS를 이용한 주문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추후 등록 사용 여부를 확인하도록 알림창을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문 시나리오에서 고객 단말에서 보여지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원 가입이 되어 있는 사용자 또는 전화번호가 등록이 된 사용자의 경우에 먼저 바로 주문 과정, 예를들면 ARS를 이용한 주문 과정 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존 전화 번호에 대한 확인 또는 변경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을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보창에 사용자의 선택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확인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등록 커머스 컨텐츠를 각 배포처 별 플랫폼 규격에 따라 변환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고 다른 예시도이다.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방송 CMS)는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에게 하나 이상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호 전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를 통하여 다양한 동영상의 메타 정보를 요청하여 동영상 별로 매칭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는 변환된 동영상을 분산 네트 워크(CDN)를 통하여 배포처에 전달할 수 있고, 재생 URL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는 변환된 동영상을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를 통하지 않고 분산 네트 워크(CDN)를 통하여 배포처 1, 2 에 전달할 수 있고, 재생 URL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형태, 예를들면 클라우드 앱을 통하여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로부터 배포처 1, 2에 영상의 URL이 전송되고 메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클라우드 앱을 통하여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로부터 배포처 3, 4에 동영상 정보 파일 또는 메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방송 CMS)로부터 동영상을 입수하는 경우가 아니고, 외부 사업자, 예를들면 동영상에 대응되는 쇼핑 딜을 운영하는 사업자 또는 기타 동영상 제작사가 동영상을 제작 또는 업로드하는 것으로서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에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OD CMS 및 BO 시스템 간 배치 API 호출흐름도이다.
VOD CMS 및 BO 시스템 간에는 상기와 같이 API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고, 동영상 재생 및 사용자의 선택 등의 과정이 있을 때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은 영상 제공 제어부(11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 및 주문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TV에 설정된 설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TV 시청 중 리모콘 기타 입력수단을 통하여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 입력에 대응한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사용자의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TV는 셋톱박스(set top box)와 연결되어 셋톱박스를 통하여 구동 또는 영상을 전달받아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고, 이 중 두 개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TV는 셋톱박스 기능이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 제어부(110)는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설정된 영상을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때, 방송 센터의 서버로부터 영상 신호, 예를들면 SDI 신호를 전달받아 TV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 이 표시될 때 기본적인 TV조작에 따른 입력 동작, 예를들면 리모콘 조작을 통하여 영상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화면의 크기를 줄이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상기 TV에 설정 영상과 구별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TV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TV에 디스플레이될 때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는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의 제어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TV와 연결된 셋톱박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함으로써, TV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TV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선택 입력 및 반응을 하는 메뉴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이미지 형태의 프레임을 TV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TV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정보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셋톱 박스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동영상 구현 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화면 전체 영역 중 동영상이 구현될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TV 화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영역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 구현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의 일 예로서 셋톱 박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동영상 구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저장된 동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하거나 동영상의 주소 정보(URL)를 선택하여 동영상을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로부터 전달받아, TV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전달받은 위치 또는 프레임 영역에 선택된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 사용자가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 영역, 예를들면 메뉴바 또는 다양한 선택 버튼 등에 대한 입력을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TV에 구현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동영상을 순차적으로 구현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의 변경, 새로운 동영상의 개시 또는 종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쇼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하나의 쇼핑 딜(de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동영상 정보는 각각이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TV 홈쇼핑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TV 화면에서 일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동영상 정보, 구체적 예로서 쇼핑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복수의 TV 홈쇼핑 채널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TV 화면을 통하여 방송 센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이와 동시에 TV 화면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 예를들면 홈쇼핑 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 확인, 구체적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데이터로 전송되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를 TV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주문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송 센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 중에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예를들면 리모콘의 방향 조작 또는 다양한 선택 버튼 등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다양한 동영상 정보, 구체적 예로서 쇼핑 딜 동영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클라우드 제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클라우드 방식, 구체적 예로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을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미디어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미디어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필요에 따라 TV 화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셋톱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 소프트 웨어 등을 셋톱박스 또는 TV에 포함시키는 정도를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 선택적 실시예로서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현 및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이 영상 디스플레이가 개시되는 시점에는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들면 화면상의 포커스나 커서를 움직이거나 리모컨의 선택 입력 등의 조작이 있을 경우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에는 상기 채널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예를들면 수천 명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필수 정보, 예를들면 실시간 판매 숫자, 방송 진행률 등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정보의 데이터, 팝업 데이터 정보, 동영상과 연동되는 배너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예비 클라우드 서버는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는데 방송 클라우드 스트리밍(BCS, Broadcasting Cloud Stream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이나 선택 등이 있을 경우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진행하면 각각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각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인 클라우드 서버는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는데 인터렉티브 클라우드 스트리밍(ICS, Interactive Cloud Stream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에 띄워진 창(어플리케이션)마다 한 명의 사용자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된 클라우드 이용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의 부하를 감소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채널 선택을 통한 이용 시에도 복잡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선택 후 많은 시간 머무르지 않거나 선택 없이 있다가 채널 변경 등을 하는 사용자들의 경우에겐 최소한의 클라우드 서버가 할당되도록 하여 클라우드 서버 관리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주문 제어부(130)는 상기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에 대응된 설정된 영상,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는 선택,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영상 또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은 쇼핑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쇼핑 딜 정보는 각각 대응된 소스 정보를 갖는데 이러한 소스 정보는 특정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예를들면 동영상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 입력을 하면 주문 제어부(130)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주문 선택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부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인식은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이 진행되면 주문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주문 선택한 쇼핑 딜에 대응된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정확한 아이템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주문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문 제어부(130)는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미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인 경우,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이미 회원 가입을 한 경우 또는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사용자의 셋톱 박스 ID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하여 주문 과정을 진행하도록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부(130)는, 회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또는 전화번호가 미 등록된 경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인식된 전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하여 주문 과정을 진행하도록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한 경우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증번호 발송 및 매칭 여부 판단 후 인증된 번호에 대하여 ARS 구동을 통한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부(130)는 화면을 통한 주문 단계를 진행하도록 주문 단계 이미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또는 한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주소 입력창 또는 결제 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입력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시 사용자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개인화 주문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이미 결제 정보, 배송 정보 등을 회원 가입 등과 동시에 입력을 한 경우에, 이러한 정보는 회원 관리 서버 또는 저장부에 셋톱 박스 ID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문 선택의 입력이 인식될 경우, 사용자가 매번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의 입력이 없어도 저장된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및 배송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3의 영상 제공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제공 제어부(110')는 채널 선택 인식 제어부(112') 또는 영상 제공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선택 인식 제어부(112')는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채널마다 미리 대응되어 있는 영상이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채널 선택 인식 제어부(112')는 TV 자체 또는 TV 연결된 셋톱 박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인식하고, 인식된 채널에 대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제어부(114')는 채널 선택 인식 제어부(112')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영상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영상 제공 제어부(114')는 방송 신호, 예를들면 SDI 신호로 변환되어 방송 센터로 전송된 영상들 중 선택 채널에 대응된 영상이 TV 화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채널 선택 시 채널에 대응된 영상, 예를들면 방송 센터로부터 전성된 일반적 방송 영상(예를들면 "채널 메인 영상"이라고 정의)이 셋톱 박스를 통하여 TV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메인 영상"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이러한 설정된 시간표는 TV 편성표에 공지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제어부(114')는 이러한 방송 영상으로서의 "채널 메인 방송"과 동시에 또는 "채널 메인 방송"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미리 저장된 동영상으로서, 각 셋톱 박스 또는 IPTV 서비스 회사별로 각각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동영상이 미리 준비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쇼핑 딜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영상 정보가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동영상 정보는 상기 "채널 메인 방송"과 동시에 또는 대신에 채널의 유지 중에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120')는 TV 연계 제어부(122'), 클라우드 제어부(125'), 클라우드 변환 제어부(127') 및 세부 정보 제어부(12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V 연계 제어부(122')는 TV, 예를들면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TV 연계 제어부(122')는 셋톱 박스 각각의 ID정보, 채널 선택 정보,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메인 방송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TV 연계 제어부(122')는 상기 "채널 메인 방송"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을 TV 화면에 구동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형성된 프레임 내의 일정한 영역에서 실행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클라우드 제어부(125')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TV 화면에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라우드 제어부(125')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각 사용자의 TV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하여 동작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자체 대신에 이러한 내용의 캡처 정보를 셋톱 박스를 통하여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클라우드 솔루션으로서 클라우드 서버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다양한 브라우저 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실행 플랫폼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TV 또는 셋톱 박스에서의 과부하 또는 고사양 기기 필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통하여 "채널 메인 방송"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셋톱 박스는 연결되도록 하여 채널 선택 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방송 센터의 영상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 또는 기능을 TV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 변환 제어부(127')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 서로 종류가 상이한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클라우드 서버는 띄워져 있는 창(어플리케이션) 하나당 수천 명(예, 3000명 내지 6000명 정도)의 사용자가 접속해 있을 수 있고, 제2 클라우드 서버에 비하여 수십 배(예, 10배 내지 30배)를 더 수용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는 같은 영상을 TV 화면으로 보게 된다.
제2 클라우드 서버는 소수의 사용자, 구체적 예로서 띄워져 있는 창(어플리케이션) 하나당 1명의 사용자가 접속해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서버 1대당 대략 수백명(예, 300명 정도)를 수용 할 수 있다.
각각 모든 창의 화면을 계속 인코딩 하고 캡춰 해야 하는 작업 때문에 서버 자원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클라우드 변환 제어부(127')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TV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가 포커스를 움직이던가 무엇이든 리모컨 등을 한번만 조작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경우 제1 클라우드 서버로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채널 변경 시 첫 화면 방송을 주로 보고 리모컨을 안 쓰거나 채널 변경하는 사용자들의 경우에 제2 클라우드 서버로의 연결을 회피하여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효율성을 전체 사용자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세부 정보 제어부(129')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의 전달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화면에 보여지는 동영상들 각각의 정보,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쇼핑 딜 정보, 상기 쇼핑 딜에 포함된 판매 아이템 정보, 상기 동영상이 실행 시 실행 시간 및 잔여 시간 정보 등을 취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관리 서버 또는 저장 서버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이러한 정보를 셋톱 박스에 전달하여 TV 화면에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TV 화면을 보고 하나 이상의 동작, 예를들면 메뉴바 선택, 리뷰 보기 선택, 주문 선택 또는 배너 영역(예를들면 우측 배너창) 선택이 있을 경우 이러한 선택을 영역의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고, 저장하거나 관리 서버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주문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주문 제어부(130')는 주문 인식 제어부(132'), ARS 연동 제어부(134'), 인증 제어부(136') 또는 주문 처리 제어부(1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인식 제어부(132')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TV 리모콘을 통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입력에 대응한 영상 정보, 예를들면 영상 정보에 포함된 쇼핑 딜 정보, 쇼핑 딜 정보에 포함된 구체적인 아이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가 인식될 수 있고, 예를들면 셋톱 박스를 통하여 셋톱 박스의 각각의 정보로서 셋톱 박스 ID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ARS 연동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이 인식된 경우 ARS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한 주문 처리 과정의 단계들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ARS 연동 제어부(134')는 주문 인식 제어부(132')를 통하여 인식된 다양한 정보,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ARS 연동 제어부(134')는 사용자가 주문을 원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바로 ARS를 통한 처리를 진행하도록 ARS 처리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전화 번호는 이미 사용자가 최초 회원 등록 시 저장한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ARS 처리 과정 전에 예비적으로 상기 저장한 전화 번호로 ARS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확인 입력을 하게 하고 이를 인식한 후에 ARS 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인증 제어부(136')는 주문 입력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ARS 처리 개시 전에 또는 기타 다양한 주문 처리 과정 전에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아직 회원 가입을 하지 않거나 전화 번호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TV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전화 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게 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 번호 입력 등의 동작은 전술한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구동, 예를들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TV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인증 번호를 발송하고, 인증 번호를 제대로 문자 또는 인증 ARS를 통하여 입력한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정상으로 확인하고 추후 과정, 예를들면 ARS 처리 과정을 통한 주문 진행 단계 또는 기타 방법으로의 주문 진행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주문 처리 제어부(138')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주문 처리를 진행하고, 예를들면 ARS 없이, 이미 인식하여 확보한 사용자 정보, 선택한 영상 정보 등을 이용하여 바로 주문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이미 저장한 배송 주소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여 간편 배송을 진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간편 결제 또는 간편 배송 진행 시에 확인 과정을 TV 화면을 통하여 진행하도록 확인 입력창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 시 채널 메인 방송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도록 사용자의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결과 이미지로 보이는 경우도 있고 안 보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결과물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결과물, 예를들면 다양한 메뉴 선택 바, 선택 버튼 또는 기타 프레임 등에 대한 조작을 진행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리모콘 또는 기타 다양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따라 채널 메인 방송의 동영상 외에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선택으로 시청할 수 있고, 이러한 동영상에 대하여 시작, 멈춤, 종료, 전진, 후진 또는 임의의 위치 재생 등 다양한 선택 기능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동영상 정보 형태의 쇼핑 딜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하나의 채널 선택 내에서 다양한 홈쇼핑 채널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동영상에 대한 상세 화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하게 할 수 있고, 각각의 동영상에 대한 주문 입력 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안전하게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쇼핑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소통의 VOD 동영상 기반의 쇼핑 채널 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TV 영상 제공 서버(TBS), 셋톱 박스부(TSP)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부(APS)를 포함할 수 있다.
TV 영상 제공 서버(TBS)는 하나 이상의 영상을 셋톱 박스부(TSP)를 통하여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영상 플랫폼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송 사업자 별로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 예로서 IPTV 회사, 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SO), 위성 방송 사업자 등이 각각 확보한 고객에게 제공할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각 회사별 TV 영상 제공 서버(TBS)에 매칭되도록 동일한 내용의 정보를 각각 변환하여 배포할 수 있다.
각 회사의 TV 영상 제공 서버(TBS)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 구현할 수 있는 각각의 변환된 동영상 정보를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보를 필요 시 셋톱 박스(TSP)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각 방송 사업자는 TV 영상 제공 서버(TBS)를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서 변환된 영상 정보의 일부만 저장, 예를들면 주소 정보만 갖고 있다가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에 영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방송 사업자는 별도의 작업 없이 본 실시예의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서 변환된 동영상 정보를 직접 셋톱 박스부(TSP)에 전달할 수도 있고, 이 경우 TV 영상 제공 서버(TBS)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셋톱 박스(TSP)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TV와 별도로 구비된 외장형이거나 TV 내부에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셋톱 박스(TSP)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네트 워크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APS)는 셋톱 박스(TSP)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APS)는 셋톱 박스(TSP)와 실시간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TV의 화면에 구현할 수 있고, 이 때, 다양한 동작 및 사용자와의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의 속도 및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클라우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어플리케이션 구동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APS')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 및 클라우드 연결부(TWA)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사용자의 화면에 구현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해상도별로 고해상도용 및 저해상도용을 구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하고 일부만을 셋톱 박스에서 실행하면서 TV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스트리밍 형태로 사용자의 셋톱 박스에 캡처 이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셋톱 박스의 불필요한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 및 리모콘 조작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클라우드 제어부(TW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이한 종류의 클라우드 서버 간의 변환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는 클라우드 제어부(TWA)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예를들면 동영상의 메타 정보, 구체적 예로서 쇼핑 딜 정보, 상품 정보 또는 셋톱 박스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취급하면서 클라우드 제어부(TWA)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 및 동영상 제공 제어부(VCMS)를 도시하고 있다.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는 일반적인 영상, 예를들면 방송 신호 형태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고, 필요한 곳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를 통하여 방송 센터로 영상물이 전송될 수 있고, 이 때 베이스 밴드 신호 SDI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형태의 방송 영상은 할당된 채널에 매칭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선택 시 TV 화면에 채널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영상 제공 제어부(VCMS)는 동영상 정보를 각 플랫폼에 따라 변환하게 되고, 예를들면 다양한 방송 제공사(예를들면 IPTV 회사들)의 플랫폼에 맞추어 인코딩하고, 각 인코딩된 동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다양한 메타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여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동영상 정보 및 이에 대응한 메타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거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공 제어부(VCMS)는 정보 관리 제어부(BO)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는 이러한 변환된 동영상 정보, 예를들면 인코딩한 VOD(video on demand)를 셋톱 박스부(TSP)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동영상 제공 제어부의 동작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서로 상이한 종류의 플랫폼을 갖는 셋톱 박스부(TSP')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셋톱 박스부(TSP')는 서로 상이한 플랫폼을 갖는 제1 셋톱 박스(ST1) 및 제2 셋톱 박스(S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셋톱 박스(ST1) 및 제2 셋톱 박스(ST2)는 각각 서로 상이한 방송 제공 회사, 예를들면 서로 상이한 IPTV 회사에 대응된 것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는 서로 상이한 플랫폼을 갖는 제1 셋톱 박스(ST1) 및 제2 셋톱 박스(ST2)에 각각 대응된 형태로 상이한 방법으로 동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들면 방송 영상 제공 제어부(BCMS)는 인코딩한 동영상을 그대로 제2 셋톱 박스(ST2)에 전달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분산 네트워크(CDN)을 통하여 인코딩한 동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분산 네트워크(CDN)을 통하여 인코딩된 동영상을 전송하여 효율적으로 영상 전달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셋톱 박스(TSP)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일부가 저장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들면 언바운드 앱(Unbound APP) 형태로 셋톱 박스(TSP)의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에 이미 들어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바운드 앱(Bound App)으로서 셋톱 박스부(TSP)에 탑재 되어 있지 않고 채널 선택 후 대응 시 셋톱 박스(TSP)에 다운로드 되어 실행 되고, 채널을 이탈하면 셋톱 박스(TSP)에서 지워질 수도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셋톱 박스부(TSP)와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와 연결될 수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전술한 것과 같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사용자의 화면에서 구동되도록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는 클라우드 연결부(TWA)의 동작을 제어하고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변동, 등록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연결부(TWA)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의 구체적 내용은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APS')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TS) 및 클라우드 연결부(TWA)와 동일하거나 이를 일부 포함하거나 일부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정보 관리 제어부(BO)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주문 ARS 연동부(ODA)는 정보 관리 제어부(BO)를 통하여 주문 입력을 진행한 사용자의 정보, 주문 입력한 동영상 정보 및 동영상 정보에 매칭된 복수의 메타 데이터 세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ARS 처리 단계의 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를 ARS 진행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주문 ARS 연동부(ODA)는 시간대 진행할 수 있는 한계 인원 대비 진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불가 시 대기 인원 및 예상 대기 시간 등의 주문 관련 처리 정보를 파악하여 정보 관리 제어부(BO)에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주문 관련 처리 정보는 다시 사용자의 셋톱 박스(TSP)에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9의 클라우드 연결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연결부(TWA')는 웹기반 앱(WA), 클라우드 서버(BCS) 또는 에이전트 서버(TDA)를 포함할 수 있다.
웹기반 앱(WA)은 클라우드 솔루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일부 정보만을 사용자의 셋톱 박스부(TSP)에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화면 캡처본 정보만을 셋톱 박스부(TSP)에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웹기반 앱(WA)은 크롬 브라우저 등과 같은 브라우저 또는 다양한 소프트 웨어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고, 다양한 해상도, 예를들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결과물 또는 저해상도 결과물을 선택적으로 셋톱 박스부(TSP)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BCS)는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상이한 종류의 두 가지의 클라우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에이전트 서버(TDA)는 셋톱 박스부(TSP)에서 어플리케이션, 예를들면 웹기반 앱(WA)의 실행을 위한 표준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셋톱 박스부(TSP)의 각각에 정확하게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고, 셋톱 박스부(TSP)의 IP를 혼동하여 접속 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본 실시예의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 및 주문 제어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0)에서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TV에 설정된 설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TV 시청 중 리모콘 기타 입력수단을 통하여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 입력에 대응한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사용자의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TV는 셋톱박스(set top box)와 연결되어 셋톱박스를 통하여 구동 또는 영상을 전달받아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지상파,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고, 이 중 두 개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TV는 셋톱박스 기능이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0)는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설정된 영상을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때, 방송 센터의 서버로부터 영상 신호, 예를들면 SDI 신호를 전달받아 TV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영상 이 표시될 때 기본적인 TV조작에 따른 입력 동작, 예를들면 리모콘 조작을 통하여 영상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화면의 크기를 줄이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에서는 상기 TV에 설정 영상과 구별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TV에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TV에 디스플레이될 때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채널에 설정된 영상이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는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의 제어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는 TV와 연결된 셋톱박스와의 신호 연결을 통하여 TV 이미지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통하여 TV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TV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의 선택 입력 및 반응을 하는 메뉴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TV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시간 동안 고정된 이미지 형태의 프레임을 이미지 형태로 TV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TV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정보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셋톱 박스를 제어하여 동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동영상 구현 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는 화면 전체 영역 중 동영상이 구현될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TV 화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영역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 구현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의 일 예로서 셋톱 박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동영상 구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저장된 동영상 정보 중에서 선택 또는 동영상의 주소 정보를 선택하여 TV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고, 이 때 전달받은 위치 또는 프레임 영역에 선택된 동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 사용자가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입력 영역, 예를들면 메뉴바 또는 다양한 선택 버튼 등에 대한 입력을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TV에 구현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동영상을 순차적으로 구현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의 변경, 새로운 동영상의 개시 또는 종료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쇼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나의 동영상 정보에 하나의 쇼핑 딜(de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동영상 정보는 각각이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TV 홈쇼핑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TV 화면에서 일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변경하지 않고 복수의 동영상 정보, 구체적 예로서 쇼핑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복수의 TV 홈쇼핑 채널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TV 화면을 통하여 방송 센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이와 동시에 TV 화면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 예를들면 홈쇼핑 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 확인, 구체적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데이터로 전송되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를 TV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주문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송 센터를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확인 중에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예를들면 리모콘의 방향 조작 또는 다양한 선택 버튼 등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다양한 동영상 정보, 구체적 예로서 쇼핑 딜 동영상 정보가 선택적으로 TV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에서는 클라우드 제어 연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클라우드 방식, 구체적 예로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을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는 미디어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미디어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필요에 따라 TV 화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셋톱박스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 소프트 웨어 등을 셋톱박스 또는 TV에 포함시키는 정도를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 선택적 실시예로서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현 및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여 선택된 채널이 영상 디스플레이가 개시되는 시점에는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들면 화면상의 포커스나 커서를 움직이거나 리모컨의 선택 입력 등의 조작이 있을 경우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예비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에는 상기 채널에 접속한 복수의 사용자, 예를들면 수천 명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엔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필수 정보, 예를들면 실시간 판매 숫자, 방송 진행률 등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실시간 정보의 데이터, 팝업 데이터 정보, 동영상과 연동되는 배너 정보 등을 표현할 수 있다. 예비 클라우드 서버는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는데 방송 클라우드 스트리밍(BCS, Broadcasting Cloud Stream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이나 선택 등이 있을 경우 메인 클라우드 서버 구동을 진행하면 각각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각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메인 클라우드 서버는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는데 인터렉티브 클라우드 스트리밍(ICS, Interactive Cloud Streaming)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에 띄워진 창(어플리케이션)마다 한 명의 사용자가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된 클라우드 이용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클라우드 서버에서의 부하를 감소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채널 선택을 통한 이용 시에도 복잡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선택 후 많은 시간 머무르지 않거나 선택 없이 있다가 채널 변경 등을 하는 사용자들의 경우에겐 최소한의 클라우드 서버가 할당되도록 하여 클라우드 서버 관리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상기 TV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에 대응된 설정된 영상, 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는 선택,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여 주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영상 또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은 쇼핑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쇼핑 딜 정보는 각각 대응된 소스 정보를 갖는데 이러한 소스 정보는 특정 서버 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예를들면 동영상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 입력을 하면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주문 선택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부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인식은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를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이 진행되면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사용자가 주문 선택한 쇼핑 딜에 대응된 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정확한 아이템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주문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미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인 경우,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이미 회원 가입을 한 경우 또는 전화번호를 등록한 경우, 사용자의 셋톱 박스 ID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하여 주문 과정을 진행하도록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 단계(S30)는, 회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또는 전화번호가 미 등록된 경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인식된 전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하여 주문 과정을 진행하도록 ARS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한 경우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증번호 발송 및 매칭 여부 판단 후 인증된 번호에 대하여 ARS 구동을 통한 주문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화면을 통한 주문 단계를 진행하도록 주문 단계 이미지 영역을 순차적으로 또는 한번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주소 입력창 또는 결제 정보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입력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주문 제어 단계(S30)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 시 사용자의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개인화 주문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이미 결제 정보, 배송 정보 등을 회원 가입 등과 동시에 입력을 한 경우에, 이러한 정보는 회원 관리 서버 또는 저장부에 셋톱 박스 ID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문 선택의 입력이 인식될 경우, 사용자가 매번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의 입력이 없어도 저장된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및 배송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23은 도 22의 영상 제공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0')는 채널 선택 인식 제어 단계(S12') 또는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선택 인식 제어 단계(S12')에서는,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채널마다 미리 대응되어 있는 영상이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채널 선택 인식 제어 단계(S12')에서는 TV 자체 또는 TV 연결된 셋톱 박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인식하고, 인식된 채널에 대응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4')에서는 채널 선택 인식 제어 단계(S12')의 선택 채널에 대응한 영상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4')는 방송 신호, 예를들면 SDI 신호로 변환되어 방송 센터로 전송된 영상들 중 선택 채널에 대응된 영상이 TV 화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채널 선택 시 채널에 대응된 영상, 예를들면 방송 센터로부터 전성된 일반적 방송 영상(예를들면 "채널 메인 방송"이라고 정의)이 셋톱 박스를 통하여 TV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공 제어 단계(S14')에서는 이러한 방송 영상으로서의 "채널 메인 방송"과 동시에 또는 "채널 메인 방송"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미리 저장된 동영상으로서, 각 셋톱 박스 또는 IPTV 서비스 회사별로 각각 디스플레이 포맷에 적합하도록 변환된 동영상이 미리 준비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쇼핑 딜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영상 정보가 준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동영상 정보는 상기 "채널 메인 방송"과 동시에 또는 대신에 채널의 유지 중에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S20')는 TV 연계 제어 단계(S22'), 클라우드 제어 단계(S25'), 클라우드 변환 제어 단계(S27') 및 세부 정보 제어 단계(S2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V 연계 제어 단계(S22')에서는 TV, 예를들면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TV 연계 제어 단계(S22')는 셋톱 박스 각각의 ID정보, 채널 선택 정보, TV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메인 방송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TV 연계 제어 단계(S22')에서는 상기 "채널 메인 방송"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을 TV 화면에 구동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형성된 프레임 내의 일정한 영역에서 실행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클라우드 제어 단계(S25')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TV 화면에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라우드 제어 단계(S25')에서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각 사용자의 TV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하여 동작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자체 대신에 이러한 내용의 캡처 정보를 셋톱 박스를 통하여 TV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클라우드 솔루션으로서 클라우드 서버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다양한 브라우저 또는 소프트웨어 실행 플랫폼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TV 또는 셋톱 박스에서의 과부하 또는 고사양 기기 필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통하여 "채널 메인 방송"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셋톱 박스는 연결되도록 하여 채널 선택 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방송 센터의 영상 정보 외에 다양한 정보 또는 기능을 TV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 변환 제어 단계(S27')에서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현 시 서로 종류가 상이한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클라우드 서버는 띄워져 있는 창(어플리케이션) 하나당 수천 명(예, 3000명 내지 6000명 정도)의 사용자가 접속해 있을 수 있고, 제2 클라우드 서버에 비하여 수십 배(예, 10배 내지 30배)를 더 수용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는 같은 영상을 TV 화면으로 보게 된다.
제2 클라우드 서버는 소수의 사용자, 구체적 예로서 띄워져 있는 창(어플리케이션) 하나당 1명의 사용자가 접속해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서버 1대당 대략 수백명(예, 300명 정도)를 수용 할 수 있다.
각각 모든 창의 화면을 계속 인코딩 하고 캡춰 해야 하는 작업 때문에 서버 자원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클라우드 변환 제어 단계(S27')에서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TV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가 포커스를 움직이던가 무엇이든 리모컨 등을 한번만 조작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경우 제1 클라우드 서버로 연결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채널 변경 시 첫 화면 방송을 주로 보고 리모컨을 안 쓰거나 채널 변경하는 사용자들의 경우에 제2 클라우드 서버로의 연결을 회피하여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효율성을 전체 사용자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세부 정보 제어 단계(S29')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의 전달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사용자의 화면에 보여지는 동영상들 각각의 정보,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쇼핑 딜 정보, 상기 쇼핑 딜에 포함된 판매 아이템 정보, 상기 동영상이 실행 시 실행 시간 및 잔여 시간 정보 등을 취급할 수 있고, 예를들면 관리 서버 또는 저장 서버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이러한 정보를 셋톱 박스에 전달하여 TV 화면에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TV 화면을 보고 하나 이상의 동작, 예를들면 메뉴바 선택, 리뷰 보기 선택, 주문 선택 또는 배너 영역(예를들면 우측 배너창) 선택이 있을 경우 이러한 선택을 영역의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고, 저장하거나 관리 서버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2의 주문 제어 단계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주문 제어 단계(S30')는 주문 인식 제어 단계(S32'), ARS 연동 제어 단계(S34'), 인증 제어 단계(S36') 또는 주문 처리 제어 단계(S3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인식 제어 단계(S32')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TV 리모콘을 통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입력에 대응한 영상 정보, 예를들면 영상 정보에 포함된 쇼핑 딜 정보, 쇼핑 딜 정보에 포함된 구체적인 아이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가 인식될 수 있고, 예를들면 셋톱 박스를 통하여 셋톱 박스의 각각의 정보로서 셋톱 박스 ID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ARS 연동 제어 단계(S34')에서는 사용자의 주문 입력이 인식된 경우 ARS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ARS를 통한 주문 처리 과정의 단계들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ARS 연동 제어 단계(S34')에서는 주문 인식 제어 단계(S32')를 통하여 인식된 다양한 정보, 예를들면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ARS 연동 제어 단계(S34')에서는 사용자가 주문을 원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바로 ARS를 통한 처리를 진행하도록 ARS 처리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전화 번호는 이미 사용자가 최초 회원 등록 시 저장한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ARS 처리 과정 전에 예비적으로 상기 저장한 전화 번호로 ARS 처리 과정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의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확인 입력을 하게 하고 이를 인식한 후에 ARS 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인증 제어 단계(S36')에서는 주문 입력을 한 사용자에 대하여 ARS 처리 개시 전에 또는 기타 다양한 주문 처리 과정 전에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아직 회원 가입을 하지 않거나 전화 번호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TV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전화 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하게 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 번호 입력 등의 동작은 전술한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구동, 예를들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TV 화면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인증 번호를 발송하고, 인증 번호를 제대로 문자 또는 인증 ARS를 통하여 입력한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정상으로 확인하고 추후 과정, 예를들면 ARS 처리 과정을 통한 주문 진행 단계 또는 기타 방법으로의 주문 진행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주문 처리 제어 단계(S38')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주문 처리를 진행하고, 예를들면 ARS 없이, 이미 인식하여 확보한 사용자 정보, 선택한 영상 정보 등을 이용하여 바로 주문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간편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이미 저장한 배송 주소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여 간편 배송을 진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간편 결제 또는 간편 배송 진행 시에 확인 과정을 TV 화면을 통하여 진행하도록 확인 입력창을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통하여 사용자의 TV 화면(UDPA)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채널 선택 시 채널에 대응된 영상, 예를들면 채널 메인 방송(MVA)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 TV 화면(UDPA)을 구동하는 셋톱 박스부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은 전체 데이터의 실행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가공된 형태의 실행일 수 있고, 이는 클라우드 서버 기능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결과 TV 화면(UDPA)에는 다양한 정보 영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예를들면 화면 상단의 영역 변환 선택 바(TGB)를 포함할 수 있고, 영역 변환 선택 바(TGB)는 메인 방송 선택부(M1) 및 복수의 영상 선택부(M1, SM1, SM2, SM3, SM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이 없는 경우 또는 채널 선택 직후에는 채널 메인 방송(MVA)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다른 동영상, 예를들면 "오늘의 TV"에 대응된 동영상 정보, 구체적으로 홈쇼핑 영상과 같은 형태의 영상을 보고 싶은 경우 영상 선택부(SM1)를 리모콘을 통하여 조작 입력할 수 있고, 그 경우 TV 화면(UDPA)에는 채널 메인 방송(MVA) 대신 "오늘의 TV"에 대응된 동영상 정보가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결과 TV 화면(UDPA)에는 배너 영역(RBA)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배너 영역(RBA)의 선택 시 배너 영역(RBA)에 미리 대응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러한 동영상은 쇼핑 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너 영역(RBA)의 선택은 리모콘으로 직접 커서를 이동하는 것일 수 있고, 우측 방향키 버튼 누름으로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직관적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우측 영역에 배너 영역(RBA)을 배치하고, 우측 방향키를 누르게 하여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너 영역(RBA)의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배너 영역(RBA)의 위치에 따라 선택 버튼의 종류도 다양한 방향키, 예를들면 좌측 방향키, 상측 방향키 또는 하측 방향키를 누르게 할 수 있다.
영역 변환 선택 바(TGB) 및 배너 영역(RBA)을 통하여 사용자는 채널 메인 방송(MVA) 이외에 다양한 동영상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VOD(Video On Demand) 형태의 쇼핑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쇼핑 정보 습득 편의성 및 쇼핑 처리 방법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예를들면 도면 상으로는 채널 메인 방송(MVA)의 일 영역을 선택하거나, 기타 영역 선택, 예를들면 "상품보러가기"선택 시 해당 영상의 상품에 대한 상세 페이지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상세 정보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위에 오버레이 형태로 상세 정보 영역이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TV 화면(UPDA)에는 리뷰 선택 영역(RPA), 편성 정보 영역(PSA) 또는 주문 선택 영역(ODAP)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리뷰 선택 영역(RPA) 선택 시 해당 영상, 예를들면 도 26에서는 TV 화면(UPDA)에 도시된 채널 메인 방송(MVA)에 대응된 상품평 리스트가 TV 화면(UPDA)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고, 편성 정보 영역(PSA)을 사용자가 선택 시 시간대별 편성 내용, 예를들면 각 시간대별 채널 메인 방송(MVA)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주문 선택 영역(ODAP) 선택 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주문 처리부를 통한 주문 처리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들면 ARS 구동 제어 또는 간편 주문 등의 다양한 주문 후속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채널 선택 시 채널에 대응된 채널 메인 방송을 먼저 시청하도록 사용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화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정보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선택 기능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영역 변환 선택 바에 각각 대응된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고 싶은 만큼 보고 다시 동영상을 정지 또는 다시 재생할 수 있고, 이러한 동영상 재생에 대한 버튼 기능을 사용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리모콘 조작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쇼핑 정보를 갖는 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시청이 가능하여 TV 화면 기반하여 VOD(Video On Demand) 형태의 쇼핑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후속의 쇼핑 과정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배너 영역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동영상을 선택하도록 하여 VOD(Video On Demand) 형태의 쇼핑 정보의 확인 용이성을 증대하고 쇼핑 정보 별 특색을 주어 사용자에게 시각적 각인을 주게 되어 쇼핑 정보에 대한 호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10: 영상 제공 제어부
120: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130: 주문 제어부

Claims (15)

  1.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TV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의 URL을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영상의 URL과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로 전송하며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셋톱 박스에서 상기 영상의 URL을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를 통하지 않고 동영상 제공 제어부(VOD CMS)로부터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인코딩된 상기 동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TV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에 대하여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 입력을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제공 제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 또는 상기 주문 제어부는 상기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네트워크 통신하도록 형성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단계의 일부를 셋톱 박스와 구별된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는 상기 셋톱 박스에서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셋톱 박스로의 입력 동작에 대하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서 TV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가 영상의 URL을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영상의 URL과 어플리케이션 제어 신호를 셋톱 박스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에서 상기 영상의 URL을 이용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를 통하지 않고 동영상 제공 제어부로부터 분산 네트워크를 통해 인코딩된 상기 동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TV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에 대하여, 주문 제어부가 사용자의 주문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주문 입력을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주문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 또는 상기 주문 제어 단계는 상기 TV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네트워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단계의 일부는 셋톱 박스와 구별된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가 상기 셋톱 박스에서 채널 변경이 입력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제어부가 상기 셋톱 박스로의 입력 동작에 대하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1.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가 커머스 컨텐츠 재생 중인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가 상기 주문 요청을 이용하여, 상기 커머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셋톱박스와 관련된 고객식별 정보를 정보 관리 제어 서버(BO)로부터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가 획득한 상기 정보를 주문 ACS(Automatic Phone-Calling System)로 전달하여, 상기 주문 ACS에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고객 단말에 주문 전화를 발신하여 고객의 응답이 확인되면, 상기 주문 전화를 주문 ARS로 전환하고 상기 주문의 ARS의 상담원과 상기 고객 단말이 연결되어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품 자동 주문을 진행하도록 하는 자동주문서비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문서비스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에 전화를 발신하여 상기 고객 단말이 통화중이거나 미 응답인 경우, 미연결 알림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결 알림 메시지는
    주문 ARS의 상담원과 연결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6 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34669A 2019-03-20 2020-03-20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18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1842 2019-03-20
KR1020190031842 2019-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747A KR20200112747A (ko) 2020-10-05
KR102318732B1 true KR102318732B1 (ko) 2021-10-28

Family

ID=728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669A KR102318732B1 (ko) 2019-03-20 2020-03-20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675B1 (ko) 2020-11-10 2023-04-18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미디어 제공 서버,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대기인원 발생시, 다른 주문 방법의 절차로 연결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22681B1 (ko) * 2021-07-27 2023-04-17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방법,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2579B1 (ko) * 2021-08-06 2023-12-11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개인화 방송 추천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스트리밍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49B1 (ko) * 2014-09-29 2014-12-2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 id 기반 t 커머스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649B1 (ko) * 2017-11-23 2018-10-24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간편 결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49B1 (ko) * 2014-09-29 2014-12-2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 id 기반 t 커머스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747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96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ssion of data streams
KR102318732B1 (ko)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커머스 컨텐츠 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EP19369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haring
US201200964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video-on-demand catalog search and content distribution
EP1950967A1 (en) Epg, streaming media scheduling and deman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30138263A (ko)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디오 장치들 간의 디지털 비디오의 스트리밍
US8789126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wapping display configurations between viewing devices
JP2014170569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2380673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964268A (zh) 网络电视系统中增值业务的提供方法及相关系统和设备
US90095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t top box assistance
JP2005198313A (ja) ディジタルリアルタイム対話型番組システム
EP2378771A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wo-way servic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environment
US9854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84295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9021B1 (ko) 방송 프로그램 전송 요청 방법 및 이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 전송 방법
KR20180064647A (ko) 하이브리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21158A1 (en)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ver screen and broadcasting video corresponding thereto
JP2022045237A (ja) テレビゲートウエイ
KR102407161B1 (ko)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228942B1 (ko) Ip 기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344975A1 (en) Content sharing method, content management platfor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pplication executing the method
KR102342774B1 (ko)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210130035A (ko)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tv 기반 영상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070115491A (ko) 데이터 방송에서의 시청자 의견 올리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