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726B1 -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726B1
KR102318726B1 KR1020177000595A KR20177000595A KR102318726B1 KR 102318726 B1 KR102318726 B1 KR 102318726B1 KR 1020177000595 A KR1020177000595 A KR 1020177000595A KR 20177000595 A KR20177000595 A KR 20177000595A KR 102318726 B1 KR102318726 B1 KR 10231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division duplex
time division
modified time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016A (ko
Inventor
데이비드 리차드 펠크
조엘 리차드 킹
Original Assignee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아키텍처는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대역 동작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라디오-주파수(RF)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아키텍처는 신호 경로들의 통합(consolidation) 및/또는 필터들 및 듀플렉서들과 같은 컴포넌트들의 재사용을 허용할 수 있어서, 일부 경로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유리하게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DUPLEX PROTOCOLS FOR WIRELESS APPLICATION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이 출원은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IME-DIVISION AND TIME-DIVISION/FREQUENCY-DIVISION DUPLEX WIRELESS PROTOCOLS라는 명칭으로 2014년 6월 11일에 출원되었으며 그 개시내용이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 제62/010,770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듀플렉싱(TDD)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싱(FDD)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예를 들어, 전송(Tx) 및 수신(Rx) 동작들 간의) 듀플렉싱 기능성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또는 주파수-분할 듀플렉싱(FDD)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상적인 TDD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인지불가능하도록 신속하게 Tx 모드와 Rx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함으로써 Tx 동작 및 Rx 동작 모두의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FDD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가 Tx 동작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제2 주파수가 Rx 동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대역 동작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라디오-주파수(RF) 경로를 가지는 무선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E-UTRA 동작 대역들에 의해 정의되는 대역에 기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은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의 대역폭들 중 더 작은 대역폭 이하의 양만큼 주파수에서 오버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전송(Tx) 동작 및 수신(Rx) 동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Tx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경로는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을 가지고 Tx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Tx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38에 기초하는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38* Tx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41에 기초하는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41* Tx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Rx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경로는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을 가지고 Rx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Rx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38에 기초하는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38* Rx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41에 기초하는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41* Rx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Tx 및 Rx 동작들 모두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경로는 Tx 및 Rx 동작들 모두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TDD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41에 기초하는 2496MHz - 2605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41* TDD-A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41에 기초하는 2585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41* TDD-B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FDD 대역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E-UTRA TDD 대역에 기초할 수 있고, 제2 수정된 TDD 대역은 E-UTRA FDD 대역에 기초할 수 있다. RF 경로는 제2 수정된 TDD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DPX)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의 일부분은 듀플렉서의 Tx 측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들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38*/B41* Rx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7 Tx에 기초하는 2496MHz - 257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7* Tx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아키텍처는 B38*/B41* Rx 대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Rx 필터들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의 일부분은 듀플렉서의 Rx 측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들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38*/B41* Tx 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7 Rx에 기초하는 262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7* Rx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아키텍처는 B38*/B41* Tx 대역에 대한 하나 이상의 Tx 필터들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B38*/B41* Tx 대역은 복수의 대역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그 대역 세그먼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수정된 TDD 대역은, 예를 들어, E-UTRA 대역 B41에 기초하는 262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B41C 대역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아키텍처는 B41C 대역 세그먼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필터들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듀플렉서의 일부분은 듀플렉서의 Tx 측 또는 듀플렉서의 Rx 측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아키텍처는 제2 수정된 TDD 대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필터들이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 각각은 감소된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은 오버랩의 양이 제1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들의 대역폭들 중 더 작은 대역폭 미만이 되도록 주파수에서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 있다. 오버랩의 양은 제1 수정된 TDD 대역폭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연관된 롤-오프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교시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라디오-주파수(RF) 경로를 제공하는 것, 및 RF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고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대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RF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고 제2 수정된 TDD 대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수의 구현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패키징 기판, 및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되는 라디오-주파수(RF) 회로를 포함하는 라디오-주파수(RF) 프론트-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RF 회로는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대역 동작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 동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라디오-주파수(RF)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증폭된 RF 신호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와 통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트랜시버 및 안테나와 접속되는 프론트-엔드 모듈을 더 포함한다. 프론트-엔드 모듈은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DD) 대역 동작 및 제2 수정된 TDD 대역 동작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경로를 가지는 RF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론트-엔드 모듈은 3GPP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내용을 요약할 목적으로, 발명들의 특정 양태들,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본원에 기술된다.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반드시 모든 이러한 장점들이 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본원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다른 장점들을 달성하지 않고도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장점 또는 장점들의 그룹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동작들과 연관된 상이한 대역들에 대한 경로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대역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는 3GPP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들의 특정 예들을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3GPP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는 아키텍처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예에 대해 유사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주파수 파티셔닝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도 4의 예시적인 대역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통합된 구성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TDD B41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TDD 대역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TDD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Tx 및 Rx 통과대역 대역폭들 각각이 도 6의 예시적인 B41 구성으로부터 감소되는, 수정된 TDD B41 대역 구성 B41*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예시적인 B41* 대역 구조의 TDD 동작을 위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FDD B7* 대역이 2496MHz - 2570MHz의 Tx 통과대역 및 2620MHz - 2690MHz의 Rx 통과대역을 가지고, 통합된 TDD B38*/41* 대역이 2550MHz - 2690MHz의 Tx 통과대역을 가지는 예시적인 대역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의 예시적인 대역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12 및 13은 WiFi 대역, 및 B7 Tx 대역 및 B41 대역과 같은 근처 주파수 대역들의 공존 시 개선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한 예들을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RF 모듈의 상이한 모습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리한 특징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본원에 제공되는 소제목들은, 만약 존재하는 경우,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청구되는 발명의 범위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것 뿐만 아니라 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프로토콜들 모두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라디오 통신 링크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회로들의 비-제한적 예들이 본원에 개시된다. 통상적인 FDD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는 전송된(Tx) 신호들에 대해 이용되고, 제2 주파수는 수신된(Rx) 신호들에 대해 이용된다. 주파수들의 이러한 페어링으로 인해, Tx 및 Rx 특징들의 동시 동작이 가능하다. 통상적인 TDD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인지불가능하도록 신속하게 Tx 및 Rx 동작들 사이에서 스위칭함으로써 Tx 및 Rx 기능성들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통신 시스템들에서, 표준 기구들에 의해 정의되는 스펙트럼 할당들은 FDD 및/또는 TDD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들을 지시하고, 하나의 대역의 일부분 또는 전체 부분의 또다른 대역과의 오버랩을 제공하는 대역 정의들이 종종 존재한다. 다중-대역 통신 디바이스들이 이러한 대역들의 조합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때,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경로들을 통합하고, 필터들을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프론트-엔드의 비용 및/또는 삽입 손실 성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려 중인 대역들이 TDD일 때, TDD 전송(Tx) 및 수신(Rx) 기능들이 동시에 활성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TDD 경로들 사이의 통합 뿐만 아니라 FDD 및 TDD 경로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 사이의 통합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들이 3GPP 표준 기구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 예시적인 주파수 대역들의 상황에서 본원에 기술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3GPP 표준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표준들과 연관된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동작들과 연관된 상이한 대역들에 대한 경로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대역 아키텍처(100)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경로들은 TDD 경로들 사이의 통합, 및/또는 FDD 및 TDD 경로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들 사이의 통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로-통합들의 다양한 예들이 본원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대역 아키텍처(100)는 (Tx1 및 Tx2로 표시된) 복수의 전송 채널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로들을 안테나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역 아키텍처(100)는 또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한 (Rx1 및 Rx2로 표시된) 복수의 수신 채널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경로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x 및 Rx 기능성들 모두를 제공하는 하나의(an) 안테나의 상황에서 기술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또한 하나 초과의 안테나를 가지는 시스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들의 특정 예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대역 7(B7)은 FDD에서 동작하도록 정의되고, 따라서, Tx (2500MHz - 2570MHz) 및 Rx (2620MHz - 2690MHz) 경로들을 통해 동시적인 Tx 및 Rx 동작들을 가질 것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듀플렉서의 사용을 통해 달성되는데, 이는 Tx 및 Rx 경로들을 공통 단자에 결합시키는 것, 및 (예를 들어, Tx 경로의 훨씬 더 높은 전력 및 잡음 레벨에 의해 Rx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Tx 및 Rx 경로들 사이의 상당한 격리를 제공하는 것 둘 모두의 목적을 이행한다(serve).
이러한 상당한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듀플렉서의 두 측들의 2개의 상대적 통과대역들은 가드 대역에 의해 통상적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통과대역 밖에서, 특히 그것의 파트너 대역의 통과대역 내에서 높은 감쇠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파트너 대역에 가장 가까운 통과대역의 에지들에서의 주파수 롤-오프, 및 격리 요건의 결과로서 통과대역에서의 상당한 추가 삽입 손실을 초래한다.
2개의 파트너 대역들 사이의 상대적으로 작은 주파수 갭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부과되는 더 높은 삽입 손실에 더하여, 대역의 중심 주파수의 퍼센티지로서 통과대역의 대역폭만큼 또한 부과되는 삽입 손실에서의 불이익(penalty)이 존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통과대역 대역폭 대 중심 주파수의 이러한 비가 더 커질수록(퍼센티지 상대 대역폭이라 명명됨), 필터의 통과대역 삽입 손실이 더 커질 것이다. 예를 들어, 대역 7은 그것의 전송 부분에 대해 70MHz/2535MHz의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 = 2.8% 상대 대역폭을 가지지만, 단지 50MHz/2595MHz의 가드 대역 = 1.9% 상대 듀플렉스 갭 대역폭을 가진다.
대역 38(B38)이 도 2에 또한 도시되며, TDD 대역 할당의 예이다. 따라서, Tx 및 Rx 경로들은 동시에 온(on)되지 않는다. Tx 및 Rx는 둘 모두, 이들이 상이한 시간들에 활성이며, 다른 경로가 유휴인 동안 그 동일한 스펙트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폭(span)을 커버하도록 정의된다. Tx 및 Rx 스펙트럼 폭들은 둘 모두 대역 7의 가드대역 내에 있는 것으로 정의되며, 대역 38 및 대역 7이 완전히 상이한 지리적 영역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공존 이슈를 가지지는 않다.
대역 38의 퍼센티지 상대 대역폭은 1.9%이며, 그것의 대역 에지들 근처에서 강한 대역외(out-of-band) 감쇠 요건들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인자들 모두는 대역 38 필터들의 삽입 손실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다른 에에서, 대역 41(B41)은 또한 TDD 대역이지만, 그것의 큰 통과대역 및 퍼센티지 상대 대역폭 = 194MHz/2593MHz = 7.5%으로 인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도전(challenge)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전 예시적인 대역들(B7, B38, B41) 모두는 손실들이 일반적으로 주파수와 더불어 증가하기 때문에 큰 도전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2.5GHz 동작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더 낮은 셀룰러 대역들의 800MHz 동작보다 더 높은 손실들을 낼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3GPP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는 아키텍처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3a의 예시적인 구성(10)에서, 전용 전력 증폭기(PA)("B41 PA," "B38 PA," 또는 "B7 PA")는 각각의 전용 대역("B41 RFin," "B38 RFin," 또는 "B7 RFin")의 Tx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대역 7은 공통 경로 "B7 Tx Rx" 및 스위치 "SPnT"를 통해 안테나("ANT")로의 그리고 안테나("ANT")로부터의 B7 RFin 경로 및 "B7 Rx" 경로의 FDD-기반 동시 동작을 위해 포스트-PA 듀플렉서("B7 DPX")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대역 38은 경로 "B38 Tx"를 통한 전송을 위한 포스트-PA Tx 필터("B38 Tx"), 스위치(SPnT) 및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TDD 동작을 위해, 안테나로부터, SPnT 스위치 및 Rx 필터("B38 Rx")를 통한 전용 Rx 경로는, Rx 출력 "B38 Rx"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SPnT 스위치는 TDD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대역 41은 경로 "B41 Tx"를 통한 전송을 위한 포스트-PA Tx 필터("B41 Tx"), 스위치(SPnT) 및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TDD 동작을 위해, 안테나로부터, SPnT 스위치 및 Rx 필터("B41 Rx")를 통한 전용 Rx 경로는 Rx 출력 "B41 Rx"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SPnT 스위치는 TDD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의 예시적인 구성(20)에서, 공통 광대역 PA("B7/B38/B41 PA")는 공통 입력("B7/B38/B41 RFin")으로부터의 신호들을 증폭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B7, B38, 및 B41 중 선택된 경로는, 예를 들어, 공통 광대역 PA의 SP3T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다. B7 Tx 및 Tx의 FDD-기반 동시 동작, 및 B38 및 B41 대역들의 TDD-기반 동작들은 도 3a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및 3b 모두에서, Tx 및 Rx를 위한 TDD 필터들이 동일한 주파수 범위를 커버할 수 있지만, 전력 핸들링 및 중간변조 성능에 대해 다소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경로 통합들은 주파수 대역들이 TDD 동작들을 위해 오버랩할 때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3GPP 대역들인 B7(FDD), B38(TDD), 및 B41(TDD) 대역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주파수 파티셔닝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기재의 목적으로, 도 4에서의 대응하는 대역들은 대역7*(B7*), 대역 38*(B38*), 및 대역 41*(B41*)로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경로 통합은 더 적은 필터들, RF 경로들, 및/또는 경로 통합이 없는 대응하는 구성들보다 더 작은 삽입 손실을 가지고 원하는 대역들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B7*, B38*, 및 B41* 주파수 대역들은 Tx Rx 필터 폭들의 2개 세트들로 재배열될 수 있다.
B7*의 Tx 대역은 B41*의 가장 낮은 주파수들을 커버하기 위해 (2500MHz의 표준 정의로부터) 2496MHz로 하향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B7* 듀플렉서의 수신 측은 변경되지 않은 채 유지될 수 있고, Tx 대역폭에 대한 작은 증분적 증가는 듀플렉서 Tx 통과대역의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을 2.8%로부터 단지 2.92%로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B7* 삽입 손실에서의 재료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B7*의 더 낮은 Tx 주파수는 통상적으로 저대역 무선 LAN(WiFi) 통신 프로토콜에 할당되는 스펙트럼 2400MHz 내지 2485MHz의 제한된 영역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또한 동일한 핸드셋 내에 존재할 수 있는 WiFi 동작으로부터, 각자, 이러한 확장된 B7*/B41* 영역의 Tx와 Rx 사이의 공존 이슈들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감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감쇠 없이, 더 낮은 주파수들에서의 셀룰러 전송은 그 동일한 핸드셋의 WiFi 안테나 내로 전력을 누설하고, 전송 잡음 및 스퓨리어스 영향들(spurious effects)(예를 들어, 스퓨리어스 톤들)이 너무 높은 경우 그것의 수신기를 둔감하게 할 수 있다(de-sense). 마찬가지로, WiFi 전송은 이러한 확장된 B7* 및 B41* 경로들과 연관된 셀룰러 안테나 내로 스퓨리어스 및/또는 잡음을 누설시켜서 셀룰러 링크를 둔감하게 할 수 있다. 일부 동작 상황들에서, 추가적인 4MHz(더 낮은 B7 Tx 주파수를 2500MHz에서 2496MHz로 확장시키는 것으로부터 초래됨)는 본원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지만, 이전 예들에 대한 것과 같은 주의 깊은 설계 고려사항들이 성능 저하를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38 및 B41 사이의 통합이 대역들 38 및 41을 완전히 커버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들의 요구되는 대역폭 커버리지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확장된 대역 7(B7*)의 Tx 및 Rx 경로들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2550MHz - 2690MHz)의 B7* Tx와의 적어도 20MHz 오버랩을 할당함으로써, 두 경로들의 조합은 정의된 Tx 경로들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을 사용함으로써 3GPP LTE 표준에서 정의되는 최대 20 MHz 채널 대역폭을 반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Rx 경로는 동일한 20MHz 오버랩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2496MHz 내지 2640MHz로 구현될 수 있다. 대역 41에 대한 Tx 및 Rx 퍼센티지 상대 대역폭들 모두는 194MHz/2593MHz = 7.5% 에서 140MHz/2568MHz = 5.5%로 감소되었고, 따라서, 필터의 삽입 손실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3GPP 표준의 진보된 특징(예를 들어, 3GPP 규격 36.101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기술 규격 그룹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이벌브드 유니버설 지상 라디오 액세스(E-UTRA); 사용자 장비(UE) 라디오 전송 및 수신 - 3GPP TS 36.101 V10.5.0 (2011-12) 섹션 5.6 (릴리즈 10))은 활성 동작에서 인접 채널들을 함께 링크시키고, 따라서 20MHz보다 훨씬 더 큰 유효 채널들을 생성함으로써 신호들의 대역폭을 확장시키기 위한 대역-내(intra-band) 인접하게 어그리게이트된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기술한다. 이러한 사용 경우 시나리오들을 다루기 위해, 이전 예시적인 대역들의 오버랩은 예상되는 유효 채널 대역폭의 최악의 경우의 커버리지, 오버랩에서의 증가와 더불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이점들의 감소, 및 스펙트럼 가용성과 같은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 예시적인 대역 구성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통합된 구성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5a는 도 3a의 예시적인 3GPP 시스템의 일부 경로들의 통합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110)을 도시한다. 도 5b는 도 3b의 예시적인 3GPP 시스템의 일부 경로들의 통합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120)을 도시한다.
도 5a에서, 예시적인 구성(110)은 2개의 정의된 Tx 영역들(B38*/B41* RFin, B7* RFin) 각각에 대한 전용 PA(B38*/B41*PA, B7*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예시적인 구성(10)에서와 같이, FDD 대역 B7*의 Tx 및 Rx 기능성들은 듀플렉서 "B7* DPX"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하나의 Rx 필터("B387B41 * Rx")는 TDD 대역들 B38* 및 B41*에 대한 Rx 경로들에 대해 정의된 대응하는 2개 영역들(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 2496MHz 내지 2640MHz)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5b에서, 예시적인 구성(120)은 도 5a의 예와 유사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단일-폴-2-스로우(SP2T) 스위치에 선행하는 "HB Tx" 증폭기를 포함하는 단일 PA("B7*/B38*/B41* PA)로 대체되는 2개의 전용 PA들(B38*/B41* PA, B7* PA)을 가질 수 있다. B7* 대역의 Tx 및 Rx의 듀플렉싱 뿐만 아니라, (TDD 대역들 B38* 및 B41*에 대한) 2개의 Rx 경로들에 대한 통합된 Rx 필터("B38*/B41* Rx")는 도 5a에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예들 모두에서, 제3 Tx 경로, 및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추가적인 전용 PA 및 Tx 필터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3개의 전용 대역 경로들로부터 2개로 하향 통합함으로써, (Tx 경로 내의) 하나의 PA 및 2개의 필터들(하나는 Tx 경로 내에, 그리고 하나는 Rx 경로 내에 있음)이 제거될 수 있고, B41에 대한 감소된 대역폭 제약을 통해 삽입 손실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주어진 RF 필터가 Tx 및 Rx 경로들 모두에 대해 재사용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TDD 동작들의 상황에서 기술되지만, 이러한 재사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또한 다른 동작 모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TDD 경로들의 통합은 Tx 및 Rx 경로들 둘 모두에 대한 단일 RF 필터의 재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Tx 및 Rx 경로들의 대역폭은 표준 TDD 대역에 대해 통상적으로 동일하며, 적절한 접속성이 제공되는 경우 단일 필터가 둘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130)의 예가 도 7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Tx/Rx 스위치(예를 들어, SP2T)는 Tx 경로("TDD RFin" 및 "TDD PA") 또는 Rx 경로("TDD Rx")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PA("TDD PA")와 공유형 필터("TDD Tx/Rx")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TDD 대역 41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다.
Tx 경로가 인에이블될 때, SP2T 스위치의 오프 격리는 PA의 최대 출력 전력의 오프 Rx 포트로의 누설을 핸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SP2T 스위치들에서의 통상적인 격리 레벨들은, 예를 들어, 약 30dB 감쇠(인에이블된 경로의 단지 약 0.25dB 삽입 손실을 가짐)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격리 레벨들은 바람직한 Tx EVM(에러 벡터 크기) 및 선형성 성능 레벨들을 유지할 수 있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로서, 많은 TDD 시스템들은 Tx 성능에서의 저하 없이 GSM 동작에 대한 유사한 스위치/격리 접속성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훨씬 더 작고 덜 비싼 포스트-PA SP2T 스위치는 표준 구현예들의 추가적인 Rx 필터에 비해 일부 비용 및 면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TDD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는, SP2T 스위치로 인한 삽입 손실의 작은 증가(통상적으로 < 0.25dB)를 가지고, 단일 RF 필터를 이용하여 Rx 및 Tx 모두에 대해 커버될 수 있다. 지원할 더 적은 경로들을 가지는 안테나 스위치(132)의 간략화는 SP2T 스위치에서의 삽입 손실의 이러한 추가 중 일부(예를 들어, 스위치 기술 및/또는 극점들의 개수에 따라 약 0.05dB)를 상쇄시킬 수 있다.
도 8은 수정된 TDD B41 대역 구성("B41*")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Tx 및 Rx 통과대역 대역폭들 각각은 도 6의 예시적인 B41 구성으로부터 거의 2의 인자에 의해 감소된다. 도 8의 예에서, B41* 대역은 2개의 부분적으로-오버랩하는 주파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따라서, 제1 필터 TDD-A는 2496MHz - 2605MHz의 주파수 범위(B41의 대역폭의 56%인 109MHz의 대역폭)에 대응하고, 제2 필터 TDD-B는 2585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B41의 대역폭의 54%인 105MHz의 대역폭)에 대응한다. 도 9에 관해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주파수 세그먼트들 각각은 Tx 및 Rx 동작들 모두에 대한 TDD 통과대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세그먼트화된 Tx/Rx 통과대역들은, 예를 들어, 7.5%로부터 4.3%로의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의 개선을 위해 최악의 경우 (제1 세그먼트의 상한 2605MHz과 제2 세그먼트의 하한 2585MHz 사이의) 20MHz의 최대 채널 대역폭의 공통 오버랩을 공유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예시적인 B41* 대역 구조의 TDD 동작에 대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14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Tx/Rx 스위치들(예를 들어, SP2T 스위치들)의 조합은 Tx 및/또는 Rx가 하나의 또는 다른 필터("TDD-A Tx/Rx" 또는 "TDD-B Tx/Rx")를 통해 접속될 수 있도록 하여, Tx 또는 Rx 중 어느 하나에 대한 2개의 기본 통과대역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필터들과 연관된 이러한 Tx/Rx 경로들("TDD-A Tx/Rx," "TDD-B Tx/Rx")은 안테나 스위치(142)를 통해 안테나에 커플링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Tx 및 Rx 경로들을 공유함으로써, 이러한 추가적인 통합은 감소된 필터 대역폭들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완화된 요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증폭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될 RF 신호는 TDD RFIN으로서 PA("TDD PA")에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예를 들어, LNA(미도시됨)에 의해) 증폭될 RF 신호는 TDD Rx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Tx(TDD RFIN) 및 Rx (TDD Rx) 신호들 각각은 TDD-A Tx/Rx 및 TDD-B Tx/Rx로서 표시된 2개의 예시적인 감소된-대역폭 필터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A 필터의 사용이 Tx 및 Rx 신호들 모두의 프로세싱을 위해 요구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142)는 안테나 폴을 TDD-A Tx/Rx 필터에 대응하는 스로우에 접속시킬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142)의 이러한 구성에서, 안테나 폴은 TDD-B Tx/Rx 필터에 대응하는 스로우로부터 접속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TDD Rx 출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위치를 통해 TDD-A Tx/Rx 필터에(그리고 이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2)의 안테나 폴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TDD RFIN 입력은 동일한 상부 스위치를 통해 TDD-A Tx/Rx 필터에(그리고 이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2)의 안테나 폴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TDD 동작들은 상부 SP2T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TDD-B 필터의 사용이 Tx 및 Rx 신호들 모두의 프로세싱을 위해 요구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142)는 안테나 폴을 TDD-B Tx/Rx 필터에 대응하는 스로우에 접속시킬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142)의 이러한 구성에서, 안테나 폴은 TDD-A Tx/Rx 필터에 대응하는 스로우로부터 접속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TDD Rx 출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위치를 통해 TDD-B Tx/Rx 필터에(그리고 이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2)의 안테나 폴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TDD RFIN 입력은 동일한 하부 스위치를 통해 TDD-B Tx/Rx 필터에(그리고 이에 의해 안테나 스위치(142)의 안테나 폴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TDD 동작들은 하부 SP2T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주파수가 주어진 하부 통과대역 내의 채널에서 증가하여 최대 에지까지 상승함에 따라, 대응하는 필터의 주파수 응답은 통상적으로 필터의 통과대역의 에지에서의 삽입 손실의 더 높은 레벨들 및 진폭 롤-오프에 당면하기 시작할 것이다. 도 8의 예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유사한 구성들에서, 이러한 영역은 그것의 삽입 손실이 그 동일한 롤-오프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상부 통과대역에 오버랩한다. 따라서, (필터 스커트(skirt)들이 주파수에서 위아래로 움직여서 통상적으로 필터 전체의 최악의 경우의 성능을 제한함에 따라 특히 온도에 대한) 필터 롤-오프 및 최악의 경우의 삽입 손실의 영향들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오버랩의 영역에서, 개별 필터 롤-오프 특성들은 더 낮은 삽입 손실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추가로 최적화되거나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DD 대역들의 통합 및/또는 필터(들)의 재사용의 설계 방식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FDD 경로들도 포함하는 더 복잡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들에서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FDD B7* 대역이 2496MHz - 2570MHz의 Tx 통과대역 및 2620MHz - 2690MHz의 Rx 통과대역을 가지는 예시적인 대역 구조를 도시한다. 통합된 TDD B38*/41* 대역은 2550MHz - 2690MHz의 Tx 통과대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4의 예와 유사하게, TDD B38*/41* 대역은 2496MHz - 2640MHz의 Rx 통과대역을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의 예시적인 대역 구조를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들(150, 160)을 도시한다. 두 예들 모두에서, TDD Rx 필터(예를 들어, 도 5a 및 5b에서의 "B38*/B41* Rx" 필터)가 제거될 수 있고, 이러한 Rx 필터와 연관된 기능성은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과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a의 예시적인 구성(150)에서, (B38*/B41*PA에 의해 증폭된) 증폭된 B38* RFIN 신호의 전송은 (도 11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SP2T 스위치 및 B38*/B41*Tx 필터를 통해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에 증폭된 신호를 라우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B7* DPX 듀플렉서의 Tx 부분 및 하부 SP2T 스위치를 통해 B38*/B41* Rx 노드에 라우팅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을 통해 수신되는 이러한 신호는 또한 B38*/B41* Tx 필터 및 상부 SP2T 스위치를 통해 B38*/B41* Rx 노드에 라우팅될 수 있다.
B38*/B41* Tx 및 B38*/B41* Rx와 연관된 TDD 동작들은,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이 이전의 Rx 라우팅에 대해 이용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SP2T 스위치들 및 안테나 스위치(152)의 스위칭 동작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B38*/B41* Tx 필터가 이전 Rx 라우팅에 대해 이용되는 경우, B38*/B41* Tx 및 B38*/B41* Rx와 연관된 TDD 동작들은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을 B38*/B41* Tx 필터와 연관된 스로우와 접속되도록 유지시키는 것, 및 상부 SP2T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1a의 예에서, B7*의 FDD 동작은 B7* DPX 듀플렉서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듀플렉서의 Tx 측은 하부 SP2T 스위치를 통해 (B7* PA에 의해 증폭된) 증폭된 B7* RFIN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링된 신호를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에 출력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듀플렉서의 Rx 측은 안테나 스위치(152)의 안테나 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필터링된 신호는 B7* Rx 노드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1b의 예시적인 구성(160)은, 도 11b에서, B7* 및 B38*/B41*에 대해 전송될 신호들이 (도 11a에서의 2개의 별도의 PA들 대신) 공통 PA(B7*/B38*/B41* PA)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11a의 예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B38*/B41*의 Tx 부분의 TDD 동작은 도 11a에서와 같이 B38*/B41* Tx 필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B7*의 Tx 부분의 FDD 동작은 하부 SP2T 스위치 및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B38*/B41*의 Rx TDD 동작, 뿐만 아니라 B7*의 Rx FDD 동작은, 도 11a의 예에서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오버랩의 영역들 내의 필터 성능과 연관된 특징들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DD 모드의 이점을 가질 수 있지만, FDD 모드가 기본 듀플렉서 성능에 의해 여전히 제한될 수 있다(예를 들어, 대역 7의 표준 대역 전용 성능으로부터 변경되지 않음). TDD 모드에서, 필터 성능은, 예를 들어, 5.3%의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에서의 감소(B38*/B41* 대역에 대해 140MHz/(2550MHz + 70MHz))로 인해 개선될 수 있고, 듀플렉서 삽입 손실(반면 일반적으로 대역외 감쇠 및 격리 요건들로 인해 더 높은)은 2.6%의 더 작은 상대적 퍼센티지 대역폭(B7* Rx 대역에 대해 70MHz/(2620MHz + 35MHz)) 및 오버랩 영역의 이점에 의해 경감되어, 통상적인 듀플렉서 삽입 손실들이 통상적으로 최악인, 가드 대역 및 듀플렉스 갭에 가장 가까운 필터의 측 상에서의 감쇠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전 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또다른 이점은 WiFi 대역 및 공존에 대한 요건들이 이러한 더 작은 상대적 퍼센티지 통과대역 대역폭에서 듀플렉서 그 자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예를 들어, 그렇지 않은 경우 상당한 불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체 대역 41 대역폭에 대한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예를 들어, 경로들의 통합 및/또는 필터(들)의 재사용)이 WiFi 대역(예를 들어, 2.4GHz WiFi 대역) 및 B7 Tx 대역 및 B41 대역과 같은 근처 주파수 대역들의 공존 시 개선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한 예들을 도시한다. 헤드셋들에서의 LTE 프론트-엔드 아키텍처들에서의 B7(FDD, Tx를 위한 2500MHz - 2570MHz, 및 Rx를 위한 2620MHz - 2690MHz) 및 B41(TDD, 2496MHz - 2690MHz) 대역들이 2.4GHz WiFi 대역(2400MHz - 2500MHz)과의 공존을 위한 과제들에 당면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대역폭들이 이러한 LTE 아키텍처들에서 수반되며, 근처 2.4GHz WiFi와의 공존을 위한 타이트한 대역외 감쇠가 통상적으로 요구되거나 요청된다(desired). 또다른 예에서, 스위치 스로우 카운트 및 다른 아키텍처 설계 이슈들로 인해 2.5GHz 근처의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손실들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2.4GHz WiFi 대역 및 하나 이상의 근처 LTE 대역들과 연관된 이전의 도전들을 다룰 수 있는 프론트-엔드 아키텍처(170)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는 (B41A, B41B 또는 B41C에 대해 구성된) 각각의 필터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대역내 삽입 손실/대역외 감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TDD B41 대역의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예를 들어, B41A, B41B, B41C)로의 세그먼트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입력 RF 신호(B7) 및 제2 입력 RF 신호(B38/B41)는 B7, B38 및 B41를 커버하는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전력 증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PA(172)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2개 입력들의 선택은 스위치(171)(예를 들어, SP2T 스위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출력 정합 회로(173)가 PA(172)의 출력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정합 회로는 PA(172)와 연관된 주파수 범위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된 B7 신호는 대역 선택 스위치(174) 및 대응하는 정합 회로(예를 들어, 175로서 집합적으로 표시된 그룹 중 하나)를 통해 B7 듀플렉서("B7 DPX")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증폭된 그리고 필터링된 B7 신호는 안테나 스위치(176)(예를 들어, 안테나 스위치 모듈("HB ASM"))을 통해 B7 듀플렉서("B7 DPX")로부터 안테나("HB ANT")로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2의 예에서, (B41 대역의 서브-세트인 대역을 가지는) B38 신호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프로세싱의 상황에서 명료함을 위해, 큰-대역폭 B41 대역의 세그먼트화된 부분들의 프로세싱의 상황에서, 도 12는 증폭된 B41 신호가 세그먼트화된 정합 회로들의 어셈블리 및 B41A, B41B 및 B41C에 대응하는 필터들에 (대역 선택 스위치(174)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러한 세그먼트-필터링된 신호들은 안테나 스위치(176)를 통해 안테나(HB ANT)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WiFi 동작이 턴오프되는 경우, 이전의 세그먼트화된 필터링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폭된 B41 신호는 이전의 세그먼트화된 필터들을 바이패스시키기 위해 라우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된 B41 신호는 대역 선택 스위치(174) 및 대응하는 정합 회로를 통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조파들을 필터링해내기 위해) 저대역 통과 필터(LPF)에 제공될 수 있다. 필터링된 B41 신호는 이후 안테나 스위치(176)를 통해 안테나(HB ANT)에 라우팅될 수 있다.
도 12의 예에서, 별도의 Rx 필터들이 세그먼트화된 대역들 B41A, B41B 및 B41C에 대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필터들은 안테나 스위치(176)를 통해 이들의 각자의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대응하는 필터링된 Rx 신호들은 대역-선택 스위치(177)를 통해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LNA들(미도시됨)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2의 예에서, 바이패스 LPF 및 B7 듀플렉서(B7 DPX) 이외에도 6개의 TDD 대역-통과 필터들(Tx를 위한 B41A, B41B, B41C, 및 Rx를 위한 B41A, B41B, B41C)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역-통과 필터들은 비교적 고가의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전의 WiFi 공존과 연관된 성능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종종 이용된다.
도 2에 관해 기술된 바와 같이, 표준 3GPP 대역 주파수 정의들은 표 1에서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7002392817-pct00001
도 12의 예에서, B41의 B41A, B41B, 및 B41C로의 세그먼트화는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은 대역 주파수 정의들을 초래할 수 있다.
Figure 112017002392817-pct00002
표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프론트-아키텍처(170)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필터들을 이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41A, 41B 및 41C에 대한 Tx 및 Rx 대역들의 프로세싱을 위한 6개의 필터들(Tx를 위해 3개 및 Rx를 위해 3개)이 존재하지만, 주파수 범위들은 Tx 및 Rx 범위들 사이에서 동일하다. 또한, B41A 대역이 B7Tx에 대한 주파수 범위와 대략 동일한 주파수 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B41C 대역은 B7Rx에 대한 주파수 범위와 동일한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론트-엔드 아키텍처(180)가 도 12의 예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그러나 필터들과 같은 현저하게 감소된 개수의 컴포넌트들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13의 아키텍처(180)에서, 제1 입력 RF 신호(B7) 및 제2 입력 RF 신호(B38/B41)는 도 12의 예와 유사하게, B7, B38 및 B41을 커버하는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전력 증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PA(182)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2개 입력들의 선택은 스위치(181)(예를 들어, SP2T 스위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출력 정합 회로(183)가 PA(182)의 출력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정합 회로는 PA(182)와 연관된 주파수 범위에 대한 임피던스 정합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x 동작에 대해, 증폭된 B7 신호는 대역 선택 스위치(184) 및 대응하는 정합 회로(예를 들어, 185로서 집합적으로 표시된 그룹 중 하나)를 통해 B7 듀플렉서("B7 DPX")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증폭된 그리고 필터링된 B7 신호는 안테나 스위치(186)(예를 들어, 안테나 스위치 모듈("HB ASM"))를 통해 B7 듀플렉서("B7 DPX")로부터 안테나("HB ANT")로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Rx 동작에 대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 스위치(186)에 의해 B7 듀플렉서("B7 DPX")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필터링된 B7 신호는 Rx 경로 Rx_B7_B41C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3의 아키텍처(180)에서, 표 3에 열거된 바와 같은 대역 주파수 정의들이 구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7002392817-pct00003
따라서, 전송(Tx)을 위한 (B41A, B41B, B41C를 포함하는) B41 및 B38 대역 신호들 각각은 스위치(181)에 의해 PA(182)에 라우팅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출력 정합 회로(183), 대역 선택 스위치(184), 그룹(185) 중 대응하는 정합 회로, 공통 B41 Tx/Tx 필터, 및 안테나 스위치(186)를 통해, 안테나(도 13에서 HB_ANT)에 라우팅될 수 있다.
Rx 동작들에 대해, B41A 대역 신호는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FDD 듀플렉서의 Tx 측은 Rx TDD 동작에 대해 재사용된다. 필터링된 B41A 대역 신호는 이후 (그룹(185) 중) B7 정합 회로 및 대역 선택 스위치(187)(예를 들어, SP2T)를 통해 Rx 경로(Rx_B41A_B41B)에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B41A 대역 신호들을 수반하는 TDD 동작들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1)가 하부-스로우 상태인 것, 스위치(184)가 중간-스로우 상태인 것, 스위치(187)가 상부-스로우 상태인것, 및 안테나 스위치(186)가 중간 및 상부 스로우들 사이에서 TDD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B41B Rx 신호(또는 B38 Rx 신호)는 B41 Tx/Rx 필터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필터는 Tx 및 Rx 동작들 모두에 대해 사용된다. 필터링된 B41B 대역 신호는 이후 (그룹(185) 중) B41 Tx/Rx 정합 회로 및 대역 선택 스위치(187)를 통해, B41A Rx 동작에 대해 전술된 Rx 경로(Rx_B41A_B41B)에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B41B 대역 신호들을 수반하는 TDD 동작들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1)가 하부-스로우 상태인 것, 안테나 스위치(186)가 중간-스로우 상태인 것, 및 TDD 스위칭 동작들이, 예를 들어, 스위치들(184 및 187)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x 단계(phase) 동안, 스위치(184)는 중간-스로우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스위치(187)는 하부-스로우 상태가 아닌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Rx 단계 동안, 스위치(184)는 중간-스로우 상태가 아닌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스위치(187)는 하부-스로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B41B Rx 신호는 또한, B41A Rx 신호와 유사하게,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B41B 대역 신호는 대역 선택 스위치(187)를 통해 B7 DPX 듀플렉서의 Tx 측으로부터 Rx 경로(Rx_B41A_B41B)로 라우팅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 B41C 대역 신호는 B7 DPX 듀플렉서의 Rx 측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FDD 듀플렉서의 Rx 측은 Rx TDD 동작을 위해 재사용된다. 필터링된 B41C 대역 신호는 이후 전술된 B7 Rx 신호에 대해 또한 이용되는 Rx 경로(Rx_B7_B41C)에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B41C 대역 신호들을 수반하는 TDD 동작들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1)가 하부-스로우 상태인 것, 스위치(184)가 중간-스로우 상태인 것, 스위치(187)가 상부-스로우 상태인 것, 및 안테나 스위치(186)가 중간 및 상부 스로우들 사이에서 TDD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WiFi 동작이 턴오프될 때, 증폭된 B41(또는 B38) 신호가 이전 TDD Tx 라우팅을 바이패스하기 위해 라우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된 B41 신호는 대역 선택 스위치(184) 및 대응하는 정합 회로를 통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조파들을 필터링해내기 위해) 저대역 통과 필터(LPF)에 제공될 수 있다. 필터링된 B41 신호는 이후 안테나 스위치(186)를 통해 안테나(HB ANT)에 라우팅될 수 있다.
도 13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이, FDD B7 경로는 TDD 동작들을 위해 FDD 필터들을 재사용하기 위해 Tx/Rx 스위칭 기능성을 가지고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FDD 필터들이 적절하게 구성되는 경우, 도 12의 예에서의 6개의 필터들 대신, 단일 TDD가 B38 및 B41 대역들과 연관된 다양한 TDD 동작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B41의 B41A, B41B 및 B41C로의 세그먼트화와 더불어, 대역외 감쇠 성능이 개선되는 동시에 현저하게 낮아진 필터 카운트로 인해 비용 및 풋프린트 면적을 절감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TDD 오버랩 대역들을 이용하여 경로들을 통합하는 것, TDD 구현예들에서의 통과대역 대역폭에서의 원하는 감소를 가지고 오버랩 영역들을 통합하는 것, Tx/Rx 필터(들) 및 연관된 회로들의 재사용, 및/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과 연관된 다양한 특징들이 TDD 및/또는 병합된 TDD+FDD 프론트-엔드 아키텍처들을 가지는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지는 아키텍처들의 다양한 예들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들로 그리고 상이한 제품 레벨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구현예들의 일부는 예시에 의해 기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다이가 패키지화된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예가 도 14a(평면도) 및 14b(측면도)에 도시된다. 모듈(810)은 패키징 기판(81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패키징 기판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층 기판(laminate substrate) 또는 세라믹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징 기판(812) 상에 실장되는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대역 아키텍처(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다이(800)가 패키징 기판(812) 상에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이(800)는 접속-와이어결합들(816)과 같은 접속들을 통해 모듈의 다른 부분들에 (그리고 하나 초과의 다이가 이용되는 서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와이어결합들은 다이(800) 상에 형성되는 콘택트 패드들(818)과 패키징 기판(812) 상에 형성되는 콘택트 패드(8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들(822)은 패키징 기판(812) 상에 실장되어 모듈(810)의 다양한 기능성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키징 기판(812)은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서로 그리고/또는 외부 접속들을 위한 콘택트 패드들과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전기적 접속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경로(832)는 예시적인 SMD(822) 및 다이(800)를 상호접속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또다른 예에서, 접속 경로(832)는 SMD(822)를 외부-접속 콘택트 패드(834)와 상호접속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또다른 예에서, 접속 경로(832)는 다이(800)를 접지-접속 콘택트 패드들(836)와 상호접속시키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키징 기판(812) 및 그 위에 실장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위의 공간은 오버몰드 구조체(830)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오버몰드 구조체는 컴포넌트들 및 와이어결합들의 외부 엘리먼트들로부터의 보호, 및 패키지화된 모듈(810)의 더 용이한 핸들링을 포함한, 다수의 바람직한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가지는 디바이스 및/또는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RF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및/또는 회로는 직접 무선 디바이스 내에,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모듈라 형태로,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 스마트-폰, 폰 기능성이 있는 또는 폰 기능성이 없는 핸드-헬드 무선 디바이스, 무선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유리한 특징들을 가지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900)를 도시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대역 아키텍처들의 상황에서, 대역 아키텍처의 일부 또는 전부가 모듈(810)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모듈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900)의 다중-대역 다중-모드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론트-엔드 모듈일 수 있다. 모듈(810)은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듀플렉스 회로들(920)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810)은 안테나(924)로 그리고 안테나(924)로부터 다양한 대역 경로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스위치(9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900)에서, 복수의 전력 증폭기(PA)들을 가지는 PA 모듈(916)은 (필터/듀플렉서(920)를 통해) 스위치(922)에 증폭된 RF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스위치(922)는 증폭된 RF 신호를 안테나에 라우팅할 수 있다. PA 모듈(916)은 공지된 방식들로 구성되고 동작될 수 있는 트랜시버(914)로부터 증폭되지 않은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 또한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914)는 사용자에 대해 적절한 데이터 및/또는 음성 신호들과 트랜시버(914)에 대해 적절한 RF 신호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910)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트랜시버(914)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9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관리 컴포넌트(906)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전력 관리 컴포넌트는 또한 기저대역 서브-시스템(910) 및 모듈(810)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91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다양한 입력 및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902)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910)은 또한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904)에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듀플렉서(920)는 공통 안테나(예를 들어, 924)를 사용하여, TDD, FDD 모드,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에서 전송 및 수신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LNA)를 포함할 수 있는 "Rx" 경로들(926)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수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 구성들이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다중-대역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다. 또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같은 추가 안테나들, 및 Wi-Fi, 블루투스 및 GPS와 같은 추가적인 접속성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셀룰러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대역들의 예들은 "E-UTRA 동작 대역들"에 의해 정의되는 대역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의된 대역들의 예들이 표 4에 열거된다. 대역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브-대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표 4의 예들과 같은 지정들을 가지지 않는 주파수 범위들을 가지고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기재의 목적으로, 수정된 대역이 TDD 대역 또는 FDD 대역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수정된 대역은 Tx 대역 또는 Rx 대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전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수정된 대역은 "E-UTRA 동작 대역들"에 의해 정의되는 대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38* 수정된 대역들은 표 4에 열거된 B38 (2570MHz - 2620MHz)에 기초할 수 있다. B38* Tx 대역은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B38* Rx 대역은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B38* Tx 및 B38* Rx 대역들은 2550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오버랩한다.
또다른 예에서, B41* 수정된 대역들은 표 4에 열거된 B41 (2496MHz - 2690MHz)에 기초할 수 있다. B41* Tx 대역은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B41* Rx 대역은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B41* Tx 및 B41* Rx 대역들은 2550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오버랩한다.
또다른 예에서, B7* 수정된 대역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표 4에 열거된 B7 대역들(Tx를 위한 2500MHz - 2570MHz, Rx를 위한 2620MHz - 2690MHz)에 기초할 수 있다. B7* Tx 대역은 2496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B41* Rx 대역은 B7 Rx와 동일한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B7* Tx 및 B7* Rx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이들의 각자의 수정되지 않은 대역들 B7 Tx 및 B7 Rx와는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다른 예에서, B41* 수정된 대역들은 표 4에 열거된 B41 (2496MHz - 2690MHz)에 기초할 수 있다. B41* TDD-A 대역은 2496MHz - 2605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B41* TDD-B 대역은 2585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B41* TDD-A 및 B41* TDD-B 대역들은 2585MHz - 2605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오버랩한다.
다른 수정된 대역 구성들이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Figure 112017002392817-pct00004
문맥이 다른 방식으로 명백하게 요구하지 않는 한, 기재 및 청구항들에 걸쳐서, 단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등은, 배타적인 또는 완전한 의미에 비해, 내포적인 의미로; 다시 말해, "~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어 "커플링되는"은,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엘리먼트들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추가로, 단어들 "본원에서", "위에", "하기에",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은, 이 출원에서 사용될 때, 이 출원의 임의의 특정 부분들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이 출원을 지칭할 것이다. 문맥이 허용하는 경우,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사용하는 단어들은 또한 각자 복수 또는 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항목들의 리스트에 관련된 단어 "또는"에서, 그 단어는 단어의 후속하는 해석들 모두를 커버한다: 리스트 내의 항목들 중 임의의 것, 리스트 내의 항목들 모두, 및 리스트 내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
발명의 실시예들의 위의 상세한 설명은 완전한 것으로 의도되지도 또는 발명을 위에서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 발명에 대한 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전술되었지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지할 바와 같이, 다양한 등가적 수정들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들 및 블록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상이한 순서로, 단계들을 가지는 루틴들을 수행하거나, 블록들을 가지는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고, 일부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삭제되고, 이동되고, 추가되고, 세부분할되고,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 각각이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이 때때로 직렬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대신 병렬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되는 발명의 교시들은 반드시 전술된 시스템이 아닌, 다른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 및 동작들이 결합되어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들의 일부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시되었으며,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원에 기술된 신규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형태에서의 다양한 생략들, 치환들 및 변경들이 개시내용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은 이러한 형태들 또는 수정들을 개시내용의 범위 및 사상 내에 드는 것으로서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5)

  1. 무선 아키텍처로서,
    제1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time-division duplex) 전송 대역 및 상기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에 대응하는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은 오버랩되는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대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비-오버랩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으로 전송 동작을 지원 하도록 구성된 전송 필터 및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으로 수신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신 필터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되는 주파수 범위는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의 대역폭들보다 작거나 같은 대역폭을 갖는, 무선 아키텍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대역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대역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시분할 듀플렉스 대역에 기초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대역에 기초하는, 무선 아키텍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듀플렉서의 일부분을 더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일부분은 상기 듀플렉서의 전송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496MHz - 264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7 Tx에 기초하는 2496MHz - 257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일부분은 상기 듀플렉서의 수신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38 및 B41에 기초하는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7 Rx에 기초하는 262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255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의 복수의 대역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대역 B41에 기초하는 2620MHz - 269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대역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무선 아키텍처.
  13. 프론트-엔드(front-end) 모듈로서,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패키징 기판; 및
    상기 패키징 기판 상에 구현되는 라디오-주파수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주파수 회로는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 및 상기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에 대응하는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은 오버랩되는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대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비-오버랩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주파수 회로는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으로 전송 동작을 지원 하도록 구성된 전송 필터 및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으로 수신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신 필터를 포함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14. 무선 디바이스로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증폭된 신호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와 통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안테나와 통신하는 프론트-엔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은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 및 상기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에 대응하는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은 오버랩되는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및 수신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대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비-오버랩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은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전송 대역으로 전송 동작을 지원 하도록 구성된 전송 필터 및 적어도 상기 수정된 시분할 듀플렉스 수신 대역으로 수신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신 필터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77000595A 2014-06-11 2015-06-11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318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0770P 2014-06-11 2014-06-11
US62/010,770 2014-06-11
PCT/US2015/035369 WO2015191880A1 (en) 2014-06-11 2015-06-11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duplex protocols for wireless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016A KR20170018016A (ko) 2017-02-15
KR102318726B1 true KR102318726B1 (ko) 2021-10-28

Family

ID=5483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595A KR102318726B1 (ko) 2014-06-11 2015-06-11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56851B2 (ko)
KR (1) KR102318726B1 (ko)
CN (1) CN106575976B (ko)
GB (1) GB2542302B (ko)
WO (1) WO2015191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7458B2 (en) 2014-08-13 2019-10-15 Skyworks Solutions, Inc. Radio-frequency front-end architecture for carrier aggregation of cellular bands
US9871646B2 (en) * 2015-09-30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ront-end circuitry for multiband frequency management
CN106100645A (zh) * 2016-05-25 2016-11-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合路器系统、共用天线系统、终端设备、及信号处理方法
US10103772B2 (en) 2016-08-10 2018-10-16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ter bypass for radio frequency front-ends
CN107104685B (zh) * 2017-05-27 2020-11-1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扩展lte b41频段带宽的移动终端及其方法
JP6791392B2 (ja) * 2017-09-08 2020-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マルチプレクサ、高周波フロントエンド回路及び通信装置
US11368179B2 (en) 2017-10-17 2022-06-21 Skyworks Solutions, Inc. Modulation partitioning and transmission via multiple antennas for enhanced transmit power capability
DE102017219685B3 (de) 2017-11-06 2019-05-09 Laird Dabendor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Verstärkung von Funksignalen zwischen einem Endgerät und einer Antenne in einem ersten Frequenzband und in einem zweiten Frequenzband
WO2019099257A1 (en) 2017-11-17 2019-05-23 Skyworks Solutions, Inc. Dynamic control of single switched uplink versus multi uplink
US10439655B1 (en) * 2018-03-28 2019-10-0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Transceiver filters
JP6900947B2 (ja) * 2018-12-28 2021-07-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US11515608B2 (en) 2019-02-27 2022-11-29 Skyworks Solutions, Inc. Remote compensators for mobile devices
US11405059B2 (en) 2020-01-09 2022-08-02 Skyworks Solutions, Inc. Mobile device front end architecture for antenna plexing for multiple frequency bands
WO2022018997A1 (ja) * 2020-07-21 2022-01-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回路
GB2603998B (en) 2020-12-07 2023-04-26 Skyworks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front end module including common fi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0974A1 (en) 2000-10-26 2002-07-11 Peter Hagn Combined front-end circuit fo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US20140024329A1 (en) 2012-07-18 2014-01-23 Rf Micro Devices, Inc. Front end radio architecture having a split band arrangement with co-band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6941C (zh) * 2005-10-06 2009-12-30 美国博通公司 多模通信设备及其内处理多个通信信号的方法
GB2431073B (en) * 2005-10-10 2008-05-14 Ipwireless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dissimilar systems
US20080144612A1 (en) * 2006-12-13 2008-06-19 Nokia Corporation Flexible radio resource sharing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among TDD communication systems
KR20090023280A (ko) * 2007-08-31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및 시간 자원 활용 시스템 및 방법
CN101729123A (zh) * 2008-10-23 2010-06-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频带无线数字中继器及无线通信系统、数据传输方法
US7969923B2 (en) * 2008-11-14 2011-06-28 Dbsd Satellite Services G.P. Asymmetric TDD in flexible use spectrum
CN102118756B (zh) * 2009-12-31 2014-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方法与频谱动态分配的方法
CN102457992A (zh) * 2010-10-19 2012-05-1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基站设备
CN102917460B (zh) * 2011-08-03 2018-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复用发射通道的方法及系统
JP5796448B2 (ja) * 2011-10-07 2015-10-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CN107070542B (zh) 2011-11-01 2019-05-0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9585156B2 (en) * 2011-11-1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different LTE-TDD configurations in neighboring regions and/or adjacent carriers
US9351299B2 (en) * 2012-03-09 2016-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enabling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etwork nodes
GB2500583B (en) * 2012-03-23 2014-10-22 Broadcom Corp Interference control
US20140038667A1 (en) * 2012-08-03 2014-0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f lte switch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029708A (ko) * 2012-08-29 2014-03-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GB2505892B (en) * 2012-09-12 2015-09-23 Broadcom Corp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s for controlling power of wireless transmissions
EP4080976A1 (en) * 2012-09-26 2022-10-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dynamic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GB2512586B (en) * 2013-04-02 2015-08-12 Broadcom Corp Switch arrangement
US9935760B2 (en) * 2013-04-16 2018-04-03 Qorvo Us, Inc. Tunable filter for LTE ba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0974A1 (en) 2000-10-26 2002-07-11 Peter Hagn Combined front-end circuit fo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US20140024329A1 (en) 2012-07-18 2014-01-23 Rf Micro Devices, Inc. Front end radio architecture having a split band arrangement with co-ba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1880A1 (en) 2015-12-17
CN106575976B (zh) 2020-05-15
GB2542302B (en) 2020-09-02
GB201621886D0 (en) 2017-02-01
US20190305804A1 (en) 2019-10-03
KR20170018016A (ko) 2017-02-15
CN106575976A (zh) 2017-04-19
US20160006556A1 (en) 2016-01-07
GB2542302A (en) 2017-03-15
US10256851B2 (en) 2019-04-09
US11128323B2 (en)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726B1 (ko) 무선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 듀플렉스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665202B1 (ko) 고조파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
US97489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ilter insertion loss while maintaining out-of band attenuation
US10447317B2 (en) Methods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TWI783062B (zh) 經由用於加強發射功率能力之多個天線之調變分割及傳輸
US9154171B2 (en) Reconfigurable radio frequency circuits and methods of receiving
CN105376040B (zh) 用于蜂窝频带的载波聚集的射频前端结构
US20190379409A1 (en) Carrier aggregation using diplexers
CN102404021A (zh) 双工放大模块、射频前端模块和多模终端
US91849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KR20160039437A (ko) 트랜시버 및 그 트랜시버의 동작 방법
TW202316819A (zh) 包括共同濾波器之射頻前端模組
KR102215081B1 (ko) 송신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