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767B1 - 마스크 분리수거기 - Google Patents

마스크 분리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767B1
KR102317767B1 KR1020210000586A KR20210000586A KR102317767B1 KR 102317767 B1 KR102317767 B1 KR 102317767B1 KR 1020210000586 A KR1020210000586 A KR 1020210000586A KR 20210000586 A KR20210000586 A KR 20210000586A KR 102317767 B1 KR102317767 B1 KR 10231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sk
hanger
shaf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가윤
Original Assignee
노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가윤 filed Critical 노가윤
Priority to KR102021000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분리수거기에 관련되며, 위생마스크를 수거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뚜껑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거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함체;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마스크의 걸이끈을 걸수 있도록 하는 걸이대; 함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절단기구를 수납하는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세정제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보조수납부;를 포함하고, 함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거 공간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분리수거기{UNTACT MASK BIN}
본 발명은 사용 후 발생된 폐 위생마스크를 모아서 수거하고, 한꺼번에 폐기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에 관련된다.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마스크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발생한 수많은 폐마스크들이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다.
특히 감염 위험을 가진 폐마스크들은 폐기물 처리 관련 종사자들에게는 직접적인 위험이 되기도 하고, 동물들의 먹이로 오인되어 목숨을 위협하거나 동물들에게 감겨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지구 환경 파괴는 자연 환경에 기대어 살아가는 많은 직업군에게도 피해를 주어 큰 관심사가 되어가고 있다.
환경단체 오션스아시아의 보고에 의하면 버려진 마스크가 바다에 도착하는데 평균 6-8주밖에 걸리지 않고, 무인도에서도 다량의 마스크가 발견되는 등 해양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한다.
영국왕립동물학대방지협회(RSPCA)가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사람들이 쓰고 버린 마스크 끈에 발이 칭칭 감긴 갈매기가 날지 못하고 구조되어 치료받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뉴스가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 운동을 펼쳐가고 있고 대중의 큰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하지만 길어진 코로나 위기의 지속으로 마스크 착용이나 관리에 지친 사람들에게 캠페인 만으로 자발적인 시민의식을 통해 마스크 폐기물을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폐마스크는 감염 질환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장구인 만큼 준의료폐기물로 취급되어야하나 의료폐기물과는 다르게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대실적인 어려움으로 무분별하게 폐기되고 있어 마스크 분리 수거기를 설치하여 감염위험과 환경파괴 가능성이 높은 폐마스크 만을 따로 분리수거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폐마스크 수거시 잔존해있는 폐마스크의 감염위험을 낮추는 기능이 갖추어져야 사용자들의 수용성도 높아질 것이고 폐마스크 수거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으나 이러한 수거 장비가 아직까지는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
종래에는 마스크를 사용한 후 버릴때 접어서 부피가 작아지도록 뭉친 다음 걸이끈을 잘라서 묶어 버리거나 걸이끈만 잘라내고 그대로 쓰레기통에 버리는 방식으로 처리하여왔다.
이는 감염병이 번질 위험이 높고 걸이끈을 자르는 과정에서 2차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18-000317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폐마스크를 모아서 보관하되 살균기능을 발휘하여 살균 소독하고, 다량으로 수거된 폐마스크를 걸이끈만 한번에 잘라낸 후 일시에 수거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생마스크를 수거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뚜껑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거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마스크의 걸이끈을 걸수 있도록 하는 걸이대; 상기 함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절단기구를 수납하는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세정제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보조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거 공간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의 힌지축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함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사람 손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의 모터의 온 작동을 실행하여 뚜껑이 개방되도록 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걸이대의 외주면을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마스크의 걸이끈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수단은 걸이대와 함체의 내벽 및 바닥면에 부착되는 칼날가이드부; 칼날가이드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절단력을 발휘하는 절단칼;을 포함하고, 칼날가이드부는, 걸이대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과 통하며 걸이대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함체의 내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슬라이드부 및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며 절단칼의 선단이 인입되는 칼날수용홈을 갖는 칼날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함체의 측벽과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개폐작동되고, 상기 도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조정수단은,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브라켓;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캠모터; 일부는 상기 캠모터와 기어박스로 연결되고, 다른 일부에는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곡률이 형성된 캠베어링하우징이 형성되는 캠; 및 캠베어링하우징에 배치되고, 중앙측으로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원형 링 형상의 인터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함체의 측벽과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개폐작동되고, 도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조정수단은,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터모터; 센터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브라켓; 축브라켓에 연결되고, 중앙측에는 돌출된 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면부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이 형성되는 축샤프트; 일단부는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배치되는 구 형상의 축단베어링; 힌지축의 곡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 및 힌지축에 형성된 베어링홈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폐기물은 항상 코로나-19 감염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서 폐기나 재활용 관리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에게는 직접적인 위험이 됩니다. 또한 일회용 마스크의 구성성분이 마스크 보호 패드를 이루는 부직포및 필터와 같은 화학성분과 코 부분 밀착 지지대를 위한 금속성분 그리고 귀걸이 부분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어 재활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정부에서는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수거하여 매립이나 소각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환경 오염 물질 처리를 위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와 환경 보호 활동의 퇴보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분리수거기'는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여 줄 수는 없지만 저렴한 비용의 제작 및 설치비로 폐기물 관련 노동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고 생태계를 보호하여 자연과의 공존을 도모하며 또한 공공살균소독제 비치대 및 공익광고대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염 위험의 폐기물중 일반 대중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스크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만들어 공공장소, 다중이용시설,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 등에 비치한다면 폐기물 처리과정에서의 감염 위험도 낮출 수 있고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 기능을 겸비하여 생태계 파괴를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도어와 뚜껑을 개방시킨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커팅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도어와 뚜껑을 개방시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커팅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에서 '조정수단'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분리수거기는,
위생마스크를 수거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뚜껑(22)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거 공간(20)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24)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함체(2);
상기 함체(2)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마스크(M)의 걸이끈(M2)을 걸수 있도록 하는 걸이대(3);
상기 함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절단기구를 수납하는 보관부(26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세정제(27)를 안착시키는 안착부(264)가 형성된 보조수납부(26);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거 공간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함체(2)는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불투명의 판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수거된 마스크(M)의 수량이 파악될 수 있도록 함체(2)의 전면 또는 일면에 투명한 부위가 형성되도록 하면 적당하다.
함체(2)의 뚜껑(22)은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함체(2)의 상면에 개구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5)에 뚜껑(2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또는 뚜껑(22)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뚜껑(22)의 일 예에 따르면, 뚜껑(22)의 힌지에 형성된 종동기어(52)와, 종동기어(52)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54)와, 상기 주동기어(54)를 회전시키는 모터(56)로 구성된 구동부(5);를 포함한다.
또한 함체(2)의 상면에 형성되고 사람 손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5)의 모터(56)의 온(on) 작동을 실행하여 뚜껑(22)이 개방되도록 하는 센싱부(7);를 포함한다.
센싱부(7)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근접하면 센서의 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부(5)를 온(on) 작동시킴으로써 모터(56)의 구동에 의해 주동기어(54)와 종동기어(52)의 치차 결합에 의한 회전 구동으로 뚜껑(22)이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개폐작동으로 인해 보다 청결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뚜껑(22)을 열고 사용한 마스크(M)를 접어서 양측 걸이끈(M2)을 모은 다음 걸이대(3)에 관통되도록 하여 마스크(M)를 함체(2) 내부에 수납한다.
뚜껑(22)이 닫힘과 동시에 자외선 살균부(4)의 온 작동이 실시되므로 함체(2)의 내부 수거 공간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소독될 수 있다.
보조수납부(26)는 함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관부(262)에는 가위, 집게 등의 절단기구를 수납해둘 수 있고, 안착부(264)에는 손세정제(27)를 비치해두어 마스크(M)를 버린 후 항상 손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적정량의 마스크(M)가 모여진 것으로 판단되면 함체(2)의 도어(24)를 열고 집게로 마스크(M)를 잡고, 가위로 걸이끈을 잘라낸 후 마스크(M)를 한꺼번에 수거하여 폐기처분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M)를 집게로 잡고 절단할 필요없이 함체(2) 내에 구비된 절단칼(84)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걸이끈(M2)을 절단하도록 하는 커팅수단(8);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체(2)의 내부에 장착되며 걸이대(3)의 외주면을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마스크(M)의 걸이끈(M2)을 절단하는 커팅수단(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팅수단(8)은,
걸이대(3)와 함체(2)의 내벽 및 바닥면에 부착되는 칼날가이드부(82);
칼날가이드부(82)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절단력을 발휘하는 절단칼(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칼날가이드부(82)는, 걸이대(3)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홈(32)과, 상기 절개홈(32)과 통하며 걸이대(3)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34)과, 상기 함체(2)의 내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825)을 갖는 슬라이드부(822) 및
함체(2)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며 절단칼(84)의 선단이 인입되는 칼날수용홈(827)을 갖는 칼날받이(8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단칼(84)은 상부에 손잡이(8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842)를 잡고 절단칼(84)을 칼날가이드부(82)의 가이드슬롯(34)과 가이드홈(825)에 끼운 후 하방으로 빠르게 내려쳐서 칼날수용홈(827)에 선단 날부까지 삽입시켜 마스크(M)의 걸이끈(M2)을 일순간에 절단시킬 수 있다.
이렇게 다수개 마스크(M)의 걸이끈(M2)을 동시에 절단시킨 후 마스크(M)들을 한꺼번에 수거하여 폐기처분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24)는 함체(2)의 측벽과 힌지축(H)으로 연결되어 개폐작동되고, 도어(24)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수단(500)은, 축브라켓(511), 축샤프트(512), 축단베어링(515), 캠모터(521), 기어박스(522), 캠(531) 및 인터베어링(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브라켓(511)은 함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샤프트(512)를 결합하기 위해 양측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샤프트(512)는 양단부가 상기 축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샤프트(512)의 중앙측에는 돌출된 형태의 구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부(513)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에 배치되고,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이뤄져 있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비교적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축단베어링(515)과 연결된 상기 힌지축(3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함을 확인해 줄 수 있다.
상기 캠모터(521)는 상기 함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캠모터(521)는 정밀한 각도 조정이 가능한 스텝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531)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캠(531)의 일부는 상상기 캠모터(521)와 기어박스(522)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캠(531)의 다른 일부는 관통되고 대향되는 내측면에는 곡률이 형성된 캠베어링하우징(5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522)는 상기 캠모터(52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기어(523), 제1 기어(523)를 지지하는 제1 서포트베어링(525), 상기 캠(531)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2 기어(524) 및, 상기 제2 기어(524)를 지지하는 제2 서포트베어링(526)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제1,2 기어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캠모터(5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캠(531)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인터베어링(533)은 상기 캠베어링하우징(532)에 배치되고, 중앙측에는 상기 힌지축(300)이 관통하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인터베어링(533)의 외주면은 상기 캠베어링하우징(532)의 내주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수단(500)의 제2 실시예는 센터모터(540), 축브라켓(511), 축샤프트(512), 축단베어링(515), 가이드블록(552) 및 가이드베어링(5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모터(540)는 함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은 상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모터(540)는 스텝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축브라켓(511)은 상기 센터모터(54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축샤프트(512)를 결합하기 위해 양측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샤프트(512)는 양단부가 상기 축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샤프트(512)의 중앙측에는 돌출된 형태의 구면부(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면부(513)의 내측에는 곡률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면은 개방된 샤프트하우징(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에 배치되고,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축(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단베어링(515)의 일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면 곡률에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이뤄져 있어, 상기 샤프트하우징(514)의 내부에서 상하좌우로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축단베어링(515)은 구 형상의 볼베어링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블록(552)은 함체(2)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개구부(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축(300)의 곡선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5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은 상기 힌지축(300)에 형성된 베어링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00)에서 상기 가이드홀(553)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베어링홈이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홈은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베어링(551)은 상기 힌지축(300)이 아치 형상의 상기 가이드홀(553)을 따라 부드럽게 곡선 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함체 3 : 걸이대
4 : 자외선 살균부 5 : 구동부
7 ; 센싱부 8 : 커팅수단
22 ; 뚜껑 24 : 도어
26 : 보조수납부 34 : 가이드슬롯
82 : 칼날가이드부 84 : 절단칼
262 : 보관부 264 : 안착부
822 : 슬라이드부 824 : 칼날받이
825 ; 가이드홈 827 : 칼날수용홈
842 ; 손잡이 M : 마스크
M2 ; 걸이끈
511:축브라켓 512:축샤프트
513:구면부 514:샤프트하우징
515:축단베어링 521:캠모터
522:기어박스 523:제1 기어
524:제2 기어 525:제1 서포트베어링
526:제2 서포트베어링 531:캠
532:캠베어링하우징 533:인터베어링
540:센터모터 551:가이드베어링
552:가이드블록 553:가이드홀

Claims (3)

  1. 위생마스크를 수거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뚜껑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거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마스크의 걸이끈을 걸수 있도록 하는 걸이대;
    상기 함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절단기구를 수납하는 보관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손세정제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보조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거 공간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의 힌지축에 형성된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치차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함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사람 손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의 모터의 온 작동을 실행하여 뚜껑이 개방되도록 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걸이대의 외주면을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마스크의 걸이끈을 절단하는 커팅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걸이대와 함체의 내벽 및 바닥면에 부착되는 칼날가이드부;
    상기 칼날가이드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절단력을 발휘하는 절단칼;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가이드부는, 걸이대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과 통하며 걸이대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함체의 내벽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슬라이드부 및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며 절단칼의 선단이 인입되는 칼날수용홈을 갖는 칼날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분리수거기.



KR1020210000586A 2021-01-04 2021-01-04 마스크 분리수거기 KR10231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586A KR102317767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분리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586A KR102317767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분리수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767B1 true KR102317767B1 (ko) 2021-10-27

Family

ID=7828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586A KR102317767B1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분리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087A (ko)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재활용을 위한 수거함 서비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79U (ko) 2018-02-23 2018-11-07 주식회사 센텍기술 수평형 원심 분리기
CN111451253A (zh) * 2020-04-30 2020-07-28 倪事成 一种防止口罩再利用的预处理装置
KR20200137577A (ko) * 2019-05-30 2020-12-09 김동욱 폐 생리대 수거함
CN212197032U (zh) * 2020-05-12 2020-12-22 中山美亚特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口罩回收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79U (ko) 2018-02-23 2018-11-07 주식회사 센텍기술 수평형 원심 분리기
KR20200137577A (ko) * 2019-05-30 2020-12-09 김동욱 폐 생리대 수거함
CN111451253A (zh) * 2020-04-30 2020-07-28 倪事成 一种防止口罩再利用的预处理装置
CN212197032U (zh) * 2020-05-12 2020-12-22 中山美亚特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口罩回收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087A (ko) * 2021-10-29 2023-05-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재활용을 위한 수거함 서비스
KR102542879B1 (ko) 2021-10-29 2023-06-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재활용을 위한 수거함 서비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767B1 (ko) 마스크 분리수거기
CN205832319U (zh) 便携式锐器盒
WO2006023735A3 (en) Mobile equipment for non-ambulatory people
CN106275948B (zh) 一种基于多种识别方法的自动分类医用垃圾桶
CN207804724U (zh) 一种用于收集输液针的利器盒
CN211845867U (zh) 红外感应式医疗垃圾桶锐器盒
CN113520609A (zh) 一种适用于医疗的利器盒
CN214978545U (zh) 一种基于人工智能技术的自动激光打标装置
CN213156053U (zh) 一种防护型咽拭子
CN109368099A (zh) 一种有害垃圾收集箱
CN213249789U (zh) 一种医疗用具有切割功能的锐器收纳装置
CN212449023U (zh) 一种医用垃圾收集装置
CN208956777U (zh) 一种结合家用吸尘器使用的蟑螂吸捕器
CN204352313U (zh) 针头分离收集装置
CN107860599A (zh) 一种易更换无纺布的物证提取工作台
CN215286455U (zh) 一种综合污物收集盒
CN208683590U (zh) 一种医疗废弃物分类回收装置
CN205652690U (zh) 一次性负压吸引瓶处理装置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CN207643068U (zh) 一种多功能物证提取工作台
CN218590620U (zh) 一种可锐器分离的废弃医疗物无害化处理装置
CN213821734U (zh) 一种便捷式采血护理工具
CN213415044U (zh) 一种感染科用废料收集装置
CN216470017U (zh) 一种便捷式医疗废物分类处理箱
CN205180184U (zh) 一种多功能安全蚊香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