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538B1 -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 Google Patents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538B1
KR102317538B1 KR1020210063402A KR20210063402A KR102317538B1 KR 102317538 B1 KR102317538 B1 KR 102317538B1 KR 1020210063402 A KR1020210063402 A KR 1020210063402A KR 20210063402 A KR20210063402 A KR 20210063402A KR 102317538 B1 KR102317538 B1 KR 102317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lamp
unit
defrosting
storage space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식
Original Assignee
김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식 filed Critical 김흥식
Priority to KR102021006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상 또는 제습을 필요로 하는 저장공간부 내부에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 또는 좌, 우 및 상, 하로 각도/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제어되는 근적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유출입하는 출입구 상부에서 부가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저장공간부 바닥, 내벽 및 내부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의 적상을 방지하고 제상이 가능토록 하고, 저장공간부 내로의 유입출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사전에 제습할 수 있도록 하여, 제상 회수감소로 전력비가 절감돌 수 있도록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A versatile defrosting device using near-infrared lamps capable of defrosting and dehumidifying}
본 발명은 냉장고, 냉장창고, 냉장도어, 유니트 쿨러 등 제상 또는 제습이 필요한 원하는 다양한 위치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공간 내 적상을 예방하면서 제습 및 내부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의 결빙을 방지하고, 시설내의 자체적인 결빙작동횟수를 줄여 전력비 절감의 효과를 가지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하여서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냉기를 생성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고내로 공급되도록 회전되는 팬모터로 이루어져 식품등의 저장물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일정시간 이상 가동될 경우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되고,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될 경우 냉매의 증발효율의 저하로 냉장 및 냉동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압축기등이 소정시간 이상 가동되어서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될 경우 압축기의 가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제상히터를 작동시켜 증발기에 생성된 성애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가 소정시간 이상 가동되어서 증발기에 성애가 발생될 경우 제상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제상히터의 가동주기를 콘트롤하는 제상타이머가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제상타이머 등 제상을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냉장고의 기계실에 장착되게 된다.
하지만, 냉장고의 크기가 커질수록 이러한 제상히터의 용량 및 크기도 비례적으로 대용량이 되어야 하거나, 또는 설치대는 개수가 증가해야만 했고, 이와 더불어, 냉장고 내 바닥, 내벽, 천장에 발생되는 성애를 위해서 도어는 에어커텐 등을 더 설치해야 하는 등 장치와 작업이 복잡하고, 이러한 장치를 다수 구비함에도, 결빙이 확실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상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7070 (1999년02월2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상 및 제습이 필요한 다양한 냉장고, 냉장창고 등 다양한 공간내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내의 바닥, 내벽, 천장 등의 결빙 및 적상을 예방하고, 설치공간 내로 작업자의 유출입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공간 내 또는 유니트 쿨러 자체의 제상작동 횟수를 감소시켜, 전반적으로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다양한 저장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되, 제상을 위해 근적외선을 이용한 램프가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의 유니트 쿨러들의 제상여부를 센서로 확인하고, 제상이 필요한 유니트 쿨러를 향해 좌, 우 및 상, 하로 각도가 자동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제상이 필요한 유니트 쿨러와 1:1 대향되도록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위치조절이 되도록 한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공간부(10);
상기 저장공간부(10) 내부의 냉장대상물을 냉장시키기 위해 상호간 일방향으로 연속설치되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상기 저장공간부 내벽의 결빙 및 유니트 쿨러(20) 내부의 증발기(21)에서 결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유니트 쿨러(20)에 대향되도록 냉장고(10) 내에 좌,우 회전 및 상, 하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사되는 근적외선 통해 제상작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니트 쿨러(20) 또는 저장공간부의 자체적인 제상작업 횟수가 감소되어 전력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근적외선 램프(40);
상기 저장공간부(10)의 출입구(11)의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이 출입구(11) 상부에서 하향 조사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저장공간부(10) 입출고시 저장공간부(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
상기 유니트 쿨러(20) 주변의 제 1온도와, 증발기(21)로 유입되는 냉매온도인 제 2온도의 측정값을 온도센서로 각각 전달받아, 측정값이 사전설정된 결빙온도에 해당되는 경우, 제상이 필요한 증발기(21)가 설치된 유니트 쿨러(20) 측으로, 근적외선 램프(40)를 위치조절시켜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근적외성 램프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 내벽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의 출입구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가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니트 쿨러 내부의 적상을 예방하여 제상 횟수 감소로 전력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상 횟수 감소로 제상시 발생되는 저장공간부(냉동창고 등) 내부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공간부로 작업자가 입출고시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제습하여, 저장공간부 내 적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니트 쿨러가 무착상 상태를 항시 유지하여, 유니트 쿨러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상으로 인한 유니트 쿨러의 고장 및 저장공간부(냉동기 등)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공간부 바닥 및 벽체의 동결로 인해, 방열문 손상으로 냉동창고 하역 작업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공간부 내 바닥 동결방지가 가능하여, 미끄럼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하고, 제상 작업 및 보수 유지 인원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공간부의 제상을 위해 근적외선 램프를 사용한 것으로서, 기존의 제상히터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적외선 램프가, 설치된 다수의 유니트 쿨러 내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한 후, 이러한 온도에 맞춰 제어부를 통해, 제상을 필요로 하는 해당 유니트 쿨러를 향해 좌, 우 및 상, 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위치제어됨으로써, 항시 일정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제상효율이 저하되는 기존과 달리, 효율적인 제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저장공간부의 출입구에 설치한 에어커텐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이럴 프리져 및 각종 터널 프리져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근적외선 램프의 적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상장치의 작동예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비 절감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설명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는 저장공간부(10), 유니트 쿨러(20), 근적외선 램프(40), 부가 근적외선 램프(45), 제어부(50), 슬라이딩 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공간부(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출입구(11)가 있는 공간으로, 냉장을 위한 위한 냉장고, 냉장창고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저장공간부(10) 내에는 후술될 유니트 쿨러(20) 단일개가 설치되는 소형 및 다수개가 설치되는 중/대형의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이다.
상기 유니트 쿨러(20)는 저장공간부(ex:냉장고(10)) 외부의 실외기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공간부(10) 내부에 다수개가 일방향을 향해 연속설치되어, 저장공간부(10) 내부의 냉장대상물을 냉장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유니트 쿨러(20)의 경우, 냉장을 위해,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하여서 고압의 액체 냉매로 변환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냉기를 생성시키는 증발기(21)와, 상기 증발기(21)에서 생성된 냉기가 공급되도록 회전되는 팬모터로 이루어져 식품등의 저장물을 신선하게 저장보관시키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구성 중 증발기(21) 내에 결빙이 발생되는 경우, 후술될 근적외선 램프(40)를 통해 제상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근적외선 램프(40)는 유니트 쿨러(20) 또는 저장공간부(10)의 자체적인 제상작업 횟수가 감소되어 전력낭비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습 또는 제상을 위한 장치로써, 근적외선을 이용하기 위한 램프히터로, 비접촉 가열을 이용하여 깨끗한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방사 에너지 스펙트럼은 0.9 ~ 1.6㎛ 사이이다. 이러한 근적외선 램프(40)는 저장공간부(10) 바닥과 내벽의 결빙 및 유니트 쿨러(20) 내부의 증발기(21)에서 결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유니트 쿨러(20)에 대향되도록 저장공간부(10) 내부 벽면 등 사전설정위치에 설치되어, 저장공간부(10) 내에 좌,우 회전 및 상, 하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사되는 근적외선 통해 제상작동이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근적외선 램프(40)는 램프(41), 반사판(42), 갓(43), 회전체(44)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41)는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41)로써, 원형의 케이싱(40a) 내에 케이싱(40a)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및 크기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반사판(42)은 하우징 내부 램프(41) 후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것이다.
상기 갓(43)의 경우, 하우징의 전방에 외측을 향해 원호 형태로 라운딩지게 설치되어, 램프(41)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멀리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체(44)는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하우징이 좌, 우 및 상, 하로 위치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적외선 램프(40)의 경우, 원활한 각도 조절을 위해 보통 원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부가 근적외선 램프(45)는 원형의 형태 또는 일방향을 향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또는 사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된 근적외선 램프(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부가 근적외선 램프(45)는 근적외선 램프(40)와 형상만 상이한 형태로서, 상기 저장공간부(10)의 출입구(11)의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이 출입구(11) 상부에서 하향 조사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저장공간부(10) 입출고시 저장공간부(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기존에 저장공간부(10)에 사전설치된 커튼, 에어커튼과 동반사용되거나 대체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어부(50)는 유니트 쿨러(20) 주변의 제 1온도와, 증발기(21)로 유입되는 냉매온도인 제 2온도의 측정값을 온도센서로 각각 전달받아, 측정값이 사전설정된 결빙온도에 해당되는 경우, 제상이 필요한 증발기(21)가 설치된 유니트 쿨러(20) 측으로, 근적외선 램프(40)를 위치조절시켜 구동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2온도는 각각 유니트 쿨러(20) 내부(증발기(21) 내부의 냉매 이동관)에 설치된 제 1온도센서(31) 및 유니트 쿨러(20) 외부 및 저장공간부(10)에 설치되는 제 2온도센서(32)에 의해 측정되는 것으로, 일실시예로, 제 1, 2온도의 상호간 온도차가 사전설정 결빙온도에 해당되면, 유니트 쿨러(20) 내 증발기(21)에 결빙이 발생되는 조건이라 사전설정하고, 이에 해당되면, 결빙이 발생되는 해당 유니트 쿨러(20) 측으로 근적외선 램프(40)를 대향시켜 작동시킴으로써, 근적외선을 통해 결빙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이러한 제어부(50)는 근적외선 램프(40)가 사전설정위치(ex: 좌측끝단 또는 우측끝단, 또는 정중앙 등)에서부터 각 유니트 쿨러(20) 각각에 1: 1로 대향되는 위치까지의 회전각도(α)가 각각 사전설정되어 있도록 한다.
더불어, 근적외선이 조사될 시에는, 제상대상이 되는 유니트 쿨러(20)에 멈춰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시간(또는 온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제 1, 2 온도의 상호간 온도차가 사전설정 결빙온도에서 벗어나는 경우) 또한 타이머로 사전설정되어, 이러한 사전설정한 조사시간 동안만 근적외선이 조사된 후, OFF되는 작동이 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제어부(50)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복수 또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가 상호간 인접해 있는 제 1경우, 근적외선 램프(40)가 ON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고,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복수 또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가, 제 1경우에 비해 상호간 이격되어 있는 제 2경우, 제상이 필요한 유니트 쿨러(20)와 대향시에는 ON상태를 유지하되, 제상이 필요하지 않은 유니트 쿨러(20)를 지나갈시에는 OFF상태로 회전되도록 제어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전력사용 및 제상작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이러한 제어부(50)를 통한 근적외선 램프(40)의 위치조절제어로 인하여,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해당 유니트 쿨러(20) 또는 저장공간부(10) 바닥 또는 내벽을 향해, 근적외선 램프(40)가 좌, 우측 회전 및 상, 하 각도조절되면서 위치가 변경제어되어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부(10)의 바닥, 천장, 내벽에는 제 3, 4, 5온도센서(33, 34, 35)(상기 제 1 내지 제 5온도센서(31, 32, 33, 34, 35)로는 결빙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음이다.)를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50)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근적외선 램프(40)가 결빙된 저장공간부(10) 바닥 또는 천장 또는 내벽을 향해 좌, 우로 회전 및 상, 하로 각도조절되며 근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결빙된 저장공간부 내벽 여러 부분의 결빙 해소 및 방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장치(60)는 전술된 제어부(50)와도 연결되어, 구동제어가 가능토록 하며, 근적외선 램프(40)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10) 내벽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10)의 출입구(11)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40)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가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레일, 각종 슬라이딩 수단, LM가이드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음이며, 근적외선 램프(40)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용도라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한다.
물론, 상기 근적외선 램프(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도조절과 함께 좌, 우로 이동되거나, 각도조절만 되거나, 좌, 우로 이동만 되는 형태 중 하나로 작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상기 부가 근적외선 램프(45)는 출입구(11)에 다수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좌, 우로 움직임이 제어(좌, 우 이동시간 제어, 좌, 우 이동여부 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저장공간부 11: 출입구
20: 유니트 쿨러 21: 증발기
31: 제 1온도센서 32: 제 2온도센서
33: 제 3온도센서 34: 제 4온도센서
35: 제 5온도센서 40: 근적외선 램프
40a: 케이싱 41: 램프
42: 반사판 43: 갓
44: 회전체 45: 부가 근적외선 램프
50: 제어부 60: 슬라이딩 장치

Claims (7)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저장공간부(10);
    상기 저장공간부(10) 내부의 냉장대상물을 냉장시키기 위해 상호간 일방향으로 연속설치되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상기 저장공간부(10) 내벽의 결빙 및 유니트 쿨러(20) 내부의 증발기(21)에서 결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유니트 쿨러(20)에 대향되도록 저장공간부(10) 내에 좌,우 회전 및 상, 하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사되는 근적외선 통해 제상작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유니트 쿨러(20) 또는 저장공간부(10)의 자체적인 제상작업 횟수가 감소되어 전력낭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근적외선 램프(40);
    상기 저장공간부(10)의 출입구(11)의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이 출입구(11) 상부에서 하향 조사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저장공간부(10) 입출고시 저장공간부(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제습되도록 하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
    상기 유니트 쿨러(20) 주변의 제 1온도와, 증발기(21)로 유입되는 냉매온도인 제 2온도의 측정값을 온도센서로 각각 전달받아, 측정값이 사전설정된 결빙온도에 해당되는 경우, 제상이 필요한 증발기(21)가 설치된 유니트 쿨러(20) 측으로, 근적외선 램프(40)를 위치조절시켜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근적외선 램프(40)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10) 내벽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가 설치되는 저장공간부(10)의 출입구(11) 상단에 설치되어, 근적외선 램프(40) 또는 부가 근적외선 램프(45)가 좌, 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슬라이딩 장치(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램프(4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해당 유니트 쿨러(20) 또는 저장공간부(10) 바닥 또는 내벽을 향해, 좌, 우측 회전 및 상, 하 각도조절되면서 위치가 변경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에는
    근적외선 램프(40)가 사전설정위치에서부터 각 유니트 쿨러(20) 각각에 1: 1로 대향되는 위치까지의 회전각도(α)가 각각 사전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에는
    유니트 쿨러(20)에 멈춰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시간이 타이머로 사전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근적외선 램프(40)에서 근적외선 조사시작 후, 상기 제 1, 2온도의 상호간 온도차가 사전설정 결빙온도에서 벗어날때까지만 근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조사시간이 사전설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램프(4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복수 또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가 상호간 인접해 있는 제 1경우, 근적외선 램프(40)가 ON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고,
    다수의 유니트 쿨러(20) 중, 제상이 필요한 복수 또는 다수의 유니트 쿨러(20)가, 제 1경우에 비해 상호간 이격되어 있는 제 2경우, 제상이 필요한 유니트 쿨러(20)와 대향시에는 ON상태를 유지하되, 제상이 필요하지 않은 유니트 쿨러(20)를 지나갈시에는 OFF상태로 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온도는 각각 유니트 쿨러(20) 내부에 설치된 제 1온도센서(31) 및 저장공간부(10) 내에 설치된 제 2온도센서(32)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저장공간부(10)의 바닥, 천장, 내벽에는 제 3, 4, 5온도센서(33, 34, 35)를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50)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근적외선 램프(40)가 결빙된 저장공간부(10) 바닥 또는 천장 또는 내벽을 향해 좌, 우로 회전 및 상, 하로 각도조절되며 근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램프(40) 및 부가 근적외선 램프(45)는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싱(40a);
    근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해, 케이싱(40a) 내에서 케이싱(40a)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41);
    상기 램프(41) 후면에 설치되어, 후방으로 조사되는 근적외선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42);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되어, 램프(41)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멀리 퍼지도록 하는 갓(43);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하우징이 좌, 우 및 상, 하로 위치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4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KR1020210063402A 2021-05-17 2021-05-17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KR102317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02A KR102317538B1 (ko) 2021-05-17 2021-05-17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02A KR102317538B1 (ko) 2021-05-17 2021-05-17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538B1 true KR102317538B1 (ko) 2021-10-26

Family

ID=7826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402A KR102317538B1 (ko) 2021-05-17 2021-05-17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822B1 (ko) * 2022-02-09 2022-06-13 김승태 냉장창고 제상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070A (ko) 1997-06-19 1999-01-25 다구마 시로 와이어 소 및 피가공물 절삭방법
KR2000003445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1168913B1 (ko) * 2011-07-18 2012-08-02 이승현 살균 및 치료 기능을 겸비한 전기 히터
KR20160112411A (ko) * 2015-03-19 2016-09-28 박종희 자동차 코팅 열처리 장치
KR20160118748A (ko) * 2015-04-03 2016-10-12 유한회사 세계로냉동상사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KR102161417B1 (ko) * 2020-07-15 2020-09-29 이종훈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070A (ko) 1997-06-19 1999-01-25 다구마 시로 와이어 소 및 피가공물 절삭방법
KR2000003445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1168913B1 (ko) * 2011-07-18 2012-08-02 이승현 살균 및 치료 기능을 겸비한 전기 히터
KR20160112411A (ko) * 2015-03-19 2016-09-28 박종희 자동차 코팅 열처리 장치
KR20160118748A (ko) * 2015-04-03 2016-10-12 유한회사 세계로냉동상사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KR102161417B1 (ko) * 2020-07-15 2020-09-29 이종훈 온도차 기반의 제상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냉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822B1 (ko) * 2022-02-09 2022-06-13 김승태 냉장창고 제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91566B (zh) 一种用于风冷冰箱的控制方法
EP2217872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CN107763957B (zh) 化霜控制方法、装置及应用该方法、装置的制冷设备
KR101918224B1 (ko) 냉장고 및 그 제상 운전 방법
KR101387522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588819B1 (en) Evaporator refrigerant saturation demand defrost
CN1115538C (zh) 冰箱的冷却运转控制装置
EP2180277A2 (en) Controlling chilled state of a cargo
KR102295965B1 (ko)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냉장고 제상장치
KR102317538B1 (ko) 제상 및 제습이 가능한 근적외선 램프를 이용한 다용도 제상장치
KR20160118748A (ko) 증발기 입출구 온도차에 의한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상시스템
EP366042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362066B (zh) 风机遮蔽装置及冰箱
US11287172B2 (en) Freezer dehumidification system
CN103471319B (zh) 冰箱的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冰箱
CN103471315A (zh) 冰箱
JP2014044025A (ja) 冷蔵庫
KR20190095804A (ko) 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100219428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JPH1047827A (ja) 冷凍冷蔵庫
KR102012775B1 (ko) 공기조화기
JP2010266123A (ja) 冷却貯蔵庫
KR102407822B1 (ko) 냉장창고 제상 시스템
KR20160037515A (ko)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시스템
KR100219429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