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918B1 -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918B1
KR102316918B1 KR1020210040029A KR20210040029A KR102316918B1 KR 102316918 B1 KR102316918 B1 KR 102316918B1 KR 1020210040029 A KR1020210040029 A KR 1020210040029A KR 20210040029 A KR20210040029 A KR 20210040029A KR 102316918 B1 KR102316918 B1 KR 10231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t
pat
terminal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현
Original Assignee
장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현 filed Critical 장석현
Priority to KR102021004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팻이 기거하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팻의 몸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외부의 온도, 습도, 기온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외부센서; 팻에 신체의 일부에 내삽되어 구성되어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을 측정하여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삽입센서; 팻에 대한 기본정보로서의 소유주의 이름,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팻의 보호자로보터 입력받고 팻이 기거하는 형태를 입력받으며 외부와 통신 가능하고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센서 및 삽입센서에 동조되어 상기 외부센서 및 삽입센서와 통신하여 외부센서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수신하고, 삽입센서로부터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이 기거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팻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팻케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팻 육성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팻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SMART PET CAR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팻의 품종, 나이, 몸무게, 먹이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 정보와 팻의 체내에 삽입된 디바이스 내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심박수, 체온, 혈액수치, 심전도, 혈압과 같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센서정보를 이용하여 팻들에게 가장 적합한 활동 과 먹이 등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팻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팻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의사가 직접 팻병원의 장비를 이용하여 청진 및 혈액, 초음파, X-ray 검사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이러한 검사 방법은 팻이 질병에 걸린 상태에서도 스스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가 팻의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팻의 신체에 부착한 다양한 팻 웨어러블 제품을 통해 팻의 신체에 부착하여 활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팻 웨어러블 단말기의 경우 동무르이 신체에 부착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부피나 무게이 따라 부착하기 어려운 팻도 있고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팻에게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팻이 움직이는 경우에는 부착된 단말기가 팻의 신체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연속적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7731호(2006.11.23.) '팻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팻용 목걸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팻의 품종, 나이, 몸무게, 먹이 정보와 같은 기본 정보와 팻의 체내에 삽입된 디바이스 내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심박수, 체온, 혈액수치, 심전도, 혈압과 같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센서정보 및 기본정보와 센서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팻의 보호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컨설팅할 수 있는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은,
팻에 신체의 일부에 내삽되어 구성되어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을 측정하여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삽입센서;
팻에 대한 기본정보로서의 팻 소유주의 이름, 팻 소유주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주소,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팻의 보호자인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팻이 기거하는 형태를 입력받으며 외부와 통신 가능하고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센서로부터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의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팻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는 팻케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은, 팻이 기거하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팻의 몸에 목걸이 형태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외부의 온도, 습도, 기온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외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외부센서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컨설팅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컨설팅서버가 상기 삽입센서에 의해 측정된 팻의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와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에 따라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팻케어 서버는,
상기 소유주의 단말기로부터 팻 소유주의 이름, 팻 소유주가 거주하는 주소지의 주소,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팻의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 먹이량의 변화 정보, 활동량의 변화 정보 및 수면량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먹이 종류를 추천하는 먹이종류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먹이량을 추천하는 먹이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활동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활동량을 추천하는 활동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수면량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수면량을 추천하는 수면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수면량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건강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건강상태 체크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활동량에 대응하는 정서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팻이 정서적으로 불안정 여부를 판단하는 정서상태 체크부; 및
건강상태 체크부에 따라 결정된 팻의 건강상태에 따라 먹이량, 먹이 종류를 추천하고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이상 여부를 알려주고, 상기 정서상태 체크부에 의해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서의 불안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팻이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시키는 CCTV 부착을 제안하는 컨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CCTV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되며 온되는 경우 팻이 기거하는 장소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CCTV카메라;
상기CCTV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CCTV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지향하는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센서는,
상기 삽입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 주인이 거주하는 거주지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및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칩 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소유자가 소유한 팻의 심박수, 체온, 혈액수치, 심전도 및 혈압을 측정하여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RFID칩 모듈에 저장된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몸무게 정보 및 수술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의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력모듈, RFID칩모듈, 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을 순서에 상관 없이 직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삽입센서의 통신모듈에 저장된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몸무게 정보 및 수술 정보, 팻의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으로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은, 팻의 체내에 삽입한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팻 건강과 활동 상태 및 팻이 사육되는 환경정보 및 보호자가 입력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팻의 건강 및 활동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팻 육성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팻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은, 팻의 체내에 삽입한 디바이스의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팻 건강과 활동 상태, 팻이 사육되는 환경정보 및 보호자가 입력한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팻의 건강 및 활동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적절한 컨설팅을 하여 팻 소유주가 팻을 손쉽게 케어하고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팻케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삽입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은 유무선통신망(10), 외부센서(100), 삽입센서(200), 단말기(300), 팻케어서버(400) 및 CCTV(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유무선통신망(10)은 후술하는 단말기(300)와 팻케어서버(400)를 연결하여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외부센서(100)는 팻이 기거하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팻의 몸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외부센서(100)는 외부의 온도, 습도, 기온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외부센서(100)는 팻이 거주하는 공간에 별도로 설치 가능하며, 목에 목걸이 형태로 설치 가능하다. 또는 외부센서(100)는 팻이 거대한 경우에는 귀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삽입센서(200)는 팻에 신체의 일부에 내삽되어 구성되어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을 측정하여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300)는 팻에 대한 기본정보로서의 팻의 보호자 또는 소유주의 이름,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팻의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팻의 보호자로보터 입력받는다. 단말기(300)는 팻이 기거하는 형태를 입력받는다. 팻이 기거하는 형태는 애완동물, 동물원, 사육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상기 외부센서(100)와 삽입센서(200)와 통신 가능하고 유무선통신망(10)과 통신가능하도록 통신모듈(240)이 구비되고, 카메라, 디스플레이, 음성입력 및 출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센서(100) 및 삽입센서(200)에 동조되어 외부센서(100) 및 삽입센서(200)와 통신한다. 단말기(300)는 외부센서(100)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수신하고, 삽입센서(200)로부터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는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팻케어서버(400)는 다수의 단말기(300)들로부터 팻이 기거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단말기(300)로 팻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컨설팅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CCTV(500)는 단말기(300)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팻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CCTV(5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팻케어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팻케어 서버(40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 먹이종류 추천부(420), 먹이량 추천부(430), 활동량 추천부(440), 수면량 추천부(450), 건강상태 체크부(460), 정서상태 체크부(470) 및 컨설팅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는 상기 팻의 주인의 단말기(300)로부터 팻 주인의 이름,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팻의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 먹이량의 변화 정보, 활동량의 변화 정보 및 수면량 변화 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팻의 사료 이름, 팻의 사료를 유지한 기간, 바뀐 팻의 사료 이름과 간식 및 해당 사료를 먹은 기간으로부터 해당 사료를 먹은 기간을 계산하고 팻의 사료의 종류를 유 유추하여 팻의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와 팻의 먹이량 변화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수면량 변화 정보는 단말기(300)를 통해 팻의 주인이 인지한 수면 시간을 불규칙적으로 입력받아 이로부터 하루의 수면량 변화를 계산한다. 예컨대, 고양이의 주인으로부터 단말기(300)를 통해 1일차에 수면량이 12시간 입력되고, 2일차에 수면량이 13시간 입력되고, 3일차에 15시간 입력되면, 평균 수면시간과 편차를 저장하여 편차가 높게 발생한 3일차에 수면 변화량을 기록할 수 있다.
먹이종류 추천부(42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적합한 먹이 종류를 단말기(300)에 추천한다.
먹이량 추천부(43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적합한 먹이량을 단말기(300)에 추천한다.
활동량 추천부(44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활동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적합한 활동량을 단말기(300)에 추천한다.
수면량 추천부(45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수면량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적합한 수면량을 추천한다.
건강상태 체크부(460)은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활동량에 대응하는 팻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팻의 건강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정서상태 체크부(470)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410)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활동량에 대응하는 정서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팻이 정서적으로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한다.
컨설팅부(480)는 건강상태 체크부(460)에 따라 결정된 팻의 건강상태에 따라 먹이량, 먹이 종류를 추천하고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이상 여부를 알려주고, 상기 정서상태 체크부(470)에 의해 체크된 정서상태에 따라 상기 단말기(300)로 활동량과 수면량을 추천하고 정서상태 체크부(470)에 의해 판단된 정서의 불안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팻이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시키는 CCTV(500)의 부착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CCTV(500)는 CCTV카메라(510), 통신부(520) 및 디스플레이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CTV카메라(510)는 단말기(3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되며 온되는 경우 팻이 기거하는 장소의 동영상을 촬영한다.
통신부(520)는 CCTV카메라(510)가 촬영한 영상을 단말기(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530)는 통신부(520)를 통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CCTV카메라(510)는 디스플레이부(530)가 지향하는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동영상은 음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삽입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센서(200)는 모듈 형태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추가시켜 구성할 수 있도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모듈들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추가적으로 가능한 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삽입센서(200)는 전력모듈(210), RFID칩 모듈(220), 측정모듈(230) 및 통신모듈(240)을 직렬형태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음성녹음모듈(250) 및 음성출력모듈(260)도 직렬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먼저, 전력모듈(210)은 삽입센서(200) 전체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모듈(210)은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위하여 다른 재료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RFID칩 모듈(220)은 전력모듈(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RFID칩 모듈(220)은 단말기(300)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 주인이 거주하는 거주지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및 수술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팻을 잃어버리는 경우에는 내재된 RFID칩을 판독하여 팻의 보호자의 이름과 주소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팻의 주인에게 돌려줄 수 있다. 또는 통신모듈(240)을 통해 단말기(300)로 팻의 보호자의 이름과 주소를 전송하고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측정모듈(230)은 전력모듈(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팻의 심박수, 체온, 혈액수치, 심전도 및 혈압을 측정하여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300)로 통신모듈(240)을 통해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전체 또는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전력모듈(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RFID칩 모듈(220)에 저장된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 주인이 거주하는 거주지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몸무게 정보 및 수술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의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300)는 전술한 통신모듈(24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300)에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술한 소유한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 주인이 거주하는 거주지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수술 정보,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 등을 수신받을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음성녹음모듈(250) 및 음성출력모듈(260)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음성인식모듈(250)은 팻의 보호자가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한 음성을 녹음하여 저장한다. 음성출력모듈(260)은 음성녹음모듈(250)에 의해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음성출력모듈(26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녹음모듈(250)에 저장된 음성을 통신모듈(240)을 통해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력모듈(210), RFID칩모듈(220), 측정모듈(230), 통신모듈(240), 음성녹음모듈(250) 및 음성출력모듈(260)을 순서에 상관 없이 직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모듈(210), RFID칩모듈(220), 측정모듈(230), 통신모듈(240), 음성녹음모듈(250) 및 음성출력모듈(260)은 전기접촉단자와 데이터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각 단부에 자석을 설치하여 접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300)는 근거리 통신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센서(200)의 통신모듈(240)에 저장된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의 소유주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몸무게 정보 및 수술 정보, 팻의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으로 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팻 케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유무선통신망 100 : 외부센서
200 : 삽입센서 210 : 전력모듈
220 : RFID칩 모듈 230 : 측정모듈
240 : 통신모듈 250 : 음성녹음모듈
260 : 음성출력모듈(260) 300 : 단말기
400 : 팻케어서버 410 : 팻정보데이터베이스
420 : 먹이종류 추천부 430 : 먹이량 추천부
440 : 활동량 추천부 450 : 수면량 추천부
460 : 건강상태 체크부 470 : 정서상태 체크부
480 : 컨설팅부 500 : CCTV
510 : CCTV카메라 520 : 통신부
5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팻에 신체의 일부에 내삽되어 구성되어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을 측정하여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외부의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삽입센서;
    팻에 대한 기본정보로서의 팻 소유주의 이름, 팻 소유주가 거주하는 거주지의 주소,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팻의 보호자인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팻이 기거하는 형태를 입력받으며 외부와 통신 가능하고 카메라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센서로부터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및 체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의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품종(kind),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팻에 대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는 팻케어서버; 및
    팻이 기거하는 공간에 설치되거나 팻의 몸에 목걸이 형태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외부의 온도, 습도, 기온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생성하며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외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외부센서로부터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컨설팅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컨설팅서버가 상기 삽입센서에 의해 측정된 팻의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와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및 미세먼지정보에 따라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팻케어 서버는,
    상기 소유주의 단말기로부터 팻 소유주의 이름, 팻 소유주가 거주하는 주소지의 주소,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이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해당 팻의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 먹이량의 변화 정보, 활동량의 변화 정보 및 수면량 변화 정보를 저장하는 팻정보데이터베이스;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 종류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먹이 종류를 추천하는 먹이종류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먹이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먹이량을 추천하는 먹이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활동량의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활동량을 추천하는 활동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과 팻의 수면량 변화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적합한 수면량을 추천하는 수면량 추천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수면량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팻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건강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건강상태 체크부;
    상기 팻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팻 소유주의 이름과 소유주가 소유한 팻의 이름에 대응하는 팻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기온정보, 미세먼지정보, 맥박정보, 혈압정보, 심전도정보, 체온정보, 팻의 종, 품종, 성별, 몸무게, 활동량 및 사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추천된 먹이 종류, 추천된 먹이량, 추천된 활동량 및 추천된 수면량에 대응하는 정서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팻이 정서적으로 불안정 여부를 판단하는 정서상태 체크부; 및
    건강상태 체크부에 따라 결정된 팻의 건강상태에 따라 먹이량, 먹이 종류를 추천하고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건강에 이상 여부를 알려주고, 상기 정서상태 체크부에 의해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서의 불안 여부 판단에 따라 상기 팻이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시키는 CCTV 부착을 제안하는 컨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TV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되며 온되는 경우 팻이 기거하는 장소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CCTV카메라;
    상기CCTV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CCTV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지향하는 방향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센서는,
    상기 삽입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팻의 주인의 이름 정보, 팻 주인이 거주하는 거주지 주소 정보,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및 수술 정보를 포함하는 RFID칩 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소유자가 소유한 팻의 심박수, 체온, 혈액수치, 심전도 및 혈압을 측정하여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모듈;
    상기 전력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RFID칩 모듈에 저장된 팻의 이름 정보, 팻의 종(animal species) 정보, 팻의 품종(kind) 정보, 팻의 성별 정보, 몸무게 정보 및 수술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팻의 심박수 정보, 체온 정보, 혈액수치 정보, 심전도 정보 및 혈압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력모듈, RFID칩모듈, 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을 순서에 상관 없이 직렬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KR1020210040029A 2021-03-27 2021-03-27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KR10231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29A KR102316918B1 (ko) 2021-03-27 2021-03-27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29A KR102316918B1 (ko) 2021-03-27 2021-03-27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918B1 true KR102316918B1 (ko) 2021-10-22

Family

ID=7827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29A KR102316918B1 (ko) 2021-03-27 2021-03-27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31B1 (ko) 2004-10-29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동물용 목걸이
KR20100064152A (ko) * 2008-12-04 2010-06-14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가축 식별장치 및 가축 모니터링 장치
KR200471104Y1 (ko) * 2012-04-19 2014-02-05 김유진 어항관리장치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90059391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니어펫 반려동물용 레시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31B1 (ko) 2004-10-29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동물용 목걸이
KR20100064152A (ko) * 2008-12-04 2010-06-14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가축 식별장치 및 가축 모니터링 장치
KR200471104Y1 (ko) * 2012-04-19 2014-02-05 김유진 어항관리장치
KR101775932B1 (ko)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시스템
KR20190059391A (ko)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니어펫 반려동물용 레시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618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Saravanan et al. Cloud IOT based novel livestock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using UID
US201600420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nimals
US20110152632A1 (en) Universal Body Sensor Network
CN107846869A (zh) 动物监测装置
US20210241900A1 (en) Smart patch for monitoring health metrics
US8506481B2 (en) Patient monitoring apparatus
KR20130040768A (ko) 접착성 붕대 및 환자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KR101910282B1 (ko) 골전도 보청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KR102004438B1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US11614438B1 (en) Integrated glucose monitoring system
US20200337794A1 (en) Remote Healthcare-Monitoring System With User Enabled Diagnostic Capabilities
EP3432772A1 (en) Using visual context to timely trigge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US10037412B2 (en) Patient health state compound score distribution and/or representative compound score based thereon
KR102316918B1 (ko)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US2019005933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conditions
KR102366104B1 (ko) 스마트 팻 케어 방법
KR102384528B1 (ko)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Warren et al. Wearable telemonitoring systems designed with interoperability in mind
KR20180067331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환자 관리 시스템
CN112690784A (zh) 动物血氧饱和度实时监测系统
KR20090000679A (ko)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Debruyne et al.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for calves based on commercially available sensor for humans
CN108399954A (zh) 一种基于云计算的健康管理系统
KR102177428B1 (ko) 고령 농민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및 예측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