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709B1 -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 Google Patents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709B1
KR102316709B1 KR1020210025015A KR20210025015A KR102316709B1 KR 102316709 B1 KR102316709 B1 KR 102316709B1 KR 1020210025015 A KR1020210025015 A KR 1020210025015A KR 20210025015 A KR20210025015 A KR 20210025015A KR 102316709 B1 KR102316709 B1 KR 10231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 form
bolt
gangform
suppor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갑수
Original Assignee
서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갑수 filed Critical 서갑수
Priority to KR102021002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7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7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gang 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gang form, comprising: a support body that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a slab to support a gang form from the bottom;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installed on the gang form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body,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formed through upper and lower pars of a support, is driven by a bolt and nut method,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gang form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lt. The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gang form can ensure that not only buildings, but also various structures and designs installed in buildings can be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a balanced manner in general.

Description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Device for balancing gangform}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본 발명은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좌우 밸런스를 조절하여 맞춤으로써 궁극적으로 건물이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건축될 수 있도록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form balance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gangform balance control device for ultimately allowing a building to be built in a balanced way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gangform.

건물의 건축시에는 갱폼(gang form)을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갱폼이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여기서 케이지(cage)란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발판, 안전난간을 말한다. 케이지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가 있다. 상부 케이지는 갱폼 케이지의 4단 작업발판 중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상부에 있는 2단의 작업발판을 말하며, 하부 케이지는 미장, 견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하부에 있는 2단의 작업발판을 말한다.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the gang form is indispensable. Gang form refers to a large formwork manufactured by integrating an external wall formwork and a scaffolding cage in a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the same upper and lower parts on the plane,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Here, the cage refers to the part excluding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of the gangform, and refers to a work platform and safety handrail installed so that the formwork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subsequent plastering and excavation work, etc. can be safely performed. The cage has an upper cage and a lower cage. The upper cage refers to the upper two-stage work platform used for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ormwork among the four-stage work platform of the gang form cage, and the lower cage is the lower two-stage work platform used for plastering and excavation work. say

갱폼에서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갱폼은 건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작업의 기준점이 될 수 있고, 따라서 갱폼이 건축물과의 관계에서 올바른 위치를 확보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특히, 갱폼을 건축물의 벽체 슬라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오고 있으며, 따라서 갱폼의 불안정한 고정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은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Since a lot of work is done in gangform, gangform can serve as a reference point for various works in the building process, so it is most important for gangform to secure the right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uilding. In particular, gangform It is encouraging that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fix the steel to the wall slab of a building, and therefor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unstable fixing of the gang form is greatly reduced.

그러나, 갱폼의 안정적인 고정에 기술개발이 편중되어 있고, 균형있게 갱폼을 설치하는 기술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갱폼의 설치가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는 것은 갱폼이 설치되는 건물의 전면을 바라보았을 때, 여기에 설치되는 갱폼의 좌측 상단(또는 하단)과 우측 상단(또는 하단)의 높이가 서로 달라 갱폼이 정위치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틀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갱폼이 정위치에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갱폼의 난간을 작업의 기준점으로 하여 건물 벽체 슬라브에서 수행되는 작업 또한 균형있게 수행될 수 없다. 아울러, 작업자가 갱폼의 틀어짐 정도를 스스로 인식하여 보정된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However, technology development is concentrated on the stable fixing of the gang form, and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stalling the gang form in a balanced manner is insignificant. The fact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gang form is not balanced means that when the front of the building where the gang form is installed is viewed, the height of the upper left (or lower) and the upper right (or lower) of the gang form installed here is different, so that the gang form is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means that it i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is way, when the gang form cannot be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for example, the work performed on the building wall slab by using the railing of the gang form as a reference point of the work cannot be performed in a balanced way. In addition,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degree of distortion of the gangform by himself and perform the work at the corrected position.

갱폼이 정위치로부터 약 1도 정도만 회전하여 틀어지더라도 건물 벽체 슬라브의 좌우 길이가 매우 긴 경우에는 갱폼의 좌측 상단(또는 하단)과 우측 상단(또는 하단)의 높이차는 적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의 좌우 불균형이 초래되는 경우 이를 다시 수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상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안이 절실히 요망된다고 할 것이다.Even if the gang form is rotated only about 1 degree from its original position, if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building wall slab is very lo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ft (or lower) and the right upper (or lower) of the gang form will not be small.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any situations in which it is very difficult or impossible to correct the im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an alternative to this is desperately needed.

갱폼의 정위치 확보를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는 크레인 등으로 다음 층으로 갱폼을 인양하면서 체인블럭을 이용하여 갱폼의 상하 높이를 미세 조정하도록 하거나, 시누홀에 지렛대를 삽입하여 상하 높이를 미세 조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갱폼의 상하 높이를 조정한 후 조정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크레인에 갱폼이 인양된 상태에서 갱폼 발판에 올라서서 기존에 매립되어 있는 앵커에 볼팅함으로써 갱폼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existing method for securing the correct position of the gang form is to use a chain block while lifting the gang form to the next floor using a crane, etc. method is being applied. However, in all of these methods, afte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gang form, in order to fix the adjustment state, the gang form must be fixed by bolting it to the previously buried anchor by climbing on the gang form scaffold while the gang form is lifted by the cra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즉, 크레인에 갱폼이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갱폼으로 나가서 작업을 하게 되면 강풍, 충격 등으로 갱폼이 흔들리거나 인양고리 파손 등으로 갱폼이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갱폼에 탑승한 작업자는 추락 사고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f a worker goes out to work with the gang form while the gang form is suspended from the crane, the gang form may shake due to strong wind or impact, or the gang form may fall due to damage to the lifting ring. In this case, there was a serious problem in that the operator riding on the gangform is exposed to the risk of a fall accident as it i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0241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1024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갱폼의 설치시 좌우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함으로써, 건물 뿐만 아니라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 디자인 등이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설치 및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anced installation and implementation of not only buildings but also various structures and designs installed in buildings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when installing the gangfor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ngform balance adjustment device that can be

또한, 갱폼의 좌우 균형이 구현됨으로써 작업 공구를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공구 등을 거치하더라도 공구가 중력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ance adjusting device of the gangform that prevents the tool from moving by gravity even when the tool is mounted on a foothold for the work of the gangform by implement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gangform.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브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갱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갱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상에 지지되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볼트 및 너트 방식으로 구동되고, 볼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갱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lab to support the gang form from the bottom;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installed on the gang form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body,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edestal, is driven by a bolt and nut method, and responds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lt. There is provided a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angform.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도록 외부로부터 삽입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갱폼에 의하여 가해지는 전단 방향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를 직접 또는 간접방법에 의하여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고, 돌출상태에서는 상기 갱폼에 형성된 받침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ay include an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slab; and a protrusion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press the elastic body, wherein the protrusion presses or releases the elastic body by a direct or indirect method by a load in the shear direction applied by the gang form, and in the protruding state, the gang form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formed pedestal.

상기 지지체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rotrusion.

상기 가이드부재는 몸체로부터 갱폼의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길어지는 테이퍼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uide member has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a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gang form from the body.

상기 돌출부는 외면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전후 이동시 단턱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테두리에서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가이드부재의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te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length of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is limited by allowing the step to be braked at the edge of the guide member when the protrusion moves back and forth.

상기 돌출부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은 단턱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몸체 방향의 제1영역은 상기 갱폼 방향의 제2영역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갱폼 방향 출입부에는 상기 제1영역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2영역의 직경보다는 큰 홀을 갖는 마개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e areas are partitioned by a step, the first area in the body direction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area in the gang form direction, and the gang form of the guid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having a hol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rea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rea is fastened to the direction entrance/exit part.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 및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와 함께 승하강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 bolt portion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of the gang form; and a nut uni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lt part.

상기 볼트부에 인접한 갱폼의 철판에는 천공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슬라브상에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erforation is further formed in the iron plate of the gang form adjacent to the bolt p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olt part on the slab.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며, 상기 조절부에 가압하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되는 가압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 상기 가압부의 좌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 및 상기 갱폼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하부를 제외하고 가압부의 외부를 둘러싸서 가압부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n adjustment unit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of the gangform; a pressing unit which presses or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control unit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and a slope is formed at a portion pressing the control unit;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upporting unit; a bolt part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essing part; a nu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and fastened to the bolt part,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part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and a second guide member fixed to the gang form and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ressing part except for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가압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 상기 가압부가 조절부와 접하는 부분의 반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운동이 상기 가압부의 상하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볼트부; 상기 갱폼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가 관통되고, 상기 볼트부의 외부 일부를 둘러싸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n adjustment unit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of the gangform; a pressing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and pressurizes or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control unit;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upporting unit; a bolt part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press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djusting part and rotating,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an outer skin that is fixed to the gang form, the bolt part penetrates, and surrounds an outer part of the bolt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u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kin and fastened to the bolt part,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par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갱폼의 설치시 좌우 균형을 이루도록 조정함으로써, 건물 뿐만 아니라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 디자인 등이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설치 및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balance when installing the gang form, not only the building but also various structures and designs installed in the building can be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a balanced manner as a whole.

또한, 갱폼의 좌우 균형이 구현됨으로써 작업 공구를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공구 등을 거치하더라도 공구가 중력이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gangform is implemented, even if the tool is mounted on the foothold for the work of the gangform, the tool does not move by gravity,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b)에 따른 지지체의 압축 상태 및 압축 해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n in the rear direction of FIG. 4 .
6 is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mpressed state and a decompressed stat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FIG. 1(b).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o the definitions ar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have to be taken down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 방향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b)에 따른 지지체의 압축 상태 및 압축 해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n in the rear direction of Figure 4, Figure 6 is Fig.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ed state and a decompressed state of the support, respectively,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guid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체(100)는 갱폼(20)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체(100)는 갱폼(20)의 구성요소 중 받침대(21)를 지지하게 되며, 이로써, 갱폼(20)의 추락에 대한 위험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다. 지지체(100)는 도 1(a)처럼 단순하게 슬라브(10)에 매립되어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도 1(b)처럼 슬라브(10) 내부에 탄성체(120)가 먼저 작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여기에 가압 및 가압해제 역할을 수행하는 돌출부(130)를 삽입하여 갱폼(20)의 고정 또는 받침 등 용도에 따라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upporting the gang form 20 from the bottom. The support 100 supports the pedestal 21 among the components of the gangform 20 , and thereby, the risk of falling of the gangform 20 can be significantly prevented. The support body 100 may be in a form that is simply embedded in the slab 10 and protrudes as shown in FIG. Here, by inserting the protrusion 130 that serves to pressurize and release the pressure, it may be of a form configured to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such as fixing or supporting the gang form 20 .

도 1(a)는 지지체(100)가 돌출 및 고정된 형태이며, 도 1(b)는 지지체(100)가 갱폼(20)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슬라브(10) 내부로 가압되고, 갱폼(20)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체(120)에 복원력이 작용하여 돌출부(130)가 슬라브(10) 밖으로 다시 돌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1 (a) is a form in which the support body 100 is protruded and fixed, and FIG. 1 (b) shows the support body 100 is pressed into the slab 10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gang form 20, and the gang form When the pressure by (20) is released,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body 120 so that the protrusion 130 protrudes out of the slab 10 again.

탄성체(12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 탄성이 부여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The type of the elastic body 1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all shapes to which elasticity can be imparted, such as a coil spring and a leaf spring.

도 1(b)에서 나타낸 탄성체(120)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이 돌출부(130)에 의하여 유동(압축, 압축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130)는 가이드부재(11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좌우 유동한다. The elastic body 120 shown in FIG. 1(b) is a coil spring, and the coil spring is configured to flow (compression, decompression) by the protrusion 130 . The protrusion 130 moves left and right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member 110 .

상기 탄성체(120)는 슬라브(10)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브(10)에 마련되는 통공(미도시)을 통하여 미리 삽입될 수 있다. 슬라브(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은 상기 탄성체(120)를 내장하는 하우징(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120)는 상기 슬라브(10) 내부 또는 하우징 내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고정부(150)와 가이드부재(110)로 구성되는 요소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elastic body 120 may be pre-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slab 10 in order to be seated inside the slab 10 . Inserted into the slab 10 may be a housing (not shown) in which the elastic body 120 is embedded. The elastic body 12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slab 10 or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fixing means. The housing may be replaced with an element composed of the fixing part 150 and the guide member 110 .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체(120) 중 슬라브(10) 또는 하우징에 고정된 단부의 반대단부는 돌출부(130)와 접촉하는데, 돌출부(130)는 가이드부재(11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유동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돌출부(13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상기 돌출부(130)로부터 탈리가 용이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이 때, 슬라브(10)로부터 갱폼(20) 방향으로 직경이 길어지도록 구성된다(미도시). 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opposite end of the end fixed to the slab 10 or the housing of the elastic body 12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30 , the protrusion 130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110 . while flowing, the guide member 110 is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protrusion 130 . The guide member 110 has a tapered shape to facilitate detachment from the protrusion 130 , and at this time, is configured to have a longer diameter in the direction from the slab 10 to the gang form 20 (not shown).

돌출부(130)는 슬라브(10) 또는 하우징 내부로 출입하면서 탄성체(120)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표면에 단턱이 형성되는데, 단턱으로 인하여 돌출부(130)가 가이드부재(1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된다. 돌출부(130)는 단턱을 중심으로 직경이 더 큰 제1영역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영역으로 구분되고, 제2영역이 가이드부재(110)의 출입부로 출입가능하도록 돌출부(130)가 삽입되며, 가이드부재(110)의 출입부에는 제1영역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2영역의 직경보다는 큰 덮개(140)를 덮으면 상기 단턱이 덮개(140)의 외주부에 의하여 제한되면서 돌출부(130)의 제2영역만 외부로 돌출된다. 돌출부(130)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나 이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다. The protrusion 130 presses and releases the elastic body 120 while entering and exiting the slab 10 or the housing, and a step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protrusion 130 protrudes from the guide member 110 due to the step. is limited The protrusion 13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having a larger diameter and a second area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based on the step, and the protrusion 130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area can enter and exit the guide member 110 . When the cover 140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guide member 110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rea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rea, the step is limi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140 and the protrusion 130 of the Only the second region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protrusion 130 has an exemplary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돌출부(130)의 단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에 상기 갱폼(20)을 사이에 두고 갱폼(20)을 지지하는 브래킷(미도시)과 상기 브래킷 및 갱폼(20)을 경유하여 암나사산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돌출부(130), 브래킷, 갱폼(20)을 동시에 고정하는 제2볼트가 결합된다. A female threa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130 , and a bracke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gang form 20 with the gang form 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emale thread via the bracket and the gang form 20 . By being coupled to the screw thread, the second bolt for fixing the protrusion 130 , the bracket, and the gang form 20 at the same time is coupled.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2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갱폼(20)의 받침대(2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210)가 구성되며, 다음에 상기 받침대(21)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2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받침대(21)와 함께 승하강하는 너트부(230)가 구성된다.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s configured as follows. First, a bolt part 210 installed through the pedestal 21 of the gang form 20 is configured, and then coupled to the pedestal 21 and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21, A nut part 230 that elevates and descends together with the pedestal 2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lt part 210 is configured.

상기 너트부(230)는 받침대(21)와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어 볼트부(210)의 조작에 따른 너트부(230)의 승강시 받침대(21)도 함께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볼트부(210)는 상기 지지체(100)에 계속하여 접하고 있게 된다. 상기 볼트부(210)는 이에 인접한 갱폼(20)의 철판(25)에는 마련되는 천공부를 통해 조절되며, 이 때, 작업자는 상기 볼트부(210)를 슬라브(10)상에서 갱폼(20)의 철판(25)을 통해 스패너 등을 삽입해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갱폼(20)의 균형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nut part 230 is coupled to the pedestal 21 by, for example, welding, etc., so that when the nut part 230 is lif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lt part 210, the pedestal 21 is also raised and lowered. have. At this time, the bolt part 210 continue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ody 100 . The bolt portion 210 is adjusted through a perforation provided in the iron plate 25 of the gangform 20 adjacent thereto. Since it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a spanner or the like through the iron plate 25 , the balance of the gang form 20 can be safely adjusted.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부재(200)는 예를 들어 최소한 갱폼(20)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고, 따라서, 갱폼(20)의 설치시 좌우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갱폼(20)이 균형있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좌측의 높이 조절 부재(200)에서 받침대(21)가 지지체(100)에 접하고 있으나, 우측의 높이 조절 부재(200)에서 받침대(21)가 지지체(100)와 이격된 경우에는 갱폼(20)의 좌우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므로, 어느 한쪽의 볼트부(210)를 조절하여 받침대(21)와 지지체(100)의 간격을 동일하게 맞추어주면 갱폼(20)의 좌우 균형이 맞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아래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Such a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at least o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ang form 20, so that when the gang form 20 is installed, the gang form 20 is balanced while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heights.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if the pedestal 21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00 i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0 on the left side, but the pedestal 21 is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100 i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00 on the right side, the gang form ( Since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20) is not correct, if one of the bolts 210 is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al 21 and the support 100 is equalized,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gangform 20 is matched. The same applies to other embodiments below.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3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갱폼(20)의 받침대(2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350)가 마련되며, 다음으로 상기 조절부(350)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350)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며, 상기 조절부(350)에 가압하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되는 가압부(340)가 설치되고, 다음으로 일측이 상기 조절부(3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대(21)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37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체(370)의 일측은 상기 받침대(21)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조절부(350)의 어느 한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고정된다. 예를 들어 지지턱(36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탄성체(370)는 상기 가압부(34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절부(35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반작용으로 갱폼(20)의 받침대(21)가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 때, 제2탄성체(370)가 압축된다. 이로써 갱폼(20)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가압부(3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받침대(2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탄성체(370)는 다시 이완된다.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is configured as follows. First, the adjusting unit 350 installed through the pedestal 21 of the gang form 20 is provided, and then, in contact with the adjusting unit 350, pressuriz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adjusting unit 350, A second pressing unit 340 having an inclination formed o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adjusting unit 350 is installed, and then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35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pedestal 21 . An elastic body 370 is installed. One side of the second elastic body 370 is coupled to the pedestal 21 ,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r fixed by any part of the adjusting unit 350 . For example, a support jaw 36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in the second elastic body 370, when the pressing part 340 moves to the right and the adjusting part 350 moves downward, the pedestal 21 of the gang form 20 moves upward as a reaction. When the second elastic body 370 is compressed. As a result, the gangform 20 rises. Conversely, when the pressing part 340 moves to the left, the pedestal 21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70 relaxes again.

이러한 가압부(340)의 이동은 상기 가압부(340)의 좌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부(330)와, 상기 가압부(3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330)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330)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340)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38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압부(340)는 갱폼(20)에 고정되며 그 하부를 제외한 외부를 둘러싸서 가압부(340)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31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제2 가이드부재(310)의 갱폼(20) 프레임(23)측 단부는 제2덮개(320)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380)는 상기 가압부(340)에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된다. 다만, 고정 방법이 용접의 방법에 의하여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340 is coupled to the bolt part 330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essing part 340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340 and is fastened to the bolt part 330, It is made by a nut part 380 that allows the pressing part 340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330 . The pressing part 340 is fixed to the gangform 20 and except for the lower part thereof. It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member 310 surrounding the outside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340 . The end of the gang form 20 of the second guide member 310 on the frame 23 side may be closed with a second cover 320 . The nut part 380 is fixed to the pressing part 340 by, for example, welding.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fixing method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by the welding method.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 부재(4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갱폼(20)의 받침대(2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450)가 마련되며, 상기 조절부(450)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450)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가압부(440)가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조절부(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대(21)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4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체(470)의 작동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is configured as follows. First, the adjusting unit 450 installed through the pedestal 21 of the gang form 20 is provided, and the pressurizing unit 440 is in contact with the adjusting unit 450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pressure of the adjusting unit 450 . is installed, a second elastic body 470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450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pedestal 21 is provided. Sinc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470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3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가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가압부(440)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작동한다는 점이다. 즉, 볼트부(430)가 가압부(440)를 작동하는 점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430)가 상기 가압부(440)가 조절부(450)와 접하는 부분의 반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볼트부(430)의 회전운동이 상기 가압부(440)의 상하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아울러, 상기 갱폼(20)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430)가 관통되고, 상기 볼트부(430)의 외부 일부를 둘러싸는 외피부(410)가 마련된다는 점도 상이하다. 상기 외피부(410)에는 상기 볼트부(430)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430)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44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480)가 결합되는데, 상기 너트부(480)는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외피부(410)에 고정된다. 다만, 고정 방법이 용접의 방법에 의하여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상기 외피부(410)의 가압부(440) 방향은 개방되어 이 부분을 통해 가압부(440)가 볼트부(430)와 결합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of FIG. 3 is that the pressing part 440 operat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 lever. That is, the point in which the bolt part 430 operates the pressing part 44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3 , but in this embodiment, the bolt part 430 is the pressing part 440 and the adjusting part 450 . It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and rotates, and is different in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olt portion 430 is converted into a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440 . In addition, it is also different in that it is fixed to the gang form 20 , the bolt part 430 is penetrated, and an outer skin 410 surrounding an outer part of the bolt part 430 is provided. The outer skin 410 is coupled to a nut part 480 that is fastened to the bolt part 430 and allows the pressing part 440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430 , the nut part 480 is fixed to the outer skin 410 by, for example, welding or the lik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fixing method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by the welding method. The pressing part 440 of the outer skin 410 is opened in a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g part 440 is coupled to the bolt part 430 through this part.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tabiliz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슬라브 20 : 갱폼
21 : 받침대 23 : 프레임
25 : 철판 100 : 지지체
110 : 가이드부재 120 : 탄성체
130 : 돌출부 140 : 덮개
150 : 고정부 200, 300, 400 : 높이 조절 부재
210, 330, 430 : 볼트부 230, 380, 480 : 너트부
310 : 제2가이드부재 320, 420 : 제2덮개
340, 440 : 가압부 350, 450 : 조절부
360, 460 : 지지턱 370, 470 : 제2탄성체
410 : 외피부
10: slab 20: gang form
21: pedestal 23: frame
25: iron plate 100: support
110: guide member 120: elastic body
130: protrusion 140: cover
150: fixing part 200, 300, 400: height adjustment member
210, 330, 430: bolt part 230, 380, 480: nut part
310: second guide member 320, 420: second cover
340, 440: pressing part 350, 450: adjusting part
360, 460: support jaw 370, 470: second elastic body
410: outer skin

Claims (10)

슬라브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어 갱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갱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상에 지지되는 높이 조절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볼트 및 너트 방식으로 구동되고, 볼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갱폼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슬라브에 매립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가압하도록 외부로부터 삽입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갱폼에 의하여 가해지는 전단 방향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를 직접 또는 간접방법에 의하여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고, 돌출상태에서는 상기 갱폼에 형성된 받침대를 지지하며, 그 외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전후 이동시 단턱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테두리에서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가이드부재의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 support that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lab to support the gang form from the bottom;
a height adjustment member installed on the gang form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include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edestal, is driven by a bolt and nut method,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gang form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lt,
The support is
an elastic body embedded in the slab;
and a protrusion inserted from the outside to press the elastic body.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rotrusion;
includes,
The protrusion presses or releases the elastic body by a direct or indirect method by a load in the shear direction applied by the gangform, and supports the pedestal formed on the gangform in the protruding state, and a ste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is limited by allowing the step to be braked at the edge of the guide member when the protrusion moves back and for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몸체로부터 갱폼의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길어지는 테이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 gangform balance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gangform from the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은 단턱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몸체 방향의 제1영역은 상기 갱폼 방향의 제2영역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갱폼 방향 출입부에는 상기 제1영역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2영역의 직경보다는 큰 홀을 갖는 마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e areas are partitioned by a step, the first area in the body direction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area in the gang form direction, and the gang form of the guide member A stopper having a hol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rea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rea is fastened to the direction entrance and ex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부; 및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받침부와 함께 승하강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 bolt part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art of the gang form; and
a nut part coupled to the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lt part;
The balance control device of the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에 인접한 갱폼의 철판에는 천공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슬라브상에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erforation portion is further formed in the iron plate of the gangform adjacent to the bolt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olt portion on the sla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며, 상기 조절부에 가압하는 부분에 경사가 형성되는 가압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
상기 가압부의 좌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 및
상기 갱폼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부의 하부를 제외하고 가압부의 외부를 둘러싸서 가압부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n adjustment part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art of the gangform;
a pressing unit which presses or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control unit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and a slope is formed at a portion pressing the control unit;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upporting unit;
a bolt part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essing part;
a nu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and fastened to the bolt part,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part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and
a second guide member fixed to the gang form and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ressing part except for the lower part of the pressing part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The balance control device of the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갱폼의 받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접하여 상기 조절부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가압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제2탄성체;
상기 가압부가 조절부와 접하는 부분의 반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운동이 상기 가압부의 상하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볼트부;
상기 갱폼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부가 관통되며, 상기 볼트부의 외부 일부를 둘러싸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볼트부의 조절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너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밸런스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an adjustment part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part of the gangform;
a pressing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and pressurizes or releases the pressure of the control unit;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side supported by the adjusting uni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supporting unit;
a bolt part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pressing part in contact with the adjusting part and rotating, so that the rotational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part;
an outer skin that is fixed to the gang form, the bolt part penetrates, and surrounds an outer part of the bolt part;
a nut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kin and fastened to the bolt part,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par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bolt part;
The balance control device of the ga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210025015A 2021-02-24 2021-02-24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KR102316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15A KR102316709B1 (en) 2021-02-24 2021-02-24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15A KR102316709B1 (en) 2021-02-24 2021-02-24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709B1 true KR102316709B1 (en) 2021-10-25

Family

ID=782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15A KR102316709B1 (en) 2021-02-24 2021-02-24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70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1Y1 (en)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Gang Form Angle and Hight Adjust Apparatus of Guide Climbing System
KR100767645B1 (en) * 2006-11-20 2007-10-17 주식회사 근하기공 Gang form level and vertical adjust apparatus
KR100832000B1 (en) * 2007-07-19 2008-05-26 미진정공(주) Gang form apparatus
KR101948294B1 (en) *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gang form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alling preven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41Y1 (en) 2005-12-21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Gang Form Angle and Hight Adjust Apparatus of Guide Climbing System
KR100767645B1 (en) * 2006-11-20 2007-10-17 주식회사 근하기공 Gang form level and vertical adjust apparatus
KR100832000B1 (en) * 2007-07-19 2008-05-26 미진정공(주) Gang form apparatus
KR101948294B1 (en) *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gang form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alling preven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4587B1 (en) Improvements in roof anchors
US11306497B2 (en) Support post
KR102316709B1 (en) Device for balancing gangform
KR102310313B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falling comprising means for safe setting of gangform
KR101990267B1 (en) Anchor bolt lock with gang form with notification device
KR102041392B1 (en) Slab panel drop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used therein
US20040031216A1 (en) Anchor for securing safety device
KR101641576B1 (en) A support descent equipment for slab form safety
KR102327935B1 (en) Gang-form safety hanger bracket
JP5169604B2 (en) Elevator installation work floor apparatus and its assembly method
KR101939110B1 (en) Assembly structure of outer case for escape ladder
KR102309285B1 (en) Safety apparatus for lift Gang Form
KR102151914B1 (en)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with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63515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ody Entrapment Accident of Aerial Platform
JP2002154758A (en) Installation method for elevator and hoisting machine
KR101128035B1 (en) Baluster lower cap structure for steel balustrade
JP5590902B2 (en) Anti-floating structure for multi-layer buildings
KR20190004153A (en) Gang form for protruding balcony
KR200365820Y1 (en) Assembly scaffolding fixing apparatus for safety measurement of construction's bottom part
KR102600088B1 (en) Fall prevention device with free horizontal movement of steel tower
JP3982807B2 (en) Staircase
KR102455291B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nd safety apparatus
KR102151915B1 (en) Installaion method of Wir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AU2002220371B2 (en) Anchor for securing safety device
KR102374490B1 (en) Easy-to-install safety structure for construction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