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540B1 - Airbrush for animals - Google Patents

Airbrush for anim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540B1
KR102316540B1 KR1020210012215A KR20210012215A KR102316540B1 KR 102316540 B1 KR102316540 B1 KR 102316540B1 KR 1020210012215 A KR1020210012215 A KR 1020210012215A KR 20210012215 A KR20210012215 A KR 20210012215A KR 102316540 B1 KR102316540 B1 KR 10231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ush
disposed
temperature contro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영일
Original Assignee
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일 filed Critical 서영일
Priority to KR102021001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540B1/en
Priority to KR1020210138507A priority patent/KR1024974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3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suction, e.g. for removing dus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An airbrush for animal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brush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fan devic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has a su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operation of the fan devic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combing and temperature-controlled ai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Airbrush for animals}Airbrush for animals

본 발명은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rush for animals.

통상 애완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이나 피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드라이어(Dryer)를 사용하게 된다. 드라이어는 그 선단에 배치되는 하나의 송풍구로 온풍이 분출되는 형태와, 송풍구 주위로 빗살을 복수개 배치하여 빗질을 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분된다. Usually, after bathing the pet, a dryer is used to remove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hair or skin. The dryer is divided into a form in which hot air is blown out through a single air outlet disposed at the tip thereof, and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mb teeth are arranged around the air outlet to allow drying while comb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9163(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는 빗질 및 건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8091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n airbrush for pet grooming that can provide combing and drying at the same time.

종래기술 1은 공기를 토출시키는 분사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국지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Prior art 1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jection nozzle for discharging air is disposed, and air can flow locally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에어브러쉬의 끝단에 분사노즐이 배치되기 때문에, 빗질을 하면서 털을 건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1, since the spray nozzle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airbrus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ir cannot be dried while comb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4359(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는 직립형 드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5435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n upright dryer.

종래기술 2는 온도조절되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애완동물을에게 빗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While the prior art 2 can provide temperature-controlled 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combing for pet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64422(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한다)에는 냉풍 및 온풍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빗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644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discloses a comb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provide cold air and warm air.

종래기술 3은 냉풍 및 온풍을 제공할 수 있지만, 빗살이 위치되는 곳에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함께 배치되기 때문에, 빗질과정에서 동물의 털이 흡입유로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원활한 작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Although the prior art 3 can provide cold air and warm air, since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are disposed together at the location where the comb teeth are located, animal hair can block the suction flow path during the combing proces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ect smooth operation There was a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916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80916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4359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55435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644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20-0064422

본 발명은 빗질 및 온도조절된 공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rush for animals capable of providing both combing and temperature-controlled air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동물의 털에 의해 토출구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rush for animals that can minimize clogging of a discharge port by animal hair.

본 발명은 제한된 구조에서 많은 풍량을 제공할 수 있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brush for animals capable of providing a large air volume in a limited structure.

본 발명은 유동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온도조절할 수 있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brush for animals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lowing air.

본 발명은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팬장치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구로 토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a brush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fan devic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has a su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operation of the fan device.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body,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조립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assembly part to which the brush is detachably assembled, and the brush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part.

상기 조립부는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러시에서 돌출된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될 수 있다. The assembly par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rush; and a second coupling part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be latched and fixed.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assembly surface on which the brush is detachably assembled, and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on the assembly surface.

상기 브러시는 상기 조립면에 밀착되는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브리슬; 상기 브러시바디를 관통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브러시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러시바디에서 상기 조립면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립부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토출구와 상기 브러시토출구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rush may include a brush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a plurality of bristles protruding from the brush body to one side; a plurality of brush outlet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brush body, wherein the coupling part protrudes from the brush body toward the assembly surface, and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assembly part, the outlet of the main body and the brush outlet may b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빗질 및 온도조절된 공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air 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combing and temperature-controlled air at the same tim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메인바디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기 때문에, 동물의 털에 의해 토출구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blockage of the discharge port by animal hair because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re dispos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분리기구를 브러시게 꼿아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keep the separation mechanism upright with a brush.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브러시에 스토퍼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메인바디와의 결합력을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irmly maintain the bonding force with the main body because the stopper is disposed on the brush.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브리슬 사이에 브러시토출구가 배치되기 때문에 그루밍을 하는 과정에서 모근 부근도 함께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icinity of the hair root can be dri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grooming because the brush outlet is disposed between the bristles.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그루밍을 수행할 때, 온도조절된 토출공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물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iscomfort of animals because it provides temperature-controlled discharge air when grooming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 1 ;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
FIG. 5 is a left side view of FIG. 3 .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FIG. 3 .
7 is a plan view of FIG. 3 .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3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11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upper side of FIG. 11 .
FIG. 1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
1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1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of FIG. 13 .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 1 ,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Fig. 5 is a left side view of Fig. 3, Fig. 6 is a right side view of Fig. 3, Fig. 7 is a top view of Fig. 3,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3, and Fig. 9 is a view along AA of Fig. 4 It is a cut sectional view,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upper side of FIG. 11 , FIG. 1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0 , and FIG. 1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ther direction of FIG. 13 , and FIG. 15 is a plan view of FIG. 13 .

본 실시예에 따른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붙은 털을 분리하는 분리기구(2)를 포함한다.The airbrush for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 and a separation mechanism (2) for separating the hairs attached to the main body (1).

상기 본체(1)는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에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러시(20)를 포함한다. 분리기구(2)는 상기 브러시(20)에 끼인 털을 분리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brush 20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main body 10 . The separation mechanism 2 may separate the hair caught in the brush 20 .

상기 탈착 가능하다는 의미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로 분리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tachable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it can be separated by one touch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상기 메인바디(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에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될 수 있다.A suction port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discharge port 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11 ma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 af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바디(10)는 상기 흡입구(11) 및 토출구(12)의 간격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1)로 애완동물의 털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pet hair into the inlet 1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overall shape.

상기 메인바디(10)는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조작부재인 노브(17)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17)는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고, 이동된 방향에 따라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knob 17 which is an operation member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d air. The knob 17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노브(17)가 전진된 경우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온풍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노브(17)가 후진될 경우, 상기 토출구(12)를 상기 온풍 보다 온도가 낮은 냉풍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knob 17 is advanced, hot ai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outlet 12 , and when the knob 17 is moved backward, cold air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warm air is provided through the outlet 12 .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조작부재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button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as the manipulation member.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토출구(1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12)가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 경우, 상기 노브(17)는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manipulation member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12 . Specifically, when the discharge port 12 is disposed to face downward, the knob 17 is disposed to face upwar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일부를 구성하는 흡입그릴(18)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8)은 상기 메인바디(10)의 끝단에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port 11 is formed in the suction grill 18 constituting a part of the main body 10 . The suction grill 18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1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는 유선의 파워코드(3)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파워코드(3)는 상기 흡입그릴(18)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18)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파워코드(3)가 냉각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 receives power through a wired power cord 3 , and the power cord 3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uction grill 18 . The power cord 3 may be cooled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8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브러시(20)로 토출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브러시(20)는 상기 토출구(12)에 조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12 discharges the discharge air to the brush 20 . The brush 20 may be assembled to the discharge port 12 .

상기 메인바디(10)는 상기 브러시(20)가 탈착가능하게 조리되는 조립면(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면(13)에 상기 토출구(12)가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surface 13 on which the brush 20 is detachably cooked, and the discharge port 12 is formed on the assembly surface 13 .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조립면(13)의 관통하는 다수개의 홀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port 12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passing through the assembly surface 13 .

상기 조립면(13)은 상기 브러시(20)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1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부(14)는 상기 조립면(13)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The assembly surface 13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portion 14 to which the brush 20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part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the assembly surface 1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12)는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조립부(14)도 다수개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12 are arranged, and a plurality of the assembly parts 14 are also arranged.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조립면(13)의 내측에 군집되어 배치되고, 상기 조립부(14)는 상기 토출구(12)들 외측에 배치된다. The outlets 12 are arranged in a cluster on the inner side of the assembly surface 13 , and the assembling parts 14 are arranged outside the outlets 1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면(13)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20)에서 상기 조립면(13)에 밀착되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브러시(20)와의 결합 시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surface 13 is formed to be flat, and the surface of the brush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13 may be formed to be flat, and through this, when combined with the brush 20 , Unintentional separation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측면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서 상기 조립면(13)을 형성시키기 위해 돌출된 융기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protruding portion 15 to form the assembly surface 13 in the main body 10 may be further formed. .

상기 브러시(20)는 상기 융기부(15)에 상호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brush 20 may be interlocked and fixed to the raised portion 15 .

상기 융기부(15)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15)는 상기 메인바디(10)와 일체로 제작된다. The raised portion 1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In this embodiment, the raised portion 15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 .

상기 브러시(20)는 상기 조립면(13)에 밀착되는 브러시바디(21)와, 상기 브러시바디(21)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브리슬(25, bristle)와, 상기 브러시바디(21)를 관통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브러시토출구(22)와, 상기 브러시바디(21)에서 상기 조립면(13)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립부(14)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부(24)를 포함한다. The brush 20 includes a brush body 21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13, a plurality of bristles 25 protruding from the brush body 21 to one side, and the brush body 21. a plurality of brush outlets 22 disposed through do.

상기 브러시바디(21)는 상기 조립면(13)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The brush body 2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ssembly surface 13 .

상기 브러시바디(21)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rush body 21 may be formed flat.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coupling part 2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body 21 .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조립부(14)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2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24)는 상기 조립면(13)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upling part 24 form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assembly part 14 . The coupling part 24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24 is formed in a "L" shape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assembly surface 13 .

상기 결합부(24)를 통해 상기 브러시(20) 및 조립면(13)이 밀착됨으로써, 상기 브러시토출구(22)를 통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Since the brush 20 and the assembly surface 1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art 24 , the air volume through the brush outlet 22 may be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12)의 개수와 상기 브러시토출구(22)의 개수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의 형상과 상기 브러시토출구(22)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outlets 12 and the number of the brush outlets 22 may correspond.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12 and the shape of the brush discharge port 22 may be the same.

상기 브러시토출구(22)는 상기 브리슬(25)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토출구(22)는 후술하는 좌측 결합부들 및 우측 결합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rush outlet 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ristles 25 . The brush outlet 22 may be disposed between left coupling parts and right coupling part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브러시바디(21) 및 조립면(13)이 이격될 경우, 상기 브러시바디(21) 및 조립면(13)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토출구(22)를 통한 풍량이 저감될 수 있다. When the brush body 21 and the assembly surface 13 are spaced apart, the air flow through the brush discharge port 22 may be reduced because the discharge air leaks between the brush body 21 and the assembly surface 13 . have.

복수개의 결합부(24)에 대해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브러시토출구(22)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상기 결합부(24)들을 좌측 결합부라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상기 결합부(24)들을 우측 결합부라 정의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24, the coupling parts 24 dispos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brush outlet 22 are defined as left coupling parts, and the coupling part 24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defined as a left coupling part. are defined as the right junction.

상기 좌측 결합부들일 일렬로 배치되고, 우측 결합부들도 일렬로 배치된다.The left coupling parts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right coupling parts are also arranged in a line.

상기 좌측 결합부들 및 우측 결합부들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eft coupling parts and the right coupling parts may be disposed in parallel.

상기 각 결합부(24)는 상기 브러시바디(21)에서 돌출된 제 1 결합부(24a)와, 상기 제 1 결합부(24a)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결합부(24b)를 포함한다.Each of the coupling parts 24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24a protruding from the brush body 21 and a second coupling part 24b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upling part 24a.

상기 제 2 결합부(24b)가 상기 조립부(14)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10)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메인바디(10)와 상호 걸림될 수 있다.After the second coupling part 24b penetrates the assembly part 14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 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ain body 10 .

상기 제 1 결합부(24a)의 돌출길이는 상기 조립면(13)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브러시바디(21)를 상기 조립면(13)에 밀착시킬 수 있다.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first coupling part 24a may be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ssembly surface 13 , and through this, the brush body 21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13 . .

상기 제 2 결합부(24b)의 길이는 상기 조립부(14)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14)의 길이(P')는 상기 제 2 결합부(24b)의 길이(P)와 같거나 약간 길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4b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assembly part 14 . The length P' of the assembly portion 14 may be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length P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4b.

상기 브러시(20)를 메인바디(10)에 조립할 때, 상기 제 2 결합부(24b)를 상기 조립부(14)에 삽입한 후, 상기 브러시(20)를 상기 제 2 결합부(24b)의 연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브러시(20)를 조립할 수 있다. When assembling the brush 20 to the main body 10, after inserting the second coupling part 24b into the assembly part 14, the brush 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art 24b. The brush 20 can be assembled by slidingly mov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상기 조립부(14) 및 결합부(24)의 분리는 역순으로 진행된다.Separation of the assembly part 14 and the coupling part 24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상기 조립부(14) 및 결합부(24)의 조립을 통해 상기 브러시(20)가 상하 방향(조립부의 개구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eparation of the brush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pening direction of the assembly unit) can be prevented through assembling the assembly part 14 and the coupling part 24 .

상기 브러시(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러시(20) 및 메인바디(10) 중 어느 하나에 스토퍼(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A stopper 30 may be further disposed on any one of the brush 20 and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prevent the brush 20 from slid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브러시(2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토퍼(30)가 상기 메인바디(10)의 융기부(15)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30 is disposed on the brush 20 . Unlike this embodiment, the stopper 30 may be disposed on the raised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브러시(20)와 일체로 제작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30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brush 20 .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고, 상기 융기부(1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제 1 스토퍼(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pper 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topper 34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rush body 21 and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5 .

상기 제 1 스토퍼(34)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브러시바디(21)의 연장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연장부(31)와, 상기 제 1 스토퍼연장부(31)에서 상기 메인바디(10)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돌출부(32)를 포함한다.The first stopper 34 includes a stopper extension 31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rush body 21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rush body 21 , and the main body at the first stopper extension 31 . (10)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32 protruding to the side.

상기 스토퍼연장부(31)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돌출부(32)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topper extension 31 may be dispos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brush body 21 . The stopper protrusion 32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rush body 21 .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돌출부(32)는 융기부(15)의 가장자리(15a)를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protrusion 3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dge 15a of the protrusion 15 .

그리고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브러시바디(21)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 2 스토퍼(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per 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36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body 21 .

상기 제 2 스토퍼(36)는 상기 브러시(20)의 탈착방향과 교차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토퍼(36)는 상기 제 2 결합부(24b)의 연장방향과 교차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The second stopper 36 is disposed to extend to cross the detachment direction of the brush 20 . The second stopper 36 is disposed to extend to cros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4b.

상기 조립면(13)에 스토퍼홈(16)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홈(16)에 상기 제 2 스토퍼(36)가 삽입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A stopper groove 16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assembly surface 13 , and the second stopper 36 may be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 16 to form a mutual engagement.

상기 제 2 스토퍼(36)는 상기 좌측 결합부들 및 우측 결합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토퍼(36)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36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coupling portions and the right coupling portions. The second stopper 36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2 스토퍼(36)가 상기 스토퍼홈(16)에 삽입될 경우, 상기 브러시(20)의 수평방향 이동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topper 36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groove 16 , mutual engagement may be form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rush 20 .

이와 같이 상기 브러시(20)는 상기 결합부(24)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1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퍼(34)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10)와 추가적인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스토퍼(36)를 통해서도 상기 메인바디(10)와 추가적인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brush 20 can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coupling part 24 , and additionally mutually engage with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irst stopper 34 . can be formed, and an additional mutual engagement with the main body 10 can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stopper 36 .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는 상기 메인바디(10) 내부에 배치되는 팬하우징(40)과, 상기 팬하우징(4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장치(50)와, 상기 메인바디(1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60)를 포함한다.9 to 15 , the main bod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an housing 4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fan housing 40 disposed in the fan housing 40, It includes a fan device 50 that is rotated to flow air,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tha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lowing air.

상기 팬하우징(40)은 상기 흡입그릴(18) 측에 배치된다. The fan housing 40 is disposed on the suction grill 18 side.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상기 흡입구(11) 및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상기 팬하우징(40) 및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된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is disposed between the fan housing 40 and the outlet 12 .

상기 팬장치(50)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회전되고,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2) 측으로 유동시킨다. The fan device 50 is rotated by the applied power, and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ort 11 flows toward the discharge port 1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장치(50)는 축류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장치(50)의 축은 상기 흡입그릴(18)의 중심축 선상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an device 50 is an axial fan. The axis of the fan device 50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grill 18 .

상기 팬장치(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52)와, 상기 팬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팬(54)과, 상기 메인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팬모터(52)가 설치되는 팬피씨비(56)를 포함한다.The fan device 50 is assembled to a fan motor 52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an applied power, a fan 54 rotated by the fan motor 52, and the main body 10, It includes a fan PCB 56 on which the fan motor 52 is installed.

상기 팬하우징(40)은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가 원통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팬하우징(40)도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an housing 40 may be manufactured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main body 10 . Sinc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cylindrical in this embodiment, the fan housing 40 is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팬하우징(40)의 내측에 상기 팬(54)이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40)은 상기 팬(5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an 54 is disposed inside the fan housing 40 . The fan housing 40 may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air flowing by the fan 54 .

상기 팬(5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팬하우징(4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54 may rotate inside the fan housing 40 .

상기 팬모터(52)를 기준으로 상기 팬(54)이 흡입구(11) 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피씨비(56)가 상기 토출구(12) 측에 배치된다. Based on the fan motor 52 , the fan 54 is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11 side, and the fan PCB 56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side.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메인바디(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54)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장치(60) 측으로 유동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 flows towar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through the fan 54 .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유동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may receive the applied power to heat the flowing air.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may b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온도조절바디(62)와, 상기 온도조절바디(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바디(62)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피씨비(64)와, 상기 메인바디(10)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전달하는 노브(17)를 포함한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mperature control body 62 that generates heat by receiving applied pow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and is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and the knob 17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slides by receiving the user's operation force, and transmits the user's operation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 is included.

상기 온도조절바디(62)는 전체적인 형상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has an overall shap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상기 온도조절바디(62)의 입구 측 단면적보다 출구 측 단면적이 좁게 형성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is narrow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side.

상기 단면적 차를 통해 출구 측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다.Through the cross-sectional area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air at the outlet side.

상기 온도조절바디(62)는 상기 메인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조절바디(62) 및 메인바디(10) 사이에 미도시된 개스킷 또는 실러가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상기 온도조절바디(62) 내부로만 이동시킬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gasket or seal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and the main body 10 ,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is may move only into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

상기 온도조절바디(62)는 원통부(63)와, 상기 원통부(63)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부(63)를 지지하는 프레임부(65)와,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 및 온도조절바디(62)를 연결하는 전원커넥터(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includes a cylindrical part 63, a frame part 65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part 63 and supporting the cylindrical part 63, and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And it may include a power connector 66 for connecting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부(63)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열체는 상기 원통부(6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heat transfer element for generating heat may be dispos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63 . The heat transfer body may be dispos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63 .

상기 전열체는 열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열체는 면상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63)가 전체가 전열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The heating element may be a hot wire. The heating element may be a planar heating element. The cylindrical part 63 may be entirely composed of a heat transfer body.

상기 프레임부(65)는 상기 원통부(63)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부(63)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부(65)는 상기 원통부(63)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The frame part 65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part 63 to support the cylindrical part 63 . The frame part 65 may partitio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part 63 .

상기 원통부(63) 및 프레임부(65)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ylindrical part 63 and the frame part 6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65)는 상기 원통부(63) 내부를 4개의 구역을 구획한다. 상기 프레임부(65)는 상기 원통부(63)의 길이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part 65 divides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part 63 into four zones. The frame part 65 may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rical part 63 .

상기 프레임부(65)는 길이방향 단면이 "+"자 형태일 수 있고, 각 끝단이 상기 원통부(63)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rame part 65 may have a "+" shape in its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each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63 .

상기 프레임부(65)는 제 1 구획판, 제 2 구획판, 제 3 구획판 및 제 4 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획판의 끝단이 상기 원통부(63)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part 65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plate, a second partition plate, a third partition plate, and a fourth partition plate. An end of each partition plate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63 .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프레임부(65)에 의해 구획된 각 구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제 3 구역 및 제 4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When division is necessary, each zone partitioned by the frame part 65 may be divided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 third zone, and a fourth zone.

각 구역의 입구측 단면적이 각 구역의 출구 측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try side of each zone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it side of each zone.

상기 팬장치(50)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프레임부(65)에 의해 나뉘어진 각 구열을 통과하여 토출구(12)로 유동된다. The air flowing in the fan device 50 flows to the outlet 12 through each row divided by the frame part 65 .

상기 프레임부(65)가 유동되는 공기를 분할하기 때문에, 상기 유동되는 공기에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Since the frame part 65 divides the flowing air, heat can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flowing air.

상기 프레임부(6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traightness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rame part 65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 및 온도조절바디(6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커넥터(66)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커넥터(66)는 상기 프레임부(65)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커넥터(66)는 상기 프레임부(65)의 제 1 구획판, 제 2 구획판, 제 3 구획판 및 제 4 구획 중간에 배치된다. The power connector 66 is dispo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and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connector 66 is disposed on the frame portion 65 . Specifically, the power connector 66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plate, the second partition plate, the third partition plate, and the fourth partition of the frame part 65 .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에 상기 노브(17)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knob 17 is slidably assembl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

상기 노브(17)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장치(60)가 작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소정 범위내로 유지시킨다.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nob 17,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flowing ai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메인바디(10)에는 토출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2) 측에 온도센서가 배치된다.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air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10 , and in this embodiment, a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 .

상기 온도조절장치(60)는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50도 내지 45도 이하로 제어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48도 이하가 되도록 토출공기 온도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온도로 인한 애완동물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6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 to 50 degrees to 45 degrees or less, and in this embodiment controls the discharge air temperature to be 48 degrees or less, and through this, Pet discomfort can be minimized.

온도조절된 토출공기는 상기 브리슬(25) 사이에 배치된 브러시토출구(22)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밀집된 털을 갖는 애완동물의 털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Since the temperature-controlled discharg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brush discharge port 22 disposed between the bristles 25, it is possible to easily dry the fur of a pet having dense hair.

외부에서 토출공기를 분사할 경우, 동물의 표면에 노출된 털들만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브러시는 상기 브리슬(25) 사이에 배치된 브러시토출구(22)를 통해 토출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털을 그루밍(grooming)하는 과정에서 피부 근처의 젖은 털들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 air is sprayed from the outside, the drying time may be long because only the hair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animal are dried, whereas the air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brush discharge ports 22 disposed between the bristles 25. ), so even wet hairs near the skin can be easily dried in the process of grooming the hair.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는 상기 온도조절바디(62) 및 상기 토출구(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는 상기 토출구(12)와 이격되고, 상기 토출구(12)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온도조절피씨비(64)의 배치를 통해 토출구(12)로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and the discharge port 12 .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12 and disposed above the outlet 12 .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12 .

한편,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파워케이블(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케이블(70)은 적어도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power cable 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 . At least two power cables 70 may be disposed.

상기 흡입그릴(18)에 상기 파워코드(3)가 조립되는 파워커넥터(81)가 배치되고, 상기 파워커넥터(81)에 상기 파워케이블(80)이 연결된다. A power connector 81 to which the power cord 3 is assembled is disposed on the suction grill 18 , and the power cable 8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81 .

상기 파워코드(3)는 상기 파워커넥터(81)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power cord 3 is assembled to be rotatabl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ower connector 81 .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 및 팬피씨비(5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power cable 8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and the fan PCB 56 .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팬하우징(40)의 외측을 경유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상기 팬하우징(40) 및 메인바디(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cable 8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fan housing 40 in order to minimize resistance to flowing air. The power cable 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an housing 40 and the main body 10 .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온도조절바디(62)의 외측을 경유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상기 원통부(63) 및 메인바디(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cable 80 may be disposed via the out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to minimize resistance with flowing air. The power cable 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63 and the main body 10 .

상기 분리기구(2)는 손잡이(2a) 및 핀(2b)을 포함한다. 상기 핀(2b)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핀(2b)은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핀(2b) 간격은 브리슬(25)들의 간격보다 약간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mechanism 2 includes a handle 2a and a pin 2b. A plurality of the pins 2b may be disposed. A plurality of the pins 2b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pins 2b may be slightly wider than that of the bristles 25 .

상기 핀(2b)들의 간격을 통해 상기 분리기구(2)를 상기 브러시(20)에 끼움 고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분리기구(2)를 본체(1)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eparation mechanism 2 can be fitted and fixed to the brush 2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ins 2b, and through this, the separation mechanism 2 can be stored in a state coupled to the body 1 . There is thi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본체 2 : 분리기구
10 : 메인바디 20 : 브러시
30 : 스토퍼 40 : 팬하우징
50 : 팬장치 60 : 온도조절장치
1: body 2: separation mechanism
10: main body 20: brush
30: stopper 40: fan housing
50: fan device 60: temperature control device

Claims (5)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그릴(18);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팬장치;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상기 팬장치 및 온도조절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파워코드(3);
상기 흡입그릴(18)에 배치되고, 상기 파워코드(3)가 조립되는 파워커넥터(81);
상기 파워커넥터(81)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된 파워케이블(80);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코드(3)는 상기 파워커넥터(81)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파워코드(3)는 상기 흡입그릴(18)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노브(17) 및 팬하우징(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온도조절바디; 상기 온도조절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바디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피씨비; 상기 온도조절바디에 배치된 전열체; 상기 메인바디(10)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전달하는 노브(17);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17)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팬장치(50)는 상기 온도조절바디(62) 및 팬하우징(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장치(50)는, 상기 파워코드(3)에서 제공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52); 상기 팬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팬(54); 상기 메인바디(10)에 조립되고, 상기 팬모터(52)가 설치되는 팬피씨비(56);를 포함하고,
상기 팬장치(50)의 축이 상기 흡입그릴(18)의 중심축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조절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부의 일측은 상기 흡입구를 향해 개구되고, 타측은 상기 토출구 측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프레임부(65)는 상기 원통부(63) 내부를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부(65)는 길이방향 단면이 "+"자 형태이고,
상기 팬장치의 작동 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하우징 내부를 통해 상기 원통부로 유동된 후, 상기 프레임부(65)에 의해 구획된 상기 원통부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며,
상기 파워케이블(80)은, 상기 파워커넥터(81)에서 상기 팬하우징(40)의 외측면을 경유하여 상기 팬피씨비(56)에 연결되는 것과, 상기 파워커넥터(81)에서 상기 팬하우징(40)의 외측면 및 원통부(63)의 외측면을 경유하여 상기 온도조절피씨비(64)에 연결되 것을 포함하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on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a suction grill (18) assembled to the main body and formed with the suction port;
a brush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fan housing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 fan device disposed inside the fan hous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lowing air;
a power cord (3) for providing power to the fan devic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 power connector 81 disposed on the suction grill 18 and to which the power cord 3 is assembled;
and a power cable (8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81) an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e power cord 3 is assembled rotatably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ower connector 81,
The power cord (3)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uction grill (18),
The fan housing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port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utlet inside the main bod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knob 17 and the fan housing 40 inside the main bod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a temperature control body that generates heat by receiving applied power; a temperature control PC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and configured to control power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a heating element disposed on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a knob 17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slidingly moved by receiving a user's operating force, and transmitting a user's manipulation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The knob 17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let,
The fan device 50 is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62 and the fan housing 40,
The fan device (50) includes: a fan motor (52)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cord (3); a fan (54) rotated by the fan motor (52); It includes; a fan PCB (56)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 and installed with the fan motor (52);
The axis of the fan device 50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line of the suction grill 18,
The temperature control body,
Cylindrical part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 frame part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part and supporting the cylindrical part;
One side of the cylindrical part is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The frame part 65 divides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part 63 into four zones, and extend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frame part 65 has a "+" shape in its longitudinal cross section. ,
When the fan device is operated,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port flows into the cylindrical part through the inside of the fan housing, and th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ylindrical part partitioned by the frame part 65 It flows through the outlet and
The power cable 80 is connected from the power connector 81 to the fan PCB 56 via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40, and the power connector 81 to the fan housing 40 ) and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PCB (64) via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6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조립부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part to which the brush is detachably assembled,
The air brush for animals further comprising a; the brush is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러시에서 돌출된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assembly par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main body,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rush; Includ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 airbrush for an animal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be latch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브러시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된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assembly surface on which the brush is detachably assembled, and the air brush for animals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assembly surf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조립면에 밀착되는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에서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브리슬;
상기 브러시바디를 관통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브러시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러시바디에서 상기 조립면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립부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토출구와 상기 브러시토출구가 연통되게 배치된 동물을 위한 에어 브러쉬.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brush is
a brush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a plurality of bristles protruding from the brush body to one side;
Including; a plurality of brush outlets disposed to penetrate the brush body;
The coupling part protrudes from the brush body toward the assembly surface, and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assembly part,
An air brush for animals in which the outlet of the main body and the brush outlet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KR1020210012215A 2021-01-28 2021-01-28 Airbrush for animals KR102316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15A KR102316540B1 (en) 2021-01-28 2021-01-28 Airbrush for animals
KR1020210138507A KR102497421B1 (en) 2021-01-28 2021-10-18 Airbrush for animals that moves air at high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15A KR102316540B1 (en) 2021-01-28 2021-01-28 Airbrush for anima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07A Division KR102497421B1 (en) 2021-01-28 2021-10-18 Airbrush for animals that moves air at high spe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540B1 true KR102316540B1 (en) 2021-10-21

Family

ID=78268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215A KR102316540B1 (en) 2021-01-28 2021-01-28 Airbrush for animals
KR1020210138507A KR102497421B1 (en) 2021-01-28 2021-10-18 Airbrush for animals that moves air at high spee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507A KR102497421B1 (en) 2021-01-28 2021-10-18 Airbrush for animals that moves air at high sp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6540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875A (en) * 1997-04-23 1998-11-16 김정무 Hair Dryer Heating Element with Magnetic Field Offset Structure
KR20050011626A (en) * 2003-07-22 2005-01-29 백웅기 Electronic dryer for pet capable of easily and rapidly drying the pet after washing the pet, minimizing pet's stress due to noise, suppressing bacterial infection and reducing offensive smell
KR101554359B1 (en) 2014-10-22 2015-09-18 이재남 Erecting type many purposes dryer
KR101721012B1 (en) * 2015-12-18 2017-03-29 주식회사 아폴로전자 Multi-functional brush for caring head skin
KR20170049257A (en)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Air Brush For Pet Grooming
KR20170101631A (en) * 2016-02-29 2017-09-06 박성민 Drier for Pet with Brush
KR20170003635U (en) * 2016-04-12 2017-10-20 박강덕 Pet care device having dry and fur collecting function
KR20200064422A (en) 2018-11-29 2020-06-08 이희경 Multifunctional brush for pets
KR20200097992A (en) * 2019-02-11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care de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875A (en) * 1997-04-23 1998-11-16 김정무 Hair Dryer Heating Element with Magnetic Field Offset Structure
KR20050011626A (en) * 2003-07-22 2005-01-29 백웅기 Electronic dryer for pet capable of easily and rapidly drying the pet after washing the pet, minimizing pet's stress due to noise, suppressing bacterial infection and reducing offensive smell
KR101554359B1 (en) 2014-10-22 2015-09-18 이재남 Erecting type many purposes dryer
KR20170049257A (en)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Air Brush For Pet Grooming
KR101809163B1 (en) 2015-10-28 2017-12-14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Air Brush For Pet Grooming
KR101721012B1 (en) * 2015-12-18 2017-03-29 주식회사 아폴로전자 Multi-functional brush for caring head skin
KR20170101631A (en) * 2016-02-29 2017-09-06 박성민 Drier for Pet with Brush
KR20170003635U (en) * 2016-04-12 2017-10-20 박강덕 Pet care device having dry and fur collecting function
KR20200064422A (en) 2018-11-29 2020-06-08 이희경 Multifunctional brush for pets
KR20200097992A (en) * 2019-02-11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et ca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421B1 (en) 2023-02-10
KR20220109297A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541B1 (en) Hair care appliance
EP3016544B1 (en) A haircare appliance and attachment
AU2014285903C1 (en) A handheld appliance
AU2014285902B2 (en) A handheld appliance
KR101809163B1 (en) Air Brush For Pet Grooming
AU2014285906A1 (en) A handheld appliance
WO2015001306A1 (en) A handheld appliance
WO2015001310A1 (en) A hand held appliance
WO2015001309A1 (en) A handheld appliance
KR20190001102A (en) Drying device for pet
KR102316540B1 (en) Airbrush for animals
KR100909087B1 (en) Pet Brush
KR100853710B1 (en) Hair dryer with mobile comb
KR100565984B1 (en) Hair-dryer having hair brush for diffusion exhaust of air
JP4382461B2 (en) Hot air dryer
KR20090011929A (en) Pet animal brush
KR200436998Y1 (en) Hair brush and hair dryer
US11998098B2 (en) Hair dryer attachment
JPH10276835A (en) Suction brushing device
US20220202157A1 (en) Hair dryer attachment
CN210930059U (en) Deep hair care implement
KR20090011958A (en) Pet animal brush
EP3566612A1 (en) Hair care device
JP3852511B2 (en) Hair setter
KR20210040527A (en) Hair se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