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158B1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Google Patents
Roof structure of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6158B1 KR102316158B1 KR1020200166250A KR20200166250A KR102316158B1 KR 102316158 B1 KR102316158 B1 KR 102316158B1 KR 1020200166250 A KR1020200166250 A KR 1020200166250A KR 20200166250 A KR20200166250 A KR 20200166250A KR 102316158 B1 KR102316158 B1 KR 102316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panel assembly
- assembly
- cor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04D3/352—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being located between non-insulating layers, e.g. double skin slabs or she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위를 통해 화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판넬조립체의 구조적인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판넬조립체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prevents the spread of fire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panel assemblies in case of fire, and minimizes structural deformation of the panel assembly to improve the fire resistance function It relates to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that can facilitate the construction work of
판넬조립체는 건출물 자재의 일종으로 샌드위치 판넬이라고도 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를 샌드위치 모양으로 쌓아 올린 다음 접착제등으로 접착한 것으로, 시공비용이 과다하지 않고,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여 널리 사용된다. A panel assembly is a kind of building material, also called a sandwich panel. It is a sandwich panel made by stacking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in a sandwich shape and then bonding them with an adhesive, etc.
일반적으로 판넬조립체는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보온, 단열 성능을 가진 충전재를 삽입하는 결합구조를 가지고, 일정한 크기와 폭을 가진 다수의 판넬 조립체를 연결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게 된다.In general, a panel assembly has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filler having thermal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inserted between an outer plate and an inner plate, and a building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having a certain size and width.
이러한 판넬조립체는 가벼우면서도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사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Such a panel assembly is light and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so it has good workability.
판넬조립체는 용도에 따라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 판넬, 불에 잘 견디는 내화구조 인정 판넬과 흡음 판넬 등 여러가지 종류로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지붕용과 벽면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Panel assemblies are 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flame-retardant panels that do not burn well, fire-resistant structure-certified panels that withstand fire well, and sound-absorbing panels, depending on the use.
이와 같은 판넬조립체 중 지붕용 판넬조립체는 지붕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시공되는데, 최근 지붕 구조물은 안전을 위해 건축법에 따른 내화인증 구조로 시공되어야 한다. Among such panel assemblies, the roof panel assembly is constructed to be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Recently, the roof structure should be constructed with a fire resistance certific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Building Act for safety.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판넬조립체의 지붕구조는 재료 및 시공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판넬 조립체 사이의 연결부분의 틈새를 통해 급격하게 연소가 진행되어 조기에 진압이 되지 않으면 큰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fire occurs in the roof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uilding panel assemb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construction, combustion rapidly proceed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between the panel assemblies, and if it is not suppressed early, there is a problem that leads to a big fire.
또한 종래의 건축용 판넬조립체의 지붕구조는 외부판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 등이 화기에 의해 녹게 되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관등이 지붕을 통해 화재진압을 하기 어려워 종국적으로 인명 및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of structure of the panel assembly for construction, it is not easy to extinguish the fire by the external plate, and the insulation material inserted between the external plate and the internal plate is melted by the fire, so that sufficient evacuation time cannot be secured, and the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for firefighters to put out the fire through the roof, resulting in serious damage to life and proper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판넬을 결합하여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결합판넬이 삽입되도록 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이 화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연결부분을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판넬조립체의 강도를 향상시켜 화재시에도 지붕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압하여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지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detachably attaching panel to one side of an alread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s the coupling panel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panel assembly adjacent to the Prevents the fire from spreading through parts and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panel assembly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roof structure even in case of fire. will do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지붕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하기 위해 판넬조립체의 일측 또는 양측을 이음결합하기 위해 상기 판넬조립체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이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타측과 서로 겹쳐져서 복수의 상기 판넬조립체가 서로 결합 고정되는 건축물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판넬조립체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수직상방으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패널의 상면과 상기 제2 패널의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심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은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고,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판넬이 결합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될 수 잇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nel assemblies in order to jointly couple one or both sides of the panel assembly to construct the roof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f structure. In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in which one side of an installed panel assembly overlaps with the other side of an adjacent panel assembly and a plurality of the panel assemblies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each of the panel assemblies is a first pane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 second panel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nel while facing vertically upward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anel and a core part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bonded,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a coupling panel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so that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s improved. ca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심재부의 하부면에 결합 설치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차안착부; 및 상기 제1 판부의 타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판부와 수직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심재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2 판부; 상기 제2 판부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판부의 타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may include a first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a step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a step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formed to be stepped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panel, a second plat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a first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판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경사부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판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 상기 제1 테이퍼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와 밀착결합되는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밀착결합되도록 상기 제2 수평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ly inclined from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vertically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first taper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upwardly;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nd close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tapered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so as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넬은,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연결부의 상부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심재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심재부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심재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단차안착부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nel includes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and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the cor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is closely coup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a first fastening part; a cover part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par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core part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to cover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part so as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step seating par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심재부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 결합되는 제3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and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to be press-coupled It may include; a third inclined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상기 제2 수평부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상기 제3 경사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 수평부; 및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체결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상기 제2 테이퍼부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상기 제3 수평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4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and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the cor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the upper end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is contact-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while being contact-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 thir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In the case where the first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clined part to be contact-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tapered part in order to fasten and fix the first fastening part to the first connector part, the other end of the third horizontal part extends obliquely downward. It may include; a fourth inclined port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차안착부는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선단이 상기 제1 판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folded or bent in a hook shape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first plate portion at the tip to form a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The part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넬은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nel comprises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panel and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 plurality of panels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the cor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넬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판넬조립체의 길이방향 길이의 0,1배 이상 내지 0.4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upling panel may be formed to be 0.1 times or more to 0.4 times or less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anel assemb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넬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넬의 수직방향 길이의 0,3배 이상 내지 0.5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nel is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nel. It may be formed to be 0,3 times or more to 0.5 times or less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nding panel.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판넬조립체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 사이로 화기가 번지게 되어 판넬조립체의 구조가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된 판넬조립체에 의해 직접 화기가 판넬조립체의 심재부에 열을 가하여 심재부가 녹아 손실되고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화재의 진압을 위해 투입되는 소방관 등이 건축물의 지붕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인명사고 크데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산상의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nel assembly, so that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building, the fire spreads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between the panel assemblies. Prevents the occurrence of fire and secures time to evacuate from inside the building by blocking the generation of toxic gas and melting and loss of the core by direct fire by the deformed panel assembly. Firefighters, etc., who are put in to extinguish a fire, quickly enter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extinguish the fire at an early stage,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erious accidents and minimizing damage to propert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되도록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판넬이 결합되도록 한 뒤 인접한 판넬조립체을 다시 결합 설치하면 되므로 별도의 브라켓이나 나사결합을 구비하지 않아도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에 결합판넬이 체결되도록 하여 판넬조립체의 시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시공작업자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panel assembly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Since the coupling panel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to be inserted into the panel, and then the adjacent panel assembly is reconnected and installed, the coupling panel is fastened to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without a separate bracket or screw coupling.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assembly,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the construction worker.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결합판넬이 삽입결합되어 연결부분을 통해 화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게 밀착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화기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panel assembly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Fire-resistance function b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fire in case of a fire by attaching the panels to the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panel assemblies so that there is no gap to minimize exposure to fire through the connecting part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직"이란 동일부재에서 지면에서 위아래방향, 즉 도 1에서 Z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1에서 X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1에서 Y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란 동일부재에서 수직방향의 윗면을 의미하고, "하부"란 동일부재에서 수직방향의 아랫면을 의미하며, "수직상방"이란 수직방향중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하방"이란 수직방향중 아래 방향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Vertical" means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paper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Z direction in FIG. 1, "width direction" means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X direction in FIG. 1, and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same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Y direction in FIG. 1 . In addition, "upper" means the upp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lower" means the low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vertically upward" means the upper direction among the vertical directions, and "vertically downward" means the downward direction among the vertical directions.
그리고, "일측"이란 도 2에서 오른쪽 측면을 의미하고, "타측"이란 도 2에서 왼쪽 측면을 의미한다. And, “one side” means the right side in FIG. 2 , and “the other side” means the left side in FIG. 2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는 판넬조립체(1000) 및 결합패널(2000)을 포함하고, 건축물의 지붕을 시공하기 위해 건축물의 지붕구조체 형상에 따라 판넬조립체(1000)의 일측(즉, 도 2에서 오른쪽 측면) 또는 양측을 이음결합하기 위해 상기 판넬조립체(1000)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는 도 2를 참조하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일측(즉, 도 2에서 오른쪽 측면)이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타측(즉, 도 2에서 왼쪽 측면)과 서로 겹쳐져서 복수의 판넬조립체(1000)가 서로 억지끼운 방식으로 결합 고정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의 판넬조립체(1000)는 각각 제1 패널(1100), 제2 패널(1200) 및 심재부(1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은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어 건축물 지붕의 시공에 사용된다.The panel assembly 1000 of the
제1 패널(1100)은 판넬조립체(1000)의 하부를 형성한다. 즉, 제1 패널(1100)은 판넬조립체(1000)가 건축물의 지붕으로 사용되어 건축된 경우, 건축물의 내부에 제1 패널(1100) 위치하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널(1100)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판넬조립체(10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패널(1100)은 일정한 폭(W)과 길이(L)를 구비하고, 제1 판부(1110), 단차안착부(1120) 및 단차부(1130)로 이루어진다. The
제1 판부(1110)는 심재부(1300)의 하부면에 결합 설치되고, 단차안착부(1120)는 제1 판부(1110)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차부(1130)는 제1 판부(1110)의 타측에 폭(W)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판부(1110)에 대해 수직(Z)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일측(즉, 도 2에서 오른쪽 측면)이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타측(즉, 도 2에서 왼쪽 측면)과 서로 겹쳐져서 건축물의 지붕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단차안착부(1120)는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단차부(1130)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겹쳐져서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하부를 연결한다.Specifically, when one side (ie, the right side in FIG. 2 ) of the previously installed
제2 패널(1200)은 판넬조립체(1000)의 상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패널(1200)은 제1 패널(1100)과 수직상방으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다. The second panel 1200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panel assembly 1000 . Specifically, the second panel 12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또한, 제2 패널(1200)은 판넬조립체(1000)가 건축물의 지붕으로 사용되어 건축된 경우, 건축물의 외부에 제2 패널(1200)이 위치하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패널(1200)은 강판으로 형성되어 판넬조립체(10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nel assembly 1000 is used as a roof of a building and the second panel 1200 is built, the second panel 1200 is positioned outside the building.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anel 1200 may be formed of a steel plate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panel assembly 1000 .
제2 패널(1200)은 제2 판부(1210), 제1 연결부(1220) 및 제2 연결부(1230) 으로 이루어진다. 제2 판부(1210)는 제1 판부(1110)와 수직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심재부(130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된다.The second panel 1200 includes a
제1 연결부(1220)는 제2 판부(1210)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연결부(1230)는 제2 판부(1210)의 타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제1 연결부(1220)는 제1 경사부(1221), 제1 수평부(1222) 및 제2 경사부(1223)을 포함한다.The
제1 경사부(1221)는 제2 판부(1210)의 일측(도 3에서 오른쪽)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제1 수평부(1222)는 제1 경사부(1221)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경사부(1223)는 제1 수평부(1222)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제2 연결부(1230)는 제1 테이퍼부(1231), 제2 수평부(1232) 및 제2 테이퍼부(1233)을 포함한다.The
제1 테이퍼부(1231)는 제1 연결부(1220)의 제2 경사부(1223)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판부(1210))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제2 수평부(1232)는 제1 테이퍼부(1231)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부(1220)의 제1 수평부(1222)와 밀착결합되며, 제2 테이퍼부(1233)는 제1 연결부(1220)의 제1 경사부(1221)와 밀착결합되도록 제2 수평(1232)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의 심재부(1300)는 판넬조립체(1000)의 단열, 보온, 방음 기능을 가지는 충전재로서, 판넬조립체(1000)의 중간층을 형성한다. 즉, 제1 패넬(1100)상부와 제2 패널(1200)의 하부 사이에 삽입되어 심재부(1300)의 상부와 하부 전체는 제1 패넬(1100)과 제2 패널(1200)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심재부(130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이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과 결합되어 건축물의 지붕으롤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의 결합판넬(2000)은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일측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위를 밀착시키고 연결부위에 심재부((1300)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지붕구조(1)의 내화성능이 향상된다.The
결합판넬(2000)은 제1 체결부(2100), 커버부((2200) 및 제2 체결부(2300)를 포함한다. The
제1 체결부(210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1000)의 제1 패널널(1100)과 심재부널(1300) 및 제2 패널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연결부(1220)의 상부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2 연결부(1230)의 하부 사이에 밀착 결합된다. The
구체적으로, 상부에는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2 연결부(1230)에 접촉 결합되어 제2 연결부(1230)에 의해 중력 및 지붕구조가 갖는 텐션에 의해 가압되며 하부에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연결부(1220)와 접촉 결합되어 지붕구조가 갖는 텐션에 의해 가압결합된다.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is contact-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즉, 제1 체결부(2100))는 결합판넬(2000)의 위쪽 부분이 제2 패널(1200)에 별도의 브라켓이나 나사등 나사체결 없이 걸리게 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패널(1200)의 제1 연결부(1220)에 결합된다.That is, the first fastening part 2100) is the second panel of the second panel 120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제1 체결부(2100)는 제3 경사부(2110), 제3 수평부(2120) 및 제4 경사부(2130)을 포함한다.The
제3 경사부(211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기설치된 판넬조립체(1000)의 제1 연결부((1220)의 제2 경사부(1223) 및 심재부(1300)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2 연결부(1230)의 제1 테이퍼부(1231)의 하부사이에 배치되어 가압 결합된다.The third inclined part 2110 is the first panel (3) of the
제3 수평부(212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기설치된 판넬조립체(1000)의 제1 연결부((1220)의 제1 수평부(1222)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2 연결부(1230)의 제2 수평부(1232)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32 경사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The third
제4 경사부(213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제1 체결부(2100)를 제1 연결부(1220)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1000)의 제1 연결부((1220)의 제1 경사부(1221)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2 연결부(1230)의 제2 테이퍼부(1233)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상기 제3 수평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fourth
제2 체결부(2300)는 커버부(2200)의 하단에 커버부(220)를 기준으로 제1 체결부(2100)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2300)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단차안착부(1120)에 밀착 결합되도록 커버부(2200)의 하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도 2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2300)는 단차안착부(1120)의 선단이 제1 판부(11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접쳐진 부분 또는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진 부분에 수용부((112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수용부(1121)에 제2 체결부(2300)가 수용되어 결합판넬(2000)의 아래쪽 부분이 제1 패널(1100)에 별도의 브라켓이나 나사등 나사체결 없이 걸리게 되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되도록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판넬이 결합되도록 한 뒤 인접한 판넬조립체을 다시 결합 설치하면 되므로 별도의 브라켓이나 나사결합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1 체결부가 제1 연결부에 걸리게 되고 제2 체결부는 단차안착부에 걸리게 되어 양쪽에서 안정적으로 결합체결 되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에 결합판넬이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판넬조립체의 시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시공작업자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in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anel assembly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Since the coupling panel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m, and then the adjacent panel assembly is coupled and installed again, the first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without a separate bracket or screw coupling.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caught in the step mounting part, and is stably coupled and fastened from both sides so that the coupling panel is fastened to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커버부(2200)는 심재부(1300)를 커버하기 위해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심재부(1300)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심재부(1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체결부(2100)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구체적으로 커버부(2200)는 심재부(1300)의 일부를 커버 할 수 있도록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며 동시에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타측과도 결합이 되므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판넬조립체(1000)의 심재부(1300)에 직접적으로 화기가 닿아 심재부(1300)가 녹아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제1 패널과 심재부 및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결합판넬이 삽입결합되어 연결부분을 통해 화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게 밀착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화기에 의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nel of the panel assembly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The coupling panel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nel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of the panel assembly to minimize exposure to fir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re resistance function by prevent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지붕구조는 판넬조립체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 사이로 화기가 번지게 되어 판넬조립체의 구조가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형된 판넬조립체에 의해 직접 화기가 판넬조립체의 심재부에 열을 가하여 심재부가 녹아 손실되고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건축물 내부에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고 화재의 진압을 위해 투입되는 소방관 등이 건축물의 지붕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인명사고 크데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산상의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nel assembly, so that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building, the fire spreads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between the panel assemblies. Prevents deformation, and by means of the deformed panel assembly, the fire directly applies heat to the core of the panel assembly to prevent melting and loss of the core and the generation of toxic gas in advance to save time to evacuate from inside the building. Firefighters, etc., who are deployed to secure and extinguish the fire, quickly enter the roof of the building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thereby preventing serious casualties and minimizing damage to proper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 결합판넬(2000)은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과 인접하는 판넬조립체(3)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길이방향(도 1에서 Y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 될 수 있다.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판넬조립체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개수가 배치될 수 있도록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합판넬(2000)은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판넬조립체(1000)간 연결부분의 길이방향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내화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의 결합판넬(2000)은 판넬조립체(1000)간의 연결부분에 길이방향(도 1에서 Y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는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의 0,1배 이상 내지 0.4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가 1000mm인 경우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는 100mmm 이상 내지 400mm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구체적으로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100mmm인 경우 결합판넬(2000)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인 1000mmm 내에서 최대 9개 까지 설치될 수 있고,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400mmm인 경우 결합판넬(2000)은 최대 2개 까지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만약,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의 0,1배 미만인 경우 판넬조립체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연결부위의 빈공간이 없도록 틈새를 잘 막지 못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판넬조립체간의 연결부분 사이로 화기가 번지게 되어 판넬조립체이 뒤틀려져서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내화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또한, 만약,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의 0,4배를 초과하는 경우 결합판넬의 하부는 제1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결합되고 상부는 제2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판넬(2000)을 통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if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따라서 강한 추위에 의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패널의 찬기가 결합판넬(2000)을 통해 제1 패널에 전도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로가 생기게 되어 건축물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고 결로에 따른 건축물의 유지비용을 증대시키고 곰팡이 등의 유해균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cold air of the second panel installed outside due to the strong cold is conducted to the first panel through the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는 판넬조립체(1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W)의 0.1배 이상 내지 0.2배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내로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지붕구조(1) 결합판넬(2000)은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는 기설치된 판넬조립체(2)의 제1 패널(1100)과 심재부(1300) 및 제2 패널(120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판넬(2000)의 수직방향 길이(도 3에서 H)의 0,3배 이상 내지 0.5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oof structure (1)
만약,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결합판넬(200)의 수직방향 길이(도 3에서 H)의 0,3배 미만인 경우 판넬조립체의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연결부위의 빈공간이 없도록 틈새를 잘 막지 못하여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도 판넬조립체의 연결부분 사이로 화기가 번지게 되어 판넬조립체가 뒤틀려져서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내화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또한, 만약, 결합판넬(2000)의 길이방향 길이(도 3에서 L)가 결합판넬(2000)의 수직방향 길이(도 3에서 H)의 0,5배를 초과하는 경우 결합판넬의 하부는 제1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결합되고 상부는 제2 패널과 직접적으로 접촉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판넬(2000)을 통해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강한 추위에 의해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패널의 찬기가 결합판넬을 통해 제1 패널에 전도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지붕구조의 결로가 생기게 되어 건축물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고 결로에 따른 건축물의 유지비용을 증대시키고 곰팡이 등의 유해균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ongitudinal length (L in FIG. 3) of the
본 발명의 제1 패널(1100), 제2 패널(1200) 및/또는 결합판넬(2000)은 오염 방지 효과가 우수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시켜 오염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상기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무기 나노 입자; 실린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The coating composition is more specifically inorganic nanoparticles; cillin compounds; Surfactants; bookbinder; dispersant; and solvents.
상기 무기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이다. 상기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이 작은 무기 파우더를 이용함에 따라, 코팅층을 형성하더라도 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3 to 5 μm. As the inorganic powder having a small average diameter within the above range is used, even if the coating layer is formed, the touch may not be impaired.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실리카(SiO2), 티타네이트(T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티탄산 바륨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inorganic nanoparticl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ium titanate, silica (SiO2), titanate (TiO2), and mixtures thereof, and preferably barium titan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 상기 실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Preferably, the silane compound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여기서,here,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상기 실란 화합물은 -OCF3 치환기를 다수 포함하고 있고, 상기 -OCF3 치환기에 의해 코팅층 내에 불소 피막을 형성하여 방오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silane compou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CF3 substituents, and may increase the antifouling effect by forming a fluorine film in the coating layer by the -OCF3 substituents.
또한, 링커로 탄소수 1 내지 100의 알킬렌기를 포함하고 있어 에스테르기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OCF3 치환기가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어, 코팅 층 내에 무기 나노 입자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에 따라, 방오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contain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100 carbon atoms as a linker, -OCF3 substituents can b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on both sides around the ester group,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interference with inorganic nanoparticles in the coating layer Accordingly, the antifouling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바람직하게 상기 링커는 탄소수 5 내지 10의 알킬렌기로, 즉 n은 5 내지 10의 정수로,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코팅층의 두께 범위 내에서 방오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는 불소 피막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n이 5 미만인 경우, 무기 나노 입자와 -OCF3 치환기간의 간섭 효과로 인해 방오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n이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팅층 내의 무기 나노 입자와 불소 피막간의 거리가 멀어져 간섭 효과 발생은 방지할 수 있으나 불소 피막과 무기 나노 입자의 조합에 의한 방오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Preferably, the linker is an alkylene group having 5 to 10 carbon atoms, that is, n is an integer of 5 to 10, and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a fluorine film that can maximize the antifouling effect within the thickness range of the coating layer formation is possible. This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antifouling effect is inhibited due to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inorganic nanoparticles and the -OCF3 substituent when n is less than 5, and when n exceeds 10, the distance between the inorganic nanoparticles and the fluorine film in the coating layer is Althoug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interference effect by moving away from 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ntifouling effect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fluorine film and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lowered.
상기 계면활성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및 포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surfactant is a betaine-based surfactant, and more specifically, an alkylbetaine-based, amidebetaine-based, sulfobetaine-based, hydroxysulfobetaine-based, amidosulfobetaine-based and phosphobetaine-based, imidazolinium betaine-based surfactants.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인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바인더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bind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binders, urethane-based binders, silicone-based binders, and mixtures thereof, more specifically silicone-based binders, and more specifically polydimethylsiloxane, polyhydrosiloxane, and mixtures there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상기 분산제는 카본계 필러의 분산제로 당업계에서 채용하는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올레핀계 분산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분산제, 폴리아릴레이트계 분산제, 폴리아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미드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아릴설폰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설폰계 분산제, 폴리페닐렌 설피드계 분산제, 폴리이미드계 분산제; 폴리에테르케톤계분산제, 폴리벤족사졸계 분산제, 폴리옥사디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조티아졸계 분산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분산제, 폴리피리딘계 분산제, 폴리트리아졸계 분산제, 폴리피롤리딘계 분산제, 폴리디벤조퓨란계 분산제, 폴리설폰계 분산제, 폴리우레아계 분산제, 폴리우레탄계 분산제, 폴리포스파젠계 분산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dispersant may use a known component employed in the art as a dispersant of the carbon-based filler. More specifically, polyester-based dispersing agent, polyphenylene ether-based dispersing agent, polyolefin-based dispersing agent,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dispersing agent, polyarylate-based dispersing agent, polyamide-based dispersing agent, polyamideimide-based dispersing agent, polyarylsulfone-based dispersing agent dispersing agent, polyetherimide-based dispersing agent, polyethersulfone-based dispersing agent, polyphenylene sulfide-based dispersing agent, polyimide-based dispersing agent; Polyether ketone dispersant, polybenzoxazole dispersant, polyoxadiazole dispersant, polybenzothiazole dispersant, polybenzimidazole dispersant, polypyridine dispersant, polytriazole dispersant, polypyrrolidine dispersant, polypyrrolidine dispersant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persants, polysulfone-based dispersants, polyurea-based dispersants, polyurethane-based dispersants, polyphosphazene-based dispersants, and mixture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용매,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류 용매, 케톤류 용매, 셀로솔브류 용매 및 아미이드류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 solvent, a halogen-containing hydrocarbon solvent, a ketone solvent, a cellosolve solvent, and an amide solv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나노 입자 5 내지 20 중량부; 실란 화합물 20 내지 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내지 20 중량부; 바인더 30 내지 5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inorganic nanoparticles; silane compounds; Surfactants; bookbinder; dispersant; and a solvent,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5 to 2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nanoparticles; 20 to 50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mpound; 10 to 20 parts by weight of surfactant; 30 to 50 parts by weight of a binder;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of critical significance is expressed as a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extract, and when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상기 코팅 조성물은 무기 나노 입자; 실란 화합물; 계면활성제; 바인더; 분산제; 및 용매를 혼합 후, 10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여 제조한다. 제조된 코팅 조성물은 1,500 내지 2,000cps의 점도를 나타내며,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기재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 시 일정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여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을 용이하게 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inorganic nanoparticles; silane compounds; Surfactants; bookbinder; dispersant; And after mixing the solvent, it is prepared by stirring at 100 to 150 rpm. The prepared coating composition exhibits a viscosity of 1,500 to 2,000 cps,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in the viscosity range, thereby facilitating coating using a known coating method.
[제조예 1: 코팅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평균 직경이 3 내지 5㎛인 티탄산 바륨(barium titanate),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 알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폴리하이드로실록산 바인더, 물 및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를 혼합하고, 10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동안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Barium titanat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3 to 5 μm, a sila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화학식 1][Formula 1]
(여기서, n 은 10의 정수이다.)(Where n is an integer of 10.)
상기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모두 구매하여 코팅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었다. 보다 구체적인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Al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ating composition were purchased and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5×5cm 시편을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에 침지시키고, 90 내지 95℃에서 6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A 5×5 cm specimen was immersed in a coating composition of BB1 to BB11, and dried at 90 to 95° C. for 60 minutes to form a coating layer.
[실험예 1: 외관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Appearance evaluation]
상기 BB1 내지 BB11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코팅 시키기 전에 25℃에서 Brookfield점도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고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외관을 관찰하였다.Before coating the specimen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BB1 to BB11, the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Brookfield viscometer at 25° C., and after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the appearance was observed.
기재의 표면에 평탄하게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굴곡진 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은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였다.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case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degree of curvature.
○: 평탄한 코팅층 형성○: Formation of a flat coating layer
△: 일부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Forms a coating layer in a partially curved shape
×: 많은 부분에서 굴곡진 형태로 코팅층을 형성×: forming a coating layer in a curved shape in many parts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외관을 평가한 결과, 코팅 조성물의 함량 범위에 따라 점도가 다르게 측정되었으며 점도 범위에 따라 균일 코팅층 형성 여부에서 큰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Table 2], as a result of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substrate and evaluating the appearance, the viscosity was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nt range of the coating compos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a large difference was shown in whether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depending on the viscosity range. .
[실험예 2: 내오염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stain resistance]
실험번호 BB1 내지 BB6로 표면이 코팅된 시편을 마찰견뢰도 시험기(모델명 DL-2007)에 위치하고, 오염포(Test fabric, 품명 IEC carbon black/mineral oil, EMPA社)를 피오염 시료 표면에 위치하여, 10회 왕복 마찰 실시하고 피오염된 시료를 육안 비교하여 하기 표 2과 같이 오염 등급을 부여하였다.Specimens coated on the surface with test numbers BB1 to BB6 were placed in a friction fastness tester (model name DL-2007), and a stained cloth (Test fabric, product name IEC carbon black/mineral oil, EMPA)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sample to be contaminated, The reciprocating friction was performed 10 times and the stained samples were visually compared to give a pollution grade as shown in Table 2 below.
평기 기준은 하기와 같다.The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음◎: No contaminants are seen at all
○: 피오염물이 약간 보이거나 거의 눈에 띄지 않음○: Slightly visible or hardly noticeable contaminants
△: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보임△: Slightly badly stained
×: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보임×: The contamination is seen quite severely.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BB1은 피오염이 상당히 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BB 2 및 BB 6의 경우에는 피오염이 약간 심하게 나타났다. 반면 BB3 내지 BB5에서는 피오염물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피오염물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아, 내오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BB1 was significantly stained. In the case of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건축물의 지붕구조, 1000 : 판넬조립체
1100 : 제1 패널, 1200 : 제2 패널,
1300 : 심재부, 2000 : 결합판넬,
2 : 기설치된 판넬조립체, 3 : 인접하는 판넬조립체, 1: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1000: panel assembly
1100: a first panel, 1200: a second panel,
1300: core part, 2000: bonding panel,
2: pre-installed panel assembly, 3: adjacent panel assembly,
Claims (10)
각각의 상기 판넬조립체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수직상방으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제2 패널,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패널의 상면과 상기 제2 패널의 하면에 밀착 설치되는 심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은 순차적으로 적층결합되고,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판넬이 결합되며,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심재부의 하부면에 결합 설치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단차안착부; 및 상기 제1 판부의 타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판부에 대해 수직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판부와 수직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심재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2 판부; 상기 제2 판부의 일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판부의 타측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판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경사부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판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1 테이퍼부; 상기 제1 테이퍼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부와 밀착결합되는 제2 수평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와 밀착결합되도록 상기 제2 수평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넬은,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제1 연결부의 상부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 사이에 밀착 결합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심재부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심재부와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심재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의 일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단차안착부에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심재부의 상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 결합되는 제3 경사부;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상기 제2 수평부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상기 제3 경사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 수평부; 및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제1 체결부를 상기 제1 연결부에 체결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경사부의 상부에 접촉결합되면서 상기 제2 테이퍼부의 하부에 접촉결합되도록 상기 제3 수평부의 타측 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제4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안착부는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해 선단이 상기 제1 판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결합판넬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판넬조립체의 길이방향 길이의 0,1배 이상 내지 0.4배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넬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판넬의 수직방향 길이의 0,3배 이상 내지 0.5배 이하로 형성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구조.
In order to jointly couple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anel assembly to construct a roof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f structure, a plurality of the panel assemblies are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overlaps with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In the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in which the panel assembly of
Each of the panel assemblies includes a first pane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 second pane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nel facing vertically upward and having a constant width and length, an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and a core part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and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anel, wherein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bonded;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nel and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A coupling panel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The first panel may include a first plate par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re part; a step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a step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formed to be stepped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plate portion; including,
The second panel may include a second plate part coupled to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re part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vertically up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vertically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tapered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so as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tapered portion and close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tapered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so as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bonding panel is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 first fastening part closely coupled between an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or par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a lower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part of an adjacent panel assembly;
a cover part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re par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core part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to cover the core part;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ver part so as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step seating part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in the cas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 third inclined part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apered par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inclined part and the core part and press-coupled to the second inclined part;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a thir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so as to be contact-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while being contact-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of the panel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In this case, in order to fasten and fix the first coupling part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it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third horizontal part so as to be contact-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tapered part while being contact-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clined part. A fourth inclined portion to be included;
The step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fold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first plate portion or bent in the shape of a hook to form a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art,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nding panel is formed to be 0.1 times or more to 0.4 times or less of the lengthwise length of the panel assembly,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upling panel is 0,3 times or more to 0.5 times or less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upling panel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part,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anel assembly.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n improv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상기 결합판넬은 상기 기설치된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일측과 상기 인접하는 판넬조립체의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심재부 및 상기 제2 패널의 타측 사이의 연결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지붕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nel is a connection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pre-installed panel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nel, the core member, and the second panel of the adjacent panel assembly. A roof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art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250A KR102316158B1 (en) | 2020-12-02 | 2020-12-02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6250A KR102316158B1 (en) | 2020-12-02 | 2020-12-02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6158B1 true KR102316158B1 (en) | 2021-10-22 |
Family
ID=7827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6250A KR102316158B1 (en) | 2020-12-02 | 2020-12-02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615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542Y1 (en) * | 2008-09-11 | 2009-02-26 | 아이케이 주식회사 | Sandwich panel and joining structure thereof |
KR200474131Y1 (en) * | 2013-03-22 | 2014-08-26 | 박용갑 | Assembling panel for fireproof wall |
KR101549855B1 (en) * | 2014-05-23 | 2015-09-03 | (주)에이스지앤월드 | Sandwich Panel Structure |
KR20170043765A (en) | 2015-10-14 | 2017-04-24 | 김웅 | Sandwich panel that curved surface construction is available |
KR20180057188A (en) * | 2016-11-22 | 2018-05-30 |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 Roof panel assembly having a finishing materials |
-
2020
- 2020-12-02 KR KR1020200166250A patent/KR1023161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542Y1 (en) * | 2008-09-11 | 2009-02-26 | 아이케이 주식회사 | Sandwich panel and joining structure thereof |
KR200474131Y1 (en) * | 2013-03-22 | 2014-08-26 | 박용갑 | Assembling panel for fireproof wall |
KR101549855B1 (en) * | 2014-05-23 | 2015-09-03 | (주)에이스지앤월드 | Sandwich Panel Structure |
KR20170043765A (en) | 2015-10-14 | 2017-04-24 | 김웅 | Sandwich panel that curved surface construction is available |
KR20180057188A (en) * | 2016-11-22 | 2018-05-30 |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 Roof panel assembly having a finishing mater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86387B2 (en) | Duct insulation material and method of using | |
EP2421750B2 (en) | Composite laminate for a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blanket | |
EP2501780B1 (en) | Intumescent fire protection material | |
CN1262623C (en) | Fire stop article | |
KR102012178B1 (en) | Fire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40248814A1 (en) | Composite flame barrier | |
US8178177B2 (en) | Duct wrap and method for fire protecting a duct | |
CN1469807A (en) | Laminate sheet material for fire barrier applications | |
US20180134002A1 (en) | Woven, nonwoven, and expandable graphite composite material | |
JPH058344A (en) | Laminated body for protecting supporting body from flame and/or heat | |
KR102316158B1 (en)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
US20130045352A1 (en) | Non-woven fire barrier mat | |
KR102316156B1 (en) | Roof structure of building | |
KR20230146043A (en) | Thermal and Acoustic Fire Protection Felt | |
JP5735900B2 (en) | Flameproof cardboard | |
KR20200018164A (en) | A fire door | |
CN211948977U (en) | Space fire prevention acoustic absorber | |
KR20210010467A (en) | Non-flammable sound absorption panel | |
KR20150119844A (en) | Fire Resistant Structure | |
CN105874185A (en) | Housing made from an organic-matrix composite material promoting the discharge of smoke | |
US20080087492A1 (en) | Fire-resistant barrier | |
KR102538296B1 (en) | fireproof system for through-wall cable tray | |
KR20230109653A (en) | Formaldehyde scavenging agent | |
WO2020174998A1 (en) | Ceiling panel | |
CN218257146U (en) | Sound-insulation fireproof door core and fireproof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