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109B1 -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109B1
KR102316109B1 KR1020200065961A KR20200065961A KR102316109B1 KR 102316109 B1 KR102316109 B1 KR 102316109B1 KR 1020200065961 A KR1020200065961 A KR 1020200065961A KR 20200065961 A KR20200065961 A KR 20200065961A KR 102316109 B1 KR102316109 B1 KR 10231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moval
transfer
housing
modu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8091A (en
Inventor
김홍윤
박해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기술
Publication of KR2020013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2Applications of driv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복수 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단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물기제거모듈; 및 상기 물기제거모듈이 상기 이송부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모듈은 각각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고정자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개시한다.In an embodiment, a transf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a water removal module disposed on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 umbrella inserted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removal module to move on the transfer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each include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wherein the water removal module includes the It includes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corresponding to the stator, and the water removal module discloses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that moves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oils to which power is applied.

Description

우산 물기 제거장치{APPARATUS FOR DRYING UMBRELLA}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실시 예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우천시 건물 입구에는 우산 보관함 또는 비닐 공급장치가 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우산 보관함은 제한된 수량의 우산만을 수용할 수 있고, 비닐 공급장치는 비닐 소비량을 증가시켜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In case of rain, it is common to have an umbrella storage box or a plastic supply device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However, the umbrella storage box can accommodate only a limited number of umbrellas, and the vinyl supply device has a problem of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increasing vinyl consump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우산 물기 제거장치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s have been developed.

종래 개발된 우산 물기 제거장치 중 대부분은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행자가 개구에 우산을 삽입하면 바람, 열, 브러쉬 등에 의해 물기를 제거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Most of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s have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when a pedestrian inserts an umbrella into the opening, it has a structure that removes moisture by wind, heat, a brush, and the like.

하지만, 보행자는 물기가 제거될 동안 그 앞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보행 흐름을 방해하여 건물 입구가 혼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pedestrians had to wait in front of them while the water was being removed, thereby obstructing the flow of pedestrians and congesting the entrance to the building.

이에 따라, 보행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우산을 이송하면서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도 개발되었다.Accordingly, a device for removing water while transporting an umbrella along the movement path of a pedestrian has also been developed.

하지만, 이러한 장치의 대부분은 터널 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을 우산 이송장치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거나, 우산이 터널 내에서 우산 이송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장치 고장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개방 면적이 넓어 바람, 열 등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most of these devices are in the form of a tunnel, so it is not easy to fix the umbrella to the umbrella transport device, or if the umbrella is separated from the umbrella transport device in the tunnel, it may cause device failure, etc. There was a problem in that energy efficiency was lowered as heat wa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it i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0310호(2017.10.25, 에어분사 기구를 이용한 우산 물기제거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90310 (October 25, 2017, Umbrella water remover using air spray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490호(2014.06.24, 우산 탈수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7490 (2014.06.24, umbrella dewatering device)

실시 예는 보행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with high energy efficiency without impeding walking flow.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단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물기제거모듈; 및 상기 물기제거모듈이 상기 이송부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모듈은 각각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고정자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한다.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fer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a water removal module disposed on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 umbrella inserted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removal module to move on the transfer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each include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wherein the water removal module includes the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corresponding to the stator are included, and the water removal module is moved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oils to which power is applied.

상기 이송부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이송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제1 끝단에서 상기 제2 이송부의 제1 끝단까지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배치된 제3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제2 끝단에서 상기 제2 이송부의 제2 끝단까지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에 배치된 제4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모듈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돌기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모듈에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는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unit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transfer unit including two transfer modules, a first frame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a first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A third transfer unit including a third transfer module disposed on a first moving member, and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moving along the second frame a second moving member, and a fourth transfer unit including a fourth transfer module disposed on the second moving member, wherein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modules are disposed on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 coil to be wound may be inclu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modul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6 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은 각각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에 구비된 돌기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의 이격 방향은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의 이격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sixth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The module includes a stator includ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coil wound aroun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under the first moving member The spacing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spac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under the water removal module.

상기 제1 이송부의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은 각각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센서,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센서; 및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보행자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물기제거모듈이 상기 보행자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센서는 상기 제1 이송모듈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1 센서 및 상기 제1 이송모듈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2-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of the first transf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pedestria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water removal modul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praying parts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position where the pedestria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so that the water removal module is moved together with the pedestrian in the first direction control to be mov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s a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and ar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2-1 sensor and the first transfer module to detect the entry of the water removal module It may include a 2-2 sensor for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removal module.

상기 제어부는 n 번째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된 제1 센서에서 보행자의 진입 신호를 감지하면, n-1 번째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된 분사부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ensor disposed in the n-th first transfer module detects an entry signal of a pedestria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praying unit disposed in the n-1 first transfer module to spray the disinfectant.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물기제거모듈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removal module may include: the housing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water removal modules, respectively, and having the opening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air injection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to inject air into the housing, and a spiral groove or protrusion for guid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홈 또는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disposed under the first housing; and a ring-shaped air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rein the spiral groove or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에는 물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A water discharge pip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 내에는 수분흡수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 moisture absorb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광고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An advertisement board or a display panel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removal module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to support the umbrella, the second support part being disposed under the first support part,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cutouts while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up and down, respectively.

실시 예에 따르면, 물기제거모듈이 보행자의 이동 속도에 맞춰 이동할 수 있어 보행 흐름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removal module can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pedestrian,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impeding the walking flow.

또한, 물기제거모듈이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져, 보행자가 우산을 쉽게 삽입할 수 있고, 개방 면적이 넓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removal module is made in the form of a housing having an opening, a pedestrian can easily insert an umbrella, and the problem of low energy efficiency can be solved because the open area is wide.

또한, 복수 개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과 영구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 물기제거모듈을 이동시켜 보행자의 이동 속도에 맞춰 물기제거모듈의 이동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water removal module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pedestrian by moving the water removal module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oils and the permanent magnet.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물기제거모듈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제1 이송부와 제3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1 프레임에 제5 이송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사람의 이동에 따라 물기제거모듈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의 물기제거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물기제거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water removal modul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ure 1,
4A is a view showing a first transfer unit and a third transfer unit;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fth transfer module is disposed on the first frame,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removal module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pers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removal module of Figure 1,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removal module of Figure 1,
9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of FIG. 7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물기제거모듈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removal module moves,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out of a part of FIG.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복수 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이송부(11, 12, 13, 14), 이송부(11, 12, 13, 14) 상에 배치되고 상단 개구(51a)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을 수용하는 하우징(51)을 구비하는 물기제거모듈(50), 및 물기제거모듈(50)이 이송부(11, 12, 13, 14)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1, 2A, and 2B, the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unit 11, 12, 13, 14, a transfer unit 11, 12,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13 and 14) disposed on the water removal module 50 and the water removal module 50 having a housing 51 for accommodating the umbrella inser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51a, and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s transferred to (11, 12, 13) , 14) includes a control unit 70 that controls to move on.

우산 물기 제거장치(1)는 건물 입구 또는 에스컬레이터(2)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우산 물기 제거장치(1)는 설치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1)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building entrance or escalator (2).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1 may be disposed in various places requiring installation.

이송부(11, 12, 13, 14)는 물기제거모듈(50)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11)와 제2 이송부(12),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물기제거모듈(50)을 이동시키는 제3 이송부(13) 및 제4 이송부(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s 11, 12, 13, and 14 include a first transfer unit 11 and a second transfer unit 12 for moving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a first transfer unit 11 and a second transfer unit 1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include a third transfer unit 13 and a fourth transfer unit 14 for moving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n two directions (Y-axis direction).

보행자(3)는 건물 또는 엘리베이터에 진입하기 전에 제1 이송부(11) 상에 배치된 물기제거모듈(50)에 우산을 삽입할 수 있다. 우산이 삽입된 물기제거모듈(50)은 보행자(3)를 따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는 건물에 들어가기 전에 우산을 물기제거모듈(50)에서 수거하여 건물에 들어갈 수 있다.The pedestrian 3 may insert the umbrella into the water removal module 50 disposed on the first transfer unit 11 before entering the building or elevator.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n which the umbrella is inserted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long the pedestrian 3 . Therefore, the pedestrian can enter the building by collecting the umbrella from the water removal module 50 before entering the building.

물기제거모듈(50)은 하우징(51)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51)의 상면에는 개구(5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행자(3)는 개구(51a)를 통해 젖은 우산을 하우징(51)의 내부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include a housing 51, an opening 5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51, and the pedestrian 3 may hold a wet umbrella through the opening 51a into the housing ( 51)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11)의 제1 끝단(11a)까지 이동한 물기제거모듈(50)은 제3 이송부(13)에 의해 제2 이송부(12)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12)의 제1 끝단(12a)에서 제2 끝단(12b)으로 이동한 물기제거모듈(50)은 제4 이송부(14)에 의해 다시 제1 이송부(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물기제거모듈(50)은 제1 내지 제4 이송부(11, 12, 13, 14)를 순환할 수 있다.2A and 2B , the water removal module 50 that has moved to the first end 11a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12 by the third transfer unit 13 . have. In addition,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oved from the first end 12a to the second end 12b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is placed on the first transfer unit 11 again by the fourth transfer unit 14 . can b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circulate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units 11 , 12 , 13 and 14 .

제1 이송부(11)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21)은 물기제거모듈(50)을 제1-1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21)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21)의 개수는 건물과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21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module 21 may move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n the 1-1 direction (right direc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emplarily,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21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building.

제2 이송부(12)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이송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21)은 물기제거모듈(50)을 제1-2 방향(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이송모듈(2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이송모듈(21)의 개수와 제2 이송모듈(22)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second transfer unit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modules 22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transfer module 21 may move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n the 1-2 direction (left directio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modules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umber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21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22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이송부(13)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이송부(11)의 제1 끝단(11a)과 제2 이송부(12)의 제1 끝단(12a)과 마주보는 제1 프레임(13a), 제1 프레임(13a)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13b), 및 제1 이동부재(13b)에 구비되는 제3 이송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transfer unit 13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faces the first end 11a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first end 12a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A first frame 13a, It may include a first moving member 13b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first frame 13a, and a third transfer module 23 provided in the first moving member 13b.

물기제거모듈(50)은 제1 이송부(11)의 제1 끝단(11a)에서 제3 이송부(13)의 제1 이동부재(13b)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3b)는 제1 프레임(13a)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이송부(12)의 제1 끝단(12a)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move from the first end 11a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to the first moving member 13b of the third transfer unit 13 . The first moving member 13b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end 12a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by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first frame 13a.

이후, 제1 이동부재(13b)에 배치된 물기제거모듈(50)은 제2 이송부(12)의 제1 끝단(1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3 이송부(13)는 물기제거모듈(50)을 제1 이송부(11)의 제1 끝단(11a)에서 제2 이송부(12)의 제1 끝단(12a)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water removal module 50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member 13b may move to the first end 12a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 That is, the third transfer unit 13 may transfer the water removal module 50 from the first end 11a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to the first end 12a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

제4 이송부(1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이송부(11)의 제2 끝단(11b)과 제2 이송부(12)의 제2 끝단(12b)과 마주보는 제2 프레임(14a), 제2 프레임(14a)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14b) 및 제2 이동부재(14b)에 구비되는 제4 이송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th transfer unit 14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faces the second end 11b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second end 12b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A second frame 14a, It may include a second moving member 14b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frame 14a and a fourth transfer module 24 provided in the second moving member 14b.

물기제거모듈(50)은 제2 이송부(12)의 제2 끝단(12b)에서 제2 이동부재(14b)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부재(14b)는 제2 프레임(14a)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이송부(11)의 제2 끝단(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2 이동부재(14b)에 배치된 물기제거모듈(50)은 제1 이송부(11)의 제2 끝단(11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4 이송부(14)는 물기제거모듈(50)을 제2 이송부(12)의 제2 끝단(12b)에서 제1 이송부(11)의 제2 끝단(11b)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move from the second end 12b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to the second moving member 14b. The second moving member 14b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end 11b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by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second frame 14a. Thereafter, the water removal module 50 disposed on the second moving member 14b may move to the second end 11b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 That is, the fourth transfer unit 14 may transfer the water removal module 50 from the second end 12b of the second transfer unit 12 to the second end 11b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기제거모듈(50)은 제1 이송부(11), 제3 이송부(13), 제2 이송부(12), 및 제4 이송부(14)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순환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removal module 50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while sequentially moving along the first transfer unit 11 , the third transfer unit 13 , the second transfer unit 12 , and the fourth transfer unit 14 . becomes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이송부(11)와 제2 이송부(12)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이송부(11)가 반원(또는 반타원)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제2 이송부(12)가 반원(또는 반타원)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loop. Exemplarily, the first transfer unit 1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12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송부(11)의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21) 및 제3 이송부(13)의 제3 이송모듈(23)은 각각 복수 개의 고정자(ST1) 및 복수 개의 고정자(ST1)에 각각 권취되는 복수 개의 코일(C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21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and the third transfer module 23 of the third transfer unit 13 include a plurality of stators ST1 and a plurality of stators ( A plurality of coils C1 each wound around ST1 may be included.

고정자(ST1)는 Z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철심 또는 돌기(STa)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철심 또는 돌기(STa) 상호간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철심 또는 돌기(STa) 각각에는 코일(C1)이 결합될 수 있다.The stator ST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ron cores or projections STa protruding in the Z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iron cores or projections ST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A coil C1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iron cores or protrusions STa.

물기제거모듈(50)은 복수 개의 영구 자석(31)이 배치된 지지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구 자석(31) 상호간은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영구 자석(31)은 지지판(30)의 하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30 on which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31 are disposed.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31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0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복수 개의 영구 자석(31)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서로 다른 극성을 띨 수 있다.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31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such that N poles and S poles are alternately disposed.

제1 및 제3 이송모듈(21, 23)은 복수 개의 코일(C1)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지지판(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3상(U상, V상, W상) 제어를 통해 고정자(ST1)와 영구 자석(31)과의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켜 물기제거모듈(50)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및 제4 이송모듈(22, 24)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이송부(11, 12, 13, 14)에 배치된 고정자(ST1)의 돌기(STa)는 모두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third transfer modules 21 and 23 apply power to the plurality of coils C1 to move the support plate 30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thereby. Exemplarily, the water removal module 5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second direction by generating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tator ST1 and the permanent magnet 31 through three-phase (U-phase, V-phase, W-phase) control. can be moved to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and fourth transfer modules 22 and 24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That is, all of the protrusions STa of the stator ST1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units 11 , 12 , 13 and 1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예시적으로 물기제거모듈(50)은 제1 이송모듈(21)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3 이송모듈(23)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모듈(23)이 제2 이송모듈(22)의 끝단으로 이동하면 제3 이송모듈(23)의 코일(C1)에 전원을 인가하여 물기제거모듈(50)을 이동시킬 수 있다.Exemplarily,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move along the first transfer module 21 and move upwards of the third transfer module 23 . In addition, when the third transfer module 23 moves to the end of the second transfer module 22 ,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C1 of the third transfer module 23 to move the water removal module 50 . .

물기제거모듈(50)의 하우징(51)은 제1 하우징(51-1), 제2 하우징(51-2) 및 에어필터(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51 of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51-1, a second housing 51-2, and an air filter 51-3.

제1 하우징(51-1)은 제2 하우징(5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에어필터(51-3)는 제1 하우징(51-1)과 제2 하우징(5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51-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housing 51-2, and the air filter 51-3 includes the first housing 51-1 and the second housing 51-2. can be placed between them.

제1 하우징(51-1) 및 에어필터(51-3)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또는 고리 형상일 수 있고, 제2 하우징(51-2)은 상면만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housing 51-1 and the air filter 51-3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or annular shape with open top and bottom surfaces, and the second housing 51-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only an open top surface. can be

따라서, 하우징(51) 내에는 제1 하우징(51-1)의 상단 개구(51a)로부터 제2 하우징(51-2)에 이르는 우산 수납 및 물기제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n umbrella storage and water removal space extending from the upper opening 51a of the first housing 51-1 to the second housing 51-2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51 .

또한, 하우징(51) 내에는 우산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기가 공급될 수 있고, 하우징(51) 내로 공급된 외기는 우산 물기를 제거한 후 에어필터(5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outside air may be supplied in the housing 51 to remove the water from the umbrella, and the outside air supplied into the housing 5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filter 51-3 after removing the water from the umbrella. .

에어필터(51-3)는 하우징(51)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고, 하우징(51)은 에어필터(51-3)가 분리된 경우에도 제1 하우징(51-1)과 제2 하우징(51-2) 사이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51-1)과 제2 하우징(51-2)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air filter 51-3 can be replac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51, and the housing 51 has the first housing 51-1 and the second housing (51-3) even when the air filter 51-3 is removed. 51-2),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51-1 and the second housing 51-2 may be provided so as to maintain a space therebetween.

하우징(51) 또는 제1 하우징(51-1)의 외주면에는 광고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52)이 배치되어 보행자(3)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n advertisement board or a display panel 52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51 or the first housing 51-1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pedestrian 3 .

도 4a는 제1 이송부와 제3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제1 프레임에 제5 이송모듈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A is a view showing a first transfer unit and a third transfer unit, and FIG.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fth transfer module is disposed on the first frame.

도 4a를 참조하면, 제3 이송부(13)의 제1 이동부재(13b)는 제1 프레임(13a)을 따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3b)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송부재에 의해 제1 프레임(13a)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4b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13a)은 내부에 고정자(ST1)와 코일(C1)이 구비된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13a-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이동부재(13b)의 하부에는 제2 영구 자석(32a)이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지판(32)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C1)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 이동부재(13b)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도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first moving member 13b of the third transfer unit 13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along the first frame 13a. The first moving member 13b may move on the first frame 13a by a transfer member such as a conveyor bel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ferring to FIG. 4B , the first frame 13a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13a-1 having a stator ST1 and a coil C1 therein. have. 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32 in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32a ar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moving member 13b. Accordingly, power may be applied to the coil C1 to move the first moving member 13b in the second direction.

이때, 제1 프레임(13a)에 배치된 고정자(ST1)의 돌기(STa)의 이격 방향과 제1 이동부재(13b)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영구 자석(32a)의 이격 방향은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재(13b)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영구 자석(32a)들의 이격 방향은 제2 방향이므로 물기제거모듈(50)의 영구 자석(31)들이 이격된 제1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direction of the projections STa of the stator ST1 disposed on the first frame 13a and the spacing direction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32a disposed under the first moving member 13b are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placed as Therefore, since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permanent magnets 32a disposed under the first moving member 13b is the second direction, the permanent magnets 31 of the water removal module 5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rection. can

이와 동일하게 제4 이송부(14)의 제2 프레임(14a)에도 복수 개의 제6 이송모듈이 배치되고 제2 이동부재(14b)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a plurality of sixth transfer modules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ame 14a of the fourth transfer unit 14,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nder the second moving member 14b.

도 5a 및 도 5b는 사람의 이동에 따라 물기제거모듈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블록도이다.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water removal module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pers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이송부(11)의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21)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3)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센서(71), 물기제거모듈(50)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센서(72) 및 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75)를 포함할 수 있다.5A to 6 ,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21 of the first transfer unit 1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71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3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7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removal module 50, and a spraying unit 75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제어부(70)는 복수 개의 제1 센서(71)의 신호를 기초로 보행자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물기제거모듈(50)이 보행자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코일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detects that the pedestria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71, and applies power to the coil so that the water removal module 50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edestrian. can be authorized

제어부(70)는 보행자가 우산을 물기제거모듈(50)에 삽입한 후 이동하면 복수 개의 제1 센서(71)를 이용하여 현재 보행자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2 이송모듈(21b)에 배치된 제1-2 센서(71b)에서 검출 신호가 수신된 후 제1-3 센서(71c)에서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70)는 보행자가 제1-3 이송모듈(21c)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edestrian moves after inserting the umbrella into the water removal module 50 , the controller 70 may sens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71 . Exemplarily, after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1-2 first sensor 71b disposed in the 1-2 transfer module 21b and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1-3 sensor 71c,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pedestrian It can be determined that is passing through the 1-3 transfer module 21c.

따라서, 제어부(70)는 제1-2 이송모듈(21b)의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물기제거모듈(50)을 제1-2 이송모듈(21b) 상부에서 제1-3 이송모듈(21c)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 applies power to the coil of the 1-2 transfer module 21b to move the water removal module 50 from the upper part of the 1-2 transfer module 21b to the 1-3 transfer module 21c. can be moved to the top of the

이때, 제1-2 이송모듈(21b)의 제2 센서(72b)에서 아웃 신호가 인가되고 제1-3 이송모듈(21c)의 제2 센서(72c)에서 진입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70)는 물기제거모듈(50)이 제1-3 이송모듈(21c)의 상부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n out signal is applied from the second sensor 72b of the 1-2 transfer module 21b and an entry signal is applied from the second sensor 72c of the 1-3 transfer module 21c, the control unit 70 can be determined that the water removal module 50 ha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1-3 transfer module 21c.

제2 센서(72)는 이송모듈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기제거모듈(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72)는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센서(72)는 고정자(ST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물기제거모듈(50)에 배치된 영구 자석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72 may be disposed inside the transfer modu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water removal module 50 . The second sensor 72 may be, for example, a hall sensor. As described in FIG. 3 , the second sensor 7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tator ST1 to detect permanent magnets disposed in the water removal module 50 .

제어부(70)는 보행자가 제1-2 이송모듈(21b)을 지나간 것으로 판단되면 제1-2 이송모듈(21b)의 배치된 분사부(75)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다. 또는 보행자가 위치한 제1-3 이송모듈(21c)의 배치된 분사부(75)를 통해 소독제를 분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코로나 19와 같이 방역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른 보행자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estrian has passed the 1-2 transfer module 21b, the control unit 70 may spray the disinfectant through the spray unit 75 disposed in the 1-2 transfer module 21b. Alternatively, the disinfectant may be sprayed through the spraying unit 75 disposed in the 1-3 transfer module 21c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ection of other pedestrians in situations requiring quarantine, such as COVID-19.

도 7은 도 1의 물기제거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물기제거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지지부의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removal module of FIG. 1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removal module of FIG. 1 , and FIG. 9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part of FIG. 8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물기제거모듈(50)는 하우징(51) 및 에어분사부(53)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52), 수분흡수부재(54) 및/또는 지지부(55, 5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7 and 8 , the water removal module 50 may include a housing 51 and an air spray unit 53 , and a display panel 52 , a moisture absorption member 54 and/or a support unit ( 55, 56) may be further included.

하우징(51)은 복수 개의 지지판(30)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51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30 , respectively.

제1 하우징(51-1)의 상면에는 우산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51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하우징(51-1)의 상단에는 에어분사부(53)가 배치되는 삽입홀(51b)이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51a into which an umbrella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51-1, and an insertion hole (51) in which the air injection unit 53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51-1. 51b) may be formed.

제1 하우징(51-1)의 내측면에는 에어분사부(53)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홈(51c) 또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spiral groove 51c or a spiral protrusion for guid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5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51-1.

따라서, 하우징(51) 내에서는 나선형 공기 흐름이 형성되어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산 천이 일 방향으로 접히거나 말리게 하여 보행자가 우산을 수거한 후 이를 말아 고정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Therefore, a spiral air flow is formed in the housing 51 to remove moisture from the umbrella, and the umbrella cloth can be folded or dried in one direction to reduce the effort of rolling and fixing the umbrella after the pedestrian collects it. have.

에어분사부(53)는 외기를 하우징(51) 내로 공급하여 하우징(51) 내에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53 may supply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51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housing 51 .

수분흡수부재(54)는 제2 하우징(51-2) 내에 배치되어 우산에서 제거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펀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isture absorbing member 54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51-2 to absorb moisture removed from the umbrella,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ponge.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하우징(51-2)에는 물 배출관(51d)이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water discharge pipe 51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51-2.

다른 예시로, 제2 하우징(51-2)은 물 배출관(51d) 및 수분흡수부재(54)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housing 51-2 may include a water discharge pipe 51d and a water absorption member 54 at the same time.

또 다른 예시로, 제2 하우징(51-2)은 제2 하우징(51-2)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물 저장조(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housing 51 - 2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not shown) separable from the second housing 51 - 2 .

지지부(55, 56)는 제1 하우징(51-1)에 결합되어 우산을 지지할 수 있고, 제1 지지부(55) 및 제2 지지부(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s 55 and 56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51-1 to support the umbrella, and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55 and a second support part 56 .

제1 지지부(55)는 우산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부(56)는 제1 지지부(55)의 하부에 배치되어 우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55)와 제2 지지부(56) 사이의 Z 방향의 간격은 긴 우산과 짧은 우산 모두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55 ma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umbrell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6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support portion 55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umbrella. The interval in the Z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55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6 may be set to a size capable of supporting both the long umbrella and the short umbrella.

제3 센서(73)는 하우징(51)에 삽입되는 우산을 감지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73 may detect the umbrella inserted into the housing 51 .

제어부(70)는 제3 센서(73)로부터 센싱 값이 수신되면 에어분사부(53)를 구동할 수 있다.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from the third sensor 73 , the control unit 70 may drive the air spray unit 53 .

제어부(70)는 한 쌍의 제3 센서(73)가 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제3 센서(73)에서의 센싱 값에 따라 에어분사부(53)에서 분사되는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pair of third sensors 73 are spaced apart in the Z direction, the control unit 70 adjusts the air flow rate inject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53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pair of third sensors 73 . can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한 쌍의 제3 센서(73) 중 하나에서만 센싱 값이 수신되면 짧은 우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유량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고, 한 쌍의 제3 센서(73) 모두에서 센싱 값이 수신되면 긴 우산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긴 우산의 하단까지 나선형 공기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공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from only one of the pair of third sensors 73 ,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at the short umbrella is inserted, so that the air is supplied at a relatively low flow rate, and the pair of 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from all of the third sensors 73, it is determined that the long umbrella is inserted, and the air can be supplied at a relatively high flow rate so that the spiral air flow can be maintained up to the bottom of the long umbrella.

또한, 제어부는 물기 제어가 완료되면 내부 분사 모듈(76)을 이용하여 우산에 소독제를 분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spray the disinfectant to the umbrella using the internal spray module 76 when the moisture control is completed.

도 9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55) 및 제2 지지부(56)는 제1 하우징(51-1)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도록 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55a, 56a)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55b, 56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support part 55 and the second support part 56 may be formed in a membrane shape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51-1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parts may be form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55b, 56b)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utouts (55a, 56a).

복수 개의 탄성편(55b, 56b)은 각각 탄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pieces 55b and 56b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rubber.

따라서, 지지부(55, 56)는 우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흐름이 개구(51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s 55 and 56 can not only stably support the umbrella, but also minimize the flow of air through the opening 51a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복수 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단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우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물기제거모듈; 및
상기 물기제거모듈이 상기 이송부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모듈은 각각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고정자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복수 개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a transf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a water removal module disposed on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 umbrella inserted through an upper opening;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removal module to move on the transfer unit,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modules includes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a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The water removal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corresponding to the stator,
The water removal module is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that moves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oils to which power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이송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제1 끝단에서 상기 제2 이송부의 제1 끝단까지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배치된 제3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제2 끝단에서 상기 제2 이송부의 제2 끝단까지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에 배치된 제4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제4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모듈은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돌기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이송모듈에 배치된 복수 개의 돌기는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우산 물기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 first transf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transfer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frame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to the first en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a first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first frame, and a third transfer module disposed on the first moving member A third transfer unit comprising a, and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of the first transfer unit t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a second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second frame, and a fourth transfer module disposed on the second moving member Including a fourth transfer unit comprising a,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modules include a st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and a coil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A plurality of projections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transfer module is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6 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은 각각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5 이송모듈에 구비된 돌기에 권취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의 이격 방향은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의 이격 방향과 수직한 우산 물기 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sixth transfer module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includes a stator includ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coil wound around protrusion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fifth transfer modules,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under the first moving member is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under the water removal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복수 개의 제1 이송모듈은 각각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1 센서,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센서; 및 소독제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센서의 신호를 기초로 보행자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물기제거모듈이 상기 보행자과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센서는 상기 제1 이송모듈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1 센서 및 상기 제1 이송모듈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물기제거모듈의 이탈을 감지하는 제2-2 센서를 포함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transfer modules of the first transf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pedestrian mov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water removal modul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praying parts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The control unit detects a position where the pedestria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signals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and controls the water removal module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edestrian,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s ar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and a 2-1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e entry of the water removal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ransfer module to detect the departure of the water removal module.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2-2 sensor to do.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n 번째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된 제1 센서에서 보행자의 진입 신호를 감지하면, n-1 번째 제1 이송모듈에 배치된 분사부에서 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entry signal of a pedestrian from the first sensor disposed in the n-th first transfer module, the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for controlling to spray the disinfectant from the spraying unit disposed in the n-1 first transfe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물기제거모듈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면에 상기 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moval module,
the housing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water removal modules and having the opening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ncluding a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housing,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in which a spiral groove o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guide the air sprayed from the air injec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형 홈 또는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ousing i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disposed under the first housing; and
and a ring-shaped air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spiral groove or protrusion is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물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내에는 수분흡수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광고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water discharge pipe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A moisture absorb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An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in which an advertisement board or a display panel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우산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ater removal module,
It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and includes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umbrella,
The second support part is disposed under the first support part,
Umbrella wate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ut-outs extending radially while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up and down,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KR1020200065961A 2019-05-31 2020-06-01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KR1023161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78 2019-05-31
KR20190064378 201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91A KR20200138091A (en) 2020-12-09
KR102316109B1 true KR102316109B1 (en) 2021-10-25

Family

ID=7378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961A KR102316109B1 (en) 2019-05-31 2020-06-01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1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709A (en) 2022-02-17 2023-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Home umbrella stand with automatic drying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27B1 (en) 2003-08-01 2005-12-02 주 현 이 automatic umbrella dehydr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901A (en) * 1997-08-11 1999-03-02 Murata Mach Ltd Carrier moving device
KR20140077490A (en) 2012-12-14 2014-06-24 이희정 Umbrella dehydration apparatus
KR101790310B1 (en) 2017-03-10 2017-10-25 이철 Umbrella dryer by air spray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027B1 (en) 2003-08-01 2005-12-02 주 현 이 automatic umbrella dehyd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709A (en) 2022-02-17 2023-08-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Home umbrella stand with automatic dry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91A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109B1 (en) Apparatus for drying umbrella
KR101065613B1 (en) Linea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structure
KR101949198B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19224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US9712028B2 (en) Stator having three-line connection structure, BLDC motor using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1900456B1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0540913C (en) Fan motor assembly
KR100964539B1 (en) Linear motor
KR20140087674A (en) Magnetic levitation system having switch for guide elctromagnetic and stoping method thereof
EP2816148B1 (en) Wash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lancer thereof
US20210399599A1 (en) Method of rotor production including co-curing and magnetization in place
BR102016009612A2 (en) laminated cylinder structur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structure forming method
CN106335835A (en) Vibration Damper For Elevator Linear Propulsion System
EP2722971A2 (en) Motor and washing maching having the same
KR20130102665A (en) Mo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WO2013077828A1 (en) Drum moving motor for washing and dryer machines
WO2014109499A1 (en) Armature of coreless linear motor and coreless linear motor using same
US11025186B2 (en) Electric linear moto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a mover with respect to a stator beam of an electric linear motor
KR101180730B1 (en) Motor for driving lens
KR101743955B1 (en) Maglev-typ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US20150200579A1 (en) Motor r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012019B2 (en) Electric linear moto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a mover with respect to a stator beam of an electric linear motor
JP6199635B2 (en) Passenger conveyor and control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JP2011147246A (en) Electric motor
JP3144837B2 (en) Magnetic levitation trave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