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4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40B1
KR102315340B1 KR1020170055675A KR20170055675A KR102315340B1 KR 102315340 B1 KR102315340 B1 KR 102315340B1 KR 1020170055675 A KR1020170055675 A KR 1020170055675A KR 20170055675 A KR20170055675 A KR 20170055675A KR 102315340 B1 KR102315340 B1 KR 10231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source
reference signal
base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231A (ko
Inventor
홍성남
김찬홍
윤여훈
임종부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40B1/ko
Priority to PCT/KR2018/003983 priority patent/WO2018199496A1/ko
Priority to US16/609,167 priority patent/US11296824B2/en
Publication of KR2018012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04L1/0068Rate matching by pun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의 재할당을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술 개발에 기반하여, 5G 시스템은 기존 4G 시스템 대비 보다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서비스를 지향하는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서비스를 지향하는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 간 통신 서비스를 지향하는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인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가 있다. 이 중 URLLC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로서,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 패킷 에러율 10- 5)과 저 지연(예: 0.5msec 지연시간) 조건의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적용이 필요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천공(puncturing)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천공되지 아니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의 재할당을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기 위해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자원의 재할당을 위해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기 위해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선취 기반 다중화(preemption based multiplexing) 방식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의 신호에 대한 천공에 관련한 제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성능 저하 없이,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공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에서 자원의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의 자원 할당 영역에 제2 서비스가 할당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매핑 패턴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심볼에 제2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상황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이동 가능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천공을 고려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천공된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회피하여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회피하여 제2 서비스에 자원이 할당된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의 공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NR(new radio))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 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13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및 단말 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및 단말 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한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 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단,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은 빔포밍을 수행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 110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 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 242 및 서비스들의 공존을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2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스케줄러는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재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비스의 신호가 천공될 수 있으며, 제어 정보 생성부 244는 관련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러 242 및 제어 정보 생성부 244는 저장부 23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 24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 240를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40은 기지국 11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 120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 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 12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코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단말 120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천공 또는 기준 신호의 처리에 관련되는 제어 정보를 해석하고,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복호 및 복조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무선통신부 2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a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볼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볼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볼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 110, 단말들 120, 130은 5G 기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3G(3rd generation) 및 4G(4th generation)(예: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advanced)) 통신 시스템과 대비할 때 매우 넓은 대역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3G 및 4G통신 시스템의 경우,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의 지원을 고려하여 기술 표준이 정의되었으나, 5G 통신 시스템의 경우, 상위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기술 표준이 정의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크게 3가지의 서비스들에 대한 범례(use case)들을 정의한다. 5G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3가지 서비스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된 전송 속도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인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 둘째, 초(超)저지연 및 고(高)신뢰성에 기반한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 셋째, 대규모의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통신으로서,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 없이 사물들 간(間) 무선으로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획득 및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인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서비스가 있다.
상술한 3가지 서비스들은 하나의 기지국 110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단말 120은 eMBB 서비스를 제공받고, 단말 130은 URLLC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eMBB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eMBB 단말', URLLC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URLLC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eMBB 서비스는 '데이터 통신' '데이터 통신 서비스'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용어 중 하나로 지칭될 것이며, 각각의 용어들이 혼용하여 사용되더라도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URLLC 서비스는 '초저지연 서비스' 또는 '고신뢰성 서비스', '초저지연 통신' '고신뢰성 통신'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용어 중 하나로 지칭될 것이며, 각각의 용어들이 혼용하여 사용되더라도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eMTC 서비스는 '사물 인터넷', '사물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용어 중 하나로 지칭될 것이며, 각각의 용어들이 혼용하여 사용되더라도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URLLC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높은 신뢰성 및 낮은 지연을 만족하기 위해, URLLC 서비스에 대하여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적용 및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네트워크 환경에서, eMBB 서비스는 eMBB 슬롯(slot)을 기준으로 스케줄링하여 운용하고, URLLC 서비스는 eMBB 슬롯보다 짧은 URLLC 슬롯을 기준으로 스케줄링하여 운용하는 시나리오가 고려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기지국은 이미 스케줄링된 eMBB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URLLC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eMBB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URLLC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저지연을 요구하는 URLLC 서비스의 특성 상, 기지국 110은 eMBB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 중 일부를 URLL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재할당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미 eMBB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 중 일부를 eMBB 데이터 대신에 URLLC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재할당하는 경우, eMBB 데이터를 수신하던 단말은 URLLC 데이터를 eMBB 데이터로 오인하고, eMBB 데이터로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에서의 데이터의 수신 성능에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eMBB 데이터 대신 URLLC 데이터를 전송할 때, eMBB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가 제거되면, eMBB 서비스의 채널 추정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eMBB 서비스에 심각한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DMRS 제거에 의한 eMBB 서비스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이 eMBB 서비스를 위한 DMRS를 회피하여 URLLC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DMRS의 손상 없이, URLLC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서비스들이 지원되는 경우, 기준 신호에 대한 처리 및 관련된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서비스들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 또는 '제1종(type) 서비스' 및 '제2종 서비스'와 같은 표현들로 구분된다.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의 구체적인 예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서비스는 eMBB 서비스, 제2 서비스는 URLLC 서비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준 신호에 대한 처리 및 관련된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 간 자원 할당의 기본적인 방식을 살펴보면 이하 도 5a 및 도 5b와 같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에서 자원의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에서, 가로축은 시간(time) 자원이며, 세로축은 주파수(frequency) 자원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할당은 주파수 자원과 시간 자원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시간 자원의 할당 단위는 서비스들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5a는 제1 서비스에 시간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제1 서비스에서 시간 자원을 할당하는 단위는 긴(long) 슬롯 510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슬롯은 TTI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서비스에 할당된 긴 슬롯 510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예: eMBB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영역 512, 제1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 514을 포함한다.
영역 514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이다. 추가적으로, 영역 514에서, 데이터 신호의 복조 및 복호를 위한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데이터 신호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기준 신호는 DMRS일 수 있다. 기준 신호의 매핑 패턴은 다양하게 정의되고, 다수의 매핑 패턴들 중 어느 하나가 단말의 환경, 예를 들어, 채널 상황 및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매핑 패턴들은 도 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매핑 패턴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서비스(예: eMBB 서비스)를 위해 사용 가능한 기준 신호(예: DMRS)의 패턴들을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 내에 다수의 기준 신호들이 매핑된다. 이때, 패턴들 610, 620, 630, 640, 650, 660, 670에서, 기준 신호의 시간 축 간격 및 주파수 축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패턴 610 및 패턴 620을 비교하면, 기준 신호들의 시간 축 분포가 서로 다르다. 패턴 610 및 패턴 620의 차이는 채널 추정으로 인한 신호 처리의 지연을 고려한 결과이다. 패턴 601과 같이 상대적으로 기준 신호가 시간 축에서 앞서 매핑되면, 신호 처리의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 패턴 650 및 패턴 660도 유사한 원리에 따라 차이를 가진다.
패턴 630 및 패턴 640을 비교하면, 기준 신호들의 주파수 축 간격이 서로 다르다. 패턴 630 및 패턴 640의 차이는 채널의 주파수 축 변화를 고려한 결과이다. 패턴 640과 같이 주파수 축에서 기준 신호의 해상도(resolution)가 높으면, 주파수 축에서의 큰 채널 변화로 인한 채널 추정 오류가 감소될 수 있다. 패턴 610 및 패턴 650도 유사한 원리에 따라 차이를 가지며, 패턴 620 및 패턴 660도 유사한 원리에 따라 차이를 가진다.
패턴 660 및 패턴 670을 비교하면, 기준 신호들의 시간 축 간격이 서로 다르다. 패턴 660 및 패턴 670의 차이는 채널의 시간 축 변화를 고려한 결과이다. 여기서, 채널의 시간 축 변화는 도플러(doppler) 주파수의 크기로 표현될 수 있다. 패턴 670과 같이 시간 축에서 기준 신호의 해상도가 높으면, 시간 축에서의 큰 채널 변화로 인한 채널 추정 오류가 감소될 수 있다. 패턴 620 및 패턴 640도 유사한 원리에 따라 차이를 가진다.
도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의 자원 할당 영역에 제2 서비스가 할당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의 경우, 도 5a와 유사하게, 주파수 자원의 단위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일정한 수의 주파수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비스를 위한 자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긴 슬롯 510 단위로 할당될 수 있다. 반면, 도 5b를 참고하면, 제2 서비스를 위한 자원은 긴 슬롯 510 단위가 아닌 짧은 슬롯 520 단위로 할당될 수 있다. 짧은 슬롯 520은 '미니(mini) 슬롯'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긴 슬롯 510의 내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 514는 둘 이상의 짧은 슬롯 5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3개의 짧은 슬롯을 520-1 내지 520-3이 포함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긴 슬롯 510의 데이터 전송 영역 514는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짧은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단말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기지국은 긴 슬롯 510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긴 슬롯 510의 내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서비스 제어 채널을 위한 영역 512,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영역 514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영역 512을 이용하여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은 영역 512에서 제어 정보를 먼저 수신하고,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비스 데이터는 초지연 및 고신뢰성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비스 데이터가 버스트(burst)하게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2 서비스 데이터를 비교적 긴급하게 송신해야 한다. 따라서,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짧은 슬롯 520 단위로 자원이 할당되며, 짧은 지연으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제2 서비스 데이터는 짧은 슬롯 단위로 송신되므로, 사용 가능한 자원,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에 이미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 간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할 때, 제2 서비스가 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기지국은 이미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들(예: 긴 슬롯 510의 영역 514) 중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도 5b는 특정한 단말에 할당된 제1 서비스 자원 중 일부를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다시 말해, 도 5b는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영역 514의 일부에서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나, 영역 514이 이미 특정한 단말로 전송할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위해 할당된 상황을 예시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영역 514 중 일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제거(removing)하고, 제거된 위치에서 제2 서비스 데이터 522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는 선취 기반 다중화(preemption based multiplexing)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거는 '천공(puncturing)'으로 표현될 수 있다. 기지국이 제1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구간 514 중 일부에 할당된 데이터를 천공하고, 제거된 위치에 제2 서비스 데이터 522을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에서는 수신된 데이터에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제1 서비스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비스 단말에게 할당된 긴 슬롯 510 내에서 제2 서비스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제1 서비스 단말은 제2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에 대하여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는 실패할 수 있다. 복조 및 복호의 실패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된 데이터를 결합(combining)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단말로 송신되는 신호와의 결합에 의해 다시 복조 및 복호가 실패하고, 일반적인 경우보다 많은 횟수의 재전송이 요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서비스 데이터로 인하여 시스템에서 많은 재전송이 필요하게 되므로, 대역의 낭비는 물론, 단말에서 불필요한 소모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에 의한 제1 서비스 단말의 수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재전송 시, 기지국이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예: 영역 512)로 이전 송신 신호가 제2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위치를 알려주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를 위한 제어 채널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 수신 신호 중 제2 서비스 데이터의 부분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 및 새로이 수신한 재전송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재전송 시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존부 및 위치를 알려주더라도, 초기 전송 신호의 수신 실패는 개선되지 아니하며, 적어도 1회의 재전송이 요청될 것이 예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b와 같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 중 일부를 이용하여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1 서비스 단말이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송신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명시적(explicit) 혹은 암시적(implicit)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비스 데이터는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이 전송된 이후(예: 영역 512 이후)에 송신될 수 있으므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서비스 데이터 전송 이후의 제1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영역(예: 영역 514) 중 일부가 고정적 혹은 가변적으로 지시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지시 정보는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예: 영역 512)에서 제1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거나, 제2 서비스 데이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제어 채널(예: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유니캐스트(unicast)될 수 있다. 지시 정보를 송신할 경우, 단말은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 복조 및 복호할 수 있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비스 단말이 지시 정보를 통해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존부를 인지하더라도, 제1 서비스의 수신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의 수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호들이 제2 서비스 지원을 위해 제거된 경우, 지시 정보에 의한 성능 개선은 크지 아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천공된 제1 서비스 신호에 기준 신호(예: DMRS)가 포함된 경우, 단말 수신 신호 중 제2 서비스 데이터의 위치를 알고 있더라도, 복호 성능이 크게 열화될 수 있다. 기준 신호의 천공으로 인해, 채널 추정 성능이 크게 열화되기 때문이다.
기준 신호가 천공되는 경우는 도 7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심볼에 제2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상황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서비스의 슬롯(예: 긴 슬롯 510)에서 2개의 제1 서비스들 710-1, 710-2이 제공된다. 제1 서비스들 710-1 및 710-2에 할당된 자원 중 일부 영역들 712-1, 712-2에 기준 신호들이 매핑된다. 영역들 712-1, 712-2을 구성하는 하나의 하위단위체(subunit)는 시간 축으로 하나의 심볼을 점유하고, 주파수 축으로 다수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위단위체는 하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와 동일한 개수의 부반송파들을 점유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축에서 영역들 712-1, 712-2의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단위로서, PRB가 사용될 수 있다.
영역들 712-1, 712-2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일정 패턴에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패턴은 도 6에 도시된 패턴들 610, 620, 630, 640, 650, 660, 670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단말들의 채널 환경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서비스#1 710-1 및 제2 서비스#2 710-2에 서로 다른 기준 신호 패턴들이 적용된다. 동시에, 제2 서비스 720가 제1 서비스의 슬롯 내에서 제공되며, 제2 서비스의 슬롯은 제1 서비스들 710-1 및 710-2을 위한 기준 신호에 할당된 자원(예: RE(resource element))과 동일한 심볼(예: OFDM 심볼) 내의 자원을 점유한다. 이에 따라, 기준 신호들의 천공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들이 천공되는 경우, 제1 서비스 단말들의 채널 추정 오류가 급격히 증가될 수 있고, 이는 오류 성능(error performance)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준 신호(예: DMRS)는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 적용 가능하므로, 도 7과 같은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신호가 천공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의 다중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지국이 제2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 중 일부에서 제1 서비스 신호를 천공하고, 제2 서비스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1 서비스 수신 성능 열화를 감소시키고, 제2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이하, 제1 서비스 신호를 천공하는 다양한 방식들, 제2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에게 전달해야 하는 제어 정보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들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제2 서비스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들에게 제1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비스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에게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의 일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에게 할당되는 자원은 시간 축에서 제1 서비스의 슬롯(예: 긴 슬롯 510)을 점유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즉, 제1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후, 제1 서비스의 신호 송신 전, 기지국은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발생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의 발생 여부는 상위 노드로부터의 통지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8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후,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제1 서비스의 신호의 천공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다시 말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801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줄링에 따라 제1 서비스의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발생하면, 807 단계에서, 기지국은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량을 산출하고, 제2 서비스에서 허용하는 최대 지연 시간 내의 영역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이 존재하면, 기지국은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이 필요한 자원량 이상의 크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 809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제2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최대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 할당되지 아니한 빈 자원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할 수 있다.
이어, 81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한다.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중첩되지 아니하므로, 제1 서비스의 신호의 천공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다시 말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요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801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줄링에 따라 제1 서비스의 신호들을 송신하고, 추가적으로 제2 서비스의 신호들을 더 송신할 수 있다.
807 단계에서,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면, 813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 중 적어도 일부를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즉,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를 천공할 것을 판단하고, 천공된 신호에 할당되었던 자원을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한다. 이때, 제2 서비스에 재할당되는 자원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와 동일한 심볼 내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천공되는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81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천공에 의한 채널 추정 성능의 열화를 대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서비스를 위한 슬롯 내에 기준 신호가 송신됨을 알리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천공되는 기준 신호에 다른 자원을 할당하거나, 또는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817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이 제2 서비스에 재할당되었으므로, 제1 서비스의 신호들 중 적어도 일부가 천공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 또는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의 신호가 천공되는 경우,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천공에 의한 성능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기준 신호에 관련된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는 천공되지 아니하고, 데이터 신호만 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가 제2 서비스 단말에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제2 서비스 단말이 기준 신호가 매핑된 자원에서 제2 서비스의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기준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실시 예들이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자원은 '기준 신호 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9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9a를 참고하면, 9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영역 내의 자원들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이때, 기준 신호는 천공되지 아니하고, 동일한 심볼에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가 매핑될 수 있다.
903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묵시적으로 지시되는 경우,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지시되는 경우,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기준 신호들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정보(예: 비트맵), 기준 신호들이 매핑된 자원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 자원 영역 내의 기준 신호의 패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영역은 기준 신호 자원의 분포에 기반하여 정의되거나, 또는 기준 신호 자원과 무관하게 정의될 수 있다.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는 제2 서비스 단말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는 '회피 영역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 정보는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제2 서비스의 데이터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9b는 단말 120 또는 단말 13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2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9b를 참고하면, 951 단계에서, 단말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묵시적으로 지시되는 경우,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지시되는 경우,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기준 신호들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정보(예: 비트맵), 기준 신호들이 매핑된 자원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 자원 영역 내의 기준 신호의 패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영역은 기준 신호 자원의 분포에 기반하여 정의되거나, 또는 기준 신호 자원과 무관하게 정의될 수 있다.
953 단계에서, 단말은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처리한다. 다시 말해, 제2 서비스 단말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은 제2 서비스의 슬롯 내에 매핑된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에 매핑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 과정에서 배제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가 기지국에서 제2 서비스 단말로 알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서비스 단말은 제1 서비스의 신호(예: 기준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를 구분하고, 제2 서비스의 신호만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b를 참고하여,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신호 자원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 정보는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들이 매핑된 자원 영역의 위치 및 각 자원 영역에서 기준 신호의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자원 영역은 하나의 패턴으로 배치된 기준 신호들에 대응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패턴으로 배치된 기준 신호들은 '기준 신호 집합(set)'이라 지칭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1b를 참고하여 기준 신호 집합 별로 패턴이 시그널링되는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1001 단계에서, 기지국은 n번째 기준 신호 집합의 위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n은 본 절차 시작 시 1로 초기화된다. n번째 기준 신호 집합은 특정 단말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들에 할당된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집합의 위치는 주파수 축에서의 시작점 및 길이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1003 단계에서, 기지국은 n번째 기준 신호 집합의 패턴을 확인한다. 기준 신호의 패턴은 주파수 축에서 연속되는 기준 신호의 개수, 주파수 축에서 불연속하는 기준 신호들 간 간격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n번째 기준 신호 집합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단말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n번째 기준 신호 집합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모든 기준 신호 집합들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모든 기준 신호 집합들이 확인되지 아니하였으면, 다시 말해, 확인할 기준 신호 집합이 남아 있으면, 기지국은 1007 단계에서 n을 1 증가시키고, 1001 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모든 기준 신호 집합들이 확인되었으면, 1009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 집합 별 위치 및 패턴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각 기준 신호 집합의 위치는 특정 자원 단위(예: PRB, 부반송파 또는 RE)의 인덱스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고, 각 기준 신호 집합의 패턴은 패턴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 집합들의 개수 만큼의 위치 관련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들 및 패턴 관련 정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모든 기준 신호 집합들의 위치 및 패턴을 확인한 후 생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는 각 기준 신호 집합의 위치 및 패턴 확인 시 마다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009 단계는 기지국이 기준 신호 집합 별 위치 및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들을 연접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a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서비스가 eMBB, 제2 서비스가 URLLC인 구체적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11a를 참고하면, 110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어, 110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통해 결정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따라 eMBB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자원에 매핑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11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1107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은 1101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줄링에 따라 eMBB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면, 1109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의 MCS 레벨을 결정한다. 이어, 111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면, 1113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1115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11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1113 단계에서 할당된 자원에 1115 단계에서 생성된 신호를 매핑한다. 이어, 1119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및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1111 단계에서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112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DMRS를 회피하도록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즉, 기지국은 eMBB 자원 중 일부를 URLLC에 재할당하되, DMRS 자원은 재할당되지 아니하도록 재할당되는 자원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심볼에서, 일부 자원은 eMBB를 위한 DMRS에 할당되고, 일부 자원은 URLLC에 할당될 수 있다. 이어, 112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천공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RLLC에 할당된 자원들을 eMBB 천공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1125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DMRS 회피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DMRS 회피 영역 정보는 DMRS 집합 별 위치 정보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RS 회피 영역 정보는 도 10의 1009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112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129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이어, 113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URLLC 신호, DMRS 회피 영역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DMRS 회피 영역 정보는 URLLC 신호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eMBB 신호들의 일부가 천공되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에서 URLLC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도 11a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URLLC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신호들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1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1b를 참고하면, eMBB 슬롯 내에서 eMBB#1 1110-1, eMBB#2 1110-2, eMBB#3 1110-3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eMBB를 위한 DMRS들은 천공되지 아니하고, eMBB 데이터 신호들이 일부가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eMBB 데이터 신호가 천공된 위치의 자원이 URLLC 1120에 할당된다. 단, URLLC 자원 중 일부 1122는 eMBB 신호를 천공하지 아니하더라도 할당될 수 있다. URLLC 1120에 할당된 자원 중 eMBB 신호를 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영역은 복수의 eMBB 단말들에게 할당한 자원 영역일 수 있다.
DMRS를 포함하는 영역들 1112-1, 1112-2, 1112-3 내의 DMRS 패턴들은 단말에 특정하게(specific) 설정될 수 있으므로, 각 eMBB 단말에게 할당된 DMRS들의 패턴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1b의 경우, eMBB#1 1110-1 단말은 주파수 축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은 채널 환경에 있으며, eMBB#2 1110-2를 제공받는 단말은 주파수 축 채널가 상대적으로 큰 채널 환경에 있다. 기지국은 각 eMBB에 할당된 자원 영역에서 DMRS들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DMRS들을 천공하지 아니하고, eMBB 데이터 신호를 천공한 후,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URLLC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URLLC 1120의 슬롯 내의 일부 자원에 eMBB DMRS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URLLC 1120의 슬롯 내의 일부 자원에 서로 다른 패턴들의 eMBB DMRS 집합들이 존재할 수 있다. URLLC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들 중 eMBB DMRS를 제외한 나머지 자원을 이용하여 URLLC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URLLC 1120의 슬롯 중 eMBB 신호를 천공한 위치 및 eMBB DMRS들의 패턴 정보를 URLLC 단말에게 송신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 정보 1124(예: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eMBB DMRS들을 포함하는 영역들 1112-1, 1112-2, 1112-3의 위치 및 DMRS의 패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eMBB DMRS들을 회피하기 위한 영역들 1112-1, 1112-2, 1112-3의 위치 및 각 영역의 DMRS의 패턴에 관한 정보가 URLLC 1120의 제어 정보 1124를 통해 URLLC 단말에게 송신한다. 도 11b의 경우, eMBB#1 1110-1을 위한 DMRS들은 URLLC 1120의 슬롯 내에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제어 정보 1124는 eMBB#2 1110-2를 위한 DMRS들 및 eMBB#3 1110-3을 위한 DMRS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1b와 같이, 제어 정보 1124는 DMRS 집합#1의 위치 정보 1126-1 및 패턴 정보 1128-1, DMRS 집합#2의 위치 정보 1126-2 및 패턴 정보 1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 1126-1 또는 1126-2는 해당 DMSR가 매핑된 자원(예: PRB, 부반송파 또는 RE)들의 시작 위치 및 연속된 자원들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고, 패턴 정보 1128-1 또는 1128-2는 해당 자원 영역에 포함된 DMRS들의 패턴(예: 패턴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들의 시작 위치가 PRB#8, DMRS들이 매핑된 PRB들의 개수가 16개, 패턴 인덱스가 1인 경우, 해당 DMRS 집합에 대한 위치 및 패턴은 "0001000 10000 001"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1b의 예의 경우, 제어 정보 1124는 URLLC 1120의 슬롯 내에서 DMRS들을 포함하는 영역들 1112-2, 1112-3이 존재하는 심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영역들 1112-2, 1112-3이 매핑되는 심볼의 위치는 미리 정의된 DMRS 패턴들로부터 확인될 수 있으므로, URLLC 단말은 별도의 정보 없이도, URLLC 1120의 슬롯 내에서 DMRS들을 포함하는 영역들 1112-2, 1112-3이 존재하는 심볼을 식별할 수 있다. 단,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 1124는 URLLC 1120의 슬롯 내에서 DMRS들을 포함하는 영역들 1112-2, 1112-3이 존재하는 심볼에 관한 정보(예: 심볼 인덱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기준 신호 집합 별로 기준 신호의 위치 및 패턴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URLLC의 제어 채널은 10-5보다 작은 BLER(block error rate)을 요구하므로, 제2 서비스가 URLLC 인 경우,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를 가능한 줄이고, 강력한 채널 부호화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제2 서비스의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실시 예를 이하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들은 그룹화되고, 각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의 회피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2 서비스의 각 자원 그룹에 적용된 기준 신호의 회피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2 서비스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그룹화를 통해, 전술한 실시 예 대비, 제2 서비스의 제어 신호의 오버헤드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b를 참고하여 자원 그룹 별로 패턴이 시그널링되는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1201 단계에서, 기지국은 n번째 자원 그룹 내에 기준 신호가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n은 본 절차 시작 시 1로 초기화된다. 제2 서비스의 슬롯은 주파수 축에서 다수의 자원 그룹들로 분할되며, 기지국은 각 자원 그룹에 내에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n번째 자원 그룹 내에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기지국은 이하 1203 단계를 생략하고, 이하 1205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n번째 자원 그룹 내에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존재하면, 1203 단계에서, 기지국은 n번째 자원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 집합 내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패턴을 확인한다. 자원 그룹들의 경계 및 기준 신호 집합들의 경계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하나의 자원 그룹 내에 둘 이상의 기준 신호 집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 집합들의 기준 신호 패턴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서로 다른 기준 신호 패턴들을 포괄할 수 있는 하나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1205 단계에서, 기지국은 모든 자원 그룹들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모든 자원 그룹들이 확인되지 아니하였으면, 다시 말해, 확인할 자원 그룹이 남아 있으면, 기지국은 1207 단계에서 n을 1 증가시키고, 1201 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모든 자원 그룹들이 확인되었으면, 1209 단계에서, 기지국은 자원 그룹 별 패턴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각 자원 그룹의 패턴은 패턴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는 자원 그룹들의 개수 만큼의 패턴 관련 정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모든 자원 그룹들의 패턴들을 확인한 후 생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는 각 자원 그룹의 패턴 확인 시 마다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209 단계는 기지국이 자원 그룹 별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들을 연접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서비스가 eMBB, 제2 서비스가 URLLC인 구체적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13a를 참고하면, 130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어, 130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통해 결정된 MCS에 따라 eMBB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자원에 매핑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13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1307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은 1301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줄링에 따라 eMBB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면, 1309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의 MCS 레벨을 결정한다. 이어, 131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면, 1313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1315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31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1313 단계에서 할당된 자원에 1315 단계에서 생성된 신호를 매핑한다. 이어, 1319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및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1311 단계에서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1321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의 그룹 별 회피해야 할 eMBB DMRS들의 패턴을 결정한다. 이어, 1323 단계에서, 기지국은 그룹 별 회피해야 할 자원량을 반영하여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기지국은 eMBB 자원 중 일부를 URLLC에 재할당하되, DMRS 자원은 재할당되지 아니하도록 재할당되는 자원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심볼에서, 일부 자원은 eMBB를 위한 DMRS에 할당되고, 일부 자원은 URLLC에 할당될 수 있다. 이어, 1325 단계에서, 기지국은 그룹 별 eMBB DMRS 회피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DMRS 회피 패턴 정보는 자원 그룹 별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RS 회피 패턴 정보는 도 12의 1009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132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329 단계에서, 기지국은 그룹 별 회피해야 할 eMBB DMRS 패턴을 고려하여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이어, 133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URLLC 신호, 그룹 별 DMRS 회피 패턴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그룹 별 DMRS 회피 패턴 정보는 URLLC 신호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eMBB 신호들의 일부가 천공되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에서 URLLC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도 13a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URLLC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신호들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들의 패턴을 알리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3b를 참고하면, eMBB 슬롯 내에서 eMBB#1 1310-1, eMBB#2 1310-2, eMBB#3 1310-3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eMBB를 위한 DMRS들은 천공되지 아니하고, eMBB 데이터 신호들이 일부가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eMBB 데이터 신호가 천공된 위치의 자원이 URLLC 1320에 할당된다.
URLLC 1320의 슬롯 내의 자원들은 주파수 축으로 그룹화(grouping)될 수 있다. 도 13b의 예의 경우, 4개의 자원 그룹들 1330-1 내지 1330-4가 형성된다. 자원 그룹들 1330-1 내지 1330-4 각각에 대하여 eMBB DMRS들을 회피할 수 있는 천공 패턴이 결정되며, eMBB 신호들 중 일부가 천공된다. 이때, 자원 그룹들 1330-1 내지 1330-4 각각에서, 포함된 모든 DMRS들을 회피할 수 있도록 패턴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자원 그룹#2 1330-2는 eMBB#2를 위한 DMRS를 포함하는 영역들 1330-2의 일부 및 eMBB#3을 위한 DMRS를 포함하는 영역들 1330-3의 일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DMRS 패턴#3에 따른 DMRS들의 위치들이 DMRS 패턴#2에 따른 DMRS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면, 자원 그룹#2 1330-2의 DMRS 회피 패턴은 DMRS 패턴#3으로 결정될 수 있다. DMRS 패턴들이 도 13b와 같이 정의된 경우, DMRS 패턴#3은 DMRS 패턴#2를 포함한다. 단, 다른 실시 예에 따라, DMRS 회피 패턴은 기 정의된 DMRS 패턴들과 다를 수 있다.
자원 그룹들 1330-1 내지 1330-4 각각에서, 다수의 DMRS 패턴들을 포괄하는 하나의 패턴이 결정됨에 따라, DMRS가 매핑되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URLLC 단말에 의해 회피되는 자원(이하, '비(non)-DMRS 회피 자원')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비-DMRS 회피 자원에 URLLC 신호를 매핑하거나, 또는 매핑하지 아니할 수 있다. 비-DMRS 회피 자원에 URLLC 신호를 매핑하지 아니하는 경우, 기지국은 eMBB 신호에 대한 천공 패턴을 고려하여 URLLC 신호에 대한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때, 기지국은 비-DMRS 회피 자원을 비워둘(empty)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비-DRMS 회피 자원을 이용하여 eMBB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eMBB 신호가 송신됨을 알리는 정보가 추가적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비-DMRS 회피 자원에 URLLC 신호를 매핑하는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eMBB DMRS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자원을 이용하여 URLL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URLLC 단말에게 자원 그룹 별로 적용된 eMBB DMRS 회피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각 자원 그룹의 DMRS 회피 패턴 따라 DMRS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서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URLLC 단말은 자원 그룹 별로 제공되는 eMBB DMRS 회피 패턴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자원 그룹 별 DMRS 회피 정보를 이용하여 URLLC 신호가 매핑된 자원(예: RE)을 판단한 후, URLLC 신호에 대하여 수신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b의 예에서, URLLC의 제어 정보 1324는 eMBB DMRS 회피 정보로서 자원 그룹#1의 패턴 정보 1328-1, 자원 그룹#2의 패턴 정보 1328-2, 자원 그룹#3의 패턴 정보 1328-3, 자원 그룹#4의 패턴 정보 1328-4를 포함한다. 자원 그룹 별 패턴 정보의 비트 개수는 지정 가능한 패턴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4개 패턴들이 지정 가능하고, URLLC 1320의 슬롯 내에 4개의 자원 그룹들이 포함되고, 4개 자원 그룹들의 패턴들의 인덱스들이 1, 2, 3, 3인 경우, 4개 자원 그룹들에 대한 패턴들은 "01 10 11 11"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자원 그룹 별로 기준 신호의 패턴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적은 오버헤드로 URLLC 단말에게 회피해야 할 자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슬롯 내의 각 자원 그룹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기지국은 고정된 크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 반대로, 고정된 자원 그룹 크기에 대하여, 기지국은 제어 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들은 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비스에서의 채널 추정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천공된 기준 신호를 천공되기 전의 위치와 다른 위치의 자원에 매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비스에서의 추가적인 제어 신호 오버헤드는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하, 기준 신호들이 천공되고, 천공된 기준 신호가 다른 위치의 자원에 매핑되는 실시 예들이 도 14a 내지 도 16c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4a를 참고하면, 14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들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하고, 기준 신호 자원을 변경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제1 서비스 단말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패턴에 따라 기준 신호가 매핑될 자원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즉, 기지국은 기준 신호를 천공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제2 서비스의 슬롯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다른 자원을 기준 신호를 위해 할당한다. 예를 들어, 다른 자원은 제2 서비스의 슬롯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자원은,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천공된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 내에 위치할 수 있다.
1403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변경된 기준 신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4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 정보는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의 일부는 제1 서비스의 슬롯 내에서 제1 영역들을 통해 송신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과 다른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의 일부는 브로드캐스트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1407 단계에서, 기지국은 변경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제2 서비스의 슬롯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을 이용하여 천공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천공된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천공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b는 단말 120 또는 단말 13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4b를 참고하면, 1451 단계에서, 단말은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변경된 기준 신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453 단계에서, 단말은 변경된 자원을 통해 기준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제2 서비스의 슬롯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을 이용하여 천공된 기준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천공된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천공된 기준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과 같이, 기지국은 제2 서비스 신호의 송신을 위해 중첩되는 제1 서비스의 데이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천공한 후, 제2 서비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준 신호가 천공되기 때문에, URLLC단말을 위한 추가적인 제어 정보가 요구되지 아니한다. 이때, eMBB 단말의 채널 추정 성능을 보존하기 위해, 제2 서비스 신호의 송신 이후 제1 서비스의 데이터 신호를 위해 할당된 자원의 일부에서 데이터 신호를 대신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앞서, 기지국은 데이터 신호 대신 기준 신호가 송신될 수 있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대신 기준 신호가 송신될 수 있음은 제2 서비스의 트래픽 발생 전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는 제1 서비스 단말이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게 한다. 데이터 신호 대신 기준 신호가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의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실시 예가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이동 가능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15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셀 내 제2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단말의 존재 여부는 접속 중인 단말들의 능력(capability) 정보, 통신 이력(history) 정보, 컨텍스트(context)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아이들(idle) 모드로 동작 중인 단말을 제외하고, 제2 서비스 단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2 서비스 단말이 존재하면, 1503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이동 기능을 활성화한다. 반면, 제2 서비스 단말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15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이동 기능을 불활성화한다. 즉, 기준 신호의 천공 및 이동은 제2 서비스 단말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필요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제2 서비스 단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기준 신호의 천공 및 이동에 관련된 기능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후, 1507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이동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알리는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예: PDCCH)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유니캐스트되거나 또는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상세한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서비스가 eMBB, 제2 서비스가 URLLC인 구체적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기준 신호의 이동 기능이 활성화된 상황을 가정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160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어, 160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통해 결정된 MCS에 따라 eMBB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자원에 매핑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16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1607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은 1601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줄링에 따라 eMBB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전송해야 할 URLLC 신호가 존재하면, 1609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의 MCS 레벨을 결정한다. 이어, 161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일,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면, 1613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1615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61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1613 단계에서 할당된 자원에 1615 단계에서 생성된 신호를 매핑한다. 이어, 1619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및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반면, 1611 단계에서 eMBB에 할당되지 아니한 자원으로 URLLC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지 아니하면, 162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DMRS와 무관하게 URLLC에 자원을 할당한다. 즉, 기지국은 eMBB 자원 중 일부를 URLLC에 재할당하며, URLLC에 재할당되는 자원은 DMRS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162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천공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RLLC에 할당된 자원들을 eMBB 천공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 1625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천공 지시자를 생성한다. 여기서, eMBB 천공 지시자는 DMRS 천공 여부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eMBB 천공 지시자는 긍정 또는 부정을 지시하므로, 온/오프(on/off) 검출을 위한 에너지 신호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로 표현되는 값일 수 있다. 이어, 162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1629 단계에서, URLLC 신호를 자원에 매핑한다. 이어, 1631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신호, URLLC 신호를 송신한다.
1633 단계에서, 기지국은 eMBB DMRS가 천공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eMBB DMRS가 천공되지 아니하였으면, 1635 단계에서, 기지국은 나머지 eMBB 신호 및 eMBB 천공 지시자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eMBB 천공 지시자는 URLLC 신호의 송신에 앞서 송신될 수 있다. 반면, eMBB DMRS가 ULRRC로의 자원 할당을 위해 천공되었으면, 1637 단계에서, 기지국은 URLLC 신호 송신 종료 후 천공된 eMBB DMRS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천공된 eMBB DMRS가 송신되는 자원에 매핑될 예정이던 데이터 신호는 천공된다. 이어, 1639 단계에서, 기지국은 나머지 eMBB 신호 및 eMBB 천공 지시자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eMBB 천공 지시자는 URLLC 신호의 송신에 앞서 송신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eMBB DMRS를 포함하는 eMBB 신호들의 일부가 천공되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에서 URLLC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URLLC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도 16c와 같이 신호들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6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변경된 자원을 이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6c를 참고하면, eMBB 슬롯 내에서 eMBB#1 1610-1, eMBB#2 1610-2, eMBB#3 1610-3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URLLC 1620을 위해, eMBB 신호들이 일부가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의 자원이 URLLC 1620에 할당된다.
URLLC 1620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DMRS들이 천공될 수 있다. 도 16c의 겨우, eMBB#2 1610-2 및 eMBB#3 1610-3을 위한 DMRS들의 일부가 천공된다. 이에 따라, 기준 신호의 천공 및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알리기 위해, eMBB의 제어 정보 1614는 DMRS 이동 기능 지시자 1616를 포함한다. DMRS 이동 기능 지시자 1616의 값은 URLLC 1620의 트래픽이 발생하기 전에 설정되므로, DMRS가 이동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시하며, DMRS가 천공되는지 여부를 확정적으로 지시하지 아니한다.
DMRS의 천공 여부는 천공 지시자들 1618-1, 1618-2, 1618-3에 의해 확정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eMBB DMRS가 천공되고, 천공된 DMRS의 원래의(original) DMRS를 포함하는 영역 1640을 이용하여 URLLC 신호가 송신됨은 천공 지시자들 1618-1, 1618-2, 1618-3을 통해 각 단말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eMBB 단말들은 천공 지시자들 1618-1, 1618-2, 1618-3를 확인하고, URLLC 신호의 송신이 종료된 후, eMBB 데이터 신호가 송신될 위치의 자원을 이용하여 eMBB DMRS가 송신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MBB 단말들은 변경된 DMRS를 포함하는 영역 1650에서 송신되는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 URLLC 신호가 일정 개수 이상의 연속적인 심볼들에 걸쳐서 송신되는 경우, 기준 신호의 이동은 수행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16c에 도시된 천공 지시자들 1618-1, 1618-2, 1618-3의 위치는 일 예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천공 지시자들 1618-1, 1618-2, 1618-3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위치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6c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제2 서비스에 할당할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제1 서비스의 데이터 신호는 물론 기준 신호까지 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 증가는 불필요하다. 나아가, 기준 신호가 다른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됨으로써, 채널 추정 성능의 열화가 크게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른 자원으로의 매핑 없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들은 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비스에서의 추가적인 제어 신호 오버헤드는 발생하지 아니하고, 채널 추정 성능의 저하는 재전송을 통해 보상될 수 있다. 기준 신호를 천공함에 따라, 제1 서비스 단말이 제2 서비스의 신호를 기준 신호로 간주하고,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 단말에게 기준 신호의 천공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 기준 신호 자원의 변경 없이, 기준 신호들이 천공되 실시 예들이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7a를 참고하면, 17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자원들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제1 서비스 단말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패턴에 따라 기준 신호가 매핑될 자원을 제2 서비스에 할당한다. 즉, 기지국은 기준 신호를 천공한다.
1703 단계에서, 기지국은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7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 정보는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의 일부는 제1 서비스의 슬롯 내에서 제1 영역들을 통해 송신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과 다른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의 일부는 브로드캐스트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니캐스트될 수 있다. 이후, 도 17a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의 천공을 고려하여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b는 단말 120 또는 단말 130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서비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7b를 참고하면, 1751 단계에서, 단말은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준 신호의 천공을 알리는 제어 정보는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753 단계에서, 단말은 천공된 기준 신호를 고려하여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단말은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서비스의 슬롯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천공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천공된 기준 신호의 위치의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채널 추정 시 사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제2 서비스에 자원이 할당되지 아니한 경우보다 적은 개수의 기준 신호들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가 천공된 위치에서 제2 서비스의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기준 신호가 천공되는 경우, 도 17c와 같이 신호들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천공된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7c를 참고하면, eMBB 슬롯 내에서 eMBB#1 1710-1, eMBB#2 1710-2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URLLC 1720을 위해, eMBB 신호들이 일부가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의 자원이 URLLC 7620에 할당된다. 여기서, 천공되는 eMBB 신호들은 데이터 신호 및 DMRS를 포함한다. 즉, 영역 1740 내의 DMRS가 천공되고, 영역 1740 내에서 DM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던 자원이 URLLC 7620에 할당된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같이, 기준 신호가 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신호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 증가는 불필요하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서비스로의 자원 할당이 기준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도록, 기지국은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내에서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는 OFDM 심볼들을 제외하고,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 모두에서 추가적 제어 정보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하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내에서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하는 실시 예가 도 18a 및 도 18b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회피하여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18a는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18a를 참고하면, 18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자원 영역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선택 가능한 다수의 제2 서비스의 슬롯들 중,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확인한다. 즉, 기지국은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심볼들을 확인할 수 있다.
1803 단계에서,기지국은 확인된 자원 영역 내에서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한다. 이로 인해, 제2 서비스에 할당되는 자원을 통해 송신될 예정인 제1 서비스의 신호들이 천공될 수 있다. 단, 기준 신호 자원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자원 영역 내에서 자원이 할당되므로,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는 천공되지 아니한다.
18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1 서비스의 신호 및 제2 서비스의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제1 서비스 단말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들은 손상 없이 모두 송신될 수 있다.
도 18a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신호의 손상 없이 제2 서비스에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8a에 예시된 절차에 따라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 도 18b와 같이 신호들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가 매핑된 심볼을 회피하여 제2 서비스에 자원이 할당된 경우의 신호 매핑 예를 도시한다. 도 18b를 참고하면, eMBB 슬롯 내에서 eMBB#1 1810-1, eMBB#2 1810-2에 자원들이 할당된다. URLLC#1 1820-1, URLLC#2 1820-2을 위해, eMBB 신호들이 일부가 천공될 수 있다. 단, 도 18b의 경우, DMRS들은 천공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eMBB 신호가 천공된 위치의 자원들 1850-1, 1850-2이 URLLC#1 1820-1, URLLC#2 1820-2 각각에 할당된다.
도 18b와 같은 자원 할당 방식을 제2 서비스를 위해 적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2 서비스에 할당할 자원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자원량을 만족하는 자원 영역에 제1 서비스의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만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영역에 제1 서비스의 기준 신호가 존재하면, 기지국은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을 조정하고, 해당 영역에 제1 서비스 기준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기지국은, 조정 및 확인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1 서비스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영역을 찾은 후, 제2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서비스의 자원 할당 가능 시점에 제약이 발생 할 수 있고, 이는 제2 서비스의 지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제1 서비스의 기준 신호를 훼손하지 아니하고, 제2 서비스를 위한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는 방식이라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자원의 재할당을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 포함되는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 내에 위치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다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기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 포함되는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 내에 위치하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다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상기 자원의 재할당을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 포함되는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 내에 위치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다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장치.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을 상기 제2 서비스에 재할당하기 위해 천공된(punctured)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 포함되는 장치.
  17. 삭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자원은, 상기 제2 서비스가 제공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과 동일한 부반송파 내에 위치하는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서비스를 위한 기준 신호의 천공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기준 신호의 천공 여부에 관한 정보, 상기 다른 자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서비스의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되는 장치.
KR1020170055675A 2017-04-28 2017-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1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75A KR102315340B1 (ko) 2017-04-28 2017-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3983 WO2018199496A1 (ko) 2017-04-28 2018-04-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609,167 US11296824B2 (en) 2017-04-28 2018-04-04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675A KR102315340B1 (ko) 2017-04-28 2017-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231A KR20180121231A (ko) 2018-11-07
KR102315340B1 true KR102315340B1 (ko) 2021-10-20

Family

ID=6391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675A KR102315340B1 (ko) 2017-04-28 2017-04-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96824B2 (ko)
KR (1) KR102315340B1 (ko)
WO (1) WO2018199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9573B (zh) * 2017-05-05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天线端口的qcl的方法和设备
CN109089317B (zh) * 2017-06-14 2022-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网络侧设备和通信系统
WO2019215956A1 (ja) * 2018-05-08 2019-11-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及び送信方法
US11689313B2 (en) 2018-07-06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Re-allocation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resources to accommodate another transmission
US11558877B2 (en) 2018-11-12 2023-01-17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n overlap between a set of resources allocated to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and a set of resources allocated to a physical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2932B1 (en) * 2008-10-29 2023-04-1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44589B2 (en) 2009-10-05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data regions for signals to minimize data loss
US20110244877A1 (en) 2009-10-08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52130A1 (en) 2010-04-12 2011-10-13 Jeyhan Karaoguz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network of user-selectable devices
US10862634B2 (en) 2014-03-07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with flexible sub-carrier spacing and symbol duration
US10420054B2 (en) 2014-03-28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in a system that supports a first subframe type having a first symbol duration and a second subframe type having a second symbol duration
KR102521728B1 (ko) * 2016-08-19 2023-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097586A1 (en) * 2016-11-22 2018-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uplink channels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5150048A (zh) * 2017-01-06 2022-10-04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Nr中的高效接入和发送的机制
CN108633066B (zh) * 2017-03-24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其网络设备、终端设备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5822*
3GPP R1-17058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8240A1 (en) 2020-07-16
US11296824B2 (en) 2022-04-05
WO2018199496A1 (ko) 2018-11-01
KR20180121231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3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160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93512B2 (en) Resource element (RE) allocation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KR1023942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128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07386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上行链路参考信号或信道的方法和设备
KR1024097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367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398832B (zh) 在全双工模式下对码块组的时间交织
CN11369277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信道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CN111418178B (zh) 用于在集成接入和回程及非地面网络中进行改进以及与集成接入和回程及非地面网络相关的方法和装置
CN112956267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无线电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CN113498629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信道接入的设备和方法
CN110741706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传输下行链路控制信道的装置和方法
KR1023427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 및 지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314006A (zh) 用于侧链路通信的两级侧链路控制信息
US20240171312A1 (e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CN117693910A (zh) 用于在通信系统中发射或接收控制信息和数据的装置和方法
US114896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nsity of PT-RS
KR202201527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684741B (zh) 用于多层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2586059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资源的装置和方法
CN108111454B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0447291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调度请求的方法和设备
KR202001431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