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013B1 -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013B1
KR102315013B1 KR1020210103642A KR20210103642A KR102315013B1 KR 102315013 B1 KR102315013 B1 KR 102315013B1 KR 1020210103642 A KR1020210103642 A KR 1020210103642A KR 20210103642 A KR20210103642 A KR 20210103642A KR 102315013 B1 KR102315013 B1 KR 10231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area
age group
mov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준하
Original Assignee
(주)캐러멜라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러멜라운지 filed Critical (주)캐러멜라운지
Priority to KR102021010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0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n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ise: an interior decoration classification part; an information providing part; and an interior decoration arrangement part. The interior decoration classification part can classify and provide interior decoration items and interior decoration colors preferred for each age group. The information providing part can provid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of people moving along a path selected among a plurality of paths included in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outsid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of people moving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side the building. The interior decoration arrangement part can provide an interior decoration drawing by arranging interior decoration items and interior colors in a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selected path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the outsid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decoration drawing by arranging interior decoration items and interior colors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selected path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the outsid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interior decoration effect of a building.

Description

고령층의 안전을 고려한 인공지능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시스템{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고령층의 안전을 고려한 인공지능 인테리어 디자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elderly.

최근,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건축물을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도 고령층의 안전을 고려한 안전장치들을 인테리어 공간에 함께 배치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고령층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전체 인테리어의 미감을 해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aging of the world rapidly progresses, the necessity of arranging safety de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elderly in the interior space is increasing even in the interior of buildings. In this case, in disposing safety devices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chieve harmony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entire interior.

(한국등록특허) 제10-2250507호 (등록일자, 2021.05.04)(Korea Patent) No. 10-2250507 (Registration date, 2021.05.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terior drawings by arranging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in a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a selection passage based on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n interior effect of a building It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that can increas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인테리어 분류부, 정보 제공부 및 인테리어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분류부는 연령대 별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는 건축물의 도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행로들 중 선택된 선택 통행로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상기 건축물 외부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상기 건축물 외부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통행로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an interior arrangement unit. The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and provide preferred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for each age group.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provid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a selected path among a plurality of paths included in the drawing of the build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outside the building,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side the building.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may provide an interior drawing by arranging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selected passage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포함되는 시야영역은 상기 연령대 별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구분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viewing area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sion areas according to a ratio of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일조 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분 영역들에 태양광이 도달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광 도달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여 상기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based on the light arrival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sunlight reaches the plurality of division areas according to the sunlight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can be arranged to provide the interior draw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광 도달 영역에 상기 태양광이 비춰지는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광 시간간격 및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may provide the interior drawing based on a ligh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a time interval at which the sunlight is irradiated on the light arrival region and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인테리어 도면에 포함되는 상기 광 도달 영역에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상응하는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provides the interior goods and the interior color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determined based on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in the light arrival area included in the interior drawing. can be plac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외부에서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포함되는 창문의 주변 영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정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ay be movement information of people mov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a surrounding area of a window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야 영역은 상기 선택 통행로에 포함되는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viewing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from a first point included in the selection passage to the selection interior space dir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시야영역의 폭이 미리 정해진 기준영역의 폭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이동하여 상기 시야영역의 폭이 상기 기준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조절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When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reference area, the controller may move the first point to adjust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ference are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야영역에 인접한 인접영역은 상기 인접영역을 이동하는 상기 연령대 별 이동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는 상응하는 연령대 별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이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viewing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according to a ratio of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the adjacent area,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for each age group may be arranged in each of the division area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인테리어 수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수정부는 복수의 수정모드들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도면을 수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terior correction unit. The interior modification unit may modify the interior drawing according to a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1 수정모드에서는 개발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구분 영역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상기 구분 영역의 폭 및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2 수정모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구분 영역들의 배치,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분 영역들 및 상기 인접 구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연령대가 60대 이상인 경우, 상기 60대 이상에 상응하는 상기 구분 영역 및 상기 인접 구분 영역에는 고객 안전 장치가 배치되는 안전설비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modifica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division area are adjusted while maintaining the area of the division area through the developer terminal, and the second modifica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In the modification mode, the arrangement of the division areas,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may be changed through the client terminal. When the age grou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sion areas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s is 60 years or more, the divis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60 years old or more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 may include a safety facility area in which a customer safety device is disposed. .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such description and descrip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terior drawings by arranging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in a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a selection passage based on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t can enhance the interior effect.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ewly recognize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테리어 배치부에 적용되는 광 시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광 시간간격 중 제1 광 시간간격에서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의 광 시간간격 중 제2 광 시간간격에서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시야영역에 포함되는 광 도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14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17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테리어 수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rea appli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us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of FIG. 1 .
5 is a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us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of FIG. 1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time interval applied to an interior arrangement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of FIG. 1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in a first light time interval among the light time intervals of FIG. 6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in a second light time interval among the light time intervals of FIG. 6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arrival area included in the viewing area of FIG. 3 .
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of FIG. 1 .
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ior correction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efines otherwise,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야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of FIG. 1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ewing area applied to the generation system,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us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on system of FIG. 1 , and FIG. 5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on of FIG. 1 It is a diagram showing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used in the system.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인테리어 분류부(100), 정보 제공부(600) 및 인테리어 배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분류부(100)는 연령대 별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은 A일 수 있고,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은 파랑색일 수 있다. 4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은 B일 수 있고,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은 녹색일 수 있다. 또한, 6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은 C일 수 있고,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은 갈색일 수 있다. 연령대 별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은 인테리어 분류부(100)에 연령대 별로 분류될 수 있다.1 to 5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100 ,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600 , and an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 The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100 may classify and provide interior items (IP) and interior colors (IC) preferred by age group. For example, an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twenties may be A, and a preferred interior color (IC) may be blue. An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the 40s may be B, and a preferred interior color (IC) may be green. In addition, the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the 60s may be C, and the preferred interior color (IC) may be brown. Preferred interior items (IP) and interior colors (IC) for each age group may be classified by age group in the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100 .

정보 제공부(600)는 건축물의 도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행로들 중 선택된 선택 통행로(STL)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건축물 외부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건축물 외부의 환경 정보(EN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행로들은 제1 통행로(TL1) 및 제2 통행로(TL2)를 포함할 수 있다. 사람들은 제1 통행로(TL1)를 통해서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을 출입할 수 있고, 제2 통행로(TL2)를 통해서 제2 인테리어 공간(IS2)을 출입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600 includes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moving a selected passageway (STL)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assageways included in the drawing of the build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outside the building (YOI), and the building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ENI)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assageways may include a first passageway TL1 and a second passageway TL2 . People may enter and exit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through the first passage TL1 and may enter and exit the second interior space IS2 through the second passage TL2 .

예를 들어, 선택 통행로(STL)는 제1 통행로(TL1)일 수 있고,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은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일 수 있다. 또한, 제1 통행로(TL1)를 이용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20대 및 3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전체의 5%일 수 있고, 40대 및 5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전체의 10%일 수 있다. 또한, 6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70%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lective passage STL may be the first passage TL1 , and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ay be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 Also,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using the first passage TL1 , a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 TL1 in their 20s and 30s may be 5% of the total,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 TL1 in the 40s and 50s is 10% of the total, respectively. can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in the 60s may be 70% of the total.

또한, 예를 들어 건축물 외부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는 건축물의 외부에서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 해당하는 제1 인테리어 공간(IS1)에 포함되는 제1 창문(W1)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정보일 수 있고, 환경 정보(ENI)는 건축물 외부의 날씨, 일조, 주변배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건축물 외부의 환경 정보(ENI)는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outside movement information YOI by age group moving outside the building crosses the first window W1 included in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t may be movement information of people who move,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ENI) may include weather, sunlight, and surrounding arrangement information outside the building. The movement information (YI) by age group,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by age group, and environment information (ENI) outside the build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 database.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환경 정보(ENI)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STL)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제1 통행로(TL1) 및 제2 통행로(TL2) 중 제1 통행로(TL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행로(TL1)는 선택 통행로(STL)일 수 있다. 선택 통행로(STL)와 연결되는 인테리어 공간은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일 수 있고,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은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일 수 있다.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인테리어할 공간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제1 통행로(TL1)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환경 정보(ENI)에 기초하여 제1 통행로(TL1)와 연결되는 제1 인테리어 공간(IS1)에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s an interior article ( IP) and interior color (IC) can be arranged to provide interior drawing (IPD). For example,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may select the first passage TL1 from among the first passage TL1 and the second passage TL2 . In this case, the first passage TL1 may be a selective passage STL. The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selective passageway STL may be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 and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ay be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ay be a space to be interior by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moving the first passage TL1, and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ach age group. And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ENI, the interior drawing IPD may be provided by arranging the interior item IP and the interior color IC in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way TL1. .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환경 정보(ENI)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STL)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ected interior space (STL) connected to a selected passageway (STL) based on age-specific movement information (YI),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and environment information (ENI) By arranging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IC) in the SSI) to provide an interior drawing (IPD), the interior effect of a building can be enhanced.

도 6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테리어 배치부에 적용되는 광 시간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광 시간간격 중 제1 광 시간간격에서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8은 도 6의 광 시간간격 중 제2 광 시간간격에서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시야영역에 포함되는 광 도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time interval applied to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and FIG. 7 is an external movement by age group in the first light time interval among the light time intervals of FIG. 6 . information, FIG. 8 is a view show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in the second light time interval among the light time intervals of FIG. 6,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arrival area included in the viewing area of FIG.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포함되는 시야영역(ER)은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구분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1 to 9 , the viewing area ER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sion area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have.

시야 영역(ER)은 선택 통행로(STL)에 포함되는 제1 지점(P1)으로부터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지점(P1)은 시야 영역(ER)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통행로(STL)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통행로(STL)는 제1 통행로(TL1)일 수 있고, 제1 지점(P1)은 제1 통행로(TL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행로(TL1)와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해당하는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이 만나는 코너점은 제1 코너점(CP1) 및 제2 코너점(CP2)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P1) 및 제1 코너점(CP1)을 잇는 직선이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의 일 측면과 만나는 지점 및 제1 지점(P1) 및 제2 코너점(CP2)을 잇는 직선이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의 일 측면과 만나는 지점 사이의 영역이 시야 영역(E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점(P1)으로부터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시야 영역(ER)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The viewing area 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interior space SSI from the first point P1 included in the selection passageway STL. The first point P1 may be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n the selective passage STL for determining the viewing area ER. For example, the selective passage STL may be the first passage TL1 , and the first point P1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passage TL1 . Also, a corner point where the first passageway TL1 and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eet may be a first corner point CP1 and a second corner point CP2 . Here,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first corner point CP1 meets one side of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a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corner point CP2 are connected. An area between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meets one side of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may be the viewing area ER.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viewing area 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from the first point P1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예를 들어, 선택 통행로(STL)에 해당하는 제1 통행로(TL1)를 이용하는 연령대는 20대, 30대, 40대, 50대 및 60대일 수 있다. 연령대 별 제1 통행로(TL1)를 이용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제1 통행로(TL1)를 이용하는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age groups using the first passage TL1 corresponding to the selective passage STL may be in their 20s, 30s, 40s, 50s, and 60s. The frequency of using the first passage TL1 for each age gro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using the first passage TL1 for each age group.

예를 들어, 20대 및 3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5%일 수 있고, 40대 및 5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10%일 수 있다. 또한, 6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을 70%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구분 영역들은 제1 구분 영역(DR1) 내지 제5 구분 영역(DR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분 영역(DR1) 및 제2 구분 영역(DR2)은 시야 영역(ER) 중 20대 및 30대 각각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에 해당하는 5%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고, 제3 구분 영역(DR3) 및 제4 구분 영역(DR4)은 시야 영역(ER) 중 40대 및 50대 각각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에 해당하는 10%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5 구분 영역(DR5)은 시야 영역(ER) 중 60대의 제1 통행로(TL1) 이동 빈도의 비율에 해당하는 70%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For example, a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in their 20s and 30s may be 5%, respectively, and a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in their 40s and 50s may be 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of the 60s may be 7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vision areas may include a first division area DR1 to a fifth division area DR5 . The first division area DR1 and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5% of the viewing area ER, which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of the 20s and 30s, respectively. and the third division area DR3 and the fourth division area DR4 are an area corresponding to 10% of the viewing area ER, which corresponds to a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of each of the 40s and 50s. can be Also, the fifth division area DR5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70% of the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passageway TL1 of 60 people among the viewing area 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환경 정보(ENI)에 포함되는 일조 시간 정보에 따라 복수의 구분 영역들에 태양광(SL)이 도달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광 도달 영역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광 도달 영역에 태양광(SL)이 비춰지는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광 시간간격 및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환경 정보(ENI) 중 일조 정보에 기초하여 연중 제1 인테리어 공간(IS1)에 포함되는 제1 창문(W1)을 통해서 구분 영역들에 태양광(SL)이 도달하는 시간 간격을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시간들은 제1 시간(T1), 제2 시간(T2) 및 제3 시간(T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시간간격(LTI)은 구분 영역에 태양광(SL)이 도달하는 시간간격일 수 있다. 제1 시간(T1)부터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 간격은 광 시간간격일 수 있고,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의 시간 간격은 제1 광 시간간격(LTI1)일 수 있고, 제2 시간(T2)부터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 간격은 제2 광 시간간격(LTI2)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based on the light reach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sunlight SL reaches the plurality of division areas according to the sunlight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ENI. An interior drawing (IPD) may be provided by disposing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IC). In another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s an interior drawing (IPD) based on the ligh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sunlight SL is irradiated on the light arrival area and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ach age group. can provide For example, the sunlight SL reaches the division areas through the first window W1 included in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throughout the year based on sunlight information amo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ENI stored in the database. time interval can be identified. The plurality of times may include a first time T1 , a second time T2 , and a third time T3 . The light time interval LTI may be a time interval at which the sunlight SL arrives at the division area. The time interval from the first time T1 to the third time T3 may be a light time interval, and the time interval from the first time T1 to the second time T2 is the first light time interval LTI1 ), and the time interval from the second time T2 to the third time T3 may be the second light time interval LTI2.

예를 들어, 제1 구분 영역(DR1) 내지 제3 구분 영역(DR3)에는 제1 창문(W1)을 통해서 연중 태양광(SL)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4 구분 영역(DR4)에는 하루 평균 제1 광 시간간격(LTI1)동안 제1 창문(W1)을 통해서 제1 광 도달 영역(LR1)에 태양광(SL)이 도달할 수 있고, 제5 구분 영역(DR5)에는 하루 평균 제2 광 시간간격(LTI2)동안 제1 창문(W1)을 통해서 제2 광 도달 영역(LR2)에 태양광(SL)이 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sunlight SL may not reach the first divided area DR1 to the third divided area DR3 through the first window W1 throughout the year. In addition, sunlight SL may reach the first light reaching area LR1 through the first window W1 during the average first light time interval LTI1 per day in the fourth division area DR4, In the fifth division area DR5 , the sunlight SL may reach the second light reaching area LR2 through the first window W1 during the average daily second light time interval LTI2 .

이 경우, 제1 광 시간 간격(LTI1)동안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정보(YOI)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에 기초해서 제1 광 시간 간격(LTI1)동안 2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60%일 수 있고, 3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15%일 수 있다. 또한, 40대 및 5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각각 전체의 10%일 수 있고, 6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5%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 시간 간격(LTI1)동안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일 수 있고,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제1 광 시간간격(LTI1)에 상응하는 제1 광 도달 영역(LR1)에 2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인 A 물품 및 2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인 파랑색을 배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people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first light time interval LTI1 may be grasped through the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xample, based on the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2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first light time interval LTI1 is 60% of the total.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3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15% of the total.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40s and 5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10% of the total, respectively, and the 60s and 6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proportion of the moving frequency may be 5% of the total. In this case, the age group having the highest ratio of the frequency of mov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first light time interval LTI1 may be 20s, and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s the first light In the first light arrival region LR1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LTI1 , Article A, which is an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blue color, which is an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twenties, may be arranged.

또한, 제2 광 시간 간격(LTI2)동안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정보(YOI)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에 기초해서 제2 광 시간 간격(LTI2)동안 2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10%일 수 있고, 3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15%일 수 있다. 또한, 4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각각 전체의 60%일 수 있고, 5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10%일 수 있다. 또한, 60대가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은 전체의 5%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광 시간간격(LTI2) 동안 건축물의 외부에서 제1 창문(W1)의 주변을 이동하는 빈도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40대일 수 있고,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제2 광 시간간격(LTI2)에 상응하는 제2 광 도달 영역(LR2)에 4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인 B 물품 및 4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인 녹색을 배치할 수 있다.Also, information about people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second light time interval LTI2 may be grasped through the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xample, based on the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2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second light time interval LTI2 is 10% of the total.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3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15% of the total.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4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60% of the total,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moving the 50s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10% of the total.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the 60s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5% of the total. In this case, the age group having the highest ratio of the frequency of moving around the first window W1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during the second light time interval LTI2 may be in the 40s, and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s the second light In the second light arrival region LR2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LTI2, article B, which is an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40s, and green, which is an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40s, may be arranged.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구분 영역(DR1), 제2 구분 영역(DR2), 제3 구분 영역(DR3)의 각각에는 20대, 30대 및 4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4 구분 영역(DR4)에는 제1 광 도달 영역(LR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5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배치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5 구분 영역(DR5)에는 제2 광 도달 영역(LR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6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in each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 and the third division area DR3 ,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preferred by 20s, 30s and 40s (IC)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nd in the fourth division area DR4, an interior item IP and an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50 people may be disposed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for the first light reaching area LR1. have. In the same manner, the interior article IP and the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the 60s may be dispos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second light arrival area LR2 in the fifth division area DR5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테리어 배치부(200)는 인테리어 도면(IPD)에 포함되는 광 도달 영역에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상응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는 건축물의 외부에서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포함되는 창문의 주변 영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정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is an interior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light arrival area included in the interior drawing (IP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determined based on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ach age group. (IP) and interior color (IC) can be placed.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side movement information YOI for each age group may be movement information of people moving from the outside of a building to an area around a window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환경 정보(ENI)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STL)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ected interior space (STL) connected to a selected passageway (STL) based on age-specific movement information (YI),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and environment information (ENI) By arranging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IC) in the SSI) to provide an interior drawing (IPD), the interior effect of a building can be enhanced.

도 10 및 11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야 영역(ER)은 선택 통행로(STL)에 포함되는 제1 지점(P1)으로부터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점(P1)은 시야 영역(ER)을 결정하기 위한 선택 통행로(STL) 상의 미리 정해진 기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통행로(STL)는 제1 통행로(TL1)일 수 있고, 제1 지점(P1)은 제1 통행로(TL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행로(TL1)와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해당하는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이 만나는 코너점은 제1 코너점(CP1) 및 제2 코너점(CP2)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점(P1) 및 제1 코너점(CP1)을 잇는 직선이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의 일 측면과 만나는 지점 및 제1 지점(P1) 및 제2 코너점(CP2)을 잇는 직선이 제1 인테리어 공간(IS1)의 일 측면과 만나는 지점 사이의 영역이 시야 영역(ER)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점(P1)으로부터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시야 영역(ER)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1 to 11 , in an embodiment, the viewing area 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from the first point P1 included in the selection passage STL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interior space SSI. . For example, the first point P1 may be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n the selection passage STL for determining the viewing area ER. For example, the selective passage STL may be the first passage TL1 , and the first point P1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passage TL1 . Also, a corner point where the first passageway TL1 and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meet may be a first corner point CP1 and a second corner point CP2 . Here,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first corner point CP1 meets one side of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a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corner point CP2 are connected. An area between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meets one side of the first interior space IS1 may be the viewing area ER.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viewing area 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from the first point P1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ed interior space SSI.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시야영역(ER)의 폭이 미리 정해진 기준영역의 폭보다 작은 경우, 제1 지점을 이동하여 시야영역의 폭이 기준영역의 폭(RW)보다 크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영역(ER)의 폭이 미리 정해진 기준영역의 폭(RW)보다 작은 경우, 제1 지점(P1)을 제2 지점(P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지점(P1)을 제2 지점(P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시야각이 넓어져서 시야 영역(ER)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시야각은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을 기준으로 제1 코너점(CP1)을 잇는 직선과 제1 지점(P1) 또는 제2 지점(P2)을 기준으로 제2 코너점(CP2)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0 . When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ER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reference area, the controller 400 may move the first point to adjust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RW of the reference area.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ER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RW of the reference area, the first point P1 may be moved to the second point P2 . When the first point P1 is moved to the second point P2 , the viewing angle may be widened, and thus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ER may be widened. The viewing angle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corner point CP1 with respect to the first point P1 or the second point P2 and the second corner point ( It may be an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connecting CP2).

도 12 내지 14는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of FIG. 1 .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야영역에 인접한 인접영역은 인접영역을 이동하는 연령대 별 이동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 영역(ER)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에 배치되는 인접영역은 제1 인접 영역(NDR1)일 수 있고, 시야 영역(ER)을 기준으로 제2 방향(D2)에 배치되는 인접영역은 제2 인접 영역(NDR2)일 수 있다. 또한, 제1 인접 영역(NDR1) 및 제2 인접 영역(NDR2)은 각각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1 to 14 , in one embodiment, the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viewing area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according to the ratio of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the adjacent area. can For example, the adjacent area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viewing area ER may be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and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with respect to the viewing area ER. The disposed adjacent area may be the second adjacent area NDR2 . Also, each of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and the second adjacent area NDR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예를 들어, 제1 인접 영역(NDR1)을 통과하는 연령대는 50대 및 60대일 수 있다. 연령대 별 제1 인접 영역(NDR1)을 통과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제1 인접 영역(NDR1)을 통과하는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50대의 제1 인접 영역(NDR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20%일 수 있고, 60대의 제1 인접 영역(NDR1) 이동 빈도의 비율은 각각 80%일 수 있다.For example, age groups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acent region NDR1 may be in their 50s and 60s. The frequency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for each age gro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YI for each age group passing through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for each age group.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movement of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in the 50s may be 20%, and the ratio of the frequency of movement of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in the 60s may be 80%, respectively.

또한,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는 상응하는 연령대 별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은 제1 인접 구분 영역(NDR1) 및 제2 인접 구분 영역(ND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접 구분 영역(NDR1)은 인접 영역(NR) 중 50대의 제1 인접 영역(NDR1) 이동 빈도의 비율에 해당하는 20%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인접 구분 영역(NDR2)은 인접 영역 중 60대의 제1 인접 영역(NDR1) 이동 빈도의 비율에 해당하는 80%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접 구분 영역(NDR2)에는 6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인 C 물품 및 6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색상(IC)인 갈색이 사용될 수 있다.Also,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IC corresponding to each age group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may include a first adjacent division area NDR1 and a second adjacent division area NDR2 . The first adjacent division area NDR1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20% corresponding to a rate of movement frequency of 50 first adjacent areas NDR1 among the adjacent areas NR, and the second adjacent division area NDR2 is It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80% of a rate of movement frequency of the first adjacent area NDR1 in the 60s among the adjacent areas. In this case, in the second adjacent division area NDR2, item C, which is an interior item (IP)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60s, and brown color, which is an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60s, may be used.

도 15 내지 17은 도 1의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테리어 수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5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ior correction unit includ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generating system of FIG. 1 .

도 1 내지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인테리어 분류부(100), 인테리어 배치부(200) 및 인테리어 수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테리어 수정부(300)는 제1 단말기(310) 및 제2 단말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310)는 개발자용 단말기일 수 있고, 제2 단말기(320)는 사용자(클라이언트)용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을 이용하고자 의뢰한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1 to 17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100 , an interior arrangement unit 200 , and an interior correction unit 300 . The interior correction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310 and a second terminal 320 . The first terminal 310 may be a developer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320 may be a user (client) terminal. The user may be a client who requested to u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1 수정모드(M1)에서는 개발자 단말기를 통해서 시야 영역(ER)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시야 영역(ER)의 폭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의 개발자는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1 수정모드(M1)를 사용할 수 있다. 개발자는 제1 수정모드(M1)에서 도 9에 개시되는 제1 구분 영역(DR1) 및 제2 구분 영역(DR2)의 높이를 줄이고, 폭을 넓혀서 도 16에 개시되는 제1 구분 영역(DR1) 및 제2 구분 영역(DR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9의 제1 구분 영역(DR1)의 면적은 도 16의 제1 구분 영역(DR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고, 도 9의 제2 구분 영역(DR2)의 면적은 도 16의 제2 구분 영역(DR2)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the first modification mode M1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viewing area ER may be adjusted through the developer terminal while maintaining the area of the viewing area ER. For example, the developer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may use the first modification mode M1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developer reduces the height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and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shown in FIG. 9 in the first modification mode M1 and increases the width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shown in FIG. 16 . and a second division area DR2.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of FIG. 9 may be the same as the area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of FIG. 16 , and the area of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of FIG. It may be the same as the area of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2 수정모드(M2)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서 구분 영역들의 배치,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의 클라이언트는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2 수정모드(M2)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수정모드(M2)에서 도 16에 개시되는 제1 구분 영역(DR1) 및 제2 구분 영역(DR2)의 배치를 변경하여 도 17에 개시되는 제1 구분 영역(DR1) 및 제2 구분 영역(DR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분 영역의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구분 영역의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the second modification mode M2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arrangement of the division areas, the interior article IP, and the interior color IC may be changed through the client terminal. For example, the cli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may use the second modification mode M2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user changes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and the second division area DR2 shown in FIG. 16 in the second modification mode M2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ivision area DR1 and the second division area DR1 shown in FIG. 17 .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division area DR2. When the arrangement of the division area is changed, the interior article IP and the interior color IC of the division area may be chang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분 영역들 및 인접 구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연령대가 60대 이상인 경우, 60대 이상에 상응하는 구분 영역 및 인접 구분 영역에는 고객 안전 장치가 배치되는 안전설비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구분 영역(DR5)에는 60대가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이 배치될 수 있다. 연령대가 60대 이상인 경우, 보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약자의 보행 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5 구분 영역(DR5)에 안전설비 영역(SR)을 별도로 마련할 수 있다. 안전설비 영역에는 안전 바, 휠체어 및 구조벨 등이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ge grou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sion areas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s is 60 years or more, the divis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60s or more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 may include a safety facility area in which a customer safety device is disposed. have. For example, an interior item IP and an interior color IC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60s may be disposed in the fifth division area DR5 . If you are over the age of 60, a safety accident may occur while walking. In this way,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while walking by the elderly and weak, a safety equipment area SR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ifth division area DR5. Safety bars, wheelchairs, rescue bells, etc. may be disposed in the safety equipment area.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10)은 연령대 별 이동 정보(YI),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YOI) 및 환경 정보(ENI)에 기초하여 선택 통행로(STL)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SSI)에 인테리어 물품(IP) 및 인테리어 색상(IC)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IPD)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ected interior space (STL) connected to a selected passageway (STL) based on age-specific movement information (YI), age-specific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YOI), and environment information (ENI) By arranging an interior article (IP) and an interior color (IC) in the SSI) to provide an interior drawing (IPD), the interior effect of a building can be enhanced.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such description and description.

10: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100: 인테리어 분류부
200: 인테리어 배치부 300: 인테리어 수정부
400: 제어부 600: 정보 제공부
10: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100: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200: interior arrangement unit 300: interior correction unit
400: control unit 600: information providing unit

Claims (11)

연령대 별 선호하는 인테리어 물품 및 인테리어 색상을 분류하여 제공하는 인테리어 분류부;
건축물의 도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통행로들 중 선택된 선택 통행로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상기 건축물 외부를 이동하는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상기 건축물 외부의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연령대 별 이동 정보,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통행로와 연결되는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여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하는 인테리어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가 선택하는 상기 선택 통행로에 따라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이 상이하게 결정되고,
상기 연령대 별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비례하여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의 일부에 해당하는 시야영역의 면적을 복수의 구분 영역들로 구분하고,
상기 시야 영역은 상기 선택 통행로에 포함되는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 방향으로의 시야각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선택 통행로와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점 및 제2 코너점이고, 상기 시야각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1 코너점을 잇는 직선과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코너점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되는 일조 시간 정보에 따라 태양광이 도달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광 도달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광 도달 영역에는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의 창문 외부에서 이동하는 상기 연령대별 외부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상기 구분 영역들과 상이하게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an interior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and provides preferred interior items and interior colors by ag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a selected path among a plurality of paths included in the drawing of the build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outside the building,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side the building;
An interior arrangement unit configured to provide an interior drawing by arranging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in a selected interior space connected to the selected passage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by age group,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lected passage selected by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dividing the area of the viewing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selected interior space into a plurality of division areas in proportion to the rate of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The viewing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from a first point included in the selected passage to the selected interior space direction,
A point where the selected passageway and the selected interior space meet is a first corner point and a second corner point, and the viewing angle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and the first corner point an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corner point It is determined by the angle between the connecting straight lines,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A light reaching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to which sunlight reaches is set according to the sunlight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light reaching area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sion areas is located outside the window of the selected interior spa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are arranged differently from the division areas according to a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determined based on the moving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배치부는,
상기 광 도달 영역에 상기 태양광이 비춰지는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광 시간간격 및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도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ior arrangement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drawing is provided based on the ligh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sunlight is irradiated on the light arrival area and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대 별 외부 이동 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외부에서 상기 선택 인테리어 공간에 포함되는 창문의 주변 영역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ternal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is movement information of people moving from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e area around the window included in the selected interior spac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상기 시야영역의 폭이 미리 정해진 기준영역의 폭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지점을 이동하여 상기 시야영역의 폭이 상기 기준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When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reference area, the AI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first point to adjust the width of the viewing area to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ference area. interior creation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영역에 인접한 인접영역은,
상기 인접영역을 이동하는 상기 연령대 별 이동정보에 기초하여 연령대 별 이동 빈도의 비율에 따라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인접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는 상응하는 연령대 별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 adjacent area adjacent to the viewing area,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movement frequency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for each age group moving the neighboring area,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for each corresponding age group are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djacent division area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은,
복수의 수정모드들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도면을 수정하는 인테리어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rior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interior drawing according to a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1 수정모드에서는 개발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구분 영역의 면적을 유지하면서 상기 구분 영역의 폭 및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수정모드들 중 제2 수정모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구분 영역들의 배치, 상기 인테리어 물품 및 상기 인테리어 색상을 변경하고,
상기 구분 영역들 및 상기 인접 구분 영역들 각각에 상응하는 연령대가 60대 이상인 경우, 상기 60대 이상에 상응하는 상기 구분 영역 및 상기 인접 구분 영역에는 고객 안전 장치가 배치되는 안전설비 영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인테리어 생성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first modifica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division area are adjusted while maintaining the area of the division area through the developer terminal,
In a second modifica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modification modes, the arrangement of the division areas, the interior article, and the interior color are changed through a client terminal,
When the age grou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vision areas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s is 60 years or older, the divis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60 years old or more and the adjacent division area include a safety facility area in which a customer safety device is disposed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ior creation system.
KR1020210103642A 2021-08-06 2021-08-06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KR102315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42A KR102315013B1 (en) 2021-08-06 2021-08-06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42A KR102315013B1 (en) 2021-08-06 2021-08-06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013B1 true KR102315013B1 (en) 2021-10-20

Family

ID=7826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642A KR102315013B1 (en) 2021-08-06 2021-08-06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0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79B1 (en)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수리5형제 System for providing remodelling platform ser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18A (en) * 2001-04-27 2002-11-08 Misawa Homes Co Ltd Dwelling house design table, design method of dwelling house based on dwelling house design table, and dwelling house designed based on dwelling house design table
KR20140052224A (en) * 2012-10-23 2014-05-07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ning store design
KR20150121437A (en) * 2014-04-21 2015-10-29 (주) 대한에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al-Time Circulation population
JP2018092503A (en) * 2016-12-07 2018-06-14 凸版印刷株式会社 Indoor light simulation system, indoor ligh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50507B1 (en) 2020-10-23 2021-05-11 류민수 Control method of platform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erver providing total interior service
KR20210083574A (en) * 2019-12-27 2021-07-07 (주) 아키드로우 A method for providing tag interfaces using a virtual space interior an apparatus using it
KR20210083575A (en) * 2019-12-27 2021-07-07 (주) 아키드로우 An interior layout apparatus providing analyzing a space utiliz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18A (en) * 2001-04-27 2002-11-08 Misawa Homes Co Ltd Dwelling house design table, design method of dwelling house based on dwelling house design table, and dwelling house designed based on dwelling house design table
KR20140052224A (en) * 2012-10-23 2014-05-07 한국전자금융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lanning store design
KR20150121437A (en) * 2014-04-21 2015-10-29 (주) 대한에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al-Time Circulation population
JP2018092503A (en) * 2016-12-07 2018-06-14 凸版印刷株式会社 Indoor light simulation system, indoor light simul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10083574A (en) * 2019-12-27 2021-07-07 (주) 아키드로우 A method for providing tag interfaces using a virtual space interior an apparatus using it
KR20210083575A (en) * 2019-12-27 2021-07-07 (주) 아키드로우 An interior layout apparatus providing analyzing a space utiliz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2250507B1 (en) 2020-10-23 2021-05-11 류민수 Control method of platform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erver providing total interior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79B1 (en)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수리5형제 System for providing remodelling platform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656B2 (en) Schedule analysis support device and method
KR102315013B1 (en) Interior design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afety of the elderly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De Paz et al. Intelligent system for lighting control in smart cities
Chen et al. A fast flow control algorithm for real-time emergency evacuation in large indoor areas
Lin et 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es for the plant layout evaluation problem
Hänseler et al. Assessing the usage and level-of-service of pedestrian facilities in train stations: A Swiss case study
Yi et al. Simulation of pedestrian evacuation in stampedes based on a cellular automaton model
AU2019261731A1 (en) Computer-implemented crowd influencing system
WO2003005161A3 (en) System and method for airline purchasing program management
US8796935B2 (en) Method of regulating blue lighting in command centers
Tang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pedestrian flow in university canteen
CN111311028A (en) Large-scale indoor personnel evacuation system based on improv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Romanski et al. Benders decomposition for large-scale prescriptive evacuations
KR102372467B1 (en) Client editable interior degign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US10762253B2 (en) Datamodel tuning for scarce resource evaluation
DE112018006792B4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JP6588853B2 (en) Server, reservation method and reservation program
KR102397069B1 (en) Interior generation device
Alsharif et al. Ensemble machine learning framework for daylight modelling of various building layouts
Anjomshoae et al.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and Capacity Adjustment on the Healthcare Supply Chain: A Case of Flood Disaster
Bernardini et al. Application to a Case Study: Fire Safety in Historical Theaters
CN112967509B (en)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based on PLC
KR20220116782A (en) Apparatus for selecting a installation position of vending machine
Paul et al. Inventory management in response to an unfolding epidemic
Thomson et al. Achieving Integrated Daylighting and Electric Lighting Systems: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Needed Research. Energies 2021, 14, 383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