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827B1 -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827B1
KR102314827B1 KR1020200039333A KR20200039333A KR102314827B1 KR 102314827 B1 KR102314827 B1 KR 102314827B1 KR 1020200039333 A KR1020200039333 A KR 1020200039333A KR 20200039333 A KR20200039333 A KR 20200039333A KR 102314827 B1 KR102314827 B1 KR 10231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place
eavesdropping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어스
Priority to KR102020003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827B1/en
Priority to KR1020200039333D priority patent/KR20210121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8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6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deceptive jamming or unauthorized interrogation or access, e.g. WLAN access or RFID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Abstract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설치형으로 동작하지만, 휴대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도청 신호를 감시하여 생성한 감시 데이터는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후에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휴대형 모드가 수행된 감시장소에 대한 정보가 감시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관제원이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다. A portable installation typ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and a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are disclosed.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operates as an installation type, but can be used as a portable type. In the case of portable use,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monitoring the eavesdropp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after returning to the installed mod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설치형 도청 감시 시스템 및 그 도청 감시 방법{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청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설치형이면서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비한 도청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and basically to a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having a terminal that can be used both as an installation type and as a portable device.

도청 탐지 단말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청취하여 도청 시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설치형과 휴대용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관리자가 휴대하면서 내장 안테나를 이용하여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를 검출하는데 반해, 설치형 단말기는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감시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도청 전파를 감시할 수 있다. 도청이 상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닌 경우에, 휴대용은 도청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특정 공간에서의 긴급한 확인에 유용하다. 설치형은 장시간 감시하면서 전체적인 도청 시도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 개의 안테나를 미리 설치하여 전파 수신 커버리지를 확장함으로써 비교적 넓은 영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n eavesdropping detection terminal is a device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avesdropping attempt by listening to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re are installed and portable types. While portable terminals are carried by administrators and use built-in antennas to detect radio waves suspected of eavesdropping, installation-type terminals are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so multiple antennas can be used to set a wide monitoring range and prevent eavesdropping for a long time. can be monitored. In the case where eavesdropping does not occur regularly, the portable device has a disadvantage that it may not be able to detect eavesdropping signals, but is useful for urgent confirmation in a specific space. The installation typ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entire wiretapping attempt while monitoring for a long time and monitoring a relatively wide area by extending the radio wave reception coverage by installing several antennas in advance.

설치형이나 휴대형 모두, 도청으로 의심되는 전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도청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음성 또는 영상 신호는 복조하여 탐지된 전파의 실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In both the installed type and the portable typ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pectrum of a radio wave suspected of being eavesdropping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eavesdropping signal, and to demodulate an audio or video signal to confirm the actual content of the detected radio wave.

설치형 단말기는 통상 장시간 감시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지켜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관제 서버에 연결되어 관제원이 도청 상황을 상시 감시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반면, 휴대형 단말기는 관제서버로 연결하는 기능이 없이, 현장에서 바로 감시하는 용도로 설계된다. Since the installed terminal is usually monitor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observe it. Therefore,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and is design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roller monitors the wiretapping situation at all times. On the other hand, portable terminals do not have a function to connect to a control server, and are designed for direct monitoring in the field.

[관련선행기술][Related Prior Art]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75965호(인터넷망을 이용한 도청기/몰래카메라 감지시스템 및 그작동방법)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75965 (Eavesdropper/Secret camera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network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설치형이면서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비한 도청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having a terminal that is installed and port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형을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한 경우에 전용망으로 연결된 관제서버로 그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전용망이 설치된 원래 설치장소에서 다시 기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원래 장소와 이동 설치한 장소를 구분하여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도청감시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installation type is moved and installed in another place, there is no way to transmit the monitor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monitoring data by dividing an original location and a moving installation lo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은,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와,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 단말기는,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저장매체, 도청판단부 및 모드설정부를 포함한다.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provides a wiretapping monitoring service, and a monitoring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the control server. The monitoring terminal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medium, an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and a mode setting unit.

제1 통신부는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고, 제2 통신부는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저장매체에는 도청판단부가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도청판단부는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 dedicated network installed in a basic place among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lace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in the portable mode. The storage medium stores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collects radio waves using an antenna for eavesdropping monitoring to monitor whether eavesdropping has occurred, and generates the monitoring data when eavesdropping is detected.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상기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When the mode setting unit connects to the dedicated network, it switches to the installation mode and provides the monitor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switches to the portable mode, stores the monitoring data in the storage medium, and provides the monitor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실시 에에 따라,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de setting unit is switched from the portable mode to the installation mode, the monitor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during the portable m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감시장소 인식Monitoring place recogni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상기 감시장소마다 설치되는 장소인식용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시 단말기에는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장소인식부는 예를 들어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수신기 등이 해당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place information is stored and may further include a tag for place recognition installed for each monitoring place, and the monitor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lace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tag. can In this case, the mode setting unit may display the place where the portable mode is being performed by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recogniz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or pl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monitoring data. The place recognition unit corresponds, for example, to an RFID receiver capable of recognizing a tag.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a place different from the default place is recogniz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the mode setting unit indicates a place different from the default pla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inser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is between the basic location and another location in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할 수도 있다. As another method, the monitoring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lace information, and the mode setting unit may include the pla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monitoring data.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The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of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감시 단말기의 도청판단부가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단말기의 제1 통신부가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하거나 제2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단말기의 모드설정부가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설치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와; 및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also extends to the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of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n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of a monitoring terminal collects radio waves using an antenna for eavesdropping monitoring, monitoring whether eavesdropping has occurred, and generating the monitoring data when eavesdropping is detected; accessing, by a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to a dedicated network installed in a basic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monitoring locations, or connect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a user terminal; switching to the installation mode when the mode setting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accesses the dedicated network and switching to the portable mode when disconnec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providing, by the mode setting unit, the monitoring data to a control server providing an eavesdropping monitoring service during the installation mode; and the mode setting unit storing the monitoring data in a storage medium during the portable mode and providing the monitor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도청 감시용 단말기는 관제서버와 연결된 전용라인이 설치된 상시 설치 장소(또는 기본 장소)에 설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형처럼 장소를 옮겨 다른 장소에서도 도청 감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감시 상황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e wiretapping monitor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be used for installation at a regular installation place (or a basic place) where a dedicated line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is installed, but also can be moved to another place like a portable type to perform wiretapping monitoring at other places, The monitoring status can be checked through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감시용 단말기는 원래 설치 장소와 이동 감시장소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이동 감시장소에서 생성한 감시 데이터를 관제서버로 전송할 때 장소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관제원이 장소를 구분하여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the original installation place and the moving monitoring place, so that when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at the moving monitoring plac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ler divides the place 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도 1은 본 발명의 도청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포함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여러 개 감시구역으로 구분된 감시 사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청 감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avesdropping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onitor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nitoring site divided into several monitoring areas, and
4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청 감시시스템(100)은 도청감시용 감시 단말기(110, 130)와, 단말기(110, 130)에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50)와, 전용망(170)을 통해 감시 단말기(110, 130)와 연결된 관제서버(190)를 포함한다. 관제서버(190)에는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2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가 설치된 예이다. Referring to FIG. 1 ,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for wiretapping monitoring, a user terminal 15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s 110 and 130 , and a dedicated network 170 . It includes a control server 190 connected to the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through the. The control server 19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 1 is an example in which two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are installed.

전용망(170)은 이동전화망, 공중전화망, 기타 인터넷과 같이 공공이 접속할 수 있는 공중망이 아닐 뿐만 아니라 공중망과 연결이 없는 폐쇄된 유선망으로 한정한다. 전용망(170)은 통상 설치 사이트(공공기관, 회사 등)의 단위로 설치된다.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not only not a public network accessible by the public, such as a mobile phone network, a public phone network, or the Internet, but is also limited to a closed wired network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public network.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usually installed in units of installation sites (public institutions, companies, etc.).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는 동일한 장치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감시 단말기(1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감시 단말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일정한 범위의 감시영역(점선)에서의 도청 전파를 추적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인 감시 데이터를 전용망(170)을 통해 관제서버(190)에게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기본적으로 설치형 모드로 동작하지만 휴대형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따라서 감시 영역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경될 수 있고, 감시 데이터에 감시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Since the two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shown in FIG. 1 are the same device, hereinafter, the monitoring terminal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uses at least one antenna to track and analyze the wiretapping radio waves in the monitoring area (dotted line) of a certain range,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data, which is the analysis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190 through the dedicated network 170. or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50 . 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operates in an installation mode, b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in a portable mode, and thus the monitoring area is not fixed and can be changed, and monitoring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monitoring data. .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제1 통신부(201), 제2 통신부(203), 전원부(205), 입력부(207), 저장매체(209), 내장 안테나(ANT1), 신호처리부(211), 장소인식부(213)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도청 신호의 검출과 관련된 구성에는 내장 안테나(ANT1), 아래에서 설명하는 확장 안테나(ANT2), 신호처리부(211) 및 제어부(230)가 포함된다. 다만, 본 발명은 도청 감시 알고리즘이나 하드웨어 구성 자체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종래에 이미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청 자체를 감시하고 인식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고 많기 때문에, 도 2의 구성과 그에 따른 설명은 도청 감시에 직접 관련된 수단의 일 예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알려진 알고리즘에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 the monitoring terminal 11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a power supply unit 205, an input unit 207, a storage medium 209, a built-in antenna (ANT1), a signal processing unit 211 , a place recognition unit 213 , and a control unit 230 .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detection of an eavesdropping signal includes a built-in antenna ANT1 , an extended antenna ANT2 to be described below, a signal processing unit 211 , and a control unit 23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haracterized by the eavesdropping monitoring algorithm or the hardware configuration itself, and since there are many and various methods for monitoring and recognizing eavesdropping itself that have already occurred in the monitoring area in the prior art, the configuration of FIG. It should be regarded as an example of a means directly related to wiretapping surveillance. Therefore,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ny number of methods known in the prior 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required for a known algorithm in the prior art.

제1 통신부(201)는 전용망(170)을 통해 관제서버(190)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수단이다. 종래의 다양한 시리얼 통신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음성이나 영상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대역폭이 넓은 IP 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용망(170)의 특징과 보안을 고려하여, 개별 감시 단말기(110, 130) 각각은 관제서버(190)와만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감시 단말기(110, 130) 사이에 상호 연결이 불가능한 구성이 좋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a network mean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190 through the dedicated network 170 . Although various conventional serial communication may be used, an IP network with a wide bandwidth may be used to transmit audio or video files.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curity of the dedicated network 170, each of the individual monitoring terminals 110, 130 is individually connected only to the control server 190,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interconnection between the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is impossible.

제2 통신부(203)는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무선랜(Wireless LAN), 유선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통상의 알려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1:1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보안에 유리하다. 한편, 제2 통신부(203)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동작모드가 '휴대형 모드'에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제1 통신부(201)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2 통신부(203)의 접속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제2 통신부(203)를 통한 전용망(170)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and is a USB (Universal Serial Bus) method, a wireless LAN, a wired LAN, Bluetooth, Zigbee, etc. A known wired or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and 1:1 communication is advantageous for 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s set to operate only in the 'portable mode' in the operation mod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s not allowed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connected. 2 The access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3 is fundamentally blocked.

전원부(205)는 교류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내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며, 휴대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205a)와 그 충전회로(미도시)를 함께 구비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05 includes a power circuit for supplying internal operating power using AC commercial power, and includes a battery 205a and a charging circuit (not shown) for portable use.

입력부(207)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장소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보드 등이 해당한다. The input unit 207 corresponds to a button, a keyboard, and the like for receiving various control commands or place information to be described below from the user.

저장매체(209)에는 안테나를 통해 획득한 전파신호(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포함)와, 전파신호를 분석한 실시간 감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한편, 감시 단말기(110)가 휴대형 모드임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저장매체(209)에도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The storage medium 209 stores a radio signal (including an audio signal and an image signal) acquired through the antenna, real-time monitoring data obtained by analyzing the radio signal,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nitoring terminal 110 provides monitor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portable mode, the same data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storage medium 209 .

내장 안테나(ANT1)는 도청 신호를 청취하기 위해 감시 단말기(110)에 내장된 기본 안테나로서, 신호처리부(211)에 연결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감시 단말기(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안테나(ANT2)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단자(211a)가 마련된다. 확장 안테나(ANT2)는 내장 안테나(ANT1)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고, 내장 안테나(ANT1)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예컨대, LTE, 5G 신호)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built-in antenna ANT1 is a basic antenna built into the monitoring terminal 110 to listen to the eavesdropping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nitoring terminal 1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ntenna terminal 211a for connecting at least one extended antenna ANT2. The extended antenna ANT2 may detect a signal of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at of the built-in antenna ANT1 or may detect a signal (eg, LTE, 5G signal) of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built-in antenna ANT1 .

신호처리부(211)는 내장 안테나(ANT1) 및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고 기본적인 필터링, 증폭 등을 수행하여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collects radio waves using the built-in antenna ANT1 and the extended antenna ANT2, performs basic filtering, amplification, and the like,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230 .

장소인식부(213)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가 위치한 장소를 인식하여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장소인식부(213)는 감시 장소에 설치된 식별수단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특정 실내 감시 장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적용할 수 있다.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recognizes the place where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230 . The place recognizing unit 213 may be any means capable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a specific indoor monitoring place in a manner tha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means installed in the monitoring place.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소인식부(213)는 RFID 수신기로 구현할 수 있다. 각 장소에는 장소인식용 태그(Tag)(301, 303)가 배치되는데, 개별 태그(301, 303)에 저장된 식별번호가 해당 장소 정보를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RFID 리더기가 각 장소에 배치된 태그(301, 303)를 인식하여 태그 식별번호를 읽으면, 매핑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감시장소를 인식할 수 있다. 감시 단말기(110)가 감시하는 복수 개 영역 중에서 전용망(170)이 배치된 제1 장소를 기본 장소로 설정할 수 있다. 장소인식부(213)는 태그(301, 303)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읽어온 다음, 제어부(230)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각 태그 식별번호를 장소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고, 태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장소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may be implemented as an RFID receiver. Place recognition tags (Tags) 301 and 303 are disposed in each place, and identification numbers stored in individual tags 301 and 303 are set to indicate corresponding place information. When the RFID reader recognizes the tags 301 and 303 disposed in each place and reads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the mapped plac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place. A first place where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disposed among a plurality of areas monitor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110 may be set as a default place.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reads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tags 301 and 303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230 . The controller 230 may use each tag identification number as the place information, or extract the place information using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다른 방법으로, 입력부(207)가 사용자로부터 장소 코드를 입력받음으로써 장소인식부(213)를 대신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input unit 207 may replace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by receiving a place code from the user.

제어부(230)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도청 신호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처리부(211)가 제공하는 전파가 도청 신호인지 판단하여 '감시 이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어부(230)는 도청판단부(231)와 모드설정부(233)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a 'monitoring event' by determining whether the radio wave provid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is an eavesdropping signal using an eavesdropping signal detection algorithm. For this operation, the control unit 230 includes a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231 and a mode setting unit 233 .

도청판단부(231)는 신호처리부(211)로부터 전파 신호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도청 신호인지 판단한다. 전파가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인 경우에, 도청판단부(231)는 해당 신호를 복조하여 음성 파일 또는 영상 파일을 획득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에도 감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도청 자체를 감시하고 인식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도청판단부(231)는 종래에 알려진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청판단부(231)는 도청 신호라고 판단되면 감시 이벤트를 생성한다.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231 receives the radio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and determines whether the eavesdropping signal corresponds to a preset condition. When the radio wave is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231 may acquire an audio file or an image file by demodulating the corresponding signal.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methods for monitoring and recognizing wiretapping itself occurring in the monitoring area are very diverse, so the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231 may use a conventionally known method as it is.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231 generates a monitoring ev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vesdropping signal is eavesdropping.

모드설정부(233)는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고, 각 모드 중에 도청이 확인되면 감시 이벤트를 생성하고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한다. 모드설정부(233)는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된 상태이면 설치형 모드로 동작하고 전용망(170)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형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The mode setting unit 233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eavesdropping is confirmed during each mode, a monitoring event is generated and a corresponding process is performed. The mode setting unit 233 operates in the installation mod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 and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portable mode when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not connected.

모드설정부(233)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하는 정보와 전용망(170) 연결 등을 기초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위치를 인식하고, 감시 이벤트에 따라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에 장소정보를 포함한다. The mode setting unit 233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and the connection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etc.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모드 전환 및 각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mode switching and operation in each mode o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치형 installation type 모드에서의in mode 동작 movement

<설치형 모드와 휴대형 모드의 전환: S401><Switching between installation mode and portable mode: S401>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으면 모드설정부(233)는 설치형 모드로 전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Room A에는 전용망(170)이 설치되어 있는 '기본 장소'로 설정된 곳이고, Room B는 전용망(170)이 없는 확장 공간이다. 각 방에는 태그(301, 303)가 부착되어 있다. 적어도 제2 태그(303)에 기록된 식별번호는 Room B를 지시한다. 기본 장소인 Room A에서 제1 태그(301)는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용망(1870)이 Room A에만 설치되었다면, 전용망(170) 연결로 Room A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 the mode setting unit 233 switches to the installation mode. Referring to FIG. 3 , Room A is a place set as a 'basic place' where a dedicated network 170 is installed, and Room B is an extended space without a dedicated network 170 . Tags 301 and 303 are attached to each room. At least the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second tag 303 indicates Room B. The first tag 301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in Room A, which is a basic location. For example, if the dedicated network 1870 is installed only in Room A, this is because Room A can be recognized by connecting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를 전용망(170)에 연결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설치형 모드로 진입한다. 설치형 모드에 진입하면, 모드설정부(233)는 제2 통신부(203)를 오프하고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면(설치형 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감시 단말기(110)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감시 단말기(110)가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감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기(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시 단말기(110)쪽으로 제공할 수 없다.When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the monitoring terminal 110 enters the installation mode. When entering the installation mode, the mode setting unit 233 turns of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and controls not to operate. Therefor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entering the installation mode), since it is impossible to access the monitoring terminal 110 using the user terminal 150, the monitoring terminal 110 is the user terminal ( 150) cannot provide monitoring data and data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50 cannot be provided towar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통신부(203)가 사용자 단말기(150)와 접속하도록 허용한다.I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not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 the mode setting unit 233 switches to the portable mode and allow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to connect with the user terminal 150 .

<로그 데이터의 전송: S403, S405><Transmission of log data: S403, S405>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경우에,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 동안 발생해서 저장매체(209)에 저장되어 있는 감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설치형 모드로 복귀한 후 감시 단말기(110)는 저장매체(209)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는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된 감시 데이터를 포함한다(S403). When returning to the installation mode, the mode setting unit 233 checks whether there is moni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portable mode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9 . To this end, after returning to the installation mode,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hecks whether there is monitoring data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90 in the storage medium 209 . Here, the monitoring data not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90 includes monitoring data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50 during the portable mode (S403).

만약, 저장매체(209)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하지 않은 감시 데이터가 있으면, 감시 단말기(110)는 해당 감시 데이터를 관제서버(190)로 전송함으로써 관제원이 휴대형 모드 동안의 감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05). If, in the storage medium 209, there is monitoring data that has not be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90, the monitoring terminal 110 transmits the monitor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190, thereby monitoring the monitoring situation during the portable mode by the control staff. to confirm (S405).

<설치형 모드 중 감시 이벤트: S407, S409><Monitoring event during installation mode: S407, S409>

설치형 모드나 휴대형 모드에서, 내장 안테나(ANT1)와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한 도청 신호감지와 신호처리부(211)의 분석 및 도청판단부(231)의 동작은 차이가 없다. 단지 휴대형 모드인 경우에 확장 안테나(AN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서 감시 범위가 작을 수 있을 뿐이다. 감시 데이터에는 장소정보가 포함된다. In the installed mode or portable mod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of a wiretap signal using the built-in antenna ANT1 and the extended antenna ANT2 , the analysi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231 . In the case of only portable mode, the monitoring range may be small because the installation of the extended antenna (AN2) is not easy.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설치형 모드 중에 감시 이벤트가 있으면(S407), 모드설정부(233)는 해당 감시 이벤트에 대한 감시 데이터(및/또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관제서버(190)로 제공한다(S409). 이때, 감시 데이터에는 기본장소 정보, 또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한 제1 태그의 식별번호 또는 식별번호로 추출한 장소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If there is a monitoring event in the installation mode (S407), the mode setting unit 233 provides monitoring data (and/or audio/video data) for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event to the control server 190 (S409). At this time,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basic place information or the place information extracted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r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first tag provided by the place recognizing unit 213 and transmitted.

휴대형 portable 모드에서의in mode 동작 movement

<휴대형 모드 진입: S401><Enter portable mode: S401>

S401 단계에 따라, 제1 통신부(201)가 전용망(170)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고, 제2 통신부(203)가 사용자 단말기(150)와 접속하도록 허용한다.According to step S401 , i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1 is not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170 , the mode setting unit 233 switches to the portable mod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connects to the user terminal 150 . allow

<장소 인식 및 사용자 단말기 연결: S411, S413><Location recognition and user terminal connection: S411, S413>

모드설정부(233)는 휴대형 모드로 진입한 후에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하는 태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장소를 인식한다. 각 태그 식별번호는 장소정보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모드설정부(233)는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시 단말기(110)를 전용망(170)으로부터 분리하는 순간 휴대형 모드로 진입하고, Room B에 설치된 제2 태그(303)를 인식함으로써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는 현재 위치가 제2 태그 식별번호에 매핑된 Room B 임을 인식할 수 있다(S411). The mode setting unit 233 recognizes a place by using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provid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after entering the portable mode. Since place information is mapped to each tag identification number, the mode setting unit 233 may check the current location. Referring to FIG. 3 ,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the second tag 303 installed in Room B and entering the portable mode the moment the user separates the monitoring terminal 110 from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Room B mapped to the second tag identification number (S411).

감시 단말기(110)는 제2 통신부(203)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 단말기(150)와 연결되면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제2 통신부(203)의 연결확인이 S411 단계의 장소인식 이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통신부(203)의 연결확인이 S411 단계 전이나 S411 단계와 병렬적으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S413).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hecks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 When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 monitoring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50 . Although the 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is shown after the location recognition in step S411 in FIG. 4, the 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3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S411 or in parallel with the step S411 ( S413).

<휴대형 모드 중 감시 이벤트: S415, S417, S419><Monitoring event during portable mode: S415, S417, S419>

앞서 설명한 것처럼, 설치형 모드나 휴대형 모드에서, 내장 안테나(ANT1)와 확장 안테나(ANT2)를 이용한 도청 신호감지와 신호처리부(211)의 분석 및 도청판단부(231)의 동작은 차이가 없다. 단지 휴대형 모드인 경우에 확장용 안테나(ANT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서 감시 범위가 작을 수 있을 뿐이지만 확장용 안테나(ANT2)를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stalled mode or portable mod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of a wiretap signal using the built-in antenna ANT1 and the extended antenna ANT2, the analysi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11,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231. In the case of the portable mode,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extension antenna ANT2, so the monitoring range may be small, but the extension antenna ANT2 may be installed as many times as possible.

휴대형 모드 중에 감시 이벤트가 있으면(S415), 모드설정부(233)는 해당 감시 이벤트에 대한 감시 데이터(및/또는 음성/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209)에 저장한다(S417).If there is a monitoring event in the portable mode (S415), the mode setting unit 233 stores monitoring data (and/or audio/video data) for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event in the storage medium 209 (S417).

사용자 단말기(150)가 연결된 상태이면, 감시 단말기(110)는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감시 이벤트에 따른 감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시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감시 데이터에는 장소인식부(213)가 제공한 태그 식별번호(예를 들어, 도 4의 제2 태그 식별번호) 또는 대응하는 장소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감시 단말기(110)는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50)에게 제공하더라도,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후에 관제서버(19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저장매체(209)에서 지우지 않고 저장해 둔다(S419). When the user terminal 150 is connecte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provides monitoring data according to the monitoring event to the user terminal 15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onitoring event. At this time,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eg, the second tag identification number of FIG. 4 ) or corresponding pla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and is transmitted. Even i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provides monitor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150, it is stored without erasing it from the storage medium 209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190 after being switched to the installation mode (S419).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감시 단말기(110)의 감시동작이 수행된다. In the above method, the monitoring operation of the monitoring terminal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실시 예 (공간 이동 중 태그)Example (tag while moving through space)

감시 단말기(110)는 전용망(170)과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휴대형 모드로 전환되고 장소인식부(213)로부터 태그 식별번호를 인식하기 전이라도 도청 감시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terminal 110 is switched to a portable mode as the connection with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cut off, and can continue to monitor the wiretapping even before recognizing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

장소미확인 시간동안,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인식부(213)가 새로운 태그 식별번호를 제공할 때까지 생성한 감시 데이터에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없다. 이후 새로운 장소정보가 확인되면(또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확인되면), 그 장소미확인 시간동안 도청판단부(231)가 생성하여 저장매체(209)에 저장된 감시데이터에 기본장소와 새로운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장소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During the place unconfirmed time, since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re the monitoring area is,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annot input the place information into the generated monitoring data until the place recognizing unit 213 provides a new tag identification number. After that, when new place information is confirmed (or confirmed within a preset time),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231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9 during the place unconfirmed time indicates that it is between the default place and the new place. Place information can be inserted.

입력부(207)를 통해 장소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동중 정보를 따로 입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inputting place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207, information while moving may be separately input.

실시 예 (장소 이탈 확인용 태그)Example (tag for confirmation of departure from place)

도 3에 도시되고 앞에서 설명된 태그는 개별 장소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용도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 장소이탈을 확인하기 위한 태그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tag shown in FIG. 3 and described above is used to confirm arrival at an individual place, a tag for confirming departure from a place may be additionally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런 경우에 감시 단말기(110)는 특정 공간에 도착과 이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감시 단말기(110)는 특정 공간 내에서 생성한 감시 데이터에만 해당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an accurately confirm arrival and departure in a specific space, an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an input corresponding place information only to monitoring data generated in a specific space.

이동 중 정보를 입력하는 앞의 실시 예에서, 장소 이탈 확인용 태그를 사용하면, 감시 단말기(110)는 더욱 정확하게 이동 중임을 확인하고 공간과 공간 사이를 이동중임을 나타내는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기본장소(도 3의 Room A)와 다른 장소(도 3의 Room B) 사이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들 사이(예를 들어, Room B와 다른 장소 사이)에서 적용할 수 있다.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inputting information while moving, if a tag for confirmation of place departure is used, the monitoring terminal 110 can more accurately confirm that it is moving and input pla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is moving between space and space. In this case, this is applicable not only between the default location (Room A in FIG. 3) and another location (Room B in FIG. 3), but also between other locations (eg, between Room B and another location).

입력부(207)를 통해 장소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장소 도착, 장소 이탈로 나누어 장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plac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7, the place information can be input by dividing the place into arrival and departure.

다른 실시 예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인식부(213)가 장소 정보(예를 들어, 태그 식별번호)를 제공할 때까지 감시 동작을 대기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re the monitoring area is, the monitoring terminal 110 waits for the monitoring operation until the place recognition unit 213 provides place information (eg, tag identification number). You may.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감시 영역이 어디인지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감시 단말기(110)는 장소정보가 없는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제서버(190)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ven when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monitoring area is, the monitoring terminal 110 may generate monitoring data without place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server 190 .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기(150)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감시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복호된 음성 또는 영상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any terminal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not shown). The user terminal 150 may display the monitoring data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110 as it is to the user or convert it into a form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nd display. The user terminal 15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not shown) in order to check the decoded audio or video file.

관제서버control server

관제서버(190)는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용망(170)은 하나의 감시 사이트 단위로 구축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감시 단말기(110, 130)도 동일한 감시 사이트 내에 설치된 것이어야 한다. 관제서버(190)에는 복수 개의 전용망이 연결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감시 사이트를 운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190 is a server that provides a wiretapping monitoring service, and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may b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dicated network 170 is built in units of one monitoring site, a plurality of monitoring terminals 110 and 130 must also be installed in the same monitoring site. The control server 190 may operate a plurality of monitoring sites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dedicated networks are connected.

관제서버(190)는 감시 단말기(110)가 제공하는 감시 데이터를 관제원에게 출력하여 관제원이 통합적으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server 190 outputs the monitoring data provided by the monitoring terminal 110 to the control personnel so that the control personnel can provide the control service in an integrated mann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도청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감시 단말기; 및
복수 개의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장소가 아닌 감시장소마다 설치되며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식별번호가 저장된 장소인식용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제1 통신부;
휴대형 모드 중에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제2 통신부;
도청판단부가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기 도청판단부;
상기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소인식부; 및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관제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상기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모드설정부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에 사용하되,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In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a control server providing a wiretapping monitoring service;
a monitoring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control server; and
It is installed at each monitoring place other than the basic place among a plurality of monitoring places and includes a place recognition tag in which an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place information is stored,
The monitoring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accessing a dedicated network installed in the basic location;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accessing the user terminal during the portable mode;
a storage medium storing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for collecting radio waves using an antenna for eavesdropping monitoring, monitoring whether eavesdropping has occurred, and generating the monitoring data when eavesdropping is detected;
a place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tag; and
When connected to the dedicated network, it switches to the installation mode and provides the monitoring data to the control server,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switches to the portable mode, stores the monitoring data in the storage medium, and provides the monitor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Used for installation type and portable type, including parts,
The mode setting unit can recognize the place where the portable mode is being performed by including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recogniz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or pl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monitor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ode setting unit is switched from the portable mode to the installation mode, the monitor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during the portable mod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기본 장소에도 설치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g is also installed in the basic place and after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a place different from the basic place is recogniz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the mode setting unit selects a place different from the basic pla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The eavesdropp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ocation is between the basic location and another location is inserted into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is recogniz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장소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monitoring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place information,
The mode setting unit eavesdropp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including the pla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monitoring data to recognize the place where the portable mode is being performed.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에 있어서,
감시 단말기의 도청판단부가 도청 감시를 위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수집하여 도청 여부를 감시하고 도청이 감지되면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말기의 제1 통신부가 복수 개 감시장소 중에서 기본 장소에 설치된 전용망에 접속하거나 제2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감시단말기의 모드설정부가 상기 전용망에 접속하면 설치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되면 휴대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감시 단말기의 장소인식부가 기본장소가 아닌 감시장소마다 설치된 장소인식용 태그 중 하나를 인식하여 장소정보를 지시하는 태그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설치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도청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중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되, 상기 감시 데이터에는 상기 장소인식부가 인식한 태그 식별번호를 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장소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함께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치형과 휴대형 모드로 동작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In the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of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The eavesdropping determination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collects radio waves using an antenna for eavesdropping monitoring to monitor whether eavesdropping has occurred, and generating monitoring data when eavesdropping is detected;
connect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to a dedicated network installed in a basic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monitoring locations or connec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mode setting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accesses the dedicated network, switching to the installation mode, and when separated from the dedicated network, switching to the portable mode;
recognizing a tag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place information by recognizing one of the place recognition tags installed for each monitoring place, not the default place, by the place recognizing unit of the monitoring terminal;
providing, by the mode setting unit, the monitoring data to a control server providing an eavesdropping monitoring service during the installation mode; and
The mode setting unit stores the monitoring data in a storage medium during the portable mode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a tag identification number recognized by the place recognition unit or pl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An eavesdropping monitoring method of an eavesdropping monitoring system operating in an installed type and a portable mode, 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where the portable mode is being per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모드에서 설치형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상기 모드설정부가 상기 휴대형 모드 동안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portable mode is switched from the portable mode to the installation mode, the mode setting unit eavesdropp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onitor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during the portable mode to the control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How to monitor eavesdropping in a surveillance system.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가 상기 기본 장소에도 설치되고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한 후에, 상기 모드설정부는 상기 전용망에서 분리된 후부터 상기 기본 장소와 다른 장소를 지시하는 상기 태그 식별번호가 인식되기 전까지 상기 도청판단부가 생성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감시데이터에 상기 기본장소와 다른 장소 사이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fter the tag is installed in the basic loc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default location is recognized after separation from the dedicated network, the mode setting unit selects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default location after separation from the dedicated network eavesdropping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inser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is between the basic location and another location in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wiretapping determination unit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until the indicating tag identification number is recognized How to monitor eavesdropping on the system.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부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장소정보를 상기 감시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모드가 수행 중인 장소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시 시스템의 도청 감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6 or 7,
The wiretapping monitoring method of the wiretapp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setting unit can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portable mode is being performed by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monitoring data.

KR1020200039333A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14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200039333D KR20210121902A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827B1 true KR102314827B1 (en) 2021-10-19

Family

ID=782281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33A KR102314827B1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200039333D KR20210121902A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33D KR20210121902A (en) 2020-03-31 2020-03-31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482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00B1 (en) * 2017-04-07 2017-10-30 (주)지슨 Wiretapping Surveilance System Coupled with Security System and Surveilanc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00B1 (en) * 2017-04-07 2017-10-30 (주)지슨 Wiretapping Surveilance System Coupled with Security System and Surveilanc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02A (en)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746B2 (en) Detection of an unauthoriz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750903B1 (en) Cell phone control and localization for restricted facilities
CA2972721C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US7039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interfe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35453A1 (en) Access point incorporating a function of monitoring illegal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91500B1 (en) Wiretapping Surveilance System Coupled with Security System and Surveilance Method thereof
CN107995626B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WIFI signal security category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24840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EP3367357A1 (en) Suspicious person detection system, suspicious person detection method
US10055581B2 (en) Lo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ttack
CN106204984A (en) A kind of burglary-resisting installation based on wireless signal and method
US11240136B2 (en) Determining attributes using captured network prob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5741510A (en) Intelligent alarm method based on wireless signal and intelligent alarm system thereof
KR100335513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wiretap
KR101261293B1 (en) Control system for video security device using smart phone
KR102084687B1 (en) Security oper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llegal photography
KR20210044595A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 hidden camera,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314827B1 (en) Installed and Portable Wiretapp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18409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elecom shaded area using bluetooth mesh network
KR101392126B1 (en) Dvr make use of networ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2290863B1 (en) System for Detecting Illegal Wiretapping and Hidden Camera for Building Big Data
KR101822586B1 (en) Security device,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CN108809937B (e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536013B1 (en) Method and system to take over control of unmanned vehicle
CN116908556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electromagnetic environment of secret-related 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