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649B1 -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649B1
KR102314649B1 KR1020197005802A KR20197005802A KR102314649B1 KR 102314649 B1 KR102314649 B1 KR 102314649B1 KR 1020197005802 A KR1020197005802 A KR 1020197005802A KR 20197005802 A KR20197005802 A KR 20197005802A KR 102314649 B1 KR102314649 B1 KR 10231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rticipant
priority
call type
floo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279A (ko
Inventor
니샨트 굽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04L65/4038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with flo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04W72/1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floor) 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서비스는 둘 이상의 사용자들이 통신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송신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LTE를 통한 미션 크리티컬 푸시 투 토크(MCPTT: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over LTE) 서비스는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 서비스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나리오들에 적합한 개선된 PTT 서비스를 지원한다.
MCPTT 서비스는 여러 사용자들 간 통신(그룹 콜)을 지원하도록 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사용자는 조정된 방식에 따른 말하기 허가 접근을 획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MCPTT 서비스는 사용자들 사이에서의 실제 통신 경로(들)를 설정,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해 EPS 아키텍처들을 통해 제공되는 기존의 3GPP 수송 통신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다.
MCPTT 서비스는 또한, 오프 네트워크(off-network) 통신을 위한 근접 기반 서비스(ProSe, Proximity-based Service) 이행자에 기반하여 구축된다. 오프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할 때, MCPTT 서비스는 전송을 위해 ProSe E-UTRA 다이렉트(UE-to-UE) 통신 경로를 이용한다. ProSe 다이렉트 통신 경로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거치지 않는다.
MCPTT는 MCPTT 호출을 위해 발언권(floor) 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MCPTT 동작 중에, 한 명의 사용자만이 미디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전송을 위해, MCPTT 사용자는 발언권 조정자 또는 발언권 제어 서버에게 발언권 전송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전송 발언권이 가능한 경우, 발언권 제어 서버가 요청한 사용자에게 허가를 한다. 다만, 발언권이 다른 MCPTT 사용자에게 이미 선점되어 바로 전송에 사용 가능하지 않는 경우, MCPTT 서버는 다음과 같은 3 가지 실행 가능한 옵션을 가진다: 1.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2.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고 나중에 가능할 때 부여한다. 3. 현재의 발언권 점유자를 무시하고, 요청한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옵션 3에 있어서, 발언권 조정자 또는 발언권 제어 서버는 발언권 요청의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요청에 대한 무효 가능성을 결정해야 한다. 발언권 요청의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요청에 대한 무효 가능성 결정 역할을 할 수 있는 MCPTT 호출 유형, MCPTT 사용자 및 발언권 요청과 관련된 관례적인 기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기법들은 요청한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현재의 점유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못한다.
상기 정보는 독자가 본 개시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만 제시된다. 출원인은 본 개시와 관련하여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 선행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 여부에 관해 아무 판단도 내리지 않았으며 어떤 단정도 하지 않았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의 주요 목적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발언권 요청들에 대한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참여자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의 발언권 점유자인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일치할 때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 발언권 요청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동일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발언권은 현재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의해 점유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동일함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보다 높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보다 높다고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게 발언권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보다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높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는 것과 상기 발언권 요청을 거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역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들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역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의 상기 참여 유형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의 상기 참여 유형이 이용 불가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참여 유형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참여자 유형이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서만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 유형이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서만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의해 선점된 발언권을 무효화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게 발언권 요청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참여자 유형이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해서만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는 것과 상기 발언권 요청을 거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역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에 대한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역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우선한다고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보다 우선한다고 검출함에 따라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하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게 발언권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우선한다고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는 것과 상기 발언권 요청을 거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다고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각각과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발언 참여자 둘 모두에 대해 발언권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에 대해 발언권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고 검출함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보다 높다고 검출함에 따라,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게 발언권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보다 높다고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검출함에 따라 상기 발언권 요청을 거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및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 둘 모두의 상기 유효 우선순위, 즉 참여자 유형,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와 같은 최소한의 이용 가능한 우선순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유효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유효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판단함에 따라,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함에 따라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게 상기 발언권 요청을 허가함으로써,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상기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에 대한 유효 우선순위가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보다 높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대기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거부하거나, 대기가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는 단계를 역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발언권 제어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발언권 제어 서버는 메모리, 및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동일함을 판단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발언 참여자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되, 상기 유효 우선순위는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판단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및 기타 양태들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보다 잘 예상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그에 대한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을 가리키는 이하의 내용들은 한정이 아닌 예로서 주어지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의 범위 안에서 그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많은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그러한 모든 변경사항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발언권 요청들에 대한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참여자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일치할 때,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할 수 있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는 상기 발언권의 현재 점유자이다.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파악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서버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서버의 다양한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관리자의 다양한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사용자 우선순위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참여자 유형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안에서의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발언권 우선순위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안에서의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이용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안에서의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 및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체적 세부사항들은 다만 그러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서만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범위와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들과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확함과 간결함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들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여기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또는" 이라는 용어는 다르게 지시되지 않으면 비배타적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예들은 단지 여기의 실시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돕고 당업자가 여기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예정된 것이다. 따라서 그 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이 분야에서 의례적인 바와 같이, 실시예들은 서술된 기능 내지 기능들을 수행하는 블록들을 이용하여 기술되고 예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관리자, 유닛, 또는 모듈 등으로 불릴 수 있는 이러한 블록들은 로직 게이트,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회로, 수동 전자 구성요소, 능동 전자 구성요소, 광학적 구성요소, 하드웨어 회로 등과 같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옵션으로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회로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들 내에서, 혹은 인쇄 회로 보드 등과 같은 기판 서포트들 상에서 실시될 수 있다.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회로들은 전용 하드웨어, 프로세서(가령,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관련 회로), 또는 블록의 일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및 블록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블록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둘 이상의 상호 동작하는 개별 블록들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의 블록들은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보다 복잡한 블록들 안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단지 표시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실시예들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바꿔 사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3GPP TS 24.380에서 채택된다: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미션 크리티컬 푸쉬 투 토크)) 미디어 영역 제어(rel-13 and rel-14); “4.1.1.5 오프 네트워크 유효 우선순위 결정(Determine off-network effective priority)”, “7.2.1.2 오프 네트워크 발언권 우선순위 결정(Determine off-network floor prior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호출 유형과 동일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된 방법은 발언권 제어 서버가 현재 발언권을 선점한 사용자의 유효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나타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발언권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제 일관되게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참조 문자들이 해당 구성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특히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보여진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1000)은 미디어 전송, 즉 MCPTT 호출들을 관리하기 위한 발언권 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1000)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는 예컨대, 전자 기기, 사용자 장치(UE)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자원들(5G, LTE, 3GPP)를 이용하여 발언권 제어 서버(100)와 통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발언권 부여를 요청하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 발언권이 이미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의해 선점되어 있어, 전송이 바로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옵션들을 포함하는 발언권 요청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1.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2.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고 나중에 가능할 때 허가한다.
3.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옵션 3을 수행하기 위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복수의 속성들에 기반하여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속성들은 다음과 같다:
1. 호출(call) 유형, 진행 중인 호출의 속성.
2. 사용자 우선순위, 사용자의 속성.
3. 참여자 유형, 사용자의 속성.
4. 발언권 우선순위, 발언권 요청의 속성.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서버(100)의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10)는 비휘발성 저장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비휘발성 저장 요소들의 예들에는 자기적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ies)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메모리들의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일부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라고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나 전파 신호로 구현되지 않는다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210)가 비이동성(non-movable)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부 예들에서, 메모리(210)는 메모리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가령,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캐시). 또한 메모리(210)는 프로세서(220)를 통해 어드레스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장 장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30)는 발언권이 현재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의해 선점되어 있을 때,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예를 들어, 하드웨어 유닛, 장치, 중앙처리부(CPU), 그래픽 처리부(GPU) 등)는 메모리(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발언권 요청(가령,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는 사용자 우선순위(도 5에서 상세히 논의됨), 참여자 유형(도 6에서 상세히 논의됨), 및 발언권 우선순위(도 7에서 상세히 논의됨)와 같은 속성들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서버의 다양한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할 때,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통신부(110),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10)는 도 2에서 기술되는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발언권이 현재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의해 선점되어 있을 때,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는 발언권 요청(가령,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는 사용자 우선순위(도 5에서 상세히 논의됨), 참여자 유형(도 6에서 상세히 논의됨), 및 발언권 우선순위(도 7에서 상세히 논의됨)와 같은 속성들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프로세서(130)(예를 들어 하드웨어 유닛, 장치, 중앙처리부(CPU), 그래픽 처리부(GPU) 등)는 메모리(140)(가령,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30)를 통해 어드레스 가능하도록 구성된 저장 위치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 및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도 2에서 기술되는 메모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통신부(110) 및 메모리(140)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의 다양한 유닛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는 호출 유형 식별자(122) 및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 유형 식별자(122)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호출 유형과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즉, 현재의 호출 유형)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능한 호출 유형들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아래의 3 가지 호출 유형들이 고려된다. 긴급 호출(emergency call), 임박한 위험 호출 (Imminent Peril call), 및 기본 호출(Basic call) (또는, 일반 호출(Normal call)).
임박한 위험: 죽음이나 심각한 부상의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이나, MCPTT 긴급 호출보다는 덜 위급한 긴급 MCPTT 그룹 호출. 예를 들어, 일반 대중에 대한 임박한 위험을 수반하는 상황(예를 들어, 캠핑하는 이들을 둘러싸려고 하는 산불, 학교 인근에서 폭발 직전인 유조 트럭, 차량 폭발 현장에서의 사상)에 대한 관여나 MCPTT 사용자의 관찰로부터 비롯된 것과 같은, 사람 목숨에 대한 임박한 위협의 경우에 우선시되는 호출.
긴급 호출: 죽음이나 심각한 부상과 같은 심각한 상황을 강조하는 긴급 MCPTT 그룹 호출. 가장 위급한 MCPTT 호출이다.
유효 우선순위: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 의해 정해지는 우선순위 결정은, 현재의 발언권 요청 및 발언권이 부여된 현재의 참여자 및 로컬 정책에 대한 발언권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호출 유형 등과 같은 다수의 입력 파라미터들에 기반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사용자 우선순위 식별자(124a), 참여자 유형 식별자(124b) 및 발언권 우선순위 식별자(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우선순위 식별자(124a)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1.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 이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a.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대해서만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c.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 대해서만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발언권 요청을 허가한다.
d.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들을 비교한다.
1)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유효 우선순위 보다 높은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2)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유효 우선순위 보다 높은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발언권 요청을 허가한다.
3)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참여자 유형 식별자(124b)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한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1.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에 의해,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한다:
a.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한 경우:
1)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참여자 유형의 이용 가능성을 판단한다:
A.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만이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B.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참여자 유형만이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발언권 요청을 허가한다.
C.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한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a. 해당 참여자 유형에 있어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및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1)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 우선하는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2)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우선하는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를 무시하고 발언권 요청을 허가한다.
(3)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같은 수준인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언권 우선순위 식별자(124c)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1.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보낸 발언권 요청 메시지 내에서 발언권 우선순위의 존재를 판단한다:
a. 발언권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으면,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가 대기가 가능한 경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b. 발언권 우선순위가 존재하는 경우, 유효 우선순위 검출자(124)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은 경우,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2)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3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은 경우, 발언권 제어 관리자(120)는 제2 발언 참여자(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사용자 우선순위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2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통신부(23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현재 발언권을 선점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50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50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510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508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512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514에서 대기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기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단계 51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수신한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킨다. 대기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단계 51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을 무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참여자 유형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2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통신부(21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언권은 현재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의해 선점되어 있다.
단계 60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 계층(hierarchy)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08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0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대해서만 참여자 유형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4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수신된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수신된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만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2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6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 우선한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4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수신된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수신된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우선한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12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608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발언권 우선순위에 기반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안에서의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2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통신부(23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70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호출 유형이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70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70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참여자 유형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710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708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참여자 유형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712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선점한 발언권을 무효화시키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714에서 대기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기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단계 71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킨다. 대기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단계 71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요청을 무시한다.
도 8a 및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에 따라,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이용하는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 발언권 요청 관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할 때, 발언권 요청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 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속성들 및 다양한 속성들의 우선 순위가 제시된다.
단계 802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통신부(23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80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전송한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호출 유형이 긴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서, 프로세서(22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전송한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호출 유형이 긴급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지시된 호출 유형이 긴급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80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호출 유형이 임박한 위험인지를 판단한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 내 호출 유형이 임박한 위험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80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을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이 긴급이거나 임박한 위험이라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2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지시된 호출 유형이 긴급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81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이 긴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호출 유형이 긴급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4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단계 808, 단계 810, 및 단계 816에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둘 모두의 호출 유형들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발언권 요청들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속성들, 즉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를 체크한다.
단계 818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 계층(hierarchy)이 이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20에서, 두발언 참여자들 모두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만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참여자 유형만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두 발언 참여자들 모두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 우선한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에 우선한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발언권 제어 서버(1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모두의 참여자 유형 계층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사용자 우선순위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2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가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826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4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 양자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28에서, 두 발언 참여자들의 사용자 우선순위를 비교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 보다 낮다고 판단될 때,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2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4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사용자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사용자 우선순위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및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와 관련된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832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가 전송한 발언권 요청 메시지가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를 가지는지를 체크한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가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를 가지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2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발언권 요청 메시지가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를 가진다고 판단될 때, 단계 834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4에서,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를 무시하고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제2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의 발언권 우선순위 보다 높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단계 812에서, 대기가 가능한 경우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그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도 5,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속성들의 순서, 즉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는 바뀔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언권 제어 서버(100)는 유효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속성들 중에서 최소 속성 (또는, 최소값을 가진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유효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9a를 참조할 때, 일례가 고려하는 시나리오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300)가 이미 발언권과 연관되어 있을 때, 즉 MCPTT 사용자-1(User-1)이 현재의 발언권 조정자일 때, 발언권 요청이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200), 즉 MCPTT 사용자-2(User-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이다.
입력 파라미터들 MCPTT 사용자-1(User-1) MCPTT 사용자-2(User-2)
호출 유형 긴급 임박한 위험
사용자 우선순위 5 8 (가장 높음)
참여자 유형 2(필드 담당자) 2(필드 담당자)
발언권 우선순위 6 8 (가장 높음)
일 실시예에서 MCPTT 사용자-2(User-2)가 발언권 조정자(즉,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게 발언권을 요청한다. 먼저, 발언권 조정자는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지시자 필드 안에서 지시된 MCPTT 사용자-2(User-2)의 호출 유형이 임박한 위험이라고 판단한다. 둘째로,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1(User-1)의 호출 유형이 긴급이라고 판단한다. MCPTT 사용자-1(User-1)의 진행중인 호출이 긴급 호출이라고 판단되면, 발언권 조정자는 대기 가능 시, MCPTT 사용자-2(User-2)로부터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도 9b를 참조할 때, 일례가 고려하는 시나리오는, MCPTT 사용자-1(User-1)이 이미 발언권을 가질 때, 즉 MCPTT 사용자-1(User-1)이 현재의 발언권 조정자일 때, 발언권 요청이 MCPTT 사용자-2(User-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이다.
MCPTT 사용자-1(User-1) 및 MCPTT 사용자-2(User-2)의 다양한 입력 파라미터들이 표 2에서 제시된다:
입력 파라미터들 MCPTT 사용자-1(User-1) MCPTT 사용자-2(User-2)
호출 유형 긴급 긴급
사용자 우선순위 8 (가장 높음) 8 (가장 높음)
참여자 유형 2(필드 담당자) 2(필드 담당자)
발언권 우선순위 8 (가장 높음) 6
일 실시예에서 MCPTT 사용자-2(User-2)가 발언권 조정자(즉,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게 발언권을 요청한다. 먼저,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2(User-2)의 호출 유형이 긴급이라고 판단한다. 둘째로,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2(User-1)의 호출 유형도 긴급이라고 판단한다. 두 사용자들의 호출 유형이 동일한 것, 즉 긴급이라고 판단된 경우, 발언권 조정자는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와 같은 다른 속성들을 체크한다. 두 MCPTT 사용자들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 및 참여자 유형 역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언권 조정자는 발언권 우선순위 속성들을 체크한다. 또한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1(User-1)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8이고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우선순위는 6이라고 판단한다. MCPTT 사용자-1(User-1)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MCPTT 사용자-2(User-2)의 것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조정자는 대기 가능 시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요청을 대기시키거나, 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요청을 거부한다. 더 높은 발언권 우선순위를 가진 MCPTT 사용자-1(User-1)는 계속해서 발언권을 사용한다.
도 9c를 참조할 때, 일례가 고려하는 시나리오는, MCPTT 사용자-1(User-1)이 이미 발언권을 가질 때, 즉 MCPTT 사용자-1(User-1)이 현재의 발언권 조정자일 때, 발언권 요청이 MCPTT 사용자-2(User-2)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이다.
MCPTT 사용자-1(User-1) 및 MCPTT 사용자-2(User-2)의 다양한 입력 파라미터들이 표 3에서 제시된다:
입력 파라미터들 MCPTT 사용자-1(User-1) MCPTT 사용자-2(User-2)
호출 유형 긴급 긴급
사용자 우선순위 8 (가장 높음) 8 (가장 높음)
참여자 유형 2(필드 담당자) 2(필드 담당자)
발언권 우선순위 5 8 (가장 높음)
일 실시예에서 MCPTT 사용자-2(User-2)가 발언권 조정자(즉, 발언권 제어 서버(100))에게 발언권을 요청한다.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2(User-2)의 호출 유형이 긴급이고 MCPTT 사용자-1(User-1)의 호출 유형도 긴급이라고 판단한다. 두 사용자들의 호출 유형이 모두 동일한 것, 즉 긴급이라고 판단된 경우, 발언권 조정자는 사용자 우선순위, 참여자 유형 및 발언권 우선순위와 같은 다른 속성들을 체크한다. 두 사용자들 모두의 사용자 우선순위 및 참여자 유형 역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언권 조정자는 발언권 우선순위 속성들을 체크한다. MCPTT 사용자-1(User-1)의 발언권 우선순위는 5로 판단되고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우선순위는 8이이다.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MCPTT 사용자-1(User-1)의 것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발언권 조정자는 MCPTT 사용자-1(User-1)의 현재의 호출을 무시하고 MCPTT 사용자-2(User-2)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는데, 이는 MCPTT 사용자-2(User-2)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MCPTT의 발언권 우선순위보다 높기 때문이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내용은 여기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성격을 충분히 드러내어 타자들이 현재의 지식을 적용하여 일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과 같은 다양한 적용예들을 용이하게 변형 및/또는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적응 및 변형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의미 및 범위 내에 포괄되어야 하며 그렇게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된 어법이나 용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여기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는 여기의 실시예들이 기술된 것과 같은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의 변형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언권 제어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파라미터들 및 발언권을 점유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의 입력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입력 파라미터들은 발언권 우선순위 파라미터, 참여자 유형 파라미터, 또는 콜 타입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발언권 요청을 허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긴급(emergency)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imminent-peril) 콜 타입 또는 일반(normal) 콜 타입인 경우에 허여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상기 콜 타입 파라미터가 일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 또는 긴급 콜 타입인 경우에 대기 또는 거절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일반 콜 타입인 경우에 허여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긴급 콜 타입인 경우에 대기 또는 거절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는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지시자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발언권 우선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의 대기가 활성화 되는 경우에 대기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의 대기가 비활성화되는 경우에 거절되는 것인,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언권 제어 서버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발언 참여자(participant)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파라미터들 및 발언권을 점유하고 있는 제2 발언 참여자의 입력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입력 파라미터들은 발언권 우선순위 파라미터, 참여자 유형 파라미터, 또는 콜 타입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유효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발언권 요청을 허여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긴급(emergency)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imminent-peril) 콜 타입 또는 일반(normal) 콜 타입인 경우에 허여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상기 콜 타입 파라미터가 일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 또는 긴급 콜 타입인 경우에 대기 또는 거절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일반 콜 타입인 경우에 허여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임박한 위험 콜 타입이고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콜 타입 파라미터가 긴급 콜 타입인 경우에 대기 또는 거절되는 것인, 발언권 제어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콜 타입 파라미터는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지시자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것인, 발언권 제어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발언권 우선순위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발언권 요청 메시지의 발언권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발언 참여자의 발언권 우선순위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발언권 제어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은 상기 발언권 요청의 대기가 활성화 되는 경우에 대기되고, 상기 발언권 요청의 대기가 비활성화되는 경우에 거절되는 것인, 발언권 제어 서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7005802A 2016-08-26 2017-08-28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KR102314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641029174 2016-08-26
IN201641029174(???) 2016-08-26
IN201641029174(????) 2017-08-14
PCT/KR2017/009358 WO2018038581A1 (en) 2016-08-26 2017-08-28 Method for managing floor request in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279A KR20190037279A (ko) 2019-04-05
KR102314649B1 true KR102314649B1 (ko) 2021-10-19

Family

ID=6124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802A KR102314649B1 (ko) 2016-08-26 2017-08-28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18846B2 (ko)
EP (1) EP3479603A4 (ko)
KR (1) KR102314649B1 (ko)
CN (1) CN109845297A (ko)
WO (1) WO20180385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136A1 (en) * 2000-03-03 2002-06-20 Mark Maggent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rbitra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3199B1 (en) * 2002-09-06 2011-07-19 Cisco Technology,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CN101150786B (zh) * 2006-09-19 2010-11-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集群通信网络系统和基于该系统的呼叫方法
CN101075988A (zh) 2007-03-19 2007-11-2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即时通信的即按即说系统、方法和服务器
CN101132562A (zh) * 2007-09-24 2008-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蜂窝按讲业务的话语权控制方法及系统
US8032169B2 (en) * 2007-11-28 2011-10-0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overhead floor control in a distribu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network
KR102232787B1 (ko) 2014-06-30 2021-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7136A1 (en) * 2000-03-03 2002-06-20 Mark Maggent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rbitration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18846B2 (en) 2022-01-04
US20190200176A1 (en) 2019-06-27
WO2018038581A1 (en) 2018-03-01
EP3479603A1 (en) 2019-05-08
CN109845297A (zh) 2019-06-04
KR20190037279A (ko) 2019-04-05
EP3479603A4 (en)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5831B2 (en) Selectively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s 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061303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シグナリング接続アドミッション制御
CN111182568B (zh) 通信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10925112B2 (en) Method for applying for media transmission permiss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media transmission permission
US10336575B2 (en) Group call management
US88556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ding participants into an existing talk group
US11070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dio cut-in policy in MCPTT communication
US9100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privileged access in a cellular network
EP3119130A1 (en) Restriction control device, restriction control system, and restriction control method
US8423067B2 (en) Method of connecting prioritized incoming calls in overload situations in a mobile radio network
US8160628B1 (en)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up a push-to-talk call
KR102314649B1 (ko) 미션 크리티컬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언권 요청을 관리하는 방법
CN110198520A (zh) 接入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7606593B1 (en) Priority dispatch communications in publicly-accessible networks
US20220217539A1 (en) Authoriz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KR1009322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적 사용자 검출 시스템, 방법 및그를 이용한 호 수락 제어 방법
CN105630710A (zh) 外设设备的访问控制方法、系统和服务器
US10531308B1 (en) Dynamically assigning priority for share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s
US9264549B1 (en) Short messaging servic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20408316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ssion control
JP2005167593A (ja) 緊急発信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