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81B1 -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681B1
KR102313681B1 KR1020210034454A KR20210034454A KR102313681B1 KR 102313681 B1 KR102313681 B1 KR 102313681B1 KR 1020210034454 A KR1020210034454 A KR 1020210034454A KR 20210034454 A KR20210034454 A KR 20210034454A KR 102313681 B1 KR102313681 B1 KR 10231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absorbing
eleva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인향
Original Assignee
백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향 filed Critical 백인향
Priority to KR102021003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81B1/en
Priority to KR1020210132982A priority patent/KR1024650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Provided is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which comprises: H-beams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wall surface of a pit in a building where a plurality of pits are arranged so as to arrange an elevator, and a plurality of frames which ar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H-beams; a sound absorption panel, the both distal ends of which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frames so as to absorb noise generat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a soundproof panel, the both distal ends of which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frames and which are arranged to be layer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sound absorption panel, thereby being able to block noise generat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frames include a bent pipe which is formed in a square pipe vertically bent, has an A surface or a B surface fixedly installed at the H-beams,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beams respectively. The sound absorption panel includes: a fastening surface which is arranged in a single layer at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sound absorption panel to be fixed to the bent pipe; and a sound absorption surface which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und absorption panel, and arranged in a multiple layer shape of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o as to absorb noise generat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 particular, provided is the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wherein the soundproof panel comprises: a plurality of main panels made of a material of high strength which can block noise; and a connecting unit which is arranged between up-and-down directions or left-and-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anel in order to successively connect the plurality of main panels in up-and-down directions or left-and-right directions. Therefore, noise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elevator can be reduc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 및 화물이 하부에서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진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피트는 건물의 일측 공간에 설치되어진다.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 카측 가이드레일이 고정 설치되거나, 별로의 엘리베이터 구조물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Elevators are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so that people and cargo can easily mo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Elevators are electrically operated using counterweights, cables and pulley devices.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 and the elevator pit is installed in a space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the car side guide rail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pit or may be installed by a separate elevator structure.

건물의 규모에 따라 하나의 건물에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엘리베이터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거나, 다수 개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설치 후에도 노후화, 고장 및 점검 등에 의해 새로운 엘리베이터로의 교체 및 보수/점검 공사가 수시로 이루어진다.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elevators may be installed in one building. In this case, the elevators may be installed individually, or a plurality of elevators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even after the elevator is installed, replacement and repair/inspection work is frequently performed with a new elevator due to aging, breakdown, and inspection.

한편, 위와 같이 엘리베이터 관련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측에 작업대 또는 비계를 설치한 후 엘리베이터의 공사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신규 설치/교체를 비롯한 심각한 문제의 엘리베이터 보수 공사는 3~5일 정도 소요되어 단기간에 마무리되지 못한다. 테스트 기간까지 더하면 공사기간이 더욱 증가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erform the elevator-related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construction is performed after installing a workbench or scaffolding inside the elevator pit. In general, elevator repair work of serious problems, including new installation/replacement of elevators, takes about 3-5 days and cannot be comple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f the test period is added, the construction period may be further increased.

특히,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가 인접되게 설치된 건물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교체 및 보수 공사 시 다른 인접한 엘리베이터는 운행하게 된다. 이때, 운행중인 엘리베이터가 교체 및 보수 공사중인 엘리베이터를 지나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사용자가 공포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교체 및 보수 공사 시 낙하물이 운행중인 엘리베이터에 추락하는 경우,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adjacently, other adjacent elevators are operated during replacement and repair of elevators. At this time, when an elevator in operation passes an elevator under replacement and repair work, the user may feel a sense of fear due to the generated noi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afety problems may occur when a falling object falls into a running elevator during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elevator.

따라서,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가 인접되게 설치된 건물에서 엘리베이터의 교체 및 보수 공사 시,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발생된 소음이 전 층으로 전달되고 관련하여 민원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교체 및 보수 공사는 가급적이면 일반적인 공사보다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며, 소음이 작게 발생되도록 진행되어야 한다. Therefore, when replacing and repairing elevators in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installed adjacently, noise generated along the elevator pits is transmitted to all floor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umber of related complaints are generated. Therefore, the elevator replacement and repair work should be carried out faster than the general construction work if possible, and the noise should be sma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및 설치 공사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repair and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가 배치되는 피트가 다수 개가 배치되는 건물에서, 상기 피트의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패널; 및 상기 프레임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흡음패널과 겹치도록 층상으로 배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차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관으로 형성되고, A면 또는 B면이 상기 H빔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H빔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절곡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흡음패널의 양측 단부에 단층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곡관과 고정될 수 있는 체결면; 및 상기 흡음패널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제1면 및 제2면의 다중의 층 형상으로 배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패널은, 소리를 차단할 수 있는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되는 메인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패널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pits in which an elevator is disposed are disposed, an H-beam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p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vertically spaced apart state to the H-beam. A plurality of frames;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the sound-absorbing panel that can absorb the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and a sound insulation panel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ame and arranged in layers so as to overlap the sound-absorbing panel to block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wherein the frame is formed of a vertically bent rectangular tube And, the A-side or B-side is fixed to the H-beam, the bent pip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beam; including,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rranged in a single layer at both ends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 fastening surface that can be fixed to the bent tube; and a sound-absorbing surface tha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und-absorbing panel, is disposed in a multiple layer shap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can absorb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A main panel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that can be blocked;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main panel, the connection portion capable of continuou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main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은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건물에서 엘리베이터의 교체 및 공사 시, 엘리베이터 피트에 설치될 수 있다. 차음패널을 접힘 및 원복이 용이한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엘리베이터의 입구 및 천장부를 통해 반입 및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흡음패널과 차음패널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Temporary structures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elevator pits during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of elevators in buildings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 pits are installed adjacently. The sound insulation panel is formed in a foldable form that is easy to fold and return, so that it is easy to carry in and install through the entrance and ceiling of the elevator. 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noise generated in the elevator pit is greatly reduced.

도 1은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건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차음패널 및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차음패널이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체결고정부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탈착고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탈착고리부의 삽입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nd elevator pits are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 pits are installed.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 and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shown in FIG. 3A is fold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fastening fixing unit shown in FIG. 3A.
FIG. 7 show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FIG. 8 shows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FIG. 9 shows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ring portion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process of the detachable ring part shown in FIG. 1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omitted.

도 1은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건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된 건물의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s and elevator pits are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elevator pits are installed.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다수 개의 엘리베이터(E)가 한 건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E)의 교체 및 보수 공사 시, 엘리베이터 피트(P1, P2, P3) 내에 가설 구조물(100)이 설치되어, 인접한 엘리베이터 피트로의 낙하물의 낙하를 방지하고,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P1, P2, P3의 순서대로 세 개의 엘리베이터 피트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경우, 공사가 이루어지는 피트(P1)를 인접한 피트(P2)와 격리될 수 있도록 가설 구조물(100)이 설치될 수 있다. 1 to 2,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when a plurality of elevators (E) are installed adjacent to one building. When replacing and repairing the elevator (E), the temporary structure 10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s (P1, P2, P3) to prevent falling objects from falling into the adjacent elevator pits, and to reduce the generated noise. . For example, when three elevator pits are consecutively arranged in the order of P1, P2, and P3 as shown in FIG. 2, the temporary structure 100 is constructed so that the pit P1 under construction can be isolated from the adjacent pit P2. can be installed.

엘리베이터 피트(P1, P2, P3)는 다수 개의 H빔(H)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H빔(H)은 일정 간격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설 구조물(100)은 상하 방향의 H빔(H)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Elevator pits (P1, P2, P3) may have a plurality of H-beams (H)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H-beams (H)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emporary structure 10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H-beams (H)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차음패널 및 연결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차음패널이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 and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 FIG.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shown in FIG. 3A is folded.

도 3a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강철 빔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1)의 H빔(H) 사이에 폭 방향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H빔(H)에 용접 또는 홀을 통해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H빔(H)에 연결된 프레임(110)에는 후술할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수직으로 절곡된 강철 빔인 절곡관(111), 절곡관의 두 면인 A면(112) 및 B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3A to 5 ,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110 . The frame 110 may be formed of a steel beam and be connected and fixed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H beams H of the elevator pit P1. The fram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H-beam H by welding or screwing through a hole. A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a sound insulating panel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110 connected to the H beam (H). Specifically, the frame 110 may include a bent pipe 111 that is a vertically bent steel beam, and an A side 112 and a B side 113 that are two sides of the bent pipe.

절곡관(111)은 수직으로 절곡된 강철 빔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곡관(111)은 ㄱ형강 또는 강철 앵글이 적용될 수 있다. 절곡관(111)이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루는 두 면을 각각 A면(112) 및 B면(113)이라고 하면, A면(112) 또는 B면(113) 중 한 면은 H빔(H)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A면(112) 및 B면(113)에는 후술할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이 층상구조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bent tube 111 may be formed of a vertically bent steel beam. Preferably, the bent pipe 111 can be applied with a angled steel or steel angle. If the two surfaces formed by the bending tube 111 are vertically bent are referred to as A surface 112 and B surface 113, respectively, one surface of the A surface 112 or the B surface 113 is an H beam (H). can be fixed to In addition, the A side 112 and the B side 113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a layered structure.

또한, 절곡관(111)은 폭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H빔(H)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절곡관(111)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H빔(H) 사이의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t tube 111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H beams (H)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bent tube 11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interval between the H beams H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흡음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음패널(120)은 소리를 흡수할 수 있는 소프트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음패널(120)은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유리섬유 및 코르크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1)의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음패널(120)은 양 끝단이 각각의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1)의 일측 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음패널(120)은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단층 면인 체결면(121) 및 중심부에 형성되는 다층 구조인 흡음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ound-absorbing panel (120).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ound. Preferably,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ster, polyurethane, glass fiber and cork,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noise generated inside and outside the elevator pit (P1). Preferably,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may be formed in an area with both ends connected to each frame 110 to cover one side of the elevator pit P1. Specifically,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may include a single-layer fastening surface 121 formed at both ends and a sound-absorbing surface 122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formed in the center.

체결면(121)은 흡음패널(1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면(121)은 단층 면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면(121)은 절곡관(111)의 A면(112) 또는 B면(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surface 12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it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frame (110). Preferably, the fastening surface 121 is formed as a single-layer surfac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 example, the fastening surface 121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area to the A surface 112 or the B surface 113 of the bent pipe 111 .

예컨대, 흡음패널(120)의 전체가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후술할 체결고정부(140)를 이용하여 프레임(110)에 연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A면(112) 및 B면(113)에 각각 흡음패널(120)이 연결되는 경우 간섭될 수 있다. 또한, 흡음패널(120)의 이동 및 보관 시에도 두터운 두께로 인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For example, when the entire sound-absorbing panel 120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it may be difficult to connect to the frame 110 using the fastening fixing part 140 to be described later because the thickness is thick, and the A side ( 112) and when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is connected to the B side 113, respectively, may interfere.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move and store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due to its thick thickness even during movement and storage.

그러나, 본 실시예의 체결면(121)은 후술할 흡음면(122)과 달리 단층의 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흡음패널(120)의 이동 및 보관 시에도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다.However, the fastening surface 121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as a single-layer surface, unlike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frame 110, and it is also easy to move and store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It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흡음면(122)은 흡음패널(12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공사 및 작업시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흡음면(122)은 제1면(122-1) 및 제2면(122-2)이 마주보게 배치된 이중의 층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패널(12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공기층이 형성되어 소음이 통과하게 되므로, 단면의 부재로 형성되는 흡음부재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음면(122)은 흡음면(122)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중공형성기둥(122a), 흡음면(12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기층인 중공부(122b) 및 흡음면(122)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인 볼록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may serve to absorb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during construction and work.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may be formed in a double 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since the thickness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that can absorb the noise is thickened, the air layer is formed and the noise passes,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noise more effectively than the sound-absorbing member formed as a member of the cross-section. Specifically,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is a plurality of hollow-forming pillars 122a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e hollow part 122b and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as an air layer formed inside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vex portion (122c).

중공형성기둥(122a)은 흡음면(122)의 내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중공형성기둥(122a)은 흡음면(122)의 제1면(122-1) 및 제2면(122-2)의 내측을 번갈아가며 지그재그 형상 또는 일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성기둥(122a)은 제1면(122-1) 및 제2면(122-2)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중공형성기둥(122a)의 내측에 고강도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흡음면(122)의 내측에서 흡음면(122)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중공형성기둥(122a)에 의해 흡음면(122)의 제1면(122-1) 및 제2면(122-2)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중공부(122b)를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low forming columns (122a)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In more detail, the hollow forming column 122a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or a straight line on the inside of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 In addition, the hollow forming column (122a)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or including a support of high strength on the inside of the hollow forming column (122a),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from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at is,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by the hollow forming column 122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hollow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122b) may be formed.

중공부(122b)는 흡음면(122)의 내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122b)는 제1면(122-1), 제2면(122-2) 및 중공형성기둥(122a)이 이루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22b)는 흡음면(122)의 내측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보수 및 공사에 의해 발생된 내외부의 소음이 흡음면(122)을 통과해 공기층인 중공부(122b)를 통과하면서 더욱 효과적으로 소음이 흡수될 수 있다. 즉, 흡음패널(120)은 흡음면(122) 뿐만 아니라 공기층인 중공부(122b)를 포함하여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중공부(122b)가 없는 경우에 비해 흡음률이 커지고, 더욱 효과적으로 소음이 흡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122b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 The hollow portion 122b may be formed as a space formed by the first surface 122-1, the second surface 122-2, and the hollow forming column 122a. The hollow part 122b is an air lay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noise generated by repair and construction passes through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and passes through the hollow part 122b, which is the air layer, making noise more effectively. can be absorbed. That is, since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has more space to absorb the noise, including the hollow part 122b, which is an air layer, as well as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e sound absorption rat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hollow part 122b. , the noise can be absorbed more effectively.

볼록부(122c)는 흡음면(122)의 표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22c)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122c)는 흡음면(122)의 표면에서 소음을 흡수할 때, 소음이 볼록부(122c)에 부딪히며 산란되게 하여 소음이 더욱 효과적으로 감쇠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22c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 The convex portion 122c may be formed such that circular or polygonal protrusions are repeatedly disposed. When the convex portion 122c absorbs the noise from the surfac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e noise is scattered by striking the convex portion 122c, so that the noise can be more effectively attenuated.

한편,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차음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음패널(130)은 프레임(110)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고, 흡음패널(120)과 겹치도록 층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차음패널(130)은 엘리베이터 피트(P1)의 둘레에 배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음패널(130)은 소리를 차단할 수 있는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되는 메인패널(131) 및 다수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ound insulation panel 130 . Both ends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are fixed to the frame 110 , and may be arranged in layers to overlap the sound absorption panel 120 .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may be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pit P1 to block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Specifically,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may include a main panel 131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sound and a connector 132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main panels 131 .

메인패널(131)은 소리를 차단할 수 있는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패널(131)은 엘리베이터(E)의 천장 개방부로 출입이 가능한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패널(131)은 상하방향의 H빔(H) 사이의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고,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피트(P1)를 커버할 수 있는 차음패널(130)을 구성할 수 있다.The main panel 131 may be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sound. The main panel 13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and a width that allows entry and exit through the ceiling opening of the elevator (E). For example, the main panel 13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similar to the interval between the H beams 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hort length. Thereafter,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ain panels 1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sound insulation panel 130 capable of covering the elevator pit P1 may be configured.

또는, 메인패널(131)이 상하 방향의 H빔(H)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피트(P1)를 커버할 수 있는 차음패널(130)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패널(131)은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미세한 홀인 타공홈(131a), 메인패널(131)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홈(131b) 및 메인패널(13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힌지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ain panel 131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H beams 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ain panels 131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ver the elevator pit P1. The panel 130 may be configured. Specifically, the main panel 131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ated grooves 131a which are fine holes formed on the surface, connection grooves 131b formed at the ends of the main panel 131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main panel 131 . It may include a hinge portion 131c formed in the center.

타공홈(131a)은 메인패널(131)의 표면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P1)의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연결홈(131b)은 메인패널(131)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연결부(1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홈(131b)에 연결부(132)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홈(131b)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홈이 메인패널(131)의 양 끝단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erforated groove 131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nel 131 to attenuate noise generated inside and outside the elevator pit P1. The connection groove 131b is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panel 131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132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groove 131b. . Specifically, the connection groove 131b may be formed such that a circular or polygonal groov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main panel 131 .

힌지부(131c)는 중심부가 분리된 메인패널(13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메인패널(131)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힌지부(131c)에 의해 메인패널(131)의 중심부가 접힘 및 펴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1c)는 각각의 메인패널(131)의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32)가 접힘 및 펴짐이 불가능하더라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패널(131)이 접힘에 따라 차음패널(130)을 접이식으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다.The hinge part 131c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ain panel 131 from which the center is separated, and may rotatably connect the main panel 131 . That is, the center of the main panel 131 may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hinge portion 131c.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5 , the hinge parts 131c may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outer and inner directions of each main panel 131 . Accordingly, even if the connection part 132 cannot be folded or unfolded, as shown in FIG. 5(c) , as the main panel 131 is folded,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can be folded and stored and moved.

필요에 따라, 힌지부(131c)는 각각의 메인패널(131)에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32)는 접힘 및 펴짐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132) 및 메인패널(131)이 동시에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패널(131)의 힌지부(131c)와 연결부(132)를 같이 접게 되면, 차음패널(130)이 접혔을 시의 길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길이보다 절반의 길이로 접힘 동작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hinge part 131c may be disposed on each main panel 131 in the same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and unfolded, and the connection part 132 and the main panel 131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 hinge portion 131c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2 of the main panel 131 are folded together, the length when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folded is half the lengt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한편, 연결부(132)는 메인패널(131)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형성된 연결홈(131b)에 배치되어, 다수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32)는 양 끝단에 메인패널(131)이 연결되어, 다수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할 수 있다. 즉, 메인패널(131)의 손상 등으로 인해 메인패널(131)의 교체가 필요할 때, 연결홈(131b)에서 연결부(132)를 제거하고, 새로운 메인패널(131)의 교체 후 재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2)는 연결홈(131b)과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볼(132a) 및 연결볼(132a)의 일측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인 연장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132 is disposed in the connection grooves 131b 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panel 131 to connect a plurality of main panels 131 . A main panel 13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132 to connect a plurality of main panels 131 to each other. That is, when replacement of the main panel 131 is necessary due to damage to the main panel 131 , the connection part 132 is removed from the connection groove 131b, and the new main panel 131 is replaced and then reinstalled. .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rt 132 may include a connection ball 132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groove 131b and an extension part 132b which i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132a.

연결볼(132a)은 연결부(132)의 양 끝단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되, 연결홈(13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볼(132a)은 양 끝단에 두 개가 형성되어, 한 개의 연결부(132)에는 두 개의 메인패널(1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볼(132a)은 메인패널(131)의 연결홈(131b)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끼움 결합하여 메인패널(131)을 연결하고, 제거 시에는 연결홈(131b)의 일측 단부에서부터 연결볼(132a)을 제거하여 메인패널(131)과 연결부(132)를 분리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ball 132a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pole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2,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groove 131b. For example, two connection balls 132a are formed at both ends, and two main panels 131 can be connected to one connection part 132 . The connection ball 132a connects the main panel 131 by fitting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groove 131b of the main panel 131, and when removed, the connection ball 132a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groove 131b. can be removed to separate the main panel 131 and the connection part 132 .

연장부(132b)는 연결볼(132a)의 일측에 판형 부재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32b)는, 한 쌍의 연결볼(132a)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결볼(132a)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132b may be disposed as a plate-shaped member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132a. The extension portion 132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ir of connection balls 132a so as to connect the pair of connection balls 132a.

한편,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체결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고정부(140)는 프레임(110)과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고정부(140)는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과 흡음패널(120)의 단부 및 차음패널(130)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고정부(140)는 판형 부재인 지지부(141), 지지부(141)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출부인 나사부(142) 및 지지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astening fixing unit 140 . The fastening fixing unit 140 may fix the frame 110 ,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 The fastening fixing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A side 112 or B side 113 of the frame 110 and the end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end of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 Specifically, the fastening fixing part 140 includes a support part 141 that is a plate-shaped member, a screw part 142 that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41, and a lock part 14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 141 . ) may be included.

지지부(141)는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1)의 일측 면에는 후술할 나사부(142)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4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area to the A side 112 or the B side 113 of the frame 110 . A plurality of screw parts 14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41 .

나사부(142)는 지지부(141)의 일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사부(14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과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후술할 잠금부(143)가 나사부(142)를 관통하게 배치된 후, 너트로 나사부(142)와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나사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의 A면(112) 또는 B면(113),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에 나사부(142)와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crew part 14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41 . The screw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having a screw thread, and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A side 112 or the B side 113 of the frame 110 and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 Thereafter, after the locking part 143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eaded part 142 , it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threaded part 142 with a nut. Preferably,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crew portion 142 may be formed in the A surface 112 or B surface 113,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portion 142 .

또는, 나사부(142)가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41)가 생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나사부(142)는 A면(112)과 B면(113)에 동시에 형성되되, 엘리베이터 피트(P1)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편 면에 형성되어,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의 설치 시 나사부(142)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crew portion 14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A side 112 or the B side 113 of the frame 110 , and the support unit 141 may be omitted. If necessary, the screw portion 142 is formed on the A side 112 and the B side 113 at the same time,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elevator pit (P1) and the opposite side,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 When the 130) is installed, the screw 142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잠금부(143)는 지지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잠금부(143)에 형성된 홀을 통해 나사부(142)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잠금부(143)가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의 끝단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143)가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지지부(141)와의 사이에서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나사부(142) 전체에 너트를 결합하지 않고, 다수 개의 나사부(142)에만 선택적으로 너트를 결합하여 프레임(110)에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locking part 14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 141 , and a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part 142 . That is, the screw part 142 is dispos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lock part 143 , and the lock part 143 may press the ends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 In this case, the locking part 143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to press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between the support part 141 and the support part 141 . That is,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can be fixed to the frame 110 by selectively coupling the nut only to the plurality of screw portions 142 without coupling the nut to the entire screw portion 142 .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체결고정부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fastening fixing unit shown in FIG. 3A.

도 6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체결고정부(140)는 지지부(141) 및 잠금부(143)의 상하측에 특유의 잠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편(144), 힌지 브라켓(145), 힌지(146), 아이볼트(147) 및 너트(14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fastening and fixing part 140 of this modified example may include a unique locking structur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part 141 and the locking part 143 .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 fastening piece 144 , a hinge bracket 145 , a hinge 146 , an eye bolt 147 , and a nut 148 .

체결고정부(140)의 지지부(141), H빔(H) 또는 잠금부(143)의 상하단에는 체결편(144)이 배치되고, 지지부(141), H빔(H) 또는 잠금부(143) 중 체결편(144)이 배치되지 않은 또 다른 하나에는 힌지 브라켓(145), 힌지(146), 아이볼트(147) 및 너트(148)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나사부(142)가 형성된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의 상하단에 체결편(144) 또는 힌지 브라켓(145), 힌지(146), 아이볼트(147) 및 너트(148)가 배치될 수 있다.A fastening piece 144 is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art 141, the H-beam (H) or the locking part 143 of the fastening fixing part 140, and the support part 141, the H-beam (H) or the locking part 143 ), a hinge bracket 145 , a hinge 146 , an eye bolt 147 and a nut 148 may be disposed on another one in which the fastening piece 144 is not disposed. Alternatively, a fastening piece 144 or a hinge bracket 145, a hinge 146, an eye bolt 147 and A nut 148 may be dispos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H)에 체결편(144)이 배치되고, 잠금부(143)에 힌지 브라켓(145), 힌지(146), 아이볼트(147) 및 너트(148)가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 the fastening piece 144 is disposed on the H-beam (H), the hinge bracket 145, the hinge 146, the eyebolt 147 and the nut 148 on the locking part 143. It is describe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is as follows.

체결편(144)은 H빔(H)의 상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편(144)은 아이볼트(147)가 안착될 수 있는 반원형의 받침부를 포함한 판형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iece 144 may b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beam (H). The fastening piece 144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including a semi-circular support on which the eye bolt 147 can be seated.

힌지 브라켓(145)은 잠금부(143)의 상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브라켓(145)은 힌지(146)가 안착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한 쌍의 판형부재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힌지(146)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145) 사이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 The hinge bracket 145 may b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cking part 143 . In the hinge bracket 145 , a pair of plate-shaped members including a hole in which the hinge 146 can be seate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inge 146 may be disposed through the pair of hinge brackets 145 .

아이볼트(147)는 일측 끝단에 고리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볼트로, 힌지(146)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아이볼트(147)는 힌지(146)에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eye bolt 147 is a bolt having a ring-shaped hol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inge 146 . That is, the eye bolt 147 may be inserted into the hinge 146 and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너트(148)는 아이볼트(147)에 삽입되어, 아이볼트(147)가 체결편(144)에 안착된 후, 너트(148)를 조임에 따라 지지부(141)와 잠금부(143)가 체결될 수 있다. The nut 148 is inserted into the eye bolt 147, and after the eye bolt 147 is seated on the fastening piece 144, the support 141 and the lock 143 are fastened by tightening the nut 148. can be

도 7은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7 show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도 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연결부(132)는 연결볼(132a)에 접이식 판재부(132d) 및 자석부(132e)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의 접이식 판재부(132d) 및 자석부(132e)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장부(132b) 및 링크부(132c)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연결부(132)는 자석부(132e)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피트(P1) 내에 차음패널(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in the connection part 132 of the present modification, a folding plate part 132d and a magnet part 132e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ball 132a. That is,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and the magnet part 132e of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may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part 132b and the link part 132c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132 of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st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 P1 by a configuration attached by the magnet part 132e.

접이식 판재부(132d)는 한 쌍의 연결볼(132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이식 판재부(132d)는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판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접히고 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판재부(132d)가 접혔을 때는 연결부(132)가 직선형으로 배치되므로, 차음패널(130)이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반대로, 접이식 판재부(132d)가 펼쳐졌을 때는 연결부(132)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차음패널(130)이 접힘 상태일 수 있다. The folding plate part 132d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connection balls 132a.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folded in a zigzag shape,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as needed. Specifically, when the folding plate part 132d is folded, the connection part 132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so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may be installed. Conversely, when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is unfolded,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flexibly bent, so that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may be in a folded state.

또한, 접이식 판재부(132d)의 표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부(132e)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석부(132e)는 접이식 판재부(132d)의 지그재그로 접힌 표면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접이식 판재부(132d)가 접혔을 때 자석부(132e)에 의해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석부(132e)는 강력 자석으로 형성되어, 접이식 판재부(132d)가 접힌 상태인 차음패널(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피트(P1) 내에서 발생되는 바람 등에 의해 펴지지 않고 접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agnet parts 132e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The magnet part 132e is disposed to face the zigzag folded surface of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and may maintain a folded state by the magnet part 132e when the foldable plate part 132d is folded. Preferably, the magnet portion 132e is formed of a strong magne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n the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plate portion 132d is installed, it is folded without being unfolded by the wind generated in the elevator pit P1. status can be easily maintained.

도 8은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도 8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연결부(132)는 연결볼(132a)의 일측에 암 연결부재(132f) 및 수 연결부재(132g)를 형성하고, 암 연결부재(132f) 및 수 연결부재(132g)의 내측에는 와이어 롤(W') 및 와이어(W)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의 암 연결부재(132f), 수 연결부재(132g), 와이어(W) 및 와이어 롤(W')은 전술한 실시예의 연장부(132b) 및 링크부(132c)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연결부(132)는 암 연결부재(132f)와 수 연결부재(132g)가 끼워지는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피트(P1) 내에 차음패널(1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connecting part 132 of this modified example forms a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a male connecting member 132g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ll 132a, and a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a male connecting member ( 132g) inside the wire roll (W') and the wire (W) may be disposed. That is,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the wire (W) and the wire roll (W') of this modified example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portion 132b and the link portion 132c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The connection part 132 of this modified example can be st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 P1 b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emale connection member 132f and the male connection member 132g are fitted.

암 연결부재(132f)는 판형의 부재로 형성되고, 연결볼(132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암 연결부재(132f)는 수 연결부재(132g)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하여, 암 연결부재(132f)의 홈에 수 연결부재(132g)가 삽입될 수 있다. The female connection member 132f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and may be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132a.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include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so that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수 연결부재(132g)는 판형의 부재로 형성되고, 또다른 연결볼(132a)의 일측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 연결부재(132g)는 암 연결부재(132f)의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암 연결부재(132f)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and may be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other connecting ball 132a.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may be fitted with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와이어 롤(W')은 암 연결부재(132f) 및 수 연결부재(132g)의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암 연결부재(132f)의 홈 내측 및 수 연결부재(132g)의 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와이어(W)가 암 연결부재(132f) 및 수 연결부재(132g)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롤(W')은 중심부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와이어(W)를 와이어 롤(W')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The wire roll W' may be disposed inside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ire W may connect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through the hole formed inside the groove of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at the end of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In addition, the wire roll (W') is a spring is disposed in the center, it can pull the wire (W) in the direction of the wire roll (W').

본 변형예의 연결부(132)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음패널(130)이 엘리베이터 피트(P1)의 내에 설치된 경우, 암 연결부재(132f)의 홈에 수 연결부재(132g)가 삽입된 상태이며, 따라서 연결부(132)는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차음패널(130)이 접힘 상태인 경우, 암 연결부재(132f)에서 수 연결부재(132g)가 빠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어 롤(W')에 감긴 와이어(W)의 일부가 암 연결부재(132f) 및 수 연결부재(132g)에서 노출되어 더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차음패널(130)이 접힌 상태에서 암 연결부재(132f)와 수 연결부재(132g)가 서로 분리되게 되나,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음패널(130)을 펼쳐 엘리베이터 피트(P1) 내에 설치하는 경우, 와이어(W)가 감겨지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art 132 of this modified example is as follows. When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 P1, the male connection member 132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female connection member 132f, and thus the connection part 132 is not bent and is stably fixed. can Conversely, when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in a folded state,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is removed from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wire W wound on the wire roll W' may be exposed from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to be further extended.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s folded, the female connecting member 132f and the male connecting member 132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installing in P1), the wire (W) is wound and can be easily installed.

도 9는 도 3a에 도시된 연결부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9 shows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shown in FIG. 3A.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132)는 양 끝단에 메인패널(131)이 연결되고, 중심부가 접힘 및 펴짐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32)는 메인패널(131)과 메인패널(131)을 연결하되, 중심부가 접히고 펴질 수 있어, 메인패널(131)을 접이식으로 보관 및 설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2)는 연결홈(131b)과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볼(132a), 연결볼(132a)의 일측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인 연장부(132b) 및 연장부(132b)의 중심부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 링크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main panel 131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132 , and the center may be formed such that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are possible. That is, the connection part 132 connects the main panel 131 and the main panel 131, but the center can be folded and unfolded, so that the main panel 131 can be folded and stored and installed. Specifically, the connecting portion 132 includes a connecting ball 132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groove 131b, an extension 132b a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ll 132a,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ension 132b.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 units 132c disposed on the .

연결볼(132a)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all 132a may be formed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연장부(132b)는 연결볼(132a)의 일측에 판형 부재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32b)는, 연결볼(132a)의 일측에 연결볼(132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단독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연장부(132b)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연장부(132b)의 단부끼리 연결되어, 각각의 연장부(132b)가 일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132b may be disposed as a plate-shaped member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132a. The extension part 132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ball 132a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132a or may be disposed alone, and the ends of each extension part 132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extensions 13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extensions 132b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링크부(132c)는 연장부(132b)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링크부(132c)는 연결된 연장부(132b)를 접고 펼 수 있게 형성되어, 차음패널(130)을 접이식으로 보관하였다가 설치할 때 펼쳐서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메인패널(131)의 사이에는 두 개의 링크부(132c)가 배치되어, 메인패널(131)을 접이식으로 보관하거나 펼쳐 사용할 수 있다.The link part 132c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132b. If necessary, the link portion 132c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ed extension portion 132b can be folded and unfolded, so that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can be stored in a foldable manner and unfolded when installed. Preferably, two link portions 132c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main panels 131 , so that the main panel 131 can be folded or unfolded for us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의 탈착고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탈착고리부의 삽입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ring portion of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ertion process of the detachable ring part shown in FIG. 10 .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설 구조물(100)은 탈착고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고리부(150)는 메인패널(13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탈착고리부(150)는 홈에 탈착이 가능한 고리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탈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탈착고리부(150)에는 흡음패널(120)을 가로지르는 로프(R)를 연결하여 흡음패널(120)이 차음패널(13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공사 장비 등을 걸 수 있는 고리를 연결하여 공사 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고리부(150)는 메인패널(131)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부(151), 개방부(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단돌기(152)와 하단돌기(153) 및 개방부(151)에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고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10 to 11 , the temporary structur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detachable ring part 150 . The detachable ring portion 150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anel 131 . The detachable ring unit 150 is formed as a detachable ring in the groove, and can be used in a detachable manner if necessary. To the detachable ring unit 150, a rope (R) crossing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is connected to prevent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or a ring capable of hanging construction equipment is connected. Therefore, it can be used easily during construction. Specifically, the detachable ring portion 150 includes an open portion 151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panel 131 , an upper protrusion 152 and a lower protrusion 153 formed inside the open portion 151 , and an open portion. It may include a ring portion 154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151).

개방부(151)는 메인패널(131)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패널(131)의 연결홈(131b)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51)는 후술할 고리부(154)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5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panel 131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left and right direction. Specifically, the connection groove 131b of the main panel 131 may be formed on the side where it is not formed. The opening 151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facilitates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ring portion 154 to be described later.

상단돌기(152)는 개방부(151)의 내측 공간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개방부(151)가 배치된 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단돌기(153)는 개방부(151)의 내측 공간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개방부(151)가 배치된 면과 마주보는 면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단돌기(152) 및 하단돌기(153)의 이격된 간격은 후술할 삽입부(154a)의 짧은 면의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s 152 may be formed as a p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151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151 is disposed. The lower protrusions 153 may be formed as a p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151 ,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151 is dispose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upper protrusions 152 and the lower protrusions 153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short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154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고리부(154)는 개방부(151)에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리부(154)는 일측이 개방부(151)에 삽입 후 회전하여 상단돌기(152) 또는 하단돌기(153)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에 노출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154)는 개방부(151)에 삽입 및 끼움 고정되는 삽입부(154a), 삽입부(154a)의 일측 면에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154b) 및 기둥부(154b)의 일측 단부에 홀이 형성된 머리부(154c)를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ring portion 154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51 and fixed, and the other sid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ring part 154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protrusion 152 or the lower protrusion 153 by rotating one sid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151,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used as needed. Specifically, the ring portion 154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54a that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opening 151, a pillar portion 154b that is extended on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54a, and one side of the pillar portion 154b. It may include a head 154c having a hole formed at an end thereof.

삽입부(154a)는 개방부(15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부(154a)는 개방부(15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개방부(151)를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54a)의 짧은 면의 길이는 상단돌기(152) 및 하단돌기(153)가 이격된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상단돌기(152) 또는 하단돌기(153)에 삽입부(154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삽입부(154a)는 도 10의 (a)와 같은 방향으로 삽입된 후, 도 10의 (b)와 같이 회전하여, 도 10의 (c)와 같이 상단돌기(152) 또는 하단돌기(153)에 삽입부(154a)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54a may be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art 151 . Preferably, the insertion part 154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opening part 151 so that the opening part 151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54a) is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terval at which the upper protrusion 152 and the lower protrusion 153 are spaced apart, the upper protrusion 152 or the lower protrusion 15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54a) may be fitted. That is, the insertion part 154a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in (a) of FIG. 10, and then rotates as shown in (b) of FIG. 10,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portion 154a may be fitted to the 153 .

기둥부(154b)는 삽입부(154a)의 일측면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54b)는 개방부(151)의 짧은 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개방부(151)에 삽입 시 간섭되지 않고 개방부(151)에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The pillar portion 154b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pillar shape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54a. The pillar part 154b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opening part 151 ,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opening part 151 without interference when inserted into the opening part 151 .

머리부(154c)는 기둥부(154b)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154c)는 홀을 형성하여 로프 및 고리 등을 머리부(154c)에 걸어 탈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head 154c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illar 154b. The head 154c can be used for detachment by forming a hole to hang a rope and a ring on the head 154c.

이상과 같은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100)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structure 100 for elevator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프레임(110)의 A면(112) 또는 B면(113)의 상부 및 하부를 H빔(H)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다. 프레임(110)에 흡음패널(120) 및 차음패널(130)의 단부를 겹쳐 배치하고, 체결고정부(140)를 통해 프레임(110)과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차음패널(130)은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상태로 엘리베이터(E)의 입구 및 천장부를 통해 반입될 수 있다. 접힌 상태의 차음패널(130)은 원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음에 따라, 엘리베이터 피트(P1)내로 반입 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Firs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side 112 or B-side 113 of the frame 110 are vertically fixed to the H-beam (H). The end portions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are overlapped on the frame 110 and fastened to the frame 110 through the fastening fixing unit 140 . At this time,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may be brought in through the entrance and the ceiling of the elevator (E) in a folded state in a zigzag shape. Since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in the folded state can be easily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t can be easily installed after being brought into the elevator pit P1.

예컨대, 프레임(110)의 A면(112)에 흡음패널(120)과 차음패널(130)을 설치한 후, 프레임(110)의 B면(113)에도 같은 방법으로 흡음패널(120)과 차음패널(130)을 설치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프레임(110)이 이루는 모든 면에 흡음패널(120)과 차음패널(130)을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차음패널(130)의 상하측 면에 탈착고리부(150)를 사용할 수 있다. 흡음패널(120)의 외측에는 상측 및 하측의 탈착고리부(150)에 로프(R)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흡음패널(120)과 차음패널(130)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착고리부(150)를 통한 로프(R)의 연결은 차음패널(130) 및 흡음패널(120)의 안정적인 설치와 더불어, 인접한 엘리베이터 피트(P2)에서 엘리베이터(E)의 운행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installing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30 on the A side 112 of the frame 110, the sound 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 insulating panel 120 on the B side 113 of the frame 110 in the same way. The panel 130 may be installed. After installing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on all surfaces of the frame 110 in the same way, the detachable hook 150 can be u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as needed. have. On the outside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by connecting the rope (R) to the upper and lower detachable ring portions 150 in a zigzag manner, the gap between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can be fixed so as not to widen. . This connection of the rope (R) through the detachable ring portion 150 i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E) in the adjacent elevator pit (P2), along with the stable installa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and the sound absorption panel 120 Shaking caused by wind, etc., which may be caused,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은 반입 및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차음패널을 접힘 및 원복이 용이한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엘리베이터의 입구 및 천장부를 통해 용이하게 차음패널을 반입하고 엘리베이터 피트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체결고정부의 나사부에 프레임, 흡음패널 및 차음패널을 관통되게 배치하고, 잠금부를 통해 한 번에 나사부와 고정하여 간편하게 설치 및 제거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carry in and install. By forming the sound insulation panel in a foldable shape that is easy to fold and return, the sound insulation panel can be easily brought in through the entrance and ceiling of the elevator and installed in the elevator pit. The frame, sound-absorbing panel and sound-insulating panel are arranged to penetrate the screw part of the fastening part,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by fixing it with the screw part at once through the locking part.

또한, 흡음패널과 차음패널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피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흡음패널은 소음을 흡수하고, 차음패널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두 개의 패널을 겹치게 층상으로 배치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noise generated in the elevator pit is greatly reduced. Since the sound-absorbing panel absorbs noise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has an effect of blocking noise, these two panels are arranged in layers to overlap,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nois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 엘리베이터 H:H빔
P1, P2, P3: 엘리베이터 피트 100: 가설 구조물
110: 프레임 111: 절곡관
112: A면 113: B면
120: 흡음패널 121: 체결면
122: 흡음면 130: 차음패널
131: 메인패널 132: 연결부
140: 체결고정부 141: 지지부
142: 나사부 143: 잠금부
150: 탈착고리부 151: 개방부
152: 상단돌기 153: 하단돌기
154: 고리부
E: Elevator H: H Beam
P1, P2, P3: Elevator pit 100: Temporary structure
110: frame 111: bending tube
112: A side 113: B side
120: sound-absorbing panel 121: fastening surface
122: sound absorption surface 130: sound insulation panel
131: main panel 132: connection part
140: fastening part 141: support part
142: threaded portion 143: locking portion
150: detachable ring portion 151: open portion
152: upper projection 153: lower projection
154: Gori part

Claims (7)

엘리베이터(E)가 배치되는 피트(P)가 다수 개가 배치되는 건물에서, 상기 피트(P)의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H빔(H)과, 상기 H빔(H)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패널(120);
상기 프레임(110)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흡음패널(120)과 겹치도록 층상으로 배치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차음패널(130); 및
상기 프레임(110)에 상기 흡음패널(120) 및 상기 차음패널(1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고정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10)은,
수직으로 절곡된 각형관으로 형성되고, A면(112) 또는 B면(113)이 상기 H빔(H)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H빔(H)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절곡관(111);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패널(120)은,
상기 흡음패널(120)의 양측 단부에 단층으로 배치되어, 상기 절곡관(111)과 고정될 수 있는 체결면(121); 및
상기 흡음패널(120)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제1면(122-1) 및 제2면(122-2)의 다중의 층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면(122-1)과 상기 제2면(122-2)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된 중공형성기둥(122a)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면(122-1)과 상기 제2면(122-2)이 이격되게 유지시키고,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면(122);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패널(130)은,
소리를 차단할 수 있는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되는 메인패널(131); 및
상기 메인패널(131)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패널(131)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패널(131)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의 상기 A면(112) 또는 상기 B면(11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 다수 개의 나사부(142)가 형성될 수 있는 지지부(141); 및
상기 지지부(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1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는 잠금부(143);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In a building in which a plurality of pits (P) in which an elevator (E) is disposed are disposed, an H-beam (H)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pit (P) at regular intervals,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beam (H) a plurality of frames 110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110,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that can absorb the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110 and are arranged in layers to overlap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 sound insulation panel 130 that can block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and
and a fastening fixing unit 140 capable of fixing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nd the sound-insulating panel 130 to the frame 110;
The frame 110 is
It is formed as a vertically bent rectangular tube, and the A side 112 or B side 11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 beam (H), and the bent pip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 beam (H)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111); including;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 fastening surface 121 that is disposed in a single layer at both ends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and can be fixed to the bent pipe 111; and
Doedo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20,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arranged in a multi-layered shape,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A hollow forming column (122a)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two surfaces (122-2) is disposed on the inside to keep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spaced apart, Includi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at can absorb the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The main panel 131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that can block sound;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main panel 131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width as the width of the main panel 131,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in panels 131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 Containing a connecting portion 132 that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The fastening and fixing part 140,
a support part 141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area as the A-side 112 or the B-side 113 of the frame 110, on one surface of which a plurality of threaded parts 142 can be formed; and
Doedo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41, a locking portion 143 in which a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portion 142;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음면(122)은,
상기 흡음면(122)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면(122-1) 및 상기 제2면(122-2)의 내측을 번갈아가며 지그재그 형상 또는 사다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면(122-1) 및 상기 제2면(122-2)보다 고강도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흡음면(122)의 내측에서 상기 흡음면(122)을 지지할 수 있는 중공형성기둥(122a);
상기 흡음면(122)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면(122-1) 및 상기 제2면(122-2)과 상기 중공형성기둥(122a)이 이루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22b); 및
상기 흡음면(122)의 표면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게 형성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볼록부(122c);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is,
Doedo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shape or a ladder shape on the inside of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the first surface ( 122-1) and a hollow forming pillar (122a) tha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second surface (122-2) and can support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from the insid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Doedoe formed inside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the first surface (122-1) and the second surface (122-2) and a hollow portion (122b) formed as a space formed by the hollow pillar (122a) ; and
Doedo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122,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repeatedly arranged, the convex portion (122c) that can absorb the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131)은,
상기 메인패널(131)의 표면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미세한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외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쇠될 수 있는 타공홈(131a);
상기 메인패널(131)의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32)의 끝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연결홈(131b); 및
상기 메인패널(13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패널(131)을 접이식으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힌지부(131c);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32)는,
상기 연결부(132)의 양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홈(131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131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볼(132a); 및
판형의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볼(132a)의 일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연결볼(132a)을 연결할 수 있는 연장부(132b);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panel 131 is
a perforated groove (131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panel (131)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fine holes to attenuate noise generated from inside and outside;
a connection groove (131b) formed at the end of the main panel (131)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up-down direction, which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part (132); and
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ain panel (131), the hinge portion (131c) that can fold and store and move the main panel (131); includes;
The connection part 132 is,
a pair of connection balls 132a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132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groove 131b, which can be fit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31b; and
Formed as a plate-shaped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ll (132a), the extension (132b) that can connect the pair of connecting balls (132a);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13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에 형성되어, 로프(R) 및 공구 등이 탈착될 수 있는 탈착고리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고리부(150)는,
상기 메인패널(131)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에 형성되고,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개방부(151);
상기 개방부(151)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일측에 홀을 포함하여, 로프(R) 및 공구 등이 탈착될 수 있는 고리부(15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anel 131, and a detachable ring portion 150 to which a rope (R) and a tool can be detached; further comprising,
The detachable ring portion 150,
an opening 151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anel 131 and having a space to be inserted therein;
I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51, including a hole on one side, the rope (R) and a ring portion 154 that can be detached, such as a tool;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착고리부(150)는,
상기 개방부(151)의 내측 공간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51)가 배치된 내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상단돌기(152); 및
상기 개방부(151)의 내측 공간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51)와 마주보는 면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하단돌기(153);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154)는,
상기 개방부(15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판형의 부재로 형성되는 삽입부(154a);
상기 삽입부(154a)의 중심부에 기둥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개방부(15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151)에 삽입 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기둥부(154b); 및
상기 기둥부(154b)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홀을 포함하여 로프(R) 및 공구 등이 탈착될 수 있는 머리부(154c);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etachable ring portion 150,
Doedoe formed in a p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portion 151, the upper projection 152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151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ower protrusions 153 are formed in a p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opening 151,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urface facing the opening 151; and
The ring portion 154,
an insertion part (154a)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tha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part (151);
a pillar portion (154b) extending in a pil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ortion (154a) and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15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insertion into the opening portion (151); and
Doedoe formed at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154b), the rope (R) and the tool, including the hole, the head portion (154c) that can be detached; Contain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2)는,
상기 연장부(132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132b)를 접이식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메인패널(131)이 다수 개 배치된 상기 차음패널(130)을 접이식으로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링크부(132c);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공사용 가설 구조물.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part 132 is,
It is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parts 132b, so that the extension part 132b can be rotated to be folded, and the sound insulation panel 130 having a plurality of the main panels 131 can be stored and moved by folding. Link portion (132c) with; further comprising, a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KR1020210034454A 2021-03-17 2021-03-1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KR102313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54A KR102313681B1 (en) 2021-03-17 2021-03-1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KR1020210132982A KR102465018B1 (en) 2021-03-17 2021-10-0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for easy storage by f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54A KR102313681B1 (en) 2021-03-17 2021-03-1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982A Division KR102465018B1 (en) 2021-03-17 2021-10-0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for easy storage by fo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681B1 true KR102313681B1 (en) 2021-10-18

Family

ID=782711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454A KR102313681B1 (en) 2021-03-17 2021-03-1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KR1020210132982A KR102465018B1 (en) 2021-03-17 2021-10-0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for easy storage by folding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982A KR102465018B1 (en) 2021-03-17 2021-10-07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for easy storage by fo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36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362B1 (en) * 2022-12-21 2023-04-25 진성이엔씨 주식회사 Detachable noise reduction structure for excav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9202B2 (en) * 1998-08-11 2003-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Clip for fixing panel-shaped parts
KR100536826B1 (en) *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Soundproofing wall of soundproofed wall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090005274A (en) * 2008-12-18 2009-01-13 이봉재 Installation structure of sandwiches panel for decorating a building wall
KR20100008859A (en) * 2008-07-17 2010-01-27 김원수 Sliding crime prevention window
KR101169025B1 (en) * 2009-11-30 2012-07-27 (주)대우건설 Attachable-removeable sound absorption panel
KR20180003214U (en) * 2017-05-04 2018-11-14 이갑기 Mesh for Fence
KR101925948B1 (en) * 2018-06-01 2018-12-06 백인향 A wall structure for installing an elevator pit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9202B2 (en) * 1998-08-11 2003-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Clip for fixing panel-shaped parts
KR100536826B1 (en) * 2005-10-17 2005-12-14 주식회사 누리플랜 Soundproofing wall of soundproofed wall apparatus for construction
KR20100008859A (en) * 2008-07-17 2010-01-27 김원수 Sliding crime prevention window
KR20090005274A (en) * 2008-12-18 2009-01-13 이봉재 Installation structure of sandwiches panel for decorating a building wall
KR101169025B1 (en) * 2009-11-30 2012-07-27 (주)대우건설 Attachable-removeable sound absorption panel
KR20180003214U (en) * 2017-05-04 2018-11-14 이갑기 Mesh for Fence
KR101925948B1 (en) * 2018-06-01 2018-12-06 백인향 A wall structure for installing an elevator pit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991A (en) 2022-09-26
KR102465018B1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681B1 (en) Temporary structure for elevator construction
DE19626676A1 (en) Device for reducing sound levels in buildings
KR101925948B1 (en) A wall structure for installing an elevator pit having a noise reduction function
JP2014177783A (en) Structure demolition system
JP7406630B2 (en) Elevator equipment and its three-sided frame mounting structure
JP4578650B2 (en) Curing equipment
KR101925947B1 (en) Hypothetical wall for elevator construction
EP0120314A2 (en) Mounting element for constructing walls, ceilings and floors
JP2004239038A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of wooden house
KR200497826Y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falling accident of opening
JP6537732B2 (en) Elevator and elevator renewal method
JP2008088666A (en) Balcony unit
KR20200056163A (en) Up-and-down moving module and up-and-down moving system of screen fence for demolishing building
JP7385546B2 (en) Soundproof wall panel mounting structure
JP2009018901A (en) Catch prevention device
JP4351110B2 (en) Movable landing equipment for elevators for base-isolated buildings
KR102229641B1 (en) Worktable for engineering work of elevator
KR102478449B1 (en) Durable korea style house substructure
KR101969859B1 (en) Detachable t-joint for grating and top cover
JP2009002011A (en) Building
DE102005018208A1 (en) Wall lining for e.g. ship cabin building, has support section group whose support sections are partially mounted at vibration units, and wall covering fastened at support sections of another group
JPH03241164A (en) Double floor structure of building
JP6245953B2 (en) Shutter device support structure
JPH09242370A (en) Erection passage
JP3061171B2 (en) Expansion joint structure in the passage corri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