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79B1 -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679B1
KR102313679B1 KR1020210001483A KR20210001483A KR102313679B1 KR 102313679 B1 KR102313679 B1 KR 102313679B1 KR 1020210001483 A KR1020210001483 A KR 1020210001483A KR 20210001483 A KR20210001483 A KR 20210001483A KR 102313679 B1 KR102313679 B1 KR 10231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vable cap
main body
electrical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특별자치도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00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심정지가 발생하여 순환이 정지되면 뇌 조직 내의 산소를 1초 이내에 고갈되며 5분이 경과되면 포도당과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결핍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4~10분 내에 순환정지상태가 교정되지 못하면 중추신경계를 포함하는 신경조직의 불가역적인 손상에 의하여 생물학적 사망상태로 진행된다. 따라서 환자의 소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순환 및 호흡을 유지시켜 조직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호흡이나 심장 박동이 멈춘 사람에 대하여 인공적으로 호흡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혈액 순환이 유지되도록 하는 응급 처치 조치에 해당하는 심폐소생술은 긴급한 상황에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면서 심장 마비로부터 회복시키는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정지 환자의 소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는 최초 발견자의 적절한 처치이다. 즉 심정지 환자의 소생은 최초 발견자가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느냐에 달려있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위치하는 흉부를 4 내지 6cm의 깊이로 1분에 최저 100회 이상, 최고 120회 미만의 압박 속도로 실시되는 것이 적절하다. 흉부를 위와 같은 깊이가 되도록 압박하기 위하여 적절한 압박과 함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적절한 압박 속도를 유지하여야 할 경험이 없는 경우, 너무 늦거나 빠르게 가해져 심폐 소생의 효과가 발생되지 않거나 신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미리 심폐소생술의 적용을 위한 적절한 압박 속도에 대한 연습 또는 실습이 필요하며, 학교 등 다양한 곳에서 학생이나 일반으로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606096호에는 마네킹 모형의 심폐소생 훈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심폐소생 훈련장치는 인체의 상부 몸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네킹의 흉부 쪽에 압박판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압박판을 가압하면 디스플레이부가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렵고, 고가이다. 또한 힘이 약한 유아가 트레이닝하기에 불편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606096호 (2016. 03. 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단가가 낮으며, 힘이 약한 유아부터 학생이나 일반인까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복수 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1 스프링보다 길이가 짧은 제 2 스프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 볼트; 및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볼트와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볼트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프링 받침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동 캡에 가해지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동 캡의 상측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를 상기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탄성 변형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캡의 상면에 결합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른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신호를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이 실행되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가동 캡의 압박 동작에 따른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접할 수 있는 경사부가 끝단에 마련된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경사부 중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서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동 캡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경사부의 일측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눌러 상기 스위치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1단 동작 위치와,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경사부의 다른 일측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눌러 상기 스위치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2단 동작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캡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면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가동 캡 베이스와,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향해 돌출되고, 끝단에 상기 경사부가 마련된 바디부와, 상기 관통구보다 큰 폭으로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커버와 접할 수 있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고정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맞물림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물림홈에 삽입되는 맞물림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맞물림홈과 상기 맞물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가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제 1 가압돌기;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제 2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1단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2단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는, 상기 1단 동작 모드 선택 시 상기 제 2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2단 동작 모드 선택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가동 캡의 반복적인 하강 동작 시 상기 가동 캡의 상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1단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2단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누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돌기는, 상기 가동 캡이 상기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그 끝단이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1 가압돌기는, 상기 제 2 가압돌기보다 길고,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타단에 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동 캡이 상기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그 측면이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그 끝단이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타단에 접촉한 상태로 슬립될 수 있는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 또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가압할 수 있는 1단 동작 위치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사이즈로 이루어져 적은 비용으로 유치원이나, 학교, 사무실, 가정, 강연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 발생의 위험이 적으며, 제조 단가가 낮고, 실용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사용자가 가동 캡을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까지 누르면서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1단 동작 모드와, 가동 캡을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까지 누르면서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2단 동작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힘이 약한 유아부터 어린이나, 학생, 일반인 등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130)과, 본체(110)와 가동 캡(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150)(151)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동 캡(130)을 압박할 때 피드백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1단 동작 모드 및 2단 동작 모드로 작동할 수 있어 힘이 약한 유아부터 학생이나 일반인까지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1단 동작 모드는 가동 캡(13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동작 모드고, 2단 동작 모드는 가동 캡(130)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피드백 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이다. 1단 동작 모드에서는 가동 캡(130)이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압박되더라도 피드백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1단 동작 모드는 힘이 약한 유아 등이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하기에 적합한 동작 모드다. 반면, 2단 동작 모드에서ㄴ 가동 캡(130)이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압박되어야 피드백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2단 동작 모드는 어린이나, 학생, 일반인 등이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하기에 적합한 동작 모드다.
본체(110)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형 박스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형상은 특별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체(110)의 안쪽 바닥면에는 가동 캡(130)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보스(111)가 돌출 구비된다. 가이드 보스(111)의 내측에는 보스 홀(112)이 마련되고, 가이드 보스(111)의 상단부에는 걸림턱(113)이 마련된다.
본체(110)의 내측에는 제어부(153)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15)가 구비된다. 배터리 장착부(115)는 배터리가 출입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된다. 배터리 장착부(115)의 개방부는 하부 커버(1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측에는 기판(118)이 설치된다. 기판(118)은 배터리 장착부(115)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기판(118)에는 제어부(153)를 구성하는 전자 칩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8)에는 가동 캡(13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가 설치된다.
제 1 스위치(120)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1단 동작 모드로 작동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3)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제 1 스위치(120)는 가동 캡(13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120)는 제 1 스위치 몸체(121) 및 제 1 스위치 몸체(12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120)는 제 1 스위치 작동부(122)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제 1 스위치 몸체(121)는 가동 캡(1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기판(118)에 세워진 형태로 결합된다.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제 1 스위치 몸체(121)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1 스위치 몸체(121)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1 스위치 몸체(121)에 연결된다.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스위치(120)는 제 1 스위치 작동부(122)가 제 1 스위치 몸체(121)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제 1 스위치 몸체(121)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124)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2단 동작 모드로 작동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53)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제 2 스위치(124)는 가동 캡(130)이 사전 설정된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124)는 제 1 스위치(120)와 같은 높이에 제 1 스위치(1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스위치(124)는 제 1 스위치(12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2 스위치 몸체(125) 및 제 2 스위치 몸체(125)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를 구비한다. 제 2 스위치(124)는 제 2 스위치 작동부(126)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스위치 몸체(125)는 가동 캡(1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기판(118)에 세워진 형태로 결합된다.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제 2 스위치 몸체(125)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2 스위치 몸체(125)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스위치 몸체(125)에 연결된다.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하면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가 설치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128)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1단 동작 모드와, 2단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선택하여 트레이닝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128)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가동 캡(130)은 본체(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가동 캡(130)이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가동 캡(1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가동 캡(130)은 본체(110)에 결합되는 가동 캡 베이스(131)와, 가동 캡 베이스(131) 위에 차례로 결합되는 상부 커버(143) 및 완충 패드(146)를 포함한다.
가동 캡 베이스(131)는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스프링(150)(15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가동 캡 베이스(131)의 안쪽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132)와, 복수의 슬리브(133)와, 한 쌍의 가압돌기(135)(136)가 본체(11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 로드(132)는 본체(110)의 가이드 보스(111) 안쪽으로 삽입되어 가동 캡(130)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132)의 끝단에는 이탈방지부재(148)가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148)는 고정부재(149)에 의해 가이드 로드(132)와 결합되어 가이드 보스(111)의 보스 홀(112) 속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48)는 보스 홀(112) 속에서 이동하다가 가이드 보스(111)의 걸림턱(113)에 걸림으로써 그 상부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가동 캡(130)은 이탈방지부재(148)에 의해 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슬리브(133)는 스프링(150)(151)의 끝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스프링(150)(151)을 가동 캡(1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 쌍의 가압돌기(135)(136)는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1 가압돌기(135)는 제 1 스위치(120)의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를 향해 돌출되고, 제 2 가압돌기(136)는 제 2 스위치(124)의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를 향해 돌출된다. 제 1 가압돌기(135)의 길이는 제 2 가압돌기(136)의 길이보다 길다.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가압돌기(135)는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제 1 스위치 작동부(122)에 접하여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를 제 1 스위치 몸체(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돌기(136)는 제 2 스위치(124)에 접하지 않으며, 제 1 스위치(120)만 전기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 1 가압돌기(135)가 제 1 스위치 작동부(122)에 접할 때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는 그 자유단이 제 1 스위치 몸체(121)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제 1 가압돌기(135)가 제 1 스위치 작동부(122)에 접한 상태에서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는 제 1 가압돌기(135)의 이동을 막지 않는다. 즉 제 1 가압돌기(135)는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보다 더 하강하더라도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를 제 1 스위치 몸체(121)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가압돌기(136)는 가동 캡(1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126)에 접하여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를 제 2 스위치 몸체(125)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 2 스위치(124)가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가압돌기(136)가 제 2 스위치 작동부(126)에 접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126)는 그 자유단이 제 2 스위치 몸체(125)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가동 캡(1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1 가압돌기(135)는 제 1 스위치 작동부(122)를 제 1 스위치 몸체(121)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가동 캡(130)의 상측에는 설치홈(138)이 마련된다. 설치홈(138)에는 램프 모듈(140)이 설치된다. 램프 모듈(140)은 가동 캡(130)의 상측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복수의 램프(141)를 포함한다. 복수의 램프(141)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램프 모듈(140)은 제어부(153)에 의해 제어되며,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53)는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의 전기 신호에 따라 램프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1단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3)는 제 1 스위치(120)의 전기 신호에 따라 램프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3)는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 횟수에 맞춰 램프 모듈(140)의 램프(141)를 하나씩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3)는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 횟수가 사전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전체 램프(141)를 점멸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중에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3)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2 스위치(124)의 전기 신호에 따라 램프 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부 커버(143)는 램프 모듈(140)을 덮을 수 있도록 가동 캡 베이스(131) 위에 결합된다. 상부 커버(143)는 램프 모듈(140)에서 발생하는 빛이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부 커버(143)의 상측에는 완충 패드(146)가 수용될 수 있는 상부 커버 홈(144)이 마련된다.
완충 패드(146)는 상부 커버(143)의 상부 커버 홈(144)에 삽입되어 상부 커버(143)와 결합된다. 완충 패드(146)는 고무 등 탄성 변형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중 사용자는 완충 패드(146)에 손을 대고 가동 캡(130)을 본체(110) 쪽으로 압박할 수 있다. 완충 패드(146)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중 가동 캡(130)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되는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스프링(150)(151)은 복수 개가 본체(110)와 가동 캡(130)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 캡(130)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150)(151)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 1 스프링(150)과, 제 1 스프링(150)보다 길이가 짧은 제 2 스프링(151)으로 구분된다. 제 2 스프링(151)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으므로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까지 하강할 때 가동 캡(130)에 작동 하중을 가하지 않거나, 약하게 작동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캡(130)은 상대적으로 약한 압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면서 1단 동작 거리(d1)까지 움직일 수 있다. 반면,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보다 더 하강할 때 제 2 스프링(151)이 가동 캡(130)에 작동 하중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가동 캡(130)을 압박해야만 가동 캡(130)을 2단 동작 거리(d2)까지 움직일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스피커(155)와 통신부(158)를 포함한다. 스피커(155)는 램프 모듈(140)과 함께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출력부(156)를 구성할 수 있다. 스피커(155)는 본체(110)나 가동 캡(130)에 설치되어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청각적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피커(155)는 제어부(153)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53)는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의 전기 신호에 따라 스피커(15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1단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53)는 제 1 스위치(120)의 전기 신호에 따라 스피커(155)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3)는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 횟수에 맞춰 스피커(155)를 통해 신호 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3)는 가동 캡(130)의 상하 이동 횟수가 사전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스피커(155)를 통해 그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중에 사용자에게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53)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가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2 스위치(124)의 전기 신호에 따라 스피커(155)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8)는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58)는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의 전기 신호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신호를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통신부(158)를 통해 개인 단말기(10)와 연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단말기(10)에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에 관련한 앱을 설치하고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을 하는 중에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동작 신호는 통신부(158)를 통해 개인 단말기(10)에 송신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0)에 설치된 앱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개인 단말기(10)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신호에 따라 개인 단말기(10)의 앱이 작동함으로써 개인 단말기(10)의 화면을 통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에 관한 다양한 이미지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신호에 따라 개인 단말기(10)의 앱이 작동함으로써 개인 단말기(10)의 스피커를 통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에 관한 다양한 알림음이나 안내 멘트 등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의 동작 신호에 따라 개인 단말기(10)의 앱이 작동함으로써 개인 단말기(10)가 심폐소생술 트레이닝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동 캡(130)을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d1)까지 누르면서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1단 동작 모드와, 가동 캡(130)을 1단 동작 거리(d1)보다 긴 2단 동작 거리(d2)까지 누르면서 심폐소생술을 트레이닝할 수 있는 2단 동작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힘이 약한 유아부터 어린이나, 학생, 일반인까지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사이즈로 이루어져 적은 비용으로 유치원이나, 학교, 사무실, 가정, 강연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는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 발생의 위험이 적으며, 제조 단가가 낮고, 실용적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2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설치되는 제 1 스위치(120) 및 제 2 스위치(124)와, 본체(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130)과, 본체(110)와 가동 캡(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210)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200)는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100)와 비교하여 스프링(210)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200)는 가동 캡(130)에 가해지는 스프링(21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 구성 요소로서 스프링 받침대(212)와, 조정 볼트(214)를 포함한다. 스프링 받침대(212)는 스프링(210)의 일단과 접하도록 본체(110)와 가동 캡(130) 사이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스프링 받침대(212)는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 핀(216)에 결합된다. 가이드 핀(216)은 스프링 받침대(212)를 상하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스프링 받침대(212)의 회전 운동을 구속한다. 스프링 받침대(212)의 일측에는 조정 볼트(214)와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산이 구비된다. 조정 볼트(214)는 본체(110)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본체(110)의 하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스프링 받침대(212)와 맞물린다. 조정 볼트(214)의 일단은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110)의 하면에 마련되는 하부 홈(218) 속에 놓인다. 조정 볼트(214)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정 볼트(214)를 회전시키면 스프링 받침대(212)가 나사 운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받침대(212)는 조정 볼트(21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스프링 받침대(212)가 상승하면 스프링 받침대(212)가 스프링(210)을 압축하게 되며, 스프링(210)이 가동 캡(130)에 가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 캡(130)을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압박해야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 또는 2단 동작 거리(d2)까지 움직일 수 있다. 반면, 스프링 받침대(212)가 하강하면 스프링(210)의 압축량이 감소하여 스프링(210)이 가동 캡(130)에 가하는 탄성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동 캡(130)을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압박해도 가동 캡(130)이 1단 동작 거리(d1) 또는 2단 동작 거리(d2)까지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 볼트(214)의 설치 위치는 가동 캡(130)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받침대(212)와 본체(110) 또는 스프링 받침대(212)와 가동 캡(130)의 연결 구조는 도시된 것과 같은 가이드 핀(216)을 이용하는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300)는 본체(310)와, 본체(310)에 설치되는 제 1 스위치(320) 및 제 2 스위치(324)와, 본체(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330)과, 본체(310)와 가동 캡(3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40)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300)는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것과 같다.
본체(310)는 내측에는 가이드 보스(111)와, 기판(118)과, 배터리 장착부(115)와, 슬리브(312)가 구비된다. 슬리브(312)에는 스프링(34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에는 본체(310)의 내부 공간을 안쪽 공간과 바깥쪽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314)과, 격벽(314)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의 지지대(316)가 구비된다. 격벽(314)의 안쪽 공간에는 기판(118)과, 배터리 장착부(115)와, 제 1 스위치(320) 및 제 2 스위치(324)와, 스프링(340) 등이 배치된다. 격벽(314)의 바깥쪽 공간에는 램프 모듈(140)이 설치된다. 램프 모듈(140)은 지지대(316)에 지지되어 가동 캡(330) 쪽으로 빛을 발산한다.
제 1 스위치(320)는 가동 캡(33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320)는 제 1 스위치 몸체(321) 및 제 1 스위치 몸체(32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 몸체(321)는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기판(118)에 세워진 형태로 결합된다.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제 1 스위치 몸체(321)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1 스위치 몸체(321)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1 스위치 몸체(321)에 연결된다. 제 1 스위치(320)는 제 1 스위치 작동부(322)가 제 1 스위치 몸체(321)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제 1 스위치 몸체(321)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324)는 가동 캡(330)이 사전 설정된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324)는 제 2 스위치 몸체(325) 및 제 2 스위치 몸체(325)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를 구비한다. 제 2 스위치(324)는 제 1 스위치(320)와 같은 높이에 제 1 스위치(320)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제 1 스위치(320)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 2 스위치 몸체(325)는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기판(118)에 세워진 형태로 결합된다.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제 2 스위치 몸체(325)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2 스위치 몸체(325)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스위치 몸체(325)에 연결된다.
가동 캡(330)은 본체(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310)에 결합된다. 가동 캡(330)은 본체(310)에 결합되는 가동 캡 베이스(331)와, 가동 캡 베이스(331) 위에 결합되는 완충 패드(146)를 포함한다. 완충 패드(146)는 상술한 것과 같다.
가동 캡 베이스(331)는 본체(3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스프링(3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가동 캡 베이스(331)는 램프 모듈(140)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가동 캡 베이스(331)의 안쪽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132)와, 복수의 고정돌기(332)와, 한 쌍의 가압돌기(334)(335)가 본체(31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 로드(132)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본체(310)의 가이드 보스(111) 안쪽으로 삽입되어 가동 캡(330)을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돌기(332)는 스프링(340)의 끝단에 결합되어 본체(310)의 슬리브(312)와 함께 스프링(340)을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돌기(334)(335)는 제 1 스위치(320) 및 제 2 스위치(324)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1 가압돌기(334)는 제 1 스위치(320)의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를 향해 돌출되고, 제 2 가압돌기(335)는 제 2 스위치(324)의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를 향해 돌출된다. 제 1 가압돌기(334)의 길이는 제 2 가압돌기(335)의 길이보다 길다.
도 11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가압돌기(334)는 가동 캡(330)이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제 1 스위치 작동부(322)에 접하여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를 제 1 스위치 몸체(321)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 2 가압돌기(335)는 제 2 스위치(324)에 접하지 않으며, 제 1 스위치(320)만 전기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 1 가압돌기(334)는 가동 캡(330)이 1단 동작 거리(d1)보다 더 하강하더라도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를 제 1 스위치 몸체(321)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가압돌기(335)는 가동 캡(3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326)에 접하여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를 제 2 스위치 몸체(325)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 2 스위치(324)가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가압돌기(335)가 제 2 스위치 작동부(326)에 접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326)는 그 자유단이 제 2 스위치 몸체(325)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가동 캡(3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1 가압돌기(334)는 제 1 스위치 작동부(322)를 제 1 스위치 몸체(321)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300)는 제 1 스위치(320)와 제 2 스위치(324)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가동 캡(330)의 하강에 따라 제 1 스위치(320)가 제 1 가압돌기(334)에 의해 먼저 작동하고, 제 2 스위치(324)가 제 2 가압돌기(335)에 의해 상대적으로 나중에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가압돌기(334)와 제 2 가압돌기(335)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더라도 가동 캡(330)의 이동에 따른 제 1 스위치(320)와 제 2 스위치(324)의 동작 시점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제 1 가압돌기(334)와 제 2 가압돌기(335)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300)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320) 또는 제 2 스위치(324)를 오프시킴으로써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모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는 본체(310)와, 본체(310)에 설치되는 제 1 스위치(410) 및 제 2 스위치(414)와, 본체(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330)과, 본체(310)와 가동 캡(3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40)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는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대부분의 구성이 상술한 것과 같다.
도 14 내지 도 16은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각 도면에서 (a)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를 일측 방향에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를 다른 방향에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스위치(410)와 제 2 스위치(414)는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본체(310)의 내측에 누운 형태로 배치된다.
제 1 스위치(410)는 가동 캡(33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410)는 제 1 스위치 몸체(411) 및 제 1 스위치 몸체(41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 몸체(411)는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기판(118)에 누운 형태로 결합된다.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는 일단이 제 1 스위치 몸체(411)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1 스위치 몸체(411)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1 스위치 몸체(411)에 연결된다. 제 1 스위치(410)는 제 1 스위치 작동부(412)가 제 1 스위치 몸체(411)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제 1 스위치 몸체(411)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414)는 가동 캡(330)이 사전 설정된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414)는 제 2 스위치 몸체(415) 및 제 2 스위치 몸체(415)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416)를 구비한다. 제 2 스위치 몸체(415)는 가동 캡(33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기판(118)에 누운 형태로 결합된다. 제 2 스위치 작동부(416)는 일단이 제 2 스위치 몸체(415)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스위치 작동부(416)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2 스위치 몸체(415)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스위치 몸체(415)에 연결된다. 제 2 스위치(414)는 제 2 스위치 작동부(416)가 제 2 스위치 몸체(415)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제 2 스위치 몸체(415)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가동 캡(330)은 본체(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310)에 결합된다. 가동 캡(330)의 내측에는 제 1 스위치(4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가압돌기(420)와, 제 2 스위치(4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가압돌기(422)가 돌출 구비된다. 제 1 가압돌기(420)의 길이는 제 2 가압돌기(422)의 길이보다 길다. 제 1 가압돌기(420)의 끝단에는 제 1 스위치 작동부(412)의 타단에 접촉한 상태로 슬립될 수 있는 경사부(421)가 구비된다.
도 15의 (a) 및 도 1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가압돌기(420)는 가동 캡(330)이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제 1 스위치 작동부(412)에 접하여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를 제 1 스위치 몸체(41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돌기(422)는 제 2 스위치(414)에 접하지 않으며, 제 1 스위치(410)만 전기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 1 가압돌기(420)가 하강할 때 제 1 가압돌기(420)의 경사부(421)가 제 1 스위치 작동부(412)의 끝단에 접한 상태로 슬립된다. 따라서 제 1 가압돌기(420)는 그 측면으로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를 제 1 스위치 몸체(411) 쪽으로 가압한 상태로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를 통과하여 기판(118)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15의 (b) 및 도 1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가압돌기(422)는 가동 캡(3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416)에 접하여 제 2 스위치 작동부(416)를 제 2 스위치 몸체(415)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 2 스위치(414)가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가압돌기(422)가 제 2 스위치 작동부(416)에 접할 때 제 2 스위치 작동부(416)는 그 자유단이 제 2 스위치 몸체(415)에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가동 캡(330)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제 1 가압돌기(420)는 측면이 제 1 스위치 작동부(412)에 접하여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를 제 1 스위치 몸체(411) 쪽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그 끝단이 제 1 스위치 작동부(412)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410) 또는 제 2 스위치(414)를 오프시킴으로써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모드 전환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400)는 제 1 스위치(410) 및 제 2 스위치(414)가 본체(310)의 내측에 누운 형태로 설치되므로 전체 높이가 낮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21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는 본체(310)와, 본체(310)에 설치되는 스위치(510)와, 본체(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520)과, 스위치(5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 캡(520)에 결합되는 가압돌기(540)와, 본체(310)와 가동 캡(5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40)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는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치(510)는 가동 캡(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누운 형태로 기판(118)에 결합되는 스위치 몸체(511)와, 스위치 몸체(51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512)를 포함한다. 스위치 작동부(512)는 일단이 스위치 몸체(511)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작동부(51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스위치 몸체(5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스위치 몸체(511)에 연결된다. 스위치(510)는 스위치 작동부(512)가 스위치 몸체(511)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스위치 몸체(511)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가동 캡(520)은 본체(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310)에 결합된다. 가동 캡(520)은 본체(310)에 결합되는 가동 캡 베이스(521)와, 가동 캡 베이스(521) 위에 차례로 결합되는 고정 커버(528) 및 완충 패드(146)를 포함한다. 완충 패드(146)는 상술한 것과 같다.
가동 캡 베이스(521)는 본체(3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스프링(3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가동 캡 베이스(521)의 상측에는 가동 캡 베이스홈(522)과, 장착홈(523)과, 관통구(524)와 복수의 결합홈(525)이 마련된다. 가동 캡 베이스홈(522)은 고정 커버(528)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장착홈(523)은 가압돌기(540)의 상단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가동 캡 베이스홈(522)의 중간에 배치되어 가동 캡 베이스홈(522)과 연결된다. 관통구(524)는 가압돌기(540)의 일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장착홈(523)의 중간에 장착홈(523)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관통구(524)는 장착홈(523)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가동 캡 베이스(521)의 내면까지 연장된다. 결합홈(525)은 복수 개가 장착홈(523)의 둘레에 이격 배치된다.
고정 커버(528)는 가동 캡 베이스홈(522)에 삽입되도록 가동 캡 베이스(521)에 결합된다. 고정 커버(528)는 복수의 결합돌기(529)와, 탄성편(530)을 구비한다. 복수의 결합돌기(529)는 복수의 결합홈(52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탄성편(530)은 고정 커버(528)의 가장자리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어 가동 캡 베이스(521)에 구비되는 삽입홈(526)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커버(528)는 결합돌기(529)가 결합홈(525)에 삽입되고 탄성편(530)이 삽입홈(526)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동 캡 베이스(521)에 결합된다. 고정 커버(528)의 안쪽에는 복수의 맞물림홈(531)이 이격 배치된다. 고정 커버(528)는 가동 캡 베이스(5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 캡 베이스(521)에 결합되는 가압돌기(540)를 고정할 수 있다.
가압돌기(540)는 가동 캡 베이스(521)의 장착홈(523)에 결합되어 그 끝단이 가동 캡 베이스(52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가압돌기(540)는 바디부(541)와, 바디부(541)의 끝단에 연결되는 헤드부(544)를 포함한다. 바디부(541)는 관통구(524)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스위치(510)를 향해 돌출된다. 바디부(541)의 끝단에는 스위치(510)의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할 수 있는 경사부(542)가 구비된다. 헤드부(544)는 관통구(524)보다 큰 폭으로 바디부(541)의 끝단에 연결되어 장착홈(523)에 수용된다. 헤드부(544)의 상면에는 고정 커버(528)의 맞물림홈(531)에 대응하는 맞물림돌기(545)가 구비된다.
가압돌기(540)는 가동 캡(520)에서 가동 캡(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가압돌기(540)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가압돌기(540)의 경사부(542) 중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542)의 끝단이 스위치 작동부(512) 상에 위치하는 경우 가동 캡(520)이 하강할 때 경사부(542)의 끝단이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하여 스위치 작동부(512)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동 캡(520)이 상대적으로 적게 움직여도 가압돌기(540)가 스위치 작동부(512)를 가압할 수 있다. 반면, 경사부(542)의 끝단이 스위치 작동부(512)에서 벗어나고 경사부(542)의 중간 부분이 스위치 작동부(512) 상에 위치하는 경우 가동 캡(520)이 하강할 때 경사부(542)의 중간 부분이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하여 스위치 작동부(51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 캡(520)이 상대적으로 많이 움직여야 가압돌기(540)가 스위치 작동부(512)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돌기(540)는 1단 동작 위치와, 2단 동작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1단 동작 위치는 가동 캡(52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d1)만큼 하강할 때 경사부(542)의 끝단이 스위치 작동부(512)를 눌러 스위치(51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위치이다. 2단 동작 위치는 가동 캡(520)이 1단 동작 거리(d1)보다 긴 2단 동작 거리(d2)만큼 하강할 때 경사부(542)의 중간 부분이 스위치 작동부(512)를 눌러 스위치(510)를 작동시키는 위치이다.
도 20은 가압돌기(540)가 1단 동작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돌기(540)가 1단 동작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가동 캡(520)을 압박하여 1단 동작 거리(d1)만큼 이동시킬 때 경사부(542)의 끝단이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하여 스위치(5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1은 가압돌기(540)가 2단 동작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압돌기(540)가 2단 동작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가동 캡(520)을 압박하여 2단 동작 거리(d2)만큼 이동시켜야 경사부(542)의 중간 부분이 스위치 작동부(512)에 접하여 스위치(5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고정 커버(528)를 가동 캡 베이스(521)에 분리하고 가압돌기(540)를 1단 동작 위치 또는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다. 가압돌기(540)를 1단 동작 위치 또는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변경하고 고정 커버(528)를 가동 캡 베이스(521)에 결합하게 되면 가압돌기(540)의 맞물림돌기(545)가 고정 커버(528)의 맞물림홈(531) 속에 삽입됨으로써 가압돌기(540)가 위치 변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는 스위치(5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압돌기(540)가 1단 동작 위치와,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하여 하나의 스위치(510)를 이용하여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에 의해 그 동작 모드가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돌기(54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가압돌기(540)와 가동 캡(520)의 결합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돌기(540)에 맞물림홈이 마련되고 고정 커버(528)에 맞물림돌기가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맞물림홈과 맞물림돌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2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600)는 본체(310)와, 본체(310)에 설치되는 제 1 스위치(610) 및 제 2 스위치(614)와, 본체(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캡(520)과, 제 1 스위치(610) 및 제 2 스위치(61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 캡(520)에 결합되는 가압돌기(620)와, 본체(310)와 가동 캡(5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340)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600)는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610)는 가동 캡(520)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610)는 제 1 스위치 몸체(611) 및 제 1 스위치 몸체(61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61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치 몸체(611)는 가동 캡(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본체(310) 안쪽에 누운 형태로 설치된다. 제 1 스위치 작동부(612)는 일단이 제 1 스위치 몸체(611)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 스위치 작동부(61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제 1 스위치 몸체(611)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1 스위치 몸체(611)에 연결된다. 제 1 스위치(610)는 제 1 스위치 작동부(612)가 제 1 스위치 몸체(611) 쪽으로 눌림 동작할 때 제 1 스위치 몸체(611)의 단자부(미도시)가 가압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614)는 가동 캡(520)이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614)는 제 2 스위치 몸체(615) 및 제 2 스위치 몸체(615)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616)를 구비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제 1 스위치(610)와 같다. 제 2 스위치(614)는 가동 캡(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본체(310) 안쪽에 누운 형태로 설치된다. 제 2 스위치(614)는 제 1 스위치(610)보다 낮게 배치된다.
가압돌기(620)는 바디부(621)와, 바디부(621)의 끝단에 연결되는 헤드부(544)를 포함한다. 바디부(621)는 제 1 스위치 작동부(612) 또는 제 2 스위치 작동부(616)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 캡(5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가압돌기(620)는 도 17 내지 도 21에 나타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500)의 가압돌기(540)처럼 가동 캡(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압돌기(620)는 제 1 스위치(610)를 작동시킬 수 있는 1단 동작 위치 또는 제 2 스위치(614)를 작동시킬 수 있는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가압돌기(620)와 가동 캡(520)의 결합 구조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600)는 가압돌기(620)가 1단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1단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가압돌기(620)가 2단 동작 위치에 위치할 때 2단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600)는 모드 전환 스위치(128)에 의해 그 동작 모드가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 모드가 자동 전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중 사용자는 가동 캡을 일정한 힘으로 반복 압박하게 된다. 이때,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용자는 가동 캡을 상대적으로 적게 누르게 되고, 상대적으로 힘이 센 사용자는 가동 캡을 더 많이 누르게 된다. 제어부는 가동 캡의 압박이 시작되고 몇 번의 동작 회수 동안 가동 캡의 평균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가동 캡의 상하 이동 거리에 따라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1단 동작 모드 또는 2단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초기 몇 번의 작동 횟수 동안 가동 캡의 이동 거리가 짧으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1단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가동 캡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면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2단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가 가동 캡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방법은 가동 캡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가동 캡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가 1단 동작 모드와 2단 동작 모드로 모드 전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와 가압돌기는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가 이에 결합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는 플러그 연결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식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가동 캡의 이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스위치 몸체와, 스위치 몸체에 결합되는 외팔보 형태의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위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600 :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10, 310 : 본체 115 : 배터리 장착부
118 : 기판 120, 320, 410, 610 : 제 1 스위치
124, 324, 414, 614 : 제 2 스위치 128 : 모드 전환 스위치
130, 330, 520 : 가동 캡 135, 334, 420 : 제 1 가압돌기
136, 335, 422 : 제 2 가압돌기 140 : 램프 모듈
146 : 완충 패드 150, 151, 210, 340 : 스프링
153 : 제어부 155 : 스피커
156 : 출력부 212 : 스프링 받침대
214 : 조정 볼트 510 : 스위치
528 : 고정 커버 540, 620 : 가압돌기

Claims (20)

  1.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복수 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1 스프링보다 길이가 짧은 제 2 스프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4.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 볼트; 및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접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정 볼트와 나사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프링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볼트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프링 받침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동 캡에 가해지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가동 캡의 상측 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를 상기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변형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캡의 상면에 결합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7.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른 동작 신호를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이 실행되어 상기 앱을 통해 상기 가동 캡의 압박 동작에 따른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개인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8.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접할 수 있는 경사부가 끝단에 마련된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경사부 중 상기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는 부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서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동 캡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경사부의 일측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눌러 상기 스위치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1단 동작 위치와,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경사부의 다른 일측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눌러 상기 스위치에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2단 동작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캡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면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가동 캡 베이스와,
    상기 관통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스위치 작동부를 향해 돌출되고, 끝단에 상기 경사부가 마련된 바디부와,
    상기 관통구보다 큰 폭으로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커버와 접할 수 있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고정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맞물림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맞물림홈에 삽입되는 맞물림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맞물림홈과 상기 맞물림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가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1.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사전 설정된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제 1 가압돌기;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보다 긴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결합되는 제 2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1단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2단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는, 상기 1단 동작 모드 선택 시 상기 제 2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상기 2단 동작 모드 선택 시 상기 제 1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가동 캡의 반복적인 하강 동작 시 상기 가동 캡의 상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 1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1단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2단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는 각각 상기 가동 캡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누운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이루고,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로부터 멀리 이격된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가압돌기는, 상기 가동 캡이 상기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그 끝단이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여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1 가압돌기는, 상기 제 2 가압돌기보다 길고, 상기 가동 캡이 상기 1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타단에 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고, 상기 가동 캡이 상기 2단 동작 거리만큼 하강할 때 그 측면이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에 접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그 끝단이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타단에 접촉한 상태로 슬립될 수 있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20.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1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2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의 눌림 동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치;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가동 캡;
    상기 본체와 상기 가동 캡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캡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가동 캡이 하강할 때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 또는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캡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돌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의 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부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제 1 스위치 작동부를 가압할 수 있는 1단 동작 위치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 작동부를 누를 수 있도록 2단 동작 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KR1020210001483A 2021-01-06 2021-01-06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KR10231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83A KR102313679B1 (ko) 2021-01-06 2021-01-06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83A KR102313679B1 (ko) 2021-01-06 2021-01-06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679B1 true KR102313679B1 (ko) 2021-10-19

Family

ID=7822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83A KR102313679B1 (ko) 2021-01-06 2021-01-06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67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90A (ja) * 1982-07-05 1984-01-14 社団法人日本交通福祉協会 蘇生法訓練用人体モデル
JP2007505360A (ja) * 2003-09-12 2007-03-08 エルロイ ティー. カントレル, Cpr訓練用デバイス
KR20080087474A (ko) * 2007-03-27 2008-10-01 정재은 교육용 마네킹
KR101606096B1 (ko) 2014-01-17 2016-03-24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KR20170036413A (ko) * 2015-09-24 2017-04-03 한향원 심폐소생술 실습 기기
KR200489560Y1 (ko) * 2019-05-20 2019-07-04 박준영 심폐소생술 보조기구
KR102045272B1 (ko) * 2018-10-22 2019-11-1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반 다중접속 가능한 cpr 훈련용 흉부 압박장치
KR20200111901A (ko) * 2019-03-19 2020-10-05 (주)판타웍스 심폐소생 훈련 연습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90A (ja) * 1982-07-05 1984-01-14 社団法人日本交通福祉協会 蘇生法訓練用人体モデル
JP2007505360A (ja) * 2003-09-12 2007-03-08 エルロイ ティー. カントレル, Cpr訓練用デバイス
KR20080087474A (ko) * 2007-03-27 2008-10-01 정재은 교육용 마네킹
KR101606096B1 (ko) 2014-01-17 2016-03-24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 훈련장치
KR20170036413A (ko) * 2015-09-24 2017-04-03 한향원 심폐소생술 실습 기기
KR102045272B1 (ko) * 2018-10-22 2019-11-1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반 다중접속 가능한 cpr 훈련용 흉부 압박장치
KR20200111901A (ko) * 2019-03-19 2020-10-05 (주)판타웍스 심폐소생 훈련 연습 장치
KR200489560Y1 (ko) * 2019-05-20 2019-07-04 박준영 심폐소생술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340B1 (en) A device for placement between the hands of a person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and the chest of a patient
US9262943B2 (en) CPR mannequin
EP2648672B1 (en)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KR102113373B1 (ko) 휴대용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2313679B1 (ko)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장치
KR102120609B1 (ko) 흉부압박 정보수집장치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KR102039218B1 (ko)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KR101859721B1 (ko) 심폐소생술 실습 기기
CN210574606U (zh) 一种可发声的人体软组织按摩学习教具
KR102181886B1 (ko) 베개 기반의 거북목 증후군 재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410334B1 (ko) 심폐 소생술 시뮬레이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심폐 소생술 교육 훈련 시스템
JP2013225046A (ja) 蘇生訓練用人体モデル、蘇生訓練システム
US9539172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N115542545B (zh) 一种基于注意力跟踪交互的vr医学仿真训练装置
KR102469289B1 (ko) 압력조절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실습디바이스
KR20080087474A (ko) 교육용 마네킹
CN214847380U (zh) 一种模拟人颈动脉意识检测装置
CN216719315U (zh) 一种心脏复苏实验模拟人
CN218730511U (zh) 一种带有语音控制和快捷控制侧键的按摩椅
CN220735955U (zh) 微电流足底按摩仪
CN214129407U (zh) 一种新型急诊科机械按压装置
KR101946015B1 (ko) 심폐 소생술 연습용 완구
KR102178059B1 (ko) 다리 마사지 장치 및 다리 마사지 장치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102063400B1 (ko) 어깨 마사지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CN111529358A (zh) 避免操作过深或过浅的新生儿心肺复苏提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