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451B1 -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451B1
KR102313451B1 KR1020200116821A KR20200116821A KR102313451B1 KR 102313451 B1 KR102313451 B1 KR 102313451B1 KR 1020200116821 A KR1020200116821 A KR 1020200116821A KR 20200116821 A KR20200116821 A KR 20200116821A KR 102313451 B1 KR102313451 B1 KR 10231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leakage breaker
control module
stat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광운
한만교
강신현
Original Assignee
(주)큐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센텍 filed Critical (주)큐센텍
Priority to KR102020011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4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02H3/066Reconnection being a consequence of eliminating the fault which caused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protection elements, arrang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leakage breaker installed at unmanned facilities,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ing unit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ies and an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located at a remote area from the unmanned facilities.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ing unit may transmit an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or an earth leakage release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to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ing unit may receive a recovery control command from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to recover the earth leakage breaker after inspecting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Description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

본 발명은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 대하여 원격으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power to an unmanned facility.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 설치된 누전 차단기와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earth leakage breaker installed in an unmanned facility and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이동 통신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기술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With the recent continuous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echnology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is also growing at a rapid pace.

이로 인해 이동 통신 중계기와, 사물 인터넷을 운영하기 위한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gateway)의 설치 건수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As a result,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s for operating the Internet of Things is increasing day by day.

이동 통신 중계기와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등의 통신 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력을 필수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이러한 통신 시설에 전력을 공급할 때,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order to operate communication faciliti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power must be supplied. When supplying power to these communication faciliti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hort circuit may occur.

누전은 전선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전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가는 것이다.A short circuit is an electric current that leaks to another place instead of being supplied normally in a wire or a device that uses electricity.

누전은 피복 불량 등으로 전선이 완전히 절연되지 않거나, 수분 등이 전기 장치에 침투하여 발생할 수 있다.Electric leakage may occur due to insufficient insulation of the electric wire or moisture penetrating into the electric device.

누전은 용량성 누전과 저항성 누전, 외란에 의한 누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용량성 누전은, 여름철 또는 겨울철 전력 소요가 급속하게 상승하여, 누전 차단기의 허용 용량 이상으로 전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것이다. 저항성 누전은, 전선의 피복 불량 등으로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수분 등이 전기 장치에 침투하여 단락이 발생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외란에 의한 누전은, 낙뢰 또는 상위단의 급전으로 인한 고조파의 인입으로 발생하는 것이다.Earth leakage can be classified into capacitive leakage, resistive leakage, and leakage due to disturbance. Capacitive earth leakage occurs when electricity is used more than the allowable capacity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due to a rapid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in summer or winter. Resistive leakage occurs when insulation is not made due to poor coating of electric wires, or moisture or the like penetrates into an electric device to cause a short circuit. Earth leakage due to disturbance i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harmonics due to lightning strikes or power supply from the upper stage.

이러한 누전은 전기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감전을 일으키거나, 전기 장치를 파손시킬 수 있다. 더욱이 누전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인화 물질 등에 의해 대형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전선 또는 전기 장치의 누전을 신속히 감지하여 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Such a short circuit may cause an electric shock to a person using the electrical device or damage the electrical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generating heat due to a short circuit, and a large fire may occur due to flammable materials or the lik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quickly detect and block a short circuit in an electric wire or electric device.

누전 차단기는 전선을 통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류와, 전선을 통해 전기 장치로부터 빠져 나오는 전류를 각각 측정한 후, 이들의 차이가 일정한 값을 초과할 때 전기 장치의 회로를 차단한다. 누전 차단기는 전기를 사용하는 시설에서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다.The earth leakage breaker measures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through the electric wire and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out of the electric equipment through the electric wire, respectively, and then breaks the circuit of the electric equipme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exceeds a certain value. Earth leakage breaker is essential in facilities that use electricity.

통신 시설 관리자 또는 운영자가 상주하는 기지국 등의 시설에서, 이동 통신 중계기와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등과 연결된 누전 차단기는 비교적 쉽게 관리할 수 있다.In a facility such as a base sta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facility manager or operator resides, an earth leakage breaker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can be managed relatively easily.

그러나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서, 이동 통신 중계기와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등과 연결된 누전 차단기는, 현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이를 관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편이다.However, in an unmanned facility, it is not easy to manage an earth leakage breaker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site.

특히,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서는, 용량성 누전 또는 저항성 누전이 발생하기 보다는, 외란에 의한 누전이 발생하여 누전 차단기가 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하다.In particular, in an unmanned facility, it is frequent that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operates due to an earth leakage caused by disturbance, rather than a capacitive or resistive earth leakage.

누전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 누전 차단기를 재가동 하였을 때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When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restarted without accurately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leakage, various problems may occur, for example, a fire due to electricity may occur.

따라서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서, 이동 통신 중계기와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등과 연결된 누전 차단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n earth leakage breaker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in an unmanned fac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에 설치된 누전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earth leakage breaker installed in an unmanned facility, and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와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는, 무인 시설에서 누전의 발생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와;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측정하는 전기 센서 모듈과; 상기 누전 차단기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환경 센서 모듈과; 상기 전기 정보와 상기 환경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상태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모듈과;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기 정보와 상기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제 1 제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듈과;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and an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wherei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includes: an earth leakage breaker for block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 leakage in an unmanned facility; an electrical sensor module for measuring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n environmental sensor module for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a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that converts the electric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to digital data; a firs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wherei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includes: a monitor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electric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 second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It provides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facility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S1) 전기 센서 모듈이, 무인 시설에 공급되는 제 1 전류와, 상기 무인 시설로부터 누전 차단기로 흐르는 제 2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 사이의 차이가 제 1 차이를 초과할 때 누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S2)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신호를 전송 받은 후, 상기 누전 차단기의 스위치가 온(on)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신호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신호를 정상 신호로 판단하는 단계와; (S3)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신호를 정상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의 수동 LED를 점멸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누전 LED를 적색으로 발광하는 단계와; (S4) 제 2 제어 모듈이, 제 1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복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S5)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의 테스트 LED에 제 2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누전 차단기의 포토 커플러가 하이(high)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포토 커플러가 로우(low)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S6)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 제 3 시간 동안 제 1 간격으로, 상기 누전 차단기의 테스트 LED에 상기 제 2 시간 동안 전류를 다시 공급한 후, 상기 누전 차단기의 포토 커플러가 하이(high)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포토 커플러가 로우(low)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여 상기 (S4) 단계를 다시 진행하는 단계와; (S7)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의 복구 LED에 제 4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자석을 작동시켜, 상기 누전 차단기를 온(on) 상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facility, (S1)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measures the first current supplied to the unmanned facility and the second current flowing from the unmanned facility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 generating an earth leakage signal whe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exceeds the first difference; (S2) the first control module, after receiving the earth leakage signal,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is a noise signal when the switch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on, and the switch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off determining the leakage signal as a normal signal when in a state; (S3)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is a normal signal, the first control module flickering the manual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nd emitting the earth leakage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n red; (S4) sending, by the second control module, a recovery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after a first time has elapsed; (S5) After the first control module supplies current to the test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 a second tim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high state,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detecting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low stat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low state; (S6)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ct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at a first interval for a third time, after supplying the current to the test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 the second time again,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high state, it is detected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earth leakage release state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and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low state, the earth leakage breaker detecting that it is in an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and performing the step (S4) again; (S7) the first control module supplies current to the recovery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 a fourth time, and operates the electromagnet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to convert the earth leakage breaker into an on state A remote power control method for an unmanned facility is provided.

본 발명은, 무인으로 운영하는 시설과 연결된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무인 시설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무인 시설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an earth leakage breaker connected to an unmanned facility,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unmanned facilit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unmanned facility without visiting the sit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누전 차단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ILM을 이용하여 누전 차단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1A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of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n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of an earth leakage breaker using N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에 기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may have one or more embodiment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specific content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drawing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Therefore,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nfer from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또한, 도면에 표시한 각 구성 요소들의 크기와 형태는,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과장되어 표현한 것 일 수 있으며, 실제로 실시되는 발명의 크기와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ize and shape of the actually implemented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Unless a term u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defined, it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의 누전 차단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1A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of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와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를 포함한다.Th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100 of an unmanned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and an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는,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통신 중계기 또는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등의 통신 시설(UCD)과 연결된,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may measure the electrical information valu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facility (UCD)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or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그리고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는, 무인 시설의 내부에서 누전 차단기 주변의 온도, 습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수치, 가스, 이온 등의 환경 정보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may measure environmental information value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dust, fine dust, numerical values, gas, and ions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또한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는,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는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는, 누전 차단기(111)와 전기 센서 모듈(112), 환경 센서 모듈(113),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 제 1 제어 모듈(115), 제 1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ing unit 110 may be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And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3,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

누전 차단기(111)는,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신 시설(UCD)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ma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arth leakage in a communication facility (UCD)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누전 차단기(111)는 전자석(111a)과 스위치(111b), 수동 LED(111c), 누전 LED(111d), 테스트 LED(111e), 포토 커플러(111f), 복구 LED(111g)를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111a, a switch 111b, a passive LED 111c, an earth leakage LED 111d, a test LED 111e, a photo coupler 111f, and a recovery LED 111g. .

전자석(111a)은, 누전 차단기(111)와 통신 시설(UCD) 사이에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전자석(111a)은, 통신 시설(UCD)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할 때 인력이 같이 증가하여, 누전 차단기(111)와 통신 시설(UCD) 사이의 회로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111a may connect or block a circuit between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The electromagnet 111a may block the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by increasing the attractive force when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increases.

스위치(111b)는, 누전 차단기(111)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스위치(111b)는 누전 차단기(111)와 통신 시설(UCD)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switch 111b may conver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nto an on state or an off state. That is, the switch 111b may connect or block between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수동 LED(111c)는, 스위치(111b)의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LED(111c)는, 스위치(111b)가 온(on) 상태일 때 발광할 수 있고, 오프(off) 상태일 때 점멸할 수 있다.The manual LED 111c may display an on state or an off state of the switch 111b. For example, the passive LED 111c may emit light when the switch 111b is in an on state, and may blink when the switch 111b is in an off state.

누전 LED(111d)는, 누전 계속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전 LED(111d)는, 누전 계속 상태일 때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The earth leakage LED 111d may display the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For example, the earth leakage LED 111d may emit red light when the earth leakage continues.

테스트 LED(111e)와 포토 커플러(111f)는, 누전 상태가 해제되었는지를 테스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LED(111e)에 전류를 공급한 후, 발광되는지를 포토 커플러(111f)에서 확인할 수 있다. 누전 상태가 해제될 때, 테스트 LED(111e)에 전류가 흘러 발광하게 되고, 포토 커플러(111f)가 이를 수광할 수 있다. 반면에 누전 상태가 계속될 때, 테스트 LED(111e)가 발광하지 못하므로, 포토 커플러(111f)는 빛을 수광할 수 없다.The test LED 111e and the photo coupler 111f may test whether the leakage state is released. For example, after supplying a current to the test LED 111e, it can be checked by the photo coupler 111f whether light is emitted. When the leakage state is release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test LED 111e to emit light, and the photo coupler 111f may receive the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kage state continues, the test LED 111e does not emit light, so the photo coupler 111f cannot receive light.

복구 LED(111g)는, 누전 해제 상태일 때 발광하여 누전 차단기(1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The recovery LED 111g may emit light when the earth leakage is released to indicate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operating normally.

전기 센서 모듈(112)은, 누전 차단기(111)에 연결되어 누전 차단기(111)의 전기 정보(전압, 전류, 전력량 등)를 측정할 수 있다.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may be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measure electrical information (voltage, current, power amount, etc.)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전기 센서 모듈(112)은, 누전 차단기(111)에 입력되는 전압(VR)과 공급되는 전류(IR)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Electrical sensor module 112, a circuit breaker 111, a current (I R) supplied with a voltage (V R) to be input to each can be measured.

특히 전기 센서 모듈(112)은, 누전 차단기(111)와 연결된 통신 시설(UCD)에 공급되는 제 1 전류(I1)와, 통신 시설(UCD)로부터 누전 차단기(111)로 흐르는 제 2 전류(I2)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전기 센서 모듈(112)은 제 1 전류(I1)와 제 2 전류(I2) 사이의 차이가 일정 값(제 1 차이)을 초과할 때, 누전 신호(LS)를 발생시켜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과 제 1 제어 모듈(115)로 전송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is a first current (I1)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second current (I2) flowing from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can be measured individual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I1 and the second current I2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difference),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generates an earth leakage signal LS to generate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 )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

그리고 전기 센서 모듈(112)은,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을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may measure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W C ) consumed in a communication facility (UCD)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또한 전기 센서 모듈(112)은, 서지(surge)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 전류(IU)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may measure an abnormal current I U generated by a surge or the like.

환경 센서 모듈(113)은, 누전 차단기(111) 주변에 위치하여, 누전 차단기(111) 주변의 온도, 습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가스, 이온 등의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3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measur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dust, fine dust, gas, and ions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신 시설(UCD)의 온도 또는 무인 시설의 내부의 습도 상승에 의해,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overcurrent or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a communication facility (UCD)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or the humidity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그리고 무인 시설의 내부에 고정된 장치의 체결 불량으로,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무인 시설의 내부의 분진, 미세 먼지, 가스, 이온 등이 산재하여 스파크(spark)가 발생함으로써,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hort circuit may occur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e to a defective fastening of the device fix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In addition, since dust, fine dust, gas, ions, etc. are scatter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and sparks are gener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lectric leakage may occur.

환경 센서 모듈(113)은, 무인 시설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전선의 온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가스, 이온 등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하여 측정함으로써, 전기 센서 모듈(112)에 보조하여 누전 발생 가능성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3 continuously measure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the temperature of the wire, vibration, dust, fine dust, gas, ions, etc. in real time, to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monitor the possibility of leakage by assisting.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과 환경 센서 모듈(113)에서 측정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conver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and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3 into digital data in a predetermined format.

예를 들어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측정한 누전 차단기(111)에 입력되는 전압(VR)과 공급되는 전류(IR)를 각각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may convert the voltage (V R ) and the current ( IR ) suppli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measured by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into digital data, respectively. have.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측정한 누전 차단기(111)와 연결된 통신 시설(UCD)에 공급되는 제 1 전류(I1)와, 통신 시설(UCD)로부터 누전 차단기(111)로 흐르는 제 2 전류(I2)를 각각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includes the first current I1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measured by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and the earth leakage breaker from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 The second current I2 flowing through the 111 may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respectively.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발생시킨 누전 신호(LS)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convert the earth leakage signal LS generated by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into digital data.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측정한 무인 시설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convert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W C ) consumed by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located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measured by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into digital data.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측정한 서지(surge)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 전류(IU)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may convert an abnormal current I U generated by a surge measured by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into digital data.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환경 센서 모듈(113)에서 측정한 무인 시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전선의 온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가스, 이온 등의 환경 정보를 각각,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convert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wire temperature, vibration, dust, fine dust, gas, and ions measur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3, respectively, into digital data. can create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에 시간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add time information to the converted digital data.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을 합산하여 적산 전력량(WI)을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may generate an integrated power amount W I as digital data by adding up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W C ).

그리고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으로부터 순간 최대 전력량(Wmax) 및 순간 최소 전력량(Wmin)을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generate the instantaneous maximum electric power (W max ) and the instantaneous minimum electric energy (W min ) from the electric energy consumed in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W C ) as digital data.

또한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의 변화량(WD)을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may generate a change amount (W D ) of the amount of power (W C ) consumed in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as digital data.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은,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를 제 1 통신 모듈(116)로 전달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may transmit the converted or generated digital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및 LED의 발광 상태,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기 센서 모듈(112)로부터 누전 신호(LS)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는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에 연결된 통신 시설(UCD)이나 다른 전기 장치를 NILM(Nonintrusive Load Monitoring)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eck the switch 111b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ption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and the earth leakage signal LS from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 can be transmitted. 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monitor a communication facility (UCD) or other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using a nonintrusive load monitoring (NILM).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신호(LS)를 전송 받았을 때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eck the state of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when receiving the earth leakage signal LS.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가 온(on) 상태일 때 누전 신호(LS)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할 수 있고, 오프(off) 상태일 때 누전 신호(LS)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누전 신호(LS)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한 경우,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수동 LED(111c)를 점멸할 수 있고, 누전 LED(111d)를 적색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rmine the earth leakage signal LS as a noise signal when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an on state, and may determine the earth leakage signal LS as a noise signal when it is in an off state. (LS) can be judged as a norma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LS is a normal signal,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flicker the passive LED 111c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light the earth leakage LED 111d in red.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신호(LS)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한 경우, 제 1 시간(H1)이 지난 후에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로부터 복구 제어 명령(RC)을 받은 다음, 누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H1)은 3초(s) 일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LS is a normal signal, after the first time H1 has elapsed, it receives a recovery control command RC from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and then checks the earth leakage state. can be inspected. For example, the first time H1 may be 3 seconds (s).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테스트 LED(111e)에 제 2 시간(H2) 동안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시간(H2)은 40밀리초(ms) 일 수 있다. 이때 누전 차단기(111)의 포토 커플러(111f)가 테스트 LED(111e)로부터 빛을 수광한 경우 하이(high) 상태가 될 수 있고, 빛을 수광하지 못한 경우 로우(low) 상태가 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supply a current to the test LED 111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for a second time H2. For example, the second time H2 may be 40 milliseconds (ms). At this time, when the photo coupler 111f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receives light from the test LED 111e, it may be in a high state, and when it does not receive the light, it may be in a low state.

제 1 제어 모듈(115)은 포토 커플러(111f)가 하이(high) 상태일 때, 누전 해제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 모듈(115)은 포토 커플러(111f)가 로우(low) 상태일 때, 누전 계속 상태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 모듈(115)은 1초 후 누전 차단기(111)의 테스트 LED(111e)에 제 2 시간(H2) 동안 전류를 공급한 다음, 포토 커플러(111f)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를 한 번 더 검사할 수 있다.When the photo coupler 111f is in a high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ct an earth leakage release state. In addition, when the photo coupler 111f is in a low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ct an electric leakage continuation state. And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supplies the current for the second time (H2) to the test LED 111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fter 1 second, and then the high or low (high) of the photo coupler 111f ( low) state can be checked one more time.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계속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 제 3 시간(H3) 동안 제 1 간격(T1)으로 누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시간(H3)은 30분(m) 일 수 있고, 제 1 간격(T1)은 10초(s) 일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cts the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eck the earth leakage state at the first interval T1 for the third time H3. For example, the third time H3 may be 30 minutes (m), and the first interval T1 may be 10 seconds (s).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해제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 누전 차단기(111)의 복구 LED(111g)에 제 4 시간(H4) 동안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시간(H4)은 20밀리초(ms) 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전자석(111a)을 작동시켜, 누전 차단기(111)를 온(on)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cts an earth leakage release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supply a current to the recovery LED 111g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for a fourth time (H4). For example, the fourth time H4 may be 20 milliseconds (ms).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111a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restore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an on state.

제 1 통신 모듈(116)은,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와 통신을 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communicate with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제 1 통신 모듈(116)은,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로부터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 받을 수 있고,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이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LED의 발광 상태 및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등을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로 전송 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receive a recovery control command (RC) from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and the digital data converted or generated by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The switch 111b state,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may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제 1 통신 모듈(116)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em hav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ort.

예를 들어 제 1 통신 모듈(116)의 통신 모뎀은, 직렬 포트(serial port), 병렬 포트(parallel por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포트를 포함하여,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로부터 유선으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 받을 수 있고,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이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LED의 발광 상태 및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등을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에 전송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em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may include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a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EEE 1394, and an Advanced Modem (ATA). Technology Attachment) and SATA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including one or more wired communication ports, may receive a recovery control command (RC) from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by wire, and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 converted or generated digital data, the switch 111b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can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또는 제 1 통신 모듈(116)의 통신 모뎀은, LTE(Long Term Evolution) 모뎀, 5G 모뎀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모뎀으로서,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로부터 유선으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 받을 수 있고,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이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LED의 발광 상태 및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등을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modem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of any one of a Long Term Evolution (LTE) modem and a 5G modem, and transmits a recovery control command (RC) from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by wir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can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converted or generated digital data, the switch 111b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ption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may be sent to 120 .

또는 제 1 통신 모듈(116)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포함하여,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이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LED의 발광 상태 및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등을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O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including a universal asynchronous transceiver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digital data converted or generated by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114,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he state,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may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는, 무인 시설 내부의 통신 시설(UCD)과 누전 차단기(11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제 1 제어 모듈(115)의 동작을 제어 할 수 있다.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and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nside the unmanned facility,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는 무인 시설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120)는, 모니터링 모듈(121), 제 2 제어 모듈(122), 제 2 통신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may b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from the unmanned facility. In addition,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monitoring module 121 , a second control module 122 ,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

모니터링 모듈(121)은,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에서 측정하고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monitoring module 121 may display digital data measured and generated by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

모니터링 모듈(121)은, 다음 표1의 디지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monitoring module 121 may display one or more of the digital data of Table 1 below.

모니터링 모듈(121)에 표시되는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odule 121 (1) 누전 차단기(111)에 입력되는 전압(VR)
(2) 누전 차단기(111)에 공급되는 전류(IR)
(3)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4) 누전 차단기(111)의 수동 LED(111c), 누전 LED(111d), 테스트 LED(111e), 복구 LED(111g) 등의 발광 상태,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5) 통신 시설(UCD)에 공급되는 제 1 전류(I1)
(6) 통신 시설(UCD)로부터 누전 차단기(111)로 흐르는 제 2 전류(I2)
(7) 누전 신호(LS)
(8) 통신 시설(UCD)에서 소비하는 전력량(WC)
(9) 이상 전류(IU)
(10) 무인 시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전선의 온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가스, 이온 수치
(11) 적산 전력량(WI)
(12) 순간 최대 전력량(Wmax) 및 순간 최소 전력량(Wmin)
(13) 전력량(WC)의 변화량(WD)
(1) Voltage input to earth leakage breaker 111 (V R )
(2) Current suppli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 R )
(3) State of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4)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passive LED 111c, the earth leakage LED 111d, the test LED 111e, the recovery LED 111g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light reception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5) the first current (I1)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6) the second current (I2) flowing from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7) Earth leakage signal (LS)
(8) Electricity consumed by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UCD) (W C )
(9) Abnormal current (I U )
(10)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unmanned facilities, temperature of wires, vibration, dust, fine dust, gas, and ion levels
(11) Accumulated electric power (W I )
(12) Instantaneous maximum wattage (W max ) and instantaneous minimum wattage (W min )
(13) Amount of change of wattage (W C ) (W D )

모니터링 모듈(121)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치, 그래프, 차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21)은 웹(web)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제 2 제어 모듈(122)은,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nitoring module 121 may display the digital data using numerical values, graphs, charts, and the like. The monitoring module 121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based on a web.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may control an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의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정상적인 누전 신호(LS)를 발생시킨 경우, 제 2 제어 모듈(122)은 제 1 시간(H1)이 경과한 후, 제 2 통신 모듈(123)과 제 1 통신 모듈(116)을 통해, 제 1 제어 모듈(115)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할 수 있다.When a normal electric leakage signal LS is generated from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of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is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fter the first time H1 has elapsed.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RC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through the 123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

복구 제어 명령(RC)을 받은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상태를 검사한 다음, 누전 해제 상태인 경우 누전 차단기(111)를 온(on)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모듈(115)은 제 1 통신 모듈(116)과 제 2 통신 모듈(123)을 통해, 제 2 제어 모듈(122)로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을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that has received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RC may inspect the ground leakage state and then restore the ground leakage breaker 111 to the on state when the ground leakage release state i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transmit that the ground leakage breaker 111 is in an earth leakage release stat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

누전 계속 상태인 경우, 제 1 제어 모듈(115)은 제 2 제어 모듈(122)로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을 전송할 수 있다. 누전 계속 상태가 제 3 시간(H3) 동안 지속되는 경우 제 2 제어 모듈(122)은, 제 1 시간(H1)이 경과한 다음 다시 제 1 제어 모듈(115)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arth leakage continues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transmit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the earth leakage continuous stat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 When the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continues for the third time period H3,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transmits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RC to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again after the first time period H1 has elapsed. can

제 2 통신 모듈(123)은,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할 수 있고, 상태 정보 생성 모듈(114)이 변환하거나 생성한 디지털 데이터,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 상태, LED의 발광 상태 및 포토 커플러(111f)의 수광 상태 등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110)의 제 1 통신 모듈(116)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may transmit a recovery control command (RC) to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 and the digital data converted or generated by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4 ,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The switch 111b state,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state of the photo coupler 111f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6 of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0 .

제 2 통신 모듈(123)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em hav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ort.

예를 들어 제 2 통신 모듈(123)의 통신 모뎀은, 직렬 포트, 병렬 포트, SCSI, USB, IEEE 1394, ATA, SAT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유선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em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may include any one or more wired communication ports of a serial port, a parallel port, SCSI, USB, IEEE 1394, ATA, and SATA.

또는 제 2 통신 모듈(123)의 통신 모뎀은, LTE 모뎀, 5G 모뎀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모뎀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modem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may be any one of an LTE modem and a 5G modem.

또는 제 2 통신 모듈(123)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3 may includ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원격 제어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method of an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의 원격 제어 방법(S1 ~ S7)은, 누전 계속 상태에서 누전 차단기(111)의 복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The remote control method (S1 to S7)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sto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n the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제 1 단계(S1)는, 전기 센서 모듈(112)이 누전 신호(LS)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 S1 ) is a step in which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generates an earth leakage signal LS.

전기 센서 모듈(112)은, 누전 차단기(111)와 연결된 통신 시설(UCD)에 공급되는 제 1 전류(I1)와, 통신 시설(UCD)로부터 누전 차단기(111)로 흐르는 제 2 전류(I2)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Electrical sensor module 112, the first current (I1)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second current (I2) flowing from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can be measured individually.

전기 센서 모듈(112)은 제 1 전류(I1)와 제 2 전류(I2) 사이의 차이가 일정 값(제 1 차이)을 초과할 때, 누전 신호(LS)를 발생시켜 제 1 제어 모듈(115)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I1 and the second current I2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difference),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generates an earth leakage signal LS to gener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 can be transmitted.

제 2 단계(S2)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2)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checks the leakage signal.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신호(LS)를 전송 받은 후,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가 온(on) 상태일 때, 누전 신호(LS)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신호(LS)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한 경우, 시작 단계로 진행하여 누전 신호(LS)가 다시 발생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earth leakage signal LS,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rmine the earth leakage signal LS as a noise signal when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an on state. .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LS is a noise signal, it may proceed to a start step and wait until the earth leakage signal LS occurs again.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스위치(111b)가 오프(off) 상태일 때, 누전 신호(LS)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하여 제 3 단계(S3)로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switch 111b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an off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rmine the earth leakage signal LS as a normal signal and proceed to the third step S3.

제 3 단계(S3)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의 LED를 제어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3)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controls the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신호(LS)를 정상적인 신호로 판단한 경우, 누전 차단기(111)의 수동 LED(111c)를 점멸할 수 있고, 누전 LED(111d)를 적색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signal LS is a normal signal, the passive LED 111c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may blink, and the earth leakage LED 111d may emit red light.

제 4 단계(S4)는, 제 2 제어 모듈(122)이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4 is a step in which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transmits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RC.

제 2 제어 모듈(122)은 제 1 시간(H1)이 경과한 후, 제 1 제어 모듈(115)로 복구 제어 명령(RC)을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may transmit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RC to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after the first time H1 has elapsed.

제 5 단계(S5)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의 누전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이다.A fifth step ( S5 )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checks the ground leakage state of the ground leakage breaker 111 .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테스트 LED(111e)에 제 2 시간(H2) 동안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supply a current to the test LED 111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for a second time H2.

누전 차단기(111)의 포토 커플러(111f)가 테스트 LED(111e)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하이(high) 상태가 된 경우,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 다음, 제 7 단계(S7)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photo coupler 111f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receives light from the test LED 111e and becomes a high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After confirming, the seventh step (S7) may be performed.

누전 차단기(111)의 포토 커플러(111f)가 테스트 LED(111e)로부터 빛을 수광하지 못하여 로우(low) 상태가 된 경우,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 다음, 제 6 단계(S6)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photo coupler 111f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fails to receive light from the test LED 111e and is in a low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a continuous state. After confirming that, the sixth step (S6) may be performed.

그리고 제 1 제어 모듈(115)은, 1초 후 누전 차단기(111)의 테스트 LED(111e)에 제 2 시간(H2) 동안 전류를 공급한 다음, 포토 커플러(111f)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를 한 번 더 검사할 수 있다.T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supplies a current for a second time H2 to the test LED 111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fter 1 second, and then the high or low of the photo coupler 111f. The (low) state can be checked one more time.

제 6 단계(S6)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의 누전 해제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이다.The sixth step ( S6 )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examines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 3 시간(H3) 동안 제 1 간격(T1)으로 누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the earth leakage continuous state, it may check the earth leakage state at the first interval T1 for the third time H3.

제 1 제어 모듈(115)이 제 5 단계(S5)와 동일한 방법으로 누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eck the leakage state in the same way as in the fifth step (S5).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 7 단계(S7)를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the seventh step ( S7 ) may be performed.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 4 단계(S4)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in the earth leakage continuous state, the fourth step (S4) may be performed again.

제 7 단계(S7)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를 복구하는 단계이다.A seventh step ( S7 )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restores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해제 상태를 확인한 후, 누전 차단기(111)의 복구 LED(111g)에 제 4 시간(H4) 동안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After confirming the ground leakage release state,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supply current to the recovery LED 111g of the ground leakage breaker 111 for a fourth time H4.

그리고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전자석(111a)을 작동시켜, 누전 차단기(111)를 온(on)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operate the electromagnet 111a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restore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an on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ILM을 이용하여 누전 차단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state information of an earth leakage breaker using N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누전 차단기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P1 ~ P7) 중 제 1 단계(P1)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전류 측정을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P1) of the methods (P1 to P7) for monito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prepares for current measurement.

제 1 제어 모듈(115)은, 전기 센서 모듈(112)이 새로 측정하는 누전 차단기(111)의 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maintain a ready state so that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may receive the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newly measured by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

제 2 단계(P2)는, 전기 센서 모듈(112)이 누전 차단기(111)의 전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P2) is a step in which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measures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전기 센서 모듈(112)은, 누전 차단기(111)와 연결된 통신 시설(UCD)에 공급되는 제 1 전류(I1)와, 통신 시설(UCD)로부터 누전 차단기(111)로 흐르는 제 2 전류(I2)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Electrical sensor module 112, the first current (I1)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connecte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and the second current (I2) flowing from the communication facility (UCD)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can be measured individually.

제 3 단계(P3)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누전 차단기(111)의 상태를 전송 받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P3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receives the status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

제 1 제어 모듈(115)은, 전기 센서 모듈(112)이 발생한 누전 신호(LS), 누전 차단기에 포함된 LED의 상태 등을 이벤트(event)로서 전송 받을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receive, as an event, an earth leakage signal LS generated by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a state of an LED included in the earth leakage breaker, and the like.

또는 제 1 제어 모듈(115)은, 폴링(polling) 방식으로 전기 센서 모듈(112)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한 후, 전기 센서 모듈(112)에서 누전 신호(LS), 누전 차단기에 포함된 LED의 상태 등을 전송 받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periodically transmits a signal to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in a polling manner, and then, in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an earth leakage signal (LS), an LED included in the earth leakage breaker. status, etc. can be transmitted.

이때 폴링 주기는 60분 단위일 수 있으며, 제 2 제어 모듈(122)은 폴링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lling period may be in units of 60 minutes, and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may change the polling period.

제 4 단계(P4)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제 2 제어 모듈(122)로 누전 차단기(111)의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P4)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transmits the state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

제 1 제어 모듈(115)은, 전기 센서 모듈(112)이 발생한 누전 신호(LS), 누전 차단기에 포함된 LED의 상태 등을 제 2 제어 모듈(122)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transmit an earth leakage signal LS generated by the electric sensor module 112 , a state of an LED included in the earth leakage breaker, and the like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

제 5 단계(P5)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폴링 주기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The fifth step P5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determines whether the polling period is changed.

제 1 제어 모듈(115)은 제 2 제어 모듈(122)로부터 폴링 주기 변경 명령 또는 누전 차단기(111)의 제어 횟수 변경 명령을 전송 받았는지 판단하고, 전송 받았으면 제 6 단계(P6)를 진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determine whether a polling period change command or a control number change comman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and if received, the sixth step (P6) may be performed. .

제 1 제어 모듈(115)이 제 2 제어 모듈(122)로부터 폴링 주기 변경 명령 또는 누전 차단기(111)의 제어 횟수 변경 명령을 전송 받지 않았다면, 제 1 단계(P1)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If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has not received the command to change the polling period or the command to change the number of times of control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 the first step P1 may be performed again.

제 6 단계(P6)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폴링 주기 변경을 적용하는 단계이다.A sixth step (P6)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applies a change in the polling period.

제 1 제어 모듈(115)은 폴링 주기 변경에 따라, 전기 센서 모듈(112)에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 1 제어 모듈(115)은 누전 차단기(111)의 제어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ange a period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112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lling period. 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change the number of times the ground leakage breaker 111 is controlled.

제 7 단계(P7)는, 제 1 제어 모듈(115)이 제 2 제어 모듈(122)로 폴링 주기 변경을 완료 하였음을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seventh step P7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control module 115 transmits that the polling period change has been completed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

제 1 제어 모듈(115)은, 제 2 제어 모듈(122)로 폴링 주기 변경 또는 누전 차단기(111)의 제어 횟수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odule 115 may notify the second control module 122 that the change in the polling period or the change in the number of times of control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111 is completed.

제 7 단계(P7)를 실행한 후, 제 1 단계(P1)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After executing the seventh step P7, the first step P1 may be performed again.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impair the effect, i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hanged and implemented. It is also natural that such an embodimen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110 :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 111 : 누전 차단기
112 : 전기 센서 모듈 113 : 환경 센서 모듈
114 : 상태 정보 생성 모듈 115 : 제 1 제어 모듈
116 : 제 1 통신 모듈 120 :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
121 : 모니터링 모듈 122 : 제 2 제어 모듈
123 : 제 2 통신 모듈
100: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110: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111: earth leakage breaker
112: electrical sensor module 113: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14: status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15: first control module
116: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121: monitoring module 122: second control module
123: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0)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와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는,
무인 시설에서 누전의 발생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와;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측정하는 전기 센서 모듈과;
상기 누전 차단기 주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환경 센서 모듈과;
상기 전기 정보와 상기 환경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상태 정보 생성 모듈과;
상기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제어 모듈과;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와 통신하는 제 1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기 정보와 상기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 모듈과;
상기 제 1 제어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모듈과;
상기 무인 시설 전원 측정부와 통신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는,
상기 무인 시설과 상기 누전 차단기 사이에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전자석과;
상기 누전 차단기를 수동으로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변환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일 때 발광하고, 오프(off) 상태일 때 점멸하는 수동 LED와;
누전 계속 상태일 때 적색으로 발광하는 누전 LED와;
누전 해제 상태를 검사할 때 전류를 공급하는 테스트 LED와;
상기 테스트 LED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하는 포토 커플러와;
누전 해제 상태일 때 발광하는 복구 LED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센서 모듈은,
상기 누전 차단기의 주변의 온도, 습도, 진동, 분진, 미세 먼지, 가스 및 이온을 측정하고,
(P1)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P2) 상기 전기 센서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와;
(P3)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폴링 방식으로 상기 전기 센서 모듈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전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와;
(P4)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제 2 제어 모듈로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P5)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제 2 제어 모듈로부터 폴링 주기 변경 명령을 전송 받았는지 판단하고, 전송 받았으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전송 받지 않았으면 상기 (P1)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단계와;
(P6)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폴링 방식으로 상기 전기 센서 모듈에 신호를 전송하는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와;
(P7)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제 2 제어 모듈로 폴링 주기 변경을 완료하였음을 통지하고, 상기 (P1)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누전 차단기의 전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It includes an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and an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an earth leakage breaker that blocks the occurrence of an earth leakage in an unmanned facility;
an electrical sensor module for measuring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n environmental sensor module for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a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that converts the electric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to digital data;
a firs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The unmanned facility power control unit,
a monitoring module for displaying the electric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 second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unmanned facility power measurement unit,
The earth leakage breaker,
an electromagnet for connecting or blocking a circuit between the unmanned facility and the earth leakage breaker;
a switch for manually converting the earth leakage breaker into an on state or an off state;
a passive LED that emits light when the switch is in an on state and blinks when the switch is in an off state;
an earth leakage LED that emits red light when the earth leakage continues;
a test LED for supplying a current when checking for an earth leakage condition;
a photo coupler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test LED;
Includes a recovery LED that illuminates when the ground fault is released,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Measure the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dust, fine dust, gas and ions around the earth leakage breaker,
(P1) maintain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a ready state;
(P2)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measuring the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P3) receiv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the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rom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after periodical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in a polling manner;
(P4) transmitt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to the second control module;
(P5) determin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whether a polling period change command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module, proceeding to the next step if received, and re-executing step (P1) if not received; ;
(P6) changing, by the first control module, a period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in a polling manner;
(P7) the first control module notifying the second control module that the polling period change has been completed, including the step of executing the step (P1) again, monitoring the electrical information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센서 모듈은,
상기 무인 시설에 공급되는 제 1 전류와; 상기 무인 시설로부터 상기 누전 차단기로 흐르는 제 2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전류와 상기 제 2 전류 사이의 차이가 제 1 차이를 초과할 때 누전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sensor module,
a first current supplied to the unmanned facility; Measuring a second current flowing from the unmanned facility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urrent and the second current exceeds the first difference, a leakage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신호를 전송 받은 경우,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신호를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신호를 정상 신호로 판단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receives the leakage signal,
When the switch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on state, the earth leakage signal is determined as a noise signal,
When the switch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off state, determining the earth leakage signal as a normal signal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신호를 정상 신호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제어 모듈은 제 1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복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leakage signal is a normal signal,
The second control module transmits a recovery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after a first time has elapsed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복구 제어 명령을 전송 받은 경우,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테스트 LED에 제 2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한 후,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포토 커플러가 하이(high)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포토 커플러가 로우(low)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receives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After supplying current to the test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for a second tim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high state, it is detected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low state, detecting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
제 3 시간 동안 제 1 간격으로,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테스트 LED에 상기 제 2 시간 동안 전류를 다시 공급한 후,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포토 커플러가 하이(high)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포토 커플러가 로우(low) 상태일 때,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ct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earth leakage continuous state,
After re-supplying current for the second time to the test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t a first interval for a third tim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high state, it is detected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When the photo coupler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 low state, detecting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an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가 다시 누전 계속 상태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제 2 제어 모듈은 제 1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제 1 제어 모듈로 상기 복구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ct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earth leakage continuation state again,
The second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recovery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ntrol module after a first time has elapsed
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unmanned facilities.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모듈이 상기 누전 차단기가 누전 해제 상태인 것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복구 LED에 제 4 시간 동안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누전 차단기의 상기 전자석을 작동시켜, 상기 누전 차단기를 온(on) 상태로 변환하는 무인 시설의 원격 전원 제어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n the first control module detects that the earth leakage breaker is in the earth leakage release state,
supplying current for a fourth time to the recovery LED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A remote power control system of an unmanned facility that operates the electromagnet of the earth leakage breaker to convert the earth leakage breaker into an on state.
삭제delete
KR1020200116821A 2020-09-11 2020-09-11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KR102313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21A KR102313451B1 (en) 2020-09-11 2020-09-11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21A KR102313451B1 (en) 2020-09-11 2020-09-11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451B1 true KR102313451B1 (en) 2021-10-18

Family

ID=7827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821A KR102313451B1 (en) 2020-09-11 2020-09-11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45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25B1 (en) * 2003-08-29 2005-05-24 하이테콤시스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and recovering electric leakage breaker for group-type
KR101127094B1 (en) * 2009-11-28 2012-03-23 한국전기안전공사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KR101625154B1 (en) * 2016-02-03 2016-05-30 (주)드림파워텍 Power distribution panel including a maximum power management function using dimming of lighting, and an remote return function through measuring of insulation resistance
KR102057494B1 (en) * 2019-07-25 2019-12-19 주식회사 다온테크놀로지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825B1 (en) * 2003-08-29 2005-05-24 하이테콤시스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and recovering electric leakage breaker for group-type
KR101127094B1 (en) * 2009-11-28 2012-03-23 한국전기안전공사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KR101625154B1 (en) * 2016-02-03 2016-05-30 (주)드림파워텍 Power distribution panel including a maximum power management function using dimming of lighting, and an remote return function through measuring of insulation resistance
KR102057494B1 (en) * 2019-07-25 2019-12-19 주식회사 다온테크놀로지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00679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ormer substation remote monitoring
CN102494787B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monitoring temperature of power cable connectors
CN102998596A (en) System for detecting faults of overhead lin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204360508U (en) Wireless smoke sensitive fire hazard detection alarm
CN105334811A (en) Wireless tower monitoring method of power lines based on ZigBee network
CN106793421A (en) A kind of navaid loop fault register control, method and navaid lamp control system
CN106950467A (en) A kind of cable insulation situation on-line monitoring device
KR20190100497A (en) A Management system for static of electric applicance based on a cloud platform
KR102325098B1 (en) Short circuit break device and remote power control system having thereof
KR1010887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onnection error of scada rtu system
KR102313451B1 (en) Remote power control method in unmanned facilities, and system thereof
KR102569586B1 (en) Remote control method of short circuit break device
CN211429330U (en) Voltage monitoring device with fault self-diagnosis function based on NB-lot technology
CN206489246U (en) A kind of cable insulation situation on-line monitoring device
JP2002233082A (en) Power line carry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equipment
CN207717906U (en) A kind of power cable fault on-line monitoring terminal based on LORA
CN105762938A (en) Distributed photovoltaic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01059A (en) Local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protective relay
KR101094621B1 (en) Electronic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auto reset earth leakage breaker
CN208015684U (en) A kind of terminal box and photovoltaic component system
CN204360505U (en) Wireless fire disaster audible-visual annunciator
CN107181322B (en) Power utilization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broadband power line carrier
CN206559701U (en) A kind of navaid loop fault register control and voyage aid of the airport lamp control system
KR20100124041A (en) Remote control cabinet panel apparatus for monitoring by self test
KR100285269B1 (en) Electric leakage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