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894B1 -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 Google Patents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94B1
KR102312894B1 KR1020200000431A KR20200000431A KR102312894B1 KR 102312894 B1 KR102312894 B1 KR 102312894B1 KR 1020200000431 A KR1020200000431 A KR 1020200000431A KR 20200000431 A KR20200000431 A KR 20200000431A KR 102312894 B1 KR102312894 B1 KR 102312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sound insulation
housing
sound
st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319A (ko
Inventor
조요한
이정민
김경섭
제엽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0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에 의한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하이드로폰; 상기 하이드로폰의 후방 측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유입되는 상기 압력신호를 상기 하이드로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배플; 상기 반사배플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 및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테이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STAVE AND UNDERWATER ACOUSTIC SENSOR ARR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에 사용되는 수동배열센서는 수중 음향신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단일 혹은 다수의 하이드로폰과 반사배플 및 차음배플로 구성되는 스테이브(stave)를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배열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스테이브는 음향적 성능을 가지면서도 수심에 의한 압력이나 수중폭발충격 등의 운용환경에 대한 내구성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테이브는 하이드로폰, 반사배플 및 차음배플로 구성된다. 스테이브의 하이드로폰은, 압전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향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사배플은 음향임피던스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전방에서 유입되는 음파를 반사하여 하이드로폰에 입력되는 음압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음배플은 수동배열센서 후방에서 유입되는 진동 및 음향 소음을 차단하여 전방에 대한 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임피던스가 낮은 소재를 적용하여 음향 및 진동 차단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설계한다.
한편, 차음배플은 일반적으로 낮은 음향임피던스를 가지도록 폴리머 또는 폴리머 폼(polymer foam) 소재가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폴리머 또는 폴리머 폼 소재는 강성이 낮아 수압 및 수중폭발충격 등의 높은 압력에 대하여 큰 변형이 발생하여, 수심에 따른 성능 변화와 충격 및 반복압력에 대한 파손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음배플의 수중 환경에서의 높은 압력에 따른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테이브는,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에 의한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하이드로폰; 상기 하이드로폰의 후방 측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유입되는 상기 압력신호를 상기 하이드로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배플; 상기 반사배플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 및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배플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차음배플의 측면과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배플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복수의 수용공간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차음배플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 이격된 공간상에 형성되는 완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은 상기 반사배플의 저면과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폰, 상기 반사배플, 상기 차음배플 및 상기 배플하우징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는 음향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폰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은, 상기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보다 낮은 음향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은, 폴리머 및 폴리머 폼(polymer foam)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반사배플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음향배열센서는, 상기 스테이브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스테이브가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배플 구조체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 및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배플하우징을 복수의 수용공간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차음배플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테이브는, 하이드로폰과 반사배플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과,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수중환경에서 압력변화가 스테이브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차음배플의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한편, 차음배플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배플하우징이,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모두 감싸면서 차음배플과 면접하는 구조의 경우, 차음배플의 측면부는 고정경계조건을 만족하고, 차음배플의 저면에서만 압력의 작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므로 차음배플의 부피 변화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브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음배플 및 배플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차음배플 및 배플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테이브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음배플 및 배플하우징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음배플 및 배플하우징의 또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브(10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테이브(100)는, 하이드로폰(110), 반사배플(120),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수중음향배열센서(미도시)는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에 대한 정보를 획득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수중음향배열센서는, 상기 스테이브(100)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스테이브(100)가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브(100)의 배열은 원통형 또는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차음배플 구조체는, 상기 차음배플(130)과 상기 배플하우징(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130)과 상기 배플하우징(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음향배열센서의 스테이브(100)는 상기 음향신호가 상기 스테이브(10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들을 기준으로 스테이브(100)의 상측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스테이브(100)의 하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이드로폰(110)은, 수중환경에서 발생되어 스테이브(10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W)에 의한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폰(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폰(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하이드로폰(110)은 기설정된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이드로폰(110)은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선형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폰(110)은 예를 들어,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하이드로폰(110)의 형상은 상기 구형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기 구형이 아닌 원통형, 디스크형 또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압전 효과 즉, 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지닌 소자로서,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의미한다.
반사배플(120)은, 상기 하이드로폰(110)의 후방 측에 형성되어, 하이드로폰(110)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압력신호를 다시 상기 하이드로폰(110)을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배플(120)은 하이드로폰(110)에 입력되는 음압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사배플(120)은 높은 반사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음파(W)가 전달되는 매질보다 음향임피던스가 높은 소재인 알루미늄(aluminuim) 또는 스틸(stee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임피던스는 소재의 밀도와 음속의 곱으로 표현된다.
차음배플(130)은, 상기 반사배플(120)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스테이브(100)의 전방에 대하여 반대측인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또는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음배플(130)은, 수중환경에서 발생하는 상기 음파(W)가 전달되는 매질보다 낮은 음향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음배플(130)은, 폴리머 또는 폴리머 폼(polymer fo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음배플(130)은 낮은 음향임피던스을 갖는 물질들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낮은 강성을 나타낸다.
배플하우징(140)은, 상기 차음배플(13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상면과 후방 측에 형성되는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13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배플하우징(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배플(130)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음배플(130)의 측면 영역들은 고정경계조건을 만족하고, 차음배플(130)의 저면에서만 압력의 작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중환경에서 운용되는 스테이브(100) 및 이를 구비하는 상기 수중음향배열센서로 강한 압력파 또는 반복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음배플(130)의 부피 변화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플하우징(140)의 내측면은 차음배플(13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플하우징(140)의 내면은 차음배플(130)의 측면과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플하우징(140)과 차음배플(130) 간 이격된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플하우징(140)은 상기 반사배플(12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플하우징(140)은, 알루미늄(aluminuim) 또는 스틸(stee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브(100)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의 종류가 간소화되어 전체적인 제작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만, 배플하우징(140)의 소재는 반드시 반사배플(120)가 동일한 것은 아니며, 반사배플(120)과 다른 종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높은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음배플(130)의 상면은 반사배플(120)의 저면과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브(100)는, 하이드로폰(110), 반사배플(120), 차음배플(130)과 배플하우징(140)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는 음향윈도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음향윈도우(150)는, 하이드로폰(110), 반사배플(120),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내측에 모두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윈도우(150)는 하이드로폰(110), 반사배플(120),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몰딩 공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배플하우징(140)은 차음배플(13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140a)를 구비하고, 차음배플(130)은 상기 돌기(140a)와 체결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홈(130a)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40a)는 배플하우징(140)의 내측 즉, 차음배플(130)과 마주하는 내면상에서 차음배플(13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0a)는 배플하우징(140)의 일부분으로부터 만들어져 배플하우징(140)과 하나의 바디를 이를 수 있으며, 별개로 제작되어 기설정된 위치상에 고정될 수 있다.
차음배플(130)의 홈(130a)은, 상기 돌기(140a)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배플하우징(140)과 마주하는 측면상으로부터 상기 차음배플(130)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0a)와 홈(130a)은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기(140a)와 홈(130a)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반대로 각각 차음배플(130)과 배플하우징(14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140a)와 홈(130a)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라운드진 형태가 아닌 적어도 일부가 각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돌기(140a) 및 홈(130a)의 구조에 의하면, 수중에서 압력이 크게 가해져 차음배플(130)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차음배플(130)이 다시 기설정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플하우징(140)과 차음배플(130)의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스테이브(100)의 설계된 성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포함하는 스테이브(10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포함하는 스테이브(10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플하우징(140)은 바디부(141) 및 격벽(142)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41)는 배플하우징(14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차음배플(130) 영역의 외측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벽(14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를 복수의 수용공간(140b)들로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142)의 수에 따라 수용공간(140a)의 수도 다르게 변화한다.
여기서, 상기 차음배플(130)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차음배플(130)들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140b)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배플하우징(140)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140b)들 중 일부가 차음배플(130)이 수용되지 않고 빈 공간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41)를 형성하는 제1 두께(t1)는 상기 격벽(142)을 형성하는 제2 두께(t2)보다 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41)와 격벽(142)의 구성에 의하면, 차음배플(130)에서 배플하우징(1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압력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부분에 해당하는 격벽(142) 두께 즉 상기 제2 두께(t2)를 최소화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차음배플(130)의 부피를 증가시켜 소음 및 진동 차단량을 늘릴 수 있다. 즉, 차음배플(13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면서 차음배플(130)의 성능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음배플(130) 및 배플하우징(140)의 또 다른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플하우징(140)은, 제1 바디(145) 및 제2 바디(14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디(145)는 상기 차음배플(13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차음배플(13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바디(146)는 상기 제1 바디(14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제1 바디(145)의 외측으로 상기 제1 바디(145)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플하우징(140)은, 상기 제1 바디(145)와 상기 제2 바디(146) 간 이격된 공간상에 형성되는 완충공간(140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바디(145,146)의 구조에 의하면, 수중환경에서 큰 세기의 압력파나 반복적인 수압이 스테이브(100)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완충공간(140c)들에 의해 차음배플(130)에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음배플(13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음 및 진동 차단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스테이브 110 : 하이드로폰
120 : 반사배플 130 : 차음배플
130a : 홈 140 : 배플하우징
140a : 돌기 140b : 수용공간
140c : 완충공간 141 : 바디부
142 : 격벽

Claims (16)

  1.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음파에 의한 압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하이드로폰;
    상기 하이드로폰의 후방 측에 형성되어, 전방에서 유입되는 상기 압력신호를 상기 하이드로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배플;
    상기 반사배플의 후방 측에 마련되고,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 및
    상기 하이드로폰, 상기 반사배플, 상기 차음배플 및 상기 배플하우징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는 음향윈도우를 포함하는 스테이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배플의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배플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차음배플의 측면과 서로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배플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를 복수의 수용공간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차음배플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 이격된 공간상에 형성되는 완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은 상기 반사배플의 저면과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폰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배플은, 상기 음파가 전달되는 매질보다 낮은 음향임피던스를 가지는 폴리머 및 폴리머 폼(foam)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테이브가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스테이브가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13.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차음배플;
    상기 차음배플의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음배플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배플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 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상기 돌기와 체결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차음배플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배플하우징을 복수의 수용공간들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차음배플은 각각 상기 수용공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수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배플 구조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간 이격된 공간상에 형성되는 완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배플 구조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하우징은, 상기 차음배플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차음배플은, 상기 돌기와 체결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테이브.
KR1020200000431A 2020-01-02 2020-01-02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KR102312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31A KR102312894B1 (ko) 2020-01-02 2020-01-02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431A KR102312894B1 (ko) 2020-01-02 2020-01-02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19A KR20210087319A (ko) 2021-07-12
KR102312894B1 true KR102312894B1 (ko) 2021-10-15

Family

ID=7685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431A KR102312894B1 (ko) 2020-01-02 2020-01-02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0201A1 (ja) * 2010-01-25 2011-07-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超音波振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19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601B2 (en) Lightweight acoustic array
US5220535A (en) Sonar baffles
US7737609B2 (en) Ultrasonic sensor
JP5339093B2 (ja) 超音波トランスジューサ
US20130142373A1 (en) Array speaker system
US10644223B2 (en) Perforated piezoelectric hydrophone, array comprising a plurality of hydrophones and method for making said hydrophone
JP2019197208A5 (ko)
KR100946753B1 (ko) 수중 음향센서
JP6593236B2 (ja) 超音波センサ
KR102312894B1 (ko)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US6798122B1 (en) Lightweight underwater acoustic projector
KR20100087739A (ko) 수중 안테나
AU2023226679A1 (en) Waterborne sound transducer
CA2260787C (en) Flexural plate sound transducer having low resonant frequency
US5621701A (en) Controlled compliance acoustic baffle
KR102304961B1 (ko) 고주파용 스테이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배열센서
AU2020335136B2 (en) Locating signal receiver for determining a sound pulse mapping
JP6567462B2 (ja) 電子式警音器
KR102225587B1 (ko) 흡음패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흡음판
KR101823778B1 (ko) 압전단결정 링형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압전단결정 링형 트랜스듀서
KR20230105135A (ko) 반사 배플 및 이를 구비하는 수중음향센서
KR20200045202A (ko) 음향 메타재료를 이용한 소음 저감장치
KR102610597B1 (ko) 방음 패널
US3277434A (en) Transducer pressure release under high environmental pressure
JP3291349B2 (ja) ソナー・バッフ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