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13B1 -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13B1
KR102312413B1 KR1020210045354A KR20210045354A KR102312413B1 KR 102312413 B1 KR102312413 B1 KR 102312413B1 KR 1020210045354 A KR1020210045354 A KR 1020210045354A KR 20210045354 A KR20210045354 A KR 20210045354A KR 102312413 B1 KR102312413 B1 KR 10231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information
user
spac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이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희 filed Critical 이승희
Priority to KR102021004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2Biomolecular computers, i.e. using biomolecules, proteins,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provided to access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alyze the indoor space, and provide recommended interior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an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Description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및 그 방법{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복수의 인경 신경망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3D 공간 정보, 인테리어 항목별로 추천된 인테리어 추천정보 및 이에 따른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실내의 각 공간에 대한 면적 정보 및 희망 인테리어 비용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항목별 상세 추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이에 최적화된 인테리어 업체를 제안하여, 합리적이고 투명성 있는 인테리어 항목 및 견적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which analyzes and processe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using a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a plurality of human neural networks, thereby providing 3D spatial information for an indoor space, interior items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recommended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interior prediction image, the detail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each interior item is automatically provided based on the area information for each space in the room and the desired interior cost, and an interior company optimized for this is automatically provid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reasonable and transparent interior items and estimates.

집과 같은 거주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종래의 단순히 잠을 자는 주거공간에서 취미, 여가 생활 등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변경되면서 집에 대한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As people's perception of a living space such as a house changes from a conventional residential space where they simply sleep to a place where they can enjoy hobbies and leisure life, interest in the interior of the house is also increasing.

특히, 개개인의 디자인 성향, 성격에 따라 거주 공간을 꾸미려는 수요가 늘면서 각종 인테리어 서비스와 정보가 온라인 상에 넘쳐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거주자가 새로운 거주 장소에 입주하기 전 인테리어를 시공해야 하거나, 오래된 장소의 인테리어를 새롭게 변경하고 싶을 때, 거주자는 인테리어 시공 또는 서비스를 위한 견적을 인테리어 업체에 요청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decorating living spaces according to individual design tendencies and personalities increases, various interior services and information are overflowing online. When wanting to change the interior of a new home, the resident has been used to request a quote for interior construction or service from an interior company.

그러나,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인테리어 서비스들은, 인테리어 업체가 현장에 직접 방문을 하여 살펴보고 상담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interior services provided, most of the cases are that the interior company directly visits the site, examines it, and conducts a consultation.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because you have to visit the site in person.

근래에 들어, I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업체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이 입력창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 입력창에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 선택사양을 입력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상담을 의뢰하여 인테리어 업체 관리자로부터 이에 대한 추천 인테리어 정보를 안내 받는 서비스 등이 존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sing online services, the customer enters the desired interior options in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put window through the homepage of the interior company, or requests a consultation through the Internet. Therefore, there is a service to receive recommended interior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of an interior company.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의 경우, 시간 및 공간 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지라도, 같은 디자인 견적을 요청해도 시공업체마다 요구하는 시공비용의 차이가 크고, 견적서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인테리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하는 과정에서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와 차이가 발생하여 계약대로 시공되지 않거나 시공 마무리가 부실해 하자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se services, even if time and space limitations can be overcome, even if the same design estimate is requested, the construction cost required by each contractor is large,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may be lowered because the contents of the estimate are not specific.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on the interior and modifying i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interior desired by the customer, so that the construction may not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ntract or defects may occur due to the poor finishing of th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테리어 업체에 견적을 의뢰하여 추천 받는 번거로움 및 시간적 비용적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기술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복수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내 공간에 대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인테리어 항목별로 추천된 인테리어 추천정보 및 이에 따른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입력만으로 인테리어 시공을 원하는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를 추천 받을 수 있으며, 추천 인테리어를 시공하였을 경우 예상 결과까지 이미지로 제공받아 빠르고 직관적으로 인테리어 관련 제반 사항들을 선정하고, 더불어 시공 발주까지 가능하게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interior curating technology that can reduce the hassle and waste of time and money for a user to request a quotation from a number of interior companies to perform interior design,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urality of interior decoration companie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B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o automatically generate 3D spatial information about an indoor space, and using this to provide the user with interior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ommended for each interior item desired by the user and an interior prediction image accordingly, Users can receive an interior recommendation for a space they want to construct an interior with only by inputting preset data, and when the recommended interior is constructed, the expected result is provided as an image to quickly and intuitively select all interior-related matters and place an order for construction To provi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은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접속하여 실내 공간을 분석하고, 추천 인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을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3D 공간 정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제1 딥러닝 모델에 상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입력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로 생성하는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경우 예상되는 결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시공된 인테리어에 대한 시공 세부 정보, 시공 업체 정보, 시공 비용 정보, 시공 만족도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각 입력층에 입력 받아, 특정 비용 범위 내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구현된 모델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제2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뿐만 아니라 간접 관심 정보만이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provided to access the interior space curating system, analyze an indoor space, and provide recommended interior information,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image data or spatial structure data, and generates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terior object using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obtaining unit which obtains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from a user; Recommend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so that the interior space detailed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to enable construction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for the interior space an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information a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When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3D space information, predicted image data that implements an expected result image as a 3D imag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redicted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and an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to provide, wherein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receives construction details,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satisfac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structed interiors as input to each input layer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may be a model implemented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extract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within a specific cost range, and the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alyzes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classifies it in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put the classifie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to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to determine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ncluding interior items in which 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as well as interior items in which only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By calculat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공간 정보 생성부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간별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공간상 연결되는 이미지 데이터 간에 서로 공유되는 상기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정합 시켜 실내 공간에 전체에 대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및 형태, 면적, 부피, 거리를 산출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erforms pre-processing by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using a depth camera to a reference image, and the pre-processing is performed. Analyze the plurality of image data to set descriptor data for each section, derive the descriptor data shared with each other among image data connected in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and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the derived descriptor data Creates spatial image information for the entire indoor space by matching the , and 3D modeling by analyzing the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identification of objects included in the indoor space, and shape, area, volume, and distance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wi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에 대한 목적함수 및 샘플링 확률 분포(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산출하며, 상기 직접 관심 정보 및 샘플링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연관 항목 세트로 선정하여 복수의 항목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항목 세트에 근거하여 직접 관심 정보 또는 간접 관심 정보에 따른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며, 상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에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의 수 및 상기 단어들 간의 상관 관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와 기 저장된 유사도 계산용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2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제1, 2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향에 상응하는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들의 선호 유사도들을 계산하고, 상기 선호 유사도들에 기반하여 선호 항목 풀(POOL)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연관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작업 유사도를 갖는 연관 항목을 항목 세트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calculates an objective function and a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and uses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to obtain the plurality of selects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that satisfy a preset criterion fo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each user as a set of related items to generate a plurality of item sets, 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item sets, direct interest information or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t is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calculate a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according to interest information, and is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ext in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to calculate a calculated first score, calculate a second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image and a pre-stored reference image for similarity calculation, and use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scores to correspond to the user's intention calculate the preference similarities of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and select a related item having the highest work similarity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pre-stored in a preference item pool (POOL) as an item set based on the preference similariti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를 제3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상기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추천 인테리어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시공 가능 업체 중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인테리어 업체에 발주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추천 업체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딥러닝 모델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 희망 시공 시기 정보, 업체별 시공 일정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각 입력층에 입력 받아, 시공 시기 정보에 따라 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into a third deep learning model,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is recommended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with interior image data and Recommendation company that selects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hat can be constructed together as a construction compan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order request data to the received interior company when receiving one of the interior companies among the final construction companies from the user Further comprising a providing unit,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receives the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received from the user, desired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as input to each input layer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 it may be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ed to select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hat can be constructed among th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selected according to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s a construction compan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는 상기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는 생성된 상기 인테리어 용품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images, standards, and materials of interior goods included in the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d parse ( parsing) to generate interior goods information, and 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may generate a 3D image in which interior goods are provided indoors by using the generated interior goods information and 3D spa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가 필요 정보를 입력하는 행위 만으로 사용자 선호에 맞는 다양한 인테리어 컨셉 정보 및 이에 따라 생성된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예상 시공 이미지를 제공받음으로써 좀더 고객이 원하는 인테리어에 정확하게 부합되는 인테리어 정보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추천 받은 인테리어 컨셉 정보에 따라 시공할 수 있는 업체 및 해당 업체의 견적에 대한 정보까지도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투명성 있는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Through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nly needs to input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various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projected construction image for the interior space generated accordingly By being provided, you can receive recommendations for interior information that more accurately matches the interior you want, and furthermore, you will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company that can construct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recommended at the user's desired time and the company's estimate. Thi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not only user convenience, but also transparent interior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과 사용자 및 인테리어 업체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서 도시된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인공 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a user and an interior company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of a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included in the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shown in FIG. 5 .
7 is a flowchart of a space interior curating method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es not

또한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drawings and combinations of flowchart diagrams may be implemen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which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us,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 chart block(s)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그리고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 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nd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t is possible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 unit' refers to what role carry out the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 example of a specific system will be mainly targeted, but the main subject matter to be claim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extend the scope disclosed herein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and this will be possibl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technical knowledge skilled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과 사용자 및 인테리어 업체와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a user and an interior company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와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업체로부터 시공에 관련한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주 요청서를 작성하여 인테리어 업체에 발주까지 직접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ers and terminals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suitabl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nd by receiving construction-related information from an interior company, write an order request form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provide the function of directly proceeding with the order to the interior company.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management server of a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은 관리서버(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에 보관해야 할 데이터 용량이 많은 경우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 별도의 저장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1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10 , and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a separate storage in which a database is buil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10)는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에 접속하여 실내 공간을 분석하고, 추천 인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연산자원과 저장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be provided to access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1, analyze the indoor space, and provide recommended interior information, and has an operator resource and a storage space for this.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한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1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may transmit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process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 it to the user. .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에 포함된 관리서버(10)는 3D 공간 정보 생성부(100), 사용자 정보 획득부(200),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nagement server 10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 a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 and an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and an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400 .

3D 공간 정보 생성부(100)는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을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generate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data or spatial structure data, and may generate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terior object using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차원으로 x, y, z축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x, y축의 거리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해 x, y, z축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may be input from a user and may be an image that can recognize the distances of the x, y, and z axes in three dimensions taken using a depth camera, but an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an image captured by a general camera.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s on the x, y, and z axes may be recognized through an algorithm capable of calculating depth information using the distances on the x and y ax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구조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공간의 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유형의 구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제시한 구조 중 사용자가 선택한 구조와 구조에 대한 면접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이 되는 실내 공간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tial structure data may refer to data on the structure of an indoor space input by a user, and a predetermined type of structure is presented to the user, and a structur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resented structures and Any data that can identify the interior space as the interior object using interview data on the structur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의 구조, 면적, 세부 위치, 내부에 위치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oor spac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structure, an area, a detailed location, and an objec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인 실내 공간을 3D 모델링으로 구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추천 인테리어 컨셉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수행된 경우 예상되는 3D 이미지인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D spatial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door space, which is an interior object, us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is, interior constru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future recommended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In this case, predicted image data that is an expected 3D image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가 수행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간별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using a depth camera to a reference image, and a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 data are analyzed. Descriptor data can be set for each section.

여기서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은 촬영 지점의 위치와 높이, 수평거리 및 이에 따라 설정되어진 카메라의 촬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와 대비하여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shooting standard may mean a standar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shooting point, the horizontal distance, and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set accordingly, and compares it with the input image to determine whether it meets the criteria can be che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는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기 위하여 동일한 촬영각으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기준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파악하고, 오차가 식별되는 경우 기준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각을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각으로 조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image data taken at the same shooting angle with a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in order to match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to a reference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nd when an error is identified, the corresponding data is corrected by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ference image data to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imag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공간상 연결되는 이미지 데이터 간에 서로 공유되는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정합 시켜 실내 공간에 전체에 대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or data shared with each other between image data connected in space among a plurality of image data is derived, and a plurality of images are matched based on the derived descriptor data to form a spatial image for the entire indoor spa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여기서 디스크립터 데이터는 두 이미지 간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미지에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적절한 숫자로 변환하여 산출된 특징을 대표할 수 있는 숫자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escriptor data may mean data on numbers that can represent features calculated by converting meaningful features in an image into appropriate numbers in order to measure the similarity between two imag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대상은 실내 공간에 포함된 객체 또는 그 주변 영역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를 가지는 물체의 일부 또는 전체와 주변 영역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graphing target of a plurality of image data may be an object included in an indoor space or a surrounding area thereof, and may be a part or all of an object having a specific shape and a surrounding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공간 정보 생성부(100)는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미지 부분별로 특징적인 부분(Scale-space extrema detection)을 찾아 특징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특징점들 중에서 신뢰도 있는 최종 특징점인 핵심 특징점을 선별하여 핵심 특징점들의 픽셀값(Intensity), 핵심 특징점들 중 객체의 코너에 해당하는 위치나 크기 등을 기준으로 최종 특징점을 우선 선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0 may find a characteristic part (scale-space extrema detection) for each image part for a plurality of acquired image data and classify it as a feature point, The final feature may be selected first, based on the pixel value (intensity) of the core feature and the position or siz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object among the key feature points by selecting a reliable final feature from among the feature points.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특징점의 주변 영역에 대해 경사도를 산출하여 전체적으로 주변 영역의 픽셀들이 가리키는 방향을 구하고, 주변 영역의 픽셀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0도가 되도록 회전하여 주변 영역에 당하는 부분을 디스크립터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nal feature point is calculated to obta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pixels of the peripheral area as a whole,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pixels of the peripheral area is 0 degrees is set as descriptor data.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립터 데이터는 최종 특징점의 주변 영역의 픽셀 값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최종 특징점을 기준으로 주변 영역의 픽셀 값들의 방향정보에 기반한 히스토그램 정보도 포함되므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각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대비하여 동일한 구간을 나타내는 타겟 포인트를 식별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or data may include pixel values of a region surrounding the final feature point, and histogram information based on direction information of pixel values of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the final feature point. By compar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hanged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angle and identifying a target point representing the same section, image data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accurately matc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및 형태, 면적, 부피, 거리를 산출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by analyzing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structure of an indoor space, identification and shape, area, volume, and distance of objects included in the indoor spac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D인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구조 또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구조 및 객체를 미리 설정한 3차원 변환 기준에 따라 3차원으로 변환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space implemented by 3D modeling by analyzing 2D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recognize a structure or object, and converting the recognized structure and object into 3D according to a preset 3D transformation standar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사용자 정보 획득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obtaining unit 200 may obtain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from the user.

여기서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는 인테리어 대상이 되는 실내 공간 중에서도 인테리어를 수행하고자 하는 전체 또는 특정 부분에 대한 세부적인 위치 및 면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on the detailed location and area of the whole or a specific part for which interior is to be performed among the interior spaces as interior objects.

또한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특정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항목에 대한 명시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직접 관심 정보와 응답, 미응답 또는 관련성을 통해 선호도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간접 관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preference for a specific interior item, an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licit preference for a specific item and information that can infer preference through response, non-response, or relevance It may includ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선호도 정보는 각 개선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협업 필터링 기법에서 사용되는 기준에 따라 특정 항목에 대한 명시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직접 관심 정보와 응답, 미응답 또는 관련성을 통해 선호도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간접 관심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preference for each improvement item, and includes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licit preference for a specific item according to a criterion used in a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and It may be classified as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inferring preference through response, non-response, or relevance.

여기서 직접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기술한 사용자 정보 또는 상품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여 획득한 특정 개선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간접 관심 정보는 특정 개선 항목을 직접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개선 항목들의 선호 유사도 또는 작업 유사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may refer to user information directly described by the user or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for a specific improvement item obtained by analyzing the product evaluation. It may refer to information for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 by using the preference similarity or task similarity of it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대상으로 협업적 필터링을 수행하여 각 희망 개선 항목 별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로 사용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세부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collaborative filtering o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in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for each desired improvement item.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는 사용자가 인테리어에 포함하기를 원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는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수행함에 있어 가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인테리어 비용에 대한 범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an interior item that the user wants to include in the interior, and the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is the interior cost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the user to perform the interior. It may mean range information fo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획득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제2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인테리어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may classify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lassifie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2 It is possible to generate user preference information by inputting into the deep learning model and calculating preferences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ncluding interior ite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명시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의 경우 해당 선호도에 따라 추천되는 인테리어 항목을 제시할 수 있으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함으로써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의 산출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해서도 간접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 값을 부여하여 더욱 정확한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interior item in which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licit preference for an interior item exists, an interior item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may be presented, an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re used. Thus, by calculating the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reference for the interior item for which there is n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furthermore, for the interior item for which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the weight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preference by giv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에 대한 목적함수 및 샘플링 확률 분포(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산출하며, 직접 관심 정보 및 샘플링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연관 항목세트로 선정하여 복수의 항목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calculates an objective function and a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and uses the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 plurality of item sets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that satisfy a preset criterion for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 as a related item s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의 목적 함수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1).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1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1

여기서 u는 사용자이며,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2
는 사용자 u의 직접 관심 정보의 평가 벡터이며,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3
는 사용자 u의 간접 관심 정보인 평가 벡터이고,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4
는 사용자 u의 평가 정보 존재 유무에 대한 인디케이터 벡터이며,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5
는 활성화함수(sigmoid 또는 hyperbolic 탄젠트 함수)이며,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6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7
는 사용자 u의 인테리어 항목 i,j에 대한 평가 결과 예상치이며,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8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9
는 정규화항에 대한 중요도를 제어하기 위해 설정하는 파라미터이고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0
은딥러닝 모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where u is the user,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2
is an evaluation vector of user u's direct interest information,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3
is an evaluation vector that is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of user u,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4
is an indicator vector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u's evaluation information,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5
is the activation function (sigmoid or hyperbolic tangent function),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6
Wow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7
is the estimated result of user u's evaluation of interior items i,j,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8
Wow
Figure 112021040821620-pat00009
is a parameter set to control the importance of the regularization term.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0
may mean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deep learning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샘플링 확률 분포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인테리어 항목이 선호도가 낮은 인테리어 항목으로 샘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샘플링확률분포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ior item having a low user's interest is sampled as an interior item having a low preference, and this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1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1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2
는 소프트맥스(softmax)함수를 의미할 수 있다.in Equation 2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2
may mean a softmax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항목 세트에 근거하여 직접 관심 정보 또는 간접 관심 정보에 따른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도록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is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calculate a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according 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or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item sets.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에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의 수 및 단어들 간의 상관 관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기 저장된 유사도 계산용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2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may calculate the first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in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image and a second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mage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may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된 제1, 2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향에 상응하는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들의 선호 유사도들을 계산하고, 선호 유사도들에 기반하여 선호 항목 풀(POOL)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연관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작업 유사도를 갖는 연관 항목을 항목 세트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ce similarities of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corresponding to a user's intention are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scores, and a plurality of pre-stored items in a preference item pool (POOL) based on the preference similarities are calculated. A related item having the highest work similarity among the related items may be selected as the item s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테리어 작업들에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고, 가중치가 설정된 인테리어 항목들로부터 계산된 작업 유사도의 가중합(WEIGHTED SUM)을 산출할 수 있으며, 계산된 가중합을 고려하여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특정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may be set for a plurality of interior tasks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and a weighted sum (WEIGHTED SUM) of the work similarity calculated from the interior items to which the weight is set may be calculated. A specific item for the interior item may be recommend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ed su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유사도에 따라 특정 인테리어 항목(Interior item)은 수학식 3을 통해 추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interior item may be recommended through Equation 3 according to the work similarity.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3
Figure 112021040821620-pat00013

여기서 POOL은 본 발명에서 생성 가능한 목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엔진들의 집합에 상응할 수 있는 함수이며, Query 함수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POOL에 저장된 목적 작업들과 작업 유사도 계산 결과값이 가장 유사한 목적 작업을 추천해주는 함수일 수 있다.Here, the POOL is a function that can correspond to a set of learning engines capable of performing the objective task that can be cr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Query function is the most similar to the task similarity calculation result with the object tasks stored in the POO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 function that recommends a target operation.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는 제1 딥러닝 모델에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입력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inputs interior space detailed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to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and construction is performed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for the interior spac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may be generated a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딥러닝 모델은 합성곱 인공 신경망 모델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각 입력층에 입력하여 합성곱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may be implemented as a convolutiona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input of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can be derived so that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ithin a desired interior cost range for an interior space by performing a convolution operation by inputting it into a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는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images, standards, and materials of interior goods included i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d parse the searched information. (parsing) to generate interior goods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의 형태로 수집될 수 있으며 파싱(parsing)을 통해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의미한 항목으로 그룹핑을 수행함으로써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images, specifications, and materials for interior goods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image text, and by categorizing data types through parsing and grouping them into meaningful items, the interior You can create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한 구조 및 객체를 미리 설정한 3차원 변환 기준에 따라 3차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3D 공간 정보에 반영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and an object recognized using the generated interior product information are converted into 3D according to a preset 3D conversion standard, and the interior product is provided in the room by reflecting this in 3D spatial information. 3D images can be cr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는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3D 공간 정보,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제4 딥러닝 모델의 각 입력층에 입력하여 합성곱 연산을 통해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면적 및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른 인테리어 항목별 재질, 시공방식에 따라 산출된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inputs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3D spatial information, and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each input layer of the fourth deep learning model and uses it through a convolution operation. Thu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nergy efficiency index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ach interior item according to the structure, area, and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여기서 에너지 효율성 지수는 동일한 온도 환경 내에서 일정 면적당 동일한 냉방 또는 난방을 공급하였을 때 유지되는 평균 온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성 지수가 높을수록 동일한 온도 환경에서 동일한 냉방, 난방을 공급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더 시원하거나 따듯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energy efficiency index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verage temperature maintained when the same cooling or heating is supplied per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same temperature environment. It can be judged that it can be kept cooler or warm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와 같이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또는 이에 따른 예상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설정하여 기준 에너지 효율성 지수 보다 에너지 효율성 지수가 낮은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는 아예 배제하거나 에너지 효율 나쁨으로 명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율적인 선택을 도울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efficiency index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fer to it whe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or expected image data according thereto,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y setting a reference energy efficiency index,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having a lower energy efficiency index than the reference energy efficiency index may be excluded altogether or provided to the user by specifying that the energy efficiency is poor,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ake an efficient selection.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400)는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경우 예상되는 결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400 uses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3D space information to generate predicted image data that implements the expected result image as a 3D image when the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Expected imag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400)는 예상 이미지 데이터는 해당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이에 따른 예상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는 하나를 골라 원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400 may provide the predicted image data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ay provide a plurality of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predicted image data accordingly. Among them, the user can select one and select the desired interior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400)는 생성된 인테리어 용품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400 may generate a 3D image in which interior goods are provided indoors by using the generated interior goods information and 3D space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11)의 세부 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agement server 11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11)가 나타나 있으며,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1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서버(10)에 추천 업체 제공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4, the management server 11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the management server 11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first The management server 10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commendation company providing unit 500 .

추천 업체 제공부(500)는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를 제3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중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추천 인테리어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recommendation company providing unit 500 inputs the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into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and constructs the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interior image data. At least one possible interior company may be selected as a construction company and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를 제3 딥러닝 모델링의 각 입력층에 입력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중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추천 인테리어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목록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are input to each input layer of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ing, and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is recommended within a desired interior cost range among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Interior image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hat can be constructed like the data may be selected, and the selecte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l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며 사용자는 인테리어 업체 목록 중 하나를 선정하여 관리서버(11)로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interior companies list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1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업체 제공부(500)는 최종 시공 가능 업체 중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인테리어 업체에 발주 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mmendation company providing unit 500 may transmit the order request data to the received interior company when receiving one of the interior companies among the final construction possible companies from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인테리어 업체에 발주 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발주 요청 데이터에는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der request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selected interior company, and the order request data may include all of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and expected imag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딥러닝 모델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 희망 시공 시기 정보, 업체별 시공 일정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각 입력층에 입력 받아, 시공 시기 정보에 따라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receives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received from the user, desired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into each input layer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 it may be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select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hat can be constructed among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s a construction compan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포함된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included in the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이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5 ,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에 포함된 관리서버(12)에 있어서 제1 딥러닝 모델은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에, 제2 딥러닝 모델은 사용자 정보 획득부(200), 제3딥러닝 모델은 추천 업체 제공부(500)에 제4 딥러닝 모델은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딥러닝 모델은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1)의 각 구성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각 실시예에 따라 제 1, 2, 3, 4 딥러닝 모델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각 딥러닝 모델에서 산출된 정보를 입력층에 입력되는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12 included in the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1,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is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00, and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is the user information The acquisition unit 200,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may be included in the recommendation company providing unit 500, and the fourth deep learning model may be included in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00, and each deep learning model is a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 It can be driven independently in each configuration of 1), bu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each deep learning model is input to the input layer. can be used as

도 6는 도 5에서 도시된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인공 신경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shown in FIG. 5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인공 신경망의 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제1, 2, 3, 4 딥러닝 모델은 합성곱 인공 신경망 모델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ueral Network )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tructur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eep learning models 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nvolutiona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 2, 3, 4 딥러닝 모델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이루어진 인공 신경망일 수 있으며, 입력층을 통해 입력된 각 데이터는 다수의 은닉층을 거치며 합성곱 연산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최종 데이터가 출력층을 거쳐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3, and 4 deep learning models may b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mposed of an input layer, a hidden layer, and an output layer, and each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layer goes through a plurality of hidden layers and performs a convolution operation. , and through this, the final data can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layer.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미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S10).By analyzing image data or spatial structure data, indoor spatial information is generated (S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oor spatia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data or spatial structur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차원으로 x, y, z축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x, y축의 거리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해 x, y, z축의 거리를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may be input from a user and may be an image that can recognize the distances of the x, y, and z axes in three dimensions taken using a depth camera, but an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an image captured by a general camera.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s on the x, y, and z axes may be recognized through an algorithm capable of calculating depth information using the distances on the x and y axes.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을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S20).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terior object is generated using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을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3D 공간 정보는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인 실내 공간을 3D 모델링으로 구현한 정보이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추천 인테리어 컨셉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수행된 경우 예상되는 3D 이미지인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terior object may be generated us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the 3D spatial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by 3D modeling of an indoor space as an interior object us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when interior constru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future recommended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predicted image data, which is an expected 3D image,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가 수행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간별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using a depth camera to a reference image, and a plurality of pre-processed image data are analyzed. Descriptor data can be set for each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는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기 위하여 동일한 촬영각으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기준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파악하고, 오차가 식별되는 경우 기준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각을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각으로 조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comparing image data taken at the same shooting angle with a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in order to match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to a reference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nd when an error is identified, the corresponding data is corrected by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reference image data to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image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공간상 연결되는 이미지 데이터 간에 서로 공유되는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정합 시켜 실내 공간에 전체에 대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or data shared with each other between image data connected in space among a plurality of image data is derived, and a plurality of images are matched based on the derived descriptor data to form a spatial image for the entire indoor spa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미지 부분별로 특징적인 부분(Scale-space extrema detection)을 찾아 특징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특징점들 중에서 신뢰도 있는 최종 특징점인 핵심 특징점을 선별하여 핵심 특징점들의 픽셀값(Intensity), 핵심 특징점들 중 객체의 코너에 해당하는 위치나 크기 등을 기준으로 최종 특징점을 우선 선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nd a characteristic part (scale-space extrema detection) for each image par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acquired image data and classify it as a characteristic point, and among the classified characteristic points, a core that is a reliable final characteristic point By selecting the feature points, the final feature point may be first selected based on the pixel value (Intensity) of the key feature points and the position or siz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object among the key feature points.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특징점의 주변 영역에 대해 경사도를 산출하여 전체적으로 주변 영역의 픽셀들이 가리키는 방향을 구하고, 주변 영역의 픽셀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0도가 되도록 회전하여 주변 영역에 당하는 부분을 디스크립터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area of the final feature point is calculated to obta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pixels of the peripheral area as a whole,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area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pixels of the peripheral area is 0 degrees is set as descriptor data.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립터 데이터는 최종 특징점의 주변 영역의 픽셀 값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최종 특징점을 기준으로 주변 영역의 픽셀 값들의 방향정보에 기반한 히스토그램 정보도 포함되므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촬영각에 따라 변경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대비하여 동일한 구간을 나타내는 타겟 포인트를 식별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or data may include pixel values of a region surrounding the final feature point, and histogram information based on direction information of pixel values of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the final feature point. By compar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hanged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angle and identifying a target point representing the same section, image data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accurately matc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및 형태, 면적, 부피, 거리를 산출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by analyzing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structure of an indoor space, identification and shape, area, volume, and distance of objects included in the indoor spac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D인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구조 또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구조 및 객체를 미리 설정한 3차원 변환 기준에 따라 3차원으로 변환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space implemented by 3D modeling by analyzing 2D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recognize a structure or object, and converting the recognized structure and object into 3D according to a preset 3D transformation standar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획득한다(S30).It acquires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는 사용자가 인테리어에 포함하기를 원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는 사용자가 인테리어를 수행함에 있어 가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인테리어 비용에 대한 범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on an interior item that the user wants to include in the interior, and the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is the interior cost determined to be available for the user to perform the interior. It may mean range information fo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로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된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제2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인테리어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in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put the classifie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to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User 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calculating a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ncluding the i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명시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의 경우 해당 선호도에 따라 추천되는 인테리어 항목을 제시할 수 있으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함으로써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의 산출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에 대해서도 간접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 값을 부여하여 더욱 정확한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n interior item in which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licit preference for an interior item exists, an interior item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may be presented, an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re used. Thus, by calculating the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reference for the interior item for which there is n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furthermore, for the interior item for which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the weight value is calculated using th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preference by giving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에 대한 목적함수 및 샘플링 확률 분포(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산출하며, 직접 관심 정보 및 샘플링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연관 항목세트로 선정하여 복수의 항목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calculates an objective function and a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and uses the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 plurality of item sets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that satisfy a preset criterion for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 as a related item s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샘플링 확률 분포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인테리어 항목이 선호도가 낮은 인테리어 항목으로 샘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terior item having a low user's interest is sampled as an interior item having a low prefer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항목 세트에 근거하여 직접 관심 정보 또는 간접 관심 정보에 따른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is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calculate a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according 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or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item sets.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딥러닝 모델은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에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의 수 및 단어들 간의 상관 관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기 저장된 유사도 계산용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2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may calculate the first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in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image and a second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image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may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된 상기 제1, 2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향에 상응하는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들의 선호 유사도들을 계산하고, 선호 유사도들에 기반하여 선호 항목 풀(POOL)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연관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작업 유사도를 갖는 연관 항목을 항목 세트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ce similarities of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corresponding to a user's intention are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scores, and pre-stored in a preference item pool (POOL) based on the preference similarities. A related item having the highest work similarity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may be selected as the item s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인테리어 작업들에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고, 가중치가 설정된 인테리어 항목들로부터 계산된 작업 유사도의 가중합(WEIGHTED SUM)을 산출할 수 있으며, 계산된 가중합을 고려하여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특정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ight may be set for a plurality of interior tasks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and a weighted sum (WEIGHTED SUM) of the work similarity calculated from the interior items to which the weight is set may be calculated. A specific item for the interior item may be recommend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ed sum.

제1 딥러닝 모델을 통해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로 생성한다(S40).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s generated a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S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딥러닝 모델에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입력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putting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to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the interior space can be constructed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may be generated a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딥러닝 모델은 합성곱 인공 신경망 모델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각 입력층에 입력하여 합성곱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may be implemented as a convolutiona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input of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can be derived so that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ithin a desired interior cost range for an interior space by performing a convolution operation by inputting it into a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images, standards, and materials for interior goods included i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can be searched through a network, and interior good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parsing the retrieved information.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텍스트의 형태로 수집될 수 있으며 파싱(parsing)을 통해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의미한 항목으로 그룹핑을 수행함으로써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images, specifications, and materials for interior goods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image text, and by categorizing data types through parsing and grouping them into meaningful items, the interior You can create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한 구조 및 객체를 미리 설정한 3차원 변환 기준에 따라 3차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3D 공간 정보에 반영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and an object recognized using the generated interior product information are converted into 3D according to a preset 3D conversion standard, and the interior product is provided in the room by reflecting this in 3D spatial information. 3D images can be cr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3D 공간 정보,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제4 딥러닝 모델의 각 입력층에 입력하여 합성곱 연산을 통해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구조, 면적 및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른 인테리어 항목별 재질, 시공방식에 따라 산출된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ior space detailed information, 3D spatial information, and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re input to each input layer of the fourth deep learning model and used through convolution operation to determine the structure, area, and interior concept of an indoor space. The energy efficiency index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ach interior item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와 같이 제공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또는 이에 따른 예상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에너지 효율성 지수를 설정하여 기준 에너지 효율성 지수 보다 에너지 효율성 지수가 낮은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는 아예 배제하거나 에너지 효율 나쁨으로 명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율적인 선택을 도울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efficiency index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fer to it when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or expected image data according thereto,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y setting a reference energy efficiency index,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having a lower energy efficiency index than the reference energy efficiency index may be excluded altogether or provided to the user by specifying that the energy efficiency is poor, thereby helping the user to make an efficient selection.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경우 예상되는 결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50).When the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expected image data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expected result image as a 3D image is generated (S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경우 예상되는 결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using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the 3D spa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predicted image data in which an expected result image is implemented as a 3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400)는 생성된 인테리어 용품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400 may generate a 3D image in which interior goods are provided indoors by using the generated interior goods information and 3D space information.

생성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The generated predicted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상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해당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이에 따른 예상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는 하나를 골라 원하는 인테리어 컨셉을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icted image data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image data and select the desired interior concep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에 접속하여 실내 공간을 분석하고, 추천 인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내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내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대상을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3D 공간 정보 생성부;
사용자로부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제1 딥러닝 모델에 상기 인테리어 공간 세부 정보,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 희망 인테리어 비용 정보를 입력하여, 인테리어 공간을 대상으로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로 생성하는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에 따라 인테리어 시공이 완료된 경우 예상되는 결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구현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시공된 인테리어에 대한 시공 세부 정보, 시공 업체 정보, 시공 비용 정보, 시공 만족도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각 입력층에 입력 받아, 특정 비용 범위 내의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를 추출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구현된 모델이며,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인테리어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항목에 대한 명시적인 선호도를 나타내는 직접 관심 정보 또는 특정 항목에 대한 미응답과 상기 직접 관심 정보와 같이 이용하여 복수의 특정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는 간접 관심 정보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제2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직접 관심 정보가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뿐만 아니라 간접 관심 정보만이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 및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 인테리어 항목을 포함한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여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직접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기술한 사용자 정보 또는 상품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여 획득한 특정 개선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provided to access the interior space curating system, analyze the interior space, and provide recommended interior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a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data or spatial structure data, and generating 3D spatial information in which an interior object is implemented by 3D modeling using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detailed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from a user;
Recommendation for a number of interior items so that the interior space detailed information, user preference information,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and desired interior cost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to enable construction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for the interior space an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information a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When interior construc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3D space information, predicted image data that implements an expected result image as a 3D imag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redicted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an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to provide,
The first deep learning model receives construction details, construction company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satisfac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constructed interiors into each input layer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xtracts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within a specific cost range It is a model implemented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The user information obtaining unit,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dicating an explicit preference for a specific item by analyzing the interior interest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r non-response to a specific item and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to calculate a preference for a plurality of specific items Classified as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put the classifie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to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as well as interior items in which 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as well as interior items and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n which only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generating user preference information by calculating preferences for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including interior items in which all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exists;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i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user preference information for a specific improvement item obtained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or product evaluation directly described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공간 정보 생성부는,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레퍼런스 이미지에 매칭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가 수행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간별로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공간상 연결되는 이미지 데이터 간에 서로 공유되는 상기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디스크립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복수의 이미지를 정합 시켜 실내 공간에 전체에 대한 공간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공간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실내 공간의 구조, 실내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및 형태, 면적, 부피, 거리를 산출하여 3D 모델링으로 구현된 3D 공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spatia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Pre-processing is perform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a preset shooting standard using a depth camera to a reference image, and descriptor data is set for each section by analyzi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on which the pre-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
Deriving the descriptor data sha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image data connected in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and matching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the derived descriptor data to generate spatial image information for the entire indoor space,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characterized in that by analyzing the spatial image information to generate 3D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ed by 3D modeling by calculating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identification of objects included in the indoor space, and shape, area, volume, and distance of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제2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사용자에 각각에 대한 목적함수 및 샘플링 확률 분포(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를 산출하며, 상기 직접 관심 정보 및 샘플링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를 연관 항목 세트로 선정하여 복수의 항목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항목 세트에 근거하여 직접 관심 정보 또는 간접 관심 정보에 따른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며,
상기 직접 관심 정보와 간접 관심 정보에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의 수 및 상기 단어들 간의 상관 관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와 기 저장된 유사도 계산용 기준 이미지와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2 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제1, 2점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향에 상응하는 복수의 인테리어 항목들의 선호 유사도들을 계산하고, 상기 선호 유사도들에 기반하여 선호 항목 풀(POOL)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연관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작업 유사도를 갖는 연관 항목을 항목 세트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e second deep learning model calculates an objective function and a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and uses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sampling probability distribution to create a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selects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satisfying a preset criterion as a related item set to generate a plurality of item sets, and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according to direct interest information or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based on the plurality of item sets It is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calculate a preference for
A first sco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in the 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indirect interest informa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is calculated, an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image and a pre-stored reference image for similarity calculation calculates the calculated second score, calculates preference similarities of a plurality of interior item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us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scores, and based on the preference similarities, a preference item pool (POOL)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related item having the highest work similarity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previously stored in the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를 제3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상기 희망 인테리어 비용 범위 내로 인테리어 컨셉 정보를 추천 인테리어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최종 시공 가능 업체 중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인테리어 업체에 발주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추천 업체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딥러닝 모델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인테리어 업체의 인테리어 실적 정보 및 고객 만족도 정보, 희망 시공 시기 정보, 업체별 시공 일정 정보를 인공 신경망의 각 입력층에 입력 받아, 시공 시기 정보에 따라 선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 중 시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테리어 업체를 시공 가능 업체로 선정하도록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interior that can be constructed like interior image data by inputting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into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and recommending interior concept information within the desired interior cost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interior companies Further comprising a recommendation company providing unit that selects a company as a construction compan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order request data to the received interior company when receiving one of the interior companies among the final construction companies from the user,
The third deep learning model receives interior performance information, customer satisfaction information, desired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nd construction schedule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received from the user into each input layer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ime informati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tial interior cura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odel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rained to select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that can be constructed among the selected at least one interior company as a construction compan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컨셉 추천 정보 생성부는 상기 희망 인테리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인테리어 용품에 대한 이미지, 규격, 재질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인테리어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인테리어 예상 이미지 제공부는 생성된 상기 인테리어 용품 정보 및 3D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에 인테리어 용품이 구비되어 있는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공간 인테리어 큐레이팅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
The interior concept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images, specifications, and materials of interior goods included in the desired interior item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and parses the searched information to generate interior goods information can do,
The interior prediction image providing unit uses the generated interior product information and 3D spatial information to generate a 3D image in which interior products are provided indoors.
KR1020210045354A 2021-04-07 2021-04-07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12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54A KR102312413B1 (en) 2021-04-07 2021-04-07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54A KR102312413B1 (en) 2021-04-07 2021-04-07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13B1 true KR102312413B1 (en) 2021-10-13

Family

ID=7815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54A KR102312413B1 (en) 2021-04-07 2021-04-07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1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44B1 (en) * 2021-11-30 2022-04-21 주식회사 안가본길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terior remodeling style using non-contact type
KR102457622B1 (en) * 2022-02-08 2022-10-24 딥빌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interior desig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KR102569750B1 (en) * 2023-04-14 2023-08-24 오륜록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simul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KR102588539B1 (en) * 2023-01-11 2023-10-12 강범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ndor matching service for workplace design
CN117387634A (en) * 2023-12-13 2024-01-12 江西啄木蜂科技有限公司 Color-changing wood forest zone unmanned aerial vehicle path multi-target planning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
KR102634661B1 (en) * 2023-05-10 2024-02-08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Old Building Remodeling Match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89A (en)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interior estimate ser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74443A (en)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락소 A hologram-based home furnishing simul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22179A (en) * 2019-04-17 2020-10-27 송우상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ior designs based on images and text
KR20200145201A (en)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89A (en) * 2018-04-19 2019-10-29 주식회사 일렉스홀딩스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interior estimate ser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74443A (en)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락소 A hologram-based home furnishing simul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22179A (en) * 2019-04-17 2020-10-27 송우상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ior designs based on images and text
KR20200145201A (en) * 2019-06-21 2020-12-30 김영천 A psychological fusion type online interior transit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44B1 (en) * 2021-11-30 2022-04-21 주식회사 안가본길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terior remodeling style using non-contact type
KR102457622B1 (en) * 2022-02-08 2022-10-24 딥빌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interior desig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WO2023153631A1 (en) * 2022-02-08 2023-08-17 딥빌드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terior desig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588539B1 (en) * 2023-01-11 2023-10-12 강범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endor matching service for workplace design
KR102569750B1 (en) * 2023-04-14 2023-08-24 오륜록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simul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KR102634661B1 (en) * 2023-05-10 2024-02-08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Old Building Remodeling Matching System
KR102665884B1 (en) * 2023-05-10 2024-05-14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modeling matching system
CN117387634A (en) * 2023-12-13 2024-01-12 江西啄木蜂科技有限公司 Color-changing wood forest zone unmanned aerial vehicle path multi-target planning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
CN117387634B (en) * 2023-12-13 2024-02-27 江西啄木蜂科技有限公司 Color-changing wood forest zone unmanned aerial vehicle path multi-target planning method based on user prefer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413B1 (e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space interior cu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10809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garment attributes using deep learning
US10297070B1 (en) 3D scene synthesis techniques using neural network architectures
CN111369016B (en) Image recognition-based on-site operation and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Lu et al. Image-driven fuzzy-based system to construct as-is IFC BIM objects
CN108108657A (en) A kind of amendment local sensitivity Hash vehicle retrieval method based on multitask deep learning
CN113362382A (en)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device
CN107870990B (en) Automobil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KR102113813B1 (en) Apparatus and Method Searching Shoes Image Using Matching Pair
US201700319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property for purchase using image processing
CN108897750B (en) Personalized place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integrating multiple contextual information
CN110992124B (en) House source recommendation method and house source recommendation system
Guo et al. Using multi-scale and hierarchical deep convolutional features for 3D semantic classification of TLS point clouds
Ma et al. An application of metadata-based image retrieval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Lu et al. Indoor localization via multi-view images and videos
CN115222896A (en)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354076A (en) Single-image three-dimensional part combined modeling method based on embedding space
Nikfar et al. Optimization of multiresolution segmentation by using a genetic algorithm
Wang et al. Predicting the attractiveness of real-estate images by pairwise comparison using deep learning
JP2003157439A (en) Correlation extracting method of image feature amount by image categorization and correlation extracting device thereof
KR102370650B1 (en) real estate investment cur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ethod therefor
CN115587873A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mmodity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Manso et al. A novel robust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robots using mixtures of gaussians
JP2016014990A (en) Moving image search method, moving image search device, and program thereof
KR1018675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