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387B1 -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387B1
KR102312387B1 KR1020190146760A KR20190146760A KR102312387B1 KR 102312387 B1 KR102312387 B1 KR 102312387B1 KR 1020190146760 A KR1020190146760 A KR 1020190146760A KR 20190146760 A KR20190146760 A KR 20190146760A KR 102312387 B1 KR102312387 B1 KR 10231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stimulation
direct current
evaluation result
transcranial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9381A (en
Inventor
윤수정
김정윤
류인균
홍가혜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87B1/en
Priority to PCT/KR2020/001562 priority patent/WO2021095995A1/en
Publication of KR2021005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인지 증강을 위한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은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가 결과, 상기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2,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 are disclosed. A method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on genotype and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a cognitive function for a target region requiring cognitive enhancement;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target region; receiving a second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dur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receiving a thir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It may include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compar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aluation results.

Description

인지 증강을 위한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본 발명은 인지 증강을 위한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유전형 및 인지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using a patient's genotype and cognitive evaluation results is about

경두개 직류 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은 전극을 통해 1-2mA의 낮은 직류 전류를 두피에 흘려 비침습적으로 뇌 활성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두피의 자극 위치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을 통한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BDNF(brain-derived neurotraphic factor)와 같은 신경영양인자 유전형(genotype)은 경두개 직류 자극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지영, 황누리, 및 황태영.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반복적 경두개자기자극에 대한 혈청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의 반응 양상과 신경가소성의 특성." 사회정신의학 22.2 (2017): 47-56.) 따라서, 경두개 직류 자극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개인 별로 유전자형을 고려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device that can non-invasively control brain activity by passing a low 1-2mA direct current through an electrode to the scalp.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scalp.
In addition, a neurotrophic factor genotype such as brain-derived neurotraphic factor (BDNF) may affect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h Ji-Young, Hwang Nuri, and Hwang Tae-Young. “Responsiveness of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Neuroplasticity to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Social Psychiatry 22.2 (2017): 47-56. )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technique f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nsidering the genotype for each individual is required.

등록특허공보 제10-1011107호 (2011.01.1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11107 (2011.01.19.)

본 발명은 인지 증강을 위한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인의 유전형에 대한 정보, 인지 능력을 고려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인지 증강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maximizing the cognitive enhancement effect by provid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genotype information and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은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가 결과, 상기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on genotype and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a cognitive function for a target region requiring cognitive enhancement;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target region; receiving a second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dur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receiving a thir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It may include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comparing the first to third evaluation results.

상기 프로토콜은,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하는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ocol may include a stimulation location fo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tocol, when the target area is working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the lower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lower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menting at least one or more.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측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tocol, when the target area is general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and the lower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lower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정서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tocol, when the target region is an emotion,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menting one or more.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수면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두정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tocol, when the target region is sleep,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nd the higher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higher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보다 제3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은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protocol is chang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can be chang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 상기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information on genotype and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a cognitive function for a target region requiring cognitive enhancement, As a result of the first evaluation,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was generated based on the genotype information and the target region,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was re-evaluated dur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2 Receive an evaluation result, receive a thir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for the target region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compare the first to third evaluation results to compare the transcranial The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an be changed.

상기 프로토콜은,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하는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ocol may include a stimulation location fo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region is working memory, the processor sets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r mor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By increasing the above protocol can be creat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측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region is general memory, the processor sets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asing anomalie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정서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region is an emotion, the processor sets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lobe, and increa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By doing so, the protocol can be creat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수면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두정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rea is sleep, the processor sets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at least one or mor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can be created by increasing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보다 제3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은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processor may change the protocol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증강을 위한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개인의 유전형에 대한 정보, 인지 능력을 고려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인지 증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gnitive enhancement effect by provid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that considers information on an individual's genotype and cognitive 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생성 및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d apply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description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을 수행한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유전형에 대한 정보, 피실험자가 인지 증강을 하고자 하는 표적 영역 및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의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performs the method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ubject's genotype, a target region for which the subject wants to enhance cognitive func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cognitive functions for the target region of the subject.

이 때,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은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하는 자극 위치(예: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등 뇌에서 인지와 관련된 영역), 자극 시간(예: 30분-60분), 자극 강도(예: 1-2mA) 및 자극 횟수(예: 1주일에 3회-5회)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is based on the stimulation location (e.g., areas related to cognition in the brain such as the frontal, temporal, and parietal lobes) wher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performed, the stimulation time (e.g., 30 - 60 min), and the stimulation intensity ( Examples: 1-2 mA)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eg, 3-5 times per week).

본 발명에서 생성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은 표적 영역이 같더라도 피실험자의 유전형이나 인지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피실험자마다 다를 수 있다.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subject because it is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s genotype or cognitive evaluation result, even if the target region is the same.

표적 영역은 피실험자가 인지 증강을 하고자 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표적 영역은 작업 기억력(working memory), 일반 기억력(memory), 정서, 수면 등일 수 있다. The target region may refer to a region in which the subject wants to enhance cognition. For example, the target region may be working memory, general memory, emotion, sleep, and the like.

작업 기억이란 다른 감각 기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머리 속에 잠시 잡아 뒀다가 기억하는 단기 기억의 일종이다. 작업 기억에서 반복적으로 입력 및 처리된 정보들은 장기 기억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작업 기억력이란 단기 기억 능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 기억력은 장기 기억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Working memory is a type of short-term memory in which information from other sense organs is held in the head for a while and then remembered. Information repeatedly entered and processed in working memory is sent to long-term memory.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orking memory may mean short-term memory, and general memory may mean long-term memory.

정서는 피실험자의 우울 증상 및 불안 증상 관련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이 정서인 경우, 우울 증상이나 불안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 The emotion may refer to an area related to the subject's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Therefore, when the subject's target region is emotion,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or anxiety symptoms can be provided.

수면은 피실험자의 불면 증상과 관련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이 수면인 경우, 불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Sleep may mean a region related to the insomnia symptoms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s target area is sleep,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relieving insomnia symptoms may be provided.

피실험자의 유전형은 피실험자의 BDNF(brain-derived neurotraphic factor)와 같은 신경영양인자의 유전형을 의미할 수 있다. BDNF의 유전형은 발린(Valine, Val) 및 메티오닌(Methionine, Met)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genotype of the subject may refer to the genotype of a neurotrophic factor such as brain-derived neurotraphic factor (BDNF) of the subject. The genotype of BDNF may consist of a combination of valine (Val) and methionine (Met).

일례로, BDNF의 유전형은 Val/Val, Val/Met 및 Met/MET 중 하나일 수 있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BDNF의 유전형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이 밖에 다른 신경영양인자인 COMT, SLC6A4, DAT1, 5-HT1A, FKBP5의 유전형을 이용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enotype of BDNF may be one of Val/Val, Val/Met, and Met/ME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genotype of the BDNF of the subjec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C stimulation protocol by using the genotypes of COMT, SLC6A4, DAT1, 5-HT1A, and FKBP5, which are other neurotrophic factors.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평가는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항목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Cognitive evaluation of the subject's target region may be performed by evaluating the items listed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9117486348-pat00001
Figure 112019117486348-pat00001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인지기능 검사의 일종인 WCST(Wisconsin Card Sorting Test), SWM(Spatial Working Memory) 및 RVP(Rapi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작업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rea is working memory, at least one of WC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WM (Spatial Working Memory), and RVP (Rapi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which is a type of cognitive function test, is used to evaluate the working memory of the subject. cognitive function can be assessed.

이 때, 인기기능의 평가 결과에서 정답 수, 반응 시간 및 오류 수를 측정한다. 정답 수가 낮거나, 오류 수가 크거나, 반응 시간이 길수록 피실험자의 작업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의 증진이 요구된다. 따라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reaction time, and number of errors are measured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popular features. As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low, the number of errors is large, and the reaction time is long, the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working memory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increase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인지기능 검사의 일종인 PRM(Pattern Recognition Memory), DMS(Delayed Matching to Sample) 및 PAL(Paired Associated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일반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rea is general memory, the subject's general memory is recognized by using at least one of PRM (Pattern Recognition Memory), DMS (Delayed Matching to Sample), and PAL (Paired Associated Learning), which are a type of cognitive function test. function can be evaluated.

이 때, 인기기능의 평가 결과에서 정답 수, 반응 시간 및 오류 수를 측정한다. 정답 수가 낮거나, 오류 수가 크거나, 반응 시간이 길수록 피실험자의 일반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의 증진이 요구된다. 따라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reaction time, and number of errors are measured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popular features. As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low, the number of errors is large, or the reaction time is long, the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general memory is required.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increase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 또는 기억력 평가 방법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연령별로 성별에 따른 기준 정답 수, 오답 수 및 오류 수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 결과가 높고 낮음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region is a working memory or a memory evaluation method,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have data on the number of standard correct answers, incorrect answers, and error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determine that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result of the subject's target region is high and low based on the above data.

표적 영역이 정서인 경우, 자가보고 설문의 형태인 BDI(Beck Depression Index) 및 BAI(Beck Anxiety Inde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우울 증상 및 불안 증상과 관련된 점수를 평가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rea is emotion, scores related to the subject's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may be evaluated using at least one of BDI (Beck Depression Index) and BAI (Beck Anxiety Index) in the form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이 때, 자가보고 설문의 점수가 높을수록 피실험자의 우울 증상 또는 불안 증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높일 수 있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자가보고 설문의 점수에 따른 우울 증상 및 불안 증상의 심각도를 나누는 기준 점수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igher the score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more severe the subject's depressive symptoms or anxiety symptoms may be.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increase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have a reference score for dividing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symptoms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표적 영역이 정서인 경우, 경두개 직류 자극을 통한 증상 완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피실험자에게 진행 과제가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진행 과제는 명상 및 긴장 완화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When the target area is emotion, a task may be given to the subject whil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being per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symptom relief effect throug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s an example, the progress task may be at least one of meditation and relaxation techniques.

표적 영역이 수면인 경우, 자가보고 설문의 형태인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및 AIS(Athens Insomnia Scal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불면 증상과 관련된 점수를 평가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rea is sleep, at least one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the Athens Insomnia Scale (AIS) in the form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may be used to evaluate a score related to the subject's insomnia symptoms.

이 때, 자가보고 설문의 점수가 높을수록 피실험자의 수면 장애 증상 또는 불면 증상이 심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높일 수 있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자가보고 설문의 점수에 따른 수면 장애 증상 및 불면 증상의 심각도를 나누는 기준 점수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igher the score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more severe the sleep disorder symptoms or insomnia symptoms of the subject.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increase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have a reference score for dividing the severity of sleep disorder symptoms and insomnia symptoms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표적 영역이 수면인 경우, 경두개 직류 자극을 통한 증상 완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피실험자에게 진행 과제가 부여될 수 있다. 일례로, 진행 과제는 명상 및 긴장 완화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When the target region is sleep, a task may be given to the subject whil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being per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symptom relief effect throug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s an example, the progress task may be at least one of meditation and relaxation techniqu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201)에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피실험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201 ,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ubject's genotype and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 for a target region requiring cognitive enhancement.

제1 평가 결과는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전에 피실험자에 의해 수행된 표적 영역의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제2 평가 결과는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중에 피실험자에 의해 수행된 표적 영역의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제3 평가 결과는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전에 피실험자에 의해 수행된 표적 영역의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performed by the subject befor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performed.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is an evaluation result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performed by the subject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performed by the subject before perform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일례로, 표적 영역은 피실험자가 인지 증강을 하고자 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작업 기억력, 일반 기억력, 정서 및 수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target region may mean a region in which the subject intends to enhance cognition, at least one of working memory, general memory, emotion, and sleep may be selected.

단계(202)에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1 평가 결과,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202 ,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target region.

피실험자의 유전형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유전형에 따라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자극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표적 영역에 따라 인지 기능을 수행하는 뇌 내 영역이 달라지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Since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genotype of the subject,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adjust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ccording to the genotype.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in the brain that performs the cognitive function varies according to the target region,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set the stimulation position of the protocol differently.

경두개 직류 자극 전의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 점수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을 통해 인지 기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라,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자극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befor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degree to which the cognitive function is enhanced through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adjust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일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 유전형을 고려하여 아래 표 2와 같이 경두개 직류 자극 포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s shown in Table 2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region and genotype of the subject.

Figure 112019117486348-pat00002
Figure 112019117486348-pat00002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를 전두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신경영양인자의 일종인 BDNF의 유전형이 발린(Val)/발린, 발린/메티오닌(Met) 및 메티오닌/메티오닌 조합인지에 따라 자극 시간, 자극 세기 및 자극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When the target region is working memory,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set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lobe.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varies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genotype of BDNF, a type of neurotrophic factor, is a combination of valine (Val)/valine, valine/methionine (Met), and methionine/methionine. can do.

일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인지 증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피실험자의 BDNF 유전형이 발린/발린 조합인 경우, 자극 시간을 30분, 자극 세기를 1mA 및 자극 횟수를 1주일 당 3회로 설정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maximize the cognitive enhancement effec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sets the stimulation time to 30 minutes, the stimulation intensity to 1 mA,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 to 3 times per week when the subject's BDNF genotype is a valine/valine combination. On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an be created.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작업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the protocol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working memory is lower. can create

일례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피실험자의 성별, 나이에 따른 기준 점수보다 낮을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을 10분 추가하고, 자극 횟수를 1주일 당 1회씩 추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core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subjec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adds 10 minutes of stimulation time of the protocol, and adds the number of stimulations once per week. can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를 전두엽 및 측두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BDNF의 유전형이 발린/발린, 발린/메티오닌 및 메티오닌/메티오닌 조합인지에 따라 자극 시간, 자극 세기 및 자극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When the target region is general memory,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set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lobe and the temporal lobe. In this cas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vary the stimulation time,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genotype of BDNF is valine/valine, valine/methionine, and methionine/methionine combination.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일반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the protocol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for evaluating the subject's general memory is lower. can create

일례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피실험자의 성별, 나이에 따른 기준 점수보다 낮을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을 10분 추가하고, 자극 횟수를 1주일 당 1회씩 추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core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subjec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adds 10 minutes of stimulation time of the protocol, and adds the number of stimulations once per week. can

표적 영역이 정서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를 전두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BDNF의 유전형이 발린/발린, 발린/메티오닌 및 메티오닌/메티오닌 조합인지에 따라 자극 시간, 자극 세기 및 자극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When the target region is an emotion,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set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lobe.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vary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genotype of BDNF is valine/valine, valine/methionine, and methionine/methionine combination.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정서에 대한 우울 증상 또는 불안 증상의 여부를 평가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whether the subject's emotions have depressive symptoms or anxiety symptoms increases. By doing so, the protocol can be created.

표적 영역이 수면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를 전두엽 및 두정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BDNF의 유전형이 발린/발린, 발린/메티오닌 및 메티오닌/메티오닌 조합인지에 따라 자극 시간, 자극 세기 및 자극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When the target region is sleep,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set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to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vary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according to whether the genotype of BDNF is valine/valine, valine/methionine, and methionine/methionine combination.

일례로, 피실험자의 표적 영역이 수면이고 피실험자의 BDNF 유전자형이 메티오닌/메티오닌인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자극 시간을 50분, 자극 세기를 2mA 및 자극 횟수를 1주일 당 5회로 설정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arget region of the subject is sleep and the subject's BDNF genotype is methionine/methionin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sets the stimulation time to 50 minutes, the stimulation intensity to 2 mA,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 to 5 times per week. A 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an be created.

이 때,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정서에 대한 수면 장애 증상 또는 불면 증상의 여부를 평가한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whether the subject's emotion has a sleep disorder symptom or insomnia symptom,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us intensity, the stimulus intensity,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timulus of the protocol. By increasing the above protocol can be created.

단계(203)에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203 ,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receive a secon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dur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를 통해 생성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은 피실험자의 두피에서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및 후두엽 중 적어도 하나이 이상에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하여 비침습적으로 뇌를 자극함으로써 수행된다.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ed through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s performed by non-invasively stimulating the brain by flowing a direct current to at least one of the frontal, temporal,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in the subject's scalp. is carried out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을 수행하면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가 다시 수행된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중에 수행된 인지 기능 평가 결과인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한다.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the target area is performed again.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receives a second evaluation result, which is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result performed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제1 평가 결과와 제2 평가 결과의 차이(A)와 제1 평가 결과와 제3 평가 결과의 차이(B)의 차이(B-A)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차이(B-A)가 음수 일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한가지 이상을 증가시킨다.The stimulation position, stimulation time, and stimulation intensity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A) betwe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third evaluation result (B)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may b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A is negativ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at least one of a stimulation position, a stimulation time, a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단계(204)에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204 ,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receive a thir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after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performed.

피실험자는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를 통해 생성된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한 이후,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를 다시 수행한다.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ed through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the subject performs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on the target region again.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른 인지 증강의 정도를 판단하고, 증강의 정도에 고려하여 피실험자에게 적합한 새로운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determine the degree of cognitive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nd generate a new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suitable for th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the enhancement.

단계(205)에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1 내지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205 ,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chang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comparing the first to third evaluation results.

일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보다 제3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은 경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performs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can be changed

일례로, 제1 평가 결과와 제2 평가 결과의 차이(A)와 제1 평가 결과와 제3 평가 결과의 차이(B)의 차이(B-A)에 따라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차이(B-A)가 음수 일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한가지 이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A) between the difference (A)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and the difference (B)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third evaluation result, the stimulation position and stimulation time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 the intensity of stimulation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can b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A is a negative number,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increase one or more of a stimulation position, a stimulation time, a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일례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와 제3 평가 결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점수 보다 낮은 경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a preset reference scor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the stimulation intensity, and the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he 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an be modif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생성 및 적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nd apply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를 통해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전, 수행 중, 수행 후의 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대한 피드백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3 shows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ed through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and us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cognitive function before, during, and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feedback for the 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유전형 정보 및 인지 증강을 하고자 하는 표적 영역을 이용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가적으로,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성별, 나이 등을 고려할 수 있다. 표적 영역의 예시로 작업 기억력, 일반 기억력, 정서 및 수면이 있을 수 있다. 위 표적 영역에 대해서 피실험자가 인지 기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인 제1 평가 결과(301)는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의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otocol generating apparatus 101 may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using the subject's genotype information and a target region for cognitive enhancement. In this case,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additionally consider the subject's gender, age, and the like. Examples of target areas may include working memory, general memory, emotion, and sleep. The first evaluation result 301 , which is a result of the subject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region, may be used to generate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

표적 영역이 정서 또는 수면인 경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중에, 피실험자는 진행 과제로써 명상 또는 긴장 완화법을 수행할 수 있다.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 또는 일반 기억력인 경우, 경두개 직류 자극 수행 중에 작업 기억력 또는 일반 기억력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target area is emotion or sleep,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the subject may perform meditation or relaxation method as a progress task. When the target area is working memory or general memory, a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working memory or general memory may be performed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위 표적 영역에 대해서 피실험자가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에 인지 기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인 제2 평가 결과(302)는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의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변경에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evaluation result 302 , which is a result of the test subject performing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while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region, may be used to chang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of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

피실험자는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를 다시 수행한다.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피실험자의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 평가의 결과인 제3 평가 결과(303)를 이용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변경에 이용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subject re-evaluat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area.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use the third evaluation result 303, which is a result of th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the target region after the subject'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s performed, to chang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3 평가 결과(303)의 점수와 제1 평가 결과(301)의 차이를 고려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피드백할 수 있다.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feed back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transcranial DC stimulation protocol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303 and the first evaluation result 301 .

예를 들어,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제3 평가 결과(303)의 점수가 제1 평가 결과(301)의 점수보다 훨씬 높은 경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거의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303 is much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301 ,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may hardly change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그러나, 제3 평가 결과(303)의 점수가 제1 평가 결과(301)의 점수보다 낮거나 비슷한 경우,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303 is low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301, the protocol generating device 101 increases the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doing so,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an be modifi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optical reading media, and digital storage media.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for processing by, 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eg, a programmable processor, computer, or number of computer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e an information carrier, eg, a machine readable storage It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 program tangibly embodied in a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or a radio signal. A computer program, such as the compute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in a module, component, subroutine, or computing environment.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process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to be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In general,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 only memory or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that store instructions and data. In general, a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for example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receiving data from, sending data to, or both. may be combined to become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ar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DVD (Digital Video Disk),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optical disk, ROM (Read Only Memory), RAM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the like. Processors and memories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lud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any computer storage medium.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descriptions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particular inventions.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claimed as such,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acts are depicted in the figure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all acts shown must be performed or that such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devic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have to understand that you ca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1: 개인 맞춤형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101: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on device

Claims (17)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가 결과, 상기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2 ,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Receiving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requiring cognitive enhancement;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target region;
receiving a second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dur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receiving a thir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compar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aluation results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하는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포함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ocol is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ing a stimulation location fo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reating the protocol comprises:
When the target area is working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측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reating the protocol comprises:
When the target area is general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r mor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A method of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generating the protoc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정서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reating the protocol comprises:
When the target region is an emotion,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the protocol is perform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적 영역이 수면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두정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reating the protocol comprises:
When the target area is sleep,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generating a protoc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보다 제3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은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es: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protocol is chang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가 결과와 제2 평가 결과의 차이보다 상기 제1 평가 결과와 제3 평가 결과의 차이가 작을 때,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e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small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the stimulation position,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A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wherein the protocol is modified.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인지 증강이 필요한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 제1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 상기 유전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표적 영역에 기초하여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중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2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경두개 직류 자극의 수행 이후 상기 표적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재평가한 제3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 2, 제3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es a processor;
The processor is
Receive a first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for a target region requiring information on genotype and cognitive enhancement, and perform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ased o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genotype and the target region generating, receiving a secon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dur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receiving a second evaluation result of re-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arget region afte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 receiving the third evaluation result re-evaluated, and changing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by compar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evaluation result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경두개 직류 자극을 수행하는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를 포함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ocol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comprising a stimulation location for perform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stimulation time, a stimulation intensity, and a number of stimulat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작업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target area is working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A device for generating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일반 기억력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측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target area is general memory,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lower, at least one or mor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protoc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정서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target region is an emotion,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lobe,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the protocol is perform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적 영역이 수면일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는 전두엽 및 두정엽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평가 결과의 점수가 높을수록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target area is sleep, the stimulation location of the protocol is set to the frontal and parietal lobes, and as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is highe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 of the protocol is increased.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 protoc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평가 결과의 점수보다 제3 평가 결과의 점수가 낮은 경우,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세기,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score of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lower than the score of the first evaluation result, the protocol is changed by increasing at least one of stimulation intensity,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평가 결과와 제2 평가 결과의 차이보다 상기 제1 평가 결과와 제3 평가 결과의 차이가 작을 때, 상기 프로토콜의 자극 위치, 자극 시간, 자극 강도 및 자극 횟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경두개 직류 자극 프로토콜 생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third evaluation result is small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evaluation result, by increas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imulation position, stimulation time, stimulation intensity, and number of stimulations of the protoco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generating device for changing the protocol.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8 is recorded.
KR1020190146760A 2019-11-15 2019-11-15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KR102312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0A KR102312387B1 (en) 2019-11-15 2019-11-15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PCT/KR2020/001562 WO2021095995A1 (en) 2019-11-15 2020-02-03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60A KR102312387B1 (en) 2019-11-15 2019-11-15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81A KR20210059381A (en) 2021-05-25
KR102312387B1 true KR102312387B1 (en) 2021-10-13

Family

ID=7591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760A KR102312387B1 (en) 2019-11-15 2019-11-15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2387B1 (en)
WO (1) WO202109599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99B1 (en) * 2022-08-09 2023-03-2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using personalize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50A1 (en) 2014-09-15 2016-03-24 Janssen Pharmaceutica Nv VAL66MET (SNP rs6265) GENOTYPE SPECIFIC DOSING REGIME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KR101949079B1 (en) 2018-02-26 2019-0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esonating Device and Method of Individual EEG Cognitive Frequency,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90200888A1 (en) 2017-12-31 2019-07-04 Neuroenhancement Lab,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oenhancement to enhance emotional respons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9906A (en) 2005-06-15 2006-12-20 郑云峰 Magnetic stimulating device for nervous centralis system and its usage method
US10779747B2 (en) * 2013-03-15 2020-09-22 Cerora, Inc. System and signature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stimulation and assessment of brain health
CA3046937A1 (en) * 2016-12-14 2018-06-21 Inner Cosmos Llc Brain comput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939537B1 (en) * 2018-07-13 2019-0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Memory Improving By Brain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150A1 (en) 2014-09-15 2016-03-24 Janssen Pharmaceutica Nv VAL66MET (SNP rs6265) GENOTYPE SPECIFIC DOSING REGIME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US20190200888A1 (en) 2017-12-31 2019-07-04 Neuroenhancement Lab,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oenhancement to enhance emotional response
KR101949079B1 (en) 2018-02-26 2019-0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esonating Device and Method of Individual EEG Cognitive Frequency,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81A (en) 2021-05-25
WO2021095995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dbeck et al. Neural speech restoration at the cocktail party: Auditory cortex recovers masked speech of both attended and ignored speakers
Leite et al. The effects of cross-hemispheric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task switching
Peel et al. A causal role for the cortical frontal eye fields in microsaccade deployment
Bouton et al. Focal versus distributed temporal cortex activity for speech sound category assignment
Kreitewolf et al. Hemispheric lateralization of linguistic prosody recognition in comparison to speech and speaker recognition
Hölig et al. Brain systems mediating voice identity processing in blind humans
KR1023123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ROTOCOL for cognitive enhancements
Salminen et al. Auditory spatial processing in the human cortex
Palomar-García et al. Do bilinguals show neural differences with monolinguals when processing their native language?
Pisoni et al. Separating recognition processes of declarative memory via anodal tDCS: boosting old item recognition by temporal and new item detection by parietal stimulation
Okada et al. Phonological feature repetition suppression in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
Gabitov et al. Done that: short-term repetition related modulations of motor cortex activity as a stable signature for overnight motor memory consolidation
Schechtman et al. Pallidal spiking activity reflects learning dynamics and predicts performance
Vaden Jr et al. Sublexical properties of spoken words modulate activity in Broca's area but not superior temporal cortex: implications for models of speech recognition
van de Sandt-Koenderman et al. Language lateralisation after melodic intonation therapy: an fMRI study in subacute and chronic aphasia
Sun et al. Impact of text on idea generation: an electroencephalography study
Roelofs Attention, spatial integration, and the tail of response time distributions in Stroop task performance
Turker et al. The use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echniques to improve reading difficulties in dyslexia: A systematic review
Flöel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and language processing in the healthy brain
Montani et al. Steady state visual evoked potentials in reading aloud: Effects of lexicality, frequency and orthographic familiarity
Messinger et al. Separable neuronal contributions to covertly attended locations and movement goals in macaque frontal cortex
de Zubicaray et al. Independent distractor frequency and age-of-acquisition effects in picture–word interference: fMRI evidence for post-lexical and lexical accounts according to distractor type
Klaus et al. Putting focus 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language production studies
Relander et al. Word semantics is processed even without attentional effort
Hämäläinen et al. TMS uncovers details about sub-regional language-specific processing networks in early biling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