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059B1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059B1
KR102312059B1 KR1020170056474A KR20170056474A KR102312059B1 KR 102312059 B1 KR102312059 B1 KR 102312059B1 KR 1020170056474 A KR1020170056474 A KR 1020170056474A KR 20170056474 A KR20170056474 A KR 20170056474A KR 102312059 B1 KR102312059 B1 KR 10231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baby carriage
stroller
pai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6405A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0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Abstract

유모차(10)는, 한 쌍의 전방 다리(22)를 가진 유모차 본체(15)와, 각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가진다.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진다. The baby carriage 10 has a baby carriage body 15 having a pair of front legs 22 and a pair of attachments 60 detachably mounted to each front leg 22 . Each attachment has an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removably mounted to a corresponding front leg, and an attachment body portion 65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and extending forward.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Stroller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유유아(乳幼兒)를 데리고 나갈 때에 사용되는 유모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현재,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타입의 유모차가 이용에 제공되고 있다. Strollers used to take infants and toddlers out are widespread. Currently, various types of strollers are provided for use according to the age of infants and toddlers.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4-73701A호는,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乳兒)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4-73701A호에 개시된 유모차는, 한 쌍의 암 레스트(arm rest)와, 한 쌍의 암 레스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유모차에서는, 암 레스트 및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유유아용 스페이스가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암 레스트 및 가이드 부재는, 유유아를 측부 또는 전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73701A discloses a stroller suitable for infants of relatively low age.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73701A has a pair of arm rests and a guide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arm rests. In this stroller, the space for infants and toddlers is partitioned by the armrest and the guide member. And the arm rest and the guide member also have the function of protecting an infant from a side or the front.

한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3-244909A호는, 비교적 높은 월령의 유아(幼兒)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월령이 높은 유아(幼兒)에 대해서는, 경량이고 취급성이 뛰어난 유모차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3-244909A호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유아(幼兒)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 부재가 좌석에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암 레스트나 가이드 부재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244909A discloses a stroller suitable for infants of relatively high age. For infants with a high age, a stroller that is lightweight and excellent in handling is often used. In the stroll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244909A, a belt member for fixing an infant is provided in the seat, but an arm rest or a guide member is not provided.

이상과 같이, 유모차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면,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 유모차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한 명의 유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복수의 유모차를 준비하는 것은, 경제적인 관점 뿐만 아니라 환경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폭넓은 월령의 유아에 대해서 적합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roll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troller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infant. However,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s well as the economic viewpoint to prepare a plurality of strollers according to the growth of one infa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suitable for infants of a wide range of ages.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진 유모차 본체와,a stroller body having a pair of front legs;

각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구비하며,having a pair of detachably mounted attachments on each front leg;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를 가진다. Each attachment has an attachment mounting portion removably mounted on a corresponding front leg, and an attachment body portion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and extending forward.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You may make the baby carriage by this invention further provide the guide member which is attached to the said attachment main body part, and connects the said pair of attachments.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내어진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도록 해도 괜찮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 can be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and the guide member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플레이트 모양이라도 좋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may have a plate shape.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암 레스트(arm rest)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괜찮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may function as an arm rest.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상기 차일드 시트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ild seat may be disposed 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of the pair of attachments, and the attachment body portion may have a lock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hild seat.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가,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괜찮다.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of the pair of attachm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 child seat detachably held by the baby carriage body via the pair of attachments.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shaft member connected to the attachment attaching portion to connect the pair of attachments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되어도 괜찮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haft membe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ttachment attach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乳幼兒)에 대해 적합하다.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infants and toddlers of a wide range of 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3은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어태치먼트 및 차일드 시트를 장착한 상태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유모차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유모차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유모차의 시트 지지체 및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어태치먼트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omprising: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baby carriage.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troller of Figure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oller in a state in which an attachment is attach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oller in a state in which an attachment and a child seat are mounte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stroller of Fig. 4;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stroller of Figure 3;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oller of Figure 2;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t support and guide member of the stroller of Figure 2;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ttach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attachment of FIG. 9 from another direc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 sea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유모차(10)는, 유아를 데리고 나갈 때에 이용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베이스 시트(sheet)재(11)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乳幼兒)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12)와,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하부에 배치된 바구니(13)와, 양단이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70)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방을 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어진 유모차(10)의 측면도이다. 또, 베이스 시트재(11)는, 도 2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1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m,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is shown in FIG. 1 . The stroller 10 is used when taking an infant out.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15 , a base sheet material 11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5 , and an infant riding in the baby carriage 10 . It has a cover 12 located at the upper part, a basket 13 disposed under the infant and toddler riding in the stroller 10 , and a guide member 70 having both ends attached to the main body 15 of the stroller. The guide member (7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of the infant and toddler on the stroller (10). FIG. 2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age 10 shown in FIG. 1 . In addition, illustration of the base sheet material 11 is abbreviate|omitted in FIG. 2 and the figure mentioned later.

한편,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60)를, 더 가지고 있다. 이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측방(前側方)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60)에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60)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8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유모차(10)는, 유모차 본체(15)에 더하여, 부속품으로서의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를 적절히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폭넓은 월령의 유아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5, the baby carriage 10 further has the attachment 60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so that it can be removed. This attachment 60 can be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fant riding on the stroller 10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stroller main body 15 . As shown in FIG. 3, the guide member 70 can be attached to this attachment 60. Moreover, as shown in FIG.4 and FIG.5, the child seat 80 can also be supported on this attachment 6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o the stroller main body 15, the baby carriage 10 demonstrated below, the attachment 60 as an accessory, the guide member 70, and the child seat 80 are combined suitably by using it, and a wide range of ages It is said to be suitable for infants of

이하, 유모차 본체(15),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해 간다. Hereinafter,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e attachment 60, the guide member 70, and the child seat 80 are demonstrated in order.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0)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해서 이용하는「전(前)」,「후(後)」,「상(上)」 및「하(下)」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는 경우, 전개(展開) 상태로 있는 유모차(10)의 베이스 시트재(11) 상에 착석한 유유아를 기준으로 하는「전」,「후」,「상」 및「하」를 의미한다. 따라서,「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의 좌측 아래와 우측 위를 연결하는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전」이란, 유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좌측 아래측이「전측」이 된다. 한편,「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아울러 유모차(10)의 접지면(接地面)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횡방향」 및「폭방향」은,「전후 방향」 및「상하 방향」중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게다가,「우(右)」 및「좌(左)」에 대해서도, 각각,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횡방향 또는 폭방향에서의「우」 및「좌」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and "lower" used for the stroller 10 and its components are specifically indicated. If there is no, it means "before", "after", "upper" and "lower" based on the infant seated on the base sheet material 11 of the stroller 10 in the unfolded state. Therefore, the "front-back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corners of the paper in FIG. 1 .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front" is the side toward which infants and young children face,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page in FIG. 1 becomes "front". On the other hand, the "up-down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ground plane of the baby carriage 10 .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of the baby carriage 10 is a horizontal plane, "up-and-down direction"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re directions orthogonal to any of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In addition, "right" and "left" also mean "right" and "left"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infants and toddlers, respectively.

먼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시트 지지체(40)와,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먼저, 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시트 지지체(40)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the baby carriage body 15 will be described. 1 , 2 , 7 and 8 , the baby carriage body 15 includes a seat support body 40 and a vehicle body frame 18 supporting the seat support body 40 . Among these, the sheet support body 40 is demonstrated mainly referring FIG. 8 first.

시트 지지체(40)는, 주된 구성으로서, 유유아의 상반신의 후방에 위치하고 유유아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배부(背部) 지지체(42)와, 유유아의 엉덩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엉덩이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게 되는 좌부(座部) 지지체(50)를 가지고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좌부 지지체(50)에 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있다. 배부 지지체(42)는, 좌부 지지체(50)에 대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부 지지체(42)의 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 각도, 즉 리클라이닝 각도는, 배부 지지체(42)의 배면을 통과하여 차체 프레임(18)에 장착된 리클라이닝 조절 벨트(33)(도 2 참조)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The seat support body 40 has, as a main configuration, a back support body 42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infant's upper body and supporting the infant from the rear, and a seat part located below the buttocks of the infant and supporting the buttocks from the lower part. (座部) has a support body (50).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is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body 50 from the rear.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is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support body 50 . The rocking angle of the distribution support 42 with respect to the seat support 50, that is, the reclining angle, passes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support 42 and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18 by the reclining adjustment belt 33 (refer to FIG. 2).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측(側)프레임부(44)와, 한 쌍의 측프레임부(44, 44)의 상단부에 피봇 장착된 상부 프레임부(47)를 가지고 있다. 각 측프레임부(44)의 하단부는, 좌부 지지체(50)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부(47)는, 각 측프레임부(44)에 접속하는 한 쌍의 측부(47a, 47a)와, 한 쌍의 측부(47a, 47a) 사이를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부(47b)를 포함하며, 세 방향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에 베이스 시트재(11)(도 1 참조)가 장착된 경우, 한 쌍의 측프레임부(44, 44)의 사이의 영역에 유유아의 등 가운데를 지지하는 면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부(47)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 내에 유유아의 머리 부분을 지지 또는 보호하는 면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8,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pivots on the upper end of a pair of side frame parts 44 and a pair of side frame parts 44, 44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arrange|positioned. It has a mounted upper frame portion (47). The lower end of each side frame portion 44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seat support body 50 . The upper frame portion 47 includes a pair of side portions 47a and 47a connected to each side frame portion 44 and a connecting portion 47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side portions 47a and 47a.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ee-way frame. As shown in FIG. 1, when the base sheet material 11 (refer to FIG. 1) is attached to the seat support body 40,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infant is placed in the area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 parts 44 and 44. A surface for supporting is formed, and a surface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the head of the infant is formed in the area surrounded by the upper frame part (4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부 지지체(42)는, 상부 프레임부(47)의 각 측부(47a)에 일단부가 피봇 장착된 한 쌍의 접속 프레임부(48)를, 더 가지고 있다. 접속 프레임부(48)의 타단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접속 프레임부(48)는, 베이스 시트재(11)(도 1 참조)를 지지하고,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한다. 또, 접속 프레임부(48)는,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부(47)를 측프레임부(4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링크재로서도 기능한다. As shown in FIG. 8 ,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necting frame portions 48 with one end pivotally attached to each side portion 47a of the upper frame portion 47 .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48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handle 28 as shown in FIG. 7 . The connection frame part 48 supports the base sheet material 11 (refer FIG. 1), and protects the infant seated on the stroller 10 from a side part. Moreover, the connection frame part 48 also functions as a link material which rotates the upper frame part 47 with respect to the side frame part 44 according to a reclining operation|movement.

다음으로, 이어서 도 8을 주로 참조하면서, 좌부 지지체(50)에 대해 설명한다. 좌부 지지체(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프레임 부분(50a, 50a)과, 한 쌍의 측프레임 부분(50a, 50a)의 선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분(50b)을 포함하며,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좌부 지지체(50)는, 배부 지지체(42)의 각 측프레임부(44)와 피봇 장착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와, 각 단부 접속재(52)에 전방으로부터 접속하고 또한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재(54)를 가지고 있다. 단부 접속재(52)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재(54)는, 통 모양 금속을 굽힘 가공하여 제작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54)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측의 단부 접속재(52)에, 체결구(具)(56)를 매개로 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 단부 접속재(52)와 프레임재(54)의 일부분에 의해서, 측프레임 부분(50a)이 형성되고, 프레임재(54)의 그 외의 부분에 의해서, 연결 프레임 부분(50b)이 형성되어 있다. Next, referring mainly to FIG. 8, the seat support body 50 is demonstrated. The seat support body 50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 parts 50a and 50a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connection frame part 50b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side frame parts 50a and 50a.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rame. However, as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seat support body 50 includes each side frame portion 44 of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 a pair of pivotally mounted end connection members 52 and 52 , and each end connection member 52 from the front. It has a frame member 54 for connecting and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end connecting members 52 and 52 . The end connecting material 52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olded product, and the frame material 54 is made of a member produced by bending a cylindrical metal. Both ends of the frame member 54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end connecting members 52 via a fastener 56 as a medium. Further, a side frame portion 50a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end connecting material 52 and the frame material 54 , and a connecting frame portion 50b is formed by the other portions of the frame material 54 . .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는, 한 쌍의 단부 접속재(52, 52)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측 상부 연결부재(41)를, 더 가지고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8, the sheet|seat support body 40 further has the rear side upper connection member 41 which connects between a pair of end connection materials 52 and 52.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지지체(40)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18)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7에서는, 도면에서의 바로 앞측(유모차(10)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야 할 일부의 구성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지지체(40)의 양측에, 프레임 부재(20),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5)가 마련되어 있다. 각 프레임 부재(2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측부에 위치한다. 이 프레임 부재(20)의 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전단부)에, 대응하는 측의 전방 다리(22) 및 후방 다리(25)의 상부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상단부)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전방 다리(22, 22)의 하단부에, 각각, 전륜(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후방 다리(25, 25)의 하단부에, 각각, 후륜(26)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Next, the vehicle body frame 18 supporting the seat support body 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mainly to FIGS. 1, 2 and 7 . In addition, in FIG. 7, some components which should be arrange|positioned at the immediately front side (right side in the baby carriage 10) in the figure are abbreviate|omitted.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1 , on both sides of the seat support 40 , a frame member 20 , a front leg 22 and a rear leg 25 are provided. Each frame member 2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fant seated in the stroller 10 . The front part (front end in the example shown) of this frame member 20, the upper part (in the example shown, the upper end) of the front leg 22 and the rear leg 25 on the corresponding side (top part in the example shown) are rockable is closely connected. A front wheel 23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front legs 22 and 22, respectively. A rear wheel 26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rear legs 25 and 25, respectively.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의 후방 부분(도시된 예에서는, 후단부)이, 핸들(28)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핸들(28)은, 폭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연장부(28a, 28a)와, 한 쌍의 연장부(28a, 28a)의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28b)를 가지며, 전체로서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8a)는, 막대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고, 핸들(28)의 중간 부분 또는 하부 부분에, 프레임 부재(20)가 피봇 장착되어 있다. A rear por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rear end portion) of the pair of frame members 20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handle 28 . The handle 28 has a pair of extension parts 28a, 28a which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olding part 28b which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parts 28a, 28a, as a whole. It is approximately U-shaped. The extension 28a extends in a rod shape, and the frame member 20 is pivotally mounted to the middle or lower portion of the handle 28 .

도 2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각 전방 다리(22)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된 한 쌍의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 각 후방 다리(25)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된 한 쌍의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그 전방 다리 연결부재(38) 및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서, 시트 지지체(40)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8)은, 시트 지지체(40)의 접속 프레임부(48)와도 접속하고 있다. 전방 다리 연결부재(38)는, 그 하단부(전단부)를, 전방 다리(22)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좌부 지지체(50)의 측프레임 부분(50a)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의 상단부(후단부)는, 좌부 지지체(50)를 이루는 단부 접속재(52)에 고착되어 있다.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그 하단부를, 후방 다리(25)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체(40)의 좌부 지지체(50)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배부 지지체(42)의 좌부 지지체(50)에 대한 요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 지지체(40)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시트 지지체(40)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는, 좌부 지지체(50) 뿐만 아니라, 배부 지지체(42)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7 , the vehicle body frame 18 includes a pair of front leg connecting members 38 pivotally mounted in the middle of each front leg 22 , and each rear leg 25 . It has a pair of rear leg connecting members (39) pivotally mounted in the middle part. As shown in FIGS. 2 and 7 , the vehicle body frame 18 is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body 40 by its front leg connecting members 38 and rear leg connecting members 39 .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ody frame 18 is also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48 of the seat support body 40 .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ront leg 22 at its lower end (front en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rear end) of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is connected to the side frame portion 50a of the seat support body 50 . 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rear end) of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is fixed to the end connecting member 52 constituting the seat support 50 .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is pivotably connected at its lower end to the rear leg (25).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50 of the seat support 40 . In particula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is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body 40 so as to be able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seat support body 40, centering on the pivot axis of the distribution support body 42 with respect to the seat support body 50 . ) is pivotally mounted. Therefore,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is pivotably connected not only to the seat support 50 but also to the distribution support 42 .

또, 핸들(28)의 각 연장부(28a)의 하단부는,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의 시트 지지체(40)에 대한 요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핸들(28)은 후방 다리 연결부재(39)에 피봇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28)은, 후방 다리 연결부재(39) 뿐만 아니라, 시트 지지체(40)의 배부 지지체(42) 및 좌부 지지체(50)에 대해서도 요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Further, the lower end of each extended portion 28a of the handle 28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 In particula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andle 28 is configured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with respect to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about the pivoting axis of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with respect to the seat support 40 as a center. A member 39 is pivotally mounted. Therefore, the handle 28 is pivotably connected not only to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but also to the distribution support 42 and the seat support 50 of the seat support 40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의 횡방향(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한 쌍의 전방 다리(22, 22)의 사이를 연결하는 풋 레스트(foot rest)(30)와, 한 쌍의 후방 다리(25, 25)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하부 연결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7, as a member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stroller 10, a foot rest 30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front legs 22 and 22; A rear lower connecting member 31 connecting the pair of rear legs 25 and 25 is provided.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와 접속 가능한 받이구(具)(58)가, 유모차 본체(15)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받이구(58)는, 시트 지지체(40), 특히 시트 지지체(40)의 단부 접속재(52)에 체결구(56)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있다. 받이구(58)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를 받는 받이 오목부(58a)를 가지고 있다. 받이 오목부(58a)는, 받이구(58) 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70)를 받아들이기 위한 중공(中空) 공간으로서, 받이구(58) 선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다만,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받이구(58)는, 단부 접속재(52) 이외의 좌부 지지체(50)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으며, 또는, 단부 접속재(52)나 차체 프레임(18)에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Moreover, as shown in FIG. 8, the receiving port 58 connectable with the guide member 70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ceiving member 58 is fixed to the seat support body 40 , in particular, to the end connecting member 52 of the seat support body 40 via a fastener 56 . The receiving tool 58 has a receiving concave portion 58a that receives the end of the guide member 70 . The receiving concave portion 58a is a hollow space for receiving the guide member 70 formed in the receiving port 58 , and is opened i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58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nd the receiving port 58 may be fixed to the seat support body 50 other than the end connecting member 52 , or to the end connecting member 52 or the vehicle body frame 18 . It's ok if it's fixed.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 본체(15)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핸들(28)을 일단 후측 상부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부로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서, 후방 다리 연결부재(39)를 후방 다리(25)에 대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따라서, 프레임 부재(20) 및 전방 다리 연결부재(38)는 핸들(28)에 대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보아 핸들(28)과 전방 다리(22)가 접근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핸들(28)의 배치 위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 본체(15)를 접을 수 있어,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6에는,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된 유모차 본체(15)를 접은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를 접힘 상태로부터 전개하려면, 상술한 접힘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거치면 된다.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hav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respective structural members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rear leg connecting member 39 is rotated clockwise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rear leg 25 by pulling up the handle 28 once to the rear upper part, and then pushing it down to the lower part. In accordance with this operation, the frame member 20 and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rotate clockwise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handle 28 . By this operation, the handle 28 and the front leg 22 approach and are arranged substantially in parallel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andle 28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can be folded, and the dimension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can be reduced in size. The 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o which the attachment 60 was attached i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plo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from the folded state, it is sufficient to go through a procedure opposite to that of the fol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어태치먼트(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전방 다리(22)에 우측의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되고, 좌측의 전방 다리(22)에 좌측의 어태치먼트(60)가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는,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어태치먼트(60)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지고 있다. Next, the attachment 6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S. 3-5, the attachment 60 of the right is attached to the front leg 22 of the right, and the attachment 60 of the left is attached to the front leg 22 of the left. A pair of attachments 60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for being comprised symmetrically. 9 and 10, each attachment 60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detachably mounted to the corresponding front leg 22, and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and is provided in the forward direction. It has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extended.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장착부(6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나 수지성의 통 모양재로 이루어지는 축부재(62)와, 축부재(62)에 고정된 상측 잠금구(具)(63) 및 하측 잠금구(64)를 가지고 있다. 축부재(62)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전방 다리(22)와 마찬가지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잠금구(64)는, 축부재(62)의 하단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는, 축부재(62)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하측 잠금구(64)로부터 이간한 위치에서, 축부재(62)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축부재(62)의 상단 부분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고정되어 있고, 하측 잠금구(64)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바로 아래가 되는 위치, 즉 축부재(62)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 및 하측 잠금구(64)는, 축부재(62)를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 가능한 여러 가지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includes a shaft member 62 made of, for example, a cylindrical material made of aluminum or resin, an upper locking member 63 fixed to the shaft member 62, and It has a lower fastener (64). The shaft member 62 extends parallel to the corresponding front leg 22 , 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extends in a straight line like the front leg 22 . The lower locking tool 64 is being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haft member 62 . The upper locking tool 63 is being fixed to the shaft member 6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locking tool 64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member 62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is fix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member 62, and the lower locking member 64 is positioned immediately below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that is, the shaft member ( 62) is fixed to the upper part. The upper locking member 63 and the lower locking member 6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types that can be mounted so that the shaft member 62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leg 22 .

또, 도시된 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잠금구(63) 및 하측 잠금구(64)는, 모두, 전방 다리(22)를 둘레 모양으로 포위(包圍)하는 통 모양부(63a, 6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통 모양부(63a, 64a)를 개방함으로써, 어태치먼트(60)를 전방 다리(22)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잠금구(6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부(63a)의 내면에 돌기(63b)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전방 다리(22)에는, 이 돌기(63b)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잠금구(63)의 돌기(63b)와 전방 다리(22)의 구멍을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해, 전방 다리(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특정의 위치에 어태치먼트(60)를 배치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상측 잠금구(63)의 돌기(63b)가 전방 다리(22)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통 모양부(63a)를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Moreov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as shown in FIG. 10, both the upper locking tool 63 and the lower locking tool 64 have the cylindrical part 63a which surrounds the front leg 22 in a circumferential shape. , 64a) can be formed. The attachment 60 can be removed from the front leg 22 by opening this cylindrical part 63a, 64a. And the upper locking tool 63 has the projection 63b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63a,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front leg 22, a hole (not shown) that can accommodate the projection 63b is formed. By engaging the protrusion 63b of the upper fastener 63 and the hole of the front leg 22 , the attachment 60 can be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leg 22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jection 63b of the upper locking tool 63 does not enter the hole of the front leg 22,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cylindrical portion 63a.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며, 축부재(62)로의 접속 위치로부터 전방 또한 상부로 넓어져 있다.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판 모양(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평탄한 상부면(65a)을 가지고 있고,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The attachment body part 65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olded product, and is extended forward and upward from the connection position to the shaft member 62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ttachment body part 65 is formed in plate shape (plate shape). Moreover, the attachment body part 65 has the flat upper surface 65a, and functions as an arm rest.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가이드 부재(70)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를 받는 받이 오목부(65b)를 가지고 있다. 받이 오목부(65b)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 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70)를 받아 들이기 위한 중공 공간으로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전방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 받이 오목부(65b) 내에는, 받이 오목부(65b) 내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70)의 걸림 돌기(75a)와 걸림 가능한 걸림 홈(65c)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홈(65c)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외표면에까지 노출된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9 and 1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uide member 70 is connectable to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The attachment body part 65 has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which receives the edge part of the guide member 70.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is a hollow space for receiving the guide member 70 formed in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nd is open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Moreover, in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the latching protrusion 75a of the guide member 70 inserted in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and the engaging groove 65c which can be latched are formed. The locking groove 65c is formed as a hol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

게다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그 상부면(65a)(도 9 참조)에서, 차일드 시트(80)를 하부로부터 지지한다. 그리고,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상부면(65a)의 단부에, 차일드 시트(8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65d)(도 9 참조)를 가지고 있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면(65a) 상에 재치된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67)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마련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마련된 걸림부(67)와 걸림으로써, 차일드 시트(80)의 유모차 본체(15) 및 어태치먼트(60) 상에서의 경도(傾倒), 및, 차일드 시트(80)의 유모차 본체(15) 및 어태치먼트(60) 상으로부터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걸림부(67)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로부터 측외부로 돌출된 측부 돌출 핀(68)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supports the child seat 80 from the bottom on its upper surface 65a (see Fig. 9). And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has the guide part 65d (refer FIG. 9) for positioning the child seat 80 in the edge part of the upper surface 65a. Moreover, as shown in FIG.9 and FIG.10, the child seat 8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65a, and the engaging part 67 which can engage are provided in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When the child seat 80 engages with the locking part 67 provided in the attachment body part 65, the hardness o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nd the attachment 60 of the child seat 80, and a chil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eat 80 from falling off from the stroller main body 15 and the attachment 60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ocking portion 67 is formed as a side projecting pin 68 protruding outward from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

게다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내측면에는,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경사 방지부(65e)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 방지부(65e)는, 도시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어태치먼트(60) 상에 재치된 차일드 시트(80)는, 측부 돌출 핀(68)과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어태치먼트(60)에 대해서 경사 가능하게 된다. 경사 방지부(65e)는, 차일드 시트(80)와 맞닿음으로써, 측부 돌출 핀(68)과 걸려 있지 않은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60) 상에서 경사져 버리는 것을 규제한다. Furthermore, as shown in FIG.9 and FIG.10, the child seat 80 and the latchable inclination prevention part 65e are provid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The inclination preventing portion 65e is formed as a wall surfa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hild seat 80 mounted on the attachment 60 becomes inclination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60 in the state which is not hooked with the side protrusion pin 68. When the inclination prevention part 65e contacts the child seat 80, the side protrusion pin 68 and the child seat 80 which are not hooked regulate that it inclines on the attachment 60.

도 3~도 5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 잠금구(63)는, 전방 다리(22) 위 중,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하측 잠금구(64)는, 전방 다리(22) 위 중, 전방 다리 연결부재(38)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62)는, 전방 다리(22)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유모차(10)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3-5 ,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is mounted on the front leg 22 , the upper locking member 63 is located on the front leg 22 ,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 It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and the lower locking tool 64 is located above the front leg 22, and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front leg connecting member 38. Moreo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was attached to the front leg 22, the shaft member 62 extends parallel to the front leg 22.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ttachment 60 can be removed from the stroller main body 15, depending on the age of the infant riding in the stroller 10, the attachment 60 can be removed and the stroller 10 can be used. have.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는, 연결축 부재(69)를 매개로 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연결축 부재(69)의 각 단부가, 대응하는 측에 위치하는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 부재(69)의 각 단부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하측 잠금구(6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연결축 부재(69)는, 각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연결축 부재(69)는, 통 모양 본체부(69a)와, 통 모양 본체부(69a)로부터 돌출된 핀(69b)을 가지고 있다. 핀(69b)은, 스프링등의 가압 부재에 의해, 통 모양 본체부(69a)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 방향에서의 외부로 향하여 통 모양 본체부(69a)로부터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하측 잠금구(64)에는, 이 핀(69b)을 받기 위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핀(69b)이 관통공에 끼워짐으로써, 연결축 부재(69)가 어태치먼트(60)에 접속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핀(69b)을 통 모양 본체부(69a)로 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핀(69b)이 관통공으로부터 빠져, 연결축 부재(69)를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9 and FIG.10, the pair of attachment 60 is mutually joined via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as a medium. Each end of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attaching part 61 of the attachment 60 located on the corresponding side. More specifically, each end of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is connected to the lower locking port 64 of the attachment attaching part 61 . Moreover,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is removable from each attachment 6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has a cylindrical body portion 69a and a pin 69b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69a. The pin 69b is urged by an urging member such as a spring to protrude from the cylindrical body 69a toward the out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69a.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receiving the pin 69b is formed in the lower fastener 64 . By fitting the pin 69b into the through hole,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is maintain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attachment 60 . On the other hand, by pushing the pin 69b toward the cylindrical body part 69a, the pin 69b comes out of the through hole, a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from the attachment 60.

다음으로, 가이드 부재(70)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7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의 사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 부재(7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15)에 직접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Next, the guide member 7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guide member 70 can be attached between a pair of attachments 60 .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uide member 70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without the attachment 60 as a medium, as shown in FIG.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가 전방으로 벗어나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또,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한다. 그 한편으로, 가이드 부재(70)는, 어태치먼트(60) 및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모차(10)에 유유아를 태우고 내릴 때,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서는, 가이드 부재(70)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고 유모차(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guide member 70 is a memb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fant seated in the stroller 10 . The guide member 70 effectively prevents the infant seated in the stroller 10 from moving forward, and also protects the infant in the stroller 10 from the front. On the other hand, the guide member 70 is detachable from the attachment 60 and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 For example, when putting an infant on and off the stroller 10 ,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guide member 70 . Moreover, the guide member 7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depending on the age of the infant who rides in the stroller 10.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remove the guide member 70 and use the stroller 10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는, 벨트 모양의 가이드 본체(71)와, 가이드 본체(7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단부 접속구(具)(72)를 가지고 있다. 이 중, 가이드 본체(71)는, 만곡 가능 또는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수지나 고무로 이루어지는 벨트 모양의 부재에 의해서, 가이드 본체(7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단부 접속구(72)는, 가이드 본체(71)의 양단부를 파지하고, 가이드 부재(70)의 양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부 접속구(72)는, 어태치먼트(60) 또는 유모차 본체(15)로의 접속 부위를 구성한다. As shown in FIG. 9 , the guide member 70 has a belt-shaped guide body 71 and end couplers 72 fixed to both ends of the guide body 71 , respectively. Among them, the guide body 7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urved or bent. As an example, the guide body 71 can be formed by a belt-like member made of resin or rubber.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end couplers 72 hold both ends of the guide body 71 and form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70 . This end coupler 72 constitutes a connecting portion to the attachment 60 or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의 단부 접속구(72)를 받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는, 받이 오목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 오목부(65b)에는, 가이드 부재(70)의 단부 접속구(72)에 형성된 텅부(tongue部)(74)가 삽입되게 된다. 받이 오목부(65b)에는 걸림 홈(65c)이 형성되고, 텅부(74)에는 걸림 돌기(75a)가 형성되어 있다. 텅부(74)의 걸림 돌기(75a)가, 받이 오목부(65b)의 걸림 홈(65c)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고정된다. 또, 걸림 돌기(75a)와 걸림 홈(65c)과의 걸림은, 텅부(74)를 휘게 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걸림 돌기(75a)와 걸림 홈(65c)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70)를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concave portion 65b is formed in the attachment main body portion 65 that receives the end coupler 72 of the guide member 70 . A tongue 74 formed in the end connector 72 of the guide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recess 65b. The locking groove 65c is formed in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and the locking projection 75a is formed in the tongue part 74. As shown in FIG. The guide member 70 is fixed to the attachment 60 by the locking projection 75a of the tongue part 74 being fitted in the locking groove 65c of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Moreover, the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projection 75a and the locking groove 65c is released by bending the tongue 74 .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75a and the locking groove 65c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guide member 70 from the attachment 60 .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15)의 받이구(58)에 장착할 수 있다. 받이구(58)의 받이 오목부(58a)는, 어태치먼트(60)의 받이 오목부(65b)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받이구(58)에는, 어태치먼트(60)의 걸림 홈(65c)과 동일한 걸림 홈(58b)이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8, the guide member 70 can be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58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 The receiving recessed part 58a of the receiving tool 58 is formed similarly to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of the attachment 60. Moreover, the locking groove 58b similar to the locking groove 65c of the attachment 60 is formed in the receiving tool 58. As shown in FIG.

여기서, 도 9에 나타내어진 하나의 구체예에 근거하여, 단부 접속구(72)에 대해 추가로 상술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텅부(74)는, 상술한 걸림 돌기(75a)가 형성된 텅편(tongue片)(75)과, 텅편(75)을 지지하는 지지부(76)를 가지고 있다. 텅편(75)은, 가이드 부재(70)의 선단이 되는 측에 위치하는 기단부(75b)에 의해 지지부(76)에 접속되어 있다. 기단부(75b)의 반대측이 되는 텅편(75)의 선단부(75c)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텅편(75)은 지지부(76)에 대해서 휠 수 있다. 제1 부재(73)의 텅부(74)가, 어태치먼트(60)의 받이 오목부(65b) 또는 받이구(58)의 받이 오목부(58a)에 삽입되고, 텅편(75)의 걸림 돌기(75a)가 받이 오목부(65b, 58a)의 걸림 홈(65c, 58b)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 또는 받이구(58)에 고정된다. 한편, 텅편(75)의 선단부(75c)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걸림 돌기(75a)가 걸림 홈(65c, 58b)으로부터 빠진다. 이것에 의해, 텅부(74)를 받이 오목부(65b, 58a)로부터 꺼내어, 가이드 부재(70)를 어태치먼트(60) 또는 받이구(58)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Here, based on on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end fittings 72 are further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9, the tongue part 74 has the tongue piece 75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75a mentioned above was formed, and the support part 76 which supports the tongue piece 75. As shown in FIG. The tongue piece 7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76 by the base end part 75b located in the side used as the front-end|tip of the guide member 70. As shown in FIG. By pressing the front-end|tip part 75c of the tongue piece 75 used as the opposite side to the base end part 75b, the tongue piece 75 can ben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76. The tongue part 74 of the 1st member 73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recessed part 65b of the attachment 60 or the receiving recessed part 58a of the receiving tool 58, and the locking projection 75a of the tongue piece 75 )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s 65c and 58b of the receiving recesses 65b and 58a, so that the guide member 70 is fixed to the attachment 60 or the receiving tool 58 . On the other hand, by pressing the front-end|tip part 75c of the tongue piece 75, the locking projection 75a comes off from the locking grooves 65c, 58b. Thereby, the tongue part 74 is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recesses 65b, 58a, and it becomes possible to remove the guide member 70 from the attachment 60 or the receiving tool 58.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차일드 시트(80)에 대해 설명한다. 차일드 시트(80)는, 체격이 작은 유유아를, 어른용으로 제작된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착석 또는 옆으로 눕히기 위해 사용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5)는,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여 차일드 시트(80)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일드 시트(80) 내에 수면 중인 유유아를 일으켜 버리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유모차(10)로 바꿔 타거나 또는 유모차(10)로부터 차량으로 바꿔 타는 것이 가능해진다. Next, the child seat 80 is demonstrated. The child seat 80 is used to stably sit or lay a small infant or toddler on a seat of a vehicle manufactured for adults. 4 and 5,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is able to hold|maintain the child seat 80 via the attachment 60 as a medium. Therefore,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from a vehicle to the stroller 10, or to change rides from the stroller 10 to a vehicle, without raising an infant sleeping in the child seat 80, for example.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는, 유유아를 수용하는 케이싱(81)과, 케이싱(81)에 장착된 파지 손잡이(84)를 가지고 있다. 케이싱(81)은, 유유아를 착석 또는 옆으로 눕힐 수 있는 수용체로 되어 있다. 케이싱(81)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쿠션재가 배치된다. 유아는, 이 쿠션재 상에 착석 또는 옆으로 눕혀진다. 케이싱(81)은, 상부 가장자리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부(82)를 가지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돌기부(82)는, 유모차 본체(15) 상에 재치되었을 때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8)에 맞닿게 된다. 위치 결정 돌기부(82)가 핸들(28)에 맞닿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80)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후방으로 위치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As shown in FIG. 11 , the child seat 80 has a casing 81 for accommodating infants and toddlers, and a gripping handle 84 attached to the casing 81 . The casing 81 is made of a container that can seat or lay an infant on its side. In the casing 81, a cushioning material (not shown) is disposed. Infants are seated on this cushioning material or laid on their side. The casing 81 has a pair of positioning projections 82 on its upper edge. When this positioning projection part 82 is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to FIG. 4 and FIG. 5, it abuts against the handle 28. As shown in FIG. When the positioning projection 82 abuts against the handle 28 , the child seat 80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81)은, 그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측부 팽출부(膨出部)(83)를 가지고 있다. 측부 팽출부(83)는, 측외부로 팽출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 상에 유지하는 경우, 이 측부 팽출부(83)가,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재치된다.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재치된 측부 팽출부(83)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가이드부(65d)와 맞닿게 된다. 측부 팽출부(83)가 가이드부(65d)에 맞닿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80)가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전방으로 위치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casing 81 has a pair of side bulges 83 provided in the both sides. The side bulging part 83 is bulging out to the side. As shown in FIG. 4, when hold|maintaining the child seat 80 on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is side bulging part 83 is mounted on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of the attachment 60. As shown in FIG. The side bulging part 83 mounted on the attachment body part 6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part 65d of the attachment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When the side bulge 83 abuts against the guide portion 65d, the child seat 80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

측부 팽출부(83)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의 걸림부(67)(측부 돌출 핀(68))와 걸리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부 팽출부(83)는, 미도시의 노치에 수용된 측부 돌출 핀(68)을 유지하는 미도시의 락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락 수단에 의해서, 차일드 시트(80)가 어태치먼트(6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파지 손잡이(84)는, U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파지 손잡이(84)의 양단부가 측부 팽출부(83)에 측외부로부터 덮이도록 하여, 파지 손잡이(84)는 케이싱(81)에 장착되어 있다. 파지 손잡이(84)는, 케이싱(8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The side bulging part 83 is formed with a notch to engage with the locking part 67 (side projecting pin 68) of the attachment body part 6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ide bulging part 83 has a locking means (not shown) for holding the side protruding pins 68 accommodated in the notch (not shown). By this locking means, it can avoid that the child seat 80 comes off from the attachment 60 unintentionally. The gripping handle 84 has a U-shaped shape. The gripping handle 84 is attached to the casing 81 so that both ends of the gripping handle 84 are covered from the side and the outside to the side bulge 83 . The gripping handle 84 may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casing 81 .

이상에서 설명해 온, 유모차(10)는, 유유아의 성장 단계에 맞추어, 월령이 낮은 시기로부터 순서대로, 다음의 제1~ 제5 사용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1 사용 형태 내지 제5 사용 형태로부터 유유아의 월령에 따라 적합한 형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서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troller 10 explained above can take the following 1st - 5th use forms in order from the time of a month age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stage of infants and toddlers. It is possible to set it as a stroller suitable for infants and toddlers of a wide age by selecting a suitable form according to the age of an infant from a 1st use form - a 5th use form.

먼저, 가장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에 적합한 제1 사용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 및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10)에 장착하는 사용 형태이다.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는, 차일드 시트(80)에 의해서,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게 된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예에서, 차일드 시트(80) 내의 유아(乳兒)는,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에서의 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28)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후방으로부터 조종하는 보호자는, 월령이 낮은 유아(乳兒)의 얼굴을 보고 유아(乳兒)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First, the 1st use form suitable for infants with the lowest age is a use form which attaches the attachment 60 and the child seat 80 to the stroller 10, as shown in FIG.4 and FIG.5. Infants with a low age are more safely protected by the child seat 80 .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infant in the child seat 80 will face the rear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guardian who grips the handle 28 and controls the stroller 10 from the rear can easily confirm the state of the infant by looking at the face of the infant whose age is low.

도 4 및 도 5에서는,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때, 차일드 시트(80)가 배치되어야 할 스페이스가,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와,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구획된다. 이것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일드 시트(80)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어, 차일드 시트(80)를 유모차 본체(15)에 의해 확실히 장착할 수 있다. 4 and 5 , the guide member 70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60 . Therefore, when the child seat 80 is mounted on the stroller body 15, the space in which the child seat 80 is to be disposed is a pair of frame members 20, a pair of attachments 60, and a guide It is partitioned by a member 70 . Thereby, the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child seat 80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the child seat 80 can be reliably attached by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

그 한편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형태에서, 가이드 부재(70)는, 그 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한다고 하는 본질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형태에서는,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내어도 좋다. 그 한편으로,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차일드 시트(80)를 어태치먼트(60) 및 유모차 본체(15) 상에 재치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부재(70)는, 차일드 시트(80)의 전방으로의 벗어남을 규제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부재(70)의 분실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어태치먼트(60)에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한 그대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 shown in FIGS. 4 and 5, the guide member 70 does not exhibit the essential function of protecting the infant from the front. Therefore, in the first aspect, the guide member 70 may be removed.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state with which the guide member 70 was attached to the attachment 60, the child seat 80 can be mounted on the attachment 60 and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70 can contribute to regulating the forward deviation of the child seat 80 . Furthermore, from a viewpoint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guide member 70, it is also useful to leave the guide member 70 attached to the attachment 60 as it is.

다음으로, 제2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80)가 떼어내어지고, 그 한편으로, 어태치먼트(6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되며 또한 가이드 부재(70)가 어태치먼트(60)에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내어진 제2 사용 형태에서,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고,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이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 및 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보호자에 대해서 시각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게다가, 차일드 시트(80)를 떼어낸 것에 의해, 유모차(10)가 큰 폭으로 경량화된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Next, as for the 2nd use form, as shown in FIG. 3, the child seat 80 is removed, on the other hand,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nd the guide member 70 is It is mounted on the attachment 60 . In the second use form shown in FIG. 3 , the attachment 60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infant seated in the stroller 10 , and the guide member 7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fant seated in the stroller 10 . located in Thereby, by this attachment 60 and the guide member 70, an infant can be protected from a side and the front, and visual security can be given with respect to a protector. Furthermore, by removing the child seat 80, the baby carriage 10 is greatly reduced in weight. Therefore, the handle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시트 지지체(40)의 좌부 지지체(50)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프레임 부재(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높이 위치에서 당해 프레임 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넓어지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효과적으로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of the attachment 60 is positioned above the seat support body 50 of the seat support body 40 , and a height position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with the frame member 20 .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member 20 in the . Moreover,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is formed in the plate shape which sprea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By these structures,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can protect infants and children from a side part effectively.

또, 어태치먼트(6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프레임 부재(20)로부터 이간하여 프레임 부재(2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프레임 부재(20)와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80)를 장착 및 떼어낼 때, 유모차(10)를 접을 때 및 전개할 때, 그리고, 유모차(10)의 주행 중에 어태치먼트(60)가 전방 다리(22)에 대해서 진동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에 의류 등이 사이에 끼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의 간극이, 전방 다리(22)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의 사이의 간극보다도 큰 폭으로, 예를 들면 5배~15배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로의 끼워 넣어짐을 간단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태치먼트 본체부(65)와 프레임 부재(20)와의 사이에 팔 등이 끼워진 경우에, 빠지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wa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member 20,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ame member 20. As shown in FIG. That i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rame member 20 and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 Therefore, when attaching and removing the child seat 80, when folding and unfolding the baby carriage 10, and when the attachment 60 vibr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leg 22 while the baby carriage 10 is running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lothing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and the frame member 20 . In particula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gap between the attachment body part 65 and the frame member 20 is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front leg 22 and the attachment mounting part 61, for example, 5 times. ~15 times larger. Therefore, not only can it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fitted between the attachment body part 65 and the frame member 20, but also when an arm is sandwiched between the attachment body part 65 and the frame member 20, I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alling out.

게다가, 제2 사용 형태 내지 제5 사용 형태에서, 유모차(10)에 착석한 유유아는, 유모차(10)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to fifth modes of use, the infant seated in the baby carriage 10 faces forwar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of infants and toddlers riding in the stroller 10 .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는, 전방 다리(22)에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모차(10)의 전개 및 접힘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9에 나타내어진 예에서는, 어태치먼트(60) 및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접혀진 유모차(10)가, 자립(自立)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및 보관시에서의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6, the attachment 60 is connected only to the front leg 2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and the guide member 70 are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as they are, the baby carriage 10 can be deployed and folded. In particula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the baby carriage 10 fol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and the guide member 70 were attached is made to stand on its ow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ndling properties of the stroller 10 during storage and storage.

다음으로, 제3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가이드 부재(70)를 빼낸 상태이다. 즉,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어태치먼트(60)만을 장착한 상태가 된다.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제2 사용 형태와 마찬가지로, 어태치먼트(60)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보호자에 대해서 시각적인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유유아의 전방의 시야에 가이드 부재(7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유아는, 개방감이 있는 쾌적성을 누릴 수 있다. Next, the 3rd use form is the state which took out the guide member 70 from the state shown in FIG. That is, in the third use form, only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 In the 3rd use form, similarly to the 2nd use form, an infant can be protected from the side by the attachment 60, and a visual security feeling can be given to a protector. Moreover, since the guide member 70 does not exist in the visual field in front of infants and toddlers, infants can enjoy the comfort with a feeling of openness.

또, 제3 사용 형태에서는, 시트 지지체(40) 자체에 마련된 벨트재 등에 의해서, 유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시트 지지체(40) 자체의 벨트재 등을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낸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직접 장착하고, 이 가이드 부재(70)를 이용하여, 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해도 괜찮다. Moreover, you may make it fix an infant to the stroller main body 15 with the belt material etc. provided in the seat support body 40 itself in the 3rd use form.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the belt material of the seat support body 40 itself, the guide member 70 removed from the attachment 6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and using this guide member 70, The infant may be fixed to the stroller body 15 .

제4 사용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유모차 본체(15)에 가이드 부재(70)를 직접 장착한 상태이다. 제4 형태에서는,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15)에 유유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유유아의 전방 및 측부의 시야에 가이드 부재(70)나 어태치먼트(60)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는, 개방감이 있는 쾌적성을 누릴 수 있다. 또,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유모차(10)가 경량화되어, 유모차(10)의 취급성이 더 개선된다. The 4th use form is the state which removed the attachment 60 and attached the guide member 70 directly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1 and FIG.2. In the fourth aspect, an infant can be stably fixed to the stroller main body 15 by the guide member 70 attached to the stroller main body 15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uide member 70 and the attachment 60 do not exist in the visual field of the front and the side of an infant, an infant can enjoy the comfort with a feeling of openness. Moreover, by removing the attachment 60, the baby carriage 10 is lightened, and the handle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is further improved.

제5 사용 형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가이드 부재(70)를 떼어낸 상태이다. 즉, 제5 형태에서는, 어태치먼트(60), 가이드 부재(70) 및 차일드 시트(80)가 모두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개량화가 한층 더 실현되고, 유모차(10)의 취급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5 사용 형태에서는, 시트 지지체(40) 자체에 마련된 벨트재 등에 의해서, 유유아를 유모차 본체(15)에 고정할 수 있다. The 5th use form is the state which removed the guide member 70 from the state shown in FIG. That is, in 5th form, the attachment 60, the guide member 70, and the child seat 80 are all in the state remov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s shown in FIG. Therefore, further improvement of the baby carriage 10 is realized, and the handle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urther improved. Moreover, in the 5th use form, an infant can be fix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by the belt material etc. provided in the seat support body 40 itself.

이상으로 설명해 온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한 쌍의 전방 다리(22)를 가진 유모차 본체(15)와, 각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가지고 있다. 각 어태치먼트(60)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22)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와, 어태치먼트 장착부(61)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 유모차(10)에서는,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의 전방 다리(2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를,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측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상태에서,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乳兒)를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5)는, 별도의 어태치먼트(60)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프레임 구조를 유유아의 측부까지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모차 본체(1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유모차(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유모차(10)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높은 유아(幼兒)에 대해서 보다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어태치먼트(60)의 장착 및 떼어냄에 의해서,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서 유모차(10)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includes a baby carriage body 15 having a pair of front legs 22 and a pair of attachments detachably attached to each front leg 22 ( 60) have. Each attachment 60 has an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removably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front leg 22, and an attachment body portion 65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and extending forward. have. That is, in this baby carriage 10, by attaching the attachment 60 to the front leg 22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e attachment body part 65 of the attachment 60 rides on the baby carriage 10. It can be placed on the side of an infant or toddler. By this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n infant can be protected from a side part.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an infant of a comparatively low age can be boarded in the baby carriage 10 more safel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can attach a separate attachment 6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frame structure up to the side of the infant. Therefore, weight reduction of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can be achieved. In this case, i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is remov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e weight redu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aimed at, and the handleability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improved. That is, by removing the attachment 60 from the stroller main body 15, it is possible to set it as a stroller more suitable with respect to an infant with a comparatively high month age. As described above, by attaching and removing the attachment 60, the stroller 10 can be used for infants and toddlers of a wide age range.

또,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장착되어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70)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유유아를 전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착석한 유아의 전방으로의 전락(轉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0)가 부착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낮은 유아에 대해서 더 적합한 유모차(1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10 has the guide member 70 which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nd connects a pair of attachments 60 further. This guide member (7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fant and toddler on the stroller (10). By this guide member 70, an infant can be protected from the front, and also it can prevent effectively the fall to the front of a seated infant. Therefore, by attaching the attachment 60 to which the guide member 7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roller 10 more suitable for infants of relatively low age.

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부재(70)는,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내어진 가이드 부재(70)는,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낸 유모차 본체(15)에 대해서 가이드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비교적으로 경량이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유모차(10)의 중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떼어내고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함으로써, 월령이 비교적 높은 유아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1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70 can be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60 , and the guide member 70 detached from the attachment 6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roller body 15 . have.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70 can be attached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from which the attachment 60 was removed. Since the guide member 70 is relatively lightweight, mounting the guide member 70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weight of the baby carriage 10 . Therefore, by removing the attachment 60 and attaching the guide member 7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it is possible to set it as the baby carriage 10 suitable with respect to the infant whose age is comparatively high.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유아를 측부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ttachment body part 65 is plate-shaped. Therefore, when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by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an infant can be protected more effectively from a side part.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는 암 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했을 때에, 어태치먼트 본체부(65)에 의해,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functions as an arm rest. Therefore, when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the comfort of the infant who got on the baby carriage 10 by the attachment main body part 65 can be improved.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10)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60)의 어태치먼트 본체부(65) 상에 배치되고,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매개로 하여 유모차 본체(15)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80)를, 더 가지고 있다. 산후 얼마 되지 않은 유아(乳兒)를 보다 안전하게 유모차(10)에 승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의 장착 및 차일드 시트(80)의 사용에 의해서, 더 폭넓은 월령의 유유아에 대해 적합한 유모차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stroller 10 is disposed 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65 of the pair of attachments 60, and can be removed from the stroller body 15 via the pair of attachments 60. It further has a child seat 80 that is held in place. Infants not long after childbirth can be more safely boarded in the stroller 10 . Therefore, by the attachment of the attachment 60 and use of the child seat 80, it is possible to set it as a stroller suitable for infants and toddlers of a wider age.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본체부(65)가, 차일드 시트(80)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67)를 가지고 있다. 이 걸림부(67)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차일드 시트(80)를 보다 안정되게 유모차(10)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attachment body part 65 has the child seat 80 and the latching part 67 which can engage. By using this locking part 67, it becomes possible to hold the child seat 80 to the baby carriage 10 more stably.

본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접속하고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69)가 마련되어 있다. 즉, 연결축 부재(69)에 의해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일체적인 부재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60)의 유모차 본체(15)에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시트면이 높은 경우에도, 보호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60)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고, 또, 차일드 시트(80)를 높은 위치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which connects to the attachment mounting part 61 and connects the pair of attachments 60 is provided. That is, by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a pair of attachment 60 can be made into an integral member. Thereby, the attachment state of the attachment 60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can be stabilized. Therefore, even when a child's seat surface is high, the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attachment 60 which can function as a protection member can be stabilized effectively, and the child seat 80 can also be stably maintained at a high position.

본 실시 형태에서, 연결축 부재(69)는, 어태치먼트 장착부(61)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연결축 부재(69)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분해함으로써, 이들 부품의 보관 스페이스를 공간 절약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61 . Therefore, when the attachment 60 is removed from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by disassembling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and a pair of attachments 60, the storage space of these components can be space-saving.

본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 본체(15)는, 그 각 구성요소를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개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어태치먼트(60)는, 유모차 본체(15)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요소 사이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지 않고, 전방 다리(22)에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6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유모차(10)를 접거나 또는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can be folded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by relatively moving its components.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only to the front leg 22 , not across the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60 is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 it becomes possible to fold or deploy the baby carriage 10 .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외에도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어태치먼트(60)는 차일드 시트(8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차일드 시트(80)가 장착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which shows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 Other than this, it can implemen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attachment 60 showed the example comprised so that the child seat 80 may be hold|maintained,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child seat 80 may become impossible to attach. .

또,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유모차 본체(15)가, 받이구(58)를 가지고 있고, 이 받이구(58)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70)를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수 있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70)가 유모차 본체(15)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has a receiving port 58 , and the guide member 70 can be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5 using the receiving port 58 . Although an example wa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guide member 70 does not need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the baby carriage main body 15.

게다가,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69)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축 부재(69)가, 어태치먼트(60)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애초에도, 연결축 부재(69)가 한 쌍의 어태치먼트(60) 사이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connecting the pair of attachments 60 is detachable from the pair of attachments 60 was show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Without it,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may become non-removable from the attachment 60. Moreover, even in the beginning, the connecting shaft member 69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attachments 60. As shown in FIG.

Claims (10)

한 쌍의 전방 다리를 가진 유모차 본체와,
각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한 쌍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구비하며,
각 어태치먼트는, 대응하는 전방 다리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착부와,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의 상부 부분에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어태치먼트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로부터 떼어내어진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 가능한 유모차.
a stroller body having a pair of front legs;
having a pair of detachably mounted attachments on each front leg;
Each attachment has an attachment mounting portion removably mounted on a corresponding front leg, and an attachment body portion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and extending forward,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mounted on the attachment body to connect the pair of attachments,
The guide member is removable from the attachment,
The guide member removed from the attachment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baby carriag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플레이트 모양인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ment body portion is a plate-shaped s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암 레스트(arm rest)로서 기능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ment body portion functions as an arm re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차일드 시트(child seat)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는, 상기 차일드 시트와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hild seat may be disposed 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of the pair of attachments, and the attachment body portion may have a lock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hild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어태치먼트 본체부 상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매개로 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에 떼어낼 수 있게 유지되는 차일드 시트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by carriage further comprising a child seat supported on the attachment body portion of the pair of attachments, and detachably maintained on the baby carriage body via the pair of attachme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연결축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roll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shaft member connected to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to connect the pair of attachment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부재는, 상기 어태치먼트 장착부에 떼어낼 수 있게 접속되어 있는 유모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inking shaft memb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ttachment mounting portion of the s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전개(展開)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는, 상기 전방 다리에만 장착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oller body can be folded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The said attachment is a stroller which is attached only to the said front leg.
KR1020170056474A 2016-05-09 2017-05-02 Stroller KR1023120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4097 2016-05-09
JP2016094097A JP6758905B2 (en) 2016-05-09 2016-05-09 baby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405A KR20170126405A (en) 2017-11-17
KR102312059B1 true KR102312059B1 (en) 2021-10-14

Family

ID=6032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74A KR102312059B1 (en) 2016-05-09 2017-05-02 Stroll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8905B2 (en)
KR (1) KR102312059B1 (en)
CN (1) CN107380242B (en)
TW (1) TWI709502B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892B1 (en) 2000-09-22 2002-04-30 Ben M. Hsia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KR100542450B1 (en) * 2000-11-24 2006-0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Baby carriage
JP2010132077A (en) * 2008-12-03 2010-06-17 Combi Corp Stroller
JP2011116358A (en) 2009-12-01 2011-06-16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Stroller frame and stroller equipp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3826C (en) * 2005-09-22 2009-02-2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Children's bicycle
CN101367343A (en) * 2007-08-13 2009-02-1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Assembly of automobile seat bag and baby carriage
CN103921830B (en) * 2008-12-04 2016-05-25 戴那米克品牌股份有限公司 For the seat attachment of stroller
TWI383910B (en) * 2009-04-29 2013-02-01 Wonderland Nursery Goods A rotatable device for children's carts
TWI395563B (en) * 2009-09-17 2013-05-11 Kho David Chuanhankho Baby seat device
CN202029885U (en) * 2011-04-28 2011-11-09 苏州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Quick dismounting device for front handrail of baby stroller
US20140124553A1 (en) * 2012-11-02 2014-05-08 Luis Cruz Tablet Holder for a Stroller or The Like
JP6205211B2 (en) * 2013-08-28 2017-09-27 コンビ株式会社 Guard member and baby carri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892B1 (en) 2000-09-22 2002-04-30 Ben M. Hsia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KR100542450B1 (en) * 2000-11-24 2006-01-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Baby carriage
JP2010132077A (en) * 2008-12-03 2010-06-17 Combi Corp Stroller
JP2011116358A (en) 2009-12-01 2011-06-16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Stroller frame and stroller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8905B2 (en) 2020-09-23
TWI709502B (en) 2020-11-11
TW201739653A (en) 2017-11-16
CN107380242A (en) 2017-11-24
KR20170126405A (en) 2017-11-17
JP2017202709A (en) 2017-11-16
CN107380242B (en)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186B (en) Baby seat (2)
KR101368447B1 (en) Stroller
JP2006159930A (en) Stroller
TWI558595B (en) Foldable baby carriage
EP1295776A2 (en) Stroller
KR20020023140A (en) Twin-type baby buggy
JP4694549B2 (en) Lullaby and baby carry
JP6735195B2 (en) stroller
JP5020655B2 (en) stroller
KR102312059B1 (en) Stroller
TWI752337B (en) Pushchair
WO2019054429A1 (en) Baby carriage
KR102331278B1 (en) Stroller
WO2015118652A1 (en) Bouncer
TWI753279B (en) Pushchair
WO2023162145A1 (en) Baby stroller
TWI754265B (en) stroller
JP4159868B2 (en) Hammock stroller
JPH0241102Y2 (en)
JPH034617Y2 (en)
JP2021123308A (en) Detachable footrest and baby carriage
JP4180386B2 (en) Hammock stroller
TW202007573A (en) Pushchair
KR200201252Y1 (en) Backcarrier for i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