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347B1 -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347B1
KR102311347B1 KR1020200071996A KR20200071996A KR102311347B1 KR 102311347 B1 KR102311347 B1 KR 102311347B1 KR 1020200071996 A KR1020200071996 A KR 1020200071996A KR 20200071996 A KR20200071996 A KR 20200071996A KR 102311347 B1 KR102311347 B1 KR 102311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shell
alkaline water
mesh
oyster
hand sanit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배
Original Assignee
이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배 filed Critical 이석배
Priority to KR102020007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량비를 기준하여 굴껍질 5kg,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로 분쇄하되, 상기 굴껍질은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1300℃의 고온으로 소성된 상태에서 상기한 중량비로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되어 상기 굴껍질이 미분쇄되는 분쇄공정을 여러차례 반복하여 우유빛을 띠는 액체로 된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산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가열증류용기에 담아주는 굴껍질 알칼리수 가열준비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 미세분말 45~5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암염 미세분말 3~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명반 미세분말 2~3kg, 280~32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 미세분말 1~3kg 각각을 걸름자루에 담아 준 다음, 상기한 각 미세분말들이 중량비 기준으로 담긴 걸름자루를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이 저장되어 있는 가열증류용기에 투입하여 가라앉도록 침지시키는 걸름자루 투입단계와;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는 고온으로 6~10시간 동안 가열하여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으로부터 증발하는 증류수를 냉각용기에 저장한 다음 냉각하여 액상의 손세정제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손세정제 생산단계로 이루어져 액상의 손세정제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co-friendly hand cleaner using oyster shell}
본 발명은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굴껍질(패화석)을 주재료로 하며, 여기에 암염, 명반, 티트리 등을 첨가하여 인체에는 무해하고, 피부 보습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항균 소독 작용이 우수한 친환경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과거에 강력한 전염성으로 확산되어 많은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간 독감의 일종인 신종플루의 대유행을 겪은바 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0VID-19)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생명을 잃는 팬데믹(pandemic)으로 알려진 세계적 대유행을 겪고 있는 상황속에서 감염 방역을 위해 손씻기 등의 개인 위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손씻기 등의 개인 위생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이 아니더라도 개개인 모두가 청결을 위해 수시로 실천해야 하는 것을 생활습관화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사람의 손에는 다양한 세균이 존재하고 있으며, 손에 존재하는 세균들은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게 될 뿐 아니라 음식물과 함께 체내로 들어와 여러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손의 피부는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손을 필요 이상으로 자주 씻거나 손세정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막이 벗겨져 오히려 피부의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기존의 손세정제 대부분은 트리클로산 소독용 에탄올과 정제수, 구연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소독용 에탄올은 눈이나 점막에 들어가면 실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있는 어린아이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또한 에탄올은 세균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피부의 유수분을 함께 제거하게 되므로 사용하게 되면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피부 보호막이 벗겨져 피부가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손제정제의 경우 3분 이상 손세척을 하게 되더라도 유해 미생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하며, 단순히 소독을 목적으로 에탄올로 손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단시간에 유해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는 있었으나, 에탄올 특유의 냄새에 의한 거부감과 피부 접촉시 발생하는 피부건조증 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못할 뿐 아니라 에탄올 성분 자체에서는 계면활성력을 기대할 수 없어 지반(fat) 및 기타 화학적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천연성분을 갖는 한방추출물로서 골담초의 신경통 및 수면장애를 없애고, 음나무의 살충효과로 피부질환완화와 상처를 치유하며, 헛개나무의 살충 및 살균효과를 가지며, 무수에탄올 및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의 살균효과와, 알로에 베라겔, 히알루론산, 정제수로 손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한편, 손피부의 보습을 유지하며, 또한 지반분해효과와 발한작용을 활발하게 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골담초, 음나무, 개오동나무 등 천연한방재료로 제조되는 손제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세정하도록 하여 팬데믹 대유행으로 인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조성물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등록 제10-1055079(2011. 08. 05. 공고) 특허등록 제10-1196113(2012. 10. 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굴껍질을 주재료로 하며, 여기에 암염, 명반, 티트리 등의 천연재료를 첨가하여 인체에는 무해하고 손의 피부 보습력이 뛰어나고 각종 세균에 대한 항균 소독 작용이 우수한 친환경 손세정제를 제조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량비를 기준하여 굴껍질 5kg,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로 분쇄하되, 상기 굴껍질은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1300℃의 고온으로 소성된 상태에서 물과 함께 상기한 중량비로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되어 상기 굴껍질이 미분쇄되는 분쇄공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우유빛을 띠는 액체로 된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생산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가열증류용기에 담아주는 굴껍질 알칼리수 가열준비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 미세분말 45~5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암염 미세분말 3~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명반 미세분말 2~3kg, 280~32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 미세분말 1~3kg 각각을 걸름자루에 담아 준 다음, 상기한 각 미세분말들이 중량비 기준으로 담긴 걸름자루를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이 저장되어 있는 가열증류용기에 투입하여 가라앉도록 침지시키는 걸름자루 투입단계와;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6~10시간 동안 더 가열하여 끓는 굴껍질 알칼리수에서 증발하는 수증기를 증류하여 증류수를 용기에 저장한 다음 이를 냉각하여 액상의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손세정제 생산단계;
로 이루어져 액상의 손세정제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에 대하여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분말 45~5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암염분말 3~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명반분말 2~3kg, 280~32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분말 1~3kg 각각을 담아주는 걸름자루는 굴껍질 알칼리수는 스며들 수 있으며, 상기한 각 분말들은 새어나가지 못하는 400~500 메쉬의 미세한 그물구조를 갖도록 제직된 직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세정제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굴껍질을 주재료로 하여 생산되는 굴껍질 알칼리수에다 굴껍질 미세분말, 암염 미세분말, 명반 미세분말, 티트리 미세분말 등의 천연재료를 소량씩 첨가한 상태에서 상기 굴껍질 알칼리수를 가열하여 끓일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증류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상기 굴껍질 및 암염, 명반, 티트리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각 성분은 인체에 전혀 무해한 반면, 각 성분의 효과는 피부의 보습효과, 세균을 살균 및 소독하는 등 항균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에 발생하는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손세정제는, 어촌의 굴양식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굴껍질 성분으로 만들어진 굴껍질 알칼리수를 이용하며, 여기에 굴껍질 미세분말, 석염 또는 돌소금으로 알려져 있는 암염 미세분말, 백반으로 알려져 있는 명반(明礬) 미세분말,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공기 정화 및 항균 소독 작용이 있는 티트리(tea tree) 미세분말 등의 친환경 재료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상기한 각 미세분말을 구성하는 친환경 재료들 중 굴껍질 성분은 어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며, 상기 굴껍질에는 많은 유효 성분이 있어서 한방과 양방에서 모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굴껍질의 주성분은 칼슘으로 칼슘영양제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구리, 요오드, 규산, 비타민A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염 성분은, 미네랄의 함량이 풍부하여 피부의 촉촉함을 유지시켜주고, 암염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건강하고 청결한 피부를 만들어주며, 피부의 모공 속 노폐물과 각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고, 몸속의 순환을 도와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몸의 부은 곳을 가라앉혀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명반(백반) 성분은, 탁월한 소염작용을 하는 중요한 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기를 모아 주는 수렴작용이 있어 모든 종류의 악창을 치료하는 효과와 함께 살충과, 항균작용, 해독작용,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등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티트리의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이고, 늪지대에서 자생하고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며, 특유의 청량함으로 공기를 상쾌하게 정화하는 역활을 하고, 피부 개선의 효과와 함께 항균소독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친환경 재료를 원료로 하여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손세정제는 굴껍질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손세정제를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 굴껍질 알칼리수 저장단계, 걸름자루 투입단계, 손세정제 생산단계 등의 순서로 제조 생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깨끗하게 세척된 굴껍질과 물을 중량비 기준으로 굴껍질 5kg,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는 방법으로 미분쇄되는 굴껍질이 물에 희석되는 작용으로 우유빛을 나타내며 매끈매끈하고 보습력이 뛰어난 액상의 굴껍질 알칼리수를 만들되, 상기와 같이 중량비를 기준하여 굴껍질 5kg과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작동으로 우유빛을 띠는 액상의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단계이다.
<굴껍질 알칼리수 가열준비단계>
상기 단계는,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진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저장되는 굴껍질 알칼리수를 100℃ 이상의 비등점(沸騰點)에 이르도록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열용기에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담아주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끓일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걸름자루 투입단계>
상기 단계는,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바람직하게는 30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 미세분말 45~55kg과, 180~220 메쉬(바람직하게는 200 메쉬)로 분쇄된 암염 미세분말 3~5kg과, 180~220 메쉬(바람직하게는 200 메쉬)로 분쇄된 명반 미세분말 2~3kg과, 280~320 메쉬(바람직하게는 300 메쉬)로 분쇄된 미트리 미세분말 1~3kg 각각을 걸름자루 속에 담아주고, 이어서 걸름자루에 담긴 각 미세분말이 혼합되도록 포장한 후 상기 걸름자루의 입구를 밀봉하여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걸름자루는 굴껍질 알칼리수는 자유롭게 스며들고 빠져나올 수 있는 반면, 굴껍질 미세분말, 암염 미세분말, 명반 미세분말, 티트리 미세분말 등 각각의 미세분말들은 새어나가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400~500 메쉬의 초미세 그물구조를 갖도록 제직된 직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걸름자루를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굴껍질 알칼리수에 투입하게 되면 상기 걸름자루는 포장되어 있는 각 미세분말들의 하중에 의해 가열증류용기의 바닥을 가라앉은 상태에서 걸름자루에 포장되어 있는 각 미세분말들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끓는 굴껍질 알칼리수에 울러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증류용기에서 고온으로 가열되는 굴껍질 알칼리수에서 발생하는 수중기에는 굴껍질 자체의 특유의 성분을 비롯하여 굴껍질 미세분말, 암염 미세분말, 명반 미세분말, 티트리 미세분말 등의 각 성분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손세정제 생산단계>
상기 단계는,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비등점에 이르도록 고온으로 가열하여 끓는 굴껍질 알칼리수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하는데, 이때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기 시작하여 수증기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6~10 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여 수증기가 계속 발생되도록 하며, 이때 가열증류용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서 증류하여 증류수를 생산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열증류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에는 상기 걸름자루에 들어있는 굴껍질 미세분말, 암염 미세분말, 명반 미세분말, 티트리 미세분말 각각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와 같이 굴껍질 알칼리수를 가열하여 증발하는 수증기를 누설시키지 않고 전량 증류하는 과정을 통해 증류수를 많은 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생산되는 증류수를 일정 온도로 냉각하게 되면 손세정제 원액을 생산하게 되며, 이 원액을 일정 용량의 포장용기에 담아주는 방법으로 대·중·소형의 포장용기에 포장된 손세정제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중량비를 기준하여 굴껍질 미세분말, 암염 미세분말, 명반 미세분말, 티트리 미세분말 등 천연재료를 혼합하여 친환경 손세정제 원액을 제조 생산한 다음, 손세정제 원액을 대·중·소형의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손세정제를 공급하는데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굴껍질 5kg과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하고 1~2 시간 동안 분쇄하여 분쇄되는 굴껍질에 의하여 우유빛 색상을 띠는 액체를 생산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를 생산한다.
상기와 같이 생산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가열증류용기에 저장한 다음,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에 대한 중량비를 기준하여 30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 미세분말 50kg, 200 메쉬로 분쇄된 암염 미세분말 4kg 및 명반 미세분말 2kg, 30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 미세분말 2kg 각각을 500 메쉬의 미세한 그물구조로 제직된 걸름자루에 혼합되도록 투입한 후 상기 걸름자루의 입구를 밀봉한 상태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이 저장되어 있는 가열증류용기에 투입하여 상기 걸름자루가 가열용기의 바닥으로 가라앉게 한 다음, 이어서 상기 가열증류용기를 가열하는데, 이때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는 온도까지 가열되는 1~2 시간 동안에는 수증기가 미미한 소량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기 시작하게 되면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굴껍질 알칼리수가 끓기 시작하여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시점에서부터 계속해서 8~10 시간 정도를 더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면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던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대부분과 걸름자루에 밀봉되어 있던 암염 미세분말과 명반 미세분말은 굴껍질 알칼리수에 용해되어 수증기로 증발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걸름자루와 이에 밀봉상태로 포장되어 있던 굴껍질 미세분말과 티트리 미세분말의 일부만 굴껍질 알칼리수에 용해되어 수증기로 증발하게 되지만, 굴껍질 및 티트리 미세분말 대부분은 걸름자루 속에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어 있던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전량 증류하게 되면 대략 850kg 정도의 증류수를 생산하게 되며, 이렇게 생산된 증류수를 냉각처리하여 850kg 정도의 손세정제 원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생산된 손세정제 원액에는 굴껍질, 암염, 명반, 티트리 각각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람의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보습력이 뛰어나 피부를 보호하고, 나아가 피부에서 이물질을 세정하고 살균 및 항균 작용 등 인체의 피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체에는 무해하고 티트리 특유의 상쾌한 향이 공기를 정화하는 역활을 하므로 사람들은 본 발명의 손세정제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친환경 손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중량비를 기준하여 굴껍질 5kg, 물 100kg을 습식 볼밀 분쇄기로 분쇄하되, 상기 굴껍질은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1300℃의 고온으로 소성된 상태에서 물과 함께 상기한 중량비로 습식 볼밀 분쇄기에 투입되어 상기 굴껍질이 미분쇄되는 분쇄공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우유빛을 띠는 액체로 된 1000kg의 굴껍질 알칼리수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와;
    상기 굴껍질 알칼리수 제조단계에서 생산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가열증류용기에 담아주는 굴껍질 알칼리수 가열준비단계와;
    상기 굴껍질 알칼리수 가열준비단계에서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되는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의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 미세분말 45~5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암염 미세분말 3~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명반 미세분말 2~3kg, 280~32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 미세분말 1~3kg 각각을 걸름자루에 담아 준 다음, 상기한 각 미세분말들이 중량비 기준으로 담긴 걸름자루를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이 저장되어 있는 가열증류용기에 투입하여 가라앉도록 침지시키는 걸름자루 투입단계와;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 6~10시간 동안 더 가열하여 끓는 굴껍질 알칼리수에서 증발하는 수증기를 증류하여 증류수를 용기에 저장한 다음 이를 냉각하여 액상의 손세정제를 제조하는 손세정제 생산단계;
    로 이루어져 액상의 손세정제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증류용기에 저장된 굴껍질 알칼리수 1000kg에 대하여 중량비를 기준하여 280~320 메쉬로 분쇄된 굴껍질분말 45~5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암염분말 3~5kg, 180~220 메쉬로 분쇄된 명반분말 2~3kg, 280~320 메쉬로 분쇄된 티트리분말 1~3kg 각각을 담아주는 걸름자루는 굴껍질 알칼리수는 스며들수 있으며, 상기한 각 분말들은 새어나가지 못하는 400~500 메쉬의 미세한 그물구조를 갖도록 제직된 직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KR1020200071996A 2020-06-15 2020-06-15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KR102311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6A KR102311347B1 (ko) 2020-06-15 2020-06-15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96A KR102311347B1 (ko) 2020-06-15 2020-06-15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347B1 true KR102311347B1 (ko) 2021-10-08

Family

ID=7811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96A KR102311347B1 (ko) 2020-06-15 2020-06-15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34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00A (ko) * 2001-09-20 2003-04-10 이영덕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20030036423A (ko) * 2003-04-01 2003-05-09 박남종 굴 패각 및 알루미나를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20060112871A (ko) * 2005-04-28 2006-11-02 임익모 토르말린, 은나노입자 및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살균세척용조성물
KR100837796B1 (ko) * 2007-12-06 2008-06-13 김홍열 중성칼슘황토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055079B1 (ko) 2011-06-23 2011-08-05 김동영 친환경 손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113B1 (ko) 2010-12-07 2012-10-30 전라남도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101260423B1 (ko) * 2012-10-22 2013-05-09 박명금 암염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암염비누
KR20170116600A (ko) * 2017-10-10 2017-10-19 김승기 천연소재를 이용한 이온칼슘의 기능성 미네랄 수용액 제조방법
KR20190027641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래디안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1983A (ko) * 2017-09-19 2019-03-27 신혜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JP2019156727A (ja) * 2018-03-08 2019-09-19 日本精化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00A (ko) * 2001-09-20 2003-04-10 이영덕 피부 세정을 위한 조성물
KR20030036423A (ko) * 2003-04-01 2003-05-09 박남종 굴 패각 및 알루미나를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20060112871A (ko) * 2005-04-28 2006-11-02 임익모 토르말린, 은나노입자 및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살균세척용조성물
KR100837796B1 (ko) * 2007-12-06 2008-06-13 김홍열 중성칼슘황토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196113B1 (ko) 2010-12-07 2012-10-30 전라남도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101055079B1 (ko) 2011-06-23 2011-08-05 김동영 친환경 손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423B1 (ko) * 2012-10-22 2013-05-09 박명금 암염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암염비누
KR20190027641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래디안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1983A (ko) * 2017-09-19 2019-03-27 신혜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KR20170116600A (ko) * 2017-10-10 2017-10-19 김승기 천연소재를 이용한 이온칼슘의 기능성 미네랄 수용액 제조방법
JP2019156727A (ja) * 2018-03-08 2019-09-19 日本精化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13B1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세정제제조방법 및 그 손세정제조성물.
KR101407051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KR101358929B1 (ko) 영, 유아용 물 티슈
CN105816365A (zh) 一种纯天然精油驱蚊液及其制备方法
KR101430706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530381B (zh) 一种保健足浴液
KR102311347B1 (ko) 굴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손세정제 제조방법
KR20170130690A (ko)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균 세제 조성물
CN104523466A (zh) 一种中草药皮肤黏膜消毒湿巾
CN104958218B (zh) 纯天然缓解婴儿尿布疹护理油
KR20150060212A (ko) 한방족욕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357168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토시 및 그 제조방법
CN107569420B (zh) 一种含牡丹花的清香型沐浴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80869B1 (ko) 천연 성분이 포함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CN105769640A (zh) 一种大蒜油活性保洁洗手液
CN111821286B (zh) 一种具有广谱抑菌的液体隐形口罩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KR100777329B1 (ko) 황토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0787A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666139A (zh) 一种复合驱蚊爽肤水及其制备方法
CN104250592A (zh) 天然野菊花婴儿防敏除菌洗衣液
CN107669586B (zh) 一种纯天然腋下除味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772682A (zh) 一种环境消毒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39196B1 (ko) 아로마 컬러 테라피를 위한 천일염 입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85487A (zh) 桑拿箱木板杀虫剂及制备方法
KR101707007B1 (ko) 천연 세안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