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57B1 - 검체 채취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57B1
KR102311157B1 KR1020200186047A KR20200186047A KR102311157B1 KR 102311157 B1 KR102311157 B1 KR 102311157B1 KR 1020200186047 A KR1020200186047 A KR 1020200186047A KR 20200186047 A KR20200186047 A KR 20200186047A KR 102311157 B1 KR102311157 B1 KR 10231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ample
sample collection
collection
fl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주현
박은용
Original Assignee
(주)페타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타셀 filed Critical (주)페타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드에 외측살 및 걸림판을 형성하여 검체 채취 시 모든 방향에서 검체를 채취할 수 있고 검체 채취 과정에서 헤드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가 외측살과 중앙살 사이에 형성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통해 헤드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어 검체의 포집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헤드에 외력을 가해주면 헤드의 관통된 수집 공간에 포집된 검체가 쉽게 분리되어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체의 회수 효율도 높은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체 채취용 구조물{Structure for collecting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드에 외측살 및 걸림판을 형성하여 검체 채취 시 모든 방향에서 검체를 채취할 수 있고 검체 채취 과정에서 헤드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가 외측살과 중앙살 사이에 형성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통해 헤드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어 검체의 포집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헤드에 외력을 가해주면 헤드의 관통된 수집 공간에 포집된 검체가 쉽게 분리되어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체의 회수 효율도 높은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검물을 채취하기 위한 swab은 면봉형태, Flocked swab형태, 또는 솔모양의 머리 부분형태의 제품들로 나오고 있으며 채취 부위에 따라 크기나 특성에 맞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COVID19의 영향으로 VTM(Viral Transport Media) 또는 UTM (Universal Transport Medium)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Flocked swab형태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통해 기존 swab 제품들의 형태를 보면 일반 면봉(10)은 면 또는 합성섬유가 지지체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일반 액체를 흡수하는 성능은 좋으나 다시 배출해야 하는 회수율은 많이 떨어지며, 표면적이 넓지 않아 검체가 묻는 양이 제한적이어서 검체의 포집 효율이 떨어진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Flocked swab(20)은 헤드 부분이 털실덩어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면봉 구조에 비해 흡수, 배출되는 검체의 양이 많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눌림 현상으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줄어 들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이나 보관이 까다롭다. 또한 제품의 구조상 가는 털실형태의 합성섬유가 지지대에 붙어 있는 형태로 생산 공정이 복잡하며 생산기술에 따라 털실이 탈락되거나 표면이 고르지 못할 때 조직의 표면을 더 자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털들 사이의 공간으로 기포가 생기게 되면 기포가 그 공간에 갇혀서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그 기포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검체를 채취하는 양이 줄어드는 문제도 있다.
한편,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4025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드에 외측살 및 걸림판을 형성하여 검체 채취 시 모든 방향에서 검체가 채취되고, 검체 채취 과정에서 헤드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가 외측살과 중앙살 사이에 형성된 관통 공간을 통해 헤드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으며, 헤드에 외력을 가해주면 헤드에 포집된 검체가 관통 공간을 통해 쉽게 분리되어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체 포집 및 회수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단일 사출공정만으로 제조가 완료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한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살과 중앙살의 사이에는 관통된 수집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된 수집 공간은 상기 걸림판에 의해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살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수평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헤드에 외측살 및 걸림판을 형성하여 검체 채취 시 모든 방향에서 검체가 채취되고, 검체 채취 과정에서 헤드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가 외측살과 중앙살 사이에 형성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통해 헤드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으며, 헤드에 외력을 가해주면 헤드의 관통된 수집 공간에 포집된 검체가 쉽게 분리되어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체 포집 및 회수 효율이 높다.
또한, 단일 사출공정만으로 제조가 완료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하며 손잡이와 헤드가 사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검체의 채취과정에서 만약에 있을 수 있는 구성품(기존 제품의 털실 등)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출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치수가 정밀하여 제품간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검체의 채취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의 길이나 폭을 조정하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변화되기 때문에, 요구되는 검체량에 맞게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의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서 요구되는 검체량이 다른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00)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100)에는, 상기 헤드(100)의 외측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101)과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103)과 상기 헤드(100)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102)이 형성된다. 또한, 외측살(101)들과 중앙살(102)의 사이에는 관통된 수집 공간(10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된 수집 공간(104)은 걸림판(103)에 의해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헤드(100)의 외측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외측살(101)들이 형성된 외골격 형태의 그물구조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헤드(100)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보관 및 포장이 편리하며, 각 외측살(101)들 및 중앙살(102) 사이에 형성된 관통된 수집 공간(104)에 검체가 들어오면 표면장력 효과로 외부에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보존이 가능하고, 또한 포집된 검체의 대부분을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크기를 조정하면 원하는 양의 검체가 일정하게 포집 및 보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단일 재질의 구성으로 손잡이(110)와 헤드(100)를 일체로 형성하여 양산 시 사출 공정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기존 제품들에 비하여 크기가 더 크거나 외형적인 구조가 많이 변경되지는 않기 때문에 비강 등에 삽입 시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이용한 검체 채취 방법 및 작용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외측살(101)과 걸림판(103)을 이용하는 2가지 검체 채취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헤드(100)의 외측살(101)에 의한 검체 채취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인체에 삽입 후 채취영역에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위치시킨다.
이후, 채취영역 조직면에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밀착시킨 후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손잡이(110)를 돌려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의 외측살(101)들이 회전하면서 헤드(100)의 외측살(101)과 접촉하고 있는 조직면을 긁어주게 된다. 그 결과 조직이 외측살(101)에 의해 훑어지면서 조직의 검체물이 헤드의 외측살(101)들 사이의 관통된 수집 공간(104)에 채워지게 된다. 이 때 검체물이 액상이기 때문에 간혹 기포가 검체물과 함께 외측살(101)들의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외측살(101)들과 중앙살(102)의 사이에 관통된 수집 공간(104)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된 수집 공간(104) 내에서 액상의 검체물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도 5(a)와 같이 관통된 수집 공간(104)으로 유입된 기포는 이후 검체물이 추가로 유입되면서 검체물에 의해 밀려나게 되고, 밀려난 기포는 도 5(b) 및 도 5(c)와 같이 관통된 수집 공간(104)을 이동하면서 헤드(100)의 외부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헤드의 걸림판에 의한 검체 채취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인체에 삽입 후 채취영역에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위치시킨다.
이후, 채취영역 조직면에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100)를 밀착시킨 후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손잡이(110)를 직선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의 외측가장자리까지 형성되어 있는 걸림판(103)의 가장자리가 헤드(100)가 접촉하고 있는 조직을 긁어줌에 따라 조직의 검체물이 걸림판(103)의 가장자리에 의해 훑어지면서 헤드(100) 내측의 관통된 수집 공간(104)에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헤드(100)를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연장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밀어주는 상태의 작동을 도시 했지만, 물론 본 발명은 밀고 당기는 왕복운동 동작을 통해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헤드(100)의 걸림판(103) 및 외측살(101)의 2가지 구성을 이용한 각각의 검체 채취 방법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헤드(100)의 걸림판(103) 및 외측살(101)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관통된 수집 공간(104)의 내부로 검체물을 최대한 포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100)를 고정된 위치에서 제자리 회전시키면 외측살(101)이 회전하면서 조직의 표면을 훑어주어 검체물이 채취된다. 이때, 외측살(101)에 의해 관통된 수집 공간(104)으로 유입되는 검체물은 도 8(a)와 같이 관통된 수집 공간(104)의 외측영역에 주로 위치하며 따라서 관통된 수집 공간(104)의 내측영역은 외측영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치밀하지 못한 성긴 공간이 된다. 이때, 헤드(100)를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연장방향으로 몇 차례 전진 및 후퇴시키면 관통된 수집 공간(104)으로 유입된 검체물을 걸림판(103)의 전면 및 후면이 밀어주게 되는데 이렇게 걸림판(10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의해 검체물이 밀리면서 도 8(b)와 같이 검체물이 상대적으로 빈공간이 많은 관통된 수집 공간(104)의 내측영역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외측살(101) 및 걸림판(103)의 상호작용에 의해 관통된 수집 공간(104)에 검체물을 최대한 많이 채울 수 있어서 포집 가능한 검체량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검체물이 포집되는 관통된 수집 공간(104)이 걸림판(103)에 의해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됨으로써 채취된 검체물을 가두어 두어 한번 유입된 검체물이 쉽게 헤드(100)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통된 수집 공간(104)이 너무 크면 관통된 수집 공간(104)으로 유입된 검체물이 유동할 공간도 커지기 때문에 유입지점에서 유동하여 다른 공간으로 쉽게 흘러서 이동하고 이렇게 다른 공간으로 흘러서 이동하면서 헤드(1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헤드(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판(103)에 의해 관통된 수집 공간(104)이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한쪽의 공간으로 유입된 검체물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림판(103)이 검체물을 가두어 두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한번 유입된 검체물은 이동이 약간은 차단되기 때문에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다가 헤드(100)를 이탈할 가능성이 차단되어 결국 헤드(100)로 유입된 검체물이 쉽게 헤드(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200)에는 외측살(201)들이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고 헤드(2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판(204)이 형성되며, 헤드(200)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202)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편(203)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중앙살(20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편(203)들은 끝단의 면적이 작아서 조직의 국부적인 지점을 집중적으로 가압하여 훑어주거나 긁어낼 수 있다. 따라서 검체물을 소량만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구의 돌기편(203)들이 조직에 접촉되게 하는 방향으로 헤드(200)를 위치시킨 후 양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만 비틀어주면 소량의 검체물을 채취할 수가 있다.
또한 돌기편(203)들은 조직에서 약간은 깊숙한 지점까지 눌러주면서 검체를 채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돌기편(203)들은 조직과 점접촉에 가까운 형태로 접촉하기 때문에 조직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서 작은 힘으로도 조직 표면을 깊숙이 눌러줄 수가 있다. 따라서 조직을 어느 정도 깊이 눌러주면서 검체를 채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돌기편(203)들을 조직에 접촉되게 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서 외측살(201)과 걸림판(204)이 수행하는 기능은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300)에는 외측살(301)들이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고 헤드(30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판(303)이 형성되며, 다만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헤드(300)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수평판(302)이 형성된다. 수평판(302)은 헤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헤드(300)의 수평판(302)은 외측살(301)과 마찬가지로 헤드(3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에 조직을 훑어주어서 조직에서 검체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수평판(302)은 내측이 막혀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측살(301)에 비해서 헤드(300)의 회전 시의 접선방향에 수직한 면의 단면적이 크다. 따라서 수평판(302)은 한번 회전 시에 외측살(301)보다 더 많은 양의 검체를 포집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에서 외측살(301)과 걸림판(303)이 수행하는 기능은 제1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채취용 구조물은 헤드에 외측살 및 걸림판을 형성하여 검체 채취 시 모든 방향에서 검체가 채취되고, 검체 채취 과정에서 헤드의 내부로 유입된 기포가 외측살과 중앙살 사이에 형성된 관통된 수집 공간을 통해 헤드의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으며, 헤드에 외력을 가해주면 헤드의 관통된 수집 공간에 포집된 검체가 쉽게 분리되어 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체 포집 및 회수 효율이 높다.
또한, 단일 사출공정만으로 제조가 완료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이 가능하며 손잡이와 헤드가 사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검체의 채취과정에서 만약에 있을 수 있는 구성품(기존 제품의 털실 등)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출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치수가 정밀하여 제품간 편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검체의 채취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의 길이나 폭을 조정하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변화되기 때문에, 요구되는 검체량에 맞게 검체 채취용 구조물의 헤드의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서 요구되는 검체량이 다른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100 : 헤드
101 : 외측살
102 : 중앙살
103 : 걸림판
104 : 관통된 수집 공간
110 : 손잡이
<제2실시예>
200 : 헤드
201 : 외측살
202 : 중앙살
203 : 돌기편
204 : 걸림판
<제3실시예>
300 : 헤드
301 : 외측살
302 : 수평판
303 : 걸림판

Claims (4)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살과 중앙살의 사이에는 관통된 수집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된 수집 공간은 상기 걸림판에 의해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구조물.
  3.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살;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살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구조물.
  4.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에는,
    상기 헤드의 외측에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살;
    상기 헤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판; 및
    상기 헤드의 내측공간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수평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구조물.
KR1020200186047A 2020-11-20 2020-12-29 검체 채취용 구조물 KR102311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6791 2020-11-20
KR1020200156791 2020-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57B1 true KR102311157B1 (ko) 2021-10-14

Family

ID=7815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047A KR102311157B1 (ko) 2020-11-20 2020-12-29 검체 채취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922A2 (en) * 2005-01-21 2006-07-27 Zkz Science Corp. Circumferential suction step multibiopsy apparatus with removable cassette for in situ analysis
JP2007040984A (ja) * 2005-06-27 2007-02-15 Wakamoto Pharmaceut Co Ltd 採便容器
US8641642B2 (en) * 2008-12-01 2014-02-04 Oasis Diagnostics Corporation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system
WO2015168808A1 (en) * 2014-05-05 2015-11-12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KR20160062884A (ko) * 2014-11-26 2016-06-03 (주) 메디포유 자궁경부 시료 채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8922A2 (en) * 2005-01-21 2006-07-27 Zkz Science Corp. Circumferential suction step multibiopsy apparatus with removable cassette for in situ analysis
JP2007040984A (ja) * 2005-06-27 2007-02-15 Wakamoto Pharmaceut Co Ltd 採便容器
US8641642B2 (en) * 2008-12-01 2014-02-04 Oasis Diagnostics Corporation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system
WO2015168808A1 (en) * 2014-05-05 2015-11-12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KR20160062884A (ko) * 2014-11-26 2016-06-03 (주) 메디포유 자궁경부 시료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260B1 (ko)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2311157B1 (ko) 검체 채취용 구조물
CN205501632U (zh) 一种染色机过滤器
JP2005509883A (ja) 試料チップ
CN109880744A (zh) 光流控细胞分选芯片及其分选细胞的方法
Chaurasia et al. Flexible Asymmetric Encapsulation for Dehydration‐Responsive Hybrid Microfibers
CN211025167U (zh) 一种牛肉粉生产用喷雾干燥装置
DE102012013642B4 (de) Zentrifugengefäßeinheit
IL224284A (en) Rotary nozzle is integrated to manufacture nanofibric and microfibre materials
CN104028320B (zh) 一种防脱防回抽移液枪头
CN211013769U (zh) 新型药品检验用药液混合装置
EP3654812B1 (de) Reinigungssystem
CN109358020A (zh) 一种红外光谱仪液体池进样装置
CN108505130A (zh) 一种pp棉滤芯熔喷拉丝喷头
CN210582406U (zh) 平板拖把旋转脱水工具
CN209616774U (zh) 一种美术笔清洗装置
KR200463383Y1 (ko) 화장솜
JP2008132401A (ja) ノズルおよび液体回収方法
CN215084203U (zh) 一种纳晶纳米晶片安装结构
CN210357464U (zh) 一种新的用于加工纳米脂肪颗粒的工具
CN206761744U (zh) 一种用于超声引导穿刺的隔离装置
CN215310464U (zh) 一种带有过滤机构的医用外科手术灌洗液收集装置
CN109017076A (zh) 一种旋转挤压式教学用研墨装置
CN214595906U (zh) 一种皮肤科检测用样品刮取装置
CN104622598B (zh) 大鼠尾椎间盘微创穿刺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