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995B1 -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995B1
KR102310995B1 KR1020140182065A KR20140182065A KR102310995B1 KR 102310995 B1 KR102310995 B1 KR 102310995B1 KR 1020140182065 A KR1020140182065 A KR 1020140182065A KR 20140182065 A KR20140182065 A KR 20140182065A KR 102310995 B1 KR102310995 B1 KR 10231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plitter
light
predetermined angle
front prism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593A (ko
Inventor
이상훈
최용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995B1/ko
Priority to PCT/KR2015/013652 priority patent/WO2016099090A1/ko
Priority to US15/537,756 priority patent/US10634916B2/en
Publication of KR2016007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Abstract

실시 예의 광학 장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빔 분할부와, 제1 빔 분할부에서 투과된 광으로부터 가상 영상을 형성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된 영상 생성부와,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광 패턴에 해당하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횟수만큼 전반사하는 전면 프리즘부 및 전면 프리즘부 내에서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2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되어 전반사된 광을 시선 축을 따라 반사하는 제2 빔 분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장치{Optical apparatus}
실시 예는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부품이나 광학 소자가 소형화됨에 따라, 광학 장치는 관측자에게 착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만일, 광학 장치가 관측자에게 안경 등의 형태로 착용될 경우, 관측자는 가상 영상을 관측자 자신 주변의 실상 영상과 함께 손쉽게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장치가 관측자에게 착용되어 관측자에게 가상 영상을 시연할 경우, 관측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소형화 경량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시 예는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된 광학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의 광학 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빔 분할부;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투과된 광으로부터 가상 영상을 형성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된 영상 생성부; 상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며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횟수만큼 전반사하는 전면 프리즘부; 및 상기 전면 프리즘부 내에서 상기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2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되어 상기 전반사된 광을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하는 제2 빔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장치는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는 상기 광이 상기 전면 프리즘부로 향하도록 포커싱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빔 분할부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p-분극된 광을 투과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며 s-분극된 광을 반사하는 편광 빔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코팅되어 상기 전반사된 광을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상기 전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시키고, 상기 전반사된 광의 나머지를 투과시키는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는 상기 전반사된 광의 40% 내지 80%를 반사시키고, 80% 내지 40%를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미러의 곡률 반경은 62 ㎜일 수 있다.
상기 소정 횟수가 짝수일 때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35° 내지 45°이고, 홀수일 때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45°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소정 횟수의 최소값은 2일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리즘부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반사층; 및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리즘부는 상기 제2 빔 분할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서브 프리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빔 분할부 또는 상기 영상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소정 각도의 최소값은 62°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방출된 상기 광을 상기 제1 빔 분할부로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져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장치는 관측자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 관측자 주변의 실상 영상(real-world environment image)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고, 가상 영상을 매우 높은 해상도 예를 들어 HD급 고화소로 그리고 개선된 광 효율로 관측자에게 보여줄 수 있고,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관측자에게 장착되기 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포커싱 및 전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프리즘부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빔 분할부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 에에 의한 HMD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는 광원(110), 제1 빔 분할부(beam splitter)(120), 영상 생성부(또는, 디스플레이(display) 소자)(130), 전면 프리즘(prism)부(140), 제2 빔 분할부(150) 및 렌즈(16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광(L1)을 방출하여 제1 빔 분할부(120)로 출사한다. 예를 들어,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져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광원(110)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빔 분할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L1)을 투과시키며, 투과된 광(L2)은 영상 생성부(130)로 입사된다.
영상 생성부(130)는 제1 빔 분할부(120)에서 투과된 광(L2)으로부터 가상 영상(virtual image)을 형성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시선 축(VA:Viewing Axis)(즉,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θ1)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영상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영상은 관측자(OB:OBserver)가 운전자일 경우, 운전에 필요한 주행 정보를 담을 수도 있고, 관측자(OB)가 학생일 경우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담을 수도 있다.
또한, 영상 생성부(130)는 로코스(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LP(Digital Light Projector)와 같은 마이크로 미러 디스플레이(micro-mirror display) 등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생성부(130)는 제1 빔 분할부(120)에서 투과된 광(L2)을 공간적으로 변조하여 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생성부(130)에 이웃하여 또는 인접하여 인쇄 회로 기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영상 생성부(1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미도시) 및 영상 생성부(130)를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광 패턴은 단채색일 수도 있고, 적녹청(RGB:Red Green Blue)과 같은 다채색일 수도 있다.
전술한 광원(110), 제1 빔 분할부(120) 또는 영상 생성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프리즘부(14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0)과, 제1 빔 분할부(120)와, 영상 생성부(130) 각각은 전면 프리즘부(14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광 패턴에 해당하는 광(L3)은 제1 빔 분할부(120)에서 반사되어 전면 프리즘부(140)로 출사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빔 분할부(120)는 편광 빔 분할부(PBS:Polarization Beam Spl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빔 분할부(120)는 광원(110)에서 방출된 p-분극된 광(L1)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생성부(130)는 p-분극된 광(L1)을 이용하여 가상 영상에 해당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 패턴의 p-분극을 s-분극으로 바꾼다. 이후, 편광 빔 분할부(120)는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광 패턴에 해당하는 s-분극된 광(L3)을 반사시킬 수 있다.
렌즈(160)는 제1 빔 분할부(120)에서 반사된 광 패턴에 해당하는 광(L4)이 전면 프리즘부(140)로 향하도록 포커싱(focusing)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16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렌즈(160)는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 구면 렌즈 또는 확대 렌즈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렌즈(160)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렌즈(160)는 전면 프리즘부(140)와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60)의 포커싱 및 전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빔 분할부(120)의 빔 분할 인터페이스(interface)(122)는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광 패턴에 해당하는 광(L3)을 반사시킨다. 빔 분할 인터페이스(122)에서 반사된 광(L4)은 렌즈(160)에서 포커싱되고, 포커싱된 광(L6)은 전면 프리즘부(140)로 입사된다. 이때, 렌즈(160)에서 포커싱된 광(L6)은 전면 프리즘부(140)의 광 입사면(140S1)에서 굴절된 후 입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렌즈(1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전면 프리즘부(140)는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되어 제1 빔 분할부(120)에서 반사된 후 렌즈(160)를 통해 입사된 광 패턴에 해당하는 광(L5)을 소정 횟수만큼 반사시킬 수 있다.
만일, 전면 프리즘부(140)에서 광(L5)이 전반사되는 소정 횟수가 짝수일 때, 시선 축(VA)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소정 각도(θ1)는 35° 내지 45° 예를 들어 40°일 수 있다. 또는, 전면 프리즘부(140)에서 광(L5)이 전반사되는 소정 횟수가 홀수일 때 제1 소정 각도(θ1)는 -45° 내지 -15° 예를 들어 -40°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횟수의 최소값은 2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L5)은 전면 프리즘부(140) 내에서 2회 전반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프리즘부(140) 내에서 광(L5)이 2회 전반사될 경우 제1 소정 각도(θ1)는 40°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전반사의 횟수나 제1 소정 각도(θ1)의 특정값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면 프리즘부(140)의 상면(140T)과 하면(140B)은 제1 빔 분할부(120)에서 반사되어 렌즈(160)를 통해 입사된 광(L5)을 반사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프리즘부(140)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전면 프리즘부(140)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면 프리즘부(140)의 일 실시 예(140A)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프리즘부(140)는 제1 및 제2 반사층(142,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층(142)은 전면 프리즘부(140)의 상면(140T) 안쪽에 배치되고, 제2 반사층(144)은 전면 프리즘부(140)의 하면(140B)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반사층(142, 144) 각각은 상면(140T)과 하면(140B)에 코팅된 코팅층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반사층(142, 144) 각각은 복수의 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빔 분할부(120)에서 반사되어 전면 프리즘부(140)로 입사된 광(L5)은 제1 및 제2 반사층(142 ,144)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 프리즘부(140)는 제2 빔 분할부(15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즉, 시선 축(VA) 방향에 수직한 y축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를 포함할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 각각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고,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곡률 반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빔 분할부(150)를 기준으로 전면 프리즘부(140)가 동일한 형상을 갖는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로 분할될 경우, 관측자(OB)의 눈을 통해 보여지는 관측자(OB) 주변의 실상 영상(real-world environment image)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서브 프리즘부(140-1, 140-2) 각각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제2 빔 분할부(150)는 전면 프리즘부(140) 내부에서 시선 축(VA)을 기준으로 제2 소정 각도(θ2)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어져 배치된 제2 빔 분할부(150)는 전면 프리즘부(140) 내부에서 전반사된 광(L7)을 시선 축(VA)을 따라 관측자(OB)를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관측자(OB)는 시선 축(VA)에서 반사된 광에 해당하는 가상 영상을 관측할 수 있다.
이때, 제2 소정 각도(θ2)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122525646-pat00001
여기서, θ3은 제3 소정 각도로서,제2 빔 분할부(150)가 시선 축(VA)에 수직한 y축 방향의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2 빔 분할부(150)가 시선 축(VA)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제2 소정 각도(θ2)의 최소값은 62°이고, 제3 소정 각도(θ3)의 최대값은 28°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만일, 제1 소정 각도(θ1)가 35°(또는, -45°)보다 작을 경우 영상 생성부(130)가 관측자(OB)의 안면에 가깝게 위치하여, 영상 생성부(130)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는, 제1 소정 각도(θ1)가 커질 경우 예를 들어, 45°(또는, -15°)보다 커질 경우 제3 소정 각도(θ3)가 증가하게 되어, 전면 프리즘부(140)에서 내부 전반사 횟수가 예를 들어 2회가 되기 위해 전면 프리즘부(140)의 y축 방향의 길이가 더 증가하거나 제2 빔 분할부(150)의 곡률 반경(R)이 더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소정 횟수가 짝수일 때 제1 소정 각도(θ1)는 35° 내지 45°이고, 홀수일 때 제1 소정 각도(θ1)는 -45° 내지 -15°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3 소정 각도(θ3)의 최대값은 28°로서 일반적인 삼각 프리즘의 45°보다 더 작을 수 있어, 전면 프리즘부(140)에서 내부 전반사의 횟수를 2회로 하면서도 전면 프리즘부(140)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소정 각도(θ1)가 일정할 경우, 제2 빔 분할부(150)의 곡률 반경(R)과 제3 소정 각도(θ3)는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제3 소정 각도(θ3)가 일정할 경우, 제2 빔 분할부(150)의 곡률 반경(R)은 전면 프리즘부(140)의 y축 방향의 길이에 비례하고 제1 소정 각도(θ1)에도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제3 빔 분할부(150)의 곡률 반경(R)이 일정할 경우, 제3 소정 각도(θ3)는 제1 소정 각도(θ1)에 비례하고 전면 프리즘부(140)의 y축 방향의 길이에도 비례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소정 각도(θ1), 제3 소정 각도(θ3), 제2 빔 분할부(150)의 곡률 반경(R) 및 전면 프리즘부(140)의 길이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전면 프리즘부(140)의 길이나 두께를 조절하여, 광학 장치(100)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빔 분할부(150)의 일 실시 예(150A)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빔 분할부(150A)는 프레임(152) 및 코팅층(154, 156)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54, 156)은 프레임(152) 상에 코팅되어, 전반사된 광(L7)의 일부를 시선 축(VA)을 따라 반사(L8)시키고 광(L7)의 나머지를 투과(L9)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빔 분할부(150)는 미러(mirror)로 구현될 수 있다. 미러는 전반사된 광(L7)의 일부를 시선 축(VA)을 따라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미러에서 반사된 광(L8)은 관측자(OB)에게 가상 영상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미러는 전반사된 광(L7)의 나머지를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미러(150)는 전반사된 광(L7)의 40% 내지 80%를 반사시키고, 80% 내지 40%를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반사된 광(L7)의 일부인 60%가 미러(150)에서 반사되어 관측자(OB)가 볼 수 있도록 출사(L8)되고, 전반사된 광(L7)의 나머지인 40%가 미러(150)를 통해 투과(L9)될 수 있다. 또는, 전반사된 광(L7)의 일부인 50%가 미러(150)에서 반사되어 관측자(OB)가 볼 수 있도록 출사(L8)되고, 전반사된 광(L7)의 나머지인 50%가 미러(150)를 통해 투과(L9)될 수 있다.
또한, 미러(150)의 곡률 반경(R)은 62 ㎜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제1 및 제2 빔 분할부(120, 150) 각각의 재질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러한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윈도우가 전면 프리즘부(14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를 통해 실상 영상에 해당하는 광은 제2 빔 분할부(150)에서 투과되어, 가상 영상과 실상 영상의 조합이 관측자(OB)에게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자(OB)에게 보여질 가상 영상의 시 거리는 0.5 미터(m) 내지 4 미터(m)일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광학 장치(100)는 관측자(OB)가 원하는 위치에 가상 영상을 보여줄 수도 있다.
도 5는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는 광원(10), 제1 빔 분할부(20), 영상 생성부(30), 광 파이프(pipe)(40), 제2 빔 분할부(50) 및 렌즈(60)로 구성된다.
제1 빔 분할부(20)는 광원(10)에서 방출된 광을 투사하고, 영상 생성부(30)는 제1 빔 분할부(20)에서 투사된 광을 이용하여 가상 영상에 해당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광 패턴에 해당하는 광을 제1 빔 분할부(20)로 출사한다. 이때, 영상 생성부(30)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1 빔 분할부(20)에서 반사된 후 렌즈(60)를 통해 제2 빔 분할부(50)로 출사된다. 이후, 제2 빔 분할부(50)는 렌즈(60)를 통해 입사된 광을 투사하고, 제2 빔 분할부(50)에서 투사된 광은 광 파이프(40)의 반사면(42)에서 반사되어 가상 영상으로 형성되고, 가상 영상에 해당하는 광은 제2 빔 분할부(50)에서 시선 축(VA) 방향으로 반사되어, 관측자(OB)에게 가상 영상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도 5의 경우, 광원(10), 제1 빔 분할부(20), 영상 생성부(30) 및 렌즈(60)는 광 파이프(40)와 서로 이격되지 않고 접하여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의 광원(110), 제1 빔 분할부(120), 영상 생성부(130) 및 렌즈(160) 각각은 전면 프리즘부(14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광원(110), 제1 빔 분할부(120), 영상 생성부(130) 또는 렌즈(160) 중 적어도 하나가 전면 프리즘부(140)와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가상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자(factor)(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d')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에 의해 관측자(OB)에게 보여지는 가상 영상에 담겨진 예를 들어 글자의 크기를 도 5에 예시된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에 의해 관측자(OB)에게 보여지는 가상 영상에 담겨진 글자의 크기보다 더욱 작으면서도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의 해상도는 도 5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의 해상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의 경우, 관측자(OB)와 영상 생성부(30)는 동일한 수평면 즉, yz 평면에 놓여진다. 즉, 영상 생성부(30)는 시선 축(VA)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에서 영상 생성부(130)는 시선 축(VA)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θ1)만큼 기울어져 배치된다. 이와 같이, 영상 생성부(130)가 제1 소정 각도(θ1)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광학 장치에서 광 파이프(40)의 제1 두께(T1)보다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에서 전면 프리즘부(140)의 제2 두께(T2)가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프리즘부(140)의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보다 작으므로,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는 작고 가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두께(T2)가 얇고 그 무게가 가벼워짐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를 장착한 관측자(OB)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광학 장치의 경우, 렌즈(60)를 통과한 광은 제2 빔 분할부(50)를 1차적으로 투과한 후, 2차적으로 제2 빔 분할부(50)에서 반사되어 관측자(OB)에게 가상 영상으로서 보여지므로 광 손실이 많아질 수 있다.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의 경우, 제2 빔 분할부(50)에서 1차적으로 반사된 광이 관측자(OB)에게 가상 영상으로서 보여지므로, 도 5에 도시된 광학 장치와 비교해 볼 때,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의 광 효율을 2배로 증가될 수 있어, HD(High Definition)급 고화소의 가상 영상이 관측자(OB)에게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장치(10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Head-Mounted Dispaly),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Head Up Display)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에에 의한 HMD(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HMD(200)는 제1 및 제2 광학 장치(100A, 100B),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202, 204),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212, 214), 제1 및 제2 안경 프레임(222, 224) 및 브릿지(bridge)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학 장치(100A, 100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광학 장치(100A)의 시선 축(VAR)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의 시선 축(VA)에 해당하고, 제2 광학 장치(100B)의 시선 축(VAL)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의 시선 축(VA)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광학 장치(100A, 100B) 각각의 내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HMD(200)가 관측자(OB)에게 착용될 때, 좌측 시선 축(VAL)은 관측자(OB)의 좌측 동공(OBL)과 일치하고, 우측 시선 축(VAR)은 관측자(OB)의 우측 동공(OBR)과 일치한다.
브릿지 프레임(230)은 제1 및 제2 안경 프레임(222, 22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관측자(OB)의 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202, 204)은 제1 및 제2 안경 프레임(222, 224)에 각각 연결되며, 관측자(OB)의 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학 장치(100A, 100B)는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212, 214)에 의해 제1 및 제2 안경 프레임(222, 224)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212, 214)은 고정형일 수도 있고, 제1 및 제2 광학 장치(100A, 100B)를 수평 방향 즉, 시선 축(VAL, VA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형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HMD(200)의 구성은 일 례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HMD가 구현될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300)는 광학 장치(100C), 측부 프레임(3100, 컴퓨터(320), 터치 패드(330), 마이크로폰(microphone)(340) 및 감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300)에서 광학 장치(100C)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관측자(OB)의 시선 축(VA)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의 시선 축(VA)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광학 장치(100C)의 내부 구성은 도 1에 예시된 광학 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컴퓨터(320)는 광학 장치(100C)의 영상 생성부(130)를 제어함으로써, 가상 영상이 생성되어 관측자(OB)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컴퓨터(320)는 영상 생성부(130)에서 생성할 가상 영상을 위한 데이터를 영상 생성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320)는 광학 장치(100C)의 영상 생성부(13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32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컴퓨팅 장치(300) 외부의 컴퓨터(미도시)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컴퓨터(320)는 다양한 명령에 따라 가상 영상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광학 장치(100C) 또는 그 장치(100C)의 영상 생성부(130)는 터치 패드(330), 마이크로폰(340) 및 센서(350)를 통해 관측자(OB)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측자(OB)는 터치 패드(330)를 조작하여 또는 마이크로폰(340)을 통해 음성으로 컴퓨터(320)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한, 감지부(350)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또는 자이로 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3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컴퓨터(320)에 명령을 부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광학 장치(100)가 적용되는 다른 례에 불과하며, 광학 장치(100C)는 다양한 형태로 컴퓨팅 장치(30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광학 장치 110: 광원
120: 제1 빔 분할부 130: 영상 생성부
140, 140A: 전면 프리즘부 140S1: 전면 프리즘부의 광 입사면
140T: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 140B: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
140-1, 140-2: 서브 프리즘부 142, 144: 반사층
150, 150A: 제2 빔 분할부 152: 프레임
154, 156: 코팅층 160: 렌즈
2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202, 204: 제1 및 제2 측부 프레임
212, 214: 제1 및 제2 연결 프레임 222, 224: 제1 및 제2 안경 프레임
230: 브릿지 프레임 300: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
310: 측부 프레임 320: 컴퓨터
330: 터치 패드 340: 마이크로폰
350: 감지부

Claims (17)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빔 분할부;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투과된 광으로부터 가상 영상을 형성하는 광 패턴을 생성하고,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된 영상 생성부;
    상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며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횟수만큼 전반사하는 전면 프리즘부; 및
    상기 전면 프리즘부 내에서 상기 시선 축을 기준으로 제2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되어 상기 전반사된 광을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하는 제2 빔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상기 시선 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면에 대해 제3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소정 각도가 일정할 경우, 상기 제2 빔 분할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3 소정 각도에 비례하고,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상기 전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시키고, 상기 전반사된 광의 나머지를 투과시키는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는 상기 전반사된 광의 40% 내지 80%를 반사시키고, 80% 내지 40%를 투과시키고,
    상기 미러의 곡률 반경은 62 ㎜인 광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는 상기 광이 상기 전면 프리즘부로 향하도록 포커싱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광학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비구면 렌즈인 광학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광학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분할부는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p-분극된 광을 투과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광 패턴에 해당하며 s-분극된 광을 반사하는 편광 빔 분할부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코팅된 제1 코팅층; 및
    상기 프레임의 아래에 코팅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분할부는 상기 전반사된 광의 일부를 상기 시선 축을 따라 반사하고, 상기 전반사된 광의 나머지를 투과시키는 광학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횟수가 짝수일 때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35° 내지 45°이고, 홀수일 때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45° 내지 -15°이고,
    상기 소정 횟수의 최소값은 2이고,
    상기 제2 소정 각도의 최소값은 62°이고,
    상기 제3 소정 각도의 최대값은 28°인 광학 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과 하면은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상기 광을 반사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리즘부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반사층; 및
    상기 전면 프리즘부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분할부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1 및 제2 반사층에서 전반사되는 광학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리즘부는 상기 제2 빔 분할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분할된 2개의 서브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분할부 또는 상기 영상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면 프리즘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광학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82065A 2014-12-17 2014-12-17 광학 장치 KR10231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65A KR102310995B1 (ko) 2014-12-17 2014-12-17 광학 장치
PCT/KR2015/013652 WO2016099090A1 (ko) 2014-12-17 2015-12-14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US15/537,756 US10634916B2 (en) 2014-12-17 2015-12-14 Wear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65A KR102310995B1 (ko) 2014-12-17 2014-12-17 광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93A KR20160073593A (ko) 2016-06-27
KR102310995B1 true KR102310995B1 (ko) 2021-10-08

Family

ID=5634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065A KR102310995B1 (ko) 2014-12-17 2014-12-17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9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511A (ja) * 2006-11-09 2008-05-29 Konica Minolta Opto Inc 接合プリズム、映像表示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映像撮像装置
US20140063055A1 (en) * 2010-02-28 2014-03-06 Osterhout Group, Inc. Ar glasses specific user interface and control interface based on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511A (ja) * 2006-11-09 2008-05-29 Konica Minolta Opto Inc 接合プリズム、映像表示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映像撮像装置
US20140063055A1 (en) * 2010-02-28 2014-03-06 Osterhout Group, Inc. Ar glasses specific user interface and control interface based on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93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149B2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for coupling image light to a near-eye display
CN106662678B (zh) 具有解耦非球面的球面镜
EP2828703B1 (en) Optical beam tilt for offset head mounted display
EP3134763B1 (en) Compact architecture for near-to-eye display system
US8471967B2 (en) Eyepiece for near-to-eye display with multi-reflectors
TWI645216B (zh) 虛像顯示裝置
US8294994B1 (en) Image waveguide having non-parallel surfaces
US11237394B2 (en) Freeform head mounted display
KR20220059553A (ko) 필드 곡률 보정 디스플레이
US10282912B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n interactive space over an expanded field-of-view with focal distance tuning
US10609364B2 (en) Pupil swim corrected lens for head mounted display
KR20160002690U (ko)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기기 및 그 광학 렌즈
KR20200108666A (ko) 영상의 횡이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677711B (zh) 虛實影像整合裝置
US10634916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KR102310995B1 (ko) 광학 장치
US11927758B1 (en) Multi-laser illuminated mixed waveguide display with volume Bragg grating (VBG) and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