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839B1 -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839B1
KR102310839B1 KR1020200091970A KR20200091970A KR102310839B1 KR 102310839 B1 KR102310839 B1 KR 102310839B1 KR 1020200091970 A KR1020200091970 A KR 1020200091970A KR 20200091970 A KR20200091970 A KR 20200091970A KR 102310839 B1 KR102310839 B1 KR 10231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on part
hole
protrusion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석
오종만
오종식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임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석 filed Critical 임정석
Priority to KR102020009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8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apparatus which includes: a first housing which forms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a wire connection part, wherein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is open; a second housing which forms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housing, covers the open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open surface to form an inner space;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has a first protrusion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a first through hole of which th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rusion part; and a first sealing cap which is formed to surround a protrud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ha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An operator can use a separate tool or minimize additional processing work for the robustness of installation, so that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apparatus can be installed quickly, simply, and firmly.

Description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는 전선의 접속부를 다양한 외부 환경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a wire connection part that may be expos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from variou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각의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변전소로부터 각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전신주를 세우고, 전신주에 전선을 가설하며, 전선의 연결 부분에는 분기 슬리브 등에 의해 접속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In general, as a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ity supplied from a power plant or substation to each end user, a utility pole is built from the substation to each user, a wire is installed on the utility pole,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is connected by a branch sleeve, etc. Thus, power is supplied to each user.

공중에 가설된 전선은 그 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데, 전신주가 가설된 거리에 따라 전선의 길이도 달라지고, 그에 따른 하중도 달라져 처짐의 발생 정도도 달라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은 전신주에 고정된 인류 클램프에 의해 전선에 일정한 장력이 가해지도록 조절하여 고정하고 있다. 전신주의 가설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연속된 단일 전선으로 연결하기 어려워 접속 슬리브를 통해 전선을 연결하여 가설하고 있다.Electric wires installed in the air are deflected by the load, and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varies according to the distance where the electric pole is installed, and the load accordingly also changes, so the degree of deflection also var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lectric wire is fixed by adjusting it so that a certain tension is applied to the electric wire by the human clamp fixed to the telephone pole. When the installation distance of a utility pole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connect it with a single continuous electric wire, so the electric wire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sleeve for installation.

통상적으로 위와 같은 전선은 폴리머에 의해 절연이 되어 있으나, 전선이 다른 구조물과 접속되는 부분의 경우 충전부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충전부가 노출이 되면 인명사고 뿐만아니라, 설치 후에 외부적 환경요인(예: 조류 및 설치류 등에 의한 정전, 눈이나 비에 의한 합선, 누전 등)에 의한 오동작(예: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설치되고 있다.Typically, the above wire is insulated by a polymer, but in the case where the wire is connected to another structu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ive part is exposed. If the live parts are exposed, not only human accidents, but also malfunctions (e.g. power outages)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e.g., power outages due to birds and rodents, short circuits due to snow or rain, short circuits, etc.) after installation are prevented. Protective devices are being installed to

위와 같은 접속부 보호장치의 설치는 전신주의 꼭대기와 같이 높은 곳에서 수행될 뿐만 아니라,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하되 견고하게 설치 할 수 있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as above is not only carried out at a high place such as the top of a utility pole, but also because it targets the wire through which a high-voltage current flows. is being actively pursued.

삭제delet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340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7340

시공자가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공구를 활용하거나, 설치의 견고성을 위하여 추가적인 가공 작업의 수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선의 접속부 보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 contractor may use a separate tool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or provide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additional processing work for the robustness of the installation.

특히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와 전선의 접촉부위의 밀폐가 용이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that facilitates sealing between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and the wire contact portion.

다양한 굵기의 전선에 대해서도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 common even for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선 접속부 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 상기 전선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으며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1밀폐캡을 포함할 수 있다.Forming a space that can contain at least a part of the wire connection par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ousing with an open surface, a space that can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wire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that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housing and is coupled to cover an open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o form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first protrusion having a first protrusion having a decreasing shape, a first through-hole having a diameter that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through-hole. Correspondingly, i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cap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또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2밀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a second penetration whos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aling cap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formed with a ball, the second sealing cap having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또한,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은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share a central axis.

또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3돌출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된 제3연결부 및 상기 제3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3밀폐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축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a third penetration whos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protrusion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protrusion having a ball,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ealing cap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to correspond to the third through hole, and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through hole is the first through hole. It may be formed to cross the central axis of the ball and the second through-hole.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밀폐캡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1밀폐캡의 나사산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a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crew thread of the first sealing cap may be engaged and coupled.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1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lits formed along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밀폐캡의 내경은 상기 제1돌출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lso, an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cap may be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밀폐캡의 결합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may be compress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first sealing cap.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의 모서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의 모서리와 힌지 결합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may be hinged with the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시공자가 별도의 공구를 활용하거나, 설치의 견고성을 위하여 추가적인 가공 작업의 수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빠르고 간편하되 견고하게 전선의 접속부 보호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The installer can use a separate tool or minimize the additional machining work for the robustness of the installation, so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rotection device for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ectric wire quickly and simply, but firmly.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는 안전을 위한 보호장구를 장착한 상황에서도 쉽고 빠르며 견고하게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와 전선의 연결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seal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wire easily, quickly, and firmly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protective equipment for safety is mount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는 다양한 굵기의 전선에 대응하여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in common to correspond to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류 크램프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인류 크램프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밀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1밀폐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슬리브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 고리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분기 고리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싱 단자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부싱 단자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in which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human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human clamp.
Figure 3a is a view showing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sle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sleeve.
Figure 5a is a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a branch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branch ring.
Figure 6a is a view showing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a bush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bushing terminal.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xamples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or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can modify the corresponding elemen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an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It is used only and does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When an (eg,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that component is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configured (or configured to)” means “suitable for,” “having the ability to,” “modified to,”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example, in hardware or software. ,"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may be used interchangeably. In some circumstance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ith other devices or parts.

본 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document,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가 설치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 200 , 300 , 400 is install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는 전선(3)의 충전부가 노출될 수 있는 부위에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신주(1)와 전선(3)의 연결부위(100), 변압기(2)와 전선(3)의 연결부위(400), 전선(3)과 전선(3)의 연결부위(200), 전선(3)에서 분기점이 형성되는 부위(300) 등에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다.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nd utilized in a portion where the charging part of the wire 3 may be expo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connection portion 100 of the telephone pole (1) and the electric wire (3), the connecting portion (400) of the transformer (2) and the electric wire (3), the electric wire (3) and the electric wire (3) ) can be installed and utilized in the connection part 200 of the electric wire 3 and the part 300 where the branch point is formed.

통상적으로 전선(3)은 폴리머에 의해 절연이 되어 있으나, 위와 같이 전선(3)이 다른 구조물과 접속되는 부분의 경우 충전부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안전사고의 예방뿐만 아니라 누전, 합선 등에 의한 정전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부를 밀폐시켜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the electric wire 3 is insulated by polymer, but in the case where the electric wire 3 is connected to other structures as abov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ive part is exposed. It is very important to seal and protect the live parts to prevent accident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는 노출된 충전부 또는 접속부를 감싸는 커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할된 커버가 충전부 또는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함으로써 충전부 또는 접속부를 밀폐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커버 형태의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는 서로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분할된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형태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and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surrounding the exposed charging part or the connection part, and at least two or more divided covers are provided between the charging part or the connection part for ease of installation.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ealing the charging part or the connecting part by putting it on and combining it.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s 100, 200, 300, and 400 in the form of a divided cover may be formed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divided cover is hinged to each other and opened and closed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는 폴리에틸렌이나 합성고무와 같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전선이 활선상태 및 사선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such as polyethylene or synthetic rubber, so that the wire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live or oblique state. can

또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진동과 같은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전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가 결합하는 틈새를 탄력적으로 매움으로써 물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4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vibration, and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400) ), it can adhere to the inside so tha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do not enter the inside by filling the gap elastically.

다만,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전선(3)의 굵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전선의 굵기는 전선이 가설될 전신주(1)의 거리, 송전하는 전류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굵기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의 연결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크기는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1연결부(120)의 제1관통공(123)은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사용될 전선의 굵기에 맞추어 서로 다른 직경의 관통공을 갖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생산 비용적 측면에서 단가가 상승하여 불리한 요소이고, 다양한 종류의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자 입장에서도 비효율적임에 분명하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관통공을 넉넉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경우, 관통공의 직경보다 얇은 전선의 접속부에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관통공의 내면과 전선과의 틈을 시공자가 별도의 작업을 통해 메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메워주는 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면, 이 공간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누전, 합선 정전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However, the thickness of the wire 3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 200 , 300 , 400 is installed.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may have various thicknesses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electric pole 1 to be installed, the capacity of the electric current to be transmitted, and the like. Therefor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 200 , 300 , 400 through which the above wire passes should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A to 3B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through hole 123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should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However, providing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having through-holes of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to be used is a disadvantage because the unit price increases in terms of production cost. It is also evidently inefficient. To avoid this, when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a sufficiently large diameter, when a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thinn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wire must be filled by the installer There is a cumbersome filling through the duct, and if the fill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water or foreign substances may enter through this space and cause accidents such as short circuit and short circuit blackout.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는 다양한 굵기의 전선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전선(3)이 통과하는 연결부분의 직경이 변경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이하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Therefore,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the wire 3 passes can be chang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even on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can provide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류 크램프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인류 크램프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100 installed on the human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100 installed on the human clamp am.

인류 크램프는 통상적으로 전신주와 전선을 연결시키는 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Human clamp is a configuration that is usually installed on the part that connects the electric pole and the electric wire, an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electric wire becomes const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류 크램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는 제1하우징(111), 제2하우징(113), 제1연결부(120), 제2연결부(140), 제3연결부(160), 제1밀폐캡(130), 제2밀폐캡(150) 및 제3밀폐캡(17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installed to surround the human clamp is a first housing 111 , a second housing 113 , a first connection part 120 , a second connection part 140 ). , a third connection part 160 , a first sealing cap 130 , a second sealing cap 150 , and a third sealing cap 170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11)은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를 형성하는 일부 구성으로서, 일면(111a)이 개방되고 내부에 전선 접속부(예: 인류 크램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partial configuration that forms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one surface 111a is open and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wire connection part (eg, human clamp) therein. You can create space to do it.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113)은 제1하우징(1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일면(113a)이 제1하우징(111)의 개방된 일면(111a)과 마주하며 제1하우징(111)과 결합할 수 있다. 제2하우징(113)은 제1하우징(111)과 결합함에 따라 전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하우징(113)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11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부분(103)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를 개폐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의 결합의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힌지 결합(103)되어 회동이 가능한 구조(예: 연결편, 경첩 등)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이 결합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의 형태는 구형, 박스형 등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밀폐할 수 있는 쉘(Shell)구조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housing 111 , and the open surface 113a faces the open surface 111a of the first housing 111 .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housing 111 . As the second housing 113 is combined with the first housing 111 , an inner space including a wir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and the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may be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1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11 , and by rotating about the connected portion 103 ,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may be opened and clo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f coupling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 and the hinge-coupled 103 rotatable structure (eg, a connecting piece, a hinge, etc.)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in which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are combined is not limited, such as a spherical shape, a box shape, etc., and a shell that can form a space therein and can be sealed If it is a shell structure,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은 힌지 결합(103)되어 회동 가능하되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의 결합상태 유지를 위하며 결합장치(101)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의 개방된 면이 마주하는 부분 중에서 힌지 결합(103)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활용한 클립결합 구조(101)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공자는 간편하게 전선의 접속부에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hinge-coupled 103 so as to be rotatable, but for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a coupling device (101) can be utilized. For example, a clip coupling structure 101 using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in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hinge coupling 103 part among the parts where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face each other. can utilize Through this, the constructor can easily install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20)는 제1돌출부(121)와 제1관통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은 제1연결부(120)를 통해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내부의 인류 크램프와 같은 전선 접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120)가 형성되는 위치에 큰 제한은 없다. 예를들어 제1연결부(120)는 제1하우징(111)의 표면이나 제2하우징(113)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20)는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이 결합하는 경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의 개폐에 따라 제1연결부(120) 또한 개폐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art 121 and a first through hole 123 .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a wire connection part such as a human clamp inside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There is no great limit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is formed.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or th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13 . However,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where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are coupled. Through thi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als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housing 111 and the second housing 113 .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121)는 제1하우징(111) 또는 제2하우징(113)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됨에 따라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123)은 제1돌출부(121)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제1돌출부(121)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1하우징(111) 또는 제2하우징(113)의 표면 근처에서 제1관통공(123)의 직경은 가장 크게 형성되고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2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or the second housing 113 to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s it protrudes. The first through hole 123 may be formed along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and the diameter may change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In other words, near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1 or the second housing 113 ,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3 may be formed to be the largest and the diameter may be gradually decreas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폐캡(130)은 제1돌출부(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123)에 대응하여 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밀폐캡(130)은 바닥면이 개방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밀폐캡(130)은 제1밀폐캡(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임의의 선을 따라 절개되어 분리 및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밀폐캡(130)은 임의의 선을 따라 절개되고 그와 마주하는 임의의 선을 따라 절곡됨으로써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1밀폐캡(130)의 내주면은 제1돌출부(121) 외주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밀폐캡(130)이 제1연결부(120)와 결합할 때 제1연결부(120)를 압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cap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and a hole 13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3 . The first sealing cap 130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The first sealing cap 13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by cutting along an arbitrary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 The first sealing cap 130 may be opened and clos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by being cut along an arbitrary line and bent along an arbitrary line facing the first sealing cap 13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rough this, when the first sealing cap 13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a force for press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applied.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는 제1연결부(120) 뿐만이 아니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밀폐캡 또한 제1밀폐캡(130) 뿐만이 아니라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연결부(140) 내지 제3연결부(160) 및 제2밀폐캡(150) 내지 제3밀폐캡(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140)는 제1연결부(120)와 마찬가지로 제2돌출부(141) 및 제2관통공(143)을 포함하고, 제2밀폐캡(150)과 결합될 수 있다. 제3연결부(160) 및 제3밀폐캡(170) 또한 동일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 , and a plurality of sealing caps may be coupled in response to this as well as the first sealing cap 130 .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0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160 and the second sealing cap 150 to the third sealing cap 17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econd connector 140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141 and a second through hole 143 like the first connector 120 , a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ealing cap 150 . The third connection part 160 and the third sealing cap 170 may also be the same.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140)는 제1연결부(120)와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1관통공(123)과 제2관통공(143)의 중심축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관통공(123)으로 전선이 통과하여 인류 크램프와 연결된다면, 제2관통공(143)으로는 인류 크램프와 전신주가 연결되기 위한 라인이 통과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 In other words,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through hole 12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3 may be the same. For example, if an electric wire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3 and is connected to the human clamp, a line for connecting the human clamp and the electric pole may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43 .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연결부(160)는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40)가 공유하는 중심축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관통공(163)으로는 분기를 위한 전선 등 다양한 목적의 전선의 추가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par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shared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0 . The third through hole 163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electric wire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electric wires for branching can additionally pass.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20)의 밀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b는 제1밀폐캡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는 제1연결부(120)와 제1밀폐캡(130)을 예로들어 설명하나 나머지 연결부(140, 160) 및 밀폐캡(150, 160)도 동일한 구조를 갖을 수 있다.3A is a view showing a sea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3A to 3B,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first sealing cap 1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remaining connection parts 140 and 160 and the sealing caps 150 and 16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20)와 제1밀폐캡(130)은 설치될 위치에 사용되는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제1관통공(123) 및 홀(13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nd the first sealing cap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hange the sizes of the first through hole 123 and the hole 131 in response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us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120)의 제1돌출부(121)는 돌출됨에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관통공(123) 또한 제1돌출부(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제1연결부(120)는 쉘(shell)형태의 원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제1돌출부(121)를 잘라내면 노출되는 제1관통공(123)의 직경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전선의 경우에는 제1돌출부(121)를 조금만 절단하고, 굵은 전선의 경우에는 제1돌출부(121)를 많이 절단하여 전선의 굵기에 대응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2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as it protrudes,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123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is formed to decrease. In other word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have a conical shape in the form of a shell. Therefore, when the first protrusion 121 is cu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d electric wire, the diameter of the exposed first through hole 123 may be chang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in wire, a small amount of the first protrusion 121 is cut, and in the case of a thick wire, a large amount of the first protrusion 121 may be cut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이와 마찬가지로, 제1밀폐캡(130) 또한,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일부를 절단하면 홀(131)의 직경이 변화하므로, 다양한 전선의 굵기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Similarly, since the diameter of the hole 131 is changed when a part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is cu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it can be us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various electric wires.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121)에는 복수개의 제1슬릿(1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릿(125)은 제1돌출부(121)의 외주면에 제1돌출부(121)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릿(125)은 제1관통공(123)을 통과하는 전선의 굵기와 제1관통공(123) 사이의 오차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관통공(123)보다 전선이 약간 굵거나 얇아도 제1슬릿(125)에 의해 제1돌출부(121)가 탄성변형하여 전선과 제1관통공(123) 사이의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lits 125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slits 125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in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The first slit 125 may serve to absorb an error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3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3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at is, even if the wire is slightly thicker or thinn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123, the first protrusion 121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irst slit 125 to remove the space between the wire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3. hav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밀폐캡(130)의 내경은 제1돌출부(121)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제1돌출부(121)와 결합함에 따라 제1돌출부(121)를 압박할 수 있는데, 제1밀폐캡(130)이 결합하면서 제1돌출부(121)를 압박하면 제1슬릿(125)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전선의 외주면과 제1관통공(123)의 내면이 압착됨으로써 제1연결부(120)를 밀폐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and as it engages with the first protrusion 121 , the first protrusion 121 is pressed. When the first sealing cap 130 is coupled and the first protrusion 121 is pressed while the first slit 125 is reduc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123 are compresse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 may be seal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슬릿(125)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균일하게 전선을 압착하기 위해서 등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A plurality of first slits 1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However, it would be preferable to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order to uniformly compress the electric wir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폐캡(130)과 제1돌출부(121)는 나사산(127, 137)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밀폐캡(130)의 내주면과 제1돌출부(1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27, 137)이 형성되어 있고, 제1밀폐캡(130)을 제1돌출부(121)에 끼우고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제1돌출부(121)와 제1밀폐캡(130)의 결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cap 130 and the first protrusion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upled through the threads 127 and 137 . For example, screw threads 127 and 137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21 , and the first sealing cap 1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121 ,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sealing cap 13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141) 내지 제3돌출부(161)에는 제1슬릿(125)과 마찬가지로 제2슬릿(미도시) 내지 제3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및 효과는 제1슬릿(125)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밀폐캡(150) 및 제3밀폐캡(170) 또한 제2돌출부(141) 및 제3돌출부(161)와 나사산(147, 157, 167, 177)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slit (not shown) to a third sli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rotrusion 141 to the third protrusion 1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milar to the first slit 125 , and the structure and The effect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lit 125 . Similarly, the second sealing cap 150 and the third sealing cap 170 may also be coupled to the second and third projections 141 and 161 by means of screws 147 , 157 , 167 and 177 .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폐캡(130)은 제1밀폐캡(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임의의 선을 따라 절개되고 그와 마주하는 임의의 선을 따라 절곡됨으로써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cap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ut along an arbitrary lin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and is bent along an arbitrary line facing the main body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imilar manner to (110).

마찬가지로 개방된 제1밀폐캡(130)은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상태 유지를 위하며 결합장치(133)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밀폐캡(130)의 절개된 부분이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활용한 클립결합 구조(133)를 활용할 수 있다. 클립결합(133)된 제1밀폐캡(130)은 제1돌출부(12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돌출부(121)를 압착함과 동시에 제1밀폐캡(130)의 클립결합(133) 또한 견고해질 수 있다. 결합장치(133)는 제1밀폐캡(130)의 절개된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간격으로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Similarly, the open first sealing cap 130 is for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in a similar manner to the main body 110 of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and the coupling device 133 can be utilized. For example, a clip coupling structure 133 us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may be used in a portion where the cut-out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faces. The clip coupling 133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presses the first protrusion 121 in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at the same time, the clip coupling 133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also can be solid. The coupling device 133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ut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cap 130 or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at regular intervals.

이하 도 4a 내지 도 6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200, 300, 4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결합장치(101)는 도 4a,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결합장치(201, 301, 401)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s 200 , 300 ,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6B , the configuration without a separate description i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2A to 2B and may be the same or similar. For example, the coupling device 101 shown in FIGS. 2A to 2B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upling device 201 , 301 , 401 shown in FIGS. 4A , 5A and 6A .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슬리브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2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a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sle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sleeve .

슬리브는 전선의 단부와 또 다른 전선의 단부를 서로 묶어 하나의 선으로 이어주는 연결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부분 또한, 충전부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위에도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sleeve may refer to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nd of an electric wire and the end of another electric wire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end to a single wire. This part also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inflow of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since the charging part may be exposed. Accordingly,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200 may be installed even in such a reg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리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200)는 제1하우징(211), 제2하우징(213), 제1연결부(220), 제2연결부(240), 제1밀폐캡(230) 및 제2밀폐캡(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200 installed to surround the slee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211 , a second housing 213 , a first connection part 220 ,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40 . , a first sealing cap 230 and a second sealing cap 250 may be included.

슬리브는 대체적으로 전선과 전선을 직선 형태로 연결하게 되므로, 연결부가 2개정도로 형성되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220), 제2연결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1밀폐캡(230)과 제2밀폐캡(250)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Since the sleeve generally connects the electric wire and the electric wire in a straight line, it may be appropriate if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bout two pieces.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40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may be formed, and may be sealed through the first sealing cap 230 and the second sealing cap 250 , respectively. .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 고리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분기 고리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3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a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300 installed on the branch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300 installed on the branch ring is shown in an open state It is a drawing.

분기 고리는 전선 한 가닥(예: 주 전선)의 중간 임의의 지점에서 다양한 목적에 따라 분기점을 형성하여 다른 전선(예: 부 전선)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부분 또한, 충전부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위에도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branch ring may refer to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ends of another electric wire (eg, a secondary electric wire) by forming a branch point at any point in the middle of one electric wire (eg, a main electric wire) for various purposes. This part also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inflow of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since the charging part may be exposed. Therefore,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300 may be installed even in this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기 고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300)는 제1하우징(311), 제2하우징(313), 제1연결부(320), 제2연결부(340), 제1밀폐캡(330) 및 제2밀폐캡(3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300 installed to surround the branch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311 , a second housing 313 , a first connection part 320 ,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40 . ), a first sealing cap 330 and a second sealing cap 350 may be included.

분기 고리는 주 전선의 중간 임의의 지점에 분기점을 형성하므로 'T'자 유사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선과 밀폐를 위한 3개의 연결부가 필요할 수 있으나, 부 전선은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통상 주전선의 하방에서 접속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밀폐의 필요성이 낮아 별도의 밀폐를 위한 밀폐캡 등을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branch ring forms a branch point at any point in the middle of the main wire, so it can be formed in a 'T'-like formation. Finally, three connections for sealing the electric wire may be required, but the secondary electric wire is usually connec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electric wire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gravity. may not

따라서 직선 형태의 주 전선의 밀폐하게 되므로, 연결부가 2개정도로 형성되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제1연결부(320), 제2연결부(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1밀폐캡(330)과 제2밀폐캡(350)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traight main wire is sealed, it may be appropriate if two or more connecting parts are formed.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40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may be formed and sealed through the first sealing cap 330 and the second sealing cap 350, respectively. .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싱 단자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부싱 단자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4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a is a view showing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400 installed on the bush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400 installed on the bushing terminal showing an open state It is a drawing.

부싱 단자는 변압기(2, 도 1 참조)로부터 전신주(1, 도 1 참조)의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분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변압기(2)와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부분 또한, 충전부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위에도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The bushing terminal is for a part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ic wire of the utility pole (1, see FIG. 1) from the transformer (2, see FIG. 1), and more specifically, may refer to a part where the transformer 2 and the electric wire are connected. This part also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inflow of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since the charging part may be exposed. Therefore,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400 may be installed even in such a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싱 단자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400)는 제1하우징(411), 제2하우징(413), 제1연결부(420) 및 제1밀폐캡(4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400 installed to surround the bush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411, a second housing 413, a first connection part 420, and a first sealing cap ( 430) may be included.

통상적으로 변압기(2)의 상방에 전선의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부싱 단자에 설치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의 본체(410)는 뒤집어진 컵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컵과 같은 형태의 본체(410)에서 한 가닥의 전선이 돌출되며 이 부분을 밀폐하면 충분하므로, 제1연결부(420)와 제1밀폐캡(430)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ransformer 2 , the body 410 of the wir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bushing terminal may be in the form of an inverted cup. Since a single wire protrudes from the cup-like body 410 and sealing this part is sufficient, it can be seal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420 and the first sealing cap 430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100, 200, 300, 400)를 설명함에 있어 위와 같이 도 2a 내지 도 6b와 같이 몇가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선의 충전부가 노출되고 커버 형태의 보호장치를 통해 밀폐가 필요한 위치에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00, 200, 300, and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rough some specific examples as shown in FIGS. 2A to 6B as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part of the wire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laces where it is exposed and requires sealing through a cover-type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110 : 본체
111 : 제1하우징 113 : 제2하우징
120 : 제1연결부 121 : 제1돌출부
123 : 제1관통공 125 : 제1슬릿
127 : 나사산 130 : 제1밀폐캡
131 : 홀 137 : 나사산
100: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110: body
111: first housing 113: second housing
120: first connection part 121: first protrusion
123: first through hole 125: first slit
127: thread 130: first sealing cap
131: hole 137: thread

Claims (10)

전선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이 개방된 제1하우징;
상기 전선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으며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1밀폐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밀폐캡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1밀폐캡의 나사산이 맞물려 결합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A first housing that forms a space that ca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one surface of which is open;
a second housing that forms a space that ca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housing, covers an open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combines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and the first through-hole whos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a first connector; and
a first sealing cap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i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cap,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crew thread of the first sealing cap are engaged and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부분에 형성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formed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2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2밀폐캡;을 더 포함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cross-sectional area, and a second through-hole whos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are formed a second connector; and
The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second sealing cap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the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hrough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은 중심축을 공유하도록 형성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are formed to share a central axis o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제3돌출부와, 상기 제3돌출부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직경이 변화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된 제3연결부; 및
상기 제3돌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관통공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된 제3밀폐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의 중심축과 교차되도록 형성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thir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housing to the outside, and a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reduced, and a third through-hole whose diameter changes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protrusion is formed. a third connector; and
It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cap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and having a hole formed in correspondence to the third through hole,
The central axis of the third through-hole is formed to intersect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1슬릿;을 포함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part
A wire connection part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a plurality of first slits formed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폐캡의 내경은 상기 제1돌출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ealing cap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trusion protection device for wire conn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밀폐캡의 결합에 따라 중심축 방향으로 압착되는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first sealing cap to the wire connection portion protec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의 모서리는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의 모서리와 힌지 결합 된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is hinge-coupled to the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KR1020200091970A 2020-07-23 2020-07-23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KR102310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70A KR102310839B1 (en) 2020-07-23 2020-07-23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70A KR102310839B1 (en) 2020-07-23 2020-07-23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839B1 true KR102310839B1 (en) 2021-10-12

Family

ID=7807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970A KR102310839B1 (en) 2020-07-23 2020-07-23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839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291Y1 (en) * 1995-01-26 1998-10-01 김부현 Jun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cable
KR200297045Y1 (en) * 2002-09-06 2002-12-02 주식회사 제씨콤 Sleeve cover
KR200299524Y1 (en) * 2002-09-18 2002-12-31 주식회사 제씨콤 Clamp cover assembly
KR20040021973A (en)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제씨콤 Sleeve cover
KR20040025015A (en)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제씨콤 Clamp cover assembly
KR200427340Y1 (en) 2006-05-19 2006-09-26 주식회사 평일 Waterproof protective cover for y connection of wire
KR100754765B1 (en) * 2005-12-13 2007-09-04 송성태 A cap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for preventing the electric leakage, and a packing
JP2018196167A (en) * 2017-05-12 2018-12-06 中国電力株式会社 Insulation cover and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KR200491327Y1 (en) * 2017-10-23 2020-03-23 한국전력공사 Elongated deadend clamp insulation cover for polymer suspension insulator
KR102107776B1 (en) * 2017-11-07 2020-05-07 지엔에스티주식회사 cover for wedge type tension clamp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291Y1 (en) * 1995-01-26 1998-10-01 김부현 Junc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cable
KR200297045Y1 (en) * 2002-09-06 2002-12-02 주식회사 제씨콤 Sleeve cover
KR20040021973A (en)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제씨콤 Sleeve cover
KR200299524Y1 (en) * 2002-09-18 2002-12-31 주식회사 제씨콤 Clamp cover assembly
KR20040025015A (en)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제씨콤 Clamp cover assembly
KR100754765B1 (en) * 2005-12-13 2007-09-04 송성태 A cap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for preventing the electric leakage, and a packing
KR200427340Y1 (en) 2006-05-19 2006-09-26 주식회사 평일 Waterproof protective cover for y connection of wire
JP2018196167A (en) * 2017-05-12 2018-12-06 中国電力株式会社 Insulation cover and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KR200491327Y1 (en) * 2017-10-23 2020-03-23 한국전력공사 Elongated deadend clamp insulation cover for polymer suspension insulator
KR102107776B1 (en) * 2017-11-07 2020-05-07 지엔에스티주식회사 cover for wedge type tension c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7979B2 (e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3557299A (en) Sealed cable closure
JP201610347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bow connector assembly
CN108963923B (en) Cable puncher for switch cabinet
US20180337472A1 (en) Wire plug-in aid sleeve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terminal
KR101611899B1 (en) Waterproof possible electrical connection port
CN106229918B (en) A kind of waterproof shielding cable gland
KR102310839B1 (en) Wire connecting part protection apparatus
US3639678A (en) Bushing protective guard
KR102332438B1 (en) Compound type cable gland
CN212875359U (en) Threading waterproof construction and intelligent driving vehicle
US2834829A (en) Bushing terminal guard
CN107958985B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and battery box using same
MX2014008022A (en) Enclosed proximity switch assembly.
KR101580792B1 (en) Lightning arrester for connecting with a lead cable
CN207559172U (en) A kind of cable connector connector for being used for wind-powered electricity generation or photovoltaic apparatus
CN204167827U (en) A kind of mine anti-explosion termination
CN203813114U (en) Self-sealing high-performance coaxial connector
CN102568781A (en) Transformer low-voltage side outgoing line-leading device
CN205304238U (en) Surge protector's base
US3313983A (en) Transformers
CN215266709U (en) Protective terminal connector
JP2020120499A (en) Cable holding body, cable holding structur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6385250B2 (en) Fuse cover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CN211123053U (en) Phase sequence detection device for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