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42B1 -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42B1
KR102310542B1 KR1020200076269A KR20200076269A KR102310542B1 KR 102310542 B1 KR102310542 B1 KR 102310542B1 KR 1020200076269 A KR1020200076269 A KR 1020200076269A KR 20200076269 A KR20200076269 A KR 20200076269A KR 102310542 B1 KR102310542 B1 KR 10231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speech
hearing loss
informa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우재
김여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0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 G10L25/1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xtracted parameters the extracted parameters being spectral information of each sub-b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 device for testing hearing using a monosyllable 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rocessor including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an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s from among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cluded in a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an output part that outputs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and an input part that receives listening information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a subjec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ccurately testing the hearing loss rate and the type of hearing loss of the subject.

Description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통계적으로, 대략 인구대비 0.1~0.2%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는 심도 난청(profound hearing loss), 1~2%는 중도 고도 난청(moderate and severe hearing loss)이고, 10~15%는 경도 난청(mild hearing loss)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경도 난청은 20~40dB 정도의 소리를 듣는데 장애가 있는 경우로서 가까이 있는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데는 큰 지장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도 난청의 경우, 대부분 그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도 난청으로 병원을 찾는 예가 많지는 않으나, 경도 난청인 사람이 계속적으로 과도한 볼륨으로 음향 재생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중도 난청이 될 수 있고, 더 심해지는 경우에는 고도 또는 심도 난청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Statistically, approximately 0.1 to 0.2% of the population have profound hearing loss, in which no sound is heard, 1 to 2% have moderate and severe hearing loss, and 10 to 15% have mild hearing loss ( mild hearing loss). Here, mild hearing loss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disability in hearing about 20 to 40 dB, and does not have much difficulty in conversing with people nearby. However, in the case of such mild hearing loss, most are unaware of the severity, so there are not many cases of visiting a hospital for mild hearing loss. In more severe cases, it can progress to severe or profound hearing loss.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다수의 음향 재생 장치를 접하면서 생활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서 라디오,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오디오, PC 및 어학 재생기 등이 있다.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live in contact with a number of sound reproduction devices, 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radios, CD players, MP3 players, audio players, PCs, and language players.

특히, MP3,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음향장치가 일반화됨에 따라 난청을 겪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산업 현장의 지속적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작업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난청은 서서히 진행되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청력을 잃을 수 있다. In particular, as personal sound devices such as MP3 players and smartphones become common, the age of hearing loss is gradually decreasing, and interest in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workers exposed to continuous noise in industrial settings is growing. Hearing loss can progress slowly and you can lose your hearing without your knowledge.

난청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청력상태를 평소 숙지하여 난청을 조기에 예방 및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병원에 와 청력검사를 받아야 하므로 병원을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병원과의 거리가 멀어 검사를 제때 받지 못하는 문제점 이 발생한다. 또한, 청력검사는 각 주파수 별로 소리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방음 부스와 같은 조용한 환경에서 시행되어야 신뢰성이 있는 역치 값(Threshold value)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방음 부스는 일정크기 이상의 검사 공간 및 고가의 설치비용이 필요하며 병원 또는 청력검사가 가능한 지정장소를 방문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청력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노력은 다음과 같다. 귀 덮개형 이어폰(circumaural earphone)과 같은 헤드폰은 귀를 완전히 덮어 방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피검사자에게 귀를 누르는 압박감을 전달하며 피검사자는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귀속 가까이 장치를 삽입 가능한 삽입형 이어폰(insert earphone)의 경우는 음향 전달의 효과는 크나, 저 주파수 대역에서 차단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두 이어폰 모두 수동 상쇄 효과를 가지지만 착용(fitting) 상태에 따라 검사 결과의 변동을 가져오게 되므로 주위 소음 차단 수단으로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respond to hearing loss,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individual's hearing condition on a daily basis to prevent and treat hearing loss at an early stage. However, for early detection, periodic hearing tests are required, so there is no time to visit the hospital, or the distance from the hospital is far from the hospital to prevent timely examinations. In addition, since the hearing test examines the testee's response to sound for each frequency, reliable threshold values can be determined only when performed in a quiet environment such as a soundproof booth.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proof booth requires an examination space of a certain size and an expensive installation cost, and it can be used only by visiting a hospital or a designated place where a hearing test is possible. Conventional efforts to perform a hearing test in a noisy environment are as follows. Headphones such as circumaural earphones can completely cover the ears to enhance the soundproofing effect, but deliver a sense of pressure to the subject's ears, and the subject may complain of stuffiness. In the case of an insert earphone capable of inserting the device close to the ear, the effect of sound transmission is great,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blocking in a low frequency band. Both of these earphones have a passive offset effect, but there is a limit as a means of blocking ambient noise because the test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wearing state.

또한, 피검자의 청력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검사음을 출력하고,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아 청력을 검사함으로써, 무의미한 검사음이 출력되어 검사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outputting a consistent test sound without considering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examinee, and examining the hearing by receiving an input whether the examinee can hear the test sound, a meaningless test sound is output to increase the test time and accuracy of the test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삭제delete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89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8967

본 발명은 일음절어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할 수 있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ic words that can test the hearing of a subject using monosyllabic word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computer is record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는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프로세서; 상기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피검자로부터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or for including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an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among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cluded in a speech audio test sound set ;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listen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generat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기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상기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compar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hearing information are the same, determines whether or no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hear hearing loss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output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to the output unit.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utput test sounds and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sounds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representing hearing loss in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hearing loss may be generated as th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generate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any one of a beginning, a middle, and a final ton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hearing loss is different from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et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 final hearing loss type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finalitie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generated, and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set as a neutral hearing loss type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hearing loss indicates non-hearing. generated, and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set as the initial hearing loss type can create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프로세서가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출력부가 상기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피검자로부터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includes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s among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cluded in the speech audio test sound set. making; outputting, by an output unit,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receiving, by an input unit, listen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and generating, by the processor,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기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상기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compar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listening information are the same, and determin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hearing loss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generating, as th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utput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to the output unit and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or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hearing loss.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performs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any one of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different. to generate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finalitie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s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hearing loss is non-hearing ,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final hearing loss type, and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tone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ones of a speech audiometry indicative of hearing loss for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s indicative of hearing loss is ,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neutral hearing loss type, and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initials amo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hearing loss is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hearing loss is non-hearing.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n initial speech hearing loss type.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o perform the method.

상기에서 기재된 바에 따르면, 일음절어를 제시하여 피검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피검자의 난청율 및 난청 유형을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esenting a monosyllable word to perform a hearing test of a subjec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xamine the hearing loss rate and type of hearing loss of the subject.

도 1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피검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피검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 subject performing a test using the same.
2 is a block diagram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le word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 subject performing a test using the sam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le word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le word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like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s", or "may include" refer to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eg, a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means (1) includes at least one A, (2) includes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피검자 기기와 제2 피검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피검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may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and may modify one element. It is used only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subject device and the second subject device may represent different subject device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coupled with/to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When referring to "connected to",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eg, a third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the component and the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eg, a third component) do not exist between other components.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MCU),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AP)를 의미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or configured to)” as used in this document,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 The term “configured (or set up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hardware. Instead,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with other devices or parts. For example, the phrase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refers to a dedicated processor (eg, an embedded processor, MCU), or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memory,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By executing, it may mean a generic-purpose processor (eg, CPU, AP) capable of performing corresponding operations.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with the same or similar meaning to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constru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le word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와 이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피검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와 이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피검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n example of a subject performing a test using the sam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nother example of a subject performing a test using the same, and FIG. 4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hearing test apparatus using monosyllable words,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출력부(120), 표시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구성 요소 중에서 청력을 검사하고, 검사 결과를 표시하거나 검사 결과를 적용하여 음원을 재생하는 기능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1 to 6 ,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10 , an output unit 120 , a display unit 130 , an input unit 140 ,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storage unit 160 may be includ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est hearing, displaying the test result or applying the test result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will be described. Accordingly, i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청력을 검사하는 피검자에 의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음원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때, 휴대가 가능하다고 함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예를 들면, 휴대폰(mobile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MPEG Audio layer-3 Player), CD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등이 있고,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 person who tests hearing  , and reproduces a sound source or outputs a signal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In this case, being portable means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holding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n hand or carrying it on the body. Also, the device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audible to the examinee from data stored in the form of a digital or analog signal, or outputs a signal that generates a sound that the examinee can hear. For example,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MP3 player (MPEG Audio layer-3 Player), a CD player (Compact Disc player), a portable There is a media player (Portable Media Player), etc., and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ignal that generates a sound that the examinee can hear or generates a sound that the examinee can hear Includes all devices that output .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재생하거나, 또는 피검자가 청취할 수 있는 소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청력을 검사하는 기능이 부가된 장치이다. 청력(hearing ability)이란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청력 검사(hearing test)란 귀가 들리는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즉,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귀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음원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s a device in which a function of testing hearing is added to a device that reproduces a sound that the examinee can hear or outputs a signal representing a sound that the examinee can hear. Hearing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hear sounds with the ear, and the hearing test is a test that measures the degree of hearing. That is,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means a device that reproduces a sound source to which a func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the ability to hear sound with the ear is added, or outputs a signal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do.

이때,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신호라 함은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신호는 진폭, 주파수 위상을 가지는 파형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호는 증폭기(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되어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출력부(120)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출력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120a)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120a')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이러한 방법으로 발생된 소리를 청취하는 정도를 참조하여 피검자의 청각 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ignal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is a signal for generating a sound. A signal generating sound is composed of a waveform having amplitude and frequency phase. Such a signal is amplified through an amplifier to generate a sound, or a sound is generated by the output unit 120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headset 120a as shown in FIG. 1 ,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speakers 120a ′ as shown in FIG. 3 .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may test the auditory ability of the examinee with reference to the degree of hearing the sound generated in this way.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20)는 청력을 검사하기 위한 소리로써, 순음으로 구성된 순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utput a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composed of pure tones as a sound for testing hearing.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재생되어 생성된 검사음은 피검자의 청각 기관을 자극하여 피검자로 하여금 검사음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출력부(120)는 소리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서 직접적으로 검사음을 출력할 수 있다. The test sound generated by reproduc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stimulates the auditory organ of the examinee to allow the examinee to listen to the test sound. The output unit 120 may directly output a test sound from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a monosyllable word by using an audio signal generating a sound.

이를 위해, 프로세서(110)는 순음 청력 검사음의 순음 주파수 정보 및 순음 크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순음 주파수 정보는 순음 청력 검사음의 순음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고, 순음 크기 정보는 순음 청력 검사음의 순음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110 may set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and pure tone size information of the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Here, the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pure tone frequency of a pure tone audiometry sound, and the pure tone siz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a pure tone level of a pure tone audiometry sound.

출력부(12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설정된 순음 주파수 정보 및 순음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순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based on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and pure tone size information set by the processor 110 .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순음 주파수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 순음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순음 주파수로 순차 설정하고, 순음 주파수 정보가 설정되면 가청을 나타내는 가청 여부 정보가 입력되는 시점까지 순음 크기 정보를 최소 기준 순음 크기로부터 단위 순음 크기씩 증가시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10 sequentially sets the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to any one reference pure tone frequency among a plurality of preset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and when the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is set, the pure tone level until the point in time when audible information indicating audibility is input. The information may be set by increasing the size of a unit of pure tone from the minimum standard pure tone level.

예를 들어, 복수의 기준 순음 주파수는 500Hz, 1000Hz, 2000Hz, 3000Hz 및 4000Hz일 수 있고, 최소 기준 순음 크기는 0dB일 수 있으며, 단위 순음 크기는 1dB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may be 500 Hz, 1000 Hz, 2000 Hz, 3000 Hz, and 4000 Hz, the minimum reference pure tone level may be 0 dB, and the unit pure tone level may be 1 dB.

이에 따라, 출력부(120)는 순음 주파수 정보가 각각 500Hz, 1000Hz, 2000Hz, 3000Hz 및 4000Hz이고, 순음 크기 정보는 0dB부터 1dB씩 증가하는 순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put unit 120 may output a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in which the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is 500 Hz, 1000 Hz, 2000 Hz, 3000 Hz, and 4000 Hz, respectively, and the pure tone size information increases by 1 dB from 0 dB.

이때, 입력부(140)는 피검자로부터 순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가청 여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청 여부 정보는 피검자가 출력된 순음 청력 검사음을 청취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140 may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is audible from the examinee. Here, the audibl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examinee can hear the output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이를 위해, 입력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청 여부 정보를 음성 신호로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140a)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청 여부 정보를 버튼 신호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140b)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가청 여부 정보를 터치 신호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S1)로 구현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in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140a capable of inputting audible information as a voice signal, as shown in FIG. 1 , and as shown in FIG. 3 , a button for audible informa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keyboard 140b capable of inputting a signal, or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S1 capable of inputting audible information as a touch signal.

프로세서(110)는 가청을 나타내는 가청 여부 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출력된 순음 청력 검사음의 순음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순음 주파수 별 가청 순음 크기를 확인하고, 가청 순음 크기 간의 순음 크기 편차를 산출하며, 순음 크기 편차가 미리 설정된 편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순음 주파수 별 가청 순음 크기 중 일부 가청 순음 크기의 평균을 청력 역치 평균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audible pure tone level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based on the pure tone level information of the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output at the time when audible information indicating audibility is input, and calculates the pure tone level deviation between the audible pure tone levels. and, based on whether the pure tone size deviation is included in a preset deviation range, an average of some audible pure tone levels among a plurality of audible pure tone levels for each reference pure tone frequency may be calculated as the hearing threshold averag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가청을 나타내는 가청 여부 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출력된 순음 청력 검사음의 순음 주파수 정보가 나타내는 기준 순음 주파수와 순음 크기 정보가 나타내는 순음 크기를 기준 순음 주파수 별 가청 순음 크기로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audible pure tone size for each reference pure tone frequency based on the reference pure tone frequency indicated by the pure ton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pure tone hearing test sound output at the point in time when audible information indicating audibility is input, and the pure tone size indicated by the pure tone size information. can be checked with

즉,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기준 순음 주파수 500Hz, 1000Hz, 2000Hz, 3000Hz 및 4000Hz 별로 가청 순음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110 may check the audible pure ton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of 500 Hz, 1000 Hz, 2000 Hz, 3000 Hz, and 4000 Hz.

이후, 프로세서(110)는 인접한 기준 순음 주파수에 대응하는 가청 순음 크기 간의 순음 크기 편차를 산출하고, 모든 순음 크기 편차가 미리 설정된 편차 범위에 포함되면 피검자의 청력 유형이 플랫한 것으로 판단하며, 기준 순음 주파수 500Hz, 1000Hz, 2000Hz 각각에 대응되는 가청 순음 크기의 평균을 청력 역치 평균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10 calculates a pure tone size deviation between audible pure tone levels corresponding to adjacent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and when all pure tone level deviations are included in a preset deviation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s hearing type is flat, and the reference pure tone An average of audible pure tones corresponding to frequencies of 500 Hz, 1000 Hz, and 2000 Hz may be calculated as hearing threshold average information.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인접한 기준 순음 주파수에 대응하는 가청 순음 크기 간의 순음 크기 편차를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순음 크기 편차가 미리 설정된 편차 범위를 벗어나면 피검자의 청력 유형이 슬로프한 것으로 판단하며, 기준 순음 주파수 1000Hz, 2000Hz, 3000Hz, 4000Hz 각각에 대응되는 가청 순음 크기의 평균을 청력 역치 평균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Conversely, the processor 110 calculates a pure tone size deviation between audible pure tone levels corresponding to adjacent reference pure tone frequencies, and if one or more pure tone level deviations are out of a preset deviation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hearing type of the subject is sloped, and the reference An average of audible pure ton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ure tone frequencies of 1000 Hz, 2000 Hz, 3000 Hz, and 4000 Hz may be calculated as hearing threshold average information.

이후, 프로세서(110)는 청력 역치 평균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를 피검자에 적용될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로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10 may select any one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s a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to be applied to the examinee based on the hearing threshold average information.

여기서,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청력 역치 평균에 따라 상이하게 선별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의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적용될 수 있는 피검자의 청력 역치 평균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s may refer to a bundle of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different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As for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audiometry sound sets, an average range of the hearing threshold of the examinee may be set.

여기서,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에 기초한 2 모수 로지스틱 모델을 적용하여 선별된 검사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may be composed of test sounds selected by applying a two-parameter logistic model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IRT).

예를 들어,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제1 내지 제4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일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 각각은 제1 내지 제4 청력 역치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력 역치 범위는 20dB 이하의 정상 청력 역치 범위일 수 있고, 제2 청력 역치 범위는 21dB 내지 40dB의 경도 청력 역치 범위일 수 있고, 제3 청력 역치 범위는 41dB 내지 70dB의 중도 청력 역치 범위일 수 있고, 제4 청력 역치 범위는 71dB 초과의 고도 청력 역치 범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audiogram sets may be first to fourth preliminary speech audiogram sets, and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liminary speech audiogram sets is in the first to fourth hearing threshold range. can be matched. For example, the first hearing threshold range may be a normal hearing threshold range of 20 dB or less, the second hearing threshold range may be a mild hearing threshold range of 21 dB to 40 dB, and the third hearing threshold range may be a moderate hearing threshold range of 41 dB to 70 dB. The hearing threshold range may be a hearing threshold range, and the fourth hearing threshold range may be a high hearing threshold range greater than 71 dB.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 각각에 대응되는 청력 역치 범위 중에서 청력 역치 평균 정보가 포함되는 청력 역치 범위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를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로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10 may select a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in the hearing threshold range including the hearing threshold average information from among the hearing threshold ran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audio test sound sets as the speech audio test sound set. have.

여기서, 선택된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피검자의 청력 검사에 사용될 검사음 묶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lected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may mean a test sound bundle to be used for a hearing test of the examinee.

한편,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의 묶음일 수 있으며, 어음 청력 검사음은 일음절어일 수 있다. 일음절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를 포함하는 하나의 음절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절(syllable)은 음성학(phonetics)상의 용어로서, 발음(pronounciation)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음절은 초성-중성-종성(예를 들면, "ㅎ-l-ㅁ"으로 구성된 힘)으로 구성되거나, 초성-중성(예를 들면, "ㅋ-l"으로 구성된 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s may be a bundle of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and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s may be monosyllables. A monosyllable word may consist of only one syllable including at least one phoneme. A syllable is a term in phonetics and may be a minimum unit of pronunciation. A syllable may consist of a leading-neutral-final (e.g., a force composed of "h-l-ㅁ"), or a leading-neutral (e.g., a key composed of "h-l"), etc. .

이때,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문항 반응 이론 알고리즘을 통해 한글의 모든 일음절어 중에서 일부를 복수의 예비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may include some of all monosyllabic words of Hangul in a plurality of preliminary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s through an item response theory algorithm.

이를 위해, 프로세서(110)는 2-모수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문항 반응 이론 알고리즘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2-모수 로지스틱 모델은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수식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ocessor 110 may process the item response theory algorithm using a two-parameter logistic model. Here, the 2-parameter logistic model may be an equation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20064391593-pat00001
Figure 11202006439159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064391593-pat00002
는 학습자의 능력 수준, a는 문항 변별도 모수, b : 문항 난이도 모수이다.here,
Figure 112020064391593-pat00002
is the learner's ability level, a is the item discrimination parameter, and b is the item difficulty parameter.

출력부(120)에서 출력되는 검사음은 저장부(160)로부터 읽힌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저장부(160)에는 음소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 그룹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에는 음절을 구성하는 음소가 나타내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분류된 음절들의 그룹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test sound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20 may be generated by the processor 110 based on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160 . At least one phoneme group classified based on the frequency represented by the phonem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 Also, in the storage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roups of syllables classified based on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phoneme constituting the syllable may be stored.

이때, 음소들의 그룹 또는 음절들의 그룹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들에 대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음소 또는 음절들을 포함한다. 가청 주파수 범위란 사람의 귀가 소리로 느낄 수 있는 음파의 주파수 영역으로, 약 15Hz 이상 20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즉, 가청 주파수 범위 내를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음소들로 구성된 음절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oup of phonemes or the group of syllables includes a phoneme or syllables included in each frequency band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with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The audible frequency range is a frequency range of sound waves that the human ear can feel as sound, and refers to a frequency band of about 15 Hz or more and 20 KHz or less. That is, the audible frequency range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nd syllables composed of phonemes included in the classified frequency band may be grouped.

저장부(16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청력을 검사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저장부(160)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is a conventional storage medium, and i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a monosyllable word for testing hearing i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torage unit 160 is a hard disk drive (Hard Disk). Drive, HDD),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Flash Memory) and memory card (Memory Card) are all included.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음절은 발음의 최소 단위를 말하고, 하나의 음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로 구성된다. 음소(phoneme)는 음운론(音韻論)에서 음운의 최소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를 의미한다. 즉, 음소는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이다. 한국어에서 음소는 /아/, /이/, /우/, /오/, /어/, /예/, /ㄴ/, /ㅁ/, /ㄹ/, /ㄱ/, /ㄲ/, /ㅋ/, /ㅂ/, /ㅃ/, /ㅍ/, /ㅎ/, /ㄷ/, /ㄸ/, /ㅌ/, /ㅈ/, /ㅉ/, /ㅊ/, /ㅅ/, /ㅆ/ 등으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yllable refers to the minimum unit of pronunciation, and each   syllable is composed of at least one phoneme. A phoneme is the smallest unit of phonology in phonology. In this case, the phoneme refers to a unit of sound that distinguishes the meaning of words. In other words, a phoneme is the smallest unit of sound that distinguishes the meaning of words. Phonemes in Korean are /ah/, /i/, /u/, /o/, /uh/, /ye/, /b/, /ㅁ/, /r/, /a/, /ㄲ/, /ㅋ /, /b/, /ㅃ/, /p/, /heh/, /c/, /ㄸ/, /t/, /c/, /t/, /c/, /ㅅ/, /ㅆ/, etc. is composed of

도 6는 한국어 음소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한국어 음소들에 대하여 음소들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하여 각 자음들과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의 범위가 도시되어 있고, 피크 주파수의 범위에 따라 각 자음들과 모음들이 복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Korean phonemes. Referring to FIG. 6 , for Korean phonemes, the ranges of frequencies constituting the respective consonants and vowels by classifying the phonemes into consonants and vowels are shown, and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peak frequency. is classified as

도 6를 참조하면, 자음들의 목록(201)은 자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주파수 범위에 따라 자음들이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룹 1(2011)은 약 250Hz 이상 5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2012)는 약 65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3(2013)은 약 3000Hz 이상 7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자음들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6 , a list 201 of consonants indicates a frequency range constituting the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nge. Group 1 (2011) means consonants belonging to a frequency range of about 250 Hz to less than 500 Hz, group 2 (2012) means consonants belonging to a frequency range of about 650 Hz to less than 3000 Hz, and group 3 (2013) is about 3000 Hz It means consonants belonging to a frequency range of more than 7000 Hz.

그룹 1(2011)에 속하는 자음은 /ㄴ/, /ㅁ/, /ㄹ/ 등이 있고, 그룹 2(2012)에 속하는 자음은 /ㄱ/, /ㄲ/, /ㅋ/, /ㅂ/, /ㅃ/, /ㅍ/, /ㅎ/ 등이 있고, 그룹 3(2013)에 속하는 자음은 /ㄷ/, /ㄸ/, /ㅌ/, /ㅈ/, /ㅉ/, /ㅊ/, /ㅅ/, /ㅆ/ 등이 있다.Consonants belonging to group 1 (2011) include /ㄴ/, /ㅁ/, /ㄹ/, etc., and consonants belonging to group 2 (2012) include /a/, /ㄲ/, /ㅋ/, /ㅁ/, / There are ㅃ/, /p/, /h/, etc., and the consonants belonging to group 3 (2013) are /c/, /ㄸ/, /t/, /c/, /t/, /c/, /ㅅ/ , /ㅆ/, etc.

또한, 모음들의 목록(202)은 모음들을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낸다. 모음들의 목록(2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은 3개의 포먼트 주파수(formant frequency)로 구성된다. 이때, 포먼트 주파수란 모음을 나타내는 시간(time) 대비 소리의 크기(dB)를 주파수 축으로 적분 변환하여 나타나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높게 나타내는 피크(peak) 주파수들을 의미한다. 모음들의 목록(202)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을 구성하는 3개의 포먼트 주파수를 각각 저주파 대역부터 순서대로 제 1 포먼트, 제 2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로 나타낼 수 있다. 모음들의 목록(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먼트 및 제 3 포먼트의 주파수 대역은 대부분의 모음이 유사하기에, 제 2 포먼트 대역을 중심으로 모음들을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른 그룹 2-1(2021)은 제 2 포먼트가 약 600Hz 이상 8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2(2022)는 제 2 포먼트가 약 1000Hz 이상 13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하고, 그룹 2-3(2023)은 제 2 포먼트가 약 2000Hz 이상 3000Hz 미만의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모음들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list of vowels 202 indicates the frequency range constituting the vowels. Referring to the list 202 of vowels, one vowel is composed of three formant frequencies. In this case, the formant frequency refers to peak frequencies indicating relatively high energy in a frequency spectrum that is obtained by integrally transforming the volume (dB) of the sound relative to the time (time) representing the vowel on the frequency axis. Referring to the list 202 of vowels, three formant frequencies constituting one vowel may be represented as a first formant, a second formant, and a third formant, respectively, in order from a low frequency band. As shown in the list 202 of vowels, since most vowels are similar in frequency bands of the first and third formants, vowel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econd formant band. have. Group 2-1 (2021) according to these classification criteria means vowels in which the second formant belongs to a frequency range of about 600 Hz or more and less than 800 Hz, and in group 2-2 (2022), the second formant has a frequency range of about 1000 Hz or more and 1300 Hz or more. It means vowels belonging to a frequency range less than or equal to, and group 2-3 2023 means vowels in which the second formant belongs to a frequency range of about 2000 Hz to less than 3000 Hz.

그룹 2-1(2021)에 속하는 모음은 /우/, /오/ 등이 있고, 그룹 2-2(2022)에 속하는 모음은 /아/, /으/ 등이 있고, 그룹 2-3(2023)에 속하는 모음은 /이/, /예/ 등이 있다.The vowels belonging to group 2-1 (2021) include /u/ and /o/, and the vowels belonging to group 2-2 (2022) include /ah/ and /uh/, and group 2-3 (2023). ), there are /i/, /yes/, and so on.

입력부(140)는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된 신호가 재생된 소리의 가청 정도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 마련된 입력부(140)는 피검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피검자에게 출력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부(140)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입력 버튼, 터치 화면, LCD 화면, 모니터, 스피커 등의 입출력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피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40)는 피검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피검자의 청력 검사 결과를 표시할 수 있고, 피검자로부터 음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는 피검자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또는 피검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부(120)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가 나타내는 소리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40 receives the response of the examinee to the audibility of the sound reproduced by the signal output by the output unit 120 . The input unit 140 provided i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examinee, and displays output information to the examinee. For example, the input unit 140 includes all input/output devices such as a display panel, a mouse, a keyboard, an input button, a touch screen, an LCD screen, a monitor, and a speaker provided i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examinee. Accordingly, the input unit 140 may display the test result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he examinee, and may receive volume information from the examinee. In additio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recognizes the subject's voice or receives an input signal input by the subject and responds to the sound indicated by the signal output by the output unit 120 . can be obtained

피검자는 출력부(120)에 의하여 생성되는 소리를 청취하고 가청 정도에 대한 응답을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힘"이라는 음절이 나타내는 소리가 재생되고, 피검자는 음절이 나타내는 소리를 "힘"으로 청취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때, 가청 정도라 함은 피검자가 소리를 잘 듣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청 정도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서 발생된 음절을 나타내는 소리를 청취한 결과, 피검자가 소리를 음절로 청취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aminee listens to the sound generated by the output unit 120 and inputs a response to the degree of audibility through the input unit 140 . For example, the sound indicated by the syllable "power" is reproduced through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a monosyllable word, and the examinee receives a response to whether or not the sound indicated by the syllable is heard as "power" through the input unit ( 140) to input. In this case, the degree of audibility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examinee can hear the sound well. Accordingly, the degree of aud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mean whether or not the examinee listens to the sound as a syllable as a result of listening to the sound representing the   syllable generated by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one syllable.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ㄴ"이라는 음소가 나타내는 소리가 재생되고, 피검자는 음소가 나타내는 소리를 "ㄴ"으로 청취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청 정도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서 발생된 음소를 나타내는 소리를 청취한 결과, 피검자가 소리를 음소로 청취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sound represented by a phoneme “b” is reproduced through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a monosyllable word, and the examinee receives a response to whether or not the sound represented by the phoneme is heard as “b” through the input unit Input through (140). Accordingly, the degree of aud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mean whether or not the examinee listens to the sound as the phoneme as a result of listening to the sound representing the phoneme generated by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the monosyllable word.

입력부(140)는 다양한 피검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피검자로부터 가청 정도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소 또는 음절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검자가 청취한 음소 또는 음절을 직접 입력하여, 입력된 음소 또는 음절이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재생된 음소 또는 음절과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피검자의 가청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피검자가 복수개의 음소들 또는 음절들의 예시들 중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재생된 음소들 또는 음절에 해당하는 하나의 음소 또는 음절을 선택함으로써, 피검자의 가청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피검자로 하여금 음소 또는 음절의 청취 여부를 "예", "아니오"의 응답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140 may obtain a response to the degree of audibility from the examinee using various user interfaces. 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a phoneme or   syllable, the phoneme or   syllable is directly input by the examinee, and the input phoneme or   syllable is reproduced through the hearing test device 100 using a monosyllable word or   syllab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hearing of the subject by judging whether it is the same as Alternatively, the subject's hearing degree is measured by selecting one phoneme or syllable corresponding to the phonemes or syllables reproduced through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one syllable among examples of a plurality of phonemes or syllables. can do. Alternatively, the examinee may select whether to listen to a phoneme or a syllable by answering “yes” or “no”.

상기에서 제시한 방법들은 피검자로부터 응답을 획득하는 하나의 예시에 불가하기에,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피검자의 가청 정도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Since the methods presented above are not an example of obtaining a response from a subject, a method of obtaining a response to the degree of hearing of the subject through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a monosyllab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t can be seen that a method is possible.

프로세서(110)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출력부(120), 표시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 및 저장부(16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피검자로부터 입력받은 응답에 따라 음절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청 정도를 나타내는 청각 특성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청력을 검사한다.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utput unit 120 , the display unit 130 , the input unit 140 , the communication unit 150 , and the storage unit 160 . The processor 110 tests the subject's hearing ability based on an auditory characteristic indicating the degree of audibility for a frequency band constituting a syllable according to a response received from the examinee.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로세서(110)는 출력부(120)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소 또는 음절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피검자는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리를 청취하고, 소리에 대한 가청 정도에 대한 응답을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한다. 프로세서(110)는 입력받은 응답을 참조하여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한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outputs a signal representing at least one or more phonemes or syllables by the output unit 120 , and the examinee listens to a sound generated by the output signal, and hears the sound. A response to the degre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0 .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auditory characteristic of the examinee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respons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검자가 입력부(140)를 통하여 복수 개의 음소들 또는 음절들에 대한 가청 정도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고, 프로세서(110)는 입력된 응답들을 분석하여 피검자가 음원의 주파수에 대한 가청 정도를 나타내는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한다. 즉, 프로세서(110)는 피검자의 응답을 참조하여 음소 또는 음절이 나타내는 주파수를 포함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한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피검자가 약 600Hz 이상 8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음소들 또는 음절들에 대한 가청 정도가 낮을 경우, 즉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음소들 또는 음절들에 대한 응답의 정확도가 낮은 경우, 피검자는 약 600Hz 이상 800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을 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피검자의 청각 특성을 결정함으로써 피검자의 청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aminee inputs a response to the degree of audibility for a plurality of phonemes or syllables through the input unit 140, and the processor 110 analyzes the input responses to allow the examinee to respond to the frequency of the sound source. Determining the auditory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indicating the degree of hearing. That is,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auditory characteristic of the examinee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domain including the frequency indicated by the phoneme or   syllable with reference to the examinee's response. For example, when the subject has low audibility for phonemes or syllables included in a frequency band of about 600 Hz or more and less than 800 Hz, the accuracy of the response to the phonemes or syllables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is low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bject has difficulty in listening to a frequency band of about 600 Hz or more and less than 800 Hz. By determining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subject's  hearing ability can be tested.

통신부(150)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와 외부기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통신부(150)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and an external device.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not exist i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가 휴대폰인 경우, 통신부(15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 써 휴대폰의 통화, 문자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등과 같은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s a mobile phon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overall functions such as phone calls,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Internet can be performed.

따라서, 피검자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청력 검사를 수행하고, 청력 검사의 수행 결과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청력 검사 수행 결과를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 즉시 적용함으로써, 청력 검사 수행 결과를 바로 이용하여 피검자의 어음청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examinee can conveniently perform the hearing test using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and immediately know the results of the hearing test. In addition, by immediately applying the results of the  hearing and testing   to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the hearing ability of the subject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results of the  hearing test   immediately.

한편, 프로세서(110)는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s among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cluded i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set.

이때, 프로세서(110)는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이 한글의 모든 초성을 포함하도록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어음 청력 검사음을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so that the initial sound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includes all the initials of Hangul.

이후, 출력부(120)는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40)는 피검자로부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에는 청취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영역(S2)이 표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output unit 120 output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and as shown in FIG. 5 , the input unit 140 may receive hearing information about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hav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input area S2 to which the listening information is input.

여기서, 청취 정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을 청취한 피검자가 인식한 어음 청력 검사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청이 없는 피검자의 청취 정보는 어음 청력 검사음과 동일하나, 난청이 있는 피검자의 청취 정보는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listening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recognized by the examinee who has listened to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or example, the hearing information of the subject without hearing loss may be the same a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but the hearing information of the subject with hearing loss may be different from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한편, 프로세서(110)는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어음 청력 검사음과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10 may compare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listening information are the same,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have hearing loss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프로세서(110)는 복수회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하고, 복수회 출력된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가 연속하여 어음 청력 검사음과 동일하거나, 2회 이상 동일한 경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비난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복수회 출력된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가 연속하여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이하거나, 2회 이상 상이한 경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난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utput unit 120 to output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listen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a plurality of times is the same a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succession, or is the same as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two or more times In this case,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may be determined as non-hearing. Conversely, when the hear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a plurality of times is different from the speech audio test sound in succession or different from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two or more times,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for the speech audio test sound as hearing loss. have.

이후, 프로세서(110)는 출력부(120)로 출력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cessor 110 generates as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utput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to the output unit 120 and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hearing loss. can do.

또한, 프로세서(110)는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audiograms having different one of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audiometry indicative o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display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in other speech audiograms having different final tone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audiogram indicating hearing loss. It can be created as a type of hearing loss.

또한, 프로세서(110)는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returns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to the neutral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can be created with

또한, 프로세서(110)는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returns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to the initial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with different initial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s of the speech audiometry indicating hearing loss. can be created with

이때, 프로세서(110)는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이 중성 및 초성으로 구성된 일음절어인지 종성, 중성 및 초성으로 구성된 일음절어인지 확인하고, 중성 및 초성으로 구성된 일음절어인 경우, 중성 및 종성 순으로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고, 종성, 중성 및 초성으로 구성된 일음절어인 경우, 종성, 중성 및 초성 순으로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10 checks whether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a monosyllabic word composed of a neutral and a leading voice or a monosyllabic word composed of a final, neutral, and leading voic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order of the middle and final consonants, and in the case of a monosyllabic word composed of the final, neutral, and leading consonants,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the order of the final, middle, and leading consonants.

한편, 프로세서(110)는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는 경우, 해당 초성의 주파수가 포함된 초성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초성에 기초하여 어음 청력 검사음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the initial hearing loss type, the processor 110 may newly generate a speech hearing test sound based on another leading sound included in the leading frequency range including the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leading sound.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초성 주파수 범위 중에서 어음 난청 유형 정보가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의 주파수가 포함된 초성 주파수 범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초성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초성을 이용하여 어음 청력 검사음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10 checks a leading frequency range including a frequency of a leading voic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leading hearing loss typ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leading frequency ranges, and the identified leading frequency range A speech hearing test sound may be newly generated by using other initial consonants included in the .

프로세서(110)는 신규로 생성된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난청으로 결정하면, 신규로 생성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의 주파수가 포함된 초성 주파수 범위에 난청 주파수 범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When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at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for the newly generated speech hearing test sound is deafness, the processor 110 allocates the hearing loss frequency range information to the leading frequency range including the initial frequency of the newly generated speech hearing test sound. can

이를 통해, 프로세서(110)는 피검자의 난청이 발생하는 초성 주파수 범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ocessor 110 may accurately determine the initial frequency range in which the subject's hearing loss occur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d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eg, a CD-ROM, a DVD, etc.).

청각 능력을 검사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100)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le words to test hearing ability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range of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hearing test apparatus 100 using monosyllabic words. something to do.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프로세서가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출력부가 상기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피검자로부터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includes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s among a plurality of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cluded in the speech audio test sound set. making; outputting, by an output unit,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receiving, by an input unit, listen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and generating, by the processor,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기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상기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compar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listening information are the same, and determin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hearing loss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s perform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generating, as th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utput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to the output unit and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or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hearing loss.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performs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any one of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different. to generate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finalitie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voices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hearing loss is non-hearing ,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final hearing loss type, and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tone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ones of a speech audiometry indicative of hearing loss for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s indicative of hearing loss is ,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neutral hearing loss type, and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initials among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hearing loss is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hearing loss is non-hearing.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n initial speech hearing loss typ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and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ocused on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출력부
130: 표시부
140: 입력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100: Hearing test device using monosyllabic words
110: processor
120: output unit
130: display unit
140: input unit
150: communication department
160: storage

Claims (9)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프로세서;
상기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피검자로부터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a processor for including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in an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s of the speech audio test sounds from among a plurality of speech audio test sounds included in the speech audio test sound se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and
Includ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hearing information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the processor
and generating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Hearing test device using monosyllabic wor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기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상기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aring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listening information are the same, determining whether or not information about hearing loss fo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outputting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output to the output unit and generating, as th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sound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the hearing loss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hearing loss information.
Hearing test device using monosyllabic wor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and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having a different one of a leading, a middle, and a final voic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s indicative of hearing loss.
Hearing test device using monosyllabic wor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 final hearing loss type,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having a different final among the leading, neutral, and final voic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 neutral hearing loss type,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leading, neutral,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generat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an initial hearing loss type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with different initial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ndicates non-hearing characterized
Hearing test device using monosyllabic words.
프로세서가 어음 청력 검사음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음 청력 검사음 중에서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에 기초하여 일부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출력부가 상기 출력 검사음 리스트에 포함된 어음 청력 검사음을 출력하는 단계;
입력부가 피검자로부터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청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의 어음 난청률 정보 및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
adding, by the processor, some speech hearing test sounds to an output test sound list based on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peech audio test sounds among a plurality of speech audio test sounds included in the speech audio test sound set;
outputting, by an output unit,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cluded in the output test sound list;
receiving, by an input unit, listening information on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from the examinee; and
generating, by the processor,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nd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listening information;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과 상기 청취 정보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에 대한 난청 여부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부로 출력된 상기 어음 청력 검사음의 출력 검사음 개수 대비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난청 검사음 개수 간의 비율을 상기 어음 난청률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or compar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and the hearing information are the same, determines whether hearing loss information for the speech audio test sou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determines whether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s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generating, as the speech hearing loss rate information, a ratio between the number of output test tones and the number of hearing loss test tones of speech hearing test tones for which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hearing loss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generating, by the processor,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based o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an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 in which any one of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hearing loss is different from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종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종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중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중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고,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난청을 나타내는 어음 청력 검사음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초성이 상이한 다른 어음 청력 검사음의 상기 난청 여부 정보가 비난청을 나타내면 상기 어음 난청 유형 정보를 초성 난청 유형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음절어를 이용한 청력 검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or sets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as the final hearing loss type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finalities among the leading, middle, and final voices of the speech hearing test sound indicating the hearing loss is non-hearing. generated, and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set as a neutral hearing loss type when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of other speech hearing test sounds having different neutrals among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tone of a speech hearing test sound representing hearing loss indicates non-hearing. generated, and if the hearing loss information indicates non-hearing, the speech hearing loss type information is set as the initial hearing loss type genera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earing test method using monosyllabic words.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5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o perform the method of claim 5.
KR1020200076269A 2020-06-23 2020-06-23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KR102310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9A KR102310542B1 (en) 2020-06-23 2020-06-23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9A KR102310542B1 (en) 2020-06-23 2020-06-23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42B1 true KR102310542B1 (en) 2021-10-07

Family

ID=786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69A KR102310542B1 (en) 2020-06-23 2020-06-23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4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80A (en) * 2008-08-20 201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18967A (en) 2010-04-26 2011-11-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retone audiometer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20069813A (en) * 2010-12-21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KR101278330B1 (en) * 2012-11-07 2013-06-24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Speech perception apparatus and speech perception method using it
KR20170010602A (en) * 2015-07-20 2017-02-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80A (en) * 2008-08-20 201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18967A (en) 2010-04-26 2011-11-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retone audiometer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20069813A (en) * 2010-12-21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Hear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KR101278330B1 (en) * 2012-11-07 2013-06-24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Speech perception apparatus and speech perception method using it
KR20170010602A (en) * 2015-07-20 2017-02-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Infants' vocal development evalu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rehabilitation for infa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기술지침, 순음청력검사에 관한 지침, H-56-2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0066A (en)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reof
JP5144835B2 (en) Annoyance determinatio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8655440B2 (en) System and method of speech sound intelligibility assessment, and program thereof
US9131876B2 (en)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JP4638558B2 (en) Speech intelligibility evalu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awson et al. Speech audiometry
JPWO2011001694A1 (en) Hearing aid adjustment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Gordon-Salant et al. Recognition of time-compressed speech does not predict recognition of natural fast-rate speech by older listeners
WO2011155196A1 (en) Evaluation system of speech sound hearing, method of same and program of same
KR101535112B1 (en) Earphone and mobile apparatus and system for protecting hear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909128B1 (en) Multimedia playing apparatus for outputting modulated sound according to hearing characteristic of a user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reof
Castellana et al. Intra-speaker and inter-speaker variability in speech sound pressure level across repeated readings
KR101676018B1 (en)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sound source signal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KR10235377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est sound based hearing threshold and method of the same
KR101783959B1 (en)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reof
Calandruccio et al. The effectiveness of clear speech as a masker
Awan et al. The effect of microphone frequency response on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of voice: An examination of low-cost electret headset microphones
KR102310542B1 (en)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monosyllable and method of the same
Shiraishi et al. Amplification rationale for hearing ai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language
Monson High-frequency energy in singing and speech
JP2011170113A (en) Conversation protection degree evaluation system and conversation protection degree evaluation method
KR102350890B1 (en) Portable hearing test device
JP2006208820A (en) Speech processor
Liu et al. Psychometric functions of vowe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n long-term speech-shaped noise
JP4669988B2 (en) Language lear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