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53B1 -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53B1
KR102310253B1 KR1020190121978A KR20190121978A KR102310253B1 KR 102310253 B1 KR102310253 B1 KR 102310253B1 KR 1020190121978 A KR1020190121978 A KR 1020190121978A KR 20190121978 A KR20190121978 A KR 20190121978A KR 102310253 B1 KR102310253 B1 KR 10231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rium
risk
nursing hospita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577A (ko
Inventor
문경자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2Computer assisted medical diagno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eu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으로서,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상기 학습부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섬망 위험도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하였을 때, 보다 정확하게 섬망이 발병할 위험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요양병원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위험요인 입력만으로 섬망 발병 가능성 또는 섬망 상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도 높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들은 섬망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어 미리 주의를 기울이거나 발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급작스러운 섬망 발병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망 판별 모델로서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축적에 따른 시스템의 연산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순히 섬망 위험도 연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산된 섬망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예방 조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섬망이 이미 발병했는지 여부까지 한꺼번에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DELIRIUM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FOR LONG-TERM CARE FACILITY}
본 발명은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망은 혼돈(confusion)과 비슷하지만 의식장애(환경에 대한 각성의 명확성이 감소됨), 인지 변화(기억력 결핍, 지남력장애, 언어장애 등), 또는 지각장애가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하고, 하루 동안에도 상태의 변동이 심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섬망은 그 증상의 특징에 따라 과활동성, 저활동성, 복합 형태의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과활동성 형태는 흥분, 쉬지 못함, 부착물을 제거하려고 시도하는 것, 불안정한 감정 등을 특징한다. 저활동성 형태는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위축, 밋밋한 반응, 무감동, 무기력, 부적절한 단어사용, 느린 말투, 기면 상태, 한 곳의 응시 등으로 나타나 임상에서 간과되기 쉬운 반면, 장기적인 예후가 좋지 않고, 복합형태는 과활동성 형태와 저활동성 형태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섬망이 발병하는 원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연도별 섬망 진료 인원 추이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망은 질병, 알코올, 수술 이력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발병할 수 있는데, 최근 섬망이 발병하여 진료를 받는 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섬망은 수술 후 노인 환자의 10~32%에서 발생하고, 요양병원 대상자의 42~48%에서 섬망을 보인다.
섬망은 환자, 가족, 그리고 의료진에게 주는 부정적 영향이 크다. 즉 사망률과 이환율을 높이고, 입원 기간이 연장되며, 의료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독립적 기능 회복이 지연되어 환자 간호에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게 되고 간호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임상에서 섬망은 제대로 발견되고 치료받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간호사가 섬망 상태를 인지하는 비율은 26~83% 정도에 불과한바, 인지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높은 섬망 발생률과 이로 말미암은 합병증 발생 증가 및 관련된 의료비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의료인의 섬망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은 상태이고, 특히 의무기록시스템(EMR)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요양병원은 섬망 모니터를 비롯한 예방적 중재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요양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섬망이 발병하기 전 미리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여, 섬망을 예방하고 중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3998호(발명의 명칭: 섬망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공개일자: 2019년 07월 15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하였을 때, 보다 정확하게 섬망이 발병할 위험 정도를 연산할 수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양병원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위험요인 입력만으로 섬망 발병 가능성 또는 섬망 상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도 높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들은 섬망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어 미리 주의를 기울이거나 발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급작스러운 섬망 발병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망 판별 모델로서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축적에 따른 시스템의 연산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단순히 섬망 위험도 연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산된 섬망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예방 조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섬망이 이미 발병했는지 여부까지 한꺼번에 판단할 수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은,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상기 학습부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섬망 위험도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망 위험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부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회귀분석 모델로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부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기계학습 모델로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망 위험도 연산부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의 세분류로 나누도록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망 위험도 연산부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백분율로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는 위험요인은,
수분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균형, 수면장애, 동반질환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저산소증, 감염, 고관절 수술, 나이 65세 이상 여부, 음주력, 및 수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망 발병 판단부는,
상기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하여 섬망의 발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은,
(1)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단계;
(3)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상기 단계 (2)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현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5) 상기 단계 (4)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회귀분석 모델로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기계학습 모델로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의 세분류로 나누도록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백분율로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 입력받는 위험요인은,
수분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균형, 수면장애, 동반질환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저산소증, 감염, 고관절 수술, 나이 65세 이상 여부, 음주력, 및 수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에서는,
상기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하여 섬망의 발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하였을 때, 보다 정확하게 섬망이 발병할 위험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요양병원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위험요인 입력만으로 섬망 발병 가능성 또는 섬망 상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도 높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들은 섬망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어 미리 주의를 기울이거나 발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급작스러운 섬망 발병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망 판별 모델로서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축적에 따른 시스템의 연산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단순히 섬망 위험도 연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산된 섬망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예방 조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섬망이 이미 발병했는지 여부까지 한꺼번에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섬망이 발병하는 원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연도별 섬망 진료 인원 추이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에서 학습되는 회귀분석 모델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에서 학습되는 선형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 원리를 비교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에서 학습되는 기계학습 모델의 퍼셉트론(Perceptron)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에서 학습되는 다층 퍼셉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 모델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위험도 연산부에서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의 세분류로 나누도록 연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발병 판단부에서 사용되는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은,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100), 데이터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기계학습 모델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200),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입력부(300), 및 입력부(300)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학습부(200)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500), 및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부(100)는,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섬망 예방 시스템(10)은, 병원의 전자 의무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고, 섬망이 발병할 확률이 높은 요양병원 환자를 대상자로 함으로써, 요양병원에 특화된 섬망 예방 시스템인바, 데이터수집부(100)에서는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들로부터 위험요인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부(200)는, 데이터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는, 데이터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요양병원 환자들의 위험요인들을 변수로 하여, 섬망 발병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통계적 방법이나 인공지능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섬망 예방 시스템(10)에서 이용하는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을 추정할 수 있는 통계 기법을 의미하는데, 통계학에서 사용하는 자료 분석 방법의 하나이다. 회귀분석은, 주어진 자료들이 어떤 특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아이디어로부터 비롯되며, 회귀분석을 통해 여러 자료 간의 관계성을 수학적으로 추정 및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 학습되는 회귀분석 모델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귀분석은, 변수들 사이의 함수적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어떤 수학적 모형을 가정하고, 이 모형을 측정된 변수들의 자료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 학습되는 선형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 원리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은 주어진 데이터의 경향성을 하나의 직선으로 대표하는 것이고,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은 데이터를 직선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 로그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경향성 찾는 것이다. 선형 회귀분석의 직선을 회귀선이라 하고, 이 선을 함수로 표현한 것을 회귀식이라고 부르는데, 선형 회귀분석은 회귀모형에서 종속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가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선형 회귀분석의 직선 회귀선이 가진 한계를 보완하여 탄생한 것이 로지스틱 회귀분석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은 분류하려는 범주에 따라, 종속변수가 이진형(가질 수 있는 값이 0 또는 1인 변수) 변수일 때 사용되는 회귀분석과 순서형(상/중/하) 변수일 때 사용되는 회귀분석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로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 연산되어 출력하는 종속변수가 순서형 변수(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이므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다. 기계 학습 알고리즘 중에서 인공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의 동작 원리와 뉴런 간의 연결 관계를 모델링한 것으로서, 노드(node) 또는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라고 하는 다수의 뉴런이 레이어(layer) 구조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뉴런(neur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인자, 즉 (1) 다른 레이어의 뉴런들 사이의 연결 패턴, (2) 연결의 가중치를 갱신하는 학습 과정, (3) 이전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대하여 가중 합을 취하여 출력값을 생성하는 활성화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용어 신경망(Neural Networks)은 퍼셉트론(Perceptron)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 학습되는 기계학습 모델의 퍼셉트론(Perceptron)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셉트론(Perceptron)은, 뉴런을 단순히 모사하여 계산 가능한 형태로 만든 알고리즘으로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각각 가중치를 곱하여 그 값을 합한 값이 역치를 넘는지에 따라 최종값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 학습되는 다층 퍼셉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 모델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은 퍼셉트론을 여러 층으로 쌓은 형태인데,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존재하는 신경망이다.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의 중간층을 은닉층 (hidden layer) 이라 부르고, 네트워크는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층 내의 연결과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의 직접적인 연결은 존재하지 않는 전방향 (Feedforward) 네트워크이다. 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은 단층 perceptron과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중간층과 각 unit의 입출력 특성을 비선형으로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능력을 향상시켜 단층 퍼셉트론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으며, 층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perceptron 이 형성하는 결정 구역의 특성은 더욱 고급화될 수 있다. 즉 단층일 경우 패턴 공간을 두 구역으로 나눌 수 있고, 2층인 경우 볼록한 개구역 또는 오목한 폐구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3층인 경우에는 이론상 어떠한 형태의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학습부(200)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기계학습 모델로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즉, 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이미 알고 있는 결과 값을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입력된 위험요인으로부터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더욱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입력부(300)에서는,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00)는 키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써,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진들에 의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보이는 위험요인들이 선택됨으로써, 입력부(300)에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300)에서 입력받는 위험요인은, 수분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균형, 수면장애, 동반질환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저산소증, 감염, 고관절 수술, 나이 65세 이상 여부, 음주력, 및 수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에 해당하는 요인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는, 입력부(300)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학습부(200)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의 세분류로 나누도록 연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는,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 또는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된 위험요인들로부터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의 세분류로 나누도록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는,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백분율로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섬망 예방 중재부(500)는,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요양병원 대상자의 위험요인으로부터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 중재를 위한 조치를 안내함으로써, 의료진들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방 중재 조치로서, 큰 시계나 달력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시간, 날짜, 장소를 상기시키기, 가족사진이나 평소 좋아하는 물건 가져다 놓기, 안경이나 보청기 사용하기, 정기적인 가족 방문 격려, 일일 활동 격려, 수면 환경 조성(수면등, 이완요법, 마사지, 비카페인 음료 제공), 수분 전해질 불균형 교정과 조기 중재, 통증 사정 및 조기 중재, 약물관리로 항콜린제나 마약성 약물 모니터링, 저산소증 모니터링과 조기 중재, 낙상과 욕창 프로토콜의 적용 등이 가능하다.
섬망 발병 판단부(600)는,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망 발병 판단부(600)는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하여 섬망의 발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하,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의 섬망 발병 판단부에서 사용되는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M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단계는 급성 발현과 의식의 변동을 확인하는 질문 2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번째 질문은 환자의 기저상태를 고려해 볼 때 급성으로 의식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2단계는 주의력 결핍을 확인하는 단계로써 환자가 집중하기 어려운지(예를 들면 산만하여 대화하기 어려움 등) 확인한다. 다음으로, 3단계는 비체제적 사고 평가로써, 환자의 사고가 비체계적이거나 일관성이 없는지(예를 들면 대화에서 두서없이 말하거나, 딴소리를 하거나 부정확한 의사소통 또는 비논리적인 말 등)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4단계에서는 의식 수준의 변화를 평가하는데, 정상, 과명료, 축 처짐, 깨어나기 어려움, 무의식 중 하나로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섬망 있음(+), 또는 섬망 없음(-)으로 결과가 출력된다. 또한, 2단계에서 주의력 결핍이 YES인 경우 및 1, 2단계를 묶은 BOX 1에서 최소 1개 이상의 YES에 3, 4단계를 묶은 BOX 2에서 최소 1개 이상의 YES가 있는 경우에도 섬망 있음(+)으로 판정된다.
판단 결과 섬망 판별 결과가 섬망인 경우, 출력 장치에서는 섬망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를 출력하고 섬망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알림은, 의료진(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해당 요양병원 대상자에 대한 섬망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를 확인하도록 알리는 화상 알림, 소리 알림 또는 진동 알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섬망 상태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 및 섬망 경고 알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은 모두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장치의 외부 기기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사전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머리착용형 장치(HMD, head-mounted-device),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다양한 장치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은,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단계 S100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단계(S200),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단계(S300), 및 단계 S300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단계 S200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단계 S400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단계(S500),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하였을 때, 보다 정확하게 섬망이 발병할 위험 정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요양병원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위험요인 입력만으로 섬망 발병 가능성 또는 섬망 상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면서도 정확도 높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들은 섬망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어 미리 주의를 기울이거나 발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급작스러운 섬망 발병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망 판별 모델로서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축적에 따른 시스템의 연산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섬망 위험도 연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연산된 섬망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를 포함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예방 조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섬망이 이미 발병했는지 여부까지 한꺼번에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섬망 예방 시스템
100: 데이터수집부
200: 학습부
300: 입력부
400: 섬망 위험도 연산부
500: 섬망 예방 중재부
600: 섬망 발병 판단부
S100: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나타난 위험요인을 수집하는 단계
S200: 단계 S100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기계학습 모델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하는 단계
S300: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단계
S400: 단계 S300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단계 S200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
S500: 단계 S400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단계
S600: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Claims (20)

  1. 전자 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요양병원의 환자에 대한 섬망 모니터링 및 섬망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으로서,
    병원의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요양병원의 환자를 대상자로 하여,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여,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100);
    상기 데이터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200);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입력부(300);
    상기 입력부(300)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상기 학습부(200)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
    상기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섬망 예방 중재부(500); 및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섬망 발병 판단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300)는,
    키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써,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의료진들에 의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보이는 위험요인들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입력부(300)에 입력되며,
    상기 입력부(300)에서 입력받는 위험요인은,
    수분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균형, 수면장애, 동반질환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저산소증, 감염, 고관절 수술, 나이 65세 이상 여부, 음주력, 및 수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섬망 위험도 연산부(400)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백분율로 연산하며,
    상기 섬망 예방 중재부(500)는,
    예방 중재 조치로서, 대형 시계나 달력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시간, 날짜, 장소를 상기시키기, 가족사진이나 평소 좋아하는 물건 가져다 놓기, 안경이나 보청기 사용하기, 정기적인 가족 방문 격려, 일일 활동 격려, 수면 환경 조성(수면등, 이완요법, 마사지, 비카페인 음료 제공), 수분 전해질 불균형 교정과 조기 중재, 통증 사정 및 조기 중재, 약물관리로 항콜린제나 마약성 약물 모니터링, 저산소증 모니터링과 조기 중재, 낙상과 욕창 프로토콜의 적용을 안내하며,
    상기 섬망 발병 판단부(600)는,
    상기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하여 섬망의 발병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섬망인 경우, 출력 장치에서는 섬망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를 출력하고 섬망 경고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200)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회귀분석 모델로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200)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기계학습 모델로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10).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자 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요양병원의 환자에 대한 섬망 모니터링 및 섬망의 예방적 중재를 위한,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으로서,
    (1) 병원의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요양병원의 환자를 대상자로 하여, 섬망이 발병한 요양병원 환자에게서 발병 전 나타난 징후, 과거와 현재의 병력 정보, 및 신체적 특징을 포함하는 정보(이하, 위험요인이라 한다)를 수집하여, 일반적인 섬망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에 있는 대상자로 특화된 표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회귀분석 모델 또는 기계학습 모델을 학습하는 단계;
    (3)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해당하는 위험요인을 입력받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위험요인이 입력되면, 상기 단계 (2)에서 학습된 기계학습 또는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연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연산된 위험 정도에 따라 섬망 예방을 위한 조치를 안내하는 단계; 및
    (6) 섬망 판정 도구를 사용하여, 요양병원 대상자의 섬망 발병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키 입력, 마우스 입력,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써,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입력부(300)를 통해 상기 위험요인을 입력받되, 의료진들에 의하여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보이는 위험요인들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입력부(300)에 입력되며,
    상기 단계 (3)에서 입력받는 위험요인은,
    수분전해질 불균형, 영양 불균형, 수면장애, 동반질환지수(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저산소증, 감염, 고관절 수술, 나이 65세 이상 여부, 음주력, 및 수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에게 섬망이 발병할 예상 위험 정도를 백분율로 연산하며,
    상기 단계 (5)에서는,
    예방 중재 조치로서, 대형 시계나 달력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시간, 날짜, 장소를 상기시키기, 가족사진이나 평소 좋아하는 물건 가져다 놓기, 안경이나 보청기 사용하기, 정기적인 가족 방문 격려, 일일 활동 격려, 수면 환경 조성(수면등, 이완요법, 마사지, 비카페인 음료 제공), 수분 전해질 불균형 교정과 조기 중재, 통증 사정 및 조기 중재, 약물관리로 항콜린제나 마약성 약물 모니터링, 저산소증 모니터링과 조기 중재, 낙상과 욕창 프로토콜의 적용을 안내하며,
    상기 단계 (6)에서는,
    상기 섬망 판정 도구로서 CAM(Confusion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하여 섬망의 발병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가 섬망인 경우, 출력 장치에서는 섬망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를 출력하고 섬망 경고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 내에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회귀분석 모델로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위험요인들과 섬망 발병 여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도록, 상기 기계학습 모델로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121978A 2019-10-02 2019-10-02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78A KR102310253B1 (ko) 2019-10-02 2019-10-02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78A KR102310253B1 (ko) 2019-10-02 2019-10-02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77A KR20210039577A (ko) 2021-04-12
KR102310253B1 true KR102310253B1 (ko) 2021-10-08

Family

ID=7543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78A KR102310253B1 (ko) 2019-10-02 2019-10-02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8840B (zh) * 2023-04-23 2023-12-22 北京大学人民医院 一种预测术后谵妄发生风险的方法、设备及系统
CN117643458B (zh) * 2024-01-30 2024-04-09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多模态数据驱动的术后谵妄评估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93B1 (ko) * 2016-10-07 2018-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의 의료정보를 이용한 수술 후 섬망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98A (ko) * 2018-01-05 2019-07-15 광주과학기술원 섬망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793B1 (ko) * 2016-10-07 2018-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의 의료정보를 이용한 수술 후 섬망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77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rkan et al. A context-aware approach for long-term behavioural change detection and abnormality prediction in ambient assisted living
Chernbumroong et al. A practical multi-sensor activity recognition system for home-based care
KR20130051922A (ko) 심리장애(psychological disorders)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Yahaya et al. Towards a data-driven adaptive anomaly detection system for human activity
KR102310253B1 (ko) 요양병원 대상자를 위한 섬망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8267A (ko) 사용자의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분석 방법
Ganji et al. ANN model for users’ perception on IOT based smart healthcare monitoring devices and its impact with the effect of COVID 19
CN110136822A (zh) 一种家用可穿戴设备的社区医疗智能管控方法
US115943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Va: senior's virtual assistant
Alsaeedi et al. Ambient assisted living framework for elderly care using Internet of medical things, smart sensors, and GRU deep learning techniques
Bhavani et al. Stress classification and vital signs forecasting for IoT-health monitoring
Moh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oT in Elderly Fall Prevention: A Review
US20220192556A1 (en) Predictive,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wearables for mental health
Mishra et al. Uses of wireless devices and IoT in management of diabetes
JP2024513618A (ja) 感染症及び敗血症の個別化された予測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Gund et al. An intelligent architecture for multi-agent based m-health care system
Singampalli et al. AI-Based Internet of Things (AIoT): Applications of AI with IoT
Roy et al. Failure prediction using personalized models and an application to heart failure prediction
Jain et al. Prediction of Stress using Machine Learning and IoT
Sasi Kumar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Lim et al. Developing a mobile wellness management system for healthy lifestyle by analyzing daily living activities
KR102398326B1 (ko) 요양병원 관계자용 섬망 중재 모바일 장치 및 섬망 중재 시스템
Mary et al. Real-time Non-invasive Blood Glucose Monitoring using Advance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vascu et al. Real-time health status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fuzzy agent model
KR102357041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질병 분석 및 예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