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27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27B1
KR102310227B1 KR1020190030422A KR20190030422A KR102310227B1 KR 102310227 B1 KR102310227 B1 KR 102310227B1 KR 1020190030422 A KR1020190030422 A KR 1020190030422A KR 20190030422 A KR20190030422 A KR 20190030422A KR 102310227 B1 KR102310227 B1 KR 10231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inquiry
user device
inquiry reques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03A (ko
Inventor
한승현
오형중
송태진
주강희
미겔 데이비드 알바채리
Original Assignee
(주) 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완 filed Critical (주) 로완
Priority to KR102019003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된 후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환자)의 의료 정보, 즉, 나이, 성별, 진단명, 복용하는 약제, 약물의 부작용 및/또는 병력 등을 블록을 형성하여 블록체인에 탑재하여 공유하고 적절한 과정을 거쳐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의 필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RETRIEVAL OF MEDICAL INFORMATION USING BLOCKCHAI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사람(환자)의 의료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진단명, 복용하는 약제, 약물의 부작용 및/또는 병력 등을 블록을 형성하여 블록체인에 탑재하여 공유하고 적절한 과정을 거쳐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의 필수 정보를 조회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습관의 변화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전 연령층에서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을 비롯한 혈관 질환의 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심뇌혈관질환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대개 갑작스럽게 응급 상황으로 발생하며,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하였을 때는 신속하게 혈전용해제를 투여하거나 수술 및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전 세계적인 표준 치료 방침이다.
심뇌혈관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인 뇌졸중과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인 심근경색의 경우 치료의 골든타임이 각각 3시간 및 2시간으로 매우 짧아,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이 크다. 더구나, 심뇌혈관질환의 치료를 위한 혈전용해제, 혈전용해시술, 응급스텐트 삽입술 등의 약제투여, 시술, 수술 등은 위험성이 높은 치료방법으로, 이러한 혈전용해제 투여나 시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인지 결정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부분 중에 하나가 환자의 약제의 존재여부 및 종류, 질병에 대한 과거력(시술, 수술 관련 정보 등), 관련 검사 결과, 특이체질, 특정약제 알러지 등에 대한 정보이다. 이러한 사전정보 없이는 응급 상황에서 앞서 언급한 골든타임을 사수하면서 뇌졸중 또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전용해제 투여, 수술,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심뇌혈관질환의 특성상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의료진의 질문에 적절하게 답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전체 뇌졸중 환자의 20% 내지 30%에 달하므로, 이러한 응급 상황에서 환자가 평상시에 복용하던 약제의 존재 여부 및 종류, 질병에 대한 과거력 및 관련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 등을 분초를 다투는 상황에서 정확하게 취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현재는 목격자나 보호자가 없는 채로 환자가 발견되었는데 심근경색, 뇌졸중 등이 의심되어 혈전용해제를 투여하거나 시술 또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 경찰에 의뢰하여 신분증을 통하여 신원을 파악한 뒤, 연락처를 열람하여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밖에 없는데, 그 과정에서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기술이 각광을 받으면서, 의료 분야에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블록체인은, 특정 정보를 특정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보관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피어대피어(Peer-to-Peer;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분산해서 기록하고 공동으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안전성, 신뢰성, 무결성 및 투명성을 보장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금융 기관, 금융 산업을 중심으로 최초로 활용되기 시작한 블록체인은 현재는 공공서비스 및 헬스케어 산업 등의 의료 분야로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또는 사건이 발생할 때 마다 거래 또는 사건과 관련된 정보가 분산된 서버나 장부에 기록되고 저장되며 각 서버나 장부와 일치하는지 수시로 대조 및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되며, 이러한 과정이 블록체인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정보의 신뢰성, 안정성이 기존의 중앙집중형 구조의 네트워크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63827호는 블록체인의 여러 노드서버에 저장된 블록을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가 위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의료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1763827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블록체인 기반 의료 데이터 관리 기술은 단순히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신원 미상의 심뇌혈관질환 환자와 같이 환자 본인 또는 보호자가 정보 제공에 협조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의료데이터의 습득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체인 기반 의료 데이터 관리 기술은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는 의료 데이터의 표준화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현재 의료 데이터에 대한 공통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이 존재하지만, CDM 기반의 의무 기록과 의료 데이터는 현재 대학 병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응급 상황에 대한 정보나 약물 부작용에 대한 정보에는 적용되고 있지 못하다. 결국, CDM 기반의 정보는 3차 병원 등에서만 활용이 가능하고, 1차, 2차 및 3차 병원에서 공통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의료 정보에 관련된 플랫폼은 존재하지 않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382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람(환자)의 의료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진단명, 복용하는 약제, 약물의 부작용 및/또는 병력 등을 블록을 형성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에 탑재하여 공유하고 적절한 과정을 거쳐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의 필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은,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된 후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요청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는 복수의 보호가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요청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상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은,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람(환자)의 의료 정보, 예컨대, 나이, 성별, 진단명, 복용하는 약제, 약물의 부작용 및/또는 병력 등을 블록을 형성하여 블록체인에 탑재하여 공유하고 적절한 과정을 거쳐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의 필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이는 대표적으로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응급 상황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외에도 환자,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사전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상황에 적용되어, 의료, 진료 및 보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을 약제 투여시의 부작용에 대한 정보에 적용할 경우, 약물 관련 부작용과 관련한 합병증의 감소로 국민 건강 향상 및 의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동일 계열이나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는 약제를 투여한 경우나 해당 약제와 관련한 임상 시험을 시행할 경우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약물 부작용 조회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의료 정보의 등록, 교환, 전송 및 열람 과정에서 정보의 안전성, 신뢰성, 무결성 및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서 의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따라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따라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blockchain)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은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의료 정보 및 약물 부작용에 대한 정보에 적용되는 예시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응급 상황에서는 소위 선한 사마리아법으로 응급 의료법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의무기록 조회나 병력, 투약력과 관련한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하여 공유하는 데에 다른 경우에 비해 제약이 적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의료 정보의 종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의료 정보란 진단서, 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납입 확인서, 의무 기록 사본, 의료 영상 자료, 통원 확인서, 재원 확인서 등을 통해 입수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대한 법률 등 관련 규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공유가 가능한 임의의 정보에 적용될 수 있고, 향후 법률 및 제도 개선에 의하여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이 만성 콩팥병 환자와 심방세동 환자의 응급 약물 조회 시스템 및 약물 부작용 조회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를 통해 환자-보호자-의사-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사전 협의 및 동의 절차를 거쳐 환자가 사전에 동의한 부분에 한하여 필수 의료정보를 의료진이 확인하고 응급 상황에서 신속, 정확, 안전하게 복용하고 있는 약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기왕력을 의료진이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의료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예컨대, 의료진)의 사용자 장치(1), 의료 정보의 대상자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예컨대, 환자)의 사용자 장치(2), 및/또는 대상자의 의료 정보 제공에 동의할 권한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3 사용자(예컨대,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3)와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복수 개의 노드(41-46)를 이용하여 유지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와 통신하며 동작한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6)와 통신하면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통신 과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사용자 장치 및 서버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3),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 및 외부 서버(6)와,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송수신부(51), 인증부(52) 및 데이터 관리부(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송수신부(51), 인증부(52) 및 데이터 관리부(53)는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수신부(51), 인증부(52) 및 데이터 관리부(53)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수신부(51)는 제1 사용자 장치(1)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조회 요청이 승인된 후 요청된 의료 정보를 제1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사용자 장치(1)는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을 통하여 의료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장치로, 예컨대, 의료진이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사용자 장치(1)는 노트북(notebook)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사용자 장치(1)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는 개인용 장치의 형태 대신 의료기관 서버(6)와 같은 기관 시스템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의료진의 개인용 장치인 제1 사용자 장치(1)가 의료기관 서버(6)를 통하여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과 통신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아닌 의료진에 의하여 의료 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는 환자 본인이나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의료 정보의 조회를 요청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1 사용자 장치(1)는 제2 또는 제3 사용자 장치(2, 3)와 동일할 수 있다.
인증부(52)는, 송수신부(51)에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제2 사용자 장치(2)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3 사용자 장치(3)에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사용자 장치(2)는 의료 정보의 대상자인 환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제3 사용자 장치(3)는 상기 환자에 상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제2 사용자 장치(2) 및 제3 사용자 장치(3)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응급 상황에서 의료 정보의 제공에 동의할 수 있도록 항상 소지할 가능성이 높은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에 대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동의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 또는 3)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또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장치(1, 2 또는 3)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부(53)는, 제2 사용자 장치(2) 또는 제3 사용자 장치(3)에 의하여 조회 요청이 승인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송수신부(51)를 통해 제1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53)는,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관리부(53)는 데이터 처리부(531), 데이터 저장부(532) 및 데이터 조회부(533)를 포함한다. 데이터 관리부(53)의 각 부(531-53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는 이에 참여하는 복수 개의 노드(41-46)로 이루어진다. 블록체인이란 정보를 블록으로 연결하여, 피어-대-피어(Peer-to-Peer; 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각 노드(41-46)에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정보를 공동으로 관리하여 보안성을 유지하는 방식을 지칭한다.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한(chain) 모음의 형태이며, 일정 시간 동안 반수 이상의 참여자들이 거래 내역을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서명으로 동의한 금융 거래 내역만 하나의 블록으로 만든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그 사본을 만들어 각 노드(41-46)에 분산시켜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노드(41-46)를 참여자로 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가 구현되고, 복수의 노드(41-46) 각각에는 의료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파일 또는 이의 부분 데이터에 해당하는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의료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파일은 개인키 및 공개키를 이용한 공개 키 암호 방식(public-key cryptography)으로 암호화된 파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노드(41-46)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 상에서 공유되고 있을 수 있으며, 블록체인 형태의 정보의 각 블록이 복수의 노드(41-4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41-46)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에서 복수의 노드(41-46) 각각은 서버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노드(41-46) 각각은 스마트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PDA,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IPTV용 셋탑 박스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6개의 노드(41-46)에 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가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는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서 의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는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전송할 수 있다(S11). 의료 정보의 전송 과정은,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 3) 또는 그 외 다른 의료기관의 장치나 서버를 통하여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디지털화된 의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화된 의료 정보는 HL7(Health Level 7) 데이터 표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디지털화된 의료 정보를 활용할 수 없는 경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종이 또는 화면에 출력된 진단서, 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납입 확인서, 의무 기록 사본, 의료 영상 자료, 통원 확인서, 재원 확인서 등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의료 정보가 기록된 출력물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서는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 3)로부터 직접, 또는 다른 의료기관의 장치나 서버를 경유한 방식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 수신된 의료 정보가 디지털화된 데이터일 경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데이터 처리부(531)는 이러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이는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수신된 의료 정보가 디지털화된 데이터가 아니라 진단서, 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납입 확인서, 의무 기록 사본, 의료 영상 자료, 통원 확인서, 재원 확인서 등 의료 정보가 기록된 출력물을 촬영한 이미지일 경우(S13),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이미지로부터 의료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과정들을 실행할 수 있다.
먼저,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데이터 처리부(531)는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S14).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공지된 또는 향후 개발될 임의의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검출 및 분류 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531)는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및/또는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특징값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미지와 사전에 주어진 문자가 쌍으로 된 학습 데이터 셋(data set)을 이용한 기계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특징값과 문자를 연결짓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이러한 파라미터에 대한 기계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의 특징값에 상응하는 단어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인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NN 알고리즘에 의한 학습을 통하여 이미지의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상의 정보들을 판독 가능한 문서 및 그 유형에 대한 정보(예컨대, 퇴원 병원, 의무 기록, 지불 기록 등) 또는 그 외 의료 기록의 이미지가 아닌 임의의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독 가능한 문서에 대한 정보를 대상으로 CNN 알고리즘에 의하여 정보의 종류를 분류하고, RNN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당 정보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기계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531)는 인식된 문자로부터 의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5). 이는 진단서, 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납입 확인서, 의무 기록 사본, 의료 영상 자료, 통원 확인서, 재원 확인서 등에 기재된 문자 중에서 의료 정보가 아닌 사항들을 배제하고, 의료 정보만을 저장을 위해 추출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531)는 디지털화된 데이터 형태 또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형태로 수신된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의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저장되기에 적합한 형태의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S16).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의 변환은, 데이터의 파싱(parsing) 및/또는 데이터 형식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531)는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키(key)를 생성할 수 있다(S17). 상기 키는, 공개 키 암호 방식(public-key cryptography)에 의하여 의료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해당 의료 정보를 환자 또는 보호자의 동의 없이 제3 자가 무단으로 조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 정보를 암호화하고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승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인 키 생성 과정으로서, 데이터 처리부(531)는 (i)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환자 및 보호자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하고, (ii) 사용자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장치(예컨대, 사용자 장치(2, 3))의 정보를 생성하며, (iii)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상응하여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531)는 의료 정보의 식별자(예컨대, 해쉬(hash) 값)와 이에 상응하는 프로파일을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31)는 환자 및 보호자의 개인키를 환자 및 보호자 각각의 사용자 장치(2, 3)에 전송하거나, 또는 환자 및 보호자의 개인키를 복호화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를 사용자 장치(2, 3)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환자 및 보호자의 개인키는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는 저장되지 않으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서는 추후 인증에 사용하기 위해 환자 및 보호자의 개인키의 식별자(예컨대, 해쉬값)만을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은 환자 및 보호자의 공개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환자에 상응하여 프로파일이 생성될 보호자는 복수일 수 있고, 또는/또한 키가 생성될 환자 또는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 또한 복수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데이터 저장부(532)는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의료 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저장할 수 있다(S18). 즉, 데이터 저장부(532)는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이 생성되어 노드(41-46) 간에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의료 정보는 해당 의료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진 환자 또는 보호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됨으로써, 추후 의료 정보의 조회가 필요할 경우 환자 또는 보호자의 개인키를 이용해서만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는 환자의 개인키 및 공개키의 조합에 의하여 암호화되며, 이때 환자의 개인키는 해당 환자와 관련하여 프로파일이 생성된 각 장치가 공유하는 공유키(shared key)에 의하여 암호화된다. 이때, 보호자의 각 사용자 장치(3)에는 공유키의 일부(또는, 셰어(share))가 전송되며, 공유키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문턱값에 해당하는 개수 이상의 사용자 장치(3)로부터 셰어가 얻어져야 하고, 상기 문턱값은 사용자 장치(3)의 전체 개수보다 작다. 이는 공유키를 상수로 하는 다항식의 각 항에 해당하는 계수로 구성된 유한체를 정의하여 각 사용자 장치(3)에 분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샤미르 비밀 공유(Sharmir's secret sharing) 기법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532)는 의료 정보와 함께 해당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환자 및/또는 보호자의 프로파일, 공개키 및 개인키의 식별자 등을 데이터 블록에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블록에 기록된 환자 및/또는 보호자의 프로파일과 개인키의 식별자는, 환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의료 정보의 조회가 필요할 경우 누구에게 의료 정보의 조회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의료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방식은 복수의 체인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인에는 의료 정보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해쉬된 참조값의 형태로 저장되며, 제2 체인에는 제1 체인의 정보를 참조하여 접근 가능한 의료 정보의 분산된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해쉬 트리(또는 머클 트리(merkle tree)) 구조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저장부(532)는 의료 정보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에 분산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생성된 키가 복수일 경우, 데이터 저장부(532)는 의료 정보를 생성된 키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많은 수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고 각각의 부분 데이터를 서로 상이한 데이터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부분 데이터의 수와 각 부분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정보는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만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제3자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 상의 데이터 블록을 탈취하더라도 부분 데이터의 개수 및 각 부분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모두 알지 못하는 한 의료 정보를 복원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는 민감한 개인 정보인 의료 정보가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따라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응급 상황에 빠진 환자를 마주한 의료진은, 환자의 의무기록 조회나 병력, 투약력과 관련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장치(1) 또는 의료기관 서버(6)를 통해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의료 정보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의료진은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서는(S21),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 환자의 사용자 장치(2)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의료진의 의료 정보 조회 요청에 대한 환자의 승인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S22, S23). 한편,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서는 환자의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3)에 승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S22, S24). 이상의 동작은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인증부(52)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환자의 보호자가 여러 명인 경우, 보호자에게의 승인 요청은 다수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다수의 보호자에게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승인 요청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사용자 장치(2, 3)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등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과 사용자 장치(2, 3)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특정 방식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환자 또는 보호자 중 어느 한 쪽을 대상으로 승인 요청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인증부(52)는 환자 및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2, 3) 모두에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환자 또는 보호자는, 자신의 사용자 장치(2, 3)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S23, S25). 조회 요청의 승인이란, 환자 또는 보호자가 자신의 사용자 장치(2, 3)에 발급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개인키에 상응하는 식별정보(예컨대, 해쉬값)이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전송되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인증부(52)에서는 개인키의 식별정보를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승인 정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S26).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보호자가 여러 명일 경우, 인증부(52)는 다수의 보호자 중 어느 한 명의 보호자로부터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의료 정보의 조회가 승인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증부(52)는 다수의 보호자 중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보호자로부터 승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의료 정보의 조회가 승인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수는 2명, 3명 등의 수치일 수도 있고, 또는 해당 환자와 관련하여 키를 발급받은 전체 보호자의 수에 대해 비례적으로 결정되는 수치(예컨대, 전체 보호자의 50%)일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보호자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를 승인받는 과정은 전술한 샤미르 비밀 공유 기법에 기초하여 공유키의 일부(또는, 셰어)가 각각 저장된 보호자의 사용자 장치 중 일정 수 이상의 협력에 의하여 공유키를 복원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환자 또는 보호자의 승인 정보가 검증되는 경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데이터 조회부(533)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 상의 하나 이상의 노드(41-46)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7).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암호화된 의료 정보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정보가 사용자의 공개키와 개인키의 조합에 의해 암호화된 경우, 환자 또는 다수 보호자의 협력에 의하여 복원된 공유키를 이용하여 환자의 개인키를 복호화하고, 이를 환자의 공유키와 함께 이용하여 암호화된 의료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송수신부(51)는 조회된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를 요청한 의료진의 제1 사용자 장치(1) 또는 의료기관 서버(6)에 제공할 수 있다(S28).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따라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1),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 환자 본인이 사용자 장치(2)에 입력한 승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3), 승인 정보를 검증하는 단계(S38), 블록체인 네트워크(4)로부터 의료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39) 및 의료 정보를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40) 등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상응하는 단계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의 인증부(52)가 환자의 사용자 장치(2)에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통지하고(S34), 통지 후 일정한 대기 시간을 계수하여(S35), 해당 시간 동안 환자의 응답이 없었을 경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이 강제로(override)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승인 처리하는 점(S37)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는 환자 본인이 직접 승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면서 보호자가 없거나 또는 보호자에 의한 승인도 불가능한 경우 치료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적절한 의료 조치가 행하여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5)에 의해 강제로 승인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 승인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S38)은 단순히 강제로 승인 처리가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과정을 지칭하는 것이거나 또는 승인 정보를 검증하는 과정(S38)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람(환자)의 의료 정보, 즉, 나이, 성별, 진단명, 복용하는 약제, 약물의 부작용 및/또는 병력 등을 블록을 형성하여 블록체인에 탑재하여 공유하고 적절한 과정을 거쳐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응급 상황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환자의 필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은 대표적으로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응급 상황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외에도 환자,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사전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상황에 적용되어, 의료, 진료 및 보건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을 약제 투여시의 부작용에 대한 정보에 적용할 경우, 약물 관련 부작용과 관련한 합병증의 감소로 국민 건강 향상 및 의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동일 계열이나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는 약제를 투여한 경우나 해당 약제와 관련한 임상 시험을 시행할 경우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에 대한 의료 정보의 등록, 교환, 전송 및 열람 과정에 블록체인이 이용되므로 정보의 안전성, 신뢰성, 무결성 및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된 후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요청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더 구성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2. 삭제
  3.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된 후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에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인증부; 및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는 복수의 보호가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
  8.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요청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
  9. 삭제
  10.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제1 사용자 장치로부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환자의 제2 사용자 장치 또는 보호자의 제3 사용자 장치에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조회 요청이 승인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조회가 요청된 상기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장치는 복수의 보호가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의 장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제3 사용자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회 요청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조회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데이터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를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이,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8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30422A 2019-03-18 2019-03-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1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22A KR102310227B1 (ko) 2019-03-18 2019-03-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22A KR102310227B1 (ko) 2019-03-18 2019-03-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03A KR20200111303A (ko) 2020-09-29
KR102310227B1 true KR102310227B1 (ko) 2021-10-12

Family

ID=7266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22A KR102310227B1 (ko) 2019-03-18 2019-03-18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1965B (zh) * 2021-01-27 2024-04-09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通信授权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22291A (ko)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의 응급 데이터 실시간 공유를 통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604766B1 (ko) * 2021-03-25 2023-11-22 주식회사 한컴위드 여권에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에 인쇄된 2차원 코드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예방 접종 정보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예방 접종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8043B1 (ko) * 2021-07-07 2023-09-1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메디컬 자료 관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2623243B1 (ko) * 2021-08-31 2024-01-1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다기관 분산 환경에서 안전한 다기관 cdm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2463073B1 (ko) * 2022-06-03 2022-11-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허가형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건강정보의 저장 및 거래방법
KR102516686B1 (ko) 2022-08-11 2023-03-31 주식회사 셀타스퀘어 지능형 약물감시 플랫폼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6978502A (zh) * 2023-06-21 2023-10-31 中山大学肿瘤防治中心(中山大学附属肿瘤医院、中山大学肿瘤研究所) 基于区块链的临床试验无纸化审批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759A (ko) * 2009-10-16 2011-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병원진료내역조회방법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03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22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조회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245587A1 (en) Transaction validation via blockchain, systems and methods
US11297459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Patel A framework for secure and decentralized sharing of medical imaging data via blockchain consensus
McGhin et al. Blockchain in healthcare applications: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10818385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CN110462654B (zh) 记录存取和管理
Bhattacharya et al. Strengthening public health surveillance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US20210375408A1 (en) Blockchain-based distribution of medical data records
JP2022033242A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9947854B (zh) 基于区块链的电子病历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0622104B2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with online (social) network to access casualty health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CN107004048B (zh) 记录访问和管理
Leng et al. Application of hyperledger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 survey
US20230077823A1 (en) System and method to access casualty health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US202300245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 social gatherings during a contagious pandemic
JP5977847B2 (ja) 生体認証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生体認証情報管理装置、生体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生体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5951057B1 (ja) 生体認証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生体認証情報管理装置、生体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生体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
Kumar et al. Blockchain inspired secure and reliable data exchange architecture for cyber-physical healthcare system 4.0
Ghayvat et al. Sharif: Solid pod-based secured healthcare information storage and exchange solution in internet of things
US20190354721A1 (en) Techniques For Limiting Risks In Electronically Communicating Patient Information
Kamal et al. Care4U: Integrated healthcare systems based on blockchain
JP2016149085A (ja) 生体認証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生体認証情報管理装置、生体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生体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5940186B1 (ja) 生体認証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生体認証情報管理装置、生体認証情報管理方法、及び生体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
Wang et al. Health data security sharing method based on hybrid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