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197B1 -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 - Google Patents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197B1
KR102310197B1 KR1020200009228A KR20200009228A KR102310197B1 KR 102310197 B1 KR102310197 B1 KR 102310197B1 KR 1020200009228 A KR1020200009228 A KR 1020200009228A KR 20200009228 A KR20200009228 A KR 20200009228A KR 102310197 B1 KR102310197 B1 KR 10231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power generation
electricity consumption
solar power
top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4185A (en
Inventor
김학수
공태규
배종욱
신윤호
김주용
강동오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ublication of KR2021008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 상기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 상기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 및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하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wherein the device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area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 set for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A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an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extracts a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the usage attribute from the building data road name address building, and calculat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 solar power genera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calculates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electricity bills due to solar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It includes a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unit.

Description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 건물에서 확보할 수 있는 태양광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technology for each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device for each building capable of analyzing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a photovoltaic energy simulation that can be secured in an individual building; it's about how

일반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에 의해 데워진 물 등을 이용하여 난방 및 발전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전기로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이라고 한다.In general, a method of using solar energy is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using solar heat and a method using sunlight. The method of using solar heat is a method of heating and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water heated by the sun, etc., and the method of using sunlight is a method of using the light of the sun to generate electricity so that various machines and appliances can be operated with this electricity. This method is called solar power generation.

태양광 발전은 실리콘 결정 위에 n형 도핑을 하여 p-n접합을 한 태양광 전지판에 태양광을 조사하면 광 에너지에 의해 전자-정공에 의한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ses the photovoltaic effect, which generates electromotive force by electron-holes by light energy when n-type doping on silicon crystals and irradiating sunlight to a solar panel with a pn junction. causes

이를 위하여,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태양전지(solar cell), 태양전지의 집합체인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및 태양전지를 일정하게 배열한 태양광 어레이(solar array) 등이 요구된다.To this end, a solar cell for concentrating sunlight, a photovoltaic module that is an assembly of solar cells, and a solar array in which solar cells are uniformly arranged are required.

예를 들어, 외부에서 빛이 태양광 모듈에 입사되면 p형 반도체의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전자(electron)가 입사된 광에너지에 의해 가전자대(valance band)로 여기되고, 이렇기 여기된 전자는 p형 반도체 내부에 한 개의 전자-정공쌍(electron hole pair; EHP)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전자-정공쌍 중 전자는 p-n 접합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장(electron field)에 의해 n형 반도체로 넘어가게 되어 외부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light is incident on a solar module from the outside, electrons in the conduction band of the p-type semiconductor are excited into the valance band by the incident light energy, and the excited electrons forms one electron-hole pair (EHP) inside the p-type semiconductor, and electrons among the generated electron-hole pairs are generated by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p-n junctions in the n-type semiconductor. to supply current to the outside.

태양광은 화석원료 등의 기존 에너지원과는 달리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 소음, 환경파괴 등의 위험성이 없는 청정 에너지원이며 고갈의 염려도 없다. 또한,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Unlike conventional energy sources such as fossil raw materials, solar power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does not cause global warming,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noise,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there is no concern about exhaustion. In addition, unlike other wind power or sea water power,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free to install and low maintenance costs.

한국등록특허 제10-1541488(2015.07.2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1488 (2015.07.2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별 건물에서 확보할 수 있는 태양광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capable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a photovoltaic energy simulation that can be secured in an individual bui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래스터화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높이에 따른 태양광에너지 산출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건물 높이에 따른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이 가능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capable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building height by constructing a rasterized topographic data set and applying it to a photovoltaic energy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height want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제 전기사용량에 기반하여 태양광발전 고효율 지역을 도출함으로써 태양광발전 행정지원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가정용 태양광발전 보급사업의 정량적인 효과를 산출할 수 있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 solar power generation administrative support model by deriving a high efficiency area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actual electricity consumption, and solar power for each building that can calculate the quantitative effect of a ho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istribution proj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실시예들 중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는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 상기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 상기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 및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하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s,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for each building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area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set for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n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extracts a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the usage attribute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of the building data and calculat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Inclu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is calculated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electricity rates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do.

상기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는 상기 지형데이터로서 수치지형도와 상기 건물데이터로서 도로명주소 건물을 각각 수집하고, 상기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점을 이용하여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상기 도로명주소 건물의 지상층수로부터 도출되는 건물 고도를 상기 수치지형도 상의 지형에 추가하여 상기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갱신하며, 상기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격자 단위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래스터(raster) 형태로 변환하여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The topographic dataset construction unit collects a numerical topographic map as the topographic data and a road name address building as the building data, respectively, constructs a basic topographic dataset using the contour lines and elevation points of the numeric topographic map, and the number of ground floors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The basic topographic data set is updated by adding the building height derived from can do.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분석데이터의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도로명주소 건물 각각에서 상기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추출된 주거용 건물을 상호 매칭하여 하나의 건물에 하나의 전기사용량을 할당하고, 상기 상호 매칭 결과에 대해, n:1 매칭으로서 '복수 건물:단일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건물 별로 전기사용량을 등분배하고, 1:n 매칭으로서 '단일 건물:복수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하며, m:n 매칭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한 후 건물 별로 등분배할 수 있다.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allocates one electricity consumption to one building by matching the building energy usage of the analysis data and the residential buildings extracted based on the usage attribute from each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s, and the mutual matching Regarding the result, in the case of 'multiple buildings: single electricity consumption' as an n:1 match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equally distributed by building, and in the case of 'single building: multiple electricity consumption' as a 1:n match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calculated In the case of m:n matching,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summed up and distributed equally among buildings.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설치용량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을 결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상기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발전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건물 별로 발전가능용량과 발전량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최종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is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ity for each building us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The second step of determining the capacity, the third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and the final comparison of the avail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the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to determin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may be performed.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는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격자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상기 건물데이터를 중첩시켜 개별 건물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들을 도출하며, 해당 격자들의 태양광에너지를 평균 연산하여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calculates solar energy for each grid based on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superimposes the building data on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to derive the gri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building area,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y averaging the solar energy.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는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에서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제외하여 제2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건물별 전기요금들을 기초로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을 산출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calculate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second building by exclu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from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 reduction rate of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building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electricity rates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uildings to determin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는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생성하고,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기초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이 임계 등급 이상인 핫스팟(Hot Spot)을 결정할 수 있다.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generat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for the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is a critical grade based 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bnormal hot spot (Hot Spot).

실시예들 중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방법은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경제적 효율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method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building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area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 set for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the use of the building data in a road name address building Extracting residential buildings based on attributes to calculat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calculating solar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the sun for each building and analyzing the economic efficiency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electricity rates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은 래스터화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높이에 따른 태양광에너지 산출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건물 높이에 따른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 rasterized topographic data set and applies it to the photovoltaic energy calcu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height, so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및 방법은 실제 전기사용량에 기반하여 태양광발전 고효율 지역을 도출함으로써 태양광발전 행정지원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가정용 태양광발전 보급사업의 정량적인 효과를 산출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dministrative support model by deriving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igh-efficiency area based on actual electricity consumption and A quantitative effect can be calcul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해 수집된 분석데이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매칭 관계에 따른 데이터 융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건물별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태양광발전 효율에 따른 핫스팟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performed in the device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in FIG. 1 .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nalysis data collected for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topographic data set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usion process according to a matching relationship.
7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solar energy calculation.
8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calculat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9 is a view showing a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nalyzing a hot spot according to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개별 건물에서 확보할 수 있는 태양광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rough a photovoltaic energy simulation that can be secured in an individual buil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various user terminals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s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물리적인 구성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may store data for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a database. Meanwhile, the apparatus 100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database therein. In additi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행정청 및 공공기관 등에서 수집된 분석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들의 통계 정보와 공간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현황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모듈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the database may store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variou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public institutions, etc., and may stor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data and status information derived through spatial analysis. In addition, the databas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atabase modules to store and manage each piece of information, and each database module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form one database grou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includes a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 an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a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150 , and solar power. It may include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90 .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다. 지형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지형에 관한 자료로서 지형, 지질 및 고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건물에 건물에 관한 자료로서 건물의 유형, 용도, 면적 및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에 의해 구축되는 지형 데이터셋은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분류, 정제 및 정리하여 도출되는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The topographic dataset building unit 110 may collect analysis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related to a specific area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set for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Terrain data is data on the topography of a specific area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geology, and altitude. Building data is data about a building in a building in a specific area,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use, area, and location of the building. The topographic dataset constructed by the topographic dataset building unit 110 may correspond to a database derived by classifying, refining, and organiz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예를 들어,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태양광발전의 경제적 효율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지형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 연속수치지형도를 수집할 수 있으며, 건물별 태양에너지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도로명주소 건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은 EXCEL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연속수치지형과 및 도로명주소 건물은 SHP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pographic dataset building unit 110 may collect data on building energy usag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collect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ic maps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topographic dataset. Also,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it is possible to collect road name and address buildings. In one embodiment,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EXCEL, the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y and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SHP.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은 건축물대장에서 관리하고 있는 모든 건축물과 에너지공급기관의 월별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융합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태양광발전의 경제적 효율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Building energy consumption may correspond to data fused with monthly energy usage data of all buildings managed in the building ledger and energy supply institutions, and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economic efficiency of solar power generation.

연속수치지형도는 도로, 건물 등의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에 대한 형상정보, 3차원 위치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로써 기존 도엽단위로 관리되던 수치지도(1/5,000)를 전국단위로 통합하여 제작된 디지털 지도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연속수치지형도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 및 관리하고 있으며 SHP, NGI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속수치지형도는 지형지물에 따라 점, 선, 면의 레이어로 구분되어 있으며 레이어 코드명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 continuous digital topographic map is data including shape information and 3D location information on artificial features such as roads and buildings, natural topography, and digital maps produced by integrating the numerical maps (1/5,000) managed in the existing map units nationwide. may correspond to On the other hand, continuous digital topographic maps are produced and manag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nd can be provided in SHP and NGI formats. The continuous digital topographic map is divided into layers of points, lines, and planes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features,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desired data through the layer code name.

도로명주소 건물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새주소 부여를 위해 구축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건물은 연식, 재질 등과 같은 건물 속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건물의 형상과 위치속성의 갱신이 일단위로 이루어져 최신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도로명주소 건물은 하나의 도로명주소가 부여된 단지형 아파트의 경우에도 동별 정보를 구별하여 제공하므로 개별 건물단위의 분석이 필요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에 적합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 건물은 기본도 제작, 발전 효율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may correspond to data constructed for new address assignment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ccordingly, although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does not include building properties such as year and material, the update of the shape and location properties of the building is performed in one unit, thereby ensuring up-to-dateness and accuracy. In addition, the street name address building may be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which requires analysis of individual building units, since it provides information by dong separately even in the case of a complex-type apartment to which a single street name address is assigned.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basic map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도 4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해 수집된 분석데이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의 그림 (a)는 연속수치지형도에 해당하고, 도 4의 그림 (b)는 도로명주소 건물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nalysis data collected for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Figure 4 (a) may correspond to a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Figure 4 (b) may correspond to road name address building data.

일 실시예에서,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지형데이터로서 수치지형도와 건물데이터로서 도로명주소 건물을 각각 수집하고,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점을 이용하여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도로명주소 건물의 지상층수로부터 도출되는 건물 고도를 수치지형도 상의 지형에 추가하여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갱신하며,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격자 단위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래스터(raster) 형태로 변환하여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collects each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s as the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the building data as topographic data, and constructs a basic topographic dataset using the contour lines and elevation points of the numeric topographic map, and the road name address The basic topographic dataset is updated by adding the building height derived from the number of ground floors of a building to the topography on the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the topographical raster dataset is transformed by converting the basic topographic dataset into a raster form with a grid-unit data structure. can create

보다 구체적으로,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특정 지역의 지형 정보를 담고 있는 연속수치지형도와 도로명주소 건물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다. 즉, 특정 지역의 지형 데이터셋 구축은 자연적인 지형의 고도값을 갖고 있는 연속수치지형도와 건물의 고도값을 갖고 있는 도로명주소 건물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opographic dataset building unit 110 may construct a topographic dataset by using a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ic map containing topographic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and road name address building data.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of a topographic data set in a specific area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usion of a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ic map having an elevation value of a natural topography and road name address building data having an elevation value of a building.

한편,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면 형태의 건물데이터를 선 형태의 지형데이터에 융합하기 위하여 선 형태의 연속수치지형도의 등고선 레이어를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으로 변환하여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정형 삼각네트워크(TIN)는 연속적인 표면을 표현하기 위해 표본 추출된 표고점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겹치지 않는 부정형의 삼각형 네트워크에 해당할 수 있다.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TIN 지표면에 도로명주소 건물 형상을 기반으로 건물의 고도값을 융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converts the contour layer of the continuous numerical topographic map in the linear form into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TIN) in order to fuse the building data in the form of a surface with the topographic data in the form of a line to obtain a basic topographic data set. can create Here, the indefinite triangular network (TIN) may correspond to a non-overlapping indefinite triangular network formed by selectively connecting sampled elevation points to represent a continuous surface. The terrain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may fuse the height valu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shape on the TIN surface.

도 5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그림 (a)는 TIN으로 변환된 기본 지형 데이터셋에 해당하고, 도 5의 그림 (b)는 TIN과 건물이 융합된 기본 지형 데이터셋에 해당할 수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topographic data set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Figure 5 (a) may correspond to a basic topographic dataset converted into TIN, and Figure 5 (b) may correspond to a basic topographic dataset in which TIN and a building are fused.

한편, 특정 지역의 태양광에너지 산출을 위하여 격자 단위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격자 단위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래스터(raster) 형태로 변환하여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래스터(raster) 데이터는 격자형의 픽셀(cell)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격자들은 지리적인 영역에 대응되고, 대응 영역의 지리적 특성을 갖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grid unit data is required to calculate solar energy in a specific area, the terrain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converts the basic terrain data set into a raster form having a grid unit data structure to form a terrain raster. You can create a dataset. That is, the raster data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rid-type pixel (cell), and each grid may correspond to a geographic area and include a value having a ge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corresponding area.

예를 들어,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에 의해 생성된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은 (1 * 1)m 크기를 갖는 격자 공간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격자는 해당 위치의 고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활용하면 지형·지물을 고려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이 가능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rain raster dataset generated by the terrain dataset building unit 110 may include a grid space unit having a size of (1 * 1) m, and each grid includes an eleva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n do. As a result, if the terrain raster dataset is used, it can be possible to analyz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onsidering the terrain and features.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추출된 주거용 건물들에 대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으로부터 획득한 전기사용량 정보를 각각 매칭시키는 방법을 통해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도출할 수 있다.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y extracting the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the usage attribute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of the building data. That i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deriv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rough a method of matching the electricity us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uilding energy usage for the residential buildings extract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분석데이터의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명주소 건물 각각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추출된 주거용 건물을 상호 매칭하여 하나의 건물에 하나의 전기사용량을 할당하고, 상호 매칭 결과에 대해, n:1 매칭으로서 '복수 건물:단일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건물 별로 전기사용량을 등분배하고, 1:n 매칭으로서 '단일 건물:복수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하며, m:n 매칭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한 후 건물 별로 등분배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allocates one electricity consumption to one building by matching the residential buildings extracted based on the usage attributes from the building energy usage of the analysis data and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And, for the mutual matching result, if it corresponds to 'multiple buildings: single electricity consumption' as n:1 matching, electricity consumption is equally distributed by building, and 1:n matching corresponds to 'single building: multiple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is cas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summed, and in the case of m:n match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summed up and distributed equally among buildings.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명주소 건물 간의 매칭을 위하여 데이터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명주소 건물 각각에 공통 필드(PNU 속성)를 새롭게 생성한 후 해당 공통 필드를 중심으로 상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perform data purification for matching between the building energy usage and the street name address building. That i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newly create a common field (PNU attribute) for each building energy usage and road name address building, and then perform mutual matching based on the common field.

예를 들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은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가 갖고 있는 위치 속성정보(시군구코드, 법정동코드, 대지구분, 지번본번, 지번부번 등)를 이용하여 PNU를 생성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 건물 역시 위치 속성정보(시군구코드, 읍면동코드, 리코드, 지번본번, 지번부번, 산여부 등)를 이용하여 PNU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may generate a PNU using location attribute information (city, county, gu code, statutory dong code, land division, lot number, lot number, etc.) possessed by the energy usage data. A road name address building can also generate a PNU using location attribute information (city, county, gu code, eup, myeon, dong code, record, lot number, lot number, lot number, land number, etc.).

한편, 도로명주소 건물은 음영효과를 태양에너지 산출에 적용하기 위하여 각 건물별 고도값에 해당하는 '고도(H)'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건물별 고도(H)는 '지상층수' 속성에 평균층고(예를 들어, 3m)를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may further include an 'height (H)' attribute corresponding to the elevation value for each building in order to apply the shading effect to the solar energy calculation. In this case, the height (H) for each building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the average floor height (eg, 3m) to the 'number of floors above the ground' attribute.

또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명주소 건물에 대해 공통 필드를 이용하여 상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공통 필드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융합은 데이터 특성에 따라 레코드 간 1:1, 1:n, n:m 매칭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매칭관계에 따라 독립적인 융합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perform mutual matching using a common field for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Data fusion based on common fields can form 1:1, 1:n, and n:m matching relationships between records according to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process an independent fu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atching relationship.

도 6은 매칭 관계에 따른 데이터 융합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그림 (a)는 1:1 매칭에 해당하고, 도 6의 그림 (b)는 n:1 매칭에 해당하며, 도 6의 그림 (c)는 1:n 매칭에 해당하고, 도 6의 그림 (d)는 m:n 매칭에 해당할 수 있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fusion process according to a matching relationship. Figure 6 (a) corresponds to 1:1 matching, Figure 6 (b) corresponds to n:1 matching, Figure 6 (c) corresponds to 1:n matching, and Fig. 6 Figure (d) of can correspond to m:n matching.

도 6의 그림 (a)에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두 데이터 간 레코드가 1:1 매칭이 되는 경우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융합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의 그림 (b)에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두 데이터의 레코드 매칭이 n:1이 되는 경우 개별 건물이 하나의 전기사용량을 갖게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건물들이 하나의 전기사용량만을 갖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건물별로 등분배하여 융합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figure (a) of FIG. 6 ,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perform fusion as it is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when the records between the two data are 1:1 matched. In the figure (b) of FIG. 6 ,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so that each building has one electricity consumption when the record matching of the two data is n:1. That is, when a plurality of buildings have only one electricity consumption, convergence can be performed by equally distributing electricity consumption to each building.

도 6의 그림 (c)에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두 데이터의 레코드 매칭이 1:n이 되는 경우 모든 전기사용량을 합산하여 단일 건물에 융합할 수 있다. 도 6의 그림 (d)에서,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두 데이터의 레코드 매칭이 m:n이 되는 경우 모든 전기사용량을 일괄 합산한 후 건물 별로 등분배하여 융합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figure (c) of FIG. 6 , when the record matching of two data is 1: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add up all electricity consumption and merge them into a single building. In the figure (d) of FIG. 6 , when the record matching of the two data is m: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may collectively add up all th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n distribute it equally for each building to proceed with convergence.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지형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모두 고려하여 태양광발전량을 도출할 수 있다.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at is,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deriv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topography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설치용량을 결정하는 제1 단계,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을 결정하는 제2 단계,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발전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건물 별로 발전가능용량과 발전량을 상호 비교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최종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i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e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In the second stage of determining the avail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using A fourth step of finally determining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may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설치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치용량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시간당 최대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치용량 1kW당 8~10m2의 설치면적이 필요하고 국내 가정에 가장 많이 설치되는 용량은 3kW이다.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면적이 30m2이 넘는 주거용 건물을 대상으로 월평균 전기사용량 300kW 미만의 경우 설치용량을 2kW, 300kW 이상 350kW 미만의 경우 설치용량 2.5kW, 300kW 이상 600kW 미만의 경우 3kW, 그 외의 경우는 5kW로 가정하여 설치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determine the install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Here, the installed capacity may correspond to the maximum amount of power that can be produced per hour in the photovoltaic system. In general, an installation area of 8 to 10 m 2 is required per 1 kW of installed capacity, and the most installed capacity in domestic homes is 3 kW.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150 by building in the area is less than 30m 2 is more than a residential building over a 2kW, 300kW to 300kW installed capacity in the case of less than the average monthly electricity use, if the target of less than 350kW installation for 2.5kW, more than 300kW 600kW Installation capacity can be calculated by assuming 3kW in case of case and 5kW in other cases.

또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은 '태양광에너지 * 30(day) * 종합효율계수 * 설치용량'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determine the avail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us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In other words, the avail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can be calculated through 'solar energy * 30 (day) * total efficiency factor * installed capacity'.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할 때 고려해야 될 것은 태양광 패널에 입사하는 태양에너지가 그대로 전력으로 변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상·기후, 먼지 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과 패널의 오염도, 표면온도, 모듈-인버터 배선상태 등의 시스템 내부요인 같은 발전효율 저해요인을 고려해야만 정확한 태양광발전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입사 태양에너지 외에 발전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가 '종합효율계수(K)'이다. One thing to consider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solar power is that the solar energy incident on the solar panel is not converted into electricity as it 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only by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climate, dust, etc., and factors affect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such as system internal factors such as panel pollution, surface temperature, and module-inverter wiring condition. The 'comprehensive efficiency coefficient (K)' is an index that comprehensively shows factors that affect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ther than incident solar energy.

일반적으로, 통상 0.7의 종합효율계수를 적용하여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종합효율계수를 월별로 산출하여 정확한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발전효율에 가장 큰 마이너스 요인인 모듈 표면 온도를 기준으로 월별 종합효율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별 종합효율계수(K)는 1월=0.77, 2월=0.76, 3월=0.74, 4월=0.72, 5월=0.71, 6월=0.70, 7월=0.68, 8월=0.67, 9월=0.69, 10월=0.71, 11월=0.74, 12월=0.78 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genera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y applying a general efficiency factor of 0.7, but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calculates the overall efficiency factor by month to accurately analyz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monthly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based on the module surface temperature, which is the biggest negative factor in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xample, the monthly total efficiency coefficient (K) is January = 0.77, February = 0.76, March = 0.74, April = 0.72, May = 0.71, June = 0.70, July = 0.68, August = It can be defined as 0.67, September = 0.69, October = 0.71, November = 0.74, and December = 0.78.

또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발전량은 '설치용량 * 일조시간(월) * 종합효율계수'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That is,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each building can be calculated through 'installed capacity * sunshine hours (months) * total efficiency coefficient'.

또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건물 별로 발전가능용량과 발전량을 상호 비교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발전가능용량이 발전량보다 큰 경우 발전량을 최종 태양광발전량으로 결정할 수 있고, 발전량이 발전가능용량보다 큰 경우 발전가능용량을 최종 태양광발전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finally determin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y comparing the avail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For exampl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determine the power generation amount as the final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when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is greater than the generation amount, and when the generation amount is larger than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calculate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as the final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n be decided with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격자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고,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건물데이터를 중첩시켜 개별 건물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들을 도출하며, 해당 격자들의 태양광에너지를 평균 연산하여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calculates the solar energy for each grid based on the terrain raster dataset, and overlaps the building data on the terrain raster dataset to generate gri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building area. It can be derived, and the solar energy of each building can b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solar energy of the corresponding grids.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매달마다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은 달라지고 이에 따른 일조시간, 일사량에 변화로 월별 입사 태양광에너지량도 차이가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1시간 주기로 하루의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changes the altitude and azimuth of the sun every month, and the amount of solar energy incident on each month also varies due to the change in the amount of sunshine and insol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one day's solar energy in an hourly cycle.

한편, 태양광에너지는 직달일사량, 산란일사량 및 반사일사량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직달일사량은 대기에 의한 산란을 제외하고 태양으로부터 지표면에 직접 입사하는 일사량에 해당하고, 산란일사량은 대기 상의 빛의 산란으로 굴절되어 지표면에 입사되는 일사량에 해당하며, 반사일사량은 지표에 입사된 태양광이 지형·지물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입사된 일사량에 해당할 수 있다. Meanwhile, solar energy may be calculated as the sum of direct lunar insolation, scattered insolation, and reflected insolation. Direct lunar insolation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insolation that is directly incident on the ground from the sun except for scattering by the atmosphere, scattered insolation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insolation that is refracted by scattering of light in the atmosphere and is incident on the ground. It may correspond to the amount of insolation reflected back by the topography and features.

이 때,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태양광에너지 산출을 위해 특정 지점에서의 전일사량을 반사일사량을 제외한 직달일사량과 산란일사량의 합으로 산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일사량에서 반사일사량의 비율이 작아 관련 분석 과정에 영향력이 미비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total solar energy at a specific point as the sum of the direct lunar insolation excluding the reflected insolation amount and the scattered insolation amount in order to calculate the solar energy.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total insolation to semi-insolation is small, so the influence on the related analysis process is insignificant.

또한, 직달일사량과 산란일사량은 특정 관측지점에서의 하늘을 관찰하였을 때 보이거나 가려지는 시야를 계산하여 천구의 모습을 래스터로 나타내는 방법인 Hemispherical Viewshed Algorithm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적용한다면 (1 * 1)m 격자마다 반구형 뷰쉐이드를 생성하고, 격자 위치에서 뷰쉐이드 내의 전체 하늘을 바라보는 각도, 거리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뷰쉐이드에서 산출한 파라미터 값을 바탕으로 해당 격자의 직달일사량, 산란일사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direct lunar insolation and scattered insolatio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Hemispherical Viewshed Algorithm, a method to represent the celestial sphere as a raster by calculating the field of view that is visible or obscured when the sky is observed at a specific observation point. For example, if applied to a terrain raster dataset, a hemispherical viewshade is created for every (1 * 1)m grid, and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on the angle and distance from the grid position to the entire sky in the viewshade. And, based on the parameter values calculated from the individual view shade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mount of direct solar radiation and scattered solar radiation of the corresponding grid.

도 7은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그림 (a) 및 그림 (b)는 각기 다른 월의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solar energy calculation. Figures (a) and (b) of FIG. 7 may correspond to solar energy calculation results for different months.

따라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를 기초로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적용하여 격자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고,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건물데이터를 중첩시켜 개별 건물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들을 도출하며, 해당 격자들의 태양광에너지를 평균 연산하여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즉,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각 격자값이 태양광에너지량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과정을 통해 건물에 입사하는 태양광에너지 값을 추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can calculate the solar energy for each grid by applying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based on the solar energy calculation result, and superimpose the building data on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to create individual The grids included in the building area are derived, and the solar energy of each building can b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solar energy of the grids. That is,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estimate the value of the solar energy incident on the building through the above process by using that each grid value means the amount of solar energy.

도 8은 건물별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그림 (a) 및 그림 (b)는 각기 다른 월의 건물별 태양광에너지 산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8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alculation of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Figures (a) and (b) of FIG. 8 may correspond to solar energy calculation results for each building in different months.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는 주택용 전력(저압) 요금표를 기준으로 전기사용량에 따른 전기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analyz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reduction in electricity bills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each building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Meanwhil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calculate the electricity rate according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based on the electricity (low voltage) rate table for housing provided by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일 실시예에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고, 건물별 전기사용량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제외하여 제2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며, 제1 및 제2 건물별 전기요금들을 기초로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을 산출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calculate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excludes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from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then generates electricity for each second building. The rate is calculated, and a reduction rate of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building is calculated based on the electricity rates for the first and second buildings to determin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level for each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전력 요금표를 기준으로 건물별 전기사용량에 따른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은 과거의 실제 사용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실제 전기요금에 해당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calculate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according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rate table. That i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may correspond to an actual electricity rate calculated based on past actual usage data.

또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할 경우 예상되는 전기요금을 제2 건물별 전기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제2 건물별 전기요금은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자체 조달 가능한 전기량으로 인한 효과를 적용한 금액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calculate the expected electric charge whe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stalled as an electric charge for each second building. That i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second building may correspond to the amount to which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can be procured by itself is applied by install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또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제1 건물별 전기요금과 제2 건물별 전기요금 간의 차이를 기초로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전기요금 감소율은 감소전 전기요금에 대한 전기요금 감소액의 비율로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에 따라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전기요금 감소율에 따른 효율 등급을 사전에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calculate an electricity rate reduction rate for each building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and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second building. In this case, the rate of decrease in the electricity rate may be calculated as a ratio of the amount of decrease in the electricity rate to the electricity rate before the decrease. 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determin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lass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reduction rate of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building. To this e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define and utilize the efficiency class according to the reduction rate of the electricity rate in advance.

일 실시예에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태양광발전 효율의 분석 결과에 따라 특정 지역에 관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생성하고,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기초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이 임계 등급 이상인 핫스팟(Hot Spot)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generat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for a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hot spot whose efficiency gra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ritical grade.

도 9는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분석 결과로서 건물 별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공간 상에 표시함으로써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통해 태양광발전에 따른 전기요금 감소 효율이 좋은 건물과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9 is a view showing a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Referring to FIG. 9 , as an analysis result,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generate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by apply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photovoltaic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and displaying the color in the spa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identify buildings and locations with good efficiency in reducing electricity rates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hrough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ating diagram.

도 10은 태양광발전 효율에 따른 핫스팟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사전에 정의된 임계 등급을 기초로 산출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핫스팟(Hot Spot)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핫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은 입사 태양에너지와 관계없이 전기사용량이 타지역 사용량보다 낮아 태양광발전량이 실제 전기사용량보다 높은 건물들이 집중된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콜드스팟(Cold Spot)은 태양광발전 효율이 타 지역에 비해 낮은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콜드스팟은 타 지역 대비 전기사용량이 많고, 일사량이 낮은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nalyzing a hot spot according to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Referring to FIG. 10 ,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zer 170 may determine a hot spot according to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lass calculated based on a predefined critical class. As a resul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otspot may correspond to an area in which electricity consumption is lower than that of other areas, irrespective of incident solar energy, and buildings with higher solar power generation than actual electricity consumption are concentrated. Conversely, a cold spot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er than other areas. That is, the cold spot may correspond to an area that uses more electricity and lower insolation than other areas.

제어부(190)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 및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and the terrain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 150) and a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zer 170 may be managed.

도 2는 도 1에 있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performed in the device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를 통해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다(단계 S210).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를 통해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230).Referring to FIG. 2 ,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area through the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to analyz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build a topographic data set for (step S210).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y extracting the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the usage attribute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of the building data through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 step S230).

또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를 통해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단계 S250).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를 통해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단계 S270).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calculat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rough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step S250). ).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calculates the amount of electricity bill reduction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each building and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ed by each building through the photovoltaic power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to generate photovoltaic power. Efficiency may be analyzed (step S27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기능적으로 크게 4가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태양광분석 기본도 제작 모듈, 건물-전기사용량 융합 모듈, 태양광발전량 산출 모듈 및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apparatus 100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may be functionally implemented by including four modules. For exampl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include a photovoltaic analysis basic map production module, a building-electricity consumption fusion module,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module,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module.

태양광분석 기본도 제작 모듈은 입력데이터로 수치지형도와 도로명주소 건물을 사용할 수 있고, 수치지형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 데이터값을 이용해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도로명주소 건물의 '지상층수' 속성을 이용해 지형에 건물의 고도만큼 값을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solar analysis basic map production module can use a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a road name address building as input data, build a basic topographic dataset using the 'contour line' and 'elevation point' data values in the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build the 'ground floor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You can use the 'Number' property to add a value equal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to the terrain.

건물-전기사용량 융합 모듈은 입력 데이터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도로명주소 건물을 사용할 수 있고, 두 데이터에서 '용도' 속성을 이용해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는 동작과 위치속성 기반의 융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building-electricity consumption convergence module can use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road name address building as input data, and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residential building using the 'use' attribute from the two data and the fusion operation based on the location attribute.

태양광발전량 산출 모듈은 분석모형에 필요한 기본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전기사용량 융합 데이터를 입력받아 건물별 일사량과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모듈은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태양광발전량을 입력받아 경제적 효율(전기요금 감소분)을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alculation module may receive the basic topographic data set and building-electricity usage fusion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model,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sol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In additi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module may receive electricity consumption and photovoltaic power by building and perform an operation of analyzing economic efficiency (reduction in electricity rates).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의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110)는 기본도 제작 모듈에 대응될 수 있고,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130)는 건물-전기사용량 융합 모듈에 대응될 수 있으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150)는 태양광발전량 산출 모듈에 대응되고,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170)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모듈에 대응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110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may correspond to the basic map production module,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130 for each building is a building-electricity consumption It may correspond to the convergence module,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50 for each building may correspond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module,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70 may correspond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module.

일 실시예에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310)와 연동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플랫폼 서버(330)와 연동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결과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10)는 분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유형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10)는 수치지형도, 도로명주소 건물 및 전기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analyz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for each building may perform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310 , and may perform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results in conjunction with the platform server 330 . A variety of services can be provided. The database 310 may store various data required for analysis, and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by data type. For example, the database 310 may store information on a numerical topographic map, a road name, address, a building, and electricity consumption, respectively.

또한, 플랫폼 서버(330)는 외부 시스템으로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버(330)는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태양광입사 에너지를 지도 상에 표현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치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태양광발전 관련 기초자료의 제공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ternal system, the platform server 330 may correspond to a server that provides related services by utilizing various analysis results provid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pparatus 100 for each building. For example, the platform server 330 may provide a map service expressing solar incident energy on a map as a web service provided to citizens, and provides a function of sim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bill reduc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t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providing basic data related to solar power gener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110: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 130: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
150: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 170: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
190: 제어부
310: 데이터베이스 330: 플랫폼 서버
100: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device for each building
110: terrain data set construction unit 130: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150: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170: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190: control unit
310: database 330: platform server

Claims (8)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
상기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
상기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 및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 효율을 분석하는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 산출부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설치용량-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시간당 최대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해당함 -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을 결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상기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발전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건물 별로 발전가능용량과 발전량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최종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고,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격자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상기 건물데이터를 중첩시켜 개별 건물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들을 도출하며, 해당 격자들의 태양광에너지를 평균 연산하여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부는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에서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제외하여 제2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건물별 전기요금들을 기초로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을 산출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는 지도 상에서 건물 별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공간 상에 표시한 것에 해당함 -를 생성하며,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기초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이 임계 등급 이상인 핫스팟(Hot Spot)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a topographic dataset building unit that collects analysis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region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set for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an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extracts a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a usage attribute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of the building data and calculat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 solar power genera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that calculates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photovoltaic efficiency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bill reduction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each building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is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corresponds to the maximum amount of electricity that can be produced per hour in the photovoltaic system -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e installation for each building The second step of determining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us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capacity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the third step of calculating the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factor and a fourth step of finally determin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y comparing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calculating the solar energy for each grid based on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and the topographic raster dataset By superimposing the building data on the grid, the grids included in the individual building area are derived, and the solar energy of the grids is averaged to calculate the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calculates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second building by exclud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from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rates for the first and second buildings, the reduction rate of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building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for the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Efficiency grading diagram-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diagram corresponds to the display on the space by apply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on the map, and based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diagram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device for each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a hot spot with a photovoltaic efficiency grade above a critical gr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데이터셋 구축부는
상기 지형데이터로서 수치지형도와 상기 건물데이터로서 도로명주소 건물을 각각 수집하고,
상기 수치지형도의 등고선과 표고점을 이용하여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상기 도로명주소 건물의 지상층수로부터 도출되는 건물 고도를 상기 수치지형도 상의 지형에 추가하여 상기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갱신하며, 상기 기본 지형 데이터셋을 격자 단위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래스터(raster) 형태로 변환하여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ographic data set construction unit
Collecting a numerical topographic map as the topographic data and a road name address building as the building data, respectively,
A basic topographic dataset is constructed using the contour lines and elevation points of the numerical topographic map, and the basic topographic dataset is updated by adding a building height derived from the number of ground floors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to the topography on the numeric topographic map, and the basic topographical dataset is updated. A device for analyzing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rain dataset is converted into a raster form having a data structure of a grid unit to generate a terrain raster data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 산출부는
상기 분석데이터의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과 상기 도로명주소 건물 각각에서 상기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추출된 주거용 건물을 상호 매칭하여 하나의 건물에 하나의 전기사용량을 할당하고,
상기 상호 매칭 결과에 대해, n:1 매칭으로서 '복수 건물:단일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건물 별로 전기사용량을 등분배하고, 1:n 매칭으로서 '단일 건물:복수 전기사용량'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하며, m:n 매칭에 해당하는 경우 전기사용량을 합산한 후 건물 별로 등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calculation unit for each building
Allocating one electricity consumption to one building by matching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analysis data and the residential buildings extracted based on the use attribute from each of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s,
With respect to the mutual matching result, if 'multiple buildings: single electricity consumption' corresponds to n:1 matching, electricity consumption is equally distributed for each building, and 1:n matching corresponds to 'single building: multiple electricity consumpti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summed up, and if the m:n match is met,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s added up and then distributed equally among build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 관한 지형데이터와 건물데이터를 수집하여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을 위한 지형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건물데이터의 도로명주소 건물에서 용도 속성을 기준으로 주거용 건물을 추출하여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지형 데이터셋과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과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기초로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감소액을 산출하여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경제적 효율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건물별 설치용량-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시간당 최대 생산 가능한 전력량에 해당함 -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별 발전가능용량을 결정하는 제2 단계, 상기 건물별 설치용량과 상기 종합효율계수를 기초로 건물별 발전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및 건물 별로 발전가능용량과 발전량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최종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고,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격자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고, 상기 지형 래스터 데이터셋에 상기 건물데이터를 중첩시켜 개별 건물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들을 도출하며, 해당 격자들의 태양광에너지를 평균 연산하여 건물별 태양광에너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제적 효율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을 기초로 제1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건물별 전기사용량에서 상기 건물별 태양광발전량을 제외하여 제2 건물별 전기요금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건물별 전기요금들을 기초로 건물별 전기요금 감소율을 산출하여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지역에 관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는 지도 상에서 건물 별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적용하여 공간 상에 표시한 것에 해당함 -를 생성하며, 상기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도를 기초로 태양광발전 효율 등급이 임계 등급 이상인 핫스팟(Hot Spot)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별 태양광발전 효율 분석 방법.
In the method performed in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device for each building,
collecting topographic data and building data for a specific area to construct a topographic dataset for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extracting a residential building based on a usage attribute from the road name address building of the building data and calculating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calculating th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topographic data set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Analyzing economic efficiency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bill reduction due to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building-specific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 building-specific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mount,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i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corresponds to the maximum amount of power that can be produced per hour in the photovoltaic system -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The second step of determining the possi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for each building using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calculat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installed capacity for each building and the overall efficiency coefficient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of finally determin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by comparing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the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building are performed, and the solar energy for each grid is calculated based on the topographic raster data set, and the topography Superimposing the building data on a raster dataset to derive grids included in individual building areas, and calculating the average solar energy of the grids to calculate solar energy for each building,
The analyzing of the economic efficiency comprises calculating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first building based on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and calculating the electricity rate for each second building by excluding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 each building from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building. , determine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by calculating the electricity rate reduction rate for each building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ity rates for each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otovoltaic efficiency, the sunlight for the specific area Generates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ing diagram -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ing diagram corresponds to what is displayed on the space by apply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e for each building on the map, and based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grading diagram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alysis method for each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a hot spot (Hot Spot) of which the photovoltaic efficiency grade is higher than the critical grade.
KR1020200009228A 2019-12-26 2020-01-23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 KR10231019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5272 2019-12-26
KR1020190175272 201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85A KR20210084185A (en) 2021-07-07
KR102310197B1 true KR102310197B1 (en) 2021-10-12

Family

ID=7686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28A KR102310197B1 (en) 2019-12-26 2020-01-23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919A (en) 2022-08-09 2024-02-16 장광현 Electric Power Monitoring System
KR102583920B1 (en) * 2022-09-22 2023-10-05 신성이앤에스주식회사 System for monitor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and evaluat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166B1 (en)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System and method for consulting new renewable energy power busuness based on gis
KR101980741B1 (en) * 2018-01-16 2019-05-21 강문식 A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imulaiton of solar energy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88B1 (en) 2013-12-31 2015-08-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Efficiency analysis system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facilities
KR102105692B1 (en) * 2017-11-24 2020-04-28 주식회사 플렉싱크 Energy management system associated with solar gene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41B1 (en) * 2018-01-16 2019-05-21 강문식 A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imulaiton of solar energy generator
KR101968166B1 (en)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System and method for consulting new renewable energy power busuness based on g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185A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rzalka et al. Large scale integration of photovoltaics in cities
Asakereh et al. A GIS-based Fuzzy-AHP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solar farms locations: Case study in Khuzestan province, Iran
Ali et al. A preliminary feasibility of roof-mounted solar PV systems in the Maldives
Wegertseder et al. Combining solar resource mapping and energy system integration methods for realistic valuation of urban solar energy potential
Mainzer et al. A high-resolution determination of the technical potential for residential-roof-mounted photovoltaic systems in Germany
Yeo et al. A proposal for a site location planning mod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energy supply plants using an environment and energ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E-GIS) database (DB)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Li et al. A pixel-based approach to estimation of solar energy potential on building roofs
Fitriaty et al. Predicting energy generation from residential building attached Photovoltaic Cells in a tropical area using 3D modeling analysis
Jamal et al. Potential rooftop distribution mapp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for Solar PV Installation: A case study for Dhaka, Bangladesh
Li et al. Estimating solar energy potentials on pitched roofs
CN109325676B (en) Clean energy comprehensive power station site selection method based on GIS
KR102310197B1 (en) Photovoltaic efficiency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each building
Zhu et al. GIScience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olar cities for energy transition
US20190139163A1 (en) Method for forecasting energy demands that incorporates urban heat island
Effat et al. Modeling potential zones for solar energy in Fayoum, Egypt, using satellite and spatial data
Saadaoui et al. Using GIS and photogrammetry for assessing solar photovoltaic potential on Flat Roofs in urban area case of the city of Ben Guerir/Morocco
Massano et al. A GIS Open-Data Co-Simulation Platform for Photovoltaic Integration in Residential Urban Areas
Kim et al. Assessment the technic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a window-integrated PV system using third-generation PV panels
Hopf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hotovoltaic potential estimation
Kumar Advancement in renewable energy scenarios
Schepel et al. The Dutch PV portal 2.0: An online photovoltaic performance modeling environment for the Netherlands
Ayana et al. A compendious approach for renewable energy assessment based on satellite and ground truth data: Bilate catchment, Rift Valley Basin, Ethiopia
de Sousa Freitas et al. Using rhinoceros plugins grasshopper and ladybug to assess BiPV Façades in Brasília
López-González Community-scale rural energy systems: General planning algorith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countries
Prasetyo et al. Policy and Economy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on Grid Actuator to Public Road Lighting in Magelang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