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37B1 -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37B1
KR102309637B1 KR1020210043173A KR20210043173A KR102309637B1 KR 102309637 B1 KR102309637 B1 KR 102309637B1 KR 1020210043173 A KR1020210043173 A KR 1020210043173A KR 20210043173 A KR20210043173 A KR 20210043173A KR 102309637 B1 KR102309637 B1 KR 10230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garbage coll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rbag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21004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olume-based bag having an outer surface on which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each volume-based bag is printed as a barcode, and having a garbage storage space; a seller terminal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who purchases the volume-based bag and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for recogniz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and storing the recogniz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garbage collection data; a cleaning service work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garbage collection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collecting volume-based bags stored i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nd a garbage management server that integrally manages a movement path of volume-based bags distributed in the market by using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the garbage colle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cleaning service worker terminal.

Description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자원 개발,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쓰레기 배출량 증가 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쓰레기는 크게 생활 쓰레기와 산업 쓰레기로 나뉘며, 산업 쓰레기는 국가에서 강한 규제로 관리하는 한편,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 지정된 장소에 버릴 것이 요구된다.Since industrialization,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occurred due to indiscriminate resource development,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and increase in waste discharge. Garbage is largely divided into household waste and industrial waste. Industrial waste is managed under strong national regulations, while household waste generated from households is required to be placed in a volume-based bag and disposed of in a designated place.

종량제 봉투는 환경 쓰레기를 담아 버리는 지정된 규격의 봉투로서, 1995년부터 실시된 쓰레기 종량제에서 쓰레기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과하기 위해 만어졌다. 종량제 봉투는 가정용 봉투, 영업용 봉투, 특수규격봉투로 나누어지고, 규격과 용도에 따라 다른 가격이 책정된다. 가구에서 일주일 동안 배출하는 쓰레기의 양을 쓰레기 배출량으로 집계하는데, 이는 가정에서 일주일동안 사용하는 종량제 봉투의 개수로 판단한다.The volume-based bag is a bag of a specified standard for disposing of environmental waste, and was created to charge a f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te in the volume-based waste system that was implemented since 1995. Pay-as-you-go bags are divided into household bags, commercial bags, and special-size bags, and different prices are set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uses. The amount of garbage discharged by households in one week is counted as garbage discharge, which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volume-based bags used in a week.

기업, 가정 등 각 지역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쓰레기 수거함을 비치하고 운영되고 있지만, 쓰레기 수거 규칙에 따르지 않고 무단으로 투기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무단투기는 지정된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거나 지정된 장소 이외의 장소에 쓰레기를 버리거나 종량제 봉투를 위조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무단투기로 발생된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Although garbage collection box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to collect garbage generated in each area, such as businesses and households, there are frequent cases of unauthorized dumping without complying with garbage collection rules. Unauthorized dumping occurs in various ways, such as not using the specified volume-based bag, throwing garbage in a place other than the designated place, or counterfeiting the volume-based bag.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식별정보가 인쇄된 종량제 봉투를 이용하여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쓰레기 배출 및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쓰레기 처리 계획을 세우는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that prevents unauthorized dumping by using a volume-based bag o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inted, and monitors waste discharge and movement route to establish a waste treatment plan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te.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은, 개별적으로 부여된 제1 식별정보가 겉면에 바코드로 인쇄되며, 쓰레기 보관 공간을 구비한 종량제 봉투와, 상기 종량제 봉투를 구매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종량제 봉투의 구입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판매자 단말기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1 식별정보를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저장하는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과,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에 저장된 종량제 봉투들의 수거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신하는 미화원 단말기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구입이력정보와, 상기 미화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중에 유통된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쓰레기 관리서버를 포함한다.In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assign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inted as a barcode on the outside, a volume-based bag having a waste storage space, and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who purchases the volume-based bag A seller terminal that receives input and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and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that scans the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to recogniz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recogniz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garbage collection data and a cleaning service terminal that receive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collecting the volume-based bags stored i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ller terminal, and garbage colle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Thus, it includes a garbage management server that integrally manages the movement path of the volume-based bags distributed in the marke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구입이력정보와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의 위치,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의 위치, 및 상기 미화원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시간별로 기록하여 상기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records the location of the sell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nd the location change of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by time using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garbage collection data received in real time. Thus,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bag.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각 지역에 배치된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으로부터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집하여 종량제 봉투의 배출이력을 판단하고, 판단된 배출이력을 기초로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collect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from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es arranged in each area, determines the discharge history of the volume-based bag,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garbage for each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discharge history. can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기간별 상기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종량제 봉투 구입시 자동으로 사용되는 리워드를 각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리워드는 개인별로 할당된 양보다 적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provides each seller terminal with a reward automatically used when purchasing the pay-as-you-go bag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based on the amount of waste for each user per period, and the reward is allocated to each individual If less than the amount of garbage is discharged, it may be paid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각 종량제 봉투의 사용가능기간을 설정하며,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구매시기부터 일정기간 동안에만 유효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may set the usable period of each pay-as-you-go bag, and set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valid only for a certain period from the time of purchas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식별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슬롯을 오픈하는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쓰레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종량제 봉투를 저장하는 함체와,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종량제 봉투의 종류 및 용량에 대응하는 슬롯을 오픈하기 위해 상기 쓰레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화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수거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includes a barcode scanner that recogniz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identification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a garbage input unit that opens a slo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garbage input Control the waste input unit to open a box for storing the volume-based bag inserted through the unit, to generate the garbage collection d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open a slot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capacity of the volume-based bag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llection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leaning agent terminal.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제1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상기 쓰레기 투입부의 슬롯을 오픈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ner, and only when there is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lot of the garbage input unit can be ope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식별정보가 인쇄된 종량제 봉투를 이용하여 무단투기를 방지할 수 있고, 쓰레기 배출 및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쓰레기 처리 계획을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authorized dumping by using a volume-based ba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nted on it,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stablish a waste treatment plan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ste by monitoring the waste discharge and movement route.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garbag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a pay-as-you-go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garbag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garbag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ccording to the following.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10)은 식별정보가 인쇄된 종량제 봉투를 이용하여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쓰레기 배출 및 이동경로를 모니터링하여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쓰레기 처리 계획을 세우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 관리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판매자 단말기(300),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 및 미화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1, 2, and 3 ,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authorized dumping by using a volume-based ba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nted on it, and controls the discharge and movement of waste.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nd setting a garbage disposal plan according to the amount of garbage, including a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a user terminal 200, a seller terminal 300,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a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do.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호스팅할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 지정이 가능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기(200), 판매자 단말기(300),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 미화원 단말기(5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쓰레기 통합관리를 위한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운영환경을 제공하며,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회원에게 개인별 쓰레기 배출량, 지역별 쓰레기 배출량,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리워드 발생 여부,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can host an online network and is a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network address, and is a network with the user terminal 200 , the seller terminal 300 ,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 and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garbage, and to members who use the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individual garbage output, regional garbage output, whether rewar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garbage, and movement of the volume-based bag Information on routes, etc. can be provided.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식별정보 생성부(110), 이동경로 추적부(120), 쓰레기 배출량 판단부(130), 리워드 판단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 a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20 , a garbage discharge determination unit 130 , a reward determination unit 140 , and a storage unit 150 .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종량제 봉투의 제작, 유통, 판매, 수거, 폐기 등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하며,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종량제 봉투에 부여할 수 있다. 식별정보 생성부(110)는 생산되는 종량제 봉투 수량에 대응하는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식별정보에는 종량제 봉투의 규격 및 용량, 개별 식별값, 일련변호, 지자체 코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The waste management server 100 performs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production, distribution, sale, collection, disposal, etc. of the volume-based bag, and may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ive it to the volume-based ba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0 may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of the volume-based envelopes to be produc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s and capacity of the volume-based envelopes, individual identification values, serial codes, local government codes, etc. .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종량제 봉투의 제작업체가 식별정보를 바코드로 변환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를 종량제 봉투 제작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제작업체에서 정상적으로 제작된 종량제 봉투들 각각에는 식별정보가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어 있으며,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기를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해당 종량제 봉투의 종량제 봉투의 규격 및 용량, 개별 식별값, 일련변호, 관련 지자체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일차원 바코드, 이차원 바코드, 또는 일차원 바코드와 이차원 바코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ste management server 100 may provi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volume-based bag manufacturer so that the manufacturer of the volume-based bag can conver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a barcode and print it. Each of the volume-based bags normally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er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nted in the form of a barcode, and when the barcode is scanned through a terminal running the waste management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serial numbers, related local governments, etc. may be displayed. Here, the barcode may be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barcode, or a combination of a one-dimensional barcode and a two-dimensional barcode.

또한, 식별정보 생성부(110)는 종량제 봉투의 사용가능기간을 설정하며, 식별정보를 종량제 봉투의 구매시기부터 일정기간 동안에만 유효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종량제 봉투를 판매한 후 일정기간이 도과하면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했거나 분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더이상 종량제 봉투를 유효한 것으로 볼 이유가 없기 때문에,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사용자가 종량제 봉투를 구입한 이후 일정기간 동안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투입하지 않은 경우 해당 종량제 봉투의 식별정보를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0 may set the usable period of the pay-as-you-go envelope, and se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valid only for a certain period from the time of purchase of the pay-as-you-go envelope. If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sale of the volume-based bag to the user, it is judged that the garbage has been dumped or lost without permission and there is no reason to consider the volume-based bag as valid any longer. After that, when not put into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may be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이동경로 추적부(120)는 종량제 봉투의 제작, 유통, 판매, 수거, 처리에 대응하여 종량제 봉투별로 위치를 판단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종량제 봉투별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동경로 추적부(120)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구입이력정보와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300)의 위치,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의 위치, 및 미화원 단말기(500)의 위치 변화를 시간별로 기록하여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20 may determine the location for each volume-based bag in response to the production, distribution, sal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the volume-based bag, and generate a movement path for each volume-based bag according to the location change. That is, the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20 uses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the garbage collection data received in real time, the location of the seller terminal 300 ,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 and the location of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 Changes can be recorded over time to create a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bag.

예컨대,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는 종량제 봉투 제조업체의 주소지, 종량제 봉투의 판매지,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의 위치, 종량제 봉투의 처리지(예컨대, 소각장, 매립지 등) 순으로 기록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ement path of the volume-based bag may be recorded in the order of the address of the volume-based bag manufacturer, the sales location of the volume-based bag,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the disposal site of the volume-based bag (e.g., incinerator, landfill, etc.).

이동경로 추적부(120)는 판매자 단말기(300),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 미화원 단말기(5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종량제 봉투의 위치가 이동되는 시간도 함께 기록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20 may also record the time the location of the pay-as-you-go bag is mov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seller terminal 300 ,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 and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

쓰레기 배출량 판단부(130)는 사용자별로 종량제 봉투를 배출한 양을 산출하고, 특정기간 동안 산출양을 기초로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 The garbage emission determin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discharge of the volume-based bag for each user, and may determine the amount of garbage emitted by each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amount for a specific peri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10)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300)에 입력해야 종량제 봉투 구입이 가능하고, 종량제 봉투를 구입한 사용자에게 종량제 봉투의 식별정보가 할당되므로,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정보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가 구입한 종량제 봉투의 규격, 용량, 및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integrated garbag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formation must be input to the seller terminal 300 to purchase the volume-based ba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is assigned to the user who purchases the volume-based bag, so the garbage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store the specification, capacity, and quantity of the pay-as-you-go bag purchased by each user by using user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사용자가 쓰레기를 채운 종량제 봉투를 배출할 때마다 바코드 인식을 통해 식별정보를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입력시켜야 하므로,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수거된 종량제 봉투를 어떤 사용자가 배출한 것인지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has to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through barcode recognition whenever the user discharges the volume-based bag filled with garbage,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u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It is possible to specify which user discharged the volume-based bag collected in the .

쓰레기 배출량 판단부(130)는 특정된 사용자가 일정 기간동안 배출한 종량제 봉투의 양을 합산하여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The garbage emission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garbage emitted by each user by summing up the amount of the volume-based bag discharged by the specified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리워드 판단부(140)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기초로 종량제 봉투 구입시 자동으로 사용되는 리워드를 각 판매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쓰레기 배출양을 줄이기 위해 개인별 또는 가구별로 할당된 양보다 적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한 경우 일정 기준보다 적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종량제 봉투 구입시 자동으로 사용되는 포인트로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고, 판매자 단말기(300)는 쓰레기 관리서버(100)로부터 리워드를 수신받아 종량제 봉투 판매시 리워드를 차감한 금액만을 사용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The reward determination unit 140 may provide each seller terminal 300 with a reward automatically used when purchasing a pay-as-you-go bag based o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each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garbage discharged, if less than the amount allocated for each individual or household is discharged, a reward may be provided to a user who has discharged less than a certain amount of garbage. Here, the reward is a point automatically used when purchasing a pay-as-you-go bag, and can be used the same as cash, and the seller terminal 300 receives the reward from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and deducts the reward when selling the pay-as-you-go bag. can be charged to

저장부(150)는 식별정보 생성부(110)에서 생성한 각 종량제 봉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이동경로 추적부(120)에 의해 생성된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pay-per-use envelope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10 , and may store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envelope generated by the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20 .

사용자 단말기(200)는 종량제 봉투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일반 개인의 단말기 또는 등록된 사업자 단말기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개인별 쓰레기 배출량, 지역별 쓰레기 배출량, 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리워드 발생 여부,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of a user who purchases and uses a pay-as-you-go envelope, and may be a general personal terminal or a registered operator terminal. The user terminal 200 may execute a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to display to the user the amount of individual garbage, the amount of garbage by region, whether a reward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garbage, the movement path of the volume-based bag, and the lik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 후, 종량제 봉투 구입시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판매자 단말기(30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직접 판매자 단말기(30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판매자에게 육성으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자가 직접 판매자 단말기(30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휴대폰 번호, 주민번호, 회원관리번호, 회원 아이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user input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200 , the us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eller terminal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when purchasing a pay-as-you-go bag. However, the user may directly input user information into the seller terminal 300 or provide the user information to the seller by fostering the seller to directly input the user information into the seller terminal 300 .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obile phone number, a resident number, a member management number, and a member ID.

판매자 단말기(300)는 물품 판매시 물품이 판매되는 위치와 시간을 수집 및 기록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POS(Point Of Sale) 기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eller terminal 300 is a device that collects and records the location and time at which the goods are sold when the goods are sold, and may be, for example, a Point Of Sale (POS)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phone), tablet PC, mobile internet device (MID), internet tablet,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internet of everything (IoE) device, desktop computer, laptop ( laptop) a computer, a workstation computer,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은 쓰레기 관리서버(100)에 정품으로 등록된 종량제 봉투만을 보관하고, 보관된 종량제 봉투들의 식별정보를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저장하는 수거함으로서, 바코드 스캐너(410), 쓰레기 투입부(420), 함체(430), 제어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stores only the volume-based bags registered as genuine products in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d volume-based bags as garbage collection data. A barcode scanner 410, a garbage input unit It may include a 420 , a housing 430 , a control unit 440 , and a communication unit 450 .

바코드 스캐너(410)는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410)는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지만, 함체(430)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부착되어 내부에 투입된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도 있다.The barcode scanner 410 may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barcode of the pay-as-you-go envelope. The barcode scanner 41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to scan the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but it is attached to a space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enclosure 430 and can also recognize the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inserted therein. have.

쓰레기 투입부(420)는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슬롯을 오픈할 수 있다. 쓰레기 투입부(420)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투입된 종량제 봉투의 규격 및 용량에 적합한 슬롯을 오픈할 수 있다. The garbage input unit 420 may open a slo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waste input unit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ots,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40 , a slot suitable for the standard and capacity of the inserted volume-based bag may be opened.

함체(430)는 투입된 종량제 봉투를 보관하며, 미화원의 제어에 따라 보관된 종량제 봉투의 외부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The enclosure 430 may store the inserted volume-based bag, and may allow external discharge of the stored volume-based bag under the control of the cleaning service.

제어부(440)는 바코드 스캐너(410)에서 인식된 식별정보를 기초로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생성하고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종량제 봉투의 종류 및 용량에 대응하는 슬롯을 오픈하기 위해 쓰레기 투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40)는 스캔되지 않은 종량제 봉투의 투입을 차단하기 위해 바코드를 인식한 종량제 봉투만 투입될 수 있도록 해당 규격 및 용량에 적합한 슬롯만을 오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40 may control the garbage input unit to generate garbage collection d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ner 410 and open a slot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capacity of the volume-based bag by analy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at is, the control unit 440 may open only a slot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standard and capacity so that only the pay-as-you-go envelope for which the barcode is recognized can be inserted in order to block the input of the unscanned pay-as-you-go envelope.

또한, 제어부(440)는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식별정보에 해당하지 않거나 중복된 식별정보로 판단된다면, 해당 종량제 봉투를 가품으로 판단하여 슬롯의 오픈을 차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s determined to be duplic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40 may determine the volume-based envelope as a fake and block the opening of the slot.

쓰레기 수거데이터에는 함체(430) 내부에 보관된 종량제 봉투들의 식별정보들이 저장되며, 미화원 단말기(500)는 함체(430) 내부에 보관된 종량제 봉투 수거시 통신부(450)를 통해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미화원 단말기(500)에 쓰레기 수거데이터가 전송되면, 제어부(440)는 더이상 함체(430) 내부에 종량제 봉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In the garbage collection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s stored inside the box 430 is stored, and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receive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50 when collecting the volume-based bags stored inside the box 430 . can do. At this time, when the garbage coll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 the controller 440 may determine that the volume-based bag no longer exists inside the housing 430 and initialize the garbage collection data.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화원 단말기(500)는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말로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인터넷 태블릿,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IoE(internet of everything) 장치, 데스크 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및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are terminals running a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and include a personal computer (PC),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mobile internet device ( MID)), internet tablet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ternet of everything (IoE) devices, desktop computers, laptop computers, workstation computers,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and It may be any one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도면이다.4 is a view of a pay-as-you-go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쓰레기를 수납 가능한 종량제 봉투(EN)의 일면이 도시되어 있다. 종량제 봉투(EN)는 일반적으로 손잡이부(HP), 결속부(CP), 및 몸통부(BP)로 이루어지며, 손잡이부(HP)는 운반에 용이하도록 측면에서 U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결속부(CP)는 몸통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결속될 수 있고, 몸통부(BP)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공간이다.Referring to FIG. 4 , one side of the volume-based bag EN capable of accommodating garbage is shown. The pay-as-you-go envelope (EN) generally consists of a handle portion (HP), a binding portion (CP), and a body portion (BP), and the handle portion (HP) is provided with a U-shaped hole in the side for easy transport. , the binding part CP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to one side so that the contents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and the body BP is a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종량제 봉투(EN)는 일반적으로 손상되기 쉬운 비닐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채우는 과정, 운반 과정, 보관 과정 등에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만약, 바코드(BC)가 인쇄된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 판매자 단말기(300),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 및 미화원 단말기(500)는 종량제 봉투(EN)의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없게 된다.Since the pay-as-you-go bag (EN) is generally made of a fragile plastic material, it can be easily damaged during the filling process, transport process, and storage process. If the barcode (BC) printed part is damaged, the user terminal 200, the seller terminal 300,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identify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ay-as-you-go bag (EN). can't do i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EN)는 복수의 위치에 동일한 바코드(BC)를 인쇄하여 일부가 찢어지더라도 나머지 부위에 위치한 바코드(BC)를 통해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ay-as-you-go envelope (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arcode (BC) located in the remaining part even if a part is torn by printing the same barcode (BC) at a plurality of positions.

예컨대, 종량제 봉투(EN)에는 몸통부(BP)의 복수의 위치, 손잡이부(HP), 및 결속부(CP) 각각에 동일한 바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ame barcode may be print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ody portion BP, the handle portion HP, and the binding portion CP on the pay-as-you-go envelope EN.

또한, 종량제 봉투(EN)의 하단면에는 모든 바코드(BC)가 손상되더라도 식별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ID)가 직접 인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may be directly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y-as-you-go envelope (EN) so tha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irectly checked even if all barcodes BC are damag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10)은 종량제 봉투(EN)의 제작에서부터 처리까지 통합적으로 위치를 추적하여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쓰레기 처리 계획을 세우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5, the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authorized dumping by tracing the location from the production of the volume-by-volume system (EN) to the treatment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o develop a waste disposal plan. it's about

종량제 봉투의 제작업체는 쓰레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제공받고, 바코드(BC)로 변환된 식별정보를 인쇄하여 종량제 봉투(EN)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종량제 봉투(EN)는 일반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각 지역사회의 판매점에 배포될 수 있다.The manufacturer of the volume-based bag may be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waste management server 100 and pri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barcode (BC) to produce the volume-based bag (EN). The produced pay-as-you-go envelopes (EN) can be distributed to retail outlets in each community for sale to general users.

사용자(US)는 사용자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종량제 봉투(EN)를 구입할 수 있고,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판매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구입이력정보를 기초로 종량제 봉투들 각각이 어느 사용자에게 귀속되었는지 판단하고, 종량제 봉투(EN)의 이동경로에 판매점의 위치와 사용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The user (US) can purchase the pay-as-you-go bag (EN) by providing user information to the seller terminal 300 , and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the pay-per-use envelopes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ller terminal 3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user each belongs to, and record the location of the store and user informatio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envelope (EN).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은 쓰레기가 담긴 종량제 봉투(EN)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먼저 바코드 스캐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US)는 종량제 봉투(EN)에 인쇄된 바코드(BC)를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스캔시키고,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이 인식된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정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may first request barcode scanning from the user to store the volume-based bag (EN) containing garbage. The user (US) scans the barcode BC printed on the pay-as-you-go envelope (EN) to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alyzes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만약, 종량제 봉투(EN)가 정품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은 식별정보를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저장하고, 종량제 봉투(EN)의 종류 및 용량에 대응하는 슬롯을 오픈하여 종량제 봉투(EN)의 투입을 허용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ume-based bag (EN) is genuine,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garbage collection data, opens a slot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capacity of the volume-based bag (EN), and opens the volume-based bag ( EN) can be accepted.

이후,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보관된 종량제 봉투(EN)를 수거하기 위해 미화원 단말기(500)는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미화원 단말기(500)는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으로부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신하여 함체(430) 내부에 보관된 종량제 봉투들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미화원은 쓰레기 수거차량(CAR)으로 종량제 봉투를 옮길 수 있다.Thereafter, in order to collect the pay-as-you-go bag (EN) stored i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receive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from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s stored inside the box 430, and the cleaning service can move the volume-based bags to the garbage collection vehicle (CAR). have.

미화원 단말기(500)는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쓰레기 관리서버(1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각 미화원 단말기(500)에는 수거한 종량제 봉투를 처리하는 쓰레기 처리 장소(AR)가 배정되어 있어,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쓰레기 수거데이터에 대응하는 종량제 봉투가 미화원 단말기(500)에 배정된 쓰레기 처리 장소(AR)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may provide garbage collection data to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in real time. Each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is assigned a garbage disposal location (AR) that processes the collected volume-based bags, and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a volume-based bag corresponding to the garbage collection data.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has moved to the processing place AR.

이와 같이, 쓰레기 관리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구입이력정보와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매자 단말기(300)의 위치,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의 위치, 및 미화원 단말기(500)의 위치 변화를 시간별로 기록하여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uses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garbage collection data received in real time, the location of the seller terminal 300,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and the It is possible to create a movement route of the pay-as-you-go bag by recording the change of location by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AP)이 실행되는 미화원 단말기(500)는 종량제 봉투(EN)를 직접 스캔하여 종량제 봉투(EN)의 이동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종량제 봉투(EN)는 제작시부터 쓰레기 관리서버(100)에 이동경로가 기록되기 때문에, 미화원 단말기(500)는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AP)을 통해 해당 인식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종량제 봉투(EN)의 이동경로를 쓰레기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on which the waste management application AP is executed may directly scan the pay-as-you-go bag EN to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bag EN. Since the movement path is recorded in the waste management server 100 from the time of manufacture, the pay-as-you-go bag (EN) is the pay-as-you-go bag (E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aste management application (AP). may receive the movement path of from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100 .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AP)에는 종량제 봉투(EN)의 식별번호(NO), 제조사, 제조지역, 시간별로 기록된 종량제 봉투(EN)의 이동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종량제 봉투(EN)는 2021년 3월 15일 'ABC 상사'에서 제조되어 2012년 3월 21일에 'KK 마트'에 입고된 후, 'KNO12PK' 사용자 정보를 갖는 사용자에게 판매된 것으로 이동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In the waste management application (AP), the identification number (NO) of the volume-based bag (EN), the manufacturer, the manufacturing reg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volume-based bag (EN) recorded by tim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pay-as-you-go bag (EN) is manufactured by 'ABC Corporation' on March 15, 2021, and is stocked at 'KK Mart' on March 21, 2012, and then sold to users with 'KNO12PK' user information. A path can be set.

만약, 해당 종량제 봉투(EN)가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400)에 보관된 기록없이 길거리 또는 야외환경에 노출되어 있다면,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AP)은 'KNO12PK' 사용자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해당 종량제 봉투(EN)를 무단투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volume-based bag (EN) is exposed to the street or outdoor environment without a record kept i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400, the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AP) is a user with 'KNO12PK' user information ) can be considered as illegal dumping.

한편, 도 6에서는 미화원 단말기(500)에 의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쓰레기 관리 어플리케이션(AP)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판매자 단말기(300)도 바코드(BC)를 인식하여 종량제 봉투(EN)의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6 , an embodiment using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500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eller terminal 300 in which the garbage management application AP is executed also recognizes the barcode BC. Thus, the movement path of the pay-as-you-go envelope (EN) can be display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쓰레기 관리서버
110: 식별정보 생성부
120: 이동경로 추적부
130: 쓰레기 배출량 판단부
140: 리워드 판단부
15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판매자 단말기
400: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
410: 바코드 스캐너
420: 쓰레기 투입부
430: 함체
440: 제어부
450: 통신부
500: 미화원 단말기
100: garbage management server
1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movement path tracking unit
130: garbage discharge determination unit
140: reward judgment unit
150: storage
200: user terminal
300: merchant terminal
400: smart trash bin
410: barcode scanner
420: garbage inlet
430: hull
440: control unit
450: communication department
500: US cleaner terminal

Claims (7)

개별적으로 부여된 제1 식별정보가 겉면의 복수의 위치에 동일한 바코드로 인쇄되며, 쓰레기 보관 공간을 구비한 종량제 봉투;
상기 종량제 봉투를 구매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종량제 봉투의 구입이력정보를 생성하는 판매자 단말기;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1 식별정보를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저장하며, 정품으로 등록된 종량제 봉투만 투입을 허용하는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에 저장된 종량제 봉투들의 수거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신하는 미화원 단말기; 및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구입이력정보와 상기 미화원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판매자 단말기의 위치,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의 위치, 및 상기 미화원 단말기의 위치를 시간별로 기록하여, 시중에 유통된 종량제 봉투의 이동경로를 상기 판매자 단말기의 위치,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의 위치, 및 상기 미화원 단말기의 위치 변화로 설정하는 쓰레기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상기 종량제 봉투의 사용가능기간을 설정하며, 상기 사용자가 종량제 봉투를 구입한 이후 상기 사용가능기간 동안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에 투입하지 않은 경우, 상기 종량제 봉투를 무단으로 투기했거나 분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식별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
상기 제1 식별정보에 부합하는 슬롯을 오픈하는 쓰레기 투입부;
상기 쓰레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종량제 봉투를 저장하는 함체;
상기 제1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종량제 봉투의 종류 및 용량에 대응하는 슬롯을 오픈하기 위해 상기 쓰레기 투입부를 제어하고, 상기 함체 내부에 보관된 종량제 봉투들의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로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미화원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화원 단말기에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함체 내부에 종량제 봉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
The individually assign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inted with the same barcod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surface, and a volume-based bag having a garbage storage space;
a seller terminal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who purchases the pay-as-you-go envelope and generat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ay-as-you-go envelope;
a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that recogniz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barcode of the volume-based bag, stores the recogniz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garbage collection data, and allows only the volume-based bag registered as a genuine product to be inserted;
a cleaning service terminal for receiving the garbage collection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collecting the volume-based bags stored i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location of the merchant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nd the location of the cleaner terminal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erchant terminal and the garbage colle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A garbage management server that records by time and sets the movement path of the volume-based bag distributed in the market to the location of the sell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nd the location change of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The garbage management server sets the usable period of the volume-based bag, and if the user does not put the volume-based bag into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during the usable period after purchasing the volume-based bag, the volume-based bag is discarded or lost without permission. judging that delet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
a barcode scanner for recogniz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canning the identification barcode of the pay-as-you-go envelope;
a waste input unit for opening a slo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ox for storing the volume-based bag inserted through the waste input unit;
By analyz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arbage input unit is controlled to open a slot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capacity of the volume-based bag,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stored inside the box is stored a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control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arbage collection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When the garbage coll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eaning service terminal,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volume-based bag in the housing and initialize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각 지역에 배치된 스마트 쓰레기 수거함으로부터 상기 쓰레기 수거데이터를 수집하여 종량제 봉투의 배출이력을 판단하고, 판단된 배출이력을 기초로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산출하는 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ste management server,
An integrated garbage management system that collects the garbage collection data from the smart garbage collection boxes placed in each area, determines the discharge history of the volume-based bag,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garbage for each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discharge histor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관리서버는,
기간별 상기 사용자별 쓰레기 배출량을 기초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종량제 봉투 구입시 자동으로 사용되는 리워드를 각 판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리워드는 개인별로 할당된 양보다 적은 양의 쓰레기를 배출한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급되는 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ste management server,
Provides rewards automatically used when purchasing the pay-as-you-go bag to each sell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based on the amount of waste for each user per period,
The reward is a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that is paid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when the amount of waste less than the amount allocated to each individual is dischar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상기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제1 식별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제1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기저장된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상기 쓰레기 투입부의 슬롯을 오픈시키는 쓰레기 통합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ner, and opens the slot of the garbage input unit only when there is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ystem.
KR1020210043173A 2021-04-02 2021-04-02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KR102309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73A KR102309637B1 (en) 2021-04-02 2021-04-02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73A KR102309637B1 (en) 2021-04-02 2021-04-02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37B1 true KR102309637B1 (en) 2021-10-06

Family

ID=7807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73A KR102309637B1 (en) 2021-04-02 2021-04-02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185B1 (en) * 2021-11-15 2022-05-31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Garbage envelop take away and verification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214B1 (en) * 2014-12-01 2015-07-08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usage based system of food garbage
KR200477681Y1 (en) * 2013-08-16 2015-07-13 오효택 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garbage
KR101954400B1 (en)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for volume-rate disposal garbage payment-certificate and bags issue, garbage bags order and, collecting garb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81Y1 (en) * 2013-08-16 2015-07-13 오효택 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garbage
KR101534214B1 (en) * 2014-12-01 2015-07-08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usage based system of food garbage
KR101954400B1 (en) * 2018-08-21 2019-03-05 주식회사 제이엠퓨처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for volume-rate disposal garbage payment-certificate and bags issue, garbage bags order and, collecting garb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185B1 (en) * 2021-11-15 2022-05-31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Garbage envelop take away and verification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8848B (en) Automated kiosk and method for collecting return items based on real time risk decision
JP6334031B2 (en) Secondary market and vending systems for devices
KR101954400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management method for volume-rate disposal garbage payment-certificate and bags issue, garbage bags order and, collecting garbage
JP20135318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obile phone
CN108648377A (en) Automatically vending system based on unmanned retail units and method
US7124941B1 (en) Method and program for reduction of retail sales revenue limitations
KR102309637B1 (en) Integrated waste management system
JP6795446B2 (en) Garbage collection system
CN105416918A (en) Garbage class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JP2002297840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lassifiedly collecting refuse according to type using point system
US20140337191A1 (en) Recycling collection payout
KR101954399B1 (en) System for processing usage based system of food garbage using food garbage load management
CN205221644U (en) Waste classification management system
JP2002120904A (en) Net refuse bin and commodity circulation promo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002703B1 (en) PDA having scanner function for bar code and management system of a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thereof
KR100458745B1 (en) Garbage disposal management system using electronic expression means and method thereof
KR100714926B1 (en) Apparatus for taking away garbage and manag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23023321A1 (en) Beverage container recycling system
KR101378943B1 (en) System for managing for non-payment fees of food waste and method thereof
KR20230043518A (en) A multi-use cup retur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a multi-use cup distribution service
KR20230043514A (en) A method for operating of a multi-use cup return device
KR20230043519A (en) Method for operation of a multi-use cup return resupply service system
US11948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ste management using recurrent convolution neural network with stereo video input
US2022016457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recycle process and a method of enabling recycling
KR102453539B1 (en) Pay-as-you-go bag with activation function and activ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