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976B1 -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976B1
KR102308976B1 KR1020200184727A KR20200184727A KR102308976B1 KR 102308976 B1 KR102308976 B1 KR 102308976B1 KR 1020200184727 A KR1020200184727 A KR 1020200184727A KR 20200184727 A KR20200184727 A KR 20200184727A KR 102308976 B1 KR102308976 B1 KR 10230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manufacturing facility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김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우 filed Critical 김준우
Priority to KR102020018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클린 팩토리의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는, 제조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원료정보 입력부; 상기 제조 설비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 및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BNORMALITY OF EQUIPMENT IN CLEAN FACTORY}
본 발명은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제품 제조시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제조설비(Equipment)에 투입되는 원료 정보 및 제조설비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 정보를 이용하여 제조 설비의 운용중에 제조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클린 팩토리는 제조공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청정생산을 통해 오염배출을 낮춘 사업장을 의미한다.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규정하고 있는 청정생산 5대 유형 사업장은, (1)작업조건 및 관리를 통한 악취, 화학물질 누출방지, 폐기물 혼합방지를 준수하는 사업장, (2)친환경 설비교체, 운전조건 개선을 통한 생산공정을 전환하는 사업자, (3)용수, 용매, 열에너지를 재사용하는 사업장, (4)친환경 원료로 대체하는 사업장, (5)친환경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장이다.
최근 클린 팩토리를 확대를 위해서 정부는 패키지 지원, 친환경 기술개발, 공급산업 육성, 환경관리 역량 강화 지원, 자원 효율성 관리기반 구축 등을 주요 이행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클린 팩토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확대를 위해 시범사업과 법령 개정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실제 제조 현장에서는 이러한 클린 팩토리의 도입에 대해서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다. 클린 팩토리의 도입이 어려운 현실적인 이유는 친환경 설비의 교체로 인한 비용 부담, 친환경 원료 대체시 추가 비용 부담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조 현장에서 클린 팩토리의 구현을 위해서는 친환경 설비 등의 도입없이도 현재 구축된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량을 줄이는 현실적인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이에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조절하는 방안을 강구해볼 수 있다.
이렇게 정상 동작하는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이 최적화된 상태에서 설비를 통한 제품이 제조되면, 제조과정에서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였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다시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많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제조현장에서는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많아진 원인을 찾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설비 운영을 멈춰야 하지만 설비 운영을 멈추는 경우 제품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설비 운영을 멈추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경 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과다하게 된다. 환경 오염 물질의 과다 배출로 인해서 과태료 부과, 영업 정지 등의 행정 처분을 받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설비의 운영을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환경 오염 물질이 과다 배출되는 원인을 찾아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
환경 오염 물질의 과다 배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설비 이상 여부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는 환경 오염 물질의 과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이미 설비에 투입되는 최적의 원료 및 투입량이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설비의 운영을 멈추지 않고서 환경 오염 물질의 과대 배출 원인이 설비의 이상발생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538호(등록일: 2017년 02월 08일)가 있다.
제품을 제조하는 설비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으며서 환경오염 물질의 과다 배출 원인이 제조 설비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를 검출하는 제조설비 이상 검출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클린팩토리의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는, 제조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원료정보 입력부; 상기 제조 설비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 및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는 시각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압력을 감지하는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 와 상기 제조설비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 환경정보,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클린팩토리의 제조설비 이상 진단방법은, 제조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조 설비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와 상기 제조설비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하는 단계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진단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설비의 운용 중에 제조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이용하여 제조설비의 이상여부를 진단함으로써, 제조설비의 운영을 멈추지 않고서 환경 오염 물질의 과대 배출 원인이 설비의 이상발생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가 적용된 클린 팩토리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조 설비가 원단 가공 설비인 경우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 이상 진단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가 적용된 클린 팩토리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린 팩토리는 제조 설비(10),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 및 클린 팩토리 관리시스템(30)을 포함한다.
제조 설비(10)은 원료가 투입되어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클린 팩토리 관리시스템(30)은 일반적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기능과, 이에 더하여 제조 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 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와 양을 관리하는 모듈인 환경관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관리 모듈은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와 양을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은 원료 투입 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환경관리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원료에는 제품 생산을 위한 원자재, 원자재를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관리자는 샘플링 시간 동안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을 일정 공간에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오염 물질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여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를 일정 공간에 수집된 환경오염 물질의 양을 클린 팩토리 관리시스템(30)의 환경관리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이 환경관리 모듈은 클린 팩토리 관리시스템(30)에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클린 팩토리 관리시스템(30)에 포함되지 않고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환경관리 모듈이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에 포함되는 경우, 환경관리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정보 입력부(23),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상기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설비(10)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제조 설비가 원단 가공 설비인 경우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21), 배출구 환경 감지부(22), 원료정보 입력부(23),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24), 진단부(24), 데이터베이스(26) 및 시각화부(27)를 포함한다.
원료정보 입력부(23)는 제조 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 실시예로 도 2의 경우 원료정보 입력부(23)는 제조설비(10)인 원단 가공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원단 및 화학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24)는 제조 설비(10)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 실시예로 도 2의 경우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24)는 제조설비(10)인 원단 가공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
진단부(25)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실시예로 진단부(25)는 원단 가공 설비에 투입되는 원료(원단 및 화학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하여 원단 가공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원단 가공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이를 위해서 기준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이 기준 데이터는 제조설비의 시운전을 다수 반복하면서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기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26)는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 내부에 구현되거나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26)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26)는 상기 원료(원단 및 화학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폐수의 종류 및 양에 대응되는, 원단 가공 설비의 염색장치(1), 프린팅 장치(2) 및 코팅 장치(3)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진단부(25)에서 이뤄진 제조설비(10)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각화부(27)는 제조설비(10)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에 더하여 청각정보로도 출력할 수 있다.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와 양은 제조설비(10)가 설치된 곳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제조설비(10)가 설치된 곳의 온도, 습도, 조도 등에 따라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와 양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와 양을 이용하여서 제조설비(10)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할 필요하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21)와 배출구 환경 감지부(22)를 포함한다.
투입구 환경 감지부(21)는 제조설비(10)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미도시), 투입구(4)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미도시), 투입구(4)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미도시), 투입구(4)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압력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입구(4)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4)가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각 투입구마다 상기 투입구 온도센서, 투입구 습도센서, 투입구 조도센서,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 환경 감지부(22)는 제조설비(10)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5)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미도시), 배출구(5)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미도시), 배출구(5)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5)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5)가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각 배출구마다 배출구 온도센서, 배출구 습도센서, 배출구 조도센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입구 환경 감지부(21)와 배출구 환경 감지부(22)를 통해 감지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26)에 저장된다.
즉 데이터베이스(26)는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26)는 진단부(25)가 제조설비(10)의 투입구(4) 및 배출구(5)의 환경의 영향을 받은 제조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제조설비(10)로부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이용하여 제조 설비(10)의 이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는, 제조설비(10)가 정상 운영되기 전에, 투입구(4) 및 배출구(5) 각각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면서 제조설비(10)의 시운전을 반복하면서 획득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조설비(10)의 구성장치들 각각이 환경변화에 따라 정상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26)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여서 진단부(25)는 제조설비(10)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로 진단부(25)는, 원단 가공 설비의 투입구(4)에서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로 인하여 투입구(4)에 투입되는 원료(원단 및 화학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와, 원단 가공 설비의 배출구(5)에서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로 인하여 배출구(5)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폐수)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원단 가공 설비의 염색장치(1), 프린팅 장치(2) 및 코팅장치(3)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정보를 이용하여, 염색장치(1), 프린팅 장치(20 및 코팅장치(3) 각각의 이상을 진단한다.
이후 시각화부(27)는 상기 제조 설비(10)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시각화부(27)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 환경정보,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시각화부(27)는 상기 환경영햐에 따른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 상기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 환경정보,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청각정보로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설비 이상 진단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조 설비 이상 진단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제조 설비(10)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S10).
이후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제조 설비(10)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다(S20).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S30).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에 대한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26)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설비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최종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최종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에 대한 진단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제조설비 이상 진단장치(20)는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조 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원료정보 입력부;
    제조 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
    제조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압력을 감지하는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
    상기 제조설비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와,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와,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조 설비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은 제조설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 투입구마다 투입구 온도센서, 투입구 습도센서, 투입구 조도센서,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각 배출구마다 배출구 온도센서, 배출구 습도센서, 배출구 조도센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투입 환경정보, 상기 배출 환경정보,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상기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5. 염색장치, 프린팅 장치 및 코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단 가공 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원료정보 입력부;
    상기 원단 가공 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환경오염 물질 입력부;
    원단 가공 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압력을 감지하는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
    원단 가공 설비에서 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와,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와,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와,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원단가공설비를 구성하는 염색장치, 프린팅 장치 및 코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원단가공설비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원단가공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원단가공설비를 구성하는 염색장치, 프린팅 장치 및 코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염색장치, 프린팅 장치 및 코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 및 배출구 각각은 원단가공설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 투입구마다 투입구 온도센서, 투입구 습도센서, 투입구 조도센서,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각 배출구마다 배출구 온도센서, 배출구 습도센서, 배출구 조도센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조 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단계;
    제조 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을 입력받는 단계;
    제조설비에 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온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습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투입구 조도센서, 상기 투입구의 압력을 감지하는 투입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투입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입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조설비에서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온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습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조도센서, 상기 배출구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출구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구 환경 감지부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온도, 습도, 조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출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설비의 동작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투입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원료의 종류 및 양의 변화 정보에 대한 상기 배출 환경정보의 영향에 따른 제조설비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환경오염 물질의 종류 및 양의 변화정보에 대응되는,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정상동작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의 구성장치들 각각의 환경영향에 따른 정상동작 여부 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린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84727A 2020-12-28 2020-12-28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KR10230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27A KR102308976B1 (ko) 2020-12-28 2020-12-28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27A KR102308976B1 (ko) 2020-12-28 2020-12-28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976B1 true KR102308976B1 (ko) 2021-10-05

Family

ID=7807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27A KR102308976B1 (ko) 2020-12-28 2020-12-28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9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49A (ko) * 2001-01-03 2002-07-12 박현수 화학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4212B1 (ko) * 2015-01-06 2016-06-29 대한민국 대기오염 배출원 자가측정정보 관리 시스템
KR101706538B1 (ko) 2014-07-14 2017-02-15 송재훈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843879B1 (ko) * 2017-06-26 2018-03-30 한국환경공단 이상 자료 검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95346A (ko) * 2017-02-17 2018-08-27 타이아(주)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49A (ko) * 2001-01-03 2002-07-12 박현수 화학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6538B1 (ko) 2014-07-14 2017-02-15 송재훈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101634212B1 (ko) * 2015-01-06 2016-06-29 대한민국 대기오염 배출원 자가측정정보 관리 시스템
KR20180095346A (ko) * 2017-02-17 2018-08-27 타이아(주)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공장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879B1 (ko) * 2017-06-26 2018-03-30 한국환경공단 이상 자료 검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5415B (zh) 过程控制网络中的规则构建器
Zaytoon et al. Overview of fault diagnosis methods for discrete event systems
US9683910B2 (en) Turbine leak detection system
JP5370905B2 (ja) 故障診断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920006411B1 (ko) 증기 발생기의 증기 싸이클내에서의 물 및 증기의 화학 작용을 감시, 진단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JPH06266727A (ja) 診断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H06236207A (ja) 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KR102308976B1 (ko) 클린 팩토리의 제조 설비 이상 진단장치 및 방법
Mustafa et al. A review on effective alarm management systems f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barriers and opportunities
AU2021275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self-organizing cyber-physical systems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KR101748282B1 (ko) 설비 진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EP1022631A2 (en) Integration of diagnostics and control in a component-based production line
Schmidberger et al. Rule based engineering of asset management system functionality
Stetter et al. Design for diagnosis
Noureldin et al. Using expert system and object technology for abnormal condition management
Chung et al. Safety related questions for computer-controlled plants: derivation, organisation and application
Sammarco Addressing the safety of programmable electronic mining systems: lessons learned
US20140297578A1 (en) Processing a technical system
Kapadia SymCure: A model-based approach for fault management with causal directed graphs
US200501026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esenting the dependencies of components of a technical installation
JP7392821B2 (ja) 制御用ソフトウェアの自動テスト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öldvári et al. Handling Uncertainty in Error Propagation Analysis
KR102437334B1 (ko) 협동로봇의 결함 추적 방법 및 장치
Beshears et al. Digital Engineering Transformation for Reliability/Maintainability
Black et al. Operational Technology Behavioral Analytics (OTBA)(Final Technical Report DE-FE003164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