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805B1 -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805B1
KR102308805B1 KR1020150103712A KR20150103712A KR102308805B1 KR 102308805 B1 KR102308805 B1 KR 102308805B1 KR 1020150103712 A KR1020150103712 A KR 1020150103712A KR 20150103712 A KR20150103712 A KR 20150103712A KR 102308805 B1 KR102308805 B1 KR 10230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rsonal informati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305A (ko
Inventor
양재호
이효일
이규상
이애진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8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06K19/0735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by biometrically sensitive means, e.g. fingerprint sensi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전자 신분증, 및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영역 및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 상기 전자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말; 및 촬영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개인정보 및 상기 제2 개인정보와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ELECTRONIC IDENTIFICATION CARD, SYSTEM AND METHOD FOR PROVING AUTHENTICITY OF THE ELECTRONIC IDENTIFICATION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분증의 위변조, 도난 및 오용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신분증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사진 및 개인정보가 신분증에 인쇄되어 표시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신분증을 이용한 각종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난 또는 분실된 타인의 신분증을 도용하여 출입 제한 지역을 드나들거나 회사의 정보를 유출시키고, 신분증에 표시된 사진 또는 개인정보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타인을 사칭하거나 명의를 도용하는 등 신분증을 이용한 다양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분증의 위변조, 도난 및 오용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년간 수억원에 달하는 등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권, 주민등록증, 운전 면허증 등과 같은 신분증을 전자 신분증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 신분증은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 기능의 IC(Integrated Circuit) 칩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암호 처리, 인증 등의 보안 기능을 포함하는 신분증이다. 그러나, 상기 전자 신분증 또한 저장된 개인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위변조가 용이한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 신분증의 위변조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532호(2010.02.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안성이 강화된 전자 신분증 및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영역 및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 상기 전자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말; 및 촬영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개인정보 및 상기 제2 개인정보와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2 개인정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신분증은,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일회용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와 상기 서버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신분증으로서,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영역; 및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이 제공된다.
상기 제2 개인정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일회용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전자 신분증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전자 신분증에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단말에서, 상기 전자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계; 서버에서, 촬영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개인정보 및 상기 제2 개인정보와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개인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 신분증에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회용 패스워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와 상기 서버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생체 정보와 저장된 생체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가 전자 신분증에서 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분 확인 요청자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체 정보의 인증 완료 후 전자 신분증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추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 검증에 대한 신분 확인 요청자의 신뢰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100)은 전자 신분증(102), 단말(104) 및 서버(106)를 포함한다.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 가능한 카드 형태, 사용자의 목이나 손목, 얼굴 등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예를 들어, 밴드, 안경 등의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에는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인증에 따라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중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중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여권 번호, 사용자의 운전면허번호, 사용자의 사번, 전자 신분증의 발급일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등급은 개인정보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보안의 필요성이 클수록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및 얼굴 이미지 정보의 보안 등급은 3일수 있으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의 보안 등급은 7일 수 있다. 상기 보안 등급은 사용자의 직책, 전자 신분증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는 전자 신분증(102)의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인정보는 제1 영역에 인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원, 회사, 경찰서 등과 같은 장소에서 신분 확인 요청자의 전자 신분증(102) 제시 요구시,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 및 얼굴 이미지가 표시된 전자 신분증(102)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신분 확인 요청자는 사용자의 얼굴과 전자 신분증(102)의 얼굴 이미지를 대조함으로써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1차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신분 확인 요청자는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으로서, 예를 들어 경비원, 건물 관리자 또는 건물 관계자, 직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신분 확인 요청자가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신분을 요청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신분 확인 요청 시스템)에 의해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가 검증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신분증(102)의 제2 영역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입력 받은 생체 정보의 인증에 따라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제3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지문, 홍채, 안면 인식 정보 등 타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든 신체적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신분증(102)은 제2 영역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수단은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스캐너, 홍채 인식을 위한 안구 스캐너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가 기 등록한 생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생체 정보 저장 수단(예를 들어, 서버(106)의 데이터베이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은 상기 저장 공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생체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내부 또는 외부의 생체 정보 저장 공간은 외부로부터의 악의적 접속 또는 해킹 등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 정보 저장 공간은 생체 정보를 기 설정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외부의 악의적인 생체 정보 탈취 등의 방지를 위하여 보안 영역(Secure Element) 등에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생체 정보를 상기 저장 공간에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신분증(102)은 제3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신분증(102)은 제3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만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며,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신분 확인 요청자의 생체 정보 인증 요구시, 사용자는 자신의 생체 정보를 제2 영역에 입력할 수 있으며, 신분 확인 요청자는 제3 영역에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2차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제3 영역에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므로, 신분 확인 요청자는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전자 신분증(102)을 도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인정보는 제3 영역에서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개인정보는 보안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2 개인정보가 제3 영역에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영역에 입력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회용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가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신분증(102)은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은 예를 들어, OTP 생성기일 수 있다. 상기 OTP 생성기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는 제3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3차적으로 검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104)은 전자 신분증(102)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 스캐너, 스마트폰, 키오스크(Kiosk)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104)은 촬영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수단을 통해 전자 신분증(102)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 수단은 신분 확인 요청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104)이 서버(106)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또는 서버(106)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단말(104)은 촬영 수단을 통해 전자 신분증(102)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는 상술한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4)은 획득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3차적으로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6)는 단말(104)과 연동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3차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위해, 서버(106)는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OTP 생성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OTP 생성기는 전자 신분증(102) 측의 OTP 생성기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신분증(102) 측의 OTP 생성기와 서버(102) 측의 OTP 생성기는 동일한 시간대에서 서로 동일한 값의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06)는 촬영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단말(10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와 서버(1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와 서버(1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서버(106)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신분증(102) 측의 OTP 생성기와 서버(106) 측의 OTP 생성기는 동일한 시간대에서 서로 동일한 값의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신분증(102)에서 일회용 패스워드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 후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이내에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가 포함된 이미지가 단말(104)에서 서버(106)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서버(106)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는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가 단말(104)에서 서버(106)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서버(106)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는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3차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검증 결과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2)는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검증 완료”의 메시지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되거나 변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검증 실패”의 메시지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분 확인 요청자는 상기 검증 결과를 확인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위조 또는 변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102)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102)은 제1 영역(202), 제2 영역(204) 및 제3 영역(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02)은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개인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및 얼굴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에 인쇄될 수 있다.
제2 영역(204)은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영역이다. 상기 생체 정보는 제3 영역(206)을 활성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지문, 홍채, 안면 인식 정보 등 타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는 사용자의 모든 신체적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신분증(102)은 제2 영역(204)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스캐너, 홍채 인식을 위한 안구 스캐너,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영역(206)은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개인정보는 제2 영역(204)에 입력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제3 영역(2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2 개인정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 예를 들어 큐알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로 제3 영역(2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206)은 일회용 패스워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회용 패스워드는 제2 개인정보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204)에 입력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만 제3 영역(206)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영역(206)은 생체 정보의 인증 여부에 따라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를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1 영역(202), 제2 영역(204) 및 제3 영역(206)의 크기, 위치 및 형태 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영역(202), 제2 영역(204) 및 제3 영역(206)의 크기, 위치 및 형태가 도 2의 도시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202), 제2 영역(204) 및 제3 영역(206)은 전자 신분증(10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 위치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4)에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4)은 촬영 수단을 통해 전자 신분증(102)을 촬영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 수단은 신분 확인 요청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104)이 서버(106)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또는 서버(106)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신분 확인 요청자는 단말(104)의 정면에 전자 신분증(102)이 위치하도록 단말(104)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4)은 촬영 수단을 통해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테두리를 파악하며, 단말(104)의 정면에 전자 신분증(102)이 위치하도록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단말(104)의 위치 및 자세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4)은 예를 들어, 전방의 영상과 기 저장된 전자 신분증(102)의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전자 신분증(102)의 테두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104)은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는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6)는 입력부(402), 검증부(404) 및 데이터베이스(406)를 포함한다.
입력부(40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0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생체 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402)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신분 확인 요청자는 사용자와 대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타인의 개인정보 또는 생체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검증부(404)는 단말(104)로부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검증부(404)는 수신된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증부(404)는 수신된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식별 코드(즉, 제2 개인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식별 코드를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검증부(404)는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OTP 생성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는 일회용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검증부(404)는 수신된 상기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서버(106)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6)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및 생체 정보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를 인증한다(S502).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신분증(102)의 제1 영역(202)에는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영역(204)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스캐너, 홍채 인식을 위한 안구 스캐너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신분증(102)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입력된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신분증(102)은 제3 영역(206)에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를 디스플레이한다(S504).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신분증(102)은 제3 영역(206)에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신분증(102)은 생체 정보의 인증 여부에 따라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를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4)은 전자 신분증(102)을 촬영한다(S506). 구체적으로, 단말(104)은 전자 신분증(102)의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104)은 촬영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를 서버(106)로 전송한다(S508).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는 상술한 제1 개인정보, 제2 개인정보 및 일회용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6)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S510). 구체적으로,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단말(104)로부터 수신한 전자 신분증(102)의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 패스워드와 서버(106)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서버(106)는 전자 신분증(102)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검증 결과를 단말(104)로 전송한다(S512). 예를 들어, 서버(102)는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검증 완료”의 메시지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 신분증(102)이 위조되거나 변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검증 실패”의 메시지를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분 확인 요청자는 상기 검증 결과를 확인하여 전자 신분증(102)의 위조 또는 변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102 : 전자 신분증
104 : 단말
106 : 서버
202 : 제1 영역
204 : 제2 영역
206 : 제3 영역
402 : 입력부
404 : 검증부
406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영역 및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
    상기 전자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말; 및
    촬영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개인정보 및 상기 제2 개인정보와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인정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신분증은,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일회용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와 상기 서버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5. 전자 신분증으로서,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제1 영역;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제2 영역; 및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인정보는,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신분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
  8. 청구항 5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일회용 패스워드(OTP : One Time Password)가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신분증.
  9. 사용자의 제1 개인정보가 표시되는 전자 신분증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전자 신분증에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단말에서, 상기 전자 신분증을 촬영하는 단계;
    서버에서, 촬영된 상기 전자 신분증의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제1 개인정보 및 상기 제2 개인정보와 저장된 제1 개인정보 및 제2 개인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인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개인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식별 코드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큐알 코드(QR code)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 신분증에서, 입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저장된 생체 정보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회용 패스워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일회용 패스워드와 상기 서버 측에서 생성된 일회용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방법.
KR1020150103712A 2015-07-22 2015-07-22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30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12A KR102308805B1 (ko) 2015-07-22 2015-07-22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12A KR102308805B1 (ko) 2015-07-22 2015-07-22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05A KR20170011305A (ko) 2017-02-02
KR102308805B1 true KR102308805B1 (ko) 2021-10-01

Family

ID=5815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12A KR102308805B1 (ko) 2015-07-22 2015-07-22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80B1 (ko) * 2017-02-11 2017-07-11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 배지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KR20180129476A (ko) * 2017-05-26 2018-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971628B1 (ko) * 2017-05-29 2019-04-23 주식회사 인포바인 온라인을 통해 이미지화된 신분증의 진위를 확인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83822B1 (ko) 2017-08-24 2018-08-30 한남석 자체 전원공급모듈을 설치한 전자 신분증
KR102414759B1 (ko) * 2020-08-26 2022-06-29 주식회사 로보러스 얼굴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패턴 코드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1146B1 (ko) * 2022-09-16 2023-10-20 아태산업개발주식회사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532234B1 (ko) * 2022-10-31 2023-05-15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선거용 본인 확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259B1 (ko) * 2006-09-04 2007-01-29 김동규 오티피코드가 부가된 바코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11532A (ko) 2008-07-25 2010-02-03 한국특수소재연구원 주식회사 신분증 종류 판별기능을 갖는 신분증 진위여부 판정기
KR101095947B1 (ko) * 2010-01-25 2011-12-20 주식회사 리버트론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05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805B1 (ko) 전자 신분증, 전자 신분증의 진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112402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verification and security
US11562363B2 (en) Hardware and token based user authentication
ES2890833T3 (es) Método, sistema, dispositivo y producto de programa de software para la autorización remota de un usuario de servicios digitales
AU2018293402B2 (en)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RFID-enabled identity document and gesture challenge-response protocol
US9350727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validating an identification token
EP3695397B1 (en) Authentication of a person using a virtual identity card
ES2793306T3 (es) Identificación de usuario
CN105900114B (zh) 用于执行指纹认证的安全卡及基于此的安全卡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US8870067B2 (en)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electronic key stored in a memory
WO2016070295A1 (es) Método de autenticación de dos factores para aumentar la seguridad de las transacciones entre un usuario y un punto o sistema de transacción
CN107680218B (zh) 基于多生物特征识别与瞬时证照技术的安检方法及系统
US202303254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and feedback
CN103814381A (zh) 用于允许访问web应用的被保护部分的方法和系统
US20230342447A1 (en) Electronic certificate mananging method based on biometrics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