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745B1 -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745B1
KR102308745B1 KR1020210025077A KR20210025077A KR102308745B1 KR 102308745 B1 KR102308745 B1 KR 102308745B1 KR 1020210025077 A KR1020210025077 A KR 1020210025077A KR 20210025077 A KR20210025077 A KR 20210025077A KR 102308745 B1 KR102308745 B1 KR 10230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nit
dust collecting
wind
unit
win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102021002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방향에 설치된 제1방전부; 제1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1집진부; 제1방향에 대향되는 제2방향에 설치된 제2방전부; 제2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2집진부;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또는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센싱하는 풍향 센서; 및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방전부를 턴온하되 제2방전부를 턴오프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방전부를 턴온하되 제1방전부를 턴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Two-way dust collecting air filt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electrostatic presipitator)는, 직류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전계에 의한 정전 방식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기기를 말한다. 여기에는 1단형과 2단형이 있는데, 1단형은 방전부와 집진부를 일체로 한 것으로 코트렐 방식이라 불리며, 2단형은 방전부와 집진부가 별도로 되어 있고, 유해 가스 발생 성분이 적은 산업용 및 공기 정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주로 직류 고전압 DC 10-12kV와 DC 5-12kV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 집진기는 산업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운전비도 적게 들고 압력 손실도 작고 집진 효율도 우수하다. 또한 비교적 고온에서 견딜수 있어 적용 범위가 넓다. 습식과 건식의 2종류가 있으며 어떤 종류의 분진도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시켜 집진극에서 쿨롱력을 이용하여 집진할 수 있다.
한편 양방향 전기 집진기는 양방향에서 바람이 들어오는 경우, 양방향의 먼지를 집진한다. 일례로, 지하철이나 환기구 등 양방향에서 바람이 오가는 곳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 전기 집진기는 양단에 고압의 방전 장치가 있고 안쪽에 집진 장치가 있다. 방전 장치는 고전압으로 인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공기속 먼지를 대전시켜 집진한다. 종래에는 바람의 방향에 관계없이 양쪽의 방전 장치 및 집진 장치를 모두 턴온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바람이 정지된 경우에도 코로나 방전으로 인하여 오존이 계속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코로나 방전의 부산물인 오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 외에 제전 장치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른 일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하전 입자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제1방향에 설치된 제1방전부; 제1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1집진부; 제1방향에 대향되는 제2방향에 설치된 제2방전부; 제2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2집진부;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또는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센싱하는 풍향 센서; 및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방전부를 턴온하되 제2방전부를 턴오프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방전부를 턴온하되 제1방전부를 턴오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집진 장치쪽에 먼지가 집진되도록 하여, 집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제어부는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1,2방전부 및 제1,2집진부를 턴오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흐름이 없을 경우 양측의 방전부와 집진부를 모두 정지시켜 전력이 절감되도록 하고,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오존 발생을 최소화한다.
제1방전부, 제1집진부, 제2방전부 및 제2집진부는 모두 일렬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압력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제1방향의 외측에 설치된 제1제전부; 및 제2방향의 외측에 설치된 제2제전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제전부를 턴온하되 제2제전부를 턴오프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제전부를 턴온하되 제1제전부를 턴오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 외에 제전 장치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하전 입자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방전부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한 입자는 제1제전부에 의해 중성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제전 장치쪽에서 나오는 대전 입자가 제전되도록 하여, 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방전부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한 입자는 제2제전부에 의해 중성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는 전원이 인가된 방전 장치쪽에서 나오는 대전 입자가 제전되도록 하여, 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오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진 장치의 양측에 풍향 센서 외에 제전 장치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하전 입자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중 풍향 센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중 풍향 센서(150)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는 제1방전부(110), 제1집진부(120), 제2방전부(130), 제2집진부(140), 풍향 센서(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전부(110)는 제1방향(또는 제1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 예들에서 제1방전부(110)에는 대략 10~12kV의 양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인가되는 전압은 예시이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집진부(120)는 제1방전부(110)의 내측(도면에서 우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발극(121) 및 집진극(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발극(121) 및 집진극(122)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판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이격될 수 있다. 반발극(121)은 양전압이 인가되어 제1방전부(110)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입자를 반발시키고, 집진극(122)은 음극으로서 제1방전부(110)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입자를 집진할 수 있다.
제2방전부(130)는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또는 제2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 예들에서, 제2방전부(130)에는 대략 10~12kV의 양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인가되는 전압은 예시에 불과하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집진부(140)는 제2방전부(130)의 내측(도면에서 좌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반발극(141) 및 집진극(14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발극(141) 및 집진극(142)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판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이격될 수 있다. 반발극(141)은 양전압이 인가되어 제2방전부(130)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입자를 반발시키고, 집진극(142)은 음극으로서 제2방전부(130)에 의해 양으로 대전된 입자를 집진할 수 있다.
주로 제1,2방전부(110,130)에는 직류 고전압 DC (+) 10-12kV가 사용되고, 반발극(121,141)에는 방전부보다 낮은 DC (+) 5-6kV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인가되는 전압은 예시에 불과하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부 예들에서, 제1방전부(110), 제1집진부(120), 제2방전부(130) 및 제2집진부(140)는 모두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또는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공기 흐름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풍향 센서(150)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또는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 및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된 공기 흐름의 방향 및 속도는 제어부(160)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풍향 센서(150)는 초음파 풍속 및 풍향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풍향 센서(150)는 2쌍의 초음파 송신부(151) 및 초음파 수신부(152)와,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풍속 및 풍향 센서(150)의 원리는 풍속을 측정하는 초음파 통과 시간을 이용하는데 있다. 공기 속도에서의 소리의 속도는 공기 흐름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초음파 방향이 공기 흐름의 방향과 같으면 속도가 빨라진다. 반대로, 초음파 방향이 풍향과 반대인 경우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고정된 시험 조건 하에서는 공기 속의 초음파 속도와 풍속이 일치한다. 신호 처리 회로의 계산에 의해 정확한 풍속과 방향을 얻을 수 있다. 소리가 공기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속도가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풍속 센서는 두쌍의 반대 방향으로(즉, 상호간 교차하는 방향으로) 초음파 송신 및 초음파 수신을 수행함으로, 소리의 온도에 미치는 온도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초음파 풍속 센서(150)는 강수량 센서(153) 및 태양 방사량 센서(154)를 더 포함함으로써, 강수량이나 태양 방사량을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제어에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센싱 및 판단되면 제1방전부(110)를 턴온하되 제2방전부(130)를 턴오프한다.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면 먼지는 제1집진부(120)에 집진될 수 있다(도 1의 상부 도면 참조).
또한,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으로 센싱 및 판단되면 제2방전부(130)를 턴온하되 제1방전부(110)를 턴오프한다.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먼지는 제2집진부(140)에 집진될 수 있다(도 1의 하부 도면 참조).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1,2방전부(110,130) 및/또는 제1,2집진부(120,140)를 턴오프하여,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는 제1제전부(170) 및 제2제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2제전부(170,180)는 대전된 입자와 반대 극성의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하고 빠져나온 입자가 중성화되도록 한다. 또 다른 일부 예들에서, 제1,2제전부(170,180)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대량으로 발생시키고,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하고 빠져나온 입자가 반대 극성의 마이너스 이온과 결합하여 중성화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대전된 입자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원하지 않는 영역에 대전 입자가 쌓이지 않도록 한다.
제1제전부(170)는 제1방향의 외측(즉, 제2방전부(130)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제전부(180)는 제2방향의 외측(즉, 제1방전부(110)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센싱 및 판단되면 제1제전부(170)를 턴온하되 제2제전부(180)를 턴오프한다.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방전부(110)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제1집진부(120)에 집진되지 못한 입자는 제1제전부(170)에 의해 중성화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센싱 및 판단되면 제2제전부(180)를 턴온하되 제1제전부(170)를 턴오프한다.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방전부(130)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제2집진부(140)에 미처 집진되지 못하고 빠져나온 입자는 제2제전부(180)에 의해 중성화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60)는 풍향 센서(150)에 의해 공기 흐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1,2방전부(110,130) 및/또는 제1,2집진부(120,140) 및/또는 제1,2제전부(170,180)를 턴오프하여,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는 양측에 풍향 센서(150)를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집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100)는 양측에 풍향 센서(150) 외에 제전 장치를 더 설치하여 바람의 방향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른 일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시키고 타측의 제전 장치는 동작을 정지시켜, 대전된 입자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110; 제1방전부
120; 제1집진부
130; 제2방전부
140; 제2집진부
150; 풍향 센서
160; 제어부
170; 제1제전부
180; 제2제전부

Claims (6)

  1. 제1방향에 설치된 제1방전부;
    제1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1집진부;
    제1방향에 대향되는 제2방향에 설치된 제2방전부;
    제2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제2집진부;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또는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센싱하는 풍향 센서;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방전부를 턴온하되 제2방전부를 턴오프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방전부를 턴온하되 제1방전부를 턴오프하는 제어부;
    제1방향의 외측에 설치된 제1제전부; 및
    제2방향의 외측에 설치된 제2제전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제전부를 턴온하되 제2제전부를 턴오프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제전부를 턴온하되 제1제전부를 턴오프하며,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방전부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한 입자는 제1제전부에 의해 중성화되고,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방전부에 의해 대전되었으나 집진되지 못한 입자는 제2제전부에 의해 중성화되며,
    풍향 센서는 초음파 풍속 및 풍향 센서를 포함하되, 초음파 풍속 및 풍향 센서는 상호간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2쌍의 초음파 송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와,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2쌍의 초음파 송신부 및 초음파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풍속과 방향을 계산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풍향 센서에 의해 공기 흐름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1,2방전부 및 제1,2집진부를 턴오프하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방전부, 제1집진부, 제2방전부 및 제2집진부는 모두 일렬로 배치되는,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25077A 2021-02-24 2021-02-24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KR10230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77A KR102308745B1 (ko) 2021-02-24 2021-02-24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77A KR102308745B1 (ko) 2021-02-24 2021-02-24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745B1 true KR102308745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77A KR102308745B1 (ko) 2021-02-24 2021-02-24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50B1 (ko)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출력 가변형 전기 집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9378A (en) * 1975-11-12 1977-05-16 Fuji Electric Co Ltd Smoke consuming system
KR0114878Y1 (ko) * 1994-03-05 1998-04-18 백정현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20160009293A (ko) * 2014-07-16 2016-01-26 진동진 자가발전형 위상차 기반의 연속파 초음파 풍향풍속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9378A (en) * 1975-11-12 1977-05-16 Fuji Electric Co Ltd Smoke consuming system
KR0114878Y1 (ko) * 1994-03-05 1998-04-18 백정현 제전장치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KR20160009293A (ko) * 2014-07-16 2016-01-26 진동진 자가발전형 위상차 기반의 연속파 초음파 풍향풍속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50B1 (ko) * 2022-06-08 2022-10-25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출력 가변형 전기 집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745B1 (ko) 양방향 집진 공기 정화 장치
KR102253772B1 (ko) 티끌 수집기 시스템 및 집진 방법
US20100251894A1 (en) Air handling device
KR101984321B1 (ko) 전기 집진 장치
KR101523209B1 (ko) 전기집진장치
KR20070109847A (ko) 코로나 방전형 이오나이저 및 팬 유닛
WO2010038872A1 (ja) 電気集塵装置及び電気集塵システム
KR102291088B1 (ko) 공기 중 바이오입자의 포집을 위한 장치
WO2015003375A1 (zh) 静电消除器的监控装置及其监控方法
CN109688684B (zh) 一种离子风机的监控方法及装置
JP7155570B2 (ja) 空気清浄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JP2013257952A (ja) 除電装置
US20230363072A1 (en) Laminar Electrostatic Eliminator Circuit
JP2011031127A (ja) 集塵装置
WO2015049920A1 (ja) イオン発生装置
EP4184073A1 (en) Machine learning-base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2321243U (zh) 一种气溶胶颗粒分散装置
KR102173407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JP4170005B2 (ja) No2脱硝システム
JP5303020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空気清浄装置
KR100420979B1 (ko) 전리장치
AU2021418882A1 (en) Energy-saving two-way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for adjusting supplied voltage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contained dust
JP2010277931A5 (ko)
JP2009274036A (ja) 電気集塵装置
CN109739150B (zh) 一种静电消除设备的监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