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610B1 -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8610B1 KR102308610B1 KR1020200027637A KR20200027637A KR102308610B1 KR 102308610 B1 KR102308610 B1 KR 102308610B1 KR 1020200027637 A KR1020200027637 A KR 1020200027637A KR 20200027637 A KR20200027637 A KR 20200027637A KR 102308610 B1 KR102308610 B1 KR 102308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touch sensor
- group
- sensor electrodes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땀 또는 물방울 등의 이물질의 존재 여부의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은 드라빙백 방식의 검출 방식을 이용하고 인가되는 드라이빙 신호를 시차를 두고 인가함으로써 계단형태를 갖는 독특한 출력 전압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상에 땀 또는 물방울 등의 이물질의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의 물체가 터치될 때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의 하나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소형 휴대단말기, 산업용 단말기,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등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은 투과율이 높고 소프트 터치를 인식할 수 있고, 멀티터치 및 제스처 인식이 양호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많이 채용되고 있다.
정전식 터치 스크린의 터치 검출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시도될 수 있으나, 선행기술 문헌에 소개된 드라이빙 백(driving back)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은 터치 감도를 향상시켜, 신호의 오인식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터치 검출 방식으로 인식되었다.
드라이빙 백 현상의 핵심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손과 같은 터치 입력 수단에 의한 터치 커패시턴스(Ct)가 추가되었을 때의 전압 변화를 도출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이빙 백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 방식에서도 터치 스크린의 표면 상에 땀 또는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분포된 경우 터치를 인식함에 있어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었다.
본원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땀 또는 물방울 등의 이물질의 존재 여부의 검출이 가능하여 오염 및 이물에 대한 영향을 제외하여 정확한 터치 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이물질 검출 방법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센서 전극들 중 제 1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을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driving group)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에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빙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제 2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은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 센싱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빙 전압은 구형파(square wave) 형태를 갖고,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상기 구형파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또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빙 전압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드라이빙 커패시터(Cdrv)의 일 측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계단형으로 증가된 최종 단계의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터치 센서 전극에서의 터치 센싱 전압과 다르게 계단형 전압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드라이빙 백 방식의 검출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시차를 두고 드라이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계단형태의 이물질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을 획득함으로써, 이물질 존재 여부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예를 들어, 물 또는 땀과 같은 액체 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센서 전극간에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 도 1의 기생 정전용량에 추가된 터치 정전용량(Ct)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이 추가된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센서 전극의 배열 및 (b) 드라이빙 백(driving back)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터치 센싱 전압의 신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센서 전극의 배열, (b) 드라이빙 백 방식으로 이물질에 의해 출력된 전압의 신호 및 (c)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에서의 드라이빙 그룹의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드라이빙 그룹에 분포된 이물질의 분포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포워드 드라이빙(for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포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백워드 드라이빙(back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백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 도 1의 기생 정전용량에 추가된 터치 정전용량(Ct)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이 추가된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센서 전극의 배열 및 (b) 드라이빙 백(driving back)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터치 센싱 전압의 신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센서 전극의 배열, (b) 드라이빙 백 방식으로 이물질에 의해 출력된 전압의 신호 및 (c)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에서의 드라이빙 그룹의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드라이빙 그룹에 분포된 이물질의 분포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포워드 드라이빙(for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포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백워드 드라이빙(back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백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예를 들어, 물 또는 땀과 같은 액체 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센서 전극(110)간에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센서 전극들로 구성되고, 그 위에 커버 글라스(120)가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의 터치 센싱에 관여되는 정전 용량은 여러가지 존재할 수 있으나, 도 1은 터치 센서 전극간에 생성되는 기생 정전 용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 도 1의 기생 정전용량에 추가된 터치 정전용량(Ct)(230)을 추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에 터치 정전용량(Ct 또는 Ctouch)이 추가됨으로써, Ct의 크기에 따라 터치 센싱 전압이 변화하게 된다.
도 3은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310)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330)이 추가된 기생 정전용량(Cparasitic)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스크린 표면상의 이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이물질 정전용량(Cwater)가 추가적으로 생성되고,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은 출력 전압에 영향을 미친다.
즉, 도 3에 이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추가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은 도 2에서의 터치 정전용량(Ct 또는 Ctouch)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도 3에서는 손가락과 같은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이 추가됨으로써 터치가 발생한 것과 유사한 터치 센서 전극에서의 출력 전압의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터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도 4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및 (b) 드라이빙 백(driving back)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터치 센싱 전압의 신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 터치가 발생한 터치 센서 전극(410)은 하나이며, 하나의 터치 센싱 전극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Vtouch(420)의 터치 센싱 전압을 출력한다.
결국, △Vtouch의 터치 센싱 전압은 터치 정전용량(Ct 또는 Ctouch)의 생성으로 인하여 출력되는 전압의 변화량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은 구형파(square wave)의 드라이빙 신호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또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터치 수단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터치 센서 전극이 속한 컬럼의 터치 센서 전극 그룹에 동위상의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된다.
도 5는 (a)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터치 센서 전극(510)의 배열, (b) 드라이빙 백 방식으로 이물질에 의해 출력된 전압의 신호 및 (c) 터치 스크린 표면상에 이물질(530)이 존재하는 경우에 터치 센서 전극과 이물질간에 발생한 이물질 정전용량(Cwater)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물질의 존재로 인하여 이물질 정전용량(Cwater)가 추가됨으로써 손가락에 의하 터치 센싱 전압과 착오를 일으킬 수 있는 출력 전압이 생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이물질의 존재에 의해 유발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물질에 의한 전압 변화 △Vwater(520)는 V(non touch) < Vwater ≤ Vtouch 의 범위에 존재한다.
즉,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전압과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가 발생한 전압의 사이에 전압 변화가 생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이물질 존재에 의한 센싱은 구형파의 드라이빙 신호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또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발생하고, 이물질이 존재하는 터치 센서 전극 그룹에 동위상의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된다.
이는,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 센싱 전압을 검출할 때와 동일하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에서의 드라이빙 그룹(610)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드라이빙 그룹(610)에 분포된 이물질(730)의 분포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이물질 검출 모드에서의 드라이빙 그룹의 선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지 일 실시예일 뿐이며, 설정에 따라 한 행(row)에 위치된 터치 센서 전극이 이물질 검출 모드에서의 드라이빙 그룹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도 8은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포워드 드라이빙(for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포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드라이빙 그룹에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는 라이징 에지에서 센싱이 수행된 것이다.
이물질 검출을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830)으로 증가한다.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터치 센서 전극에서의 터치 센싱 전압과 다르게 계단형 전압 변화가 발생된다.
즉, 도 8(b)에 도시된 Vtouch의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 센싱 전압보다 △Vwater(n)의 전압은 작다.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방식은 기본적으로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 여부를 검출하는 드라이빙 백 방식을 이용한다. 즉, 드라이빙 전압은 구형파(square wave) 형태를 갖고,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구형파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또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검출된다.
드라이빙 전압은 터치 센서 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드라이빙 커패시터(Cdrv)의 일 측에 인가된다.
다만, 본원 발명은 드라이빙 신호가 동위상으로 인가되는 것(도 4(b) 및 도 5(b))이 아니라 도 8(a)와 도 9(a)에서와 같이 드라이빙 그룹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빙 전압을 시차를 두고 인가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드라이빙 신호가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에서 시차를 두고 인가됨에 따라, 도 8(b)와 도 9(b)에서와 같이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이 계단형태를 취하고 된다. 즉, 출력 전압의 형태만으로 이물질 존재 여부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a)에 인가되는 드라이빙 신호의 그래프에서 FP는 도 7의 드라이빙 그룹 중 가장 위쪽에 위치된 터치 센서 전극에 인가되는 드라이빙 신호의 위상이다.
도 7의 드라이빙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과 도 8(a)에 인가되는 드라이빙 신호는 제 1 행의 터치 센서 전극(FP-FP); 제 2 행의 터치 센서 전극 (AP(n+1)-AP(n+1)); 제 3 행의 터치 센서 전극(AP(n)-AP(n)); 제 4 행의 터치 센서 전극(SP-SP); 제 5 행의 터치 센서 전극(AP(n)-AP(n)); 제 6 행의 터치 센서 전극(AP(n+1)-AP(n+1)); 제 7 행의 터치 센서 전극(FP-FP)에 각각 대칭된다.
즉, 드라이빙 기간(driving period)에서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는 위상이 동위상이 아님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a) 본원 발명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일 실시예인 백워드 드라이빙(backward driving) 검출 방식의 드라이빙 신호 및 (b) 백워드 드라이빙 검출 방식에 의하여 검출된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물질 검출을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으로 감소(930)한다.
도 9에 도시된 드라이빙 그룹에 터치 센서 전극들의 센싱 전압 변화는 폴링 에지에서 센싱이 수행된 것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의 이물질 검출 모드의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계 1010에서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driving group)을 선택한다.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컬럼(column)에 위치된 복수의 터치 센서 전극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에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한다.
드라이빙 전압은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에 속한 터치 센서 전극들에 동위상으로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드라이빙 그룹의 위치에 따라 드라이빙 신호를 시차를 두고 인가한다.
즉, 드라이빙 신호가 인가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단계 1030에서,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분석한다.
즉, 도 8(b)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태의 출력 전압을 출력할 때에는 해당 드라이빙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위에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서로 결합되어 혼용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이물질 검출 방법에 있어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 센서 전극들 중 제 1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을 이물질 검출 모드의 드라이빙 그룹(driving group)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에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1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의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그룹에 속하지 않는 제 2 그룹의 터치 센서 전극들은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 센싱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은 구형파(square wave) 형태를 갖고,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상기 구형파의 폴링 에지(falling edge) 또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은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각각에 연결된 드라이빙 커패시터(Cdrv)의 일 측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 상에 이물질이 존재하고, 상기 드라이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드라이빙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 1 그룹에 속하는 터치 센서 전극들의 개수가 감소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계단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계단형으로 증가된 최종 단계의 이물질의 존재에 의한 출력 전압은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터치 센서 전극에서의 터치 센싱 전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이물질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637A KR102308610B1 (ko) | 2020-03-05 | 2020-03-05 |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637A KR102308610B1 (ko) | 2020-03-05 | 2020-03-05 |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538A KR20210112538A (ko) | 2021-09-15 |
KR102308610B1 true KR102308610B1 (ko) | 2021-10-06 |
Family
ID=7779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7637A KR102308610B1 (ko) | 2020-03-05 | 2020-03-05 |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86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987B1 (ko) * | 2022-08-08 | 2023-09-08 | 주식회사 지2터치 | 센싱 감도 증강을 위한 터치 스크린 센싱 방법 |
KR102704790B1 (ko) * | 2022-08-11 | 2024-09-11 | 주식회사 지2터치 | 터치 센서의 상이한 모드 동작을 위한 mux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206741A (ja) | 2015-04-16 | 2016-12-08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操作検出装置 |
US20180011595A1 (en) | 2016-07-05 | 2018-01-11 |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detection by touchscreen panels |
US20180335870A1 (en) | 2017-05-19 | 2018-11-22 | Elo Touch Solutions, Inc. | Pcap with enhanced immunity to water contaminants |
JP2019074973A (ja) | 2017-10-17 | 2019-05-16 | 株式会社アスコ | 誤検出防止方法 |
WO2019160173A1 (ko) | 2018-02-14 | 2019-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10114B2 (en) | 2011-09-29 | 2017-07-18 | G2Touch Co., Ltd. | Touch detection device, touch detection method and touch screen panel, using driving back phenomenon, and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
KR102609476B1 (ko) * | 2016-05-31 | 2023-1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입력 획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KR20180118269A (ko) * | 2017-04-21 | 2018-10-31 | 주식회사 지2터치 | 터치 스크린 및 그에 따른 펜 터치 검출 방법 |
-
2020
- 2020-03-05 KR KR1020200027637A patent/KR102308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206741A (ja) | 2015-04-16 | 2016-12-08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操作検出装置 |
US20180011595A1 (en) | 2016-07-05 | 2018-01-11 |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detection by touchscreen panels |
US20180335870A1 (en) | 2017-05-19 | 2018-11-22 | Elo Touch Solutions, Inc. | Pcap with enhanced immunity to water contaminants |
JP2019074973A (ja) | 2017-10-17 | 2019-05-16 | 株式会社アスコ | 誤検出防止方法 |
WO2019160173A1 (ko) | 2018-02-14 | 2019-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538A (ko) | 2021-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9105B2 (en) | Display panel and touch-control force detection method | |
TWI614647B (zh) | 力感測x-y觸控感測器 | |
US10146365B2 (en) |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 |
US10331267B2 (en) | Touch detection method and touch detector performing the same | |
KR101453347B1 (ko) | 노이즈 감소를 위한 터치 검출 방법 및 장치 | |
US8970527B2 (en) |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mutual capacitance and self capacitance sensing modes and sensing method thereof | |
US9569046B2 (en) | Touch controller including a plurality of detectors to detect electrical chang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controller, and touch sensing method | |
KR102412369B1 (ko)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 |
KR101466506B1 (ko) | 터치 패널 및 그 구동방법 | |
KR102308610B1 (ko) | 이물질 검출 기능을 갖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방법 | |
US20180203540A1 (en) | Discriminative controller and driving method for touch panel with array electrodes | |
JP6495748B2 (ja) | タッチ検出装置、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 |
US20160005352A1 (en) | Touch sensing device | |
US20140111450A1 (en) | Touch panel device with reconfigurable sensing points and its sensing method | |
US20170220184A1 (en) | Touch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 |
CN110554788B (zh) | 安置于显示装置上的触摸板 | |
US20140168147A1 (en) | Capacitive touch module and touch display apparatus | |
US20180088721A1 (en) | Method for correcting sensitivity of touch input device that detects touch pressur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WO2013065272A1 (ja) |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 |
US10452194B2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008780B1 (ko) |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CN109669568B (zh) | 带窄边框的有源矩阵触摸面板 | |
KR101631095B1 (ko) | 클러스터 단위로 터치 검출을 수행하는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 |
KR10235976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커플링 노이즈 감쇠 방법 | |
JP2016139246A (ja) | データ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