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330B1 -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330B1
KR102308330B1 KR1020190156532A KR20190156532A KR102308330B1 KR 102308330 B1 KR102308330 B1 KR 102308330B1 KR 1020190156532 A KR1020190156532 A KR 1020190156532A KR 20190156532 A KR20190156532 A KR 20190156532A KR 102308330 B1 KR102308330 B1 KR 10230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korean beef
nefa
fe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178A (ko
Inventor
신종서
조상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3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ur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소의 혈중에 존재하는 대사물질 중, 번식효율과 관련된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에 효과적이다. 이에, 한유 교배 효율을 판별할 수 있고, 임신우 또는 비임신우의 급여 조절, 수정란의 채란, 인공 수정 및 수태율을 위한 식이 조절을 판별할 수 있는 바, 목축 및 육우 산업 전반에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Korean Native Cattle Simple Diagnostic Kit for Improved Breed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우의 혈중 대사물질 중 NEFA 및 혈중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를 측정하여, 영양상태 평가 및 교배적기 진단을 시료 채취 후 즉시 검사 할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우 산업은 번식개량고급육 생산 등에 초점을 둔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농가에서는 소득과 직결되는 송아지 생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우 번식을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들은 과거부터 인공수정을 통해 임신율을 높이고 일관적인 수태 방법을 이용하여 송아지 분만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계절적으로 송아지의 생존율과 농가의 일손을 덜어주는데 좋은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임신율 증진은 수정 적기를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서 수정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인공수정은 인위적으로 씨수소로부터 정액을 채취하여 발정 발현된 암소의 자궁경부 내에 주입하여 수태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인공수정 기술을 이용하면 우량 씨수소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어 한우의 개량이 촉진되고 생산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유전적 능력이 검증된 씨수소를 조기에 선발하여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정액을 채취 동결 보존시킴으로써 언제나 우량 송아지의 대량 생산 기틀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수년 전 발정발현을 쉽게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Kamar)의 보급은 한우 농가에서 발정발현을 관찰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고, 이로 인해 송아지 생산량이 증대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발정발현을 나타내는 소가 반드시 발정을 일으켜서 승가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발정 관찰이 어렵고, 또한 미약 발정의 경우에는 발정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인공수정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농가에서 송아지 생산 간격 증가로 인한 손해를 입히고 있다. 또한, 수정이 되더라도 암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수태된 송아지가 사산 또는 기형 출산되는 문제도 야기되고 있어, 영양상태를 함께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렇게 농가 소득과 직결된 문제의 개선을 위해 한우 번식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보다 과학적이고 편리한 발정관찰 시스템과 정확한 수정적기를 알 수 있는 진단 장비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고, 또한, 농가에서도 공감하는 연구 결과를 보급함으로서 소득 증대에 공헌하고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공수정을 통해 건강하고, 유전적으로 개량된 송아지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는 발정과 수정 및 암소의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은, 보다 과학적으로 진단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우의 인공교배시기를 진단하고, 진단에 이용되는 방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젖소의 수정 진단 방법 및 진단키트에 관한 한국공개특허 1995-0009018와, 한우 고급육 선발을 위한 배최장근단면적 관련 바이오 마커단백질에 관한 한국등록특허 10-0832348등이 있다.
KR 1995-0009018 A KR 10-0832348 B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의 식이 조절을 위한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우의 식이 조절을 위한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소의 혈중에 존재하는 대사물질 중, 번식효율과 관련된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에 효과적이다. 이에, 한유 교배 효율을 판별할 수 있고, 임신우 또는 비임신우의 급여 조절, 수정란의 채란, 인공 수정 및 수태율을 위한 식이 조절을 판별할 수 있는 바, 목축 및 육우 산업 전반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한우의 혈중 요소질소를 검출하기 위한, 우레아제-인도페닐법의 반응 과정을 모식화한 도이다.
도 2는 한우의 혈중 요소질소를 검출하기 위한, 베크만 코울터법의 반응 과정을 모식화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한우 혈중 요소질소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BUN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한우 혈중 요소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조된 BUN 검출 키트를 표준 검체에 적용하여, 농도별로 색도 및 흡광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혈중 요소농도를 측정하는 키트와, 시판되는 혈중 요소질소 측정 키트의 요소질소 농도별, 결과값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혈중 요소농도를 검출하는 키트의 시간에 따른 색도 및 반응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혈중 요소농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각 실험간의 재현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위한 NEFA 방법의 반응 과정을 모식화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NEFA 검출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NEFA 검출 키트를 표준 검체에 적용하여, 농도별로 색도 및 흡광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NEFA 검출 키트의, 에너지 인자의 농도에 따른 결과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NEFA 검출 키트의, 시간에 따른 결과값의 변화를 확인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해 제조된 NEFA 검출 키트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회의 실험을 반복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시료를 채취한 5개 농가에서 배급한 사료의 성분 중, 소화 가능한 영양소 및 단백질 섭취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시료를 채취한 5개 농가에서, 농가별 사료 배급 형태에 따른 한우의 혈중 대사물질을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각 농가별, 한우의 평균 개월령 및 신체충실지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료 배급급여량에 따른 총 소화가능한 영양소 및 단백질 섭취량을 비교한 도이다.
도 18은 한우 개월별 표준 혈중대사물질의 농도 및 본 발명에서 시료를 채취한 5개 농가의 한우의 혈중대사물질의 농도를 비교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혈중 대사물질”은, 혈액 내에 유리되어 있는 모든 영양, 대사중간체, 호르몬 등의 총칭으로서, 소화된 유기물이나, 세포분비물, 세포파쇄물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은 사람 또는 동물에 있어서, 질환을 결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신체의 이상상태, 영양상태, 신체적 요건 등의 모든 것을 시진, 타진, 촉친, 청진 등의 이학적 검사 및 임상검사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채취된 시료에 일련의 화학반응을 유도하여, 가시적 혹은 데이터화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물질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교배효율”은 동물의 인공적인 교배에 있어서, 수태되는 자손과 수태된 자손의 건강한 출산비를 뜻하는 것으로서, 인공교배 전 관리부터 인공교배 후 자손의 우수한 성장까지의 단계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우는 학명 Bos taurus coreanae이며,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고유 가축이다. 2000년 전부터 농경, 짐운반, 고기의 의용, 무역품으로도 이용되었으며, 최근 농촌의 근대화에 따른 농작업의 기계화로 역욕가치는 감소하고, 육용으로의 가치가 증진되었다. 육용가축의 경우 육종가치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 개량 개발이 중시되며, 가장 우선시되는 특징은 번식효율, 생시체중, 이유시 체중이며, 특히 생시체중과 이유시 체중은 성장능력에 관계되므로 중요한 요소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혈중 대사물질은 비에스테르화 지방산, 포도당, 혈중 요소 질소, 지질, 콜레스테롤 및 간 관련 대사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비에스테르화 지방산 및 혈중 요소 질소이다. 또한 상기의 혈중 대사물질은 비에스테르화 지방산법, 암모니아 측정법, 우레아제-인도페놀법, 베크만 코울터법을 이용하여 측정 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의 우레아제-인도페놀법은, 채취된 시료에, 우레아제-인도페놀법을 측정하는 시약인 KH2PO4, Na2HPOH2O, EDTA, 나트륨 니트로프로프루시드 이수화물(Sodium nitroprusside dihydrate, Na2Fe(CN)5NO), Canavalia ensiformis 유래 요소, 페놀(phenol), 차아염소산염 용액(Soduim hypochlorite solution), 수산화나트륨(hydroxide, NaOH), 요소(Ure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베크만 코울터법은, 채취된 시료에, 증류수 및 우레아제를 첨가하여 1차 반응시킨 뒤, 2-옥소글루탐산(2-Oxoglutamate), NADH 및 글루탐산-탈수소화효소(glutamate-dehydrogenase, GLDH)로 2차 반응시켜, 푸른색의 L-글루탐산을 형성하여, 가시적으로 혈중 요소 질소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의 비에스테르화 지방산법은, 채취된 시료에 ATP 및 조효소A(coenzyme A, CoA)를 아실-CoA 신테타제(Acyl-CoA synthethase, ACS)로 1차 반응시킨 뒤, 아실-CoA-산화효소(Acyl-CoA oxidase, ACOD)를 첨가하여 2차 반응 시킨 후, 퍼옥시다제(peroxidase)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켜, 생성되는 청자색 반응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에스테르화 지방산 검출법을 측정하는 시약은 아실-코엔자임 A 합성효소(Acyl-coenzyme A synthetase, ACS), 코엔자임 A(Coenzyme A),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denosine triphosphate, ATP), 4-아미노 아니티피리린(4-aminoanitipyrine), 아스코르베이트 옥시다제(Ascorbate oxidase, AOD), 나트륨 아지드(Sodium azide), 인산염 완충제(Phosphate buffer), 아지드화 나트륨(Sodium azide), 아실-코엔자임A 효소(Acyl-coenzyme A oxidase, ACOD), 퍼옥시다제( Peroxidase, POD), 3-메틸-N-(베타-하이드록시 에틸)-아닐린 (3-methyl-N-ethyl-N-(beta-hydroxyethyl)-aniline, MEHA), 올레산(Ole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한 조효소A(coenzyme A, CoA), 아실-CoA 신테타제(Acyl-CoA synthethase, ACS), 아실-CoA-산화효소(Acyl-CoA oxidase, ACOD), 퍼옥시다제(peroxidase)로 구성된 시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응 수행을 위한 버퍼(buffer)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는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제시되는 반응 조건, 검출 및 진단 방법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 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물질은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이고, 대상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가 8~14mg/dL일 때 높은 수태율을 보이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는 바, 한우 교배 효율이 우수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판별은 5~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8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1) 대상 한우의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1)의 시료에 상기의 키트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3) 상기 한우의 혈중 대사 물질을 대조 한우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우의 식이 조절을 위한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물질은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이고, 상기 대상 한우의 혈중 요소 질소 또는 혈중 에너지 인자가 대조 한우와 비교하여 낮으면 급여량을 높이는 것으로, 한우의 식이를 조절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판별은 5~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8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한우의 식이 조절은 임신우 또는 비임신우의 급여 조절, 수정란의 채란, 인공 수정 및 수태율을 위한 식이 조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식이를 조절하는 것은, 사료, 배합사료, 건초, 짚, 밀짚, 톨페스큐(tall fescue), 오리새(orchard grass), 사일리지(silage) 중에서 선택되는 1이상의 식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료 및 배합사료의 급여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 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한우 혈중 대사물질 측정법
1-1. 혈중 요소 질소(BUN) 측정 및 키트 제조
한우의 교배효율 및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 BUN이 대표적으로 연구되어 있으며, 혈중 BUN의 농도가 8~14 mg/dL 일 때 높은 수태율을 보인다고(정 등, 2004)기존의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혈중 요소질소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우레아제-인도페놀법(urease-indophenol assay)와 버크만 코울러법(beckman coulter manual assay)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우레아제-인도페놀법은, 혈중에 존제하는 요소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요소에 증류수와 우레아제(urease)를 가하게 되면,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1차 반응이 진행되며, 이때 발생한 암모니아에 치아염소산염(hyphochlorite)와 페놀을 첨가하여 푸른색(blue)의 인도페놀(indophenol)이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도 1). 또한 버크만 코울러법은 상기 우레아제-인도페놀법의 1차 반응 후 글루타메이트-탈수소효소(glutamate-dehydrogenase, GLDH)촉매하에, 2-옥소글루탐산 과 NADH를 가하게 되면 푸른색(blue)의 엘-글루탐산(L-glutamate)가 형성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도 2). 상기의 두 가지 방법 모두 혈중 요소농도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혈중요소농도를 통해, 혈중에 유리된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들 중 우레아제-인도페놀법으로, 한우 혈중 BUN 검출 키트를 제조하였으며, 키트에 포함된 시약 및 버퍼들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약s Concentration
시약 A KH2PO4 14mmol/L
Na2HPOH2O 42.9mmol/L
EDTA 34.8mmol/L
Sodium nitroprusside dihydrate(Na2Fe(CN)5NO) 1.8mmol/L
Urease From Canavalia ensiformis (Jack bean) 1g/L
시약 B Phenol 120mmol/L
시약 C Soduim hypochlorite solution 27mmol/L
hydroxide(NaOH) 140mmol/L
Control 시약 Urea 적정량
1-2. BUN 법 표준검체 분석
상기 본 발명에서 제조한 BUN 간이 진단 키트를, 표준검체를 이용하여, 요소농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확인 하였다. 표준검체를 키트에 포함된 시약을 이용하여 반응 시킨 결과, 육안으로 고, 중, 저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도 4), 분석기기를 이용한 결과와의 상관성은 99%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에 시판되는 시약 (GLDH법)보다 농도별 반응의 민감도가 비례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5).
또한 상기 BUN 간이 진단 키트의 반응 시간별, 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키트의 반응시간인 7분을 전후로 반응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여, 시험시간의 오차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본 발명의 키트의 재현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1개의 표준검체로, 8번의 동일 실험을 반복한 결과, CV(coefficient of variation)%가 OD값(630 nm) 기준으로 1.08%로 나와 시험간 재현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7).
1-3. 혈중 에너지 인자 검출 및 키트 제조
한우의 혈중에 유리된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에스테르화 지방산법(non-estrerified fatty acid, NEFA assay)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에스테르화 지방산법은 혈중에 존재하는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카복실잔기(RCOOH)를 가지는 물질과 ATP 그리고 조효소 A(coenzyme A, CoA)를 아실-CoA 합성효소(acyl-CoA syntehetase, ACS)로 반응시키면, 아실-CoA(acyl-CoA)로 전환되며, 이때 형성된 아실-CoA 옥시다제(acyl-CoA oxidase, ACOD)로 산화시키면 2,3-트랜스-에노일-CoA, 과산화수소수,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를 형성시킨다. 여기에 퍼옥시다제(peroxidase) 및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e), 3-메틸-N-에틸-(베타-하이드록시에틸)-아닐린(3-metyl-N-ethyl-(β-hydroxyethyl)-aniline, MEHA)를 반응시키면 청자색의 반응물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한다(도 8).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우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NEFA assay로 키트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혈중 에너지 인자를 검출하는 키트의 시약 및 구성은 하기 표 2 및 도 9 .에 나타내었다.
Solution 시약s Concentration
Color 시약 A Acyl-coenzyme A synthetase(ACS) (Pseudomonas sp.) 0.53U/mL
Coenzyme A(CoA, Candida) 0.31mmol/L
Adenosine triphosphate(ATP) (Bacterium sp.) 4.3mmol/L
4-aminoanitipyrine 1.5mmol/L
Ascorbate oxidase(AOD) (pumpkin) 2.6U/mL
Sodium azide 0.062%
Solvent A Phosphate buffer, pH 7.0 50mmol/L
Sodium azide 0.05%
Color 시약 B Acyl-coenzyme A oxidase(ACOD) (Arthrobacter sp.) 12U/mL
Peroxidase(POD) (horseradish) 14U/mL
Solvent B 3-methyl-N-ethyl-N-(beta-hydroxyethyl)-aniline(MEHA) 2.4mmol/L
Control 시약 Oleic acid 적정량
1-4. NEFA법 표준검체 분석
상기 본 발명의 NEFA법 키트를 이용하여 표준검체를 분석한 결과, 육안으로 고, 중, 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10), 분석기기를 이용한 결과와의 상관성 역시 99%로 나타났다(도 11). 또한, 상기 NEFA법 키트를 이용하여, 반응을 지속시켜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한 결과, 키트의 반응시간인 7분을 전후로 반응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여 시험 시간의 오차가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상기 본 발명의 NEFA법 키트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개의 표준검체에 대하여 8번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CV(coefficient of variation)%가 OD값(530 nm) 기준으로 2.27%로 나와 시험 간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실시예 2> 한우 혈중 대사물질 분석
2-1. 실험 대상 및 장소
본 발명에서 혈액을 채취한 곳은 전국 한우 사육 농가 중 대표적인 사양관리라고 볼 수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횡성 관내 한우 사육농가 4곳, 횡성 관외(이천) 한우 사육동가 1곳을 선정하여 현장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농가별 사양관리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대상으로는 각 농가별 15~20두의 한우 암소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혈액은 1년 단위로 각 분기별 오전 사료급여 3시간 후에, 농가에 방문하여 경정맥으로부터 일괄 채취하며 실험실에서 혈청분리 및 -20℃에서 냉동보관하며 혈중 대사물질 분석(MPT 분석)을 시행하였다. MPT분석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대사물질은 에너지 인자(NEFA, glucose), 혈중 단백질(BUN),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간 대사인자인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감마-글루타밀 트렌스퍼라제(gamma-glutamyl transferase, GGT)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수태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에너지인자 및 BUN을 주된 대사물질로 선택하였다.
농가 시험두수 위치 기존 사양관리 사육두수
/우방
바닥
관리
A 농가 15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12개월 이하 : 농후사료 급여
경산우 : 농후사료, 건초, 사일리지 급여
5
B 농가 15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농후사료, 볏짚 급여 5
C 농가 15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농후사료, 건초 4
D 농가 15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농후사료, 건초 4
E 농가 15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TMR 급여 4
2-2. 급여 사료 성분분석 및 한우 혈중 대사물질 분석
사료의 영양조절에 따른 한우 암소의 혈중 대사물질 변화 및 번식효율 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5개 농가의 급여사료별 성분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농가별(농가 A, B, C, D, E)로 TMR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료 성분분석에서 대상으로 하고자한 성분들은, dry matter(DM), crude protein(CP), ether extract(EE), netural deterh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rude fiber(CF), 및 총 소화가능 영양(total digestible nutrient, TDN)이였다.
급여 형태로는 농가 A는 배합사료 및 건초(hay)를 급여 하였으며, 농가 B는 배합사료 및 볏짚(rice straw), 농가 C는 배합사료 및 톨페스큐, 농가 D는 배합사료 및 오리새, 농가 D는 총 혼합 배급(total mixed ration, TMR)으로 농가별 식이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농가에서 사용하는 건초 및 볏집의 성분을 분석하였으며(표 5), 사료 급여형태에 따른 총 소화가능 영양(total digestible nutrient) 및 단백질 섭취량을 분석하여 하기 도 14 에 나타내었다.
Division DM CP EE NDF ADF CF Ash TDN
A 농가 91.82±0.04 15.03±0.06 3.06±0.86 30.33±0.91 14.08±0.47 8.47±0.59 9.27±0.06 72.83
B 농가 88.47±6.59 15.60±0.01 5.63±2.40 32.63±1.27 14.50±0.38 8.63±0.41 8.51±0.32 77.12
C 농가 94.84±4.69 15.89±0.09 3.25±0.86 29.48±0.69 13.48±0.42 7.09±0.28 8.07±0.11 74.06
D 농가 90.34±0.61 15.16±0.59 3.51±0.29 26.65±0.33 11.20±0.07 6.08±0.47 7.75±0.18 75.13
E 농가 88.26±0.28 6.20±0.21 3.09±1.72 35.50±1.09 17.14±0.74 12.65±0.64 8.06±0.07 68.77
Division DM CP EE NDF ADF CF Ash TDN
A 농가 90.46±0.39 8.13±0.05 2.36±0.20 53.79±1.39 33.62±0.75 29.84±0.78 10.08±0.03 55.88
B 농가 90.92±2.59 5.80±0.12 1.87±0.04 50.14±0.84 30.22±0.19 23.75±0.61 9.97±0.05 57.92
C 농가1 90.25±0.53 10.31±0.81 2.12±0.26 52.53±0.30 33.03±0.26 26.80±0.39 10.38±0.11 56.83
C 농가2 91.22±0.20 6.01±0.25 0.57±0.16 64.71±1.27 40.07±0.67 34.51±0.57 6.80±0.06 52.87
D 농가 93.26±0.03 5.70±0.50 1.22±0.20 59.58±1.23 36.51±0.91 35.65±0.29 6.38±0.09 53.97
사료 급여 형태에 따른 한우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혈중에 유리된 에너지 인자인, NEFA, 포도당(glucose) 및 단백질 (BUN), 지질(cholesterol) 및 간 단백질 인자(AST 및 GGT)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포도당, mg/dL NEFA, μeq/l BUN, mg/dL 지질, mg/dL AST, U/L GGT, U/L
A 농가 50.79 ± 3.54 181.16 ± 75.26 15.40 ± 3.00 150.84 ± 28.21 71.58 ± 17.42 17.84 ± 4.62
B 농가 59.30 ± 9.40 120.60 ± 26.20 15.05 ± 2.93 154.40 ± 25.22 73.30 ± 12.81 20.65 ± 5.18
C 농가 60.12 ± 11.50 160.93 ± 40.97 12.77 ± 3.42 151.58 ± 22.74 69.58 ± 11.18 19.58 ± 5.76
D 농가 56.00 ± 6.24 198.68 ± 82.52 18.65 ± 2.41 132.42 ± 22.64 77.42 ± 14.74 18.53 ± 6.74
E 농가 40.65 ± 10.07 202.90 ± 115.60 20.47 ± 2.76 172.40 ± 34.00 67.80 ± 15.87 18.50 ± 5..57
본 발명에서 혈중 대사물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포도당 농도는 C농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TMR 배급을 시행한 E 농가에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체지방 동원의 지표인, NEFA의 평균 농도는 포도당 농도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던 E농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D 농가, A 농가, C 농가 및 B 농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번식우의 경우 체지방 감소 시 혈중 NEFA의 농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으며(Busato 등, 2002), 이에 따라, E 농가의 높은 NEFA가 높은 이유를 확인해 보면, E 농가의 낮은 사료 급여량으로 인해, 한우의 체지방 감소에서 비롯한 것으로 판단된다. 혈중 NEFA 농도의 증가는 사료 섭취량 부족에 따른 체지방 동원 이외에도 분만스트레스에 의한 교감 신경의 긴장 항진 등으로 간기능 장애, 케톤증 및 번식 장애와 같은 질병학적인 문제가 있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E 농가의 경우에는, NEFA뿐만 아니라 간 기능 지표인 AST 및 GGT 농도 또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개체들의 간 기능 저하 또는 번식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혈중 BUN 농도는 E 농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C 농가에서 가장 낮게 분석 되었다. BUN은 단백질 및 질소화합물의 섭취량이 증가되거나, 간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혈중 농도가 높아 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섭취량 분석 결과(도 14)에서 E 농가는 총 영양섭취량은 타농가에 비해 낮았지만,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높았음으로(0.92kg), 혈중 BUN 농도는 높은 단백질 섭취량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혈중 BUN 농도가 높을 경우, 단백질 급여량을 다소 낮춰줄 필요가 있다. 또한 BUN의 농도는 E농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농가에서 가장 낮았다.
2-3. 농가별 한우 개월령 및 신체충실지수
각 농가에서 급여하는 사료형태에 따른 한우의 개월령 및 신체충실지수(body condition score, BCS)를 측정하였다(도 16). 그 결과, 농가 평균 개월령은 C농가에서 27.81개월로 가장 낮았으며, E 농가에서 52.05개월로 가장 높았다. 또한, 한우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지표인 BCS는 C 농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A 농가, B 농가, D 농가 및 E 농가 순으로 나타났다. BSC는 한우 암소에 있어서 중요한 지수이며, 수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수정시 적정 BCS는 2.7~3.0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임신 후 적정 BCS는 3.5~4.0의 범위를 유지하여야 수태율이 높다. 상기 임신 후 적정 BCS는, 3.5~4.0의 범위를 가질 때 모체 및 착상된 자손의 영양상태가 모두 고르며, 분만 후에도 다음 수태를 준비하기 적합한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분석한 혈중대사물질 및 월령, BCS의 상관관계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GLU NEFA BUN CHOL AST GGT
DM
intake
Pearson
상관계수
.376** -.181 -.396** -.186 -.153 -.073
TDN
intake
Pearson
상관계수
.504** -.054 .234* -.124 .078 -.049
CP
intake
Pearson
상관계수
-.493** .009 -.465** -.226* .013 -.013
months Pearson
상관계수
-.356** -.175 -.439** -.340** .159 .030
BCS Pearson
상관계수
.111 .340** .351** .150 -.102 -.144
TDN 섭취량은 혈중 포도당 농도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포도당을 제외한 혈중 대사물질과는 대체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P 섭취량은 DM 및 TDN과는 다르게 혈중 포도당 농도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단백질이 인슐린의 분비를 활성화하여 혈중 포도당을 세포내로 유입하는 대사기전의 결과로 해석된다. 월령은 BUN 농도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로 -.439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포도당 및 지질과도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중 포도당 및 지질의 경우 번식우의 연령이 높을수록 감소된다는 보고가 있어, 본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BCS는 혈중 NEFA 및 BUN 농도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시예 3> 한우 사료 배급량 및 혈중 대사물질 관리
3-1. 관리대상
본 발명의 수태율 관리는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에서 진행하였으며, 한우 30두를 10두씩 3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80%급여군은 배합사료 2.43 kg 및 볏집 5kg을 급여하였으며, 100% 급여군은 평균배합사료 3 kg 및 볏짚 5 kg을 급여 하였으며 120% 급여군은 평균배합사료 3.63 kg 및 볏짚 5 kg을 급여하였다. 조사한 성분으로는 급여사료의 성분 및 TDN, 혈중 대사물질 농도 및 번식효율(공태일수 및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3-2 실험사료 일반성분 분석
본 발명의 수태율 관리에서 급여한 배합사료 및 볏집의 성분분석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Division DM CP EE NDF ADF CF Ash TDN
concentrate 88.36 16.47 4.62 - - 9.02 7.36 75.73
rice straw 88.80 4.46 1.97 67.87 36.33 29.12 13.91 49.58
배합사료에 따른 실험군을 설계하였기에, 80%, 100%, 120% 순으로 TDN 및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엇다(도 17).
사료 섭취량에 따른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GLU, mg/dL NEFA, μeq/l BUN, mg/dL CHOL, mg/dL AST, U/L GGT, U/L
80% 55.00 ± 20.46 173.40 ± 73.37 14.00 ± 1.62 154.70 ± 31.53 82.40 ± 9.01 28.80 ± 4.21
100% 41.80 ± 18.14 176.70 ± 77.55 17.00 ± 3.79 193.90 ± 35.52 93.70 ± 14.35 32.00 ± 5.58
120% 36.50 ± 8.38 139.89 ± 51.43 16.86 ± 2.27 186.60 ± 26.73 84.30 ± 13.29 29.30 ± 4.74
본 발명에서는 혈중 포도당 및 NEFA의 농도는 사료 섭취량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BUN, 지질, GGT농도는 섭취량이 100% 일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3-3. 농가별 한우 식이 조절방법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분석한 농가에서, 급여형태에 따른 혈중대사물질의 농도를 확인 후, 교배효율이 증가할 수 있도록 식이를 조절하였다. 한우 번식우 월령별 표준 혈중대사물질 농도와 각 농가별 한우 혈중 대사물질 농도를 비교하여 도 18 에 나타내었다. 각 농가별 비교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농가별 한우 혈중대사물질 농도 및 BSC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특이사항 개선방안
A 농가 - 혈중 대사물질 농도 양호
- BCS 평균 4.00으로 높음
- BCS가 높아 배합사료 급여량을 줄여줄 필요가 있음
B 농가 - 혈중 대사물질 및 BCS 농도 양호
C 농가 - BCS가 평균 4.18으로 높음 - 한우 번식우에서 BCS 2.5~3.5 사이를 유지할 때, 분만 후 발정재귀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수태율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BCS 4 이상에선 수태율이 30% 대로 급감한다는(정 등. 2004) 연구결과도 있으므로 BCS를 줄이기 위해 사료 급여량을
줄여줄 필요가 있음
D 농가 - 혈중 대사물질 농도 양호
E 농가 - 다른 농가에 비하여 NEFA 및 BUN 농도가
다소 높게 분석됨
- BCS 및 TDN 섭취량이 다소 낮음
- BUN이 8~14 mg/dL 일 때 높은 수태율을 보이며(정 등, 2004). BUN 농도가 높을수록 난소위축에 영향을 미쳐 번식효율
을 저하시킴
- E농가의 경우 다른 농가보다 BUN 농도가 다소 높기 때문에 CP 배합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
- BCS 감소는 건물섭취량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급여량을 다소 증가시켜줄 필요가 있음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한우 혈중 대사물질을 검출하는 키트를 이용하여, 교배효율과 관련된 인자인 BUN 및 NEFA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우의 영양상태 중 과량섭취되는 영양 및 결핍된 영양을 보충해 줄수 있다. 또한 농가별 식이의 문제점 및 한우의 영양상태를 파악하여, 한우의 교배적기의 BCS를 파악할 수 있고, 사료의 배급형태를 조절하여 교배 적기의 BCS로 조절하여 교배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비임신우 및 임신우 혈중 대사물질 분석
4-1. 대상우 선정
임신우, 비임신우 및 저수태우의 혈중 대사물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한우 암소들은 번식우, 방목우로 추가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번식우는 배합사료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확인 한 후 사양관리를 개선하여, 배합사료 3.0 kg/일, 건초 6.0 kg/일로 기존의 배급량보다 배급을 증가 시켰으며, 옥수수 사일리지의 배급을 중단 하였다. 방목우와 번식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는 사료 혹은 생초 섭취 후 3시간 경과 후 채혈하였다. 번식우의 수태율 조사를 위해, CIDR과 Ovarone 처리 7일 후 CIDR제거와 PGF2α를 처리하고, 2일째 되는 날 발정관찰 후 GnRH를 처리하여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4-2. 사육 형태에 따른 혈중 대사물질 비교
사양관리 변경전 임신 유무에 다른 혈액내 주요 대사물질을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 분 Component (Mean±SD)
AST
(IU/L)
ALT
(IU/L)
Cholesterol
(mg/dl)
Glucose
(mg/dl)
BUN
(mg/dl)
NEFA
(ЧEq/l)
임신우 59.90±6.7a 16.98±4.6 127±22.8a 42.43±7.4 16.46±2.6 102.22±32.88a
비임신우 83.38±30.5b 19.53±11.89 139.59±47.3b 50.80±12.2 20.22±7.1 137.48±72.12b
상기 표 11에서는 임신우 49두와 비임신우 149두를 조사하였으며, 사양관리전 사료급여 형태는 배합사료 2.5kg, 옥수수사일리지 4.0kg 건초 3.0kg을 매일 급여하였다. 임신 유무에 따른 임신 결과로서 간기능과 관련하여 임신우에서는 60IU/L 수준으로 비임신우의 83UI/L 수준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지질의 수준은 비임신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NEFA 수치는 비임신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BUN과 포도당에서는 비임신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신체충실지수(BCS)는 임신우 평균 3.36, 비임신우에서는 3.84정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양관리변경 후 사료급여량에 따라 혈액내 주요 대사물질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사양관리 두수 GLU
(mg/dl)
CHOL
(mg/dl)
BUN
(mg/dl)
AST
(IU/L)
ALT
(IU/L)
NEFA
(ЧEq/l)
변경 전 126 93.7±4.5a 193.9±2.5a 18.4±3.4 103.7±25 34.4±0.5 335±36.3
변경 후 148 74.2±7.2b 140.9±9.4b 17.0±0.2 95.4±3.4 33.4±0.4 296±36.7
상기 표 12에서와 같이 사양관리 변경 후에는 사양관리 변경 전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방목우의 경우 비임신우에서 지질수치와 AST, NEFA 수치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포도당, BUN 및 ALT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신체충실지수(BCS)는 임신우에서 3.2, 비임신우에서 3.1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구 분 두수 componentt (Mean±SD)
Glucose
(mg/dl)
Cholesterol
(mg/dl)
BUN
(mg/dl)
AST
(IU/L)
ALT
(IU/L)
NEFA
(ЧEq/l)
임신우 60 88.9±2.5 149.8±4.9a 16.9±0.4 99.1±2.6a 35.9±0.9 326.7±15.7a
비임신우 43 89.2±3.3 165.9±4.6b 17.4±0.6 108.9±3.2b 37.8±1.0 419.2±32.8b
방목우와 번식우(군사 사육)의 혈액내 주요영양 대사물질의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방목우에서 지질 및 AST, ALT, NEFA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사육방법 두수 GLU
(mg/dl)
CHOL
(mg/dl)
BUN
(mg/dl)
AST
(IU/L)
ALT
(IU/L)
NEFA
(ЧEq/l)
방목우 126 84.8±1.3 142.5±2.5a 17.1±0.3 97.7±2.3a 34.4±0.5a 317.8±13.a
번식우 22 78.0±1.3 128.9±4.6b 16.3±0.6 80.9±2.0b 27.1±0.9b 160.2±18.b
<실시예 5> 사양관리 형태에 따른 번식 효율 개선
5-1. 개체 및 번식상태 조사
상기에서 조사한 5개 농가의 한우의 번식 상태를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수정란의 채란 및 인공수정 과 수태율 결과는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농가/분기 평균 월령 평균 BCS 평균 공태일수 산차
A농가/5 41.61 - 132.80 초임: 3두, 1산: 8두, 2산: 2두, 3산: 4두, 5산: 3두
B농가/5 45.55 3.48 200.65 초임: 3두, 1산: 8두, 2산: 6두, 3산: 1두, 4산: 1두, 8산: 1두
C농가/5 31.85 4.45 130.50 초임: 3두, 1산: 13두, 2산: 4두
D농가/5 45.84 3.50 88.84 초임: 3두, 1산: 4두, 2산: 4두, 3산: 5두, 4산: 3두
E농가/5 52.26 - 124.63 초임: 1두, 1산: 6두, 2산: 4두, 3산: 4두, 4산: 2두, 5산: 2두
농가 총 회수 수정란
(n)
이식 가능 수정란
(n)
이용
효율
(%)
NEFA
(uEq/L)
BUN
(mg/dl)
CHO
(mg/dl)
Glucose
(mg/dl)
AST
(IU/L)
GGT
(IU/L)
A 농가 16 14 87.5 125.15 13.73 179.85 48.00 85.00 17.60
B 농가 36 22 61.1 185.40 15.07 162.20 66.15 78.75 17.50
C 농가 18 11 61.1 177.91 9.01 142.36 68.73 75.95 22.91
D 농가 12 6 50.0 103.53 16.64 132.68 61.42 79.26 13.42
E 농가 14 2 14.3 232.58 19.37 152.95 39.74 89.58 21.89
상기 표 16에서와 같이, A 농가의 수정란 회수율 대비 수태율이 가장 높았으며, TMR을 급여하는 E 농가의 성적이 가장 낮게 관찰되었다. E 농가는 NEFA의 농도가 다른 농가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포도당의 농도는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0에 나타낸 식이 개선방법에 따라 식이를 급여하여, 8개월 후에 각 농가별로, 인공수정 및 번식효율을 비교하였다. 시험 농가별 번식효울 현황은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식목농 농가 B 농가 C 농가 E
12기존1) 기존1) 기존1) 기존1)
인횟회3.±1.8±1 .±2.0±3 .±1.9±7 .±2.2±5
일9±7±69±9 89±7 95±4 83±4
일2±2±22±4 22±1 21±5 23±6
65±4 55±3 63±3
02295 299 223 147
상기 표 17에서와 같이, E 농가에서는 번식효율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다른 농가들에 비하여 낮았으며, 모든 농가들에서는 평균 인공수정 횟수의 감소 및 수태율이 증가가 관찰되었다. 공태일의 감소도 모든 농가에서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교배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식이를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교배 효율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대상 한우의 혈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혈액에서 포도당(glucose), NEFA(non-estrerified fatty acid), 혈중 요소 질소(BUN), 콜레스테롤(cholesterol), 간 대사인자인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감마-글루타밀 트렌스퍼라제(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로 이루어진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한우의 사료 급여 형태를 분류하고, 사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대상 한우의 사료의 성분으로부터 총 소화가능 영양 및 단백질 섭취량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NEFA, BUN, AST, GGT 농도가 대조 한우와 비교하여 높은 경우 식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혈중 요소 질소는 KH2PO4 14mmol/L, Na2HPO4·H2O 42.9mmol/L, EDTA 34.8mmol/L, Sodium nitroprusside dihydrate(Na2Fe(CN)5NO) 1.8mmol/L, Urease From Canavalia ensiformis (Jack bean) 1g/L, Phenol 120mmol/L, Soduim hypochlorite solution 27mmol/L, hydroxide(NaOH) 140mmol/L 로 측정하고,
    상기 NEFA는 Acyl-coenzyme A synthetase(ACS) (Pseudomonas sp.) 0.53U/mL, Coenzyme A(CoA, Candida) 0.31mmol/L, Adenosine triphosphate(ATP) (Bacterium sp.) 4.3mmol/L, 4-aminoanitipyrine1.5mmol/L, Ascorbate oxidase(AOD) (pumpkin) 2.6U/mL, Sodium azide0.062%, Phosphate buffer, pH 7.050mmol/L, Sodium azide0.05%, Acyl-coenzyme A oxidase(ACOD) (Arthrobacter sp.) 12U/mL, Peroxidase(POD) 14U/mL, 3-methyl-N-ethyl-N-(beta-hydroxyethyl)-aniline(MEHA) 2.4mmol/L 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 수태율 향상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대상 한우의 혈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혈액에서 포도당(glucose), NEFA(non-estrerified fatty acid), 혈중 요소 질소(BUN), 콜레스테롤(cholesterol), 간 대사인자인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렌스퍼라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감마-글루타밀 트렌스퍼라제(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로 이루어진 혈중 대사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한우의 사료 급여 형태를 분류하고, 사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대상 한우의 사료의 성분으로부터 총 소화가능 영양 및 단백질 섭취량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NEFA, BUN, AST, GGT 농도가 대조 한우와 비교하여 높은 경우 식이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혈중 요소 질소는 KH2PO4 14mmol/L, Na2HPO4·H2O 42.9mmol/L, EDTA 34.8mmol/L, Sodium nitroprusside dihydrate(Na2Fe(CN)5NO) 1.8mmol/L, Urease From Canavalia ensiformis (Jack bean) 1g/L, Phenol 120mmol/L, Soduim hypochlorite solution 27mmol/L, hydroxide(NaOH) 140mmol/L 로 측정하고,
    상기 NEFA는 Acyl-coenzyme A synthetase(ACS) (Pseudomonas sp.) 0.53U/mL, Coenzyme A(CoA, Candida) 0.31mmol/L, Adenosine triphosphate(ATP) (Bacterium sp.) 4.3mmol/L, 4-aminoanitipyrine1.5mmol/L, Ascorbate oxidase(AOD) (pumpkin) 2.6U/mL, Sodium azide0.062%, Phosphate buffer, pH 7.050mmol/L, Sodium azide0.05%, Acyl-coenzyme A oxidase(ACOD) (Arthrobacter sp.) 12U/mL, Peroxidase(POD) 14U/mL, 3-methyl-N-ethyl-N-(beta-hydroxyethyl)-aniline(MEHA) 2.4mmol/L 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의 식이 조절을 위한 판별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우의 식이 조절은 임신우 또는 비임신우의 급여 조절, 수정란의 채란, 인공 수정 및 수태율을 위한 식이 조절인 것인, 한우의 식이 조절을 위한 판별 방법.
KR1020190156532A 2019-11-29 2019-11-29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KR10230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32A KR102308330B1 (ko) 2019-11-29 2019-11-29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32A KR102308330B1 (ko) 2019-11-29 2019-11-29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78A KR20210067178A (ko) 2021-06-08
KR102308330B1 true KR102308330B1 (ko) 2021-10-06

Family

ID=7639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32A KR102308330B1 (ko) 2019-11-29 2019-11-29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3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2006A (en) 1993-09-29 1995-01-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irspring piston and airspring assembly
KR100832348B1 (ko) 2006-11-23 2008-05-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우 고급육 선발을 위한 배최장근단면적 관련 바이오 마커단백질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eckman Coulter, Inc. 'UREA NITROGEN', 2009, pp 1-4. (https://www.beckmancoulter.com/wsrportal/techdocs?docname=/cis/BAOSR6X34/%25%25/EN_UREA_BAOSR6x34.pdf). 1부.*
IRINA, R. M. 등, 'Detection of nonesterified (free) fatty acids in bovine serum: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methods', Journal of Veterinary Diagnostic Investigation, 2004, Vol. 16, pp 139-144. 1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018, Vol. 38, pp 331-336.
Randox Laboratories Limited. 'UREA UREASE-BERTHELOT METHOD COLORIMETRIC MANUAL RX MONZA', 2000, pp 1-4. (https://search.cosmobio.co.jp/cosmo_search_p/search_gate2/docs/RAL_/UR1068.20120406.pdf). 1부.*
박수봉 등, '한우 수란우의 혈장 요소태질소와 수태율의 관계',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1999, Vol 14, pp 83-88. 1부.*
정영훈 등, '한우 번식효율에 대한 Blood Urea Nitrogen과 Body Condition Score의 영향', Korean Journal of Embryo Transfer, 2004, Vol 19, pp 53-5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78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emark et al. An evaluation of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subclinical rumen acidosis in dairy herds
Whitaker et al. Use of metabolic profiles in dairy cattle in tropical and subtropical countries on smallholder dairy farms
Guliński et al. Improving nitrogen use efficiency of dairy cows in relation to urea in milk–a review
Inoue et al. Genetic parameters for fatty acid composition and feed efficiency traits in Japanese Black cattle
Norman et al. Comparison of in vivo organic matter digestion of native Australian shrubs by sheep to in vitro and in sacco predictions
Da Silva et al. Forage energy to protein ratio of several legume–grass complex mixtures
US8319008B2 (en) Categorically ranking animals for feed efficiency
Zewdie The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feed digestibility: A review
Šamanc et al. Body condition score loss, hepatic lipidosis and selected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cows during transition period.
KR102308330B1 (ko) 한우 대사물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우 교배 효율 판별 방법
CN115993442A (zh) 苏紫猪血液、生长育肥参数的测定和关联分析方法
Akhlaghi et al. Effect of production level and source of fat supplement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arameters of heat-stressed Holstein cows
Raymond et al. Studies of herbage digestibility by an in vitro method
Fiore et al. Metabolic changes in dairy cows at different lactation clas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Dhali et al. Monitoring feeding adequacy in dairy cows using milk urea and milk protein contents under farm condition
Turner Changes in in vitro fermentative capacity of equine feces due to alteration of forage diet
Attia et al. Digestion of tanniniferous plants in ruminants. in vitro ruminal and post-ruminal protein digestion of some egyptian tanniniferous plants
EP1135031B1 (en) Method for testing a fodder component for the feeding of ruminants
AU2018370021B2 (en) Methods for measuring reducing equivalent production by tissues to determine metabolic rates and methods of use
Warner et al. Passage of stable isotope-labeled grass silage fiber and fiber-bound protein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dairy cows
Makhtoom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milk protein concentrations at different phases of first to fourth lactation and subsequent calving intervals in Holstein cows
Moussafir et al. Dynamics of som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Boujaâd ewes from early to late ges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arly pregnancy diagnosis.
Dinçer et al. Investigation of Vitamin B12 and Folic Acid Levels in Goats with Pregnancy Toxemia
MIHAI et al. STUDY OF AN EPISODE OF SUBCLINICAL KETOSIS IN A SHEEP FARM IN SOUTHERN ROMANIA.
Wani et al. Iodine Iodine level of goats from Shiwalik and middle mountains of north-west Himalayas in relation to soil, fodder, and water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