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205B1 -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 Google Patents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205B1
KR102308205B1 KR1020200140113A KR20200140113A KR102308205B1 KR 102308205 B1 KR102308205 B1 KR 102308205B1 KR 1020200140113 A KR1020200140113 A KR 1020200140113A KR 20200140113 A KR20200140113 A KR 20200140113A KR 102308205 B1 KR102308205 B1 KR 10230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nd tool
jaw
pitc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주
김희진
장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Priority to KR102020014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05B1/ko
Priority to KR1020210127455A priority patent/KR2022005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05B1/ko
Priority to US17/511,890 priority patent/US115291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61B2017/00327Cables or rods with actuating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Handles the position of the handle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3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 A61B2017/2917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with flexible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3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camm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2937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camming or guiding means with flexible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53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mono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7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opposing blades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i.e. combined scissors and plier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 또는 여러 다양한 수술에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Surgical instrument for electrocautery}
본 발명은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 또는 여러 다양한 수술에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 조(jaw)와 와이어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관한 것이다.
외과수술은 많은 경우에 장기, 근조직, 결합 조직, 혈관을 포함한 체조직의 절단 및 결합을 필요로 한다. 수 세기에 걸쳐, 날카로운 블레이드 및 봉합사가 절단 및 결합에 사용되었다. 그런데 외과수술 중, 체조직, 특히 비교적 고도로 혈관화된 조직을 절단하면 출혈이 발생한다. 따라서 의사는 외과수술 중의 출혈을 늦추거나 또는 감소하는 수술 기구 및 방법을 필요로 하여 왔다.
최근, 특정 수술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 수술 기구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그래스퍼(grasper), 가위, 핀셋, 블레이드, 니들, 후크 등의 수술 기구에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 전기 수술 기구가 개발되었다. 전극을 통해 공급된 전기 에너지는 환자의 신체 조직의 응고, 결합, 또는 절단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절단과 지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전기 수술 기구는 대표적으로는 모노폴라 및 바이폴라의 두 개의 종류로 나누어진다. 모노폴라 전기 수술 기구에서는 특정 극성의 전기 에너지가 기구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극에 공급된다. 그리고 다른 극성의 전기가 환자에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바이폴라 전기 수술 기구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극을 제1 극성 전기 에너지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극을 제1 극성과는 반대의 제2 극성 전기 에너지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또는 여러 다양한 수술에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 조(jaw)와 와이어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jaw)와, 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는 축 관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엔드 툴 풀리를 포함하는 엔드 툴(end tool); 상기 엔드 툴의 상기 두 개 이상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상기 조(jaw)로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 및 제1 방향(X축)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 단부에는 상기 엔드 툴이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엔드 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은, 상기 조와 연결되며 상기 엔드 툴 풀리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 및 상기 조가 결합된 상기 엔드 툴 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엔드 툴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는 상기 축 관통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상기 조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기 조 수용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가 상기 엔드 툴 풀리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판의 본체로부터 상기 조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조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상기 조는 상기 엔드 툴 풀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모노폴라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기 축 관통부와 상기 조는 비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복강경 수술 또는 여러 다양한 수술에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 조(jaw)와 와이어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 개념도이고, 도 1b는 요 동작 개념도이다.
도 1c는 다른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 개념도이고, 도 1d는 요 동작 개념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 개념도이고, 도 1f는 요 동작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에서 와이어 및 전선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엔드 툴 풀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엔드 툴 풀리의 상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엔드 툴 풀리의 하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에서 하판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기존에 사용되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각 실시예가 독립적으로 해석되거나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들이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조합되어 해석되거나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피치, 요, 액츄에이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에 대해서, 조작부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이 조작부의 조작 방향과 직관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 개념도이고, 도 1b는 요 동작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엔드 툴(120a)은 엔드 툴의 회전 중심(121a)보다 앞쪽에 형성되고, 조작부(110a)는 조작부의 회전 중심(111a)보다 뒤쪽에 형성된 상태에서, 조작부(110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a)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부(120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a)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엔드 툴(120a)은 엔드 툴의 회전 중심(121a)보다 앞쪽에 형성되고, 조작부(110a)는 조작부의 회전 중심(111a)보다 뒤쪽에 형성된 상태에서, 조작부(110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a)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부(120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a)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좌우 방향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가 조작부(110a)를 왼쪽으로 움직이면 엔드 툴(120a)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사용자가 조작부(110a)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엔드 툴(120a)은 왼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조작 방향과 엔드 툴의 동작 방향이 반대가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착오를 유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도 1c는 다른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피치 동작 개념도이고, 도 1d는 요 동작 개념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술4용 인스트루먼트 중 일부는 미러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피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엔드 툴(120b)은 엔드 툴의 회전 중심(121b)보다 앞쪽에 형성되고, 조작부(110b)는 조작부의 회전 중심(111b)보다 뒤쪽에 형성된 상태에서, 조작부(110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b)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부(110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b)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조작부와 엔드 툴의 회전 방향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가 조작부(110b)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과 그에 따른 엔드 툴(120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조작 방향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관절의 동작이 직관적이지 않으며,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도 1d를 참조하면, 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엔드 툴(120b)은 엔드 툴의 회전 중심(121b)보다 앞쪽에 형성되고, 조작부(110b)는 조작부의 회전 중심(111b)보다 뒤쪽에 형성된 상태에서, 조작부(110b)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b)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부(110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b)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조작부와 엔드 툴의 회전 방향이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가 조작부(110b)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과 그에 따른 엔드 툴(120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조작 방향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관절의 동작이 직관적이지 않으며,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렇게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사용자의 피치 또는 요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방향과 엔드 툴의 동작 방향이 회전 방향의 관점 또는 좌우 방향의 관점 중 하나에 있어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는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 구성에 있어서 엔드 툴과 조작부의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엔드 툴은 엔드 툴의 회전 중심보다 앞쪽에 형성된 데 반해, 조작부는 조작부의 회전 중심보다 뒤쪽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엔드 툴(120c)을 엔드 툴의 회전 중심(121c)보다 앞쪽에 형성하고, 조작부(110c) 또한 조작부의 회전 중심(111c)보다 앞쪽에 형성하여, 조작부(110c)와 엔드 툴(120c)의 동작이 직관적으로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달리 표현하면, 도 1a, 1b, 1c 및 도 1d와 같이 조작부가 자신의 관절에 대해 사용자 쪽으로 가까워지는(즉, 엔드 툴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의 기존 예와는 달리,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조작 과정의 어느 한 순간 이상에서는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자신의 관절을 기준으로 (자신의 관절보다) 엔드 툴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다르게 설명하면, 도 1a, 1b, 1c 및 도 1d와 같은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경우에는 엔드 툴이 자신의 회전 중심보다 앞쪽에 위치하는데 반해 조작부는 자신의 회전 중심보다 뒤쪽에 형성되어, 앞쪽이 고정된 상태에서 뒤쪽을 움직이는 조작부의 동작을 통해 뒤쪽이 고정된 상태에서 앞쪽이 움직이는 엔드 툴을 움직이게 되므로, 구조상 직관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조작부의 조작과 엔드 툴의 동작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관점 또는 회전 방향의 관점에 있어서 불일치가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며, 조작부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신속히 수행하기 힘들게 되고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엔드 툴과 조작부 모두 뒤쪽에 형성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구조상 직관적으로 동작이 서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엔드 툴의 움직이는 부분이 뒤 쪽에 형성된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조작부의 움직이는 부분도 뒤 쪽에 형성된 해당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구조상 직관적으로 동작이 서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엔드 툴 방향의 조종을 직관적으로 신속히 수행할 수 있으며, 실수가 유발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조작부(110), 엔드 툴(end tool)(120), 동력 전달부(130), 연결부(140) 및 손고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40)는 속이 빈 샤프트(shaft)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와이어(후술함) 들이 수용될 수 있으며, 그 일 단부에는 조작부(110)가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엔드 툴(120)이 결합되어, 조작부(110)와 엔드 툴(end tool)(12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의 연결부(140)는 조작부(110) 측에 절곡부(1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140)의 조작부(110) 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피치 조작부(111)와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가 엔드 툴(12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연장선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를 다른 측면으로 표현하면, 절곡부(141)가 형성하는 오목부 내에 피치 조작부(111) 및 요 조작부(11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고 기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절곡부(141)의 형상에 의해 조작부(110)와 엔드 툴(120)의 형상 및 동작이 더욱 직관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141)가 형성되는 평면은 피치 평면, 즉 도 2의 XZ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부(141)가 XZ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됨으로써 조작부 간의 간섭이 감소할 수 있다. 물론, 엔드 툴과 조작부의 직관적인 동작을 위해, XZ 평면 뿐 아니라 다른 형태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절곡부(141)에는 커넥터(14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43)는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143)는 전선(electric wire)(168)을 통해 조(121)(122)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121)(12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커넥터(143)에 전극이 하나 형성된 모노폴라 형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제 제한되지 아니하며, 커넥터로 바이폴라 형 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작부(110)는 연결부(140)의 일 단부에 형성되며, 의사가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집게 형상, 스틱 형상, 레버 형상 등으로 구비되며, 이를 의사가 조종하면, 해당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수술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엔드 툴(120)이 소정의 작동을 함으로써 수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는 조작부(110)가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엔드 툴(120)과 연결되어 엔드 툴(120)을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작부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엔드 툴(120)은 연결부(140)의 타 단부에 형성되며, 수술 부위에 삽입되어 수술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엔드 툴(120)의 일 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grip)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한 쌍의 조(jaw)(121)(122)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수술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엔드 툴(120)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외팔이 소작기와 같은 구성도 엔드 툴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엔드 툴(120)은 조작부(110)와 동력 전달부(130)에 의해 연결되어, 조작부(110)의 구동력을 동력 전달부(130)를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그립(grip), 절단(cutting), 봉합(suturing) 동작 등 수술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의 엔드 툴(12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엔드 툴(120)은 도 2의 Y축을 중심으로 피치(pitch) 운동을 수행하는 동시에, 도 2의 Z축을 중심으로 요(yaw) 운동 및 액츄에이션(actuation) 운동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치(pitch)와 요(yaw)와 액츄에이션(actuation) 동작 각각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치(pitch) 동작은 엔드 툴(120)이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도 2의 X축 방향)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 즉 도 2의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도 2의 X축 방향)으로 연결부(14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엔드 툴(120)이 연결부(140)에 대해 Y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요(yaw) 동작은 엔드 툴(120)이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도 2의 X축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 즉 도 2의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도 2의 X축 방향)으로 연결부(14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엔드 툴(120)이 연결부(140)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즉, 엔드 툴(120)에 형성된 두 개의 조(jaw)(121)(122)가 Z축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한편, 액츄에이션(actuation) 동작은 엔드 툴(120)이 요(yaw) 동작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두 개의 조(jaw)(121)(1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jaw)가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엔드 툴(120)에 형성된 두 개의 조(jaw)(121)(122)가 Z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동력 전달부(130)는 조작부(110)와 엔드 툴(120)을 연결하여, 조작부(110)의 구동력을 엔드 툴(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수 개의 와이어, 풀리, 링크, 마디,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에서, 동력 전달부(130)는 피치 와이어(130P), 제1 조 와이어(130J1), 제2 조 와이어(130J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의 조작부(110), 엔드 툴(120), 동력 전달부(130) 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엔드 툴)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엔드 툴(end tool)(120)은 그립(grip)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한 쌍의 조(jaw)(121)(122), 즉 제1 조(121)와 제2 조(122)를 구비한다. 또한, 엔드 툴(120)은 제1 조(jaw)(121)의 회전 운동과 관련된 J11 풀리(123J11), J12 풀리(123J12), J13 풀리(123J13), J14 풀리(123J14) 및 J15 풀리(123J15)와, 제2 조(jaw)(122)의 회전 운동과 관련된 J21 풀리(123J21), J22 풀리(123J22), J23 풀리(123J23), J24 풀리(123J24), J25 풀리(123J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조(121), J11 풀리(123J11), J12 풀리(123J12), J14 풀리(123J14), 제2 조(122), J21 풀리(123J21), J22 풀리(123J22), J24 풀리(123J24)는 모두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엔드 툴(120)과 결합하는 연결부(140)의 일 단부에는 연결부 허브(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J12 풀리(123J12), J13 풀리(123J13), J14 풀리(123J14), J15 풀리(123J15)와, J22 풀리(123J22), J23 풀리(123J23), J24 풀리(123J24), J25 풀리(123J25)는 연결부 허브(142)에 연결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마주보고 있는 풀리들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각각의 풀리들이 엔드 툴의 구성에 적합한 위치 및 크기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조 회전축(123JA)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J11 풀리(123J11)에는 제1 조(jaw)(121)가 고정 결합되어서 J11 풀리(123J11)와 함께 회전하며, J21 풀리(123J21)에는 제2 조(jaw)(122)가 고정 결합되어서 J21 풀리(123J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의 회전에 따라 엔드 툴(end tool)(120)의 요 동작 및 액츄에이션 동작이 수행된다. 즉,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고,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는 엔드 툴 풀리(도 9의 163 참조)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9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의 일 측에는 보조 풀리인 J16 풀리(123J16) 및 J26 풀리(123J2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조 풀리들은 보조 풀리 축(123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J16 풀리(123J16) 및 J26 풀리(123J26)가 하나의 보조 풀리 축(123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의 보조 풀리가 별도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하면, 보조 풀리인 J16 풀리(123J16)는 J11 풀리(123J11)와 J12 풀리(123J12)/J14 풀리(123J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풀리인 J26 풀리(123J26)는 J21 풀리(123J21)와 J22 풀리(123J22)/J24 풀리(123J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풀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J11 풀리(123J11)의 회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J11 풀리(123J11)의 일 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J12 풀리(123J12) 및 J14 풀리(123J14)가 배치된다. 여기서, J12 풀리(123J12) 및 J14 풀리(123J14)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J12 풀리(123J12) 및 J14 풀리(123J14) 각각의 일 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J13 풀리(123J13) 및 J15 풀리(123J15)가 배치된다. 여기서, J13 풀리(123J13) 및 J15 풀리(123J15)는 Y축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J12 풀리(123J12), J13 풀리(123J13), J14 풀리(123J14) 및 J15 풀리(123J15)가 모두 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각 풀리의 회전축들은 그 구성에 적절하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조 와이어(130J1)는 J13 풀리(123J13), J12 풀리(123J12), J11 풀리(123J11), J16 풀리(123J16), J14 풀리(123J14), J15 풀리(123J15)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차례로 감기며, 제1 조 와이어(130J1)가 상기 풀리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풀리들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조 와이어(130J1)가 도 6의 화살표 J1R 쪽으로 당겨지면, 제1 조 와이어(130J1)가 J15 풀리(123J15), J14 풀리(123J14), J16 풀리(123J16), J11 풀리(123J11), J12 풀리(123J12), J13 풀리(123J13)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J11 풀리(123J11)가 도 6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조(jaw)(121)를 함께 회전시킨다.
반대로, 제1 조 와이어(130J1)가 도 6의 화살표 J1L 쪽으로 당겨지면, 제1 조 와이어(130J1)가 J13 풀리(123J13), J12 풀리(123J12), J11 풀리(123J11), J16 풀리(123J16), J14 풀리(123J14), J15 풀리(123J15)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J11 풀리(123J11)가 도 6의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조(jaw)(121)를 함께 회전시킨다.
이하에서는 보조 풀리(123J16, 123J26)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 풀리(123J16, 123J26)는 제1 조 와이어(130J1) 및 제2 조 와이어(130J2)와 접촉하여 제1 조 와이어(130J1) 및 제2 조 와이어(130J2)의 배치 경로를 일정 정도 변경해줌으로써, 제1 조(121) 및 제2 조(122) 각각의 회전 반경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 풀리(123J16, 123J26)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도 6에서 보았을 때 θ만큼 최대 회전 각도가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엔드 툴(120)의 두 조가 L 방향으로 90° 만큼 함께 요 회전한 상태에서, 액츄에이션 동작을 위해 두 조가 벌어져야 하는 동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즉, 제2 조(122)가 도 6에서처럼 추가적인 각도(θ)만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두 조가 R 방향으로 요 회전한 상태에서도 액츄에이션 동작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보조 풀리(123J16, 123J26)의 구성을 통해, 액츄에이션 동작이 가능한 요 회전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에서는 J11 풀리(123J11) 및 J21 풀리(123J21)의 일 측에 보조 풀리인 J16 풀리(123J16) 및 J26 풀리(123J26)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J16 풀리(123J16) 및 J26 풀리(123J26)를 배치하여, 제1 조 와이어(130J1) 및 제2 조 와이어(130J2)의 배치 경로를 일정 정도 변경해줌으로써, 제1 조 와이어(130J1) 및 제2 조 와이어(130J2)의 접선 방향을 변경시키고, 따라서 제2 조 와이어(130J2)와 J21 풀리(123J21)의 고정 결합부(124)가 도 6의 N 라인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2 조 와이어(130J2)와 J21 풀리(123J21)의 결합부는 J21 풀리(123J21)와 J26 풀리(123J26)의 공통 내접선 상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조 와이어(130J1)와 J11 풀리(123J11)의 결합부는 J11 풀리(123J11)와 J16 풀리(123J16)의 공통 내접선 상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 가능하게 되어, R 방향으로 회전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제1 조(121) 및 제2 조(122)의 회전 반경이 넓어짐으로써, 정상적인 개폐 액츄에이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요 동작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J21 풀리(123J21)의 회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J21 풀리(123J21)의 일 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J22 풀리(123J22) 및 J24 풀리(123J24)가 배치된다. 여기서, J22 풀리(123J22) 및 J24 풀리(123J24)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J22 풀리(123J22) 및 J24 풀리(123J24) 각각의 일 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J23 풀리(123J23) 및 J25 풀리(123J25)가 배치된다. 여기서, J23 풀리(123J23) 및 J15 풀리(123J25)는 Y축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J22 풀리(123J22), J23 풀리(123J23), J24 풀리(123J24) 및 J25 풀리(123J25)가 모두 Y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각 풀리의 회전축들은 그 구성에 적절하도록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조 와이어(130J2)는 J23 풀리(123J23), J22 풀리(123J22), J21 풀리(123J21), J26 풀리(123J26), J24 풀리(123J24), J25 풀리(123J25)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차례로 감기며, 제2 조 와이어(130J2)가 상기 풀리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풀리들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조 와이어(130J2)가 도 6의 화살표 J2R 쪽으로 당겨지면, 제2 조 와이어(130J2)가 J23 풀리(123J23), J22 풀리(123J22), J21 풀리(123J21), J26 풀리(123J26), J24 풀리(123J24), J25 풀리(123J25)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J21 풀리(123J21)가 도 6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조(jaw)(122)를 함께 회전시킨다.
반대로, 제2 조 와이어(130J2)가 도 6의 화살표 J2L 쪽으로 당겨지면, 제2 조 와이어(130J2)가 J25 풀리(123J25), J24 풀리(123J24), J26 풀리(123J26), J21 풀리(123J21), J22 풀리(123J22), J23 풀리(123J23)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J21 풀리(123J21)가 도 6의 화살표 L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조(jaw)(122)를 함께 회전시킨다.
한편, 제1 조 와이어(130J1)의 일 단부는 도 6a의 화살표 J1R 쪽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제1 조 와이어(130J1)의 타 단부는 도 6a의 화살표 J1L 쪽으로 당겨지면(즉 제1 조 와이어(130J1)의 양 단부가 모두 당겨지면), 도 5와 같이 제1 조 와이어(130J1)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J12 풀리(123J12)와 J14 풀리(123J14)의 아래쪽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제1 조 와이어(130J1)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J11 풀리(123J11), 제1 조(121), 조 회전축(123JA), 엔드 툴 허브(125) 및 이와 연결된 제2 조(122) 등은 전체적으로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엔드 툴(120)이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피치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제2 조(122) 및 이에 고정 결합된 제2 조 와이어(130J2)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J22 풀리(123J22)와 J24 풀리(123J24)의 위쪽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제2 조 와이어(130J2)의 양단부는 각각 J2L, J2R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2 조 와이어(130J2)의 일 단부는 도 6의 화살표 J2R 쪽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제2 조 와이어(130J2)의 타 단부는 도 6의 화살표 J2L 쪽으로 당겨지면, 도 5와 같이 제2 조 와이어(130J2)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J22 풀리(123J22)와 J24 풀리(123J24)의 위쪽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제2 조 와이어(130J2)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J21 풀리(123J21), 제2 조(122), 조 회전축(123JA), 엔드 툴 허브(125) 및 이와 연결된 제1 조(121) 등은 전체적으로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엔드 툴(120)이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피치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제1 조(121) 및 이에 고정 결합된 제1 조 와이어(130J1)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J12 풀리(123J12)와 J14 풀리(123J14)의 아래쪽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제1 조 와이어(130J1)의 양단부는 각각 J1L, J1R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b)의 엔드 툴(120)은 피치 풀리(123P)를 더 구비하고, 조작부(110)는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를 더 구비하며, 동력 전달부(130)는 피치 와이어(130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엔드 툴(120)의 피치 풀리(123P)는 엔드 툴 피치 회전축(123P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엔드 툴 허브(125)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의 피치 풀리는 피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피치 조작부(미도시)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치 와이어(130P)는 엔드 툴(120)의 피치 풀리(123P)와 조작부의 피치 풀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부(110)의 제1 손잡이(114)를 손으로 쥐고 있는 상태에서,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제1 손잡이(114)를 회전시키면, 제1 손잡이(114)와 결합된 피치 풀리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피치 풀리의 회전은 피치 와이어(130P)를 통해 엔드 툴(120)의 피치 풀리(123P)로 전달되어 피치 풀리(123P)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엔드 툴(end tool)(120)이 회전하면서 피치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엔드 툴(120)의 피치 풀리(123P), 조작부(110)의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 및 동력 전달부(130)의 피치 와이어(130P)를 구비하여, 피치 조작부(111)의 피치 동작의 구동력이 보다 완벽하게 엔드 툴(1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피치 풀리(123P)가 엔드 툴 허브(12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피치 풀리(123P)와 엔드 툴 허브(125)가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축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작부)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의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 손잡이(114)와, 엔드 툴(120)의 액츄에이션 운동을 제어하는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와, 엔드 툴(120)의 요 운동을 제어하는 요 조작부(112)와, 엔드 툴(120)의 피치 운동을 제어하는 피치 조작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110)는 손고리(15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도 2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의 사용 상태를 예시하면, 사용자는 손바닥으로 제1 손잡이(114)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손잡이(114)를 Y축(즉,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피치 동작을 수행하고, 제1 손잡이(114)를 Z축(즉,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고리(150)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를 회전하여 액츄에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조작부(110)를 연결부(140)에 대해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엔드 툴(120)이 조작부(110)의 조작 방향과 직관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조작부(110)의 제1 손잡이(114)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엔드 툴(120) 역시 상기 일 방향과 직관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치 운동 또는 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직관적으로 동일한 방향이라 함은, 조작부(1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엔드 툴(120)의 말단부의 이동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이루는 것이라고 부연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여기서 동일한 방향이라 함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완벽하게 일치하는 방향은 아닐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엔드 툴(120)의 말단부도 왼쪽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아래로 이동하면 엔드 툴(120)의 말단부도 아래로 이동하는 정도의 동일성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조작부(110)와 엔드 툴(120)이 연결부(140)의 연장축(X축)에 수직인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의 YZ 평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조작부(1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엔드 툴(120) 역시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연결부(140)의 일 단부에서의 엔드 툴(120)의 형성 방향과, 연결부(140)의 타 단부에서의 조작부(110)의 형성 방향이, YZ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조작부(110)가 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몸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엔드 툴(120)이 형성된 방향 쪽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액츄에이션 동작, 요 동작, 피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여 움직이게 되는 제1 손잡이(114),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 1132b) 등은 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움직이는 부분이 해당 동작을 위한 각 관절의 회전 중심 보다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엔드 툴(120)의 움직이는 부분이 해당 동작을 위한 각 관절의 회전 중심보다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게 조작부(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의 조작 방향과 엔드 툴의 동작 방향이 회전 방향의 관점과 좌우 방향의 관점 둘 다 일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직관적으로 동일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히,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는 방향과 엔드 툴의 실제 작동 방향이 서로 상이하고 직관적으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자의 입장에서 직관적인 작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엔드 툴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숙련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동작이 발생하여 환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조작부(110)의 조작 방향과 엔드 툴(120)의 작동 방향이 직관적으로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조작부(110)는 엔드 툴(120) 처럼, 액츄에이션 동작, 요 동작, 피치 동작을 위해 실제로 움직이게 되는 부분이 각 동작의 해당 관절의 회전 중심보다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손잡이(114)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손바닥으로 제1 손잡이(114)를 감싸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손잡이(114) 상에는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및 요 조작부(112)가 형성되고, 요 조작부(112)의 일 측에는 피치 조작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피치 조작부(111)의 타 단부는 연결부(140)의 절곡부(141)에 연결된다.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는 제1 액츄에이션 조작부(113a)와 제2 액츄에이션 조작부(113b)를 포함한다. 제1 액츄에이션 조작부(113a)는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 제1 액츄에이션 기어(1134a)를 포함한다. 제2 액츄에이션 조작부(113b)는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 제2 액츄에이션 기어(113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와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의 단부에는 손고리(150)가 더 형성되어, 제2 손잡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1131b)은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XY 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1131b)은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피치 조작부(111) 또는 요 조작부(112)가 회전할 경우,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좌표계는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인체 공학적(ergonomic) 설계에 의하여,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 구조에 적합하도록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1131b)은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 제1 액츄에이션 기어(1134a)는 서로 고정 결합되어,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는 하나의 풀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고정 결합된 두 개의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 제2 액츄에이션 기어(1134b)는 서로 고정 결합되어,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는 하나의 풀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고정 결합된 두 개의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액츄에이션 기어(1134a)와 제2 액츄에이션 기어(1134b)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어느 일 측이 회전하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요 조작부(112)는 요 회전축(1121)과,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와, 요 프레임(yaw frame)(1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 조작부(112)는 제1 조 요 풀리(112P1)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조 요 보조 풀리(112S1)와, 제2 조 요 풀리(112P2)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조 요 보조 풀리(112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 요 보조 풀리(112S1)와 제2 조 요 보조 풀리(112S2)는 후술할 피치 프레임(111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요 조작부(112)가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를 포함하고,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두 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서로 직경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의 풀리가 요 조작부(112)의 구성에 따라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제1 손잡이(114) 상에서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일 측에는 요 회전축(112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손잡이(114)는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요 회전축(1121)은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는 XY 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 회전축(1121)은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피치 조작부(111)가 회전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요 회전축(1121)의 좌표계는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인체 공학적(ergonomic) 설계에 의하여, 조작부(11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 구조에 적합하도록 요 회전축(1121)은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는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요 회전축(1121)에 결합한다. 그리고, 제1 조 요 풀리(112P1)에는 제1 조 와이어(130J1)가 감기고, 제2 조 요 풀리(112P2)에는 제2 조 와이어(130J2)가 감길 수 있다. 이때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두 개의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겨 들어가는 와이어와 감겨 나오는 와이어가 분리된 풀리들에 각각 감길 수 있어 서로 간섭을 주지 않고 동작할 수 있다.
요 프레임(1123)은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연결하여, 제1 손잡이(114)와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가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피치 조작부(111)는 피치 회전축(1111)과,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와,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와, 피치 프레임(pitch frame)(1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치 조작부(111)는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조 피치 보조 풀리-a(111S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조 피치 보조 풀리-b(111S1b)와,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조 피치 보조 풀리-a(111S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의 일 측에 형성된 제2 조 피치 보조 풀리-b(111S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치 조작부(111)는 피치 회전축(1111)을 통해 연결부(140)의 절곡부(141)에 연결된다.
상세히, 피치 프레임(1113)은 피치 조작부(111)의 베이스 프레임이 되며, 일 단부에 요 회전축(112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요 프레임(1123)은 피치 프레임(1113)에 대해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 프레임(1123)은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연결하며, 또한 요 프레임(1123)은 피치 프레임(1113)과 연결되기 때문에, 피치 프레임(1113)이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피치 프레임(1113)과 연결된 요 프레임(1123),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피치 조작부(111)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및 요 조작부(112)가 피치 조작부(111)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4)를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피치 회전시키면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요 조작부(112) 및 피치 조작부(111)가 함께 움직이게 된다.
피치 프레임(1113)에는 피치 회전축(1111)과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와,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가 결합한다. 이때,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와,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는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피치 회전축(1111)에 결합한다.
여기서,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겨 들어가는 와이어와 감겨 나오는 와이어가 분리된 풀리들에 각각 감길 수 있어 서로 간섭을 주지 않고 동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겨 들어가는 와이어와 감겨 나오는 와이어가 분리된 풀리들에 각각 감길 수 있어 서로 간섭을 주지 않고 동작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을 참고하면,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는 피치 프레임(1113)과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치 와이어(130P)는 피치 와이어 보조 풀리(115S),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를 거쳐 피치 프레임(1113)에 고정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피치 회전에 의해 피치 프레임(1113),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는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피치 와이어(130P)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엔드 툴(120)에는 피치 풀리(123P)가 엔드 툴 허브(125)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고, 조작부(110)에는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가 형성되며, 이들은 피치 와이어(130P)로 서로 연결되어, 조작부(110)의 피치 조작에 따라 엔드 툴(120)의 피치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피치 와이어(130P)의 양쪽의 끝부분은 각각 해당 피치 와이어 보조 풀리(115S)와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를 거쳐 피치 프레임(1113)에 고정 결합되고, 각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도 피치 프레임(1113)에 고정 결합된다. 즉, 조작부(110)의 피치 회전에 의해 피치 프레임(1113)과 피치 와이어 엔드 풀리(115P)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피치 와이어(130P)의 양쪽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조 와이어(130J1) 및 제2 조 와이어(130J2)에 의한 엔드 툴의 피치 동작과는 별도로 추가의 피치 회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손잡이(114)와 피치 조작부(111), 요 조작부(112),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각각의 연결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손잡이(114) 상에는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1131b)과 요 회전축(1121)과 피치 회전축(1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1131b)은 제1 손잡이(114)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제1 손잡이(114)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는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요 회전축(1121)은 제1 손잡이(114)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제1 손잡이(114)와 요 조작부(112)는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반면, 피치 조작부(111)는 요 조작부(112)의 일 측에 요 조작부(1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피치 조작부(111)는 제1 손잡이(114)와 바로 연결되지는 않고, 피치 조작부(111)와 제1 손잡이(114)는 요 조작부(112)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에서, 피치 조작부(111)와 엔드 툴(end tool)(120)이 동일하거나 또는 평행한 축(X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40)의 절곡부(141)의 일 단부에는 피치 조작부(111)의 피치 회전축(1111)이 형성되고, 연결부(140)의 타 단부에는 엔드 툴(end tool)(12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140)의 중간중간, 특히 절곡부(141) 부분에는 와이어들의 경로를 변경 또는 가이드해주는 하나 이상의 중개 풀리(MP)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개 풀리(MP)들에 와이어들의 적어도 일부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와이어들의 경로를 가이드해줌으로써, 절곡부(141)의 절곡된 형상을 따라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연결부(140)는 절곡부(141)를 구비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연결부(140)가 필요에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1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피치 조작부(111)와 엔드 툴(end tool)(120)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평행한 축 상에 형성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는 피치 조작부(111)와 엔드 툴(end tool)(120)이 X축과 평행한 축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피치 조작부(111)와 엔드 툴(end tool)(120)이 서로 상이한 축 상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액츄에이션 동작, 요 동작, 피치 동작)
본 실시예에서의 액츄에이션 동작, 요 동작, 피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츄에이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와 연결된 손고리(150)에 검지 손가락을 끼우고,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와 연결된 손고리(150)에 엄지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어느 한 손가락 또는 양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여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1132b)를 회전시키면,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와 고정 결합된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 및 제1 액츄에이션 기어(1134a)는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와 고정 결합된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 및 제2 액츄에이션 기어(1134b)가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와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감긴 제1 조 와이어(130J1)와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감긴 제2 조 와이어(130J2) 역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력이 동력 전달부(130)를 통해 엔드 툴(120)로 전달되어, 엔드 툴(120)의 두 개의 조(jaw)(121)(122)가 액츄에이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액츄에이션 동작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조(jaw)(121, 12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jaw)(121, 122)를 벌리거나 닫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1132b)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jaw)(12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조(jaw)(1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엔드 툴(120)이 닫히고,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1132b)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jaw)(1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조(jaw)(1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엔드 툴(120)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액츄에이션 조작을 위해 제1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a)와 제2 액츄에이션 회전부(1132b)를 구비하여 제2 손잡이를 구성하였으며, 두 개의 손가락을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엔드 툴(120)의 두 개의 조를 서로 열고 닫는 액츄에이션 조작을 위한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다르게 하나의 액츄에이션 회전부로 두 개의 액츄에이션 풀리(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가 서로 반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 등의 다른 변형예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4)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제1 손잡이(114)를 회전시키면,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및 요 조작부(112)가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요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제1 조 와이어(130J1)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액츄에이션 조작부(113a)의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가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조 요 풀리(112P1)에 감겨 있는 제1 조 와이어(130J1)가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조 와이어(130J2)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 액츄에이션 조작부(113b)의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가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조 요 풀리(112P2)에 감겨 있는 제2 조 와이어(130J2)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조(121)에 연결된 제1 조 와이어(130J1)와 제2 조(122)에 연결된 제2 조 와이어(130J2)는, 요 회전시에 제1 조(121)와 제2 조(12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조 요 풀리(112P1)와 제2 조 요 풀리(112P2)에 감겨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력이 동력 전달부(130)를 통해 엔드 툴(120)로 전달되어, 엔드 툴(120)의 두 개의 조(jaw)(121)(12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요 프레임(1123)이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연결하기 때문에, 제1 손잡이(114)와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는 요 회전축(112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피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4)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제1 손잡이(114)를 회전시키면,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요 조작부(112) 및 피치 조작부(111)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피치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제1 조 와이어(130J1)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1 액츄에이션 조작부(113a)의 제1 액츄에이션 풀리(113P1)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조 피치 풀리-a(111P1a)와 제1 조 피치 풀리-b(111P1b)에 감겨 있는 제1 조 와이어(130J1)가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조 와이어(130J2)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제2 액츄에이션 조작부(113b)의 제2 액츄에이션 풀리(113P2)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조 피치 풀리-a(111P2a)와 제2 조 피치 풀리-b(111P2b)에 감겨 있는 제2 조 와이어(130J2)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제1 조 와이어(130J1)의 양 가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조 와이어(130J2)의 양 가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조(121)와 제2 조(122)가 피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제1 조 와이어(130J1)와 제2 조 와이어(130J2)는 제1 조 피치 풀리(111P1a, 111P1b)와 제2 조 피치 풀리(111P2a, 111P2b)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력이 동력 전달부(130)를 통해 엔드 툴(120)로 전달되어, 엔드 툴(120)의 두 개의 조(jaw)(121)(122)가 피치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피치 프레임(1113)은 요 프레임(1123)과 연결되고, 요 프레임(1123)은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을 연결하기 때문에, 피치 프레임(1113)이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피치 프레임(1113)과 연결된 요 프레임(1123), 제1 손잡이(114), 요 회전축(1121), 제1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a), 제2 액츄에이션 회전축(1131b)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피치 조작부(111)가 피치 회전축(1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및 요 조작부(112)가 피치 조작부(111)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각 관절 지점(액츄에이션 관절, 요 관절, 피치 관절)에 풀리가 형성되며, 이 풀리에는 와이어(제1 조 와이어 또는 제2 조 와이어)가 감겨 있고, 조작부의 회전 조작(액츄에이션 회전, 요 회전, 피치 회전)이 각 와이어의 이동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엔드 툴(120)의 원하는 동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각 풀리들의 일 측에는 보조 풀리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보조 풀리에 의하여 하나의 풀리에 와이어가 여러 번 감기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션 조작, 요 조작, 피치 조작은 서로에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요 조작부(112), 피치 조작부(111)는 자신의 회전축이 각 조작부의 뒤쪽에 위치함으로써, 엔드 툴의 관절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일치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는 각 관절 지점(액츄에이션 관절, 요 관절, 피치 관절)에 풀리가 형성되며, 이 풀리를 와이어(제1 조 와이어 또는 제2 조 와이어)가 감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의 회전 조작(액츄에이션 회전, 요 회전, 피치 회전)이 각 와이어의 이동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엔드 툴(120)의 원하는 동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각 풀리들의 일 측에는 보조 풀리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보조 풀리에 의하여 하나의 풀리에 와이어가 여러 번 감기지 않을 수 있게 되어, 풀리에 감기는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풀리에 감겨 들어 가는 와이어와 감겨 나오는 와이어의 경로도 안전하게 형성되어, 와이어의 동력전달의 안전성 및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는 제1 손잡이(114)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손잡이(114)가 피치 회전축(1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 역시 제1 손잡이(114)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좌표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제1 손잡이(114)의 회전에 따라 상대적으로 계속 변화하게 된다. 즉, 도 2 등에는 요 조작부(112) 및 액츄에이션 조작부(113)는 Z축과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손잡이(114)가 회전하게 되면,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가 Z축과 평행하지 않게 된다. 즉,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좌표계가 제1 손잡이(114)의 회전에 따라 변화된 것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설명이 없는 이상, 요 조작부(112)와 액츄에이션 조작부(113)의 좌표계는 도 2와 같이 제1 손잡이(114)가 연결부(140)에 대해서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
이하에서는 엔드 툴의 일부를 이루는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에서 와이어 및 전선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엔드 툴 풀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엔드 툴 풀리의 상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엔드 툴 풀리의 하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에서 하판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9의 조(162)는 도 5의 제1 조(121) 또는 제2 조(122)일 수 있다. 또한, 도 9의 엔드 툴 풀리(163)는 도 5의 J11 풀리(123J11) 또는 J21 풀리(123J21)일 수 있다. 또한, 도 9의 와이어(166)는 도 5의 제1 조 와이어(130J1) 또는 제2 조 와이어(130J2)일 수 있다. 또한, 도 9의 와이어(166)의 고정 결합부(167)는, 도 6의 제1 조 와이어(130J1) 또는 제2 조 와이어(130J2)의 고정 결합부(124)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161)는 조(jaw)(162)와 엔드 툴 풀리(1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엔드 툴 풀리(163)는 상판(164)과 하판(165)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wire)(166)의 어느 일 영역에는 고정 결합부(167)가 형성되며, 이 고정 결합부(167)가 후술할 엔드 툴 풀리(163)의 와이어 결합 홈(164e)에 끼워져서, 와이어(166)가 엔드 툴 풀리(163)에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66)와 엔드 툴 풀리(163)가 고정 결합됨으로써, 와이어(166)가 어느 일 방향으로 당겨지면, 이에 따라 엔드 툴 풀리(163)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고정 결합부(167)가 볼(ball)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튜브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66)는 연결부(도 2의 140 참조)를 통과하여 조작부(도 2의 110 참조)와 연결되어, 엔드 툴(도 2의 120 참조)의 피치/요/액츄에이션 운동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한다.
전선(electric wire)(168)은 조(162)와 연결되며, 엔드 툴 풀리(163) 내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선(168)은 연결부(도 2의 140 참조)를 통과하여 커넥터(도 2의 143 참조)와 연결되며, 이 커넥터(도 2의 143 참조)는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168)을 통해 조(162)에 소정의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이다. 여기서 커넥터(도 2의 143 참조)는 전극이 하나 형성된 모노폴라 형일 수도 있고, 전극이 두 개 형성된 바이폴라 형일 수도 있다. 모노폴라 형에서는 두 개의 조에 서로 동일한 극성의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으며, 바이폴라 형에서는 두 개의 조에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조(jaw)(162)는 집게부(162a)와 연장부(162b)와 걸림부(162c)를 포함한다.
집게부(162a)는 조(162)의 본체를 이루며, 일 면(내측면)에 소정의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집게부(162a)로서 다이섹터(dissector)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포셉(forcep), 니들 홀더(needle holder) 등 다양한 형태의 집게부(162a)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162b)는 집게부(162a)로부터 일 방향, 예를 들어 연결부(140)의 형성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62b)의 일부는 엔드 툴 풀리(163) 내에 수용되어, 조(162)와 엔드 툴 풀리(163)가 결합할 수 있다.
걸림부(162c)는 연장부(162b)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걸림부(162c)는 연장부(162b)로부터 Y축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걸림부(162c)는 연장부(162b)로부터 Z축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연장부(162b)의 일부가 나머지 일부와 단차지도록 형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술할 상판(164)의 조 수용부(164b)에 걸림부(162c)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조(162)가 엔드 툴 풀리(163)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엔드 툴 풀리(163)의 상판(164)은 본체(164a), 결합부(164b), 조 수용부(164c), 축 관통부(164d), 와이어 결합 홈(164e), 와이어 가이드부(164f), 전선 가이드부(164g)를 포함한다.
본체(164a)는 대략 원형 풀리의 형태로 형성되며, 축 관통부(164d)에 결합되는 조 회전축(도 5의 123JA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64b)는 본체(164a)에서 조(162)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면, 결합부(164b)는 본체(164a)에서 연결부(140)의 형성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결합부(164b)가 본체(164a)에서 조(162)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되어,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함으로써,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됨으로써, 조(162)와 와이어(166)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란 도체와 도체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164b)의 내부에는 조 수용부(16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 수용부(164c)는 조(162)의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 수용부(164c) 내에 조(162)의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가 수용 내지는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 수용부(164c)는 본체(164a) 내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162c)는 연장부(162b)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되어, 연장부(162b)의 일부가 나머지 일부와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조 수용부(164c)는 조(162)의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조 수용부(164b)에 걸림부(162c)가 걸리게 되어, 조(162)가 엔드 툴 풀리(163)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판(164)의 조 수용부(164b)에 조(162)의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판(164)과 하판(165)을 결합함으로써, 엔드 툴 풀리(163)와 조(162)가 고정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축 관통부(164d)는 본체(164a) 내에 형성되며, 축 관통부(164d)에 조 회전축(도 5의 123JA 참조)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162)가 축 관통부(164d)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되어, 조(jaw)와 와이어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 결합 홈(164e)은 본체(164a)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와이어 결합 홈(164e)에 와이어(166)의 고정 결합부(167)가 끼워진다. 따라서 와이어(166)가 어느 한 방향으로 당겨지면, 엔드 툴 풀리(163)가 와이어(166)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와이어 가이드부(164f)는 본체(164a)의 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 결합 홈(164e)에 결합된 와이어(166)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선 가이드부(164g)는 본체(164a)의 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162)에 결합된 전선(168)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161)는 1) 엔드 툴 풀리(163)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고, 2) 조(162)가 축 관통부(164d)와 결합하지 않고, 축 관통부(164d)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3) 엔드 툴 풀리(163)의 목 부분인 결합부(164b)가 조(162) 방향으로 최대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조(162)와 와이어(166) 사이의 절연 능력을 최대화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 내지 도 20은 기존에 사용되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기존에 사용되던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61)의 경우, 조(62)의 연장부 끝부분에 환형의 결합부(62c)가 형성되고, 이 환형의 결합부(62c)가 엔드 툴 풀리(63)의 축 관통부(64d)에 끼워 짐으로써 조(62)와 엔드 툴 풀리(63)가 결합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엔드 툴 풀리(63)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질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 경우, 조(62)와 와이어(66)(특히 고정 결합부) 간의 물리적 거리가 길지 않게 되어, 조(62)에 고압의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경우, 조(62)와 와이어(66) 사이에 공기 방전이 발생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조(62)와 와이어(66)가 통전되어 절연 파괴(electrical breakdown)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62)와 와이어(66)가 통전되면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각 부품에 데미지(damage)가 가해졌다. 또한, 한 쌍의 조에 고압의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경우, 조와 조 사이에 발생하는 섬락(flashover)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엔드 툴 풀리(63)가 타버리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세히, 바이폴라 전기 수술 기구의 경우, 최대 전압이 대략 500 kV 정도로써,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로 형성하여도 충분히 절연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모노폴라 전기 수술 기구의 경우, 최대 전압이 약 4kV로써, 위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경우, 조(62)와 와이어(66)가 통전되어 절연 파괴(electrical breakdown)가 발생한다. 또한 모노폴라 전기 수술 기구의 경우, 조와 조 사이에 큰 전압이 인가되어 섬락(flashover)이 크게 발생하며, 이 섬락(flashover)이 엔드 툴 풀리(63)에 닿았을 때, 플라스틱 재질의 엔드 툴 풀리(63)가 타거나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구조의 엔드 툴 풀리에서는, 조(62)와 와이어(66) 사이의 최단 경로는 조(62)/엔드 툴 풀리(63) 간 경계면으로부터 고정 결합부(67)까지의 거리(도 19의 l1)이며, 이러한 방전 경로의 최단 거리(도 19의 l1)인 연면 거리는 대략 1.6mm였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약 4kV의 전압이 가해질 경우, 조(62)와 와이어(66)가 통전되어 절연 파괴 (electrical breakdown)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엔드 툴 풀리(63)에서 조(62)와 결합하는 목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이번에는 조(62)의 결합부(62c)와 와이어(66)까지가 조(62)와 와이어(66) 사이의 최단 경로가 되고, 이러한 방전 경로의 최단 거리(도 20의 l2)인 연면 거리는 대략 2.43mm였으며, 이 상태에서 4kV의 전압이 가해질 경우에도, 조(62)와 와이어(66)가 통전되어 절연 파괴 (electrical breakdown)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엔드 툴 풀리(163)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고, 2) 조(162)가 축 관통부(164d)와 결합하지 않고, 축 관통부(164d)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3) 엔드 툴 풀리(163)의 목 부분인 결합부(164b)의 두께를 최대한 두껍게 형성하여, 조(162)와 와이어(166) 사이의 절연 능력을 최대화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먼저 엔드 툴 풀리(163)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즉, 모노폴라용 전기 수술 기구의 경우, 고전압이 가해져서 조(jaw)와 조(jaw) 사이에 강한 섬락(flashover)이 발생한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엔드 툴 풀리(163)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면, 섬락(flashover)에 의해 엔드 툴 풀리(163)가 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엔드 툴 풀리(163)를 내연성이 높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여, 엔드 툴 풀리(163)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라믹 재질 자체가 종래 엔드 툴 풀리를 형성하던 플라스틱 재질보다 유전 강도 (Dielectric strength)가 높으며, 따라서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161)의 내전압(withstanding voltage: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인가 전압의 한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조(162)가 축 관통부(164d)와 결합하지 않고, 축 관통부(164d)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8 등과 같이 조(62)의 연장부 끝부분에 환형의 결합부(62c)가 형성될 경우, 조(62)와 와이어(66) 간의 거리를 늘리는데 물리적으로 한계가 존재하는 바, 아예 결합부(62c)를 제거하여 조(162)가 축 관통부(164d)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거리를 물리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를 증가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리 형상의 결합부(도 18의 62c 참조) 없이 조(162)와 엔드 툴 풀리(163)를 결합하기 위하여, 조(162)에는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를 형성하고, 엔드 툴 풀리(163)에는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와 대응되는 형상의 조 수용부(164c)를 형성하여, 연장부(162b) 및 걸림부(162c)가 조 수용부(164c)에 수용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됨으로써,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절연이 확보되고, 엔드 툴 풀리 어셈블리(161)의 내전압(withstanding voltage)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조(162)와 와이어(166) 사이의 최단 경로 중 하나인 조(162)/엔드 툴 풀리(163) 간 경계면으로부터 고정 결합부(167)까지의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엔드 툴 풀리(163)의 목 부분인 결합부(164b)가 본체(164a)에서 조(162) 방향(즉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최대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164b)가 본체(164a)에서 조(162)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되어,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거리를 멀게 함으로써, 조(162)와 와이어(166)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되어, 조(162)와 와이어(166)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복강경 수술 또는 여러 다양한 수술에 사용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있어서, 조(jaw)와 와이어 사이의 절연 능력이 강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은, 다른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며, 조(262)의 걸림부(262c)에서 제2 연장부(262d)가 한 번 더 돌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상세히, 조(jaw)(262)는 집게부(262a)와 연장부(262b)와 걸림부(262c)와 제2 연장부(262d)를 포함한다. 그리고, 엔드 툴 풀리(263)의 상판(264)은 본체(264a), 결합부(264b), 조 수용부(미도시), 축 관통부(264d), 와이어 결합 홈(미도시), 와이어 가이드부(미도시), 전선 가이드부(264g)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연장부(262d)는 걸림부(262c)로부터 일 방향, 예를 들어 연결부(도 2의 140 참조)의 형성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조(262)와 엔드 툴 풀리(263)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2 연장부(262d)는 걸림부(262c)로부터 축 관통부(264d)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연장부(262d)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축 관통부(264d)의 중심축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장부(262d)가 축 관통부(264d)의 중심축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262)와 엔드 툴 풀리(263)의 접촉 면적이 커져서, 조(262)와 엔드 툴 풀리(263)가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110: 조작부
111: 피치 조작부
112: 요 조작부
113: 액츄에이션 조작부
114: 제1 손잡이
120: 엔드 툴(end tool)
130: 동력 전달부
140: 연결부
141: 절곡부

Claims (11)

  1. 적어도 피치 회전 및 요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jaw)와, 조 회전축이 관통 삽입되는 축 관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엔드 툴 풀리를 포함하는 엔드 툴(end tool);
    상기 엔드 툴의 상기 두 개 이상의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상기 조(jaw)로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 및
    제1 방향(X축)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 단부에는 상기 엔드 툴이 결합되고 타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가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와 상기 엔드 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는 상기 조 회전축 및 상기 축 관통부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조 회전축 및 상기 축 관통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조 회전축 및 상기 축 관통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의 모든 부분이 상기 조 회전축 및 상기 축 관통부의 모든 부분보다 상기 엔드 툴의 원위부(distal end)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은,
    상기 조와 연결되며 상기 엔드 툴 풀리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 및
    상기 조가 결합된 상기 엔드 툴 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는 엔드 툴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는 상기 축 관통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는,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상기 조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기 조 수용부에 상기 걸림부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가 상기 엔드 툴 풀리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판의 본체로부터 상기 조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조 간의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상기 조는 상기 엔드 툴 풀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모노폴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의 상기 축 관통부와 상기 조는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툴 풀리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0200140113A 2020-10-27 2020-10-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30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13A KR102308205B1 (ko) 2020-10-27 2020-10-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0210127455A KR20220056111A (ko) 2020-10-27 2021-09-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US17/511,890 US11529188B2 (en) 2020-10-27 2021-10-27 Surgical instrument for electrocau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13A KR102308205B1 (ko) 2020-10-27 2020-10-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455A Division KR20220056111A (ko) 2020-10-27 2021-09-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205B1 true KR102308205B1 (ko) 2021-10-05

Family

ID=78077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13A KR102308205B1 (ko) 2020-10-27 2020-10-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0210127455A KR20220056111A (ko) 2020-10-27 2021-09-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455A KR20220056111A (ko) 2020-10-27 2021-09-27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29188B2 (ko)
KR (2) KR102308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639A (ko) * 2021-02-20 2023-01-10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20230011283A (ko) * 2021-05-29 2023-01-20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WO2023128665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1404S1 (en) * 2020-09-29 2022-11-29 Livsmed Inc. Jaw for surgical instrum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280A (ja) * 1998-09-02 2000-03-07 Olympus Optical Co Ltd 高周波処置具
US20070208375A1 (en) * 2006-02-23 2007-09-06 Kouji Nishizawa Surgical device
US20090082768A1 (en) * 2007-09-25 2009-03-26 Uwe Bacher Bipolar Medical Instrument
KR101064825B1 (ko) * 2010-11-18 2011-09-14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20120003091A (ko) * 2010-07-02 2012-01-10 한국과학기술원 수술도구 종단부의 롤링 운동이 가능한 최소침습수술용 수술장치
US20150150635A1 (en) * 2013-03-14 2015-06-04 Sri International Compact robotic wrist
WO2019069181A1 (en) * 2017-10-06 2019-04-11 Ethicon Llc ELECTRICAL INSULATION OF ELECTROSURGIC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587A (ja) 1982-12-03 1984-06-13 株式会社東芝 ロボツトハンド
US6394998B1 (en) 1999-01-22 2002-05-28 Intuitive Surgical, Inc. Surgical tool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telesurgical applications
US6840938B1 (en) * 2000-12-29 2005-01-11 Intuitive Surgical, Inc. Bipolar cauterizing instrument
JP2010220786A (ja) 2009-03-24 2010-10-07 Waseda Univ 手術用マニピュレータ及び手術用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280A (ja) * 1998-09-02 2000-03-07 Olympus Optical Co Ltd 高周波処置具
US20070208375A1 (en) * 2006-02-23 2007-09-06 Kouji Nishizawa Surgical device
US20090082768A1 (en) * 2007-09-25 2009-03-26 Uwe Bacher Bipolar Medical Instrument
KR20120003091A (ko) * 2010-07-02 2012-01-10 한국과학기술원 수술도구 종단부의 롤링 운동이 가능한 최소침습수술용 수술장치
KR101064825B1 (ko) * 2010-11-18 2011-09-14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기구
US20150150635A1 (en) * 2013-03-14 2015-06-04 Sri International Compact robotic wrist
WO2019069181A1 (en) * 2017-10-06 2019-04-11 Ethicon Llc ELECTRICAL INSULATION OF ELECTROSURGICAL INSTRUM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639A (ko) * 2021-02-20 2023-01-10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648998B1 (ko) 2021-02-20 2024-03-20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20230011283A (ko) * 2021-05-29 2023-01-20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568805B1 (ko) 2021-05-29 2023-08-22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WO2023128665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11A (ko) 2022-05-04
US20220125503A1 (en) 2022-04-28
US11529188B2 (en)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205B1 (ko)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JP7272689B2 (ja) 手術用インスツルメント
KR102122508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CN105828734B (zh) 电外科末端执行器
US11896337B2 (en) Instrument for surgery
KR102567479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KR102527418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US20230077892A1 (en) Surgical instrument
EP3449849A1 (en)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assembling surgical instruments
US20230389979A1 (en) End tool of surgical instrument and electric cauterization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same
KR102451740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US20240130816A1 (en) Instrument for surgery
KR20240035688A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소작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CN117615728A (zh) 手术器械的末端工具以及具有该末端工具的电灼手术器械
CN116887773A (zh) 一种手术器械的末端工具以及具有其的电灼手术器械
CN117915849A (zh) 手术用器械的末端工具以及具有该末端工具的电灼手术用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